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36B1 -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 Google Patents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36B1
KR100599536B1 KR1020050127511A KR20050127511A KR100599536B1 KR 100599536 B1 KR100599536 B1 KR 100599536B1 KR 1020050127511 A KR1020050127511 A KR 1020050127511A KR 20050127511 A KR20050127511 A KR 20050127511A KR 100599536 B1 KR100599536 B1 KR 10059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lower support
glass door
piston rod
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836A (ko
Inventor
정찬웅
이두열
이대복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5012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재, 유물 또는 그밖의 각종 물품을 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열 및 보관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진열된 문화재 및 유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면은 투명한 유리로 된 전면유리도어가 전면 상,하부지지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개방시에는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된 후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폐쇄시에는 닫힘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복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전시부에 진열된 문화재나 유물을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조명부로 이루어진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조명부 각각에는 전동식으로 출몰작동하여 전면유리도어를 일정거리 전방으로 인출 및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피스톤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과;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의 피스톤로드 출몰작동을 유선이나 무선 신호로 동기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문화재 진열장, 전시부, 하부지지부, 상부조명부, 전동인출장치수단, 제어장치수단, 가이드 베어링, 가이드홈

Description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Enclosed showcase for exhibiting cultural asse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진열장의 정면도 및 전면유리도어 개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열장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인출장치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4 및 도 5의 C-C선 및 D-D선 단면도.
도 10의 (a)(b)(c)는 본 발명의 전면유리도어가 닫힘위치에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베어링의 작동상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지지부와 상부조명부에 전동인출장치수단을 복수개씩 설치한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열장 2a : 전시부
2b : 하부지지부 2c : 상부조명부
21 : 전면유리도어 22 : 진열대
3 : 조습제 31 : 조습제박스
32 : 연결통로 33 : 조절통로
4a : 전면 상부지지틀 4b : 전면 하부지지틀
41 : 상부고정틀 42 : 상부지지봉
43 : 슬라이딩 안내봉 44 : 안내부
45 : 베어링 안내홈 46 : 하부고정틀
5 : 지지베어링 51 : 지지축
52 : 각형파이프 53 : 지지하우징
54 : 하부지지봉 6a,6b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
61 : 케이스본체 62 : 전동모터
63 : 회전축 64 : 구동베벨기어
65 : 볼스크류축 66 : 연동베벨기어
67 : 볼스크류너트 68 : 실린더부
69 : 피스톤로드 7 : 제어장치수단
8a : 연결봉 8b : 연결구
9 : 가이드 베어링 91 : 가이드 홈
한국 특허 제0312197호
한국 특허 제0467158호
한국 특허 제0467159호
한국 특허 제0469993호
한국 특허 제0485693호
본 발명은 문화재, 유물 또는 그밖의 각종 물품을 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열 및 보관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시를 위하여 진열장에 진열 및 보관된 문화재, 유물 등의 관람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유리로 된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 전면유리도어를 인위적으로 인출하지 않고 전동인출장치로서 자동으로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므로서 진열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고, 기존의 진열장에서 나타나던 잠금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고장수리 및 보수작업을 배제함과 동시에 전면유리도어의 밀폐성을 장구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전동인출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진열장 전면유리도어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진열장에 진열 및 보관된 문화재 등의 점검 및 교체작업에 편리성 추구함과 동시에 전면유리도어를 관리자 이외의 사람이 무단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문화재 등을 도난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인출장치가 구비된 밀폐형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문화재나 유물 등은 국가의 문화적 유산이므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박물관이나 문화재 수장고 등에 보관관리하고 있으며, 또한 박물관 에서는 보관하고 있는 문화재, 유물을 일반인에게 전시 및 열람할 수 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명하게 투시되는 진열장에 진열하여 전시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재 및 유물 등은 온도와 습도가 가급적 변하지 않는 분위기에서 보관되어야만 훼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밀폐형 진열장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진열장은 그 전시부에에 보관된 문화재, 유물들은 주기적으로 점검 및 교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한 유리로 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문화재 및 유물 등을 전시하는 진열장으로서는, 전면의 유리도어만 노출되도록 벽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벽부 매입형 진열장과 문화재 등이 진열되는 전시부의 전,후,좌,우 사면 모두에 투명한 유리가 설치된 4면 독립형 진열장 및 전,후,좌,우 사면 및 상면이 투명한 유리로 된 5면 독립형 진열장 등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들 각 진열장들 중 유리로 된 전면유리도어가 미닫이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진열장의 경우에는 전면유리도어를 닫았을 때 밀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면유리도어의 사방 가장자리가 맞닿는 진열장의 좌,우측 및 상,하측 각각의 선단에 기밀용 가스켓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가스켓은 전면유리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탄력적으로 압착되어야만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면유리도어가 상기한 가스켓을 탄력적으로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면유리도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내어 열게 될 경우에는 상기한 가스켓이 도어의 열림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될 때에는 가스켓이 찢어지거나 변형되어 밀폐력이 상실될 수 있 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밀폐형 진열장들 중에서 전면유리도어를 미딛이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된 진열장의 경우에는 전면유리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 먼저 전면유리도어를 전방으로 일정거리 인출시킨 다음 좌,우측을 향해 밀어주는 방법으로 전면유리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개방된 전면유리도어를 닫고자 할 때에도 전면유리도어를 닫힘 위치까지 밀어서 이동시킨 다음 후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닫아주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제안된 바 있는 종래 기술들은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시킨 다음 열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닫을 때에도 전면유리도어를 닫힘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복귀시켜서 닫아주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전면유리도어를 지지하고 있는 하부지지부의 전면 하부지지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자물쇠뭉치를 열쇠(Key)로 해정하여 자물쇠뭉치를 빼내고, 이어서 자물쇠뭉치가 빠진 구멍을 통해 수동핸들을 집어넣고 볼스크류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작동으로 전면유리도어를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는 바, 이와 같이 전면유리도어를 지지하는 전면 하부지지틀에 장착된 자물쇠뭉치를 열쇠로 해정하여 빼내는 작업을 반복하게 될 때에는 그 자물쇠뭉치의 잦은 삽탈작동에 의해 그 장착부위가 쉽게 손상되는 현상이 나타나 진열장의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으며, 또한 진열장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진열장에 진열된 문화재 등을 점검하고자 할 때마다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마다 자물쇠뭉치를 해정할 수 있는 열쇠와 함 께 수동핸들을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 전면유리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우선 열쇠로 자물쇠뭉치를 해정하여 빼낸 후 다시 수동핸들을 자물쇠뭉치가 빠진 구멍으로 집어넣고 수동핸들을 회전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롭고 힘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면유리도어를 열고 닫는데 많은 수고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문화재 등의 점검 및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점검 및 교체하고자 하는 문화재를 진열장 내부의 온·습도와는 다른 환경에 노출시키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데, 문화재의 노출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문화재의 안전한 관리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선이나 무선방식으로 작동하는 전동인출장치수단으로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자동으로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전면유리도어의 개폐작동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또한 전면유리도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전면 하부지지틀 내면과 이의 내측 전면 하부고정틀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베어링과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 원위치 복귀수단으로 전면유리도어를 개방한 후 폐쇄시킬 때 전면유리도어가 원래의 닫힘위치로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전면유리도어의 폐쇄작동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진열장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열된 문화재 및 유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면은 투명한 유리로 된 전면유리도어가 전면 상,하부지지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개방시에는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된 후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폐쇄시에는 닫힘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복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전시부에 진열된 문화재나 유물을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조명부로 이루어진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에 설치된 전면유리도어를 일정거리 전,후방으로 인출 및 복귀시키기 위한 상기 상부조명부와 하부지지부 각각의 내부에는 전면유리도어의 상,하단에 부착된 전면 상,하부 지지틀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안내봉과 각형파이프 각각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전동식으로 출몰작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로 구성되는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무선 신호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를 출몰작동시키는 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은 케이스본체와,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일측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와, 상기한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장착된 채 상기한 전동모터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볼스크류축과, 상기한 볼스크류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채 상기한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어 볼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연동베벨기어와, 상기 볼스크류축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스크류축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와, 상기 볼스크류너트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볼스크류너트와 함께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실린더부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 각각의 피스톤로드는 전면 상부지지틀 및 전면 하부지지틀에 연결되어 동시에 전면유리도어를 전,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전동모터는 제어장치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정·역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된 연결봉은, 전면 상부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안내봉에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전면 하부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 안내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다수의 지지베어링들 각각의 지지축들이 적당한 간격으로 지지되어 있는 각형파이프에 부착된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전면 하부지지틀의 내면에는 하부고정틀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베어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고정틀에는 상기한 가이드베어링의 삽입을 허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전면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전면유리도어가 전시부 전방의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어긋난 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가 이드베어링이 가이드홈의 일측벽에 접촉하게 될 때 회전하면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작동에 의하여 전면유리도어가 정확한 위치에서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진열장의 정면도 및 전면유리도어 개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진열장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인출장치수단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4 및 도 5의 C-C선 및 D-D선 단면도이며, 도 10의 (a)(b)(c)는 본 발명의 전면유리도어가 제위치에 복귀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베어링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지지부와 상부조명부에 전동인출장치수단을 복수개씩 설치한 실시예 도면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진열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진열장(1)은 문화재 및 유물 등이 진열되는 전시부(2a)와, 상기한 전시부의 하측에는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전시부를 지지하게 되는 하부지지부(2b), 그리고 상기 전시부(2a)에 진열된 문화재 및 유물을 조명하기 위한 형광등과 광섬유램프 등이 설치되어 있는 상부조명부(2c)로 구분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열장(1)은 전시부(2a)가 전·후·좌·우 사면이 유리로 된 4면 독립장, 전·후·좌·우 사면과 상면이 유리로 된 5면 독립장, 전면과 좌·우측면 3면이 유리로 된 3면 독립장, 전면만 유리로 된 벽부 매립형 진열장 등과 같이 적어도 투명한 유리로 된 전면유리도어(21)를 전,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 및 복귀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면유리도어(21)를 좌,우방향을 향해 미닫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든 진열장을 포함한다.
상기 전시부(2a)는 개폐가능한 전면유리도어(21)와 내측 바닥에 문화재 및 유물 등을 진열하는 진열대(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진열대(22)의 사방 가장자리부위에는 후술하는 하부지지부(2b)에 설치되는 조습제박스와 연통할 수 있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2b)는 진열장(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조습제(3)를 교체가능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조습제박스(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습제박스(31)의 상면에는 연결통로(32)와 조절통로(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조습제박스(31) 상면에 형성된 연결통로(32)는 하부지지부(2b)의 중간프레임(23) 상면에 설치된 중간바닥(24)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조절통로(33)는 그 하단이 연결통로(32)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진열대(22) 밑에 있는 상부바닥(25)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전시부(2a)의 내부와 조습제박스(31)가 서로 연통하도록 하므로서 조습제(3)가 전시부(2a)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시부(2a)의 전면유리도어(21) 상,하단에는 전면 상,하부지지틀(4a)(4b)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전면 상,하부지지틀은 전면유리도어(21)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한 전면 상부지지틀(4a)은 그 내측에 고정 설치된 상부고정틀 (41)의 양측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지지봉(42) 각각의 끝단에 연결된 슬라이딩 안내봉(4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딩 안내봉(43)은 전면 상부지지틀(4a)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부(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면 상부지지틀(4a)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한 전면 하부지지틀(4b)은 그 내면에 형성된 베어링 안내홈(45)에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베어링(5)들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상기한 다수의 지지베어링(5)들은 그들의 지지축(51)들이 전면 하부지지틀(4b)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형파이프(52)에 적당한 간격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형파이프(52)는 하부지지부(2b)의 중간바닥(24) 전방측 양쪽에 고정 설치된 양측의 지지하우징(53)에 전,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지지봉(54)의 선단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전면 상부지지틀(4a) 및 전면 하부지지틀(4b)을 전,후방으로의 이동 및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부지지봉(42)과 슬라이딩 안내봉(43) 및 다수의 지지베어링(5)과 각형파이프(52) 등의 구성요소에 대한 작용에 대한 설명은 종래기술 문헌 정보에 기재된 특허 내용에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면유리도어(21)를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로서 자동으로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시키거나 또는 후방으로 원위치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수단(7)을 구비한 것에 있으며, 또한 다른 특징으로는 전면유리도어(21)를 개방시킨 후 닫아줄 때 전면유리도어(21)가 정확한 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는 상부조명부(2c)의 전면 상부지지틀(4a) 내측에 고정 설치하였으며, 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b)은 하부지지부(2b)의 전면 하부지지틀(4b) 내측에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는 상부조명부(2c) 및 하부지지부(2b)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본체(61)와, 이의 내측에 장착되는 전동모터(62)와, 상기한 전동모터(62)의 회전축(63)에 축설되는 구동베벨기어(64)와, 상기한 전동모터(62)의 회전축(64) 선단에 직교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는 볼스크류축(65)과, 상기한 볼스크류축에 구동베벨기어(64)와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연동베벨기어(66)과, 상기한 볼스크류축(65)가 회전작동함에 따라 볼스크류축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67)과, 상기한 볼스크류너트 선단에 고정 연결된 채 케이스본체(61)의 실린더부(68)에서 출몰작동을 하는 피스톤로드(6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의 상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에 출몰작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69)는 연결봉(8a)에 의하여 슬라이딩 안내봉(43)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한 연결봉(8a)은 그 후단이 피스톤로드(69)에 볼트 등으로 고정 연결되고, 그 전단은 슬라이딩 안내봉(43)에 결합되는 구조 예를 들면, 나사식으로 체결된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슬라이딩 안내봉(43)은 전면 상부지지틀(4a)의 안내부(44)에 삽입 설치되어 전면 상부지지틀(4a)을 전,후방으로 인출 및 복귀시키는 작동과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의 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b)에 출몰작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69)는 연결구(8b)에 볼트 등에 의해 각형파이프(52)에 고정 부착된 상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각형파이프(52)에는 다수의 지지축(51)들의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축(51)들 각각의 전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베어링(5)들은 전면 하부지지틀(4b)의 내면에 형성된 베어링 안내홈(45)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의 전면 하부지지틀(4b)을 전,후방으로 인출 및 복귀시키는 작동과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의 전동모터(62)는 회전축(63)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역모터로서, 상기한 전동모터(62)는 회전축(63)의 정·역 회전작동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이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한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하여 정·역 회전이 제어되는 정·역 구동용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수단(7)은 유선 또는 무선의 신호를 받아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을 동기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장치수단(7)은 중앙통제실에서 유선상으로 전송된 신호를 받아 상,하부 전동장치수단(6a)(6b)의 전동모터(62)를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중앙통제실이나 리모트콘트롤에서 무선상으로 전송된 신호를 받아 전동모터(62)의 회전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2b)에는 전면유리도어(21)의 개방작동 후 원위치(닫힘위치)로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 하부지지틀(4b)의 내면 양측에는 가이드 베어링(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틀(46)에는 상기한 가이드 베어링(9)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이드홈(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 베어링(9)은 전면 하부지지틀(4b)의 내면에 부착된 브라켓(92)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한 가이드홈(91)은 하부고정틀(46)에 부착된 수납부재(93)에 요홈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한 가이드 베어링(9)은 전면유리도어(21)가 전시부(2a)의 전면에 정확히 닫힘작동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홈(91)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만일 전면유리도어(21)가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 즉,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 베어링(9)이 가이드홈(91)의 일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닫힘작동이 개시될 때에는 가이드홈(91)의 일측에 접촉하는 가이드 베어링(9)이 가이드홈(91)의 중심쪽을 향해 회전하면서 전면유리도어(21)를 닫힘위치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이드홈(91)으로 삽입되어 전면유리도어(21)가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전시부(2a)를 기밀상태로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열장(1)은 기존의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과 같이 전시부(2a) 내부에 문화재, 유물 등을 진열한 상태에서 전면유리도어(21)를 닫아놓게 되면 하부지지부(2b)에 내장되어 있는 조습제(3)가 전시부(2a)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므로서 전시부(2a) 내부는 설정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문화재 등을 안정하게 진열 및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시부(2a)에 안정된 습도분위기로 문화재 등을 진열하여 전시하다가 주기적인 점검작업이나 또는 기 진열되어 있는 문화재 등을 다른 문화재로의 교체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전시부(2a)의 전면유리도어(21)를 개방시켜야 하는데, 전면유리도어(21) 내면의 사방 가장자리가 맞닿는 부분에는 기밀작용을 하는 가스켓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전면유리도어(21)를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이동시킨 다음 개방시켜야 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전면유리도어(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작업자의 인위적인 작업에 의존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앙통제실에서 유선이나 무선 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관리자 및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 모트콘트롤로 무선 신호를 보내는 수단으로 전면유리도어(21)를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중앙통제실이나 리모트콘트롤에서 전면유리도어(21)를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를 진열장(1)의 하부지지부(2b)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장치수단(7)에 보내게 되며, 상기와 같은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장치수단(7)은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 각각의 전동모터(62)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전면유리도어(21)를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동모터(62)가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될 때에는 피스톤로드(69)가 전방으로 출현작동된다고 가정할 경우 도 8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면유리도어(21)가 닫힘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장치수단(7)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하부 전동인출장치(6a)(6b) 각각의 전동모터(62)가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그의 회전축(63)에 설치된 구동베벨기어(64)가 연동베벨기어(66)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한 연동베벨기어(66)는 볼스크류축(65)을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볼스크류너트(67)가 볼스크류축(65)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69)는 실린더부(68)에서 출현작동하여 전면 상부지지틀(4a) 및 전면 하부지지틀(4b) 각각을 도 9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밀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로드(69)의 출현작동시 전면 상,하부 지지틀(4a)(4b)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전면유리도어(21)도 상기의 지지틀(4a)(4b)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이와 같이 전면유리도어(21)가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의 전동모터(62)는 자동으로 정지 하게 되며, 이어서 작업자가 전면유리도어(21)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전시부(2a)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데(도 2 참조), 이와 같이 전면유리도어(2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개방시키는데 따른 작용은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로 제공된 특허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작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전면유리도어(21)를 개방시켜서 전시부(2a)에 진열된 문화재 등을 점검하거나 또는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개방된 전면유리도어(21)를 닫힘상태로 원위치 복귀시키는 것인데, 이때 전면유리도어(21)를 닫아주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전면유리도어(21)를 닫힘위치로 밀어주어야 하는데, 작업자의 인위적인 작업으로는 전면유리도어(21)를 정확한 닫힘위치까지 정확히 이동시키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전면유리도어(21)가 닫힘위치까지 이동되었는지를 육안으로 대충 확인한 후에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콘트롤을 조작하여 제어장치수단(7)에 도어의 닫힘신호를 무선으로 보내주거나 또는 중앙통제실에 알려주게 되면 중앙통제실에서는 유,무선으로 도어의 닫힘신호를 전송하므로서 전면유리도어(21)의 닫힘작동은 제어장치수단(7)에 의하여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이 전술한 개방작동시와는 반대방향(역방향)으로 구동하여 회전축(63)을 회전시키게 되면, 볼스크류축(65)은 개방작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볼스크류너트(67)는 연동베벨기어(66)쪽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볼스크류너트(67)에 부착된 피스톤로드(69)는 실린더부(68)속으로의 몰입(후진)작동으로 전면 상,하부 지지틀(4a)(4b)를 후방측 즉, 전시부(2a)를 향해 잡아당기게 되어 전면유리도어(21)의 닫힘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전면유리도어(21)가 정확 한 닫힘위치에 있지 않고,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닫힘위치에서 어긋난 위치에서 닫힘작동이 개시될 경우에는 전면 하부지지틀(4b) 내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베어링(9)이 도 10의 (b)도시와 같이 하부고정틀(46)에 형성된 가이드홈(91)의 일측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계속된 피스톤로드(69)의 몰입작동에 의하여 가이드 베어링(9)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91)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가이드 베어링(9)이 가이드홈(91)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전면유리도어(21)도 같이 이동하게 되므로서, 이에 따라 전면유리도어(21)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베어링(9)의 안내에 의하여 정확한 닫힘작동이 이루어진 전면유리도어(21)는 전시부(2a)에 형성된 가스켓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시부를 기밀상태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문화재를 안전하게 진열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 중 도 11 및 도 12의 도시는 진열장(1)의 전면유리도어(21)를 전,후방으로 인출 및 복귀시키는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6a)(6b)을 각각 복수개씩 형성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진열장(1)의 비교적 큰 규격으로 제작될 경우 전면유리도어(21)도 큰 규격으로 형성되고 또 중량도 무거워지기 때문에 전면유리도어(21)를 무리없이 부드럽게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을 상부조명부(2c)와 하부지지부(2b) 각각에 2개씩 대칭상으로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큰 규격의 전면유리도어(21)의 중량을 감안하여 전면 상부지지틀(4a)과 전면하부지지틀(4b)은 같은 구조 즉, 각형파이프(52)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지베어링(5)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열장의 전면유리도어를 전동인출장치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일정거리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전면유리도어의 인출 및 복귀시키는데 따른 번거로운 수고를 배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종래기술과 같이 하부지지부의 전면 하부지지틀에 자물쇠뭉치와 같은 잠금장치를 해정시키기 위한 열쇠 삽입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진열장의 전면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전면유리도어를 개방시킨 다음 원위치로 닫아주고자 할 때 전면유리도어가 닫힘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닫힘작동이 개시되더라도 가이드 베어링에 의하여 전면유리도어는 정확한 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져 항시 기밀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서 진열장에 진열되는 문화재 및 유물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진열된 문화재 및 유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전면은 투명한 유리로 된 전면유리도어가 전면 상,하부지지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개방시에는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된 후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폐쇄시에는 닫힘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복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전시부에 진열된 문화재나 유물을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조명부로 이루어진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에 설치된 전면유리도어를 일정거리 전,후방으로 인출 및 복귀시키기 위한 상기 상부조명부와 하부지지부 각각의 내부에는 전면유리도어의 상,하단에 부착된 전면 상,하부 지지틀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안내봉과 각형파이프 각각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전동식으로 출몰작동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로 구성되는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무선 신호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를 출몰작동시키는 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명부와 하부지지부 각각에 설치된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은 케이스본체와,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일측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와, 상기한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장착된 채 상기한 전동모터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볼스크류축과, 상기한 볼스크류축의 일측에 곡정 설치된 채 상기한 구동베벨기어에 치합되어 볼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연동베벨기어와, 상기 볼스크류축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스크류축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볼스크류너트와, 상기 볼스크류너트의 선단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볼스크류너트와 함께 상기한 케이스본체의 실린더부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 각각의 피스톤로드는 전면 상부지지틀 및 전면 하부지지틀에 연결되어 전면유리도어를 동시에 전,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전동모터는 제어장치수단으로부터 유선신호나 무선신호를 받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정·역 구동용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된 연결봉은, 전면 상부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슬라이딩 안내봉에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동인출장치수단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전면 하부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 안내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다수의 지지베어링들 각각의 지지축들이 적당한 간격으로 지지되어 있는 각형파이프에 부착된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에는 전시부에서 일정거리 인출된 전면유리도어를 닫힘작동시킬 때 전면유리도어가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닫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전면 하부지지틀의 내면에 하부고정틀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베어링과 상기한 하부고정틀에 고정 부착된 채 상기한 가이드 베어링의 삽입을 허용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KR1020050127511A 2005-12-22 2005-12-22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KR10059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11A KR100599536B1 (ko) 2005-12-22 2005-12-22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11A KR100599536B1 (ko) 2005-12-22 2005-12-22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836A KR20060003836A (ko) 2006-01-11
KR100599536B1 true KR100599536B1 (ko) 2006-07-13

Family

ID=3710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511A KR100599536B1 (ko) 2005-12-22 2005-12-22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44B1 (ko) * 2007-05-23 2011-01-14 주식회사 시공테크 전시용 전면 전진 슬라이드 진열장 및 이에 사용되는 가이드 장치
KR101008548B1 (ko) * 2008-08-05 2011-01-14 주식회사 시공테크 배강도 유리에 의해 제작된 전시용 전면 전진 슬라이드진열장
KR101484391B1 (ko) 2013-04-02 2015-01-21 김철수 무선 전동 도어 인출 장치를 갖는 진열장
KR20220137191A (ko) 2021-04-01 2022-10-12 호금옥 진열장 보안관리용 안전개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45B1 (ko) * 2006-06-20 2007-01-09 주식회사 다솔코리아 모형물 전시대
KR100754006B1 (ko) * 2006-11-20 2007-09-03 (주)이환 진열장 고정장치
KR101389324B1 (ko) * 2013-07-22 2014-04-25 주식회사 씨원에스 박물관 진열장 개폐장치 시스템
CN109043974A (zh) * 2018-09-26 2018-12-21 真清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防火隔热独立柜
KR102447454B1 (ko) * 2022-03-28 2022-09-23 정은주 쇼케이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73B1 (ko)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73B1 (ko)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44B1 (ko) * 2007-05-23 2011-01-14 주식회사 시공테크 전시용 전면 전진 슬라이드 진열장 및 이에 사용되는 가이드 장치
KR101008548B1 (ko) * 2008-08-05 2011-01-14 주식회사 시공테크 배강도 유리에 의해 제작된 전시용 전면 전진 슬라이드진열장
KR101484391B1 (ko) 2013-04-02 2015-01-21 김철수 무선 전동 도어 인출 장치를 갖는 진열장
KR20220137191A (ko) 2021-04-01 2022-10-12 호금옥 진열장 보안관리용 안전개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836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536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KR20050030247A (ko) 문화재 전시용 5면 독립형 진열장
CN210407842U (zh) 一种展示三维动漫设计的装置
KR100469992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KR100475195B1 (ko) 문화재 전시용 독립형 진열장
KR100566716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CN1740496B (zh) 文化遗产陈列用陈列柜的锁紧装置
KR101148781B1 (ko) 진열장의 전동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485693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100467159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1484391B1 (ko) 무선 전동 도어 인출 장치를 갖는 진열장
CN109334340B (zh) 应用于艺术字画悬挂式贮藏设备
KR100489699B1 (ko) 문화재 전시용 5면 독립형 진열장
KR100463138B1 (ko) 문화재 전시용 독립형 밀폐 진열장
CN113525872B (zh) 一种医药用冷链箱
KR100876755B1 (ko) 박물관 전시대용 개폐장치
JP4883851B2 (ja) 展示ケース
CN220800637U (zh) 一种品牌设计全方位展示平台装置
KR100467158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2511630B1 (ko) 모듈형 가구
KR101211057B1 (ko) 바닥 매입형 진열장
KR2008000445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명수단이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
KR200381068Y1 (ko)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KR100627716B1 (ko)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KR20040099017A (ko)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