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654A -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654A
KR20000036654A KR1020000015186A KR20000015186A KR20000036654A KR 20000036654 A KR20000036654 A KR 20000036654A KR 1020000015186 A KR1020000015186 A KR 1020000015186A KR 20000015186 A KR20000015186 A KR 20000015186A KR 20000036654 A KR20000036654 A KR 20000036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r
jack
counterweigh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315B1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박관우
호성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박관우, 호성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00001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31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66B1/3484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using load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엘리베이터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 측정시 일단은 카(10) 또는 균형추(20)에 연결된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에 위치되는 잭(30)과, 상기 잭(30)과 상부빔(11) 사이에 위치되는 로드셀(40)과, 상기 로드셀(40)에 연결되어 측정된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는 지시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잭(30)을 신장시키면 상부빔(11,21)이 잭(30)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로드셀(40)에 카(10) 또는 균형추(20)의 하중이 작용되어 간편하게 그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ement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엘리베이터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수직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카를 승하강시키면서 승객을 실어 나르는 기계로서, 카를 유압식으로 승하강시키는 것도 있으나,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권상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권상 방식의 엘리베이터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승강로(1) 상부의 기계실(3)에 설치되는 모터(60)와, 감속기(63)를 통해 상기 모터(60)와 연동되는 로프풀리(65)와, 이 로프풀리(65)에 걸려진 로프(15)에 일체로 연결된 카(10)와 균형추(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0)를 작동시키면 로프풀리(65)가 회전되고, 이 로프풀리(65)에 걸려진 로프(15)와, 이 로프(15)에 매달린 카(10) 및 균형추(20)가 승하강된다.
한편,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유지 보수시 편의에 따라 부대시설을 추가 또는 교체하게 되며,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각종 점검, 진단, 검사를 받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점검, 진단, 검사 중에는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로 카(10) 및 균형추(20)의 실하중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나, 측정의 어려움으로 부정확한 최초 설계치를 인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는 실하중 측정이 필수적이다.
상기 카(10)의 실하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카(10)를 건물의 최상층으로 이송시킨 상태에서 기계실(3) 천정면의 앵커볼트(71)에 인장저울(74)이 구비된 체인블록(73)을 설치하고, 이 체인블록(73)과 카(10)를 로프(75)로 연결하며, 균형추(20)의 저면과 승강로(1)의 바닥면 사이에 받침목(77)을 설치한 후 체인(72)을 당겨 카(10)를 들어올려, 인장저울(74)에 의해 카(10)의 실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균형추(20)의 실하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10)를 건물의 최하층으로 이송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인블록(73)과 균형추(20)를 로프(75)로 연결하고, 카(10)에 비상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체인(72)을 당겨 균형추(20)의 실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하중 측정을 위해서는 점검자, 검사자가 무거운 체인블록(73)과 로프(75) 등을 승강로(1) 상부의 기계실(3)까지 운반하여 카(10) 또는 균형추(20)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묶어야 하며, 균형추(20)의 저면에 버팀목(77)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그 측정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과정에서 카(10)와 균형추(20)는 로프(75)에 의해 체인블록(73)에 묶어져 매달리게 되는데, 이러한 로프(75)에는 카(10) 또는 균형추(20)의 무게가 실리기 때문에 그 매듭부분이 풀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므로 숙련공에 의해 견고하게 묶여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하중 측정을 위해서는 인장저울(74)이 구비된 체인블록(73)과 로프(75) 및 버팀목(77) 등 많은 측정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엘리베이터의 하중 측정이 가능하고,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에 의해 카의 하중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에 의해 균형추의 하중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잭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 11 : 상부빔
15 : 권상로프 20 : 균형추
21 : 상부빔 30 : 잭
39 : 조절너트 40 : 로드셀
50 : 지시계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 측정시 일단은 카(10) 또는 균형추(20)에 연결된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에 위치되는 잭(30)과, 상기 잭(30)과 상부빔(11) 사이에 위치되는 로드셀(40)과, 상기 로드셀(40)에 연결되어 측정된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는 지시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잭(30)을 신장시키면 상부빔(11,21)이 잭(30)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로드셀(40)에 카(10) 또는 균형추(20)의 하중이 작용되어 간편하게 그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잭(30)은 로프소켓(16)의 볼트(17)에 결합되는 어댑터(31)와, 이 어댑터(31)의 하단으로부터 그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33)와, 이 베이스(33)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는 나사부(35c)가 마련된 연결로드(35)와, 이 연결로드(35)의 상단부로부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로드(35)의 나사부(35c)와는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나사부(37a)가 마련된 지지로드(37)와, 상기 연결로드(35)와 지지로드(37)의 나사부(35c,37a)를 연결하는 조절너트(3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너트(39)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37)가 연결로드(35)를 중심으로 승강작동되며, 상기 어댑터(31)와 연결로드(35)는 베이스(33)를 따라 그 수평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는 그 일단이 카(10) 또는 균형추(20)에 연결된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에 위치되는 잭(30)과, 상기 잭(30)과 상부빔(11,21) 사이에 위치되는 로드셀(40)과, 상기 로드셀(40)에 연결되어 측정된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는 지시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상로프(15)는 로프풀리(65)를 거쳐 그 일단은 균형추 상부빔(21)의 관통공(22)을 통과하여 균형추(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카 상부빔(11)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카(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권상로프(15)의 양 단부에는 로프소켓(16)이 결합되고, 이 로프소켓(16)의 단부에는 오른나사 방향의 볼트(17)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볼트(17)에는 이중너트(18)가 결합되어 카(10) 또는 균형추(20)에 고정된다.
상기 잭(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소켓(16)의 볼트(17)에 결합되는 어댑터(31)와, 이 어댑터(31)의 하단으로부터 그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33)와, 이 베이스(33)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는 나사부(35c)가 마련된 연결로드(35)와, 이 연결로드(35)의 상단부로부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로드(35)의 나사부(35c)와는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나사부(37a)가 마련된 지지로드(37)와, 상기 연결로드(35)와 지지로드(37)의 나사부(35c,37a)를 연결하는 조절너트(3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어댑터(31)는 중앙부에 결합공(31b)이 관통된 조인트(31)와, 이 조인트(31)로부터 상향 연장된 나사부(31c)로 이루어지며, 이 나사부(31c)와 로프소켓(16)의 볼트(17)를 너트(32)로 조여 결합하게 된다. 또, 상기 나사부(31c)의 하단 중앙부에는 삽입홈(31d)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31d)에는 스프링에 의해 하향 지지되어 후술할 베이스(33)의 요홈(33a)에 걸려지는 볼(31e)이 끼워진다.
상기 연결로드(35)는 중앙부에 베이스(33)와 연결되는 결합공(35b)이 관통된 조인트(35a)와, 이 조인트(35a)로부터 상향 연장된 나사부(35c)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33)는 어댑터(31)와 연결로드(35)의 결합공(31b,35b)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양단부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33a,33b)이 형성되어 이 요홈(33a,33b)에 상기 어댑터(31)와 연결로드(35)의 볼(31e,35e)이 삽입되어 수평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로드(37)는 그 상단부에 상기 로드셀(40)이 안착되는 안착홈(37b)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연결로드의 나사부(35c)와 반대방향으로 권선되는 나사부(37a)가 마련되어 상기 조절너트(39)에 의해 연결로드(35)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너트(39)를 풀거나 조이게 되면, 상기 지지로드(37)가 연결로드(35)를 중심으로 승강 작동된다.
이상의 잭(30)은 나사방식에 의해 신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유공압방식, 기어방식, 지랫대 방식으로 작은 힘을 가해 큰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신축되는 것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측정장치은 조절너트(39)를 조이거나 풀게되면, 상기 지지로드(37)가 권상로프(15)에 일체로 연결된 베이스(33)를 중심으로 승하강되면서 승강시 카(10) 또는 균형추(20)를 밀어올려 지지로드(37) 상단의 로드셀(40)에 그 하중이 작용되도록 하므로써, 지시계(50)에 의해 편리하게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즉, 상기 하중 측정장치는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하고, 조절너트(39)를 회전시켜 잭(30)이 승강되도록 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카(10)와 균형추(20)의 하중이 측정된다.
또한, 이러한 하중 측정장치는 비교적 그 사이즈와 무게가 작아 휴대하기 편리하고, 그 측정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도 쉽게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중측정장치는 잭(30)을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신장시키기만 하면,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간편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게 카(10)와 균형추(20)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그 사이즈와 무게가 작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하중 측정시 일단은 카(10) 또는 균형추(20)에 연결된 권상로프(15)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에 위치되는 잭(30)과, 상기 잭(30)과 상부빔(11) 사이에 위치되는 로드셀(40)과, 상기 로드셀(40)에 연결되어 측정된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는 지시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잭(30)을 신장시키면 상부빔(11,21)이 잭(30)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로드셀(40)에 카(10) 또는 균형추(20)의 하중이 작용되어 간편하게 그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잭(30)은 로프소켓(16)의 볼트(17)에 결합되는 어댑터(31)와, 이 어댑터(31)의 하단으로부터 그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33)와, 이 베이스(33)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는 나사부(35c)가 마련된 연결로드(35)와, 이 연결로드(35)의 상단부로부터 카(10) 또는 균형추(20)의 상부빔(11,21) 저면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로드(35)의 나사부(35c)와는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나사부(37a)가 마련된 지지로드(37)와, 상기 연결로드(35)와 지지로드(37)의 나사부(35c,37a)를 연결하는 조절너트(3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절너트(39)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37)가 연결로드(35)를 중심으로 승강작동되며, 상기 어댑터(31)와 연결로드(35)는 베이스(33)를 따라 그 수평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장치.
KR1020000015186A 2000-03-24 2000-03-24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KR10036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86A KR100365315B1 (ko) 2000-03-24 2000-03-24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86A KR100365315B1 (ko) 2000-03-24 2000-03-24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654A true KR20000036654A (ko) 2000-07-05
KR100365315B1 KR100365315B1 (ko) 2002-12-18

Family

ID=1965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86A KR100365315B1 (ko) 2000-03-24 2000-03-24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5333A (zh) * 2012-05-10 2012-08-22 厦门汉京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平衡系数及抱闸是否抱紧的方法及装置
KR200466509Y1 (ko) * 2011-04-28 2013-04-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종진동 제어장치
CN105417304A (zh) * 2014-09-11 2016-03-23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的升降体的重量测定方法及重量测定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56A (ko) 2014-12-31 2016-07-08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975A (ja) * 1989-09-11 1991-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秤装置
JP3300061B2 (ja) * 1991-11-15 2002-07-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車両の負荷計測用組立体
JP3050988B2 (ja) * 1992-03-09 2000-06-1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荷重検出装置
JPH06255933A (ja) * 1993-03-03 1994-09-1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過荷重検出装置
JPH0873152A (ja) * 1994-09-05 1996-03-19 Toshiba Corp 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09Y1 (ko) * 2011-04-28 2013-04-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종진동 제어장치
CN102645333A (zh) * 2012-05-10 2012-08-22 厦门汉京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平衡系数及抱闸是否抱紧的方法及装置
CN105417304A (zh) * 2014-09-11 2016-03-23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的升降体的重量测定方法及重量测定装置
CN105417304B (zh) * 2014-09-11 2018-01-30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的升降体的重量测定方法及重量测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315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4247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WO2012069691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esting the load-supporting capability of a lifting fixture
KR100365315B1 (ko)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JP588672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張力検査装置及びロープ張力検査方法
KR100823859B1 (ko) 고가도로 하부 면 점검 및 보수작업 방법 및 그 점검 및보수장치
CN209758776U (zh) 电梯限速器动态试验装置
KR10169126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JP2001226052A (ja) エレベータの昇降体重量測定方法
KR102143284B1 (ko) 승강기의 로프장력과 견인력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594345B1 (ko) 수직형 휠체어리프트의 케이지 추락방지부 시험장치
JP6218483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固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112279035A (zh) 一种新型的限速器钢丝绳提升装置
KR200316718Y1 (ko) 엘리베이터 하중 측정장치
JP6555183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体の重量測定装置
CN214359684U (zh) 可调节的对重缓冲块和电梯对重装置
JP2005067813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の揚重治具及び揚重方法
JP2008195487A (ja) エレベータの綱止機構の吊り下げ治具
CN107101810A (zh) 一种拖缆机的刹车组件的检测方法和检测系统
CN217296992U (zh) 一种预制混凝土排水管加工用出厂检验装置
CN219890738U (zh) 一种电梯无载静态曳引试验设备
CN114295402B (zh) 一种卷扬式启闭机试验系统
CN210768082U (zh) 一种烟囱上梁用拔杆装置
JP2007186274A (ja) エレベーター用昇降路頂部機器の据付方法
KR20040011060A (ko) 엘리베이터 하중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