KR20000038314A -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 Google Patents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314A
KR20000038314A KR1019980053268A KR19980053268A KR20000038314A KR 20000038314 A KR20000038314 A KR 20000038314A KR 1019980053268 A KR1019980053268 A KR 1019980053268A KR 19980053268 A KR19980053268 A KR 19980053268A KR 20000038314 A KR20000038314 A KR 2000003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owcase
see
closing system
automa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0573B1 (ko
Inventor
최종학
Original Assignee
최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학 filed Critical 최종학
Priority to KR101998005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5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시될 장소의 환경에 따른 최적의 형상, 구조, 기능, 크기 등에 알맞게 설정된 길이, 폭, 높이 및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절곡되어 상호 연결된 기본골격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이 노출됨이 차단되게 전면을 제외한 모든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다수의 막이판재가 형성되어 내부 중앙에 소정의 진열공간이 구비된 진열몸체부와, 상기 진열몸체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 전면의 개방구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대응되게 이루어진 투시창과, 상기 진열몸체부의 전면쪽 상/하부 중앙 또는 양측 내부의 대응 위치에 상/하작동부가 각각 고정되어 소정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투시창을 전/후방으로 설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진구동수단과, 상기 진열몸체부 내부의 전면쪽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의 하단부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투시창을 좌/우측 방향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작동되게 형성된 좌/우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전자동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튼 조작에 의해 투시창이 전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리함과 손쉬운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전시할 유물등 비교적 큰 것도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수납 및 진열작업의 보다 간단히 손쉽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상승되며, 또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전시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특징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의 포커스 범위 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량이 극미한 광조명장치를 채택 사용하여 고열 등에 의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변형, 변질, 변색 등의 유해원인을 미연에 방지되어 진열 및 전시의 효율성과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에 따른 보수작업성 및 그에 따른 유지 관리성등이 향상된다.
또한,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는 물론 기밀부재등을 이용하여 투시창과 진열몸체부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 각 틈새 등을 통해 미세한 유해분진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밀폐성이 향상되고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내알칼화된 진열장의 막이판재에 의해 내부로 침투됨이 차단되어 진열품의 부식 및 변질됨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본 발명은 전/후, 좌/우측 방향으로 투시창이 자동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된 진열 내부공간 및 전시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내부에 투시창의 자동개폐수단과 조명수단과 습도조절수단등이 내설되며, 그 내부에 문화재 또는 전시품 및 예술품 등이 전시(展示)를 위한 진열작업시 각별한 취급상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여 효율적인 진열작업이 이루어져 진열시 취급 부주의 및 보관상에 의한 훼손 발생률을 극소화시켜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립 및 사립 박물관 또는 기념관 및 전시관등에 진열되어 전시되는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및 과거사(過去事)속에서 사용되었던 희귀성(稀貴性)이 있는 주요물건이나 사진 등의 전시품 또는 시대에 관계없이 고가의 예술품 등은 유해광선, 온도, 습도등 기타 자연적인 내적 요인과 취급 및 보관 등의 부주의에 따른 외적요인등에 만전을 기하여 철저하게 유지 관리돼야만 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유형문화재 및 고가의 예술품 내지는 전시품 등은 오랜 시간 동안 자연적인 풍화작용(風化作用)등의 비교적 열약(劣弱)한 환경 속에 노출된 상태에 있던 희귀물품 또는 오랜 세월 유지 보존하여 차후세대에 물려줄 국보, 보물 등의 유물 및 전시/예술품 등이므로, 자연적인 풍화작용 및 오염된 공기, 발암물질, 습기, 온도, 분진, 유해광선, 인위적인 접촉 등에 의한 훼손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안전하게 보호됨은 물론 각별한 운반, 보관 및 취급관리등이 요구되므로, 그에 알맞은 진열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상기한 진귀(珍貴)한 유물 등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수단은 보온 단열성, 불연성(不燃性), 내구성(耐久性), 내후성(耐朽性), 밀폐성(密閉性), 내습성(耐濕性)등의 비교적 까다로운 조건들이 만족돼야만 상기 귀중한 유형문화재 및 전시/예술품 등을 안전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진열수단들은 상술한 몇가지 주요 조건들을 갖추어 상기 귀중한 물품 등을 보관 전시하고는 있으나, 한정된 진열장의 내부공간 및 진열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함은 물론 진열에 따른 취급상의 어려움과 취급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상기 귀중한 문화재 및 전시/예술품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마련함은 물론 종래의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78864 호(출원번호 제91-3128호/1991.3.8)로 하여 기체의 하방에 하부가이드와 베어링을 가진 레일을 설치하고 상방에는 레일을 설치함과 함께 이들 사이에 상, 하 이동구와 이동로울러를 설치시킨 투시창을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기체의 상부 내측에는 조명유리와 조명등을 각각 설치하고 조명등의 전방에는 개폐 문을 설치토록 구성된 진열장을 개시한 바 있다.
여기서 기체를 선정된 공간에 적정하게 설치한 다음, 투시창의 상/하 이동구를 이용 기체의 측방으로 밀어 개방시킨 다음 진열하기 위한 상품을 진열판 상에 진열한 후 상기 투시창을 다시 닫아 폐쇄시키며 상기 기체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등을 점등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투시창을 선택적으로 좌/우측으로 밀면 투시창의 상/하에 몰드물로 고정된 상/하 이동구가 이들의 상/하에 설치된 레일과 이동로울러 및 베어링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여 열리고 투시창을 닫을 때도 상기와 같은 상태로 열리게 되며 상기 각 이동구는 상/하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게 구비된다.
또한 조명등을 교체 또는 수리시 전면판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 문을 개방하여 상기한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각종 진열장들은
첫째, 투시창 개폐시 인위적인 방법으로 작동되는 수동식이므로 사용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및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전시할 물품이 비교적 부피가 있는 대형인 경우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아 반입 및 진열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결점과,
둘째,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전시될 진열 물품의 변경에 따라 조명의 조도(照度) 및 빛의 확산각도등 조절이 불가함과 동시에 진열 물품의 종류에 따라 그 특징부분이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범위가 포커스 되게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일반 형광등이 이용되고 그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고열이 진열된 물품을 변형, 변질, 변색 등의 해가 끼칠 우려가 있고 잦은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의 보수에 따른 유지 관리성이 떨어짐과,
셋째,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어쩔 수 없이 그에 상응하는 틈새가 발생하므로 미세한 유해분진등의 차단을 확보하지 못한 밀폐의 한계성이 있고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燥濕)수단이 없어 습기에 무방비 상태이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진열장의 벽을 투과 내부로 침투되어 진열된 물품의 부식속도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정된 진열 내부공간 및 전시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투시창의 자동개폐수단과 조명수단과 습도조절수단등이 내설되며, 그 내부에 귀중한 문화재 또는 전시/예술품 등의 전시를 위한 진열작업시 각별한 취급상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보다 세밀한 부분까지 안전하게 취급되어 효율적인 진열작업이 이루어져 진열시 취급 부주의 및 보관상에 의한 훼손 발생률을 극소화시켜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에 표시된 C - C선 단면도,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
도 8은 도 1에 표시된 D - D선 단면도,
도 9는 도 1에 표시된 E - E선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표시된 F - F선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표시된 G - G선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표시된 H - H선 단면도,
도 13은 도 1에 표시된 I - I선 단면도,
도 14는 도 1에 표시된 J - J선 단면도,
도 15는 도 1에 표시된 K - K선 단면도,
도 16a, b 및 도 17a, b는 본 발명 진열장의 전/후진구동장치에 의해 좌/우측 투시창이 전/후진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
도 18a, b는 본 발명 진열장의 전/후진구동장치에 의해 하부이동레일이 폐쇄된 평상시에서 개방을 위해 전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개략 평면도,
도 19a, b, c는 본 발명 투윈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 진열장 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
도 21은 본 발명 진열장의 상단 내부에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부쪽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 진열장의 하단 내부에 조습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하부쪽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23a, b,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글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평면도,
도 24a, b,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열몸체부 101 : 싱글 글라스 진열장
102 : 투윈 글라스 진열장 103 : 다중 글라스 진열장
110 : 기본골격 프레임 120 : 막이판재
130 : 진열공간 140 : 수평격판
150 : 진열판 160(160A):상/하부보조가이드부
161 : 이동제한링 162 : 부시베어링
200 : 투시창 210 : 상단고정프레임
211 : 상부로울러 220 : 하단고정프레임
221 : 이탈방지홈 222 : 랙
230(230A):창틈패킹부 231(231A):맞물림돌조
300 : 전/후진구동장치 310(310A):상부작동부
311 : 메인브라켓트 312(312A):상부구동체
313A(313B):레일왕복작동체 315(336):스크류 샤프트
316(337):종동기어 317(338):DC모터
318(339):구동기어 319 : 가이드축
321 : 이동가이드체 322 : 이동체
323 : 스토퍼돌기 324 : 고정레일
325(337):스크류 너트 330(330A):하부작동부
331(331A):푸시로드블록 332(332A):가이드블록
333 : 하부이동레일 334(334A):하부구동체
335 : 전진푸싱돌기 336 : 후진푸싱돌기
338 : 베이스 플레이트 339 : 레일안착구
341 : 지지대 342 : 하부로울러
343(422):베어링볼 344 : 선단스토퍼
345 : 후단스토퍼 350 : 외장부재
351 : 커버패널 352 : 걸침목
353 : 밀착패킹 354 : 걸침목받침구
400 : 좌/우구동장치 410 : 센터푸시로드블록
411 : 베어링하우징 412 : 이탈방지돌조
413 : 베어링 420 : 센터베어스부
421 : 베어링이동홈 430 : 이송구동부
431 : 피니언 432 : 센터종동기어
433 : 센터DC모터 434 : 센터구동기어
435 : 드라이브 샤프트 500 : 기밀유지부재
510 : 고정지지대 511 : 체결홈
520 : 웨더 스트립 521 : 결합돌기
522 : 밀착돌조 530 : 조절체결구
600 : 조명장치 610 : 조광기
620 : 조절기 630 : 광원분배기
631 : 광섬유케이블 640 : 광조명구
641 : 광섬유줌램프 642 : 광섬유각도조절램프
643 : 무자외선형광램프 S : 조절스위치
700 : 조습장치 710 : 수납케이스
720 : 연결덕트 730 : 방습재
800 : 브라켓트 900 : 캐스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시될 장소의 환경에 따른 최적의 형상, 구조, 기능, 크기 등에 알맞게 설정된 길이, 폭, 높이 및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절곡되어 상호 연결된 기본골격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이 노출됨이 차단되게 전면을 제외한 모든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다수의 막이판재가 형성되어 내부 중앙에 소정의 진열공간이 구비된 진열몸체부와, 상기 진열몸체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 전면의 개방구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대응되게 이루어진 투시창과, 상기 진열몸체부의 전면쪽 상/하부 중앙 또는 양측 내부의 대응 위치에 상/하작동부가 각각 고정되어 소정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투시창을 전/후방으로 설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진구동수단과, 상기 진열몸체부 내부의 전면쪽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의 하단부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투시창을 좌/우측 방향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작동되게 형성된 좌/우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을 제공한다.
여기서 진열몸체부는 내부의 공간이 상, 중, 하로 각각 나누어져 구분되게 상부에 다단 절곡된 다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조합된 수평격판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전시품 등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진열판이 형성되며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열몸체부는 진열공간 개방구의 외주연부를 따라 전체에 기밀유지부재이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에 의해 커버링되고, 그 내측면과 상호 밀착되어 상기 진열공간의 개방구가 효율적으로 차단 밀폐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유지부재은 양측단에 소정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일측 체결홈에 일단이 스냅 결합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은 내부가 중공된 밀착돌조가 돌출 형성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과, 상기 고정지지대의 타측 체결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열몸체부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식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대가 전/후 이동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체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격판은 설정된 위치에 빛이 균등하게 분산되게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루버(louver) 또는 프로스트 글라스(frost glass) 또는 자외선 및 유해광선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코팅 글라스 등을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진열몸체부의 상부의 공간에는 조명기구 설치 및 유지관리, 수리 등의 작업이 편리하게 전면 또는 상단면 일부가 개폐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 내에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 포커스 등이 선택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조명수단은 전원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되고 선택에 따라 입력된 조도 등이 콘트롤되어 조정된 광원이 출력되게 형성된 조광기와, 상기 조광기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신호가 전달되어 조정되게 형성된 조절기와, 상기 조광기에서 출력된 광원이 입력되고 입력된 광원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다수개의 광섬유케이블을 통해 다중 출력되게 형성된 광원분배기와, 상기 광원분배기에서 출력된 광원이 광섬유케이블을 따라 소정의 광원이 설정조도 및 각도, 범위 등으로 빛이 분산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 상단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광조명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광기는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콘트롤되게 온(ON), 오프(OFF)작동되게 전원스위치(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조명구는 상기 진열몸체부의 진열공간 내에 위치된 유물의 특징이 효율적으로 부각되도록 주요부분이 줌조절되어 포커스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광섬유줌램프가 내설되어 있다.
또한 광조명구는 빛이 설정범위에 분산되게 이루어져 전/후, 좌/우 및 회동되게 형성되어 상기 진열몸체부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각도조절광램프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조광기와 상호 연결되어 조도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의 내부전체가 균등하게 빛이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무자외선형광램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진열몸체부 상부 수납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열몸체부는 내부에 잔류중인 공기 및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설정된 습도에 맞게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수납공간 내에 조습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습수단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공간이 확보되고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밀폐 가능한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부면에 하부 일면이 관통되게 상호 연결되고 상부 일면이 상기 진열몸체부의 진열공간에 유입 외기 및 잔류 공기의 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는 위치에 고정 형성된 연결덕트와,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 투입되어 설정된 습도에 맞게 습기가 제거되도록 수용된 방습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조습수단은 자연적으로 순환되어 유입되거나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방습재가 내장된 수납케이스 내에 유입되어 습기가 제거되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은 비교적 충격에 대한 대응력 및 투명도가 뛰어난 방호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강화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부 전체에 각각 상/하단고정프레임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쪽 상단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정된 간격으로 상부로울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쪽 하단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는 이탈방지홈 및 랙(rack)이 동일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은 한 쌍의 투시창들이 상호 맞대응되어 접촉되는 각각의 일측면에 제작상의 치수공차에 의해 발생된 일정한 틈새가 커버링되어 밀폐되게 각각의 일단에 맞물림돌조가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한 쌍의 창틈패킹부가 부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진열몸체부는 전면을 제외한 양측 및 배면이 전시장의 콘크리트 내벽에 직접 또는 별도의 브라켓트등을 사용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안착 고정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진열몸체부의 하부 외측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한 쌍의 캐스터(caster)가 형성되어 전시장의 환경에 따른 자유로운 이동 및 배치 등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진열몸체부의 막이판재는 두께가 콤팩트하게 얇고 가벼우면서 단열 및 차음성, 무흡수/무전도성, 무수축성, 내후성, 불연성 등이 뛰어남과 동시에 고강도 및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고 제작/시공성이 편리한 판재로, 알칼리에 상대적으로 강한 알루미늄 박판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판재가 상호 적층후 압착되어 내알칼화된 단일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후진구동수단의 상부작동부는 다단 절곡되어 중간 상부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고 후면 하단에 상기 기밀유지부재가 구비된 메인브라켓트와, 상기 메인브라켓트의 전/후 설정면에 스크류 샤프트의 선/후단이 각각 간섭됨이 없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고, 그 선단에 종동기어가 취부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정역회동되게 DC모터의 동력이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되도록 구동기어가 상호 치합된 상부구동체와, 상기 메인브라켓트의 전/후면에 스크류 샤프트의 설치위치과 동일 수평선상의 양측에 설정간격을 두고 가이드축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왕복되고 전/후단부 내측에 스토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단고정프레임의 상부로울러가 수용되어 안내 및 이탈 방지되게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레일이 취부된 이동가이드체가 상호 결합되고, 그 중앙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체와 함께 전/후 왕복되게 스크류 너트가 구비된 이동체가 상호 연결된 레일왕복작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하부작동부는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전/후진푸싱돌기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 스크류 너트가 형성된 푸시로드블록과, 상기 푸시로드블록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게 대응되는 중앙면에 다수개의 베어링볼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볼이 수용된 중간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의 레일안착구가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면이 별도의 지지대에 안착되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다단 절곡된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설정된 형상을 이루며 상부면에 일정높이 상향 돌출되고 설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대칭되게 다수개의 하부로울러가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로드블록 및 레일안착구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 왕복되게 형성된 좌우측 하부이동레일과, 상기 푸시로드블록의 스크류 너트에 회동되게 끼워져 선단이 상기 가이드블록의 지지대 일면에 간섭됨이 없이 상호 결합되어 지지되고 후단에 종동기어가 취부된 스크류 샤프트가 상기 종동기어에 동력이 전달되게 DC모터의 구동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DC모터에 의해 정역회동되도록 각각 구비된 하부구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안착구는 설정간격을 두고 선/후단이 각각 상부로 동일높이 직각 절곡 연장되어 선/후단스토퍼가 형성되며 중간부분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이 전/후 왕복시, 그 이동범위가 제한 단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블록은 선단부에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져 설정각도에 따라 절곡되고 상단부에 밀착패킹이 취부되며 하단부 내측면이 체결 고정된 커버패널이 취부되며 관람객의 접근 제한 및 받침대로 이용되게 이루어진 걸침목이 지지 고정되게, 그 하부면에 걸침목받침구의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푸시로드블록의 선단, 즉 전진푸싱돌기 전방 상부면에 안착 고정된 외장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구동수단은 선단이 상기 커버패널의 내측 하연부에 결합되게 형성되고 후단 상부면에 베어링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 및 중간 상부면에 이탈방지돌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이 견고히 안착 지지되게 형성된 센터푸시로드블록과,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왕복되게, 그 대응 중앙면에 베어링이동홈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베어링볼이 수용되며 하부면이 상기 지지대 상부면에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센터베어스부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베어링에 끼워진 드라이브 샤프트의 선단부에 피니언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센터종동기어가 취부되며 센터DC모터의 동력이 상기 센터종동기어에 전달되도록 센터구동기어와 상호 치합되어 형성된 좌우측 이송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송구동부의 피니언은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의 하부로울러에 안착되어 상기 투시창이 좌우측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그 하단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 형성된 랙과 상호 치합되어 회동력이 횡측방향의 직선으로 좌우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좌/우측구동수단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상/하작동부가 함께 작동시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이 설정거리 함께 전후진되도록 대응되게 이동되어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의 상호 마주치는 양단 및 전체가 동일선상에 놓여지도록 작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이 전/후진 왕복 이동시 외장부재의 커버패널 및 걸침목이 설정범위내에서 동시에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열몸체부는 투시창의 자체 중량에 의한 하중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의 상/하작동부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작동부들 사이에 상기 상/하부구동체 및 스크류 너트가 취부된 이동체가 생략 제외된 단순 구조의 상/하부로 이루어진 한쌍 또는 다수개의 상/하부보조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투시창의 전/후진을 위한 개폐시 균등하게 하중이 분산되어 편중됨이 없이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투시창이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보조가이드부는 상부작동부들과 동일선상의 위치에서 별도의 메인브라켓트 내측면에 선후단이 각각 고정된 단일의 가이드축과, 중심이 관통되고 한 쌍의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게 이루어진 부시베어링이 내설되며 외측 하단면에 한 쌍의 고정레일이 취부되어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전/후진되게 형성된 이동가이드체와, 상기 이동가이드체의 전/후진 이동범위를 단속하는 한 쌍의 이동제한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열장은 단전(斷電)사고시 또는 전력공급에 이상 발생 등에 대비한 비상전력 작동 전에 내장된 예비 배터리 또는 이동식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 가능하게 형성하여 정전 등에 의한 상기 조명수단의 점소등 및 전/후진구동수단, 좌/우구동수단에 따른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 작동 및 조명수단 작동 등이 가능하므로 취급은 물론 안전사고 방지 및 계속적인 진열작업이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먼저, 전자동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튼 조작에 의해 투시창이 전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리함과 손쉬운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전시할 유물등 비교적 큰 것도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수납 및 진열작업의 보다 간단히 손쉽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상승되며, 또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전시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특징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의 포커스 범위 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량이 극미한 광조명장치를 채택 구비하여 고열 등에 의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변형, 변질, 변색 등의 유해원인을 미연에 방지되어 진열 및 전시의 효율성과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에 따른 보수작업성 및 그에 따른 유지 관리성등이 향상된다.
또한,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는 물론 기밀부재등을 이용하여 투시창과 진열몸체부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 각 틈새 등을 통해 미세한 유해분진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밀폐성이 향상되고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내알칼화된 진열장의 막이판재에 의해 내부로 침투됨이 차단되어 진열품의 부식 및 변질됨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3, 도 5, 및 도 6, 도 8부터 도 15까지는 도 1에 표시된 A - A선 부터 K - K선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 - a선 단면도 및 도 7은 도 6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6a, b 및 도 17a, b는 본 발명 진열장의 전/후진구동장치에 의해 좌/우측 투시창이 전/후진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들이고, 도 18a, b는 본 발명 진열장의 전/후진구동장치에 의해 하부이동레일이 폐쇄된 평상시에서 개방을 위해 전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개략 평면도이며, 도 19a, b, c는 본 발명 투윈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 진열장 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 진열장의 상단 내부에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부쪽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 진열장의 하단 내부에 조습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하부쪽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23a, b,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글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24a, b,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글라스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폐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시될 장소의 환경에 따른 최적의 형상, 구조, 기능, 크기 등에 알맞게 설정된 길이, 폭, 높이 및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절곡되어 상호 연결된 기본골격 프레임(110)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이 노출됨이 차단되게 전면을 제외한 모든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에 고정 가능한 다수의 막이판재(120)가 형성되어 내부 중앙에 소정의 진열공간(130)이 구비된 진열몸체부(100)와, 상기 진열몸체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130) 전면의 개방구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대응되게 이루어진 투시창(200)과,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전면쪽 상/하부 중앙 또는 양측 내부의 대응 위치에 상/하작동부(310,330)가 각각 고정되어 소정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투시창(200)을 전/후방으로 설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진구동장치(300)와,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부의 전면쪽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200)의 하단부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투시창(200)을 좌/우측 방향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작동되게 형성된 좌/우구동장치(40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진열몸체부(100)는 내부의 공간이 상, 중, 하로 각각 나누어져 구분되게 상부에 다단 절곡된 다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조합된 수평격판(14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전시품 등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진열판(150)이 형성되며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130)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진열공간(130) 개방구의 외주연부를 따라 전체에 기밀유지부재(500)가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200)에 의해 커버링되고, 그 내측면과 상호 밀착되어 상기 진열공간(130)의 개방구가 효율적으로 차단 밀폐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유지부재(500)는 양측단에 소정의 체결홈(511)이 각각 형성된 고정지지대(510)와, 상기 고정지지대(510)의 일측 체결홈(511)에 일단이 스냅 결합되게 결합돌기(521)가 형성되고 타단은 내부가 중공된 밀착돌조(522)가 돌출 형성된 웨더 스트립(520)과, 상기 고정지지대(510)의 타측 체결홈(51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식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대(510)가 전/후 이동 조정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체결구(5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격판(140)의 중간 일부분에는 빛이 균등하게 분산되게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루버 또는 프로스트 글라스 또는 자외선 및 유해광선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칼라코팅 글라스 등의 광원균등분산부재(141)가 형성된다.
또한 진열몸체부(100)의 상부의 공간에는 조명기구 설치 및 유지관리, 수리 등의 작업이 편리하게 전면 또는 상단면 일부가 개폐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130) 내에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 포커스 등이 선택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조명장치(6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조명장치(600)는 전원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되고 선택에 따라 입력된 조도 등이 콘트롤되어 조정된 광원이 출력되게 형성된 조광기(610)와, 상기 조광기(610)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신호가 전달되어 조정되게 형성된 조절기(620)와, 상기 조광기(610)에서 출력된 광원이 입력되고 입력된 광원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다수개의 광섬유케이블(631)을 통해 다중 출력되게 형성된 광원분배기(630)와, 상기 광원분배기(630)에서 출력된 광원이 광섬유케이블(631)을 따라 소정의 광원이 설정조도 및 각도, 범위 등으로 빛이 분산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100) 상단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광조명구(6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광기(610)는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콘트롤되게 온(ON), 오프(OFF)작동되게 전원스위치(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조명구(640)는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 내에 위치된 유물의 특징이 효율적으로 부각되도록 주요부분이 줌조절되어 포커스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광섬유줌램프(641)가 내설되어 있다.
또한 광조명구(640)는 빛이 설정범위에 분산되게 이루어져 전/후, 좌/우 및 회동되게 형성되어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각도조절광램프(642)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진열몸체부(100) 상부의 수납공간 내에는 조광기(610)와 상호 연결되어 조도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130)의 내부전체가 균등하게 빛이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무자외선형광램프(643)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내부에 잔류중인 공기 및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설정된 습도에 맞게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수납공간 내에 조습장치(7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습장치(7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공간이 확보되고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밀폐 가능한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수납케이스(710)와,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상부면에 하부 일면이 관통되어 상호 연결되고 상부 일면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에 유입 외기 및 잔류 공기의 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는 위치에 고정 형성된 연결덕트(720)와, 상기 수납케이스(710) 내부에 투입되어 설정된 습도에 맞게 습기가 제거되도록 수용된 방습재(7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조습장치(700)는 자연적으로 순환되어 유입되어 제거되거나,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방습재(730)가 내장된 수납케이스(710) 내에 유입되어 습기가 제거되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200)은 비교적 충격에 대한 대응력 및 투명도가 뛰어난 방호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강화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부 전체에 각각 상/하단고정프레임(210,220)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쪽 상단고정프레(210)임의 상단에 설정된 간격으로 상부로울러(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쪽 하단고정프레임(220)의 하단면에는 이탈방지홈(221) 및 랙(222)이 동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200)은 한 쌍의 투시창(200)들이 상호 맞대응되어 접촉되는 각각의 일측면에 제작상의 치수공차에 의해 발생된 일정한 틈새가 커버링되어 밀폐되게 각각의 일단에 맞물림돌조(231,231A)가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한 쌍의 창틈패킹부(230,230A)가 각각 부착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진열몸체부(100)는 전면을 제외한 양측 및 배면이 전시장의 내벽에 직접 또는 별도의 브라켓트(800)등을 사용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안착 고정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진열몸체부(100)의 하부 외측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한 쌍의 캐스터(900)가 형성되어 전시장의 환경에 따른 자유로운 이동 및 배치 등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진열몸체부(100)의 막이판재(120)는 두께가 콤팩트하게 얇고 가벼우면서 단열 및 차음성, 무흡수/무전도성, 무수축성, 내후성, 불연성 등이 뛰어남과 동시에 고강도 및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고 제작/시공성이 편리한 판재로, 알칼리에 상대적으로 강한 알루미늄 박판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판재가 상호 적층후 압착되어 내알칼화된 단일의 판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측면 전체에 알루미늄 박판을 도포 하여 내알칼리화된 판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상부작동부(310,310A)는 다단 절곡되어 중간 상부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에 체결 고정되고 후면 하단에 기밀유지부재(500)가 구비된 메인브라켓트(311)와, 상기 메인브라켓트(311)의 전/후 설정면에 스크류 샤프트(315)의 선/후단이 각각 간섭됨이 없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고, 그 선단에 종동기어(316)가 취부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가 정역회동되게 DC모터(317)의 동력이 상기 종동기어(316)에 전달되도록 구동기어(318)가 상호 치합된 상부구동체(312,312A)와, 상기 메인브라켓트(311)의 전/후면에 스크류 샤프트(315)의 설치위치과 동일 수평선상의 양측에 설정간격을 두고 가이드축(319)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축(319)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왕복되고 전/후단부 내측에 스토퍼돌기(323)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단고정프레임(210)의 상부로울러(211)가 수용되어 안내 및 이탈 방지되게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레일(324)이 취부된 이동가이드체(321)가 상호 결합되고, 그 중앙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체(321)와 함께 전/후 왕복되게 스크류 너트(325)가 구비된 이동체(322)가 상호 연결된 레일왕복작동체(313,313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하부작동부(330)는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전/후진푸싱돌기(335,336)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 스크류 너트(337)가 형성된 푸시로드블록(331,331A)과,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게 대응되는 중앙면에 다수개의 베어링볼(343)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338)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볼(343)이 수용된 중간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의 레일안착구(339)가 베이스 플레이트(338)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38)의 하부면이 별도의 지지대(341)에 안착되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가이드블록(332,332A)과, 다단 절곡된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설정된 형상을 이루며 상부면에 일정높이 상향 돌출되고 설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대칭되게 다수개의 하부로울러(342)가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 및 레일안착구(339)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 왕복되게 형성된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과,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의 스크류 너트(337)에 회동되게 끼워져 선단이 상기 가이드블록(332,332A)의 지지대(341) 일면에 간섭됨이 없이 상호 결합되어 지지되고 후단에 종동기어(347)가 취부된 스크류 샤프트(346)가 상기 종동기어(347)에 동력이 전달되게 DC모터(348)의 구동기어(349)가 상호 치합되어 DC모터(348)에 의해 정역회동되도록 각각 구비된 하부구동체(334,334A)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안착구(339)는 설정간격을 두고 선/후단이 각각 상측으로 동일높이 직각 절곡 연장되어 선/후단스토퍼(344,345)가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분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이 전/후 왕복시, 그 이동범위가 제한 단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은 선단부에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져 설정각도에 따라 절곡되고 상단부에 밀착패킹(353)이 취부되며 하단부 내측면이 체결 고정된 커버패널(351)이 취부되며 관람객의 접근 제한 및 받침대로 이용되게 이루어진 걸침목(352)이 지지 고정되게, 그 하부면에 걸침목받침구(354)의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의 선단, 즉 전진푸싱돌기(335) 전방 상부면에 외장부재(350)가 안착 고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좌/우구동장치(400)는 선단이 상기 커버패널(351)의 내측 하연부에 결합되게 형성되고 후단 상부면에 베어링(413)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411) 및 중간 상부면에 이탈방지돌조(412)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이 견고히 안착 지지되게 형성된 센터푸시로드블록(410)과,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410)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왕복되게, 그 대응 중앙면에 베어링이동홈(42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베어링볼(422)이 수용되며 하부면이 상기 지지대(341) 상부면에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센터베어스부(420)와, 상기 베어링하우징(411)의 베어링(413)에 끼워진 드라이브 샤프트(435)의 선단부에 피니언(43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센터종동기어(432)가 취부되며 센터DC모터(433)의 동력이 상기 센터종동기어(432)에 전달되도록 센터구동기어(434)와 상호 치합되어 형성된 좌우측 이송구동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송구동부(430)의 피니언(431)은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의 하부로울러(342)에 안착되어 상기 투시창(200)이 좌우측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그 하단고정프레임(220) 하단면에 형성된 랙(222)이 상호 치합되어 회동력이 횡측방향의 직선으로 좌우 왕복 작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좌/우측구동장치(400)는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들이 동시 작동시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410)이 설정거리 함께 전후진되도록 대응되게 이동되어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의 상호 마주치는 양단 및 전체가 동일선상에 놓여지도록 작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410)이 전/후진 왕복 이동시 외장부재(350)의 커버패널(351) 및 걸침목(352)이 설정범위내에서 동시에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진열몸체부(100)는 투시창(20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하중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들 사이에 상/하부구동체(312,312A/334,334A) 및 스크류 너트(325)가 취부된 이동체(322)가 생략 제외된 단순구조의 상/하부로 이루어진 한쌍 또는 다수개의 상/하부보조가이드부(160,160A)가 구비되어 상기 투시창(200)이 개폐를 위한 전/후진시 무게중심이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보조가이드부(160,160A)는 상부작동부(310,310A)들과 동일선상의 위치에서 별도의 메인브라켓트(311)의 내측면에 선후단이 각각 고정된 단일의 가이드축(319)과, 중심이 관통되고 한 쌍의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게 이루어진 부시베어링(162)이 내설되며 외측 하단면에 한 쌍의 고정레일(324)이 취부되어 상기 가이드축(319)을 따라 전/후진되게 형성된 이동가이드체(321)와, 상기 이동가이드체(321)의 전/후진 이동범위를 단속하는 한 쌍의 이동제한링(1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열장은 단전사고시 또는 전력공급에 이상 발생 등에 대비한 비상전력 작동 전에 내장된 예비 배터리 또는 이동식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 가능하게 형성하여 정전 등에 의한 상기 조명장치(600)의 점소등 및 전/후진구동장치(300), 좌/우구동장치(400)에 따른 투시창(200)의 원활한 개폐 작동이 가능하므로 진열작업 및 취급은 물론 안전사고 방지 및 계속적인 관람이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진열장은 단일 투시창(200)이 전/후 이동 후 좌/우측 방향으로 선택적인 자동 개폐되도록 형성된 싱글 글라스 진열장(101) 또는 동일한 한 쌍의 투시창(200)이 동시에 전/후진 작동 후 선택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투시창(200)중 어느 하나만 또는 함께 좌/우측 이동되도록 자동 개폐되어 개방범위가 확대되게 형성된 투윈 글라스 진열장(102)의 기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단일의 투시창(200)이 2개이상 다수개의 투시창(200)이 함께 전/후진 이동 후 선택에 따라 그중 어느 하나의 투시창(200)이 단독 작동 내지 또 다른 하나도 함께 동시 작동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투시창(200)이 전/후진된 후 좌/우측으로 자동 개폐되도록 형성된 다중(多衆) 글라스 진열장(103)이 전시장소 및 배치 또는 진열될 전시품, 유물 등의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선택적인 투시창(200)의 개폐 및 진열공간(130)을 조정하여 그에 알맞은 구조와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9c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개폐 작동된다.
먼저, 기본적인 투윈 글라스 진열장(102)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진열공간(130) 내에 전시품 또는 유물 등을 진열하기 위한 투시창(200) 개방시, 먼저 별도 설치된 콘트롤 박스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콘 콘트롤 시스템의 버튼 조작에 의한 투시창(200) 전진 작동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상/하부작동부(310,310A/330,330A)에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고, 이에 상/하부구동체(312,312A/334,334A)의 DC모터(317,348)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호 치합된 구동기어(318,349)의 회전력이 종동기어(316,347)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315,346)가 회동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346)의 회동력이 전달되게 상호 연결된 스크류 너트(325,337)가 각각 구비된 상기 레일왕복작동체(313,313A)의 이동체(322) 및 푸시로드블록(331,331A)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346) 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설정된 중간 이동거리까지 전진되고, 이때 외장부재(350)의 커버패널(351) 및 걸침목(352)이 먼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이동체(322) 및 푸시로드블록(331,331A) 전진푸싱돌기(335)의 각 선단이 이동가이드체(321)의 스토퍼돌기(323) 및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의 후방면에 각각 접촉된 후 계속적으로 최종 설정거리까지 함께 이동되므로, 상기 고정레일(324) 및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이 함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투시창(200)이 최종 설정거리까지 완전 이동된 다음 상기 상/하부구동체(312,312A/334,334A)의 각 DC모터(317,348)가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은 첨부된 도면의 도 16a 내지 도 18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작동 전에는 좌/우측 투시창(200)의 상호 대응되는 각각의 일측면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동일선상의 위치에 놓여 있다가 상기 투시창(200) 개방에 따른 작동이 시작된 후 최종 설정거리까지 이동 완료되면, 상기 좌우측 투시창(200)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되고,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중 어느 하나의 투시창(200)은 정지된 상태에서 또 다른 나머지 하나의 투시창(200)이 정지된 투시창(2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어 겹쳐지도록 엇갈리게 위치된다. 이때 좌/우구동장치(400)도 함께 전방으로 동일하게 이동되어 위치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작동이 완료된 다음 상기 좌/우구동장치(400)는 먼저, 전방으로 이동된 좌우측 투시창(200)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 좌/우측 이송구동부(430)의 개방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센터DC모터(433)가 정회전 작동되고, 이에 상호 치합된 센터구동기어(434) 및 센터종동기어(432)가 회동되고, 그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435)도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200) 하단연부에 취부된 하단고정프레임(220)의 랙(222)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435)의 선단에 구비된 피니언(431)의 회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투시창(200)을 설정된 이송거리까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투시창(200)을 완전하게 개방시킨 후 진열할 전시품 또는 유물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열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소정의 진열작업등이 완료되면 개방되어 있는 상기 진열장의 투시창(200)을 원위치로 폐쇠작동시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9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시창(200)의 개방 작동순서에 대응되는 역순으로, 먼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선택 개방된 투시창(200)을 상기 이송구동부(430)의 임의 폐쇄스위치를 누르면 센터DC모터(433)가 역회전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호 치합된 센터구동기어(434) 및 센터종동기어(432), 드라이브 샤프트(435) 및 피니언(431)까지 모두 역회전 작동되므로, 상기 투시창(200)의 하단고정프레임(220)에 형성된 랙(222)과 상기 피니언(435)이 상호 치합된 상태이므로, 이런 피니언(435)의 회동력이 상기 랙(222)에 원활하게 전달되고, 이에 개방된 투시창(200)이 개방되기 전의 위치까지 자연스럽게 이동되며 겹처져 있던 상기 좌우측 투시창(200)의 일측면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동일선상 아닌 비교적 나란한 상태의 위치에 놓여진 후 횡측방향의 이동이 수행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센터DC모터(433)에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좌/우구동장치(400)의 이송구동부(430)가 자동 정지되어 수행 완료된다.
상기 좌/우구동장치(400)가 수행 완료된 후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후진 작동스위치를 누르면 상/하부작동부(310,310A/330,330A)의 DC모터(317,348)가 작동되고, 이에 구동기어(318,349) 및 종동기어(316,347), 스크류 샤프트(315,346) 모두가 역회전되므로, 전진된 상태의 좌우측 투시창(200)이 함께 전진되기 전의 원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후진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투시창(200)의 내측 연부면 전체가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 개구 연부에 형성된 웨더 스트립(520)의 밀착돌조(522)에 상호 밀착된 후 상기 외장부재(350)의 커버패널(351) 및 걸침목(352)이 원상태의 위치에 놓여지고, 이를 감지하여 역회동중인 상기 DC모터(317,348)에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상/하부작동부(310,310A/330,330A)가 자동 정지되어 후진작동의 수행이 완료되어 상기 투시창(200)이 진열몸체부(100)의 전면에 긴밀하게 밀착 폐쇄된다.
한편, 상기한 싱글 글라스 진열장(101) 및 다중 글라스 진열장(103)의 투시창(200)의 개폐 작동은 참고도면 도 23a 내지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윈 글라스 진열장(102)의 작동순서에서 준하며, 그 범위 내에서 해당 구조에 알맞게 이루어지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싱글 글라스 진열장(101)은 투시창(200) 개방시는 먼저, 상기 투윈 글라스 진열장(102)의 투시창(200)들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순서에 준하여 동일하게 작동된 후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전방이 개구된 진열공간(130)의 입구범위내에서 그 절반 내지 2/3, 4/3정도의 임의 설정범위내에서 상기 좌/우구동장치(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상기 투시창(200)이 개방되게 자동 이동되고 설정치까지 투시창(200) 이동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개방작동이 수행 완료되며, 상기 개방된 투시창(200) 폐쇄시는 상기 개방시의 작동순서에 준한 역순에 따라 투시창(200)이 상기 좌/우구동장치(400) 및 전/후진구동장치(300)의 순차적인 역작동에 의해 개방된 투시창(200)이 횡측이동 후 후진 작동되어 진열몸체부(100)의 전면에 원상태로 이동되어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다중 글라스 진열장(103)의 투시창(200) 개폐시는 먼저, 상기 투윈 글라스 진열장(102)의 투시창(200)들이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순서에 준하여 동일하게 작동된다. 이때 개방을 위하여 1차적으로 전진되어 위치된 상태에 있는 다수개의 투시창(200)들이 전진된 이동거리가 횡측으로 상호 겹쳐지도록 짝홀수로 나누어져 짝수 투시창(200) 또는 홀수 투시창(200)중 어느 한쪽이 조금 더 전진되고 선택에 따른 투시창(200)이 좌우측 횡이동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전/후진 작동된 다음 상기 좌/우구동장치(400)에 의해 전진된 투시창(200)이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며 소정의 진열작업이 완료되면 개방된 상기 투시창(200)을 개방작동순서의 역순서에 따라 순차적인 역작동으로 원위치 상태로 이동된 투시창(200)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완전 커버링되도록 폐쇄 작동된다.
따라서 진열공간(130)의 사이즈에 따라 진열장(101,102,103)의 크기 및 설치되는 투시창(200)의 갯수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투시창(200)의 작동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상기 전/후진구동장치(300) 및 좌/우구동장치(400)에 의해 투시창(200)이 전/후진 및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개폐됨은 동일한 작동시스템에 의해 투시창(200)이 자동 개폐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전자동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튼 조작에 의해 투시창이 전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리함과 손쉬운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전시할 유물등 비교적 큰 것도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수납 및 진열작업의 보다 간단히 손쉽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상승되며, 또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전시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특징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의 포커스 범위 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량이 극미한 광조명장치가 구비되어 고열 등에 의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변형, 변질, 변색 등의 유해원인을 미연에 방지되어 진열 및 전시의 효율성과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에 따른 보수작업성 및 그에 따른 유지 관리성등이 향상된다.
또한,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는 물론 기밀부재등을 이용하여 투시창과 진열몸체부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 각 틈새 등을 통해 미세한 유해분진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밀폐성이 향상되고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내알칼화된 진열장의 막이판재에 의해 내부로 침투됨이 차단되어 진열품의 부식 및 변질됨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전시될 장소의 환경에 따른 최적의 형상, 구조, 기능, 크기 등에 알맞게 설정된 길이, 폭, 높이 및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절곡되어 상호 연결된 기본골격 프레임(110)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이 노출됨이 차단되게 전면을 제외한 모든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에 고정 가능한 다수의 막이판재(120)가 형성되어 내부 중앙에 소정의 진열공간(130)이 구비된 진열몸체부(100)와;
    상기 진열몸체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130) 전면의 개방구 전체가 커버링되도록 대응되게 이루어진 투시창(200)과;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전면쪽 상/하부 중앙 또는 양측 내부의 대응 위치에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가 각각 고정되어 소정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투시창(200)을 전/후방으로 설정범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진구동수단과;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부의 전면쪽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200)의 하단부에 상호 연결되어 구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투시창(200)을 좌/우측 방향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작동되게 형성된 좌/우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내부 수납공간이 상, 중, 하로 각각 나누어져 구분되게 상부에 다단 절곡된 다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조합된 수평격판(14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전시될 유물 등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진열판(150)이 형성되며 중앙 내부의 진열공간(130)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진열공간(130) 개방구의 외주연부를 따라 전체에 기밀유지부재(500)가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200)에 의해 커버링되고, 그 내측면과 상호 밀착되어 상기 진열공간(130)의 개방구가 효율적으로 차단 밀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부재(500)는 양측단에 소정의 체결홈(511)이 각각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고정지지대(510)와,
    상기 고정지지대(510)의 일측 체결홈(511)에 일단이 스냅 결합되게 결합돌기(521)가 형성되고 타단은 내부가 중공된 밀착돌조(522)가 돌출 형성된 웨더 스트립(520)과,
    상기 고정지지대(510)의 타측 체결홈(51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대(510)가 전/후 이동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된 조절체결구(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격판(140)은 설정된 위치에 빛이 균등하게 분산되게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루버 또는 프로스트 글라스 또는 자외선 및 유해광선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칼라코팅 글라스 등의 광원균등분산부재(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상부의 공간에는 조명기구 설치 및 유지관리, 수리 등의 작업이 편리하게 전면 또는 상단면 일부가 개폐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130) 내에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 포커스 등이 선택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전원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되고 선택에 따라 입력된 조도 등이 콘트롤되어 조정된 광원이 출력되게 형성된 조광기(610)와,
    상기 조광기(610)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신호가 전달되어 조정되게 형성된 조절기(620)와,
    상기 조광기(610)에서 출력된 광원이 입력되고 입력된 광원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다수개의 광섬유케이블(631)을 통해 다중 출력되게 형성된 광원분배기(630)와,
    상기 광원분배기(630)에서 출력된 광원이 광섬유케이블(631)을 따라 소정의 광원이 설정조도 및 각도, 범위 등으로 빛이 분산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100) 상단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광조명구(6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610)는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콘트롤되게 온(ON), 오프(OFF)작동되게 별도의 전원스위치(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명구(640)는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 내에 위치된 유물의 특징이 효율적으로 부각되도록 주요부분이 줌조절되어 포커스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광섬유줌램프(641)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명구(640)는 빛이 설정범위에 분산되게 이루어져 전/후, 좌/우 및 회동되게 형성되어 상기 진열몸체부(100)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정개수의 각도조절광램프(642)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 상부의 수납공간 내에는 조광기(610)와 상호 연결되어 조도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130)의 내부전체가 균등하게 빛이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무자외선형광램프(643)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내부에 잔류중인 공기 및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설정된 습도에 맞게 선택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수납공간 내에 조습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습수단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공간이 확보되고 일부분이 기밀유지 가능하도록 개폐되게 형성되어 밀폐 가능한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수납케이스(710)와,
    상기 수납케이스(710)의 상부면에 하부 일면이 관통되게 상호 연결되고 상부 일면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에 유입된 외기 및 잔류 공기 내의 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는 위치에 고정 형성된 연결덕트(720)와,
    상기 수납케이스(710) 내부에 투입되어 설정된 습도에 맞게 습기가 제거되도록 수용된 방습재(7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4. 제 12 항 내지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습수단은 자연적으로 순환되어 유입되거나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방습재(730)가 내장된 수납케이스(710) 내에 유입되어 습기가 제거되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200)은 충격에 대한 대응력 및 투명도가 뛰어난 방호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강화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부 전체에 상/하단고정프레임(210,22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상부쪽 상단고정프레임(210)의 상단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상부로울러(211)가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쪽 하단고정프레임(220)의 하단면에는 이탈방지홈(221) 및 랙(222)이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평행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200)은 한 쌍의 투시창(200)들이 상호 맞대응되어 접촉되는 각각의 일측면에 제작상의 치수공차에 의해 발생된 일정한 틈새가 커버링되어 밀폐되게 각각의 일단에 맞물림돌조(231,231A)가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한 쌍의 창틈패킹부(230,230A)가 각각 부착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판재(120)는 두께가 콤팩트하게 얇고 가벼우면서 단열 및 차음성, 무흡수성, 무전도성, 무수축성, 내후성, 불연성 등이 뛰어남과 동시에 고강도 및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고 제작 및 시공성이 편리한 한 쌍의 판재 사이 전체면에 알루미늄 박판을 위치시킨 후 상기 한 쌍의 판재가 상호 적층후 압착되어 내알칼화된 단일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상부작동부(310,310A)는 다단 절곡되어 중간 상부면이 상기 기본골격 프레임(110)에 체결 고정되고 후면 하단에 기밀유지부재(500)가 구비된 메인브라켓트(311)와,
    상기 메인브라켓트(311)의 전/후 설정면에 스크류 샤프트(315)의 선/후단이 각각 간섭됨이 없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고, 그 선단에 종동기어(316)가 취부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가 정역회동되게 DC모터(317)의 동력이 상기 종동기어(316)에 전달되도록 구동기어(318)가 상호 치합된 상부구동체(312, 312A)와,
    상기 메인브라켓트(311)의 전/후면에 스크류 샤프트(315)의 설치위치과 동일 수평선상의 양측에 설정간격을 두고 가이드축(319)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축(319)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왕복되고 전/후단부 내측에 스토퍼돌기(323)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단고정프레임(210)의 상부로울러(211)가 수용되어 안내 및 이탈 방지되게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레일(324)이 취부된 이동가이드체(321)가 상호 결합되고, 그 중앙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31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체(321)와 함께 전/후 왕복되게 스크류 너트(325)가 구비된 이동체(322)가 상호 연결된 레일왕복작동체(313,31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하부작동부(330,330A)는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전/후진푸싱돌기(335,336)가 형성되고 후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 스크류 너트(337)가 형성된 푸시로드블록(331,331A)과,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게 대응되는 중앙면에 다수개의 베어링볼(343)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338)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볼(343)이 수용된 중간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의 레일안착구(339)가 베이스 플레이트(338)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38) 하부면이 별도의 지지대(341)에 안착되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가이드블록(332,332A)과,
    다단 절곡된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설정된 형상을 이루며 상부면에 일정높이 상향 돌출되고 설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대칭되게 다수개의 하부로울러(342)가 소정간격을 두고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 및 레일안착구(339)에 각각 밀착되어 전/후 왕복되게 형성된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과,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의 스크류 너트(337)에 회동되게 끼워져 선단이 상기 가이드블록(332,332A)의 지지대(341) 일면에 간섭됨이 없이 상호 결합되어 지지되고 후단에 종동기어(347)가 취부된 스크류 샤프트(346)가 상기 종동기어(347)에 동력이 전달되게 DC모터(348)의 구동기어(349)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DC모터(348)에 의해 정역회동되도록 각각 구비된 하부구동체(334,334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안착구(339)는 설정간격을 두고 선/후단이 각각 상부로 동일높이 직각 절곡 연장되어 선/후단스토퍼(344,345)가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분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이 전/후 왕복시, 그 이동범위가 제한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블록(331,331A)은 선단부에 한 쌍의 판재가 상호 결합되어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져 설정각도에 따라 절곡되고 상단부에 밀착패킹(353)이 취부되며 하단부 내측면이 체결 고정된 커버패널(351)이 취부되며 관람객의 접근 제한 및 받침대로 이용되게 이루어진 걸침목(352)이 전진푸싱돌기(335) 전방 상부면에 안착 고정된 외장부재(3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구동수단은 선단이 상기 커버패널(351)의 내측 하연부에 결합되게 형성되고 후단 상부면에 베어링(413)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411) 및 중간 상부면에 이탈방지돌조(412)가 각각 상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이 견고히 안착 지지되게 형성된 센터푸시로드블록(410)과,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410)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왕복되게, 그 대응 중앙면에 베어링이동홈(42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베어링볼(422)이 수용되며 하부면이 상기 지지대(341) 상부면에 취부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센터베어스부(420)와,
    상기 베어링하우징(411)의 베어링(413)에 끼워진 드라이브 샤프트(435)의 선단부에 피니언(43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센터종동기어(432)가 취부되며 센터DC모터(433)의 동력이 상기 센터종동기어(432)에 전달되도록 센터구동기어(434)와 상호 치합되어 형성된 좌우측 이송구동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동부(430)의 피니언(431)은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의 하부로울러(342)에 안착되어 상기 투시창(200)이 좌우측으로 선택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그 하단고정프레임(220) 하단면에 형성된 랙(222)이 상호 치합되어 회동력이 횡측방향의 직선으로 좌우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구동수단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들이 동시 작동시 상기 센터푸시로드블록(410)이 설정거리 함께 전후진되도록 대응되게 이동되어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레일(333)의 상호 마주치는 양단 및 전체가 동일선상에 놓여지도록 작동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몸체부(100)는 투시창(20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하중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의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작동부(310,310A/330,330A)들 사이에 상/하부구동체(312,312A/334,334A) 및 스크류 너트(325)가 취부된 이동체(322)가 생략 제외된 구조의 상/하부로 이루어진 한쌍 또는 다수개의 상/하부보조가이드부(160,160A)가 구비되어 상기 투시창(200)의 전/후진 개폐시 편중됨이 없이 균등하게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조가이드부(160,160A)는 상부작동부(310,310A)들과 동일선상의 위치에서 별도의 메인브라켓트(311)의 내측면에 선후단이 각각 고정된 단일의 가이드축(319)과,
    중심이 관통되고 한 쌍의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게 이루어진 부시베어링(162)이 내설되며 외측 하단면에 한 쌍의 고정레일(324)이 취부되어 상기 가이드축(319)을 따라 전/후진되게 형성된 이동가이드체(321)와,
    상기 이동가이드체(321)의 전/후진 이동범위를 단속하는 한 쌍의 이동제한링(1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KR1019980053268A 1998-12-05 1998-12-05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KR10029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68A KR100290573B1 (ko) 1998-12-05 1998-12-05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68A KR100290573B1 (ko) 1998-12-05 1998-12-05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14A true KR20000038314A (ko) 2000-07-05
KR100290573B1 KR100290573B1 (ko) 2001-06-01

Family

ID=1956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268A KR100290573B1 (ko) 1998-12-05 1998-12-05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02B1 (ko) * 2002-03-30 2004-11-26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KR100467158B1 (ko) * 2002-10-11 2005-01-29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599536B1 (ko) 2005-12-22 2006-07-13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KR100982937B1 (ko) * 2009-12-31 2010-09-17 주식회사 중앙디자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573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4257U1 (ru) Убирающийся фасад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свеще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и фасад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US74815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illusion of a skylight
US8070310B2 (en) Window lighting system
US10941609B2 (en) System for automating a sliding panel louver and method of retrofitting the same
KR100658185B1 (ko) 전시물 보존을 위한 진열장
US9416590B2 (en) Building envelope solar heat and daylighting control system
KR100290573B1 (ko)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US11512823B2 (en) System for creating an illusion of a skylight
KR10101126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US7370971B2 (en) Wall mounted kaleidoscope
EP1382902A2 (en) Door or window with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ection associated therewith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458302B1 (ko)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KR200280983Y1 (ko)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JP6664247B2 (ja) 照明システム
KR19980046017A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용 진열장
KR100467159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631320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GB2449179A (en) Illuminated building cladding and rain screens
CN219411436U (zh) 可拼接展示幕墙
US11253084B2 (en) Museum showcase with a rack and pinion drive system for a sliding door
KR100467158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317838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명장치
MXPA06000006A (es) Caleidoscopio montado en la pared
IES85667Y1 (en) A luminai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