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670A -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670A
KR20000037670A KR1019980052303A KR19980052303A KR20000037670A KR 20000037670 A KR20000037670 A KR 20000037670A KR 1019980052303 A KR1019980052303 A KR 1019980052303A KR 19980052303 A KR19980052303 A KR 19980052303A KR 20000037670 A KR20000037670 A KR 2000003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amplifier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ser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056B1 (ko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0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고,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신호 교환을 수행하는 중계기에서의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속적으로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통하여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송출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에서 업링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증폭기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인 온도의 상승과 노화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active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GSM방식에서 사용되는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증폭기가 동작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소모에 따른 온도의 상승과 노화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업링크의 유입단자에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구비시켜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통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 정상동작하도록 하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화사회에 돌입하면서 신속하고 빈번한 정보 교환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급격하게 개인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이때, 이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스템내에서 이동하는 가입자를 위해 전용 와이어리스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각종 전기 통신 시스템을 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이동 시스템은 공용 랜드 이동망(PLMN)이다.
상기 공용 랜드 이동망(PLMN)의 대표적인 대표적인 방식이 셀룰러 통신방식으로써 일정 지역을 소정갯수의 셀로 구분(대표적으로 7셀방식을 취함)한 후 각 셀마다 해당 영역내의 통신중계를 위한 기지국을 설치하고, 각 기지국은 공중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제어국에 연결되어 진 후 각 셀내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통신중계를 통해 복수의 셀영역을 불규칙적으로 경유하는 무선 단말기(일명 핸드폰)는 어떠한 셀영역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공중 통신망의 국선 가입자들 또는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셀룰러 시스템의 경우 셀(서비스망)설계 방식에 따라 그 통화품질의 성능차이가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전파의 진행방향에 방해물(산, 건물,...)이 존재하면 단말기는 분명히 셀영역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권이탈이라는 통화 불능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셀 설계자는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적은 개수의 기지국을 가지면서도 통화불능지역을 최소화하여 서비스망을 설계하여야 한다.
더욱이, 단말기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중단없는(seamless) 통신이 개제될 수 있기를 희망하기 때문에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완전하게 충족시켜주기에는 사실상 한계가 있어 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들이 근래들어 대두되고 있다.
이때, 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의 제안 방식중 기존의 기지국과 중계기등의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이 GSM방식이다. 상술한 GSM 방식에서 중계기의 역할이란 매우 중료한 것이며, 상술한 중계기의 구성요소중 전력증폭기는 신호의 중계역활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전력증폭기는 상기 GSM 방식에 따라 이동통신의 경우 기지국에서 중계기를 거쳐 단말기로 가는 다운 링크의 경우 항상 일정 패턴의 신호를 송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 역시 다운링크에 해당하는 신호의 전력 증폭을 위해서는 항시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중계기 통관 경로인 업링크의 경우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측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는 호 접속 요구등과 같이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시에나 발생되므로 실질적으로는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의 업링크 경로는 상기 전력 증폭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동작 제어상의 문제로 인해 상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에서는 업링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증폭기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소모에 따른 온도의 상승과 노화현상이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다.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업링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증폭기가 동작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소모에 따른 온도의 상승과 노화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업링크의 유입단자에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구비시켜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통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 정상동작하도록 하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아이솔레이터 20a, 20b : LNA
30a, 30b, 50a, 50b : 필터 40a, 40b : PA
200 : 신호 검출부 100 : 결합기
300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고,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신호 교환을 수행하는 중계기에서의 전력 증폭기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통하여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송출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기설정된 소정시간 이후 상기 기지국측으로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신호 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중계기에서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는 다운링크 전력 증폭부와,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업링크 전력 증폭부와,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신호 수신단에 병렬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검출하는 수신신호 검출부, 및 상기 수신신호 검출부에서 발생되는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는 상기 수신신호 검출부를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신호 수신단에 병렬연결시키기 위해 신호의 손실이 존재하지 않는 결합수단이 더 포함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구성 예시도로서, 크게 다운링크 계통과 업링크 계통으로 구분되는데, 다운링크 계통은 기지국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제 1 아이솔레이터(10a)를 통해 입력받아 링크신호를 증폭하는 LNA(20a)와, 상기 LNA(20a)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등의 잡신호를 제거하는 필터(30a)와, 상기 필터(30a)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단말기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의 변조동작에 따른 신호에서 노이즈등의 잡신호를 제거하는 필터(30b)와, 상기 필터(3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PA(40a)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A(40a)의 출력신호는 제 2 아이솔레이터(10b)를 통해 단말기측으로 송출되어진다.
또한, 업링크 계통은 단말기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제 2 아이솔레이터(10b)를 통해 입력받아 링크신호를 증폭하는 LNA(20b)와, 상기 LNA(20a)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등의 잡신호를 제거하는 필터(50a)와, 상기 LNA(20a)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신호 검출부(200)와, 상기 LNA(20a)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필터(50a)와 신호 검출부(20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결합기(100)와, 상기 필터(50a)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지국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의 변조동작에 따른 신호에서 노이즈등의 잡신호를 제거하는 필터(50b)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며 온동작시 상기 필터(5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PA(40b), 및 상기 신호 검출부(200)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PA(40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PA(40b)의 출력신호는 제 1 아이솔레이터(10a)를 통해 기지국측으로 송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서 업링크에 관련한 전력증폭기의 제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계기의 해당 서비스 구역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는 제 2 아이솔레이터(10b)를 통해 LNA(20b)에 입력된다. 상기 LNA(20b)는 입력받은 업링크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LNA(20b)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결합기(100)를 통해 필터(50a)와 신호 검출부(200)측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 검출부(200)는 결합기(100)를 통해 유입되는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게되는데, 업링크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 반대의 경우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 검출부(200)의 출력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제 1 아이솔레이터(10a)를 통해 기지국측으로 송출하는 PA(40b)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PA(40b)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며 온동작시에만 필터(5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 검출부(200)의 출력신호가 로우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소정시간을 카운팅하고 임계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기지국측으로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중계기의 전력 증폭기에서 업링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불필요하게 전력 증폭기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인 온도의 상승과 노화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고,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신호 교환을 수행하는 중계기에서의 전력 증폭기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신호세기 포착수단을 통하여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기설정된 소정시간 이후 상기 기지국측으로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송출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신호 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중계기에서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해당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하는 다운링크 전력 증폭부와;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업링크 전력 증폭부와;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신호 수신단에 병렬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검출하되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신호 수신단에 병렬연결시키기 위해 신호의 손실이 존재하지 않는 결합수단을 갖는 수신신호 검출부; 및
    상기 수신신호 검출부에서 발생되는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서비스 구역내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어진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전력 증폭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장치.
KR1019980052303A 1998-12-01 1998-12-01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KR10028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03A KR100282056B1 (ko) 1998-12-01 1998-12-01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03A KR100282056B1 (ko) 1998-12-01 1998-12-01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70A true KR20000037670A (ko) 2000-07-05
KR100282056B1 KR100282056B1 (ko) 2001-02-15

Family

ID=1956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303A KR100282056B1 (ko) 1998-12-01 1998-12-01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32B1 (ko) * 1999-08-17 2006-04-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진 방지기능 및 무가입자시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 기능을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2843B1 (ko) * 2015-10-13 2017-02-06 오순기 자실체 배면부에 절단면을 가지는 영지버섯의 열풍건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32B1 (ko) * 1999-08-17 2006-04-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진 방지기능 및 무가입자시 역방향 출력 자동 차단 기능을갖는 중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2843B1 (ko) * 2015-10-13 2017-02-06 오순기 자실체 배면부에 절단면을 가지는 영지버섯의 열풍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056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18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US5152002A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ell site coverage
CA2087285C (en) Rf repeaters for time division duplex cordless telephone systems
US8787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of an amplifier arrangement in a repeater device dispose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970707655A (ko) 무선전화 시스템용 자가-조정 rf 중계장치(self-adjusting rf repeater arrangements for wireless telephone system)
US6125138A (en) Base station transmitter-receiver
KR102258614B1 (ko) 보호 구간을 이용한 상향링크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10004515A (ja) 中継送受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282056B1 (ko)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KR1011935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
KR10069910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신호 전용 중계 장치
JP3717599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60110517A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JPS5840938A (ja) 無線中継装置
JP3338251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40016665A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US20220070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bda
JP2008078928A (ja) レピータ装置
KR20080051778A (ko) Mmr 통신 시스템에서의 최적 경로 선택 방법
KR20000056404A (ko) 전파의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중계기 설치방법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JP2000031880A (ja) 無線中継装置
KR200253529Y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