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529Y1 -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29Y1
KR200253529Y1 KR2020010018378U KR20010018378U KR200253529Y1 KR 200253529 Y1 KR200253529 Y1 KR 200253529Y1 KR 2020010018378 U KR2020010018378 U KR 2020010018378U KR 20010018378 U KR20010018378 U KR 20010018378U KR 200253529 Y1 KR200253529 Y1 KR 200253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antenna
duplex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락준
황인수
권덕식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10018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29Y1/ko

Links

Landscapes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업자들이 인접한 주파수대에서 각각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이, 일부 사업자가 변경됨에 따라 주파수 할당이 증가됨으로 인해 송신출력 증가로 인한 성능 저하를 수신용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출력을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능 저하를 안정화시키고 통신품질을 향상시키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계장치는 3개 사업자가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각 사업자당 7FA를 사용하므로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 출력도 상기 7FA를 수용가능하도록 제작,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업자의 변동에 따라 일부 주파수 대역에 변화가 생겨, 예로써 한 사업자가 14FA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종래의 중계장치에 사용되는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및 중계장치를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분기시킴으로써 서비스 증대나 주파수 확장에 따른 기술적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A repeating system divided transmission power by using diversity antenna}
본 고안은 각종 무선통신 기지국에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업자들이 인접한 주파수대에서 각각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이, 일부 사업자가 변경됨에 따라 주파수 할당(FA;Frequency Allocation, 이하 ‘FA’라 함)이 증가됨으로 인해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 출력이 제한되는 것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출력을 분기시킬 수 있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계장치는 3개 사업자가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스템의 구조나 성능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도 2와 같이 각 사업자당 7FA를 사용하므로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MCPA;Multi Carrier Power Amplifier)의 송신 출력도 상기 7FA를 수용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업자의 변동에 따라 일부 주파수 대역에 변화가 생겨, 예로써 한 사업자가 14FA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종래의 중계장치에 사용되는 송신용 대채널 증폭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및 중계장치를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중계장치가 가지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많이 이용되는 공간 다이버시티 구조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을 분기시킴으로써 서비스 증대나 주파수 확장에 따른 기술적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버시티 방식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사업자별 주파수 할당 및 변경된 사업자별 주파수 할당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버시티 방식 중계장치의 송수신부 종단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b는 도 3a를 변형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의 송수신부 종단을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401. 기지국 102, 402. 제 1 안테나
103, 403. 제 1 듀플렉서 104, 404. 전치 증폭기
105, 405, 405-1. 제 1 혼합기 106, 406, 406-1. 발진기
107, 407, 407-1. 대역통과필터 108, 408, 408-1. 제 2 혼합기
109, 309 다채널 증폭기 110, 310, 410, 510. 제 2 듀플렉서
111, 311, 411, 511. 제 2 안테나 112, 412. 단말기
113, 313. 저잡음 증폭기 114, 414. 주 증폭기
115, 315, 415, 515. 다이버시티 안테나 116, 316. 수신 대역통과필터
117, 317. 합성기 409, 509. 제 1 다채널 증폭기
409-1, 509-1. 제 2 다채널 증폭기 413, ,513. 제 1 저잡음 증폭기
413-1, 513-1. 제 2 저잡음 증폭기 416, 516. 제 3 듀플렉서
417. 감쇠기 418. 조정부
419. 송신 컨버터부 420. 수신 컨버터부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402); 상기 제 1 안테나로부터의 송수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 1 듀플렉서(403); 상기 제 1 듀플렉서를 통과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소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증폭 또는 감쇠시키기 위한 전치 증폭기(404)와, 감쇠기(417)로 구성되는 조정부(418); 상기 조정부로부터의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 1 혼합기(405)와, 대역통과필터(407)와, 제 2 혼합기(408)와, 발진기(406)로 구성되는 송신 컨버터(converter)부(419); 상기 송신 컨버터부로부터의 신호를 분기하여 증폭하기 위한 제 1 다채널 증폭기(409)와, 제 2 다채널 증폭기(409-1); 상기 제 1 다채널 증폭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제 2 듀플렉서(410)와, 상기 제 2 다채널 증폭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제 3 듀플렉서(416);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음영지역에 복사하거나 음영지역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411); 상기 제 3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음영지역에 복사하거나 음영지역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안테나(415);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제 2 듀플렉서를 통과한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저잡음 증폭기(413);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제 3 듀플렉서를 통과한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저잡음 증폭기(413-1);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제 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 1 혼합기(405-1)와, 대역통과필터(407-1)와, 제 2 혼합기(408-1)와, 발진기(406-1)로 구성되는 수신 컨버터부(420); 및 상기 수신 컨버터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주 증폭기(41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구간에서 발생하는 수신신호의 불규칙한 변동현상인 페이딩(fading)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기지국 혹은 중계기에서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공간 다이버시티는 2개의 수신 안테나를 공간상으로 이격시키면 각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페이딩 양상이 서로 독립적이므로, 이러한 두 신호 가운데 신호 레벨이 우수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다중경로 페이딩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는 확률이론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지국 또는 중계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은 송신과 수신을 겸하는 안테나와 다이버시티 수신을 위한 수신전용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각부 특성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에서 송신 경로의 경우 기지국(101)으로부터 제 1 안테나(102)로 수신된 신호는 제 1 듀플렉서(duplexer)(103)에 의해 송신 대역만 통과되어 전치 증폭기(104)를 거쳐 주파수 하향 변환(down convert)을 위해 제 1 혼합기(105)로 입력된다. 이와함께 상기 제 1 혼합기에는 발진기(106)로부터의 로컬(local)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와 로컬 신호의 차(差)신호가 출력된 다음 대역통과필터(107)에 의해 대역통과된 후, 다시 제 2 혼합기(108)로 입력되어 주파수 상향 변환(up convert)된다. 이 신호는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109)에 의해 증폭되어 제 2 듀플렉서(110)에서 하나의 경로로 합성된후 제 2 안테나(111)를 통해 음영지역으로 복사된다.
이와는 달리 수신 경로의 경우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112)로부터 게 2 안테나(111)로 수신된 신호는 제 2 듀플렉서(110)에 의해 수신 대역만 통과되어 저잡음 증폭기(113)를 거쳐 주파수 하향 변환을 위해 제 1 혼합기(105)로 입력된다. 이와함께 상기 제 1 혼합기에는 발진기(106)고부터의 로컬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와 로컬 신호의 차신호가 출력된 다음 대역통과필터(107)에 의해 대역통과된 후, 다시 제 2 혼합기(108)로 입력되어 주파수 상향 변환된다. 이 신호는 주 증폭기(114)에 의해 증폭되어 제 1 듀플렉서(103)에서 하나의 경로로 합성된후 제 1 안테나(102)를 통해 기지국으로 복사된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버시티 방식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a와의 차이점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경로를 더 구비하여 다이버시티 수신을 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도 1b와 같이 서로 이격된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은 각각 낮은 상관 특성을 갖게 되어 다중경로 페이딩 특성이 서로 독립적이므로 한 신호가 깊은(deep) 페이딩을 받더라도 다른 신호는 양호한 수신 레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수신부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b의 송신경로 및 수신경로는 상기 도 1a와 동일하며, 다이버시티 수신경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영지역내 단말기(112)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제 2 안테나(111)와 다이버시티 안테나(115)에 동시에 수신된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는 수신 대역통과필터(116)에 의해 수신 대역만 통과되어 저잡음 증폭기(113)에 입력되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도 1a의 수신 경로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도 1a 및 도 1b와 같은 구조의 중계장치는 종래에 3개 사업자들이 인접한 주파수대에서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스템의 구조나 성능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서비스됨으로써사업자의 변동이나 FA의 증감에 따른 확장성이 고려되지 않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사업자별 주파수 할당 및 변경된 사업자별 주파수 할당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 3개 사업자들이 인접한 주파수대에서 동일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각 사업자당 7FA를 사용하였으므로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 출력도 상기 7FA를 수용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사업자의 변동에 따라 일부 주파수 대역에 변화가 생겨, 예로써 한 사업자가 14FA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종래의 중계장치에 사용되는 송신용 다채널 증폭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및 중계장치를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좀 더 정량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버시티 방식 중계장치의 송수신부 종단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송신경로에 대해서는 다채널 증폭기(309)와 제 2 듀플렉서(310)와 제 2 안테나(311), 주 수신경로에 대해서는 제 2 안테나(311)와 제 2 듀플렉서(310)와 저잡음 증폭기(313), 그리고 다이버시티 수신경로에 대해서는 다이버시티 안테나(315)와 수신 대역통과필터(316)와 저잡음 증폭기(3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사업자 A와 사업자 B는 각각 균등 분배된 10MHz 대역에서 7FA씩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의 중계장치는 최종 출력이 7FA씩 수용되는 다채널 증폭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 사업자의 소요 출력은 FA당 5W로서 수학식 1 또는 표 1에 의해 데시벨 밀리(dBm)로 환산하면이므로, 7FA 전체의 출력은 (37dBm/FA×7FA가 되어 35W, 즉이다. 여기서, dBm은 1mW의 전력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전력값, 즉 mW 단위의 전력을 dB 스케일(scale)로 나타낸 것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7FA 전체의 출력 45.5dBm에 제 2 듀플렉서(310)의 삽입손실(최대 1dB)을 합한 46.5dBm(45W)의 다채널 증폭기가 요구되는데, 현재 사용중인 다채널 증폭기의 최고 출력은 60W 정도로서 상기 요구 출력인 45W를 수용하고 기타 시스템 마진(margin)을 확보할 수 있는 규격이다.
이와는 달리, 사업자 변경에 따른 FA 재배치에 의해 예로써 한 사업자가 14FA를 사용하게 될 경우, 14FA를 수용할 수 있는 다채널 증폭기의 최대 출력을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면, (37dBm/FA)×14FA에서 70W이므로과 제 2 듀플렉스(310)의 삽입손실을 합하면 49.5dBm(약 90W)로서 현재의 상용 다채널 증폭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중계장치 구조를 일부 변형한 도 3d와 같은 종단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 2에서 14FA를 9FA와 5FA로 분리하여 각각 다채널 증폭기를 사용하고 상기 다채널 증폭기들의 출력과 주 수신경로를 합성한 합성기(317)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9FA를 수용하는 다채널 증폭기의 최대 출력을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면, (37dBm/FA)×9FA에서 45W이므로과 합성기(317)의 삽입손실(최소 1.5dB)을 합하면 48dBm(약 64W)으로써 이 방식도 현재의 상용 다채널 증폭기(60W급)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도 3B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합성기가 두개의 송신경로와 하나의 수신경로를 결합해야 하므로 삽입손실이 크게 증가하고, 수동소자의 복잡한 구조와 접속부의 증가로 인한 혼변조왜곡(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 발생한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들이 일부 사업자가 변경됨에 따라 주파수 할당이 변화됨으로 인해 송신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 출력이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는 크게 기지국(401)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제 1 안테나(402)와 제 1 듀플렉서(403)를 구비하고, 각각 두개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로 나뉜다. 먼저 송신경로에 있어서는, 예로써 14FA중 9FA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다채널 증폭기(409)의 출력이 제 2 듀플렉서(410)를 거쳐 제 2 안테나(411)에 의해 음영지역 으로 복사되고, 5FA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다채널 증폭기(409-1)의 출력은 제 3 듀플렉서(416)를 거쳐 다이버시티 안테나(415)에 의해 음영지역으로 복사된다. 이때, 상기 송신경로는 각각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수신호를 소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증폭 또는 감쇠시키기 위한 전치 증폭기(404)와 감쇠기(417)로 이루어진 조정부(418)와, 상기 조정부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 1 혼합기(405), 대역통과필터(407), 제 2 혼합기(408) 및 발진기(406)로 이루어진 송신 컨버터부(419)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송신경로에 있어서 송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도 2을 참조하면 사업자 A의 FA중 제 1 다채널 증폭기가 1FA부터 9FA까지의 대역을 송신하고, 제 2 다채널 증폭기가 10FA부터 14FA까지의 대역을 송신하게 된다.
또한, 수신경로에 있어서는 주 수신경로와 다이버시티 수신경로로 나뉘는데, 주 수신경로는 음영지역내 단말기(412)로부터의 신호를 제 2 안테나(411)가 수신한후 제 2 듀플렉서(410)를 거쳐 제 1 저잡음 증폭기(413)에 의해 증폭하며, 다이버시티 수신경로는 음영지역내 단말기(412)로부터의 신호를 다이버시티 안테나(415)가 수신한후 제 3 듀플렉서(416)를 거쳐 제 2 저잡음 증폭기(413-1)에 의해 증폭한다.
이때, 상기 수신경로는 각각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제 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제 1 혼합기(405-1), 대역통과필터(407-1), 제 2 혼합기(408-1) 및 발진기(406-1)로 이루어진 수신 컨버터부(420)와, 상기 수신 컨버터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주 증폭기(414)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경로에 있어서 수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도 2에서 사업자 A의 14FA 전(全) 대역을 수신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의 송수신부 종단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기 도 2에서 14FA를 9FA와 5FA로 분리하여 각각 다채널 증폭기를 사용하되, 9FA를 수용하는 제 1 다채널 증폭기(509)의 송신경로는 주 수신경로와 결합되는 제 2 듀플렉서(510)를 통해 출력하며, 5FA를 수용하는 제 2 다채널 증폭기(409-1)의 송신경로는 다이버시티 수신경로와 결합되는 제 3 듀플렉서(516)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9FA를 수용하는 다채널 증폭기의 최대 출력을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면, (37dBm/FA)×9FA에서 45W이므로과 제 3 듀플렉서(516)의 삽입손실(최대0.8dB)을 합하면 47.3dBm로서 약 55W에 해당하므로 현재의 상용 다채널 증폭기(60W급)로 적절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현재 서비스중인 무선망 셀과 동일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사업자가 14FA를 9FA와 5FA로 분할하여 서비스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전술한 상용 다채널 증폭기의 최대 출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FA의 다른 조합이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이버시티 수신 방식을 사용하는 다종다양한 중계장치 및 무선통신 시스템에의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본 고안에서 기술한 공간 다이버시티 외에 편파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 증설 및 주파수 확장에 따른 기지국이나 중계장치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지국 및 중계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하여 서비스 증설이나 주파수 확장시 송신기의 송신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신전용인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송수신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송신기 출력 용량의 증대에 따른 대용량 송신기의 개발, 이를 위한 송신기를 구동 유지하기 위한 전력 공급기의 확장, 송신기의 효율과 열분산 장치의 변경 등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각종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로부터의 송수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1 듀플렉서를 통과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소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증폭 또는 감쇠시키기 위한 조정부;
    상기 조정부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송신 컨버터부;
    상기 송신 컨버터부로부터의 신호를 분기하여 증폭하기 위한 제 1 다채널 증폭기와 제 2 다채널 증폭기;
    상기 제 1 다채널 증폭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제 2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다채널 증폭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대역통과시키는 제 3 듀플렉서;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음영지역에 복사하거나 음영지역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상기 제 3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음영지역에 복사하거나 음영지역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이버시티 안테나;
    상기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제 2 듀플렉서를 통과한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저잡음 증폭기;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제 3 듀플렉서를 통과한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제 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대역통과시킨후 주파수 상향 변환하기 위한 수신 컨버터부; 및 상기 수신 컨버터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주 증폭기를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FA의 변동으로 인해 송신출력이 증가된 송신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송신경로를 분기하여 수신전용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다채널 증폭기(409)와 제 2 다채널 증폭기(409-1)로 분기된 송신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주 수신경로와 상기 제 1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신호를 제 2 듀플렉서(410)로 결합하여 제 2 안테나(411)에 의해 음역지역으로 복사하고,
    다이버시티 수신경로와 상기 제 2 다채널 증폭기의 송신신호를 제 3 듀플렉서(416)로 결합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415)에 의해 음역지역으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방식으로서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방식으로서 편파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KR2020010018378U 2001-06-19 2001-06-19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KR200253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78U KR200253529Y1 (ko) 2001-06-19 2001-06-19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78U KR200253529Y1 (ko) 2001-06-19 2001-06-19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29Y1 true KR200253529Y1 (ko) 2001-11-16

Family

ID=7306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78U KR200253529Y1 (ko) 2001-06-19 2001-06-19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746B2 (en) Using an RF repeater in CDMA applications to combat interference caused by a non-collocated radio
US8331271B2 (en) Relay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6484012B1 (en) Inter-band communication repeater system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CN102356674B (zh) 干扰控制
CN110740465A (zh) 多个无线通信装置共存的方法和系统
JPH04234233A (ja) 通信方法と通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と受信装置
KR20100043224A (ko) 무선기지국장치
KR20020037290A (ko) 이동 통신망에서 대역 변환 중계 장치 및 방법
CN115225131A (zh) 一种信号转发方法、中继设备及通信系统
KR2008004642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공유를 위한 장치
EP2595434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said method
EP273397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input-multi-output signals
KR200253529Y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출력 분기형 중계장치
US20220200690A1 (en) Repeater system
JP2003179977A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282959B1 (ko) 선택적 이중경로 수신기를 이용한 기지국
CN114189879B (zh) 一种智能中继器的下行波束训练指示方法及装置
EP1501216A1 (en) Access method and umts repeater system with spectral exchange between umts wave frequencies
US20240205791A1 (en) Activity pattern of coverage enhancing devices
JP2008078928A (ja) レピータ装置
GB2376606A (en) A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to communications in Time Division Duplexing (TDD) Mode between a TDD mobile and a TDD base station
KR101960494B1 (ko) 단일 rf 칩을 이용하여 비대칭 링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및 운영하는 방법
KR20020073878A (ko) 무선 데이터 통신용 주파수 변환 중계기
GB2406018A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peaters with frequency shif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