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983Y1 -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 Google Patents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983Y1
KR200280983Y1 KR2020020009608U KR20020009608U KR200280983Y1 KR 200280983 Y1 KR200280983 Y1 KR 200280983Y1 KR 2020020009608 U KR2020020009608 U KR 2020020009608U KR 20020009608 U KR20020009608 U KR 20020009608U KR 200280983 Y1 KR200280983 Y1 KR 200280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racket
showcase
gear
full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곤
조정기
김창훈
정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Priority to KR2020020009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983Y1/ko

Link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동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튼 조작에 의해 투시창이 전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리함과 손쉬운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전시할 유물등 비교적 큰 것도 투시창의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수납 및 진열작업의 보다 간단히 손쉽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상승되며, 또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전시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특징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의 포커스 범위 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량이 극미한 광조명장치가 구비되어 고열 등에 의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변형, 변질, 변색 등의 유해원인을 미연에 방지되어 진열 및 전시의 효율성과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에 따른 보수작업성 및 그에 따른 유지관리성 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Showcase with automatic and manual-convertible device to open and shut}
본 고안은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 설치하는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열장의 전면의 투시창이 전후, 좌우측 방향으로 자동 개폐되도록 이루어고, 진열장 내부에 조명수단과 습도조절수단이 내설된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립 및 사립 박물관 또는 기념관 및 전시관등에 진열되어 전시되는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및 희귀성(稀貴性)이 있는 주요물건 등의 전시품 또는 시대에 관계없이 고가의 예술품 등은 유해광선, 온도, 습도 등 기타 자연적인 내적 요인과 취급 및 보관 등의 부주의에 따른 외적요인 등에 만전을 기하여 철저하게 유지 관리돼야만 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진귀(珍貴)한 유물 등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수단은 보온 단열성, 불연성(不燃性), 내구성(耐久性), 내후성(耐朽性), 밀폐성(密閉性), 내습성(耐濕性) 등의 비교적 까다로운 조건들이 만족돼야만 상기 귀중한 유형문화재 및 전시품 또는 예술품 등을 안전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화재 또는 전시품 및 예술품 등이 전시(展示)를 위한 진열작업시 각별한 취급상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여 효율적인 진열작업이 이루어져 진열시 취급 부주의 및 보관상에 의한 훼손 발생률을 극소화시켜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진열장이 요구된다. 이러한 진열장은 전시물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시물을 보호하기 위해,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판인 투시창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건물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된 대형 전시케이스의 경우, 전시물의 출입이나 내부의 보수관리의 편의등을 위해, 투시창을 개폐식 문으로 함으로써, 진열장 본체의 앞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 많다.
또, 진열장 본체의 개구부에 여러개의 문을 동일 평면상으로 병렬설치하고 있는 것이 많고, 이 경우 문은 진열장 본체의 바로 앞측으로 끌어냄으로써 다른 문과의 간섭을 회피하고,그리고 나서,케이스본체의 폭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진열수단들은 상술한 몇가지 주요 조건들을 갖추어 상기 귀중한 물품 등을 보관 전시하고는 있으나, 한정된 진열장의 내부공간 및 진열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함은 물론 진열에 따른 취급상의 어려움과 취급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상기 귀중한 문화재 및 전시, 예술품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각종 진열장들은 첫째, 기계장치에 의하더라도 투시창 개폐시 좌우이동은 인위적인 방법으로 작동되는 수동식이므로 사용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및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전시할 물품이 비교적 부피가 있는 대형인 경우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아 반입 및 진열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결점과, 둘째,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전시될 진열물품의 변경에 따라 조명의 조도(照度) 및 빛의 확산각도 등 조절이 불가함과동시에 진열 물품의 종류에 따라 그 특징부분이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일반 형광등이 이용되므로 그로 인해 발생되는 고열이 진열된 물품을 변질, 변색 등의 해가 끼칠 우려가 있고 잦은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의 보수에 따른 유지 관리성이 떨어짐과, 셋째,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燥濕)수단이 없어 습기에 무방비 상태이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진열장의 벽을 투과 내부로 침투되어 진열된 물품의 부식속도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정된 진열 내부공간 및 전시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투시창의 자동개폐수단과 조명수단과 습도조절수단등이내설되며, 진열시 취급 부주의 및 보관상에 의한 훼손 발생률을 극소화시켜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진열장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하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평면 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상부의 기계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상부의 기계 장치의 정면도 및 상부전후구동기의 정면도
도 9는 상부전후구동기의 평면도
도 10은 상부전후작동기의 정면도
도 11은 상부전후작동기의 측면도
도 12는 상부전후작동기의 평면도
도 13은 좌우이동기의 정면도
도 14는 좌우이동기의 측면도
도 15는 좌우이동기의 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16은 본 고안인 진열장의 하부의 기계 장치도
도 17은 하부전후구동기의 정면도
도 18은 하부전후구동기의 평면도
도 19는 하부전후작동기의 정면도
도 20은 하부전후작동기의 측면도
도 21은 하부전후작동기의 평면도
도 22는 구동장치의 정면도
도 23은 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24는 보조조명장치의 개략도
도 25는 보조조명장치의 흐름도
도 26은 하부조명장치의 개략도
도 27은 하부조명장치의 회전기구 개략도
도 28은 하부조명장치의 동력전달기구 개략도
도 29는 조습장치의 개념도
도 30은 조습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31은 본 고안의 진열장의 작동순서 개략도
*도면부호의 설명*
100: 기본골격 프레임 200: 진열몸체부
210: 커버판 220: 벽체전시면
221: 전시바닥면 230: 상부조명기구 덮개판
240: 내부공간 250: 전면투시창
260: 걸레받이 270: 방열구
300: 상부조명부 310: 내부조명박스
311: 퇴색방지용램프 312: 회전용반사판
313: 수평천장 321: 조광기
322: 광섬유케이블 323: 조명용렌즈
400: 하부조명부 411: 조광기
412: 광섬유케이블 414: 조명용렌즈
420: 하부조명커버판 421: 힌지
430: 승강장치 431: 입력구
432: 기어박스 433: 회전축
434: 피니언기어 435: 레크기어
500: 구동부 510: 상부전후구동기
511: 상부브라켓 512: 샤프트
513: 샤프트 514: 축연결핀
515: 피니언기어 516: 레크기어
520: 상부전후작동기 521: 상부브라켓
522: 상부메인브라켓 523: 전방메인브라켓
524: 후방메인브라켓 525: 레일홀드브라켓
526: 베어링하우징 527: 레일
528: 가이드축 529: 렌치볼트
530: 렌치볼트 531: 상부전면유리프레임
532: 상부후면유리프레임 533: 비상키
534: 오일리스베어링 535: 스넵링
540: 하부전후구동기 541: 하부브라켓
542: 샤프트 543: 샤프트
544: 축연결핀 550: 하부전후작동기
551: 하부베이스브라켓 552: 하부메인브라켓
553: 볼베어링브라켓 554: 연마봉브라켓
555: 베어링하우징 556: 하부가이드레일
557: 연마봉축 559: 레크기어
560: 피니언기어 561: 비상키
562: 하부스토바브라켓 563: 하부가이드브라켓
564: 로울러 565: 하부유리프레임
570: 좌우이동부 571: DC 모터
572: 구동풀리 573: 벨트
574: 엔코드브라켓 575: 모타고정브라켓
576: 구동기어 577: 상부구동브라켓
578: 보조브라켓 579: 상부커버브라켓
580: 상부브라켓 581: 전방메인브라켓
582: 후방메인브라켓 583: 텐숀브라켓
584: 볼베어링하우징 585: 베어링하우징
586: 연마봉축 587: 가이드축
588: 구동피니언 589: 구동축
590: 비상키 591: 종동풀리
592: 구동타이밍풀리 600: 구동장치
610: DC 모터 620: 출력축
700: 진열보조체 701: 진열보조체 케이스
702: 기밀부재 703: 영구자석
710: 서랍 711: 손잡이
712: 방습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시될 공간에 맞게 소정의 길이, 폭, 높이로 절곡 및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기본골격 프레임(100)과;
개구부 전면을 제외한 상기의 기본골격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어 진열장 내부의 장치 및 상기한 기본골격 프레임을 외부와의 노출을 차단시키는 다수의 커버판(210)과, 개구부 전면에 들어 맞는 전면투시창(250)과, 상기한 전면투시창(2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조명기구 덮개판(230)과, 개구부를 제외한 모든 면이 막이판재로 이루어져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는 소정의 내부공간(240)을 가지는 진열몸체부(200)와;
전시물의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기본골격 프레임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며 무선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도가 조절되는 상부조명부(300)와;
조명연출이 필요 없을 시 전시바닥면과 수평되게 배치되어 전시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반대로 조명연출의 필요시에는 승강장치에 의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두고 회전하여 바닥전시 유물의 하부측에 투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조명부(400)와;
상기 진열몸체부의 전시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어 환경을 관리하는 진열보조체(700)와;
무선 리모트컨트롤에 의한 개폐작동 신호시 전/후 또는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시켜 전면투시창을 개폐하는 상부전후구동부와 하부전후구동부와 좌우구동부로 구성되는 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이다.
[기본골격프레임]
기본골격 프레임은 전시장의 주어진 공간 또는 전시되는 물품의 넓이, 높이등에 맞추어 제작하여야 하고, 내구성을 위하여 트러스구조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경우 단면이 4각형인 파이프를 이용하여 기본골격 프레임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커버판(210)의 부착 또는 기타 장치 및 부속의 연결 및 접합이 안정적이고 편리하도록 하였다.
한편, 이음매는 아크용접으로 처리하여 기밀성을 부여하였다.
[진열몸체부]
상기 진열장의 외부면은 개구부 전면을 제외한 상기의 기본골격 프레임(100)의 외측에 연결 고정되어 진열장 내부의 장치와 상기한 기본골격 프레임(100)을 외부와의 노출을 차단시키는 다수의 커버판(210)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열장이 내화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커버판(210)이 내화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의 경우 석고보드을 커버판으로 사용하였으며, 내화성 도료로서 도장을 하였다.
진열몸체부 내부의 수평천장(313)은 전시벽면 및 바닥전시물에 설정위치 만큼 인공조명이 균등하게 분산되는 프로스트 접합유리(Frost glass) 또는 자외선 및유해광선을 차단하는 코팅글라스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진열몸체부 내부의 입면인 벽체전시면(220)은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되는 알카리 독성인자 및 기타오염인자를 차단할 수 있게 알루미늄판으로 차단 및 밀폐화하며 유물 및 전시물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염, 방충처리가 된 목질계 및 무기질계 막이판재를 사용하며 바탕면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고급천을 사용하였다.
또한, 진열몸체부 내부의 전시바닥면(221)은 유물 및 전시물이 안정되게 전시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수평되게 형성되며 이중바닥 중간막이판으로 알루미늄 박판을 붙여 오염인자를 차단하고 상판은 방염, 방충처리된 목질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며 바탕면은 상기의 벽체전시면(220)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기존 벽부형진열장과는 달리 진열몸체부 내부 전면 바닥면에 일정한 폭의 하부조명 커버판이 일정한 길이로 배분되어 조명연출이 필요없을시 전시바닥면과 수평되게 배치되어 전시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반대로 조명연출의 필요시에는 일정환 회전반경을 두고 회전하여 바닥전시 유물에 투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진열몸체부(200)는 진열공간 개방구를 제외한 내측면에 프레임을 따라 기밀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투시창이 가로재 프레임 및 세로재 프레임에 커버링되어 전면의 투시창이 개폐구동시 내측면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기밀부재에 상호밀착되어 진열공간 개방구가 효율적으로 완벽하게 밀폐차단되게 되어 있어 외부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전시품을 보관하는 내부공간을 마련한다. 또, 기존 진열장과는 달리 전면 투시창이 완전 노출형으로 전면하부커버판이 없어 미관상 심플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기밀부재(weather strip)는 진열장 개구부 전면 양측부 및 상하단부 4면에 고정지지프레임에 체결돌기가 중앙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체결돌기를 따라 기밀부재의 체결홈에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밀부재의 마모나 밀폐성능 저하시 수시로 교체가 가능하다.
전면투시창(250)은 충격에 대한 대응력 및 투명도가 뛰어난 강화접합유리 또는 무반사유리를 설치하며 대형투시창은 상하단 고정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로울러가 형성되고 하부 하단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 상부과 같은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좌,우측으로 PLC판넬 프로그램 설정거리만큼 이동하고 2차 이탈방지를 위하여 상부 고정가이드 양측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일정간격 이상의 이탈을 방지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투시창(250)의 상부는 레일(527) 안에서만 구속운동을 하는 로울러(5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전면유리프레임(531)과 상부후면유리프레임(532)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렌치볼트(530)에 의해 조여져 붙잡혀 있으며, 이때 프레임과전면투시창(250) 사이에 충진재(251)를 넣어 투시창의 파손을 방지한다.
전면투시창(250)의 하부는 하부유리프레임(565)에 끼워진 상태로서 하부유리프레임과 전면투시창(250) 사이에는 충진재(251)를 넣어 투시창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으며, 하부유리프레임(565)은 로울러(564)위에 얹어진 상태로 좌우로 운동이 가능하다.
전면투시창(250)의 하중은 주로 상부의 상부전면유리프레임(531)과 상부후면유리프레임(532)의 조임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주로 배분되며, 하부유리프레임(565)에서는 전면투시창(250)의 하중은 약간만 분담하며 단지 전면투시창(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정도의 역할만 한다.
진열몸체부(200)의 상부의 공간에는 조명기구 설치 및 유지관리, 수리 등의 작업이 편리하게 전면 또는 상단면 일부가 개폐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공간 내에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 포커스 등이 선택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진열몸체부(200) 상부 전면 투시창 위에 상부조명박스 덮개판(230)은 상부벽체 구조체에 행잉타입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투시창(250) 개폐 구동시 일정간격 만큼 경사로 열리는 스윙도어(SWING DOOR)로서 덮개박스의 역할, 내부 구동장치의보호역할, 내부조명박스(310) 인출시 이중덮개역할 및 조명의 누광 방지 역할을 한다.
하단 걸레받이(260) 전면은 요철그릴을 설치하여 진열장 전시바닥면 하부덕트공간과 연결하여 건축공조의 리턴기능 및 하부 전면투시창 개폐장치 점검 공간으로 활용한다.
진열몸체부 후면에는 방열구(270)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의 축적으로 인한 전시물의 훼손을 방지하였다.
[상부조명부]
상부조명부(300)는 6면이 밀폐화된 진열몸체부(200)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열몸체부(200)에 전시된 전시물의 관람효과를 조명연출로서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기존 진열장의 형광등 조명 연출방법에 전시물의 보존환경을 고려한 광섬유조명 연출을 병행하여, 진열몸체부(200) 상단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렌즈기구물이 자체 회전반경을 갖고 전시물에 개별적으로 조명연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내부조명박스(310)는 기존진열장과는 달리 슬림화하였으며 퇴색방지용램프(311)위에 조명의 확산을 위하여 회전용반사판(312)을 설치하여 자유자재로 조명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내부조명박스(310)의 조명을 보조하기 위해 상단 전면 개구부 내측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보조조명기구를 설치하였다.
상기한 보조조명기구는 선택에 따라 입력된 조도 등이 콘트롤되어 조정된 광원이 출력되게 형성된 조광기(321)와, 상기 조광기(321)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신호가 전달되어 조정되게 형성된 자동조절기(도시생략)와, 상기 조광기(321)에서 출력된 광원이 입력되고 입력된 광원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다수개의 광섬유케이블을 통해 다중 출력된 광원이 소정의 광원이 설정조도 및 각도, 범위등으로 빛이 분산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200) 상단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조명용렌즈(323)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용 렌즈에 빛을 조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광기(321)에서 나온 빛을 광섬유를 이용해 조명용렌즈(323)까지 전달하여야 한다. 이때 광섬유에 따라 빛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할로겐 광섬유를 사용하였는바, 할로겐 광섬유는 HQI광섬유와는 다르게 Dimming이 가능하다.
한편, 조명용 렌즈(323)는 소정의 거리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 빛의 확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유물의 전시시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명용렌즈(323)와 같은 간격으로 케이블을 설치하여 조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진열장 외부에서 리모트콘트롤로 자연스러운 Dimming이 가능하게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자동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조명구조부의 점검시 상기의 상부조명박스덮개판(230)을 스윙 오픈(SWING OPEN)하여 내부조명박스(310)만을 인출하여 하부에서 바로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기술과 달리 상부조명구조부(300)를 수리 또는 점검하기 위해 진열장을 해체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하부조명부]
하부조명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진열몸체부(200) 내부 전면 바닥면에 일정한 폭의 하부조명 커버판(420)이 일정한 길이로 배분되어, 조명연출이 필요없을시 전시바닥면과 수평되게 배치되어 전시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반대로 조명연출의 필요시에는 일정환 회전반경을 두고 회전하여 바닥전시 유물의 하부측에 투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유물의 하부에 조사함으로써 그림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물의 전시연출을 극대화시킬수 있다.
하부조명부(400)의 구성은 도 5과 같다. 하부조명부(400)가 조사하는 방법은 상기의 상부조명부(300)의 보조조명기구와 동일하다. 다만, 하부조명부(400)에는 덮개판을 들어올릴 수 있는 승강장치(430)가 필요하다.
승강장치(430)는 하부조명커버판(420)을 밀어올리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레크기어(435)와, 상기의 레크기어(435)를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434)와, 외부로부터 토크를 받아들이는 입력구(431)와, 입력구로 입력된 토크를 양측으로 배분하는 베벨기어로 형성된 기어박스(432)와, 상기의 기어박스(432)와 피니언기어(434)를 연결시키는 회전축(4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조명커버판(420) 아래 조명용렌즈(414)가 마련되어 소정의 회전반경을 두고 바닥전시 유물에 투사되며 광섬유광원은 전시바닥하부 덕트공간내 중앙부위 걸레받이 안쪽에 설치되며 할로겐을 사용, Dimmimg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렌즈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가 가능하다.
다만, 하부조명부(400)는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광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단지 전시바닥면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하부조명부(400)의 조작은 도 28에서와 같이 조명연출의 필요시에는 전면 걸레받이(270)를 착탈시켜 중앙부위 개폐조작홈에 6각 렌치 등으로 입력구(431) 회동시켜, 베벨기어에 의해 입력구의 회전력을 좌우로 배분하여 도 27에서와 같이 피니언(434)을 구동하여 이와 물고있는 렉크기어(435)를 상승시켜 하부조명커버판(420)을 들어올린다.
반대로, 조명연출이 필요없을시 입력구(431)를 역회전시키면 하부조명커버판(420)이 자중에 의해 내려와 바닥면과 수평되게 배치되어 전시바닥면의 역할을 한다.
[진열보조체]
진열보조체(700)는 도 29와 같이 서랍형으로 되어 유물특성에 따라 최적의 습도를 조성하는 조습장치로서, 진열몸체부 전시 바닥면 하단에 설치하여 투시창이 닫혀져 진열장의 공기가 밀폐되면, 진열내부에 잔존해 있는 공기의 습도를 유물의 설정 습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진열보조체 케이스(701)는 육방형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공간이 확보되고 윗면에 진열몸체부 내의 습기를 받아들이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또 진열보조체 케이스 전면에는 서랍(710)을 채워넣을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개구부 주위에는 밀폐를 위한 기밀부재(70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서랍(710)에는 내부에 투입되어 설정된 습도에 맞게 습기가 제거되도록 수용된 방습재(712)를 담아둘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서랍은 머리부는 밀폐성을 위해 진열보조체 케이스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 서랍의 머리부 전면에는 방습재(712)의 교환을 위해 진열몸체부에서 간단하게 서랍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711)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 측면과 서랍의 머리부 측면에 영구자석(703)을 부착하여 서랍과 진열보조체 케이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진열보조체는 진열몸체부의 하부 중앙부의 걸레받이(260) 뒤편으로 하부조명부의 조광기(411) 뒤에 설치되며, 도 30과 같이 상기 진열보조체 케이스(701)의 상부면에 마련된 통로가, 공기내의 습기가 진열보조체(70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진열몸체부(200) 하부 바닥전시면(221) 하단에 구비된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와 고정 형성된다.
따라서, 진열보조체(700) 내의 방습재(712)의 교환시에는 진열몸체부(200) 하부의 걸레받이(260)를 제거하고 하부조명부(400)의 조광기(411)를 분리한후 서랍(710)을 열어 방습재(712)를 교환하면 된다.
상기의 방습재(712)는 알갱이 타입 또는 카셋트 타입으로 내장하며 평균적으로 6개월에 한번정도 점검 측정하여 관리한다.
[전후구동부일반]
전면투시창을 전후로 개폐하는 전후구동부는 도 6과 같이 전면부의 상, 하단에 세로로 일치되게 설치되어있다.
구동장치(600)는 도 22 내지 23에서와 같이 DC 모터(610)에서 나온 토크를 기어박스를 통해 감속시켜 토크를 증대시킨 후, 기어박스의 출력축(620)을 각 전후작동부에 연결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에는 신호 입출력장치(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신호의 입출력에 따라 DC 모터(6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어 무선 리모트커트롤에 의한 개폐작동 신호시 전, 후 및 좌,우 구동장치를 원터치로 관리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개폐를 할 수 있다.
구동장치(600)는 상부전후구동부에서 2개 그리고 하부전후구동부에서 2개를 사용하고 있다.
[상부전후구동부]
상부전후구동부는 동력을 공급하는 상부전후구동기(510)와 상기의 상부전후구동기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기어를 통해 전면투시창(250)을 전후진시키는 상부전후작동기(520)로 구성된다.
상부전후구동기(510)은 기본골격 프레임(100)의 상부 전면투시창(250) 상단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상부브라켓(511)과, 동력원인 구동장치(600)와, 구동장치로부터 받은 토크를 상부전후작동기(520)으로 전달하는 샤프트(512,513)와, 샤프트(512,513)를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수 있도록 마련된 기어연결 핀(51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전후작동기(520)는 상기의 상부전후구동기(510)의 좌우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상부브라켓(521)과, 상기 상부브라켓(521)과 체결되는 상부메인브라켓(522)과, 상부메인브라켓(522)과 수직으로 고정되는 후방메인브라켓(524)와, 전면투시창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하는 레일(527)과 결합된 연마봉축(536)과, 상기 레일(527)과 결합되고 가이드축(528)을 타고 전후진 운동을 하는 베어링하우징(525)과 볼트로 체결된 레일 홀드 메인 브라켓(525)과, 상기 상부전후구동기(510)의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기어(515)와, 상기의 피니언기어(515)와 치합되어 전후진운동을 하는 레크기어(516)과, 상기의 피니언기어(515)와 레크기어(516)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 비상키(533)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전후구동기(510)는 기본골격 프레임에 상부 브라켓(511)이 체결되어 결합되고, 구동장치(600)에서 나온 출력축(620)을 양쪽의 샤프트(512,513)과 기어연결하여 샤프트(512,513)를 회전시킨다. 샤프트(512,513)의 중간에는 핀(514)으로 연결한 부분이 있어, 수동전환장치를 사용시 샤프트(512,513)의 끝에 고정된 피니언(515)을 레크기어(516)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전후작동기(520)는 도 11에서와 같이 기본골격 프레임(100)에 상부브라켓(521)이 볼트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상부브라켓(521)과 상부전후작동기(520)의 몸체가 연결되어 있다.
상부전후작동기(520)에서 샤프트(512)로 전달받은 동력은 도 12에서와 같이 축의 끝에 체결된 피니언기어(514)에서 레크기어(515)로 전달된다. 레크기어(515)는 레일홀드메인브라켓(525)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어 레크기어(515)가 전진함에 따라 레일홀드메인브라켓(525)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축(528)에 체결되어 있는 레일(527)이 함께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레일(527)에 로울러(532)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전면투시창(250)이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상부브라켓(521)과 일체로 되어 있는 상부메인브라켓(522)과 후방메인브라켓(524)와 베어링하우징(526)은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가이드축(528)은 베어링하우징(526)의 연마봉축(536) 2개와 오일리스베어링(534) 및 스넵링(535)에 의하여 지지받고 있다.
후진시에는 피니언기어(515)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과정이 역으로 일어나 전면투시창(250)이 후진하게 된다.
전후진시 레일(527)의 전후면에 센서를 두어 소정의 거리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센서에 닿으면 즉시 DC 모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면투시창(250)의 전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하부전후구동부]
하부전후구동부는 동력을 공급하는 하부전후구동기와 상기의 하부전후구동기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기어를 통해 전면투시창을 전후진시키는 하부전후작동기로 구성된다.
하부전후구동기(510)은 기본골격 프레임의 상부 전면투시창 하단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하부브라켓(541)과, 동력원인 구동장치(600)와, 구동장치로부터 받은 토크를 하부전후작동기(550)으로 전달하는 샤프트(542,543)와, 샤프트를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수 있도록 마련된 기어연결 핀(54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전후작동기(520)는 상기의 하부전후구동기(510)의 좌우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하부베이스브라켓(551)과, 상기 하부베이스브라켓(521)과, 체결되는 연마봉브라켓(554)와, 상기연마봉브라켓(554)과 체결되어 있는 연마봉축(557)과, 연마봉축(557)을 타고 전후이동하는 베어링하우징(555)와, 하부유리프레임(565)과 상기의 베어링하우징(555)에 체결되어 일체로 운동하게 하는 하부메인브라켓(552)와, 상기 하부전후구동기(540)의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기어(560)와, 상기 피니언기어(560)와 치합되어 전후진운동을 하는 레크기어(559)과, 상기의 피니언기어(560)와 레크기어(559)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 비상키(561)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전후구동기(540)는 상부에서의 전후구동기와 유사한 구조로서, 도 16 및 도 17에 의하면, 기본골격 프레임(100)에 하부 브라켓(541)이 체결되어 결합되고, 구동장치(600)에서 나온 출력축(620)을 양쪽의 샤프트(542,543)과 기어연결하여 샤프트(542,543)를 회전시킨다. 샤프트(542,543)의 중간에는 핀(544)으로 연결한 부분이 있어, 수동전환장치를 사용시 샤프트(542,543)의 끝에 고정된 피니언(560)을 레크기어(559)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전후작동기(550)는 도 19에서와 같이 기본골격 프레임(100)에 하부베이스브라켓(551)이 볼트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하부베이스브라켓(551)과 전후작동기의 몸체가 연결되어 있다.
하부전후작동기(550)에서 샤프트(542)로 전달받은 동력은 도 20에서와 같이 축의 끝에 체결된 피니언기어(560)에서 레크기어(559)로 전달된다. 레크기어(559)는 베어링하우징(555)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어 레크기어(559)가 전진함에 따라 베어링하우징(555)이 연마봉축(557)을 타고, 베어링하우징(555)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메인브라켓(552)에 체결되어 있는 하부유리프레임(565)이 함께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유리프레임(565)에 구속되어 있는 전면투시창(250)이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 때, 하부베이스브라켓(551)과 일체로 되어 있는 연마봉축(557)과 볼베어링브라켓(553)과 연마봉브라켓(554)은 고정되어 있다.
후진시에는 피니언기어(56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과정이 역으로 일어나 전면투시창(250)이 후진하게 된다.
전후진시 하부유리프레임(565)의 전후면에 센서를 두어 소정의 거리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센서에 닿으면 즉시 DC 모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면투시창(250)의 전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좌우구동부]
좌우이동부(570)는 도 6에서와 같이 전면투시창(25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투시창(25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면투시창 폭의 1/2이상을 열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이동부(570)은 전후이동부에 의해 전면투시창(250)이 전진된 이후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좌우이동부 역시 전후이동부(520,550)에 의해 전면투시창(250)이 전진할 때 함께 전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이동부(570)는 기본골격프레임(100)에 결합 지지시키는 상부커버브라켓(579)과, 상기 상부커버브라켓에(579)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브라켓(580)과; 상부유리프레임과 일체로서 상기의 전후구동부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하는 가이드축(587)과; 레일(527)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크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좌/우 2개의 피니언기어(588)와, 좌측의 피니언기어와 동일한 구동축(589)에 결합되어 엔코드브라켓(574)에 의해 고정된 DC 모터(571)와 체결된 구동풀리(19)로부터 벨트(57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591)와; 상기 좌측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축의 선단에 위치하며 우측의 피니언기어를 회동시키기 위한 벨트로 타이밍종동풀리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구동풀리(592)와; 상기 구동축(589)에 설치되어 텐숀브라켓(583)과 함께 연마봉축(586) 표면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는 베어링하우징(592)과 일체로 체결된 볼베어링하우징(584)로 구성된다.
전후이동부(520,540)에 의해 전면투시창(250)이 전진할 때, 레일(527)은 진열몸체부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함께 전진하므로, 레일(527)과 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축(587) 과 볼베어링 하우징(584)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연마봉축(586) 및 상부커버브라켓(579)와 상부브라켓(580)과 전방메인브라켓(581)과 후방메인브라켓(582)는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상태로 있다.
전진된 좌우이동부가 전면투시창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13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DC 모터(571)로부터 나온 토크를 DC 모터(571)의 축 선단에 마련된 구동풀리(572)에서 종동풀리(591)에 벨트를 걸어 전달한다. 종동풀리(591)는 구동축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동일 축상에 안쪽 선단에는 구동타이밍풀리(592)와 바깥쪽 선단에는 구동피니언(588)이 결합되어 있다.
전면투시창(250)의 좌우로의 이동은 상부전면유리프레임(5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렉기어와 상기의 구동피니언(588)과 결합되어 구동피니언(588)이 회전하면서 렉기어를 타고 전면투시창(25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2에서와 같이,전면투시창의 가로 길이의 절반이상을 열기 위하여 구동피니언(588)은 좌우 2개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피니언(588)이 2개이므로 상호동일한 회전수를 만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의 구동타이밍풀리(592)를 이용하여, 종동풀리(591)이 결합되어 있는 축과같은 회전수로 동력을 전달한다.
[수동전환장치]
본 고안의 진열장은 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해 전력이 단전 또는 전력공급에 이상이 있을시 상하 구동기계장치를 전면에서 관리자들이 손쉽게 분해하여 수동전환판을 착탈시켜 수동으로 전환하여 전면개구부 투시창을 원활하게 개폐작동이 가능하며, 취급을 물론 박물관, 전시관 관리자들에게 계속적인 유물관리 작업이 유지되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전면투시창의 이동을 위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DC 모터는 용량이 커야 하므로 모터 내부의 자기도 클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모터가 정지해 있는 경우, 인력으로 모터 내부의 자기력 이상을 부여하여 전면투시창을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전면투시창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와의 연결을 차단하여야만 한다.
전후이동부에서 샤프트(512)와 기어부의 연결부분은 핀(514,544)으로 고정되어 축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샤프트와 전후작동기를 단락시키는 비상키(533,561)을 제거하면 피니어기어(515,560)와 레크기어(516,559)를 분리시켜 인력으로 전면투시창의 전후진이 가능하다.
좌우이동부에서 비상키(590)을 제거하면 DC 모터와의 연결이 끊겨 인력으로 전면투시창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다.
[진열장의 작업순서]
상기의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3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투시창(250)이 개폐된다.
상기 진열공간 내에 전시품 또는 유물 등을 진열하기 위한 전면투시창(250) 개방시, 별도 설치된 콘트롤 박스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의 버튼조작에 의한 전면투시창(250) 개방작동스위치를 누르면 전면투시창은 2단계를 거쳐 자동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먼저 리모트 콘트로전후진구동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하부의 구동장치의 DC 모터가 작동되면 기어박스를 통해 출력된 토크가 전후진작동부의 피니언기어(514,560)에 전달된다.
상기의 토크를 전달받은 피니언기어가 레크기어(516,559)의 이빨과 물려 회전하면, 상부전후진작동기의 경우 레크기어(516,559)는 레일홀드메인브라켓(525)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어 레크기어(515)가 전진함에 따라 레일홀드메인브라켓(525)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축(528)에 체결되어 있는 레일(527)이 함께 전진하게된다. 따라서, 레일(527)에 로울러(532)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전면투시창(250)이 함께 전진하게 되고, 하부전후진작동기의 경우 레크기어(559)는 베어링하우징(555)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어 레크기어(559)가 전진함에 따라 베어링하우징(555)이 연마봉축(557)을 타고, 베어링하우징(555)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메인브라켓(552)에 체결되어 있는 하부유리프레임(565)이 함께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유리프레임과 하부유리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전면투시창(250)이 전진하게 된다.
한편, 전면투시창의 전후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전후진시 레일(527)의 전후면 및 하부유리프레임(565)의 전후면에 센서를 두어 소정의 거리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센서에 닿으면 즉시 DC 모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면투시창의 전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투시창이 센서에 의해 제한되는 거리만큼 전진한 후에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은 좌우이동부의 DC 모터(571)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전원을 공급받은 DC 모터(571)로부터 나온 토크를 DC 모터(571)의 축 선단에 마련된 구동풀리(572)에서 종동풀리(591)에 벨트를 걸어 전달하고,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풀리(591)는 구동축을 회전시켜 동일 축상의 구동타이밍풀리(592)와 구동피니언(588)을 회전시킨다. 이 때 상부전면유리프레임(5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렉기어와 상기의 구동피니언(588)과 치합되어 구동피니언(588)이 회전하면서 렉기어를 타고 전면투시창(25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리모트 콘트롤에서 조작시 미리 전면투시창(250)을 좌측 또는 우측의 한방향으로 설정해놓고 진열장의 기계장치에 신호를 보내야 한다.
반대로, 상기 진열공간 내에 전시품 또는 유물 등을 진열 또는 교체를 하고 전면투시창(250) 폐쇄시, 먼저 콘트롤 박스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의 버튼조작에 의한 전면투시창(250) 폐쇄작동스위치를 누르면 전면투시창은 상기의 개방과정의 역순으로 2단계를 거쳐 자동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투시창(200)이 상기 진열몸체부(100)의 진열공간(130)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완전 커버링되도록 폐쇄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먼저, 전자동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버튼 조작에 의해 투시창이 전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사용의 편리함과 손쉬운 조작에 따른 취급/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전시할 유물등 비교적 큰 것도 투시창의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수납 및 진열작업의 보다 간단히 손쉽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제품에 대한 상품성과 신뢰성이 상승되며, 또 조명장치의 조명등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전시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특징부분이 더욱 부각되어 전시되도록 그에 알맞은 조도 및 빛의 확산각도, 특정부위의 포커스 범위 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열량이 극미한 광조명장치가 구비되어 고열 등에 의한 진열품 및 유물 등의 변형, 변질, 변색 등의 유해원인을 미연에 방지되어 진열 및 전시의 효율성과 조명등 교체 및 수리 등에 따른 보수작업성 및 그에 따른 유지관리성 등이 향상된다.
또한, 투시창의 원활한 개폐는 물론 기밀부재등을 이용하여 투시창과 진열몸체부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 각 틈새 등을통해 미세한 유해분진등이 내부로 유입됨을 철저하게 차단하여 밀폐성이 향상되고 진열장 내부에 습도조절을 위한 조습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며 전시관의 콘크리트 벽체등에서 발생되는 알카리성등의 유해물질이 내알칼화된 진열장의 막이판재에 의해 내부로 침투됨이 차단되어 진열품의 부식 및 변질됨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4)

  1.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시될 공간에 맞게 소정의 길이, 폭, 높이로 절곡 및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기본골격 프레임(100)과;
    개구부 전면을 제외한 상기의 기본골격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어 진열장 내부의 장치 및 상기한 기본골격 프레임을 외부와의 노출을 차단시키는 다수의 커버판(210)과, 개구부 전면에 들어 맞는 전면투시창(250)과, 상기한 전면투시창(2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조명기구덮개판(230)과, 개구부를 제외한 모든 면이 막이판재로 이루어져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는 소정의 내부공간(240)을 가지는 진열몸체부(200)와;
    전시물의 관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기본골격 프레임의 내부 상부에 마련되며 무선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도가 조절되는 상부조명부(300)와;
    조명연출이 필요 없을 시 전시바닥면과 수평되게 배치되어 전시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반대로 조명연출의 필요시에는 승강장치에 의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두고 회전하여 바닥전시 유물의 하부측에 투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조명부(400)와;
    상기 진열몸체부의 전시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어 환경을 관리하는 진열보조체(700)와;
    무선 리모트컨트롤에 의한 개폐작동 신호시 전/후 또는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시켜 전면투시창을 개폐하는 상부전후구동부와 하부전후구동부와 좌우구동부로 구성되는 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2. 제 1항에 있어서,
    진열몸체부 내부의 수평천장(313)은 전시벽면 및 바닥전시물에 설정위치 만큼 인공조명이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프로스트 접합유리(Frost glass) 또는 자외선 및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코팅글라스인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3. 제 1항에 있어서,
    진열몸체부 내부의 입면(220)은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되는 알카리 독성인자 및 기타오염인자를 차단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판으로 차단 및 밀폐화하고, 유물 및 전시물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염/방충처리가 된 목질계 및 무기질계 막이판재를 사용한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4. 제 1항에 있어서,
    진열몸체부 내부의 전시바닥면(221)은 유물 및 전시물이 안정되게 전시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수평되게 형성되며 이중바닥 중간막이판으로 알루미늄 박판을 붙여 오염인자를 차단하고 상판은 방염, 방충처리된 목질계 또는 무기질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5. 제 1항에 있어서,
    전면투시창은(250)은 전면투시창(250)의 상부는 레일(527) 안에서만 구속운동을 하는 로울러(5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전면유리프레임(531)과, 상부후면유리프레임(532)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렌치볼트(530)에 의해 조여져 붙잡혀 있으며, 전면투시창(250)의 하부는 하부유리프레임(565)에 끼워진 상태로서 하부유리프레임과 전면투시창(250) 사이에는 충진재를 넣어 투시창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으며, 하부유리프레임은 로울러(564)위에 얹어진 상태로 좌우로 운동이 가능하며, 충격에 대한 대응력 및 투명도가 뛰어난 강화접합유리 또는 무반사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6.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조명박스덮개판(230)은 내부 구동장치의 보호와 상부조명박스 인출시 이중덮개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면투시창의 개폐 구동시 일정간격 만큼 경사로 열리도록 상부벽체 구조체에 행잉타입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7.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조명박스(310)는 퇴색방지용램프(311)와, 조명의 확산을 위하며 자유자재로 조명의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의 퇴색방지용램프위에 설치된 회전용반사판(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8.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조명기구는 상기한 내부조명박스(310)의 조명을 보조하기 위해 선택에 따라 입력된 조도 등이 콘트롤되어 조정된 광원이 출력되게 형성된 조광기(321)와, 상기 조광기와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신호가 전달되어 조정되게 형성된 자동조절기와, 상기 조광기에서 출력된 광원이 입력되고 입력된 광원이 균등하게 나누어져 다수개의 광섬유케이블(322)을 통해 다중 출력된 광원이 소정의 광원이 소정의 조도 및 각도, 범위로 빛이 분산되게 이루어져 상기 진열몸체부 상단 내부의 설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조명용 렌즈(3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9.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장치(430)는 하부조명커버판(420)을 밀어올리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레크기어(435)와, 상기의 레크기어(435)를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434)와, 외부로부터 토크를 받아들이는 입력구(431)와, 입력구로 입력된 토크를 양측으로 배분하는 베벨기어로 형성된 기어박스(432)와, 상기의 기어박스(432)와 피니언기어(434)를 연결시키는 회전축(43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10. 제 1항에 있어서,
    진열보조체는 육방형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공간이 확보되고 윗면에 진열몸체부 내의 습기를 받아들이는 통로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서랍(710)을 채워넣을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개구부 주위에는 밀폐를 위한 기밀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진열보조체 케이스(701)와;
    내부에 투입되어 설정된 습도에 맞게 습기가 제거되도록 수용된 방습재(712)를 담아둘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머리부는 밀폐성을 위해 진열보조체 케이스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머리부 전면에는 방습재의 교환을 위해 진열몸체부에서 간단하게 서랍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711)를 마련하고 있는 서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11. 제 10항에 있어서,
    승강장치는 서랍과 진열보조체 케이스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도록 진열보조체 케이스의 개구부 측면과 서랍의 머리부 측면에 영구자석(713)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1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전후구동부는 기본골격 프레임(100)의 상부 전면투시창(250) 상단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상부브라켓(511)과, 동력원인 구동장치(600)와, 구동장치로부터 받은 토크를 상부전후작동기(520)으로 전달하는 샤프트(512,513)와, 샤프트를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수 있도록 마련된 기어연결 핀(514)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전후구동기(510)와;
    상기의 상부전후구동기(510)의 좌우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상부브라켓(521)과, 상기 상부브라켓(521)과 체결되는 상부메인브라켓(522)과, 상부메인브라켓(522)과 수직으로 고정되는 후방메인브라켓(524)와, 전면투시창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하는 레일(527)과 결합된 연마봉축(536)과, 상기레일(527)과 결합되고 가이드축(528)을 타고 전후진 운동을 하는 베어링하우징(525)과 볼트로 체결된 레일 홀드 메인 브라켓(525)과, 상기 상부전후구동기(510)의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기어(515)와,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전후진운동을 하는 레크기어(516)과, 상기의 피니언기어(515)와 레크기어(516)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 비상키(533)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전후작동기(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1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전후구동부는 기본골격 프레임(100)의 상부 전면투시창(250) 하단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하부브라켓(541)과, 동력원인 구동장치(600)와, 구동장치로부터 받은 토크를 하부전후작동기(550)으로 전달하는 샤프트(542,543)와, 샤프트를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수 있도록 마련된 기어연결 핀(544)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전후구동기(510)와;
    상기의 하부전후구동기(510)의 좌우에 설치되며 기본골격프레임(100)에 몸체를 고정지지시키는 하부베이스브라켓(551)과, 상기 하부베이스브라켓(521)과, 체결되는 연마봉브라켓(554)와, 상기연마봉브라켓(554)과 체결되어 있는 연마봉축(557)과, 연마봉축을 타고 전후이동하는 베어링하우징(555)와, 하부유리프레임(565)과 상기의 베어링하우징(555)에 체결되어 일체로 운동하게 하는 하부메인브라켓(552)와, 상기 하부전후구동기(540)의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기어(560)와, 상기 피니언기어(560)와 치합되어 전후진운동을 하는 레크기어(559)과, 상기의 피니언기어(560)와 레크기어(559)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된 비상키(561)로 구성되어 있는 하부전후작동기(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14.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이동부(570)는 기본골격프레임(100)에 결합 지지시키는 상부커버브라켓(579)과, 상기 상부커버브라켓에(579)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브라켓(580)과; 상부유리프레임과 일체로서 상기의 전후구동부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하는 가이드축(587)과; 레일(527)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크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좌/우 2개의 피니언기어(588)와, 좌측의 피니언기어와 동일한 구동축(589)에 결합되어 엔코드브라켓(574)에 의해 고정된 DC 모터(571)와 체결된 구동풀리(19)로부터 벨트(57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591)와; 상기 좌측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축의 선단에 위치하며 우측의 피니언기어를 회동시키기 위한 벨트로 타이밍종동풀리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구동풀리(592)와; 상기 구동축(589)에 설치되어 텐숀브라켓(583)과 함께 연마봉축(586) 표면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는 베어링하우징(592)과 일체로 체결된 볼베어링하우징(5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KR2020020009608U 2002-03-30 2002-03-30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KR200280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08U KR200280983Y1 (ko) 2002-03-30 2002-03-30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08U KR200280983Y1 (ko) 2002-03-30 2002-03-30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634A Division KR100458302B1 (ko) 2002-03-30 2002-03-30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983Y1 true KR200280983Y1 (ko) 2002-07-13

Family

ID=7312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08U KR200280983Y1 (ko) 2002-03-30 2002-03-30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9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435A (zh) * 2020-07-03 2020-09-25 深圳华博艺展文化工程有限公司 一种可展开式展柜
CN115413916A (zh) * 2022-09-05 2022-12-02 安徽统汇道具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多功能展示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435A (zh) * 2020-07-03 2020-09-25 深圳华博艺展文化工程有限公司 一种可展开式展柜
CN115413916A (zh) * 2022-09-05 2022-12-02 安徽统汇道具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多功能展示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6713A (en) Drive unit for a vertical blind or the like and vertical blind utilizing same
KR100658185B1 (ko) 전시물 보존을 위한 진열장
KR200280983Y1 (ko)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KR100458302B1 (ko)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
CN2629564Y (zh) 陈列展示柜
CN215112283U (zh) 一种户外散光度可调的防雨投光灯
KR100290573B1 (ko)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US4576440A (en) Skylight with a remotely operable light intensity reducing mechanism
CN111867300A (zh) 一种酒店客房电器综合控制装置
JP4008769B2 (ja) 展示装置
JPH108720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7696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566716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CN209805939U (zh) 一种物业用监视设备
KR200469863Y1 (ko) 벽부형 진열장
CN111648621A (zh) 一种洁净棚
CN219206444U (zh) 一种照明橱窗
KR100317838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명장치
CN217872042U (zh) 一种洁净智慧手术室
KR100467158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CN211475613U (zh) 一种可调节探照角度的消防应急灯
CN116768066B (zh) 桥式起重机远程集中控制系统
CN216280972U (zh) 一种灯具
CN218721070U (zh) 一种消防应急照明灯具
JP2004041555A (ja) 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