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174A -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174A
KR20000038174A KR1019980053067A KR19980053067A KR20000038174A KR 20000038174 A KR20000038174 A KR 20000038174A KR 1019980053067 A KR1019980053067 A KR 1019980053067A KR 19980053067 A KR19980053067 A KR 19980053067A KR 20000038174 A KR20000038174 A KR 2000003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e
audio signal
control
audio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174A/ko
Publication of KR2000003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39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jitter, timing deviations or phase and frequency errors
    • G11B20/10444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jitter, timing deviations or phase and frequency errors by verifying the timing of zero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오디오신호 뮤트를 종래 고가의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IC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오디오신호 뮤트시 팝(POP)노이즈의 발생없이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함으로서, 오디오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오디오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고가의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부를 사용하는 대신에, 저렴한 음량조절부를 사용하고, 오디오신호에 대한 제로크로싱을 제어부가 판단하여 상기 음량조절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팝(POP)노이즈 없는 오디오신호 처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저렴한 카오디오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카오디오(CAR AUDIO)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오디오의 오디오신호 뮤트(MUTE)를 종래 고가의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뮤트전용 음량조절IC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오디오신호 뮤트시 팝노이즈의 발생없이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함으로서, 오디오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오디오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로크로싱뮤트를 사용하는 카오디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루어져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선택 입력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키입력부(5)와, 상기 키입력부(5)의 입력에 따라 오디오신호의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와 선택된 오디오신호의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등을 해당 블록으로 제공하여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라디오방송을 수신하는 라디오방송수신기(11)와, 테이프를 재생하는 테이프재생기(12)와, CD를 재생하는 CD재생기(13)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들중 하나의 오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입력선택부(14)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선택부(14)에서 선택된 오디오신호에 대한 음량을 조절하는 제로크로싱뮤트전용 음량조절부(15)와, 상기 음량조절부(1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파워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파워증폭부(16)와, 파워증폭된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7)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표시부 구동부(18)와, 상기 구동부(18)에 의해 구동되어 동작중인 해당 재생기 또는 수신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9)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같이 이루어진 종래 카오디오에 있어서,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 카오디오는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 조절부(15)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키입력부(5)의 뮤트선택에 따라 제어부(10)가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부(15)로 오디오신호 뮤트를 제어하고, 이 제어에 따라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 조절부(15)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오디오신호크기가 "0(ZERO)"로 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이 0(ZERO)"으로 되는 지점에서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고, 또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같이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오디오디신호의 크기가 0(ZERO)"으로 되는 지점에서 뮤트를 해제시킨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카오디오는 상기한 바와같은 오디오신호의 뮤트를 수행하기 위해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부를 사용하는데, 이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부는 상당히 고가의 IC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카오디오는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오디오의 오디오신호 뮤트를 고가의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IC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오디오신호 뮤트시 팝노이즈의 발생없이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함으로서, 오디오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오디오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카오디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뮤트포인트를 보이는 오디오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뮤트 제어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조작입력부 11 : 라디오방송 수신기
12 : 테이프재생기 13 : CD 재생기
14 : 입력선택부 16 : 파워증폭부
17 : 스피커 18 : 표시부 구동부
19 : 표시부 20 : 제어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키입력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해당 블록에 제공하여 해당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라디오방송수신기, 테이프재생기, CD재생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할 오디오신호를 선택하는 입력선택부와, 스피커로 제공할 오디오신호의 파워를 증폭하는 파워증폭부를 포함하는 카오디오에서 수행되는 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상기 입력선택부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A/D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뮤트 선택이 있을 때,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을 때, 다시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의 음량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의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며, 또한 뮤트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의 뮤트를 해제시키는 음량조절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은 카오디오 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를 통한 뮤트선택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판별하는 제1단계; 뮤트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선택부로부터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A/D변환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제로크로싱(zero-crossing)을 판별하는 제3단계; 상기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오디오신호의 뮤트를 제어하는 제4단계; 키입력부를 통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판별하는 제5단계;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선택부로부터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A/D변환을 수행하는 제6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제로크로싱을 판별하는 제7단계; 상기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된 오디오신호의 뮤트해제를 제어하는 제8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는 운전자가 기능선택을 할 수 있는 키입력부(5)와, 상기 키입력부(5)에 의한 키입력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입력선택부(14)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A/D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 선택이 있을 때,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을 때, 다시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른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방송수신기(11)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테이프를 재생시키는 테이프재생기(12)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CD를 재생시키는 CD재생기(13)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11)나 재생기(12,1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입력선택부(14)와, 상기 제어부(20)의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의 음량크기를 조절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20)의 뮤트 제어신호 또는 뮤트해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신호의 출력차단을 수행하거나 출력차단을 해제시키는 음량조절부(25)와, 상기 음량조절부(25)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파워를 증폭하는 파워증폭부(16)와, 상기 파워증폭기(1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운전자가 듣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는 A/D변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부의 A/D변환부를 제어하지만, 또한 외부에 별도의 A/D변환부를 구성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오디오는 상기 제어부(20)에 따라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표시부 구동부(18)와, 상기 구동부(18)에 의해 구동되어, 현재 동작중인 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9)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뮤트포인트를 보이는 오디오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뮤트 제어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카오디오디오의 기본동작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키입력부(5)를 통한 운전자의 수신기(11)나 특정 재생기를 선택하고, 해당 볼륨크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장치, 즉 라디오방송 수신기(11) 또는 테이프재생기(12)나 CD재생기(13)를 동작시키고, 입력선택부(14)로 해당 오디오신호의 선택을 제어함과 동시에 음량조절부(25)로 해당 음량조절을 제어하며, 그리고 표시부 구동부(18)를 통해 표시부(19)로 작동중인 장치의 상태정보의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라디오방송 수신기(11) 또는 테이프재생기(12)나 CD재생기(13)중 해당 장치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입력선택부(14)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장치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이때 음량조절부(15)는 제어부(20)의 음량조절에 따라 상기 입력선택부(14)로부터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크기를 조절한후 파워증폭부(16)로 제공하면, 이 오디오신호는 파워증폭부(16)에서 파워가 증폭된후 스피커(17)를 통해서 가청신호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카오디오에서, 오디오신호의 뮤트시키는 동작과정을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단계(51)에서는 제어부(20)가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선택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판별하여 뮤트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제2단계(52)로 진행하는데, 제2단계(52)에서는 상기 제1단계(51)에서 뮤트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선택부(14)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제어부(20)가 입력받아 이 오디오신호를 A/D변환 과정을 통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제3단계(53)에서는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시점, 즉 제로크로싱(zero-crossing)을 판별하여 이 제로크로싱(zero-crossing)되는 경우에 제4단계(54)로 진행하는데,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뮤트선택시점(MS)에서 제로크로싱을 시작하여 가장 근접된 제로크로싱 시점(ZC1)을 검출하여 뮤트제어를 수행한다.
제4단계(54)에서는 상기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20)가 음량조절부(25)로 오디오신호의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음량조절부(25)가 오디오신호의 출력을 차단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디오신호가 뮤트된 상태에서, 제5단계(55)에서는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지를 제어부(20)가 반복적으로 판별하여,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하기 제6단계(56)로 진행한다.
제6단계(56)에서는 상기 제5단계(55)에서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선택부(14)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20)는 이 오디오신호를 A/D변환과정을 통해 디지탈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제7단계(57)에서는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상기 설명한 바와같은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시점, 즉 제로크로싱을 판별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뮤트선택시점(MS)에서 뮤트된 시간(MT)이후 뮤트해제시점(ME)에서부터 제로크로싱을 시작하여 가장 근접된 제로크로싱 시점(ZC2)을 검출하여 뮤트해제 제어를 수행한다.
제8단계(58)에서는 상기 오디오신호가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제어부(20)가 음량조절부(25)로 뮤트된 오디오신호에 대한 뮤트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음량조절부(25)가 오디오신호에 대한 뮤트해제를 수행하여 다시 오디오신호를 파워증폭부(16)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고가의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부를 사용하는 대신에, 저렴한 음량조절부를 사용하고, 오디오신호에 대한 제로크로싱을 제어부가 판단하여 상기 음량조절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팝(POP)노이즈 없는 오디오신호 처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저렴한 카오디오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오디오의 오디오신호 뮤트를 종래 고가의 제로크로싱 뮤트전용 음량조절IC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오디오신호 뮤트시 팝노이즈의 발생없이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도록 함으로서, 오디오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오디오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다.

Claims (2)

  1.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부(5)와, 키입력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해당 블록에 제공하여 해당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와, 라디오방송수신기(11), 테이프재생기(12), CD재생기(13)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할 오디오신호를 선택하는 입력선택부(14)와, 스피커(17)로 제공할 오디오신호의 파워를 증폭하는 파워증폭부(16)를 포함하는 카오디오에서 수행되는 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를, 상기 입력선택부(14)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A/D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 선택이 있을 때,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을 때, 다시 제로크로싱을 수행하여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음량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20)의 뮤트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며, 또한 뮤트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의 뮤트를 해제시키는 음량조절부(25);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2. 카오디오 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선택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판별하는 제1단계(51);
    뮤트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선택부(14)로부터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A/D변환을 수행하는 제2단계(52);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제로크로싱(zero-crossing)을 판별하는 제3단계(53);
    상기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오디오신호의 뮤트를 제어하는 제4단계(54);
    키입력부(5)를 통한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판별하는 제5단계(55);
    뮤트해제 선택이 있는 경우, 입력선택부(14)로부터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A/D변환을 수행하는 제6단계(56);
    상기 변환된 데이타에 기초해서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0"이 되는 제로크로싱을 판별하는 제7단계(57);
    상기 제로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뮤트된 오디오신호의 뮤트해제를 제어하는 제8단계(58);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뮤트 제어방법.
KR1019980053067A 1998-12-04 1998-12-04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8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067A KR20000038174A (ko) 1998-12-04 1998-12-04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067A KR20000038174A (ko) 1998-12-04 1998-12-04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174A true KR20000038174A (ko) 2000-07-05

Family

ID=1956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067A KR20000038174A (ko) 1998-12-04 1998-12-04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02070A (ja) デュアルオーディオプログラムシステム
JP2009044257A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US7561703B2 (en) Audio system,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udio signal output processing
KR20000038174A (ko) 카오디오 뮤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274542A (ja) 車載用音響装置
JP2006262181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2001301536A (ja) 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のメインユニット
JP4413000B2 (ja) オーディオ装置
JP2006099834A (ja) オーディオ装置、オーディオ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892101B2 (ja) 車載用音響装置
JP3233445B2 (ja) 音量調整装置及び音量調整時の音量制御方法
KR100533845B1 (ko) 이퀄라이져를 갖는 스피커
JP2643668B2 (ja) 情報信号受信装置
KR19990051125A (ko)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음향위상 제어장치
KR19980034743A (ko) 카오디오의 조작부기능 음성안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7889A (ko) 외부 음원의 믹싱이 가능한 카 오디오 장치
JPH0631772Y2 (ja) 車載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19980022741A (ko) 자동 볼륨 조절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KR20040085335A (ko) 스탠바이 모드시 외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구비한 다기능 텔레비전 수신기 및 방법
KR20030070757A (ko) 외부 입력신호를 이용한 가라오케장치
JPH0644698B2 (ja) 音響装置
JPH1055185A (ja) 伴奏演奏機能付き音響機器
JPH03139024A (ja) 交通情報受信システム
KR20010001798A (ko) 카 오디오의 자동 모드 선택장치 및 방법
JPH0715365A (ja) 交通情報最適聴取モード自動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