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245A - 브루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루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245A
KR20000036245A KR1019997002331A KR19997002331A KR20000036245A KR 20000036245 A KR20000036245 A KR 20000036245A KR 1019997002331 A KR1019997002331 A KR 1019997002331A KR 19997002331 A KR19997002331 A KR 19997002331A KR 20000036245 A KR20000036245 A KR 2000003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
brewing
basket
hot wat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590B1 (ko
Inventor
즈비뉴 지. 라쏘타
Original Assignee
푸드 이큅먼트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드 이큅먼트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푸드 이큅먼트 테크놀러지즈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3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67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linear guides, e.g. drawer-type eng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서어빙 카트(64)상에 장착된 단열 디스펜서 어언(66)을 갖춘 대용량 브루잉 시스템(30)은 어언(66) 내로 브루잉된 음료를 직접 수용하기 위하여 정렬된다. 물을 가열하는 동시에 전력 소모를 감소하도록 이중 브루어(30)의 두 개의 브루어(30A, 30B)에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어언 지지부(358),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루잉 바스켓(180), 2 밸브(170, 176) 어언 세척 시스템, 보유 탱크 분무 클리너(300, 302, 304) 및 전력 제어기(158)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루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BREWE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집회, 대형 연회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대용량의 커피 제조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이러한 시스템은 6갤런의 제거가능한 어언(urn) 내에 한번에 6갤런의 커피를 제조하며, 새로이 브루잉된 커피가 선택적으로 자동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60갤런 보유 탱크 내에 240갤런에 달하는 커피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거가능한 어언은 전기, 가스 등의 가열소자에 의해 물이 고온으로 유지되는 온수 충진 라이너 내에서 유지된다. 유사하게, 저장 또는 보유 탱크는 저장된 커피를 뜨겁게 유지하도록 가열된 물이 순환되는 라이너를 갖고 있다.
커피가 분당 약 10갤런의 비율로 감해질 때, 보유 탱크의 디스펜서 밸브 아래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는 바퀴달린 카트상에 지지되어 있는 가동식 디스펜서가 채워진 후에 완전하게 적재된 가동식 디스펜서를 들어올릴 필요없이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보유 탱크가 없거나 보유 탱크로부터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커피가 어언당 약 2갤런의 비율로 6갤런의 어언 내로 직접 브루잉된다. 이러한 제거가능한 어언은 브루어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어야하며 커피가 제공되어야 하는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카트에 탑재되어야 한다. 커피가 채워진 어언의 중량으로 인하여, 브루어로부터 카트상의 제거가능한 디스펜서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어언을 미끄러뜨리고 들어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엎지르는 경우에는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두 개의 디스펜서를 선택적으로 충진할 수 있는, 소위 "이중 브루어(twin brewers)" 또는 "커플 브루어(couple brewers)"로 불리는 커피 브루어에 있어서, 단일 전력 공급기를 갖춘 브루잉 싸이클의 제어기와 물탱크 및 히터가 단 하나씩만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커피 브루잉 비율에 따른 제한은 물공급에 의해서가 아니라 필요한 전력 공급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브루잉 싸이클을 시작하도록 커피 또는 다른 브루잉 재료를 담고 있는 브루잉 바스켓을 통해 온수 보유 탱크로부터 온수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개방되어야 하는 온수 디스펜서 밸브는 온수 보유 탱크 내의 물 온도가 적절한 온도 및 온수 보유 탱크 내의 물이 한 브루잉 싸이클이 끝난 후에 다음 싸이클을 시작하도록 재가열될 수 있는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전기 히터의 경우에 가열소자에 적절한 전력량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시스템에는 이중 브루어 둘 다를 위한 단 하나의 온수 탱크만이 있기 때문에, 적어도 두 개의 어언을 채우는데 충분한 온수는 브루어의 양측이 새로운 브루잉 싸이클을 시작할 수 있기전에 반드시 가열되어야 하거나, 다른 측이 자체의 브루잉 싸이클을 완료하고 물이 다시 재가열되기 전까지 브루어의 어느 측도 작동하지 않는다. 공지된 대용량 커피 브루잉 시스템에서는, 온수 탱크 내의 물이 브루잉 바스켓을 통해 분배될 때 일정한 압력 헤드와 균일한 유량을 유지하도록 새로운 물이 온수 탱크에 부가된다. 이리하여 분배된 온수의 양은 온수 분배 밸브가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 개방되는 식간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브루어는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 부가된 물을 가열하도록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공지된 브루잉 시스템 내의 제거가능한 어언이 온수 라이너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온수 보유 탱크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에 더하여 이를 위한 추가의 전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력의 요건 때문에, 공지된 용량의 시스템의 브루잉 비율은 브루잉 장소에 적절한 전력 공급 수준에 의해 제한된다. 공지된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러한 방법 때문에, 브루잉 비율은 0.75 갤런/분(또는 45 갤런/시)으로 제한된다. 공지된 이중 브루잉 시스템이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이중 브루어의 양 측에서 단일 제어기 또는 그것의 단일 전력 공급이 고장나면 전체 브루잉 시스템이 완전하게 작동불능이 된다는 것이다. 즉, 이중 브루어의 어느 측도 작동하지 않는다.
새로이 브루잉된 커피가 이송되는 보유 탱크를 갖는 공지된 브루잉 시스템이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이송 기능이 탱크가 가득 찬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계속 수행되고 이중 브루어 내의 한 브루어를 위한 긴급 중단 스위치가 제 2 브루어로부터의 이송을 중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앞서 간략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된 대용량의 브루어가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6 갤런의 제거가능한 분배 어언을 제거하는데 있다. 이러한 어언이 채워졌을 때에는 매우 무겁다(약 19 파운드). 이러한 제거가능한 어언은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 이들이 얹혀지는 고정 선반 또는 어언 플랫폼상의 브루어의 아래에서 밖으로 미끄러져야 한다. 이것은 에지가 어언 플랫폼상에 부분적으로 얹혀져서 불안정한 경우에 양 측부상의 핸들을 파지하도록 브루어 아래로부터 밖으로 충분하게 어언을 잡아당기도록 브루어 아래로부터 충분하게 밖으로 어언을 밀도록 전방으로부터 디스펜서 어언을 파지할 수 있는 서버를 필요로 한다. 이 서버는 구부러져야 하며 자유롭게 어언 플랫폼의 에지로부터 이송가능한 카트 상의 용기 내로 수동적으로 올려져야 한다.
공지된 대용량의 커피 브루어의 또 다른 단점은 온수가 통과하는 브루잉 후에 적어도 5 파운드의 커피가 담겨지는 브루잉 바스켓이 브루어로부터 브루잉 바스켓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새로운 싸이클을 위한 브루어를 준비하기 위하여 땅에 버리기에는 너무 무겁다는 것이다.
보유 탱크가 부착된 이중 브루어를 갖춘 공지된 대용량의 커피 브루잉 시스템의 다른 단점은 하나의 브루어가 커피를 브루잉할 수 있는 비율을 넘어서 보유 탱크가 채워질 수 있는 비율을 증가시킬 수단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은 측면 관계성에 의해 측면에서 고정된 역 상면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시스템 용량을 일시적으로 강화시키는데는 기여하지 않는다.
공지된 대용량의 브루잉 시스템이 갖는 또 다른 단점은 바스켓의 벽 내의 단일 개방 융기부가 단일 바이패스 노즐로부터 우회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의 벽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필터의 부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노즐만이 있기 때문에 우회 물의 유량이 커서, 커피를 담고 있는 필터 종이를 붕괴시켜 전체 브루잉 싸이클이 중단되게 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용량 브루잉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이중 브루어, 음료 저장 탱크 및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브루어의 아래에 정렬된 이송가능한 이중 브루어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이중 브루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송가능한 이중 브루어디스펜서와 함께 도 1a 이중 브루어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제어 스위치 패널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d는 두개의 이중 디스펜서에 대한 음료 저장 탱크 및 디스펜서 카트 상의 메이트 안내 부재를 도시한 도 1a의 브루어 시스템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카트에 장착되고 브루어중의 하나의 브로어 아래에만 정열된 단일 이송가능한 브루어 디스펜서와 또 다른 비어있는 브루어 격실을 갖는 도 1a의 이중 브루어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비어있는 격실을 갖는 측면으로부터 도 2a의 이중 브루어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어언과 정열한 디스펜서 지지물에 장착된 이송가능한 단일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 2a의 어언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1a와 유사한 디스펜서가 수동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펜서 지지물 상의 브루어로부터 이동됨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카트에 수동으로 제거간으한 이송가능한 단일 브루어 디스펜서를 갖는 카운터 상에 지지된 본 발명의 고정식 단일 브루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고온수 디스펜서, 고온수 히터, 제어 스위치, 디스펜서, 저장 탱크 및 제어기를 갖는 브루어를 포함한 도 1a의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도 5a는 소거 프로그램 가능 ROM(EPROM)을 포함한 제어기의 부분 블록선도 및 부분 배선도로서, 제어기 프로그램은 도 3에 모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저장되고 지시기 상태 라이트 및 스위치와 연관되어 있다.
도 5b는 카트의 평면도로서, 바이패스 싸이클, 브루어 싸이클, 및 플러시 싸이클에 대한 시간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고정 상태 타이머의 제거가능하도록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여 도 5A의 제어기가 장착되어 있다.
도 5c는 도 4b의 회로 가열 내부로 플러그 접속되는 고정 상태 타이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4a의 EPROM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논리 흐름도이다.
도 6은 저장 탱크를 정화하고 위생처리 하기 위해 저장 탱크의 측면을 플러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프레이 노즐 헤드 조립체를 도시한 도 1a의 확대된 저장 탱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환형의 바이 패스를 포함한 도 1a의 브루어 바스켓와 연관된 고온수 디스펜서 헤드 및 바이패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바이패스/디스펜서 조립체와 정령하여 실링 결합된 브루어 바스켓을 갖는 도 1a의 브루어 바스켓 및 이동가능한 브루어 바스켓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와 유사한 바이패스/디스펜서 조립체와 실링 결합되기 이전에 정열 위치에 인접한 브루어 바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 및 도 8b와 유사한 바이패스ㅡ/디스펜서 조립체와 실링 결합하기 이전에 정열 위치에 인접한 브루어 바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디스펜서 입구의 위치를 도시한 도 1a의 이중 디스펜서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상층 및 바닥 사이의 등온 분리 가스켓을 도시한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자켓과 슬리브 사이의 등온 분리를 도시한 도 1a의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싱크/적하 트레이의 조절가능한 장착 기구를 도시하기 위한 도 2a의 브루어의 확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대용량 브루잉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갖고 있는 단점과 한계들을 극복하는 대용량 브루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은 요구되는 시스템의 일시적인 용량 강화을 가능하게 하고, 어언의 제거와 분배를 용이하게 하고, 배출된 브루잉 바스켓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필터가 브루잉 바스켓 내로 무너지는 것을 감소시키고, 작동에 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유용한 소정의 전력소비 동안에 제조율을 증가시키는 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특징들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되며 이외에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가동식 이중 브루어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직선형 하우징 또는 프레임(32)내에 나란히 대칭관계로 장착된 한 쌍의 거의 동일한 브루어(30A,30B)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형 하우징은 4개의 거의 동일한 레그(38)에 의해 바닥부(36)위에 지지된 기저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부(34)는 상부 후방 하우징부(40A)와 하부 후방 하우징부(40B)를 갖는 길다란 직립형 후방 하우징부(40)를 지지하고 있다.
상부 후방 하우징부(40A)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닥부(36)위의 예정된 상당히 높은 위치에 현수된 외팔보 관계로 전방하우징부(42)를 차례로 지지한다. 외팔보 지지된 전방 하우징부는 전방 하우징부는 상부 외팔보지지 하우징부(42A)와 하부 외팔보지지 하우징부(42B)를 가진다. 상부 외팔보지지 하우징부의 전방면에 장착된 것은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 쌍의 브루어(30A,30B)와 각각 관련된 관련상황 표시등과 수동으로 작동하는 제어 스위치를 위한 두 개의 제어 패널(44A,44B)이다. 상기 제어패널(44A,44B)의 스위치와 등은 상부 외팔보 지지된 하우징부(42A)에 내장되어 보호되는 한 쌍의 관련 전자 제어기(도시않음)에 연결된다.
도 1c에 도시된 제어 패널(44A)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어패널(44A,44B)은 관련 브루어에 교류전력의 인가를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46)와, 관련 브루어(30A,30B)가 브루잉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브루잉 대기 표시등(48)과, 관련 브루어의 브루잉 싸이클을 수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브루잉 정지 스위치(52), 및 관련 브루잉 시스템의 플러싱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안정 플러시 스위치(54)를 포함하며, 이들 소자에 대해선 상세히 후술된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하부 외팔보 지지된 하우징부(42b)는 바닥부(36)에 외팔보 지지된 관계로, 브루잉/바이패스 온수 분배기 조립체(56)와 각각의 브루어(30A,30B)용 브루잉 바스켓 조립체(58)를 지지한다. 브루잉 싸이클중, 후방 하우징부(40)내에 장착된 각각의 브루어(30A,30B)용 분리형 온수 분배기 탱크로부터의 온수는 브루잉 바스켓 조립체(58)내에 포함된 그라운드 커피를 통해, 또한 브루잉 바스켓 조립체(58)의 바닥에 있는 음료 출구(60)를 통해 통과하거나 흐름으로써 하향으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면으로서, 전방 하우징부(42)의 외팔보 지지에 의해 바닥부 위의 정확한 위치에 음료출구(60)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후방 하우징부(40)의 전방(40C)으로부터 정확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은 단일입구 가동식 분배기 조립체(62)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우측 브루어(30A,30B)와 같은 이중 브루어중 어느 하나, 또는 도 1b에 도시한 이중 입구 가동식 분배기 조립체(64)와의 정확한 깊이정렬을 보장한다. 단일 입구 가동식 분배기 조립체(62)의 후면(62A)과 도 3A의 후면이 후방 하우징부(40)의 전방(40C)에 맞닿으면, 상기 가동식 분배기 조립체(62,64)는 가동식 분배기(62,64) 내측으로 각각 브루잉 커피를 수용하기 위해 정확히 정렬된다. 깊이정렬은 보완되며 측면정렬은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레그 가이드(68A)와 상기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레그 가이드(66A,66B)에 의해 보장되며, 이는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단일입구 가동식 분배기(62)는 프레임(64A)과 기저부(64C)에 의해 차례로 지지된 지지 플랫폼(64C)을 갖는 카트 조립체(64B)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64C)는 한 쌍의 전방 외측 휠(64D)과 한 쌍의 피봇 지지된 후방 스티어링 휠(64E)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은 바닥면(36)을 따른 회전운동을 위해 단일 입구 가동식 분배기를 보통 사다리꼴 관계로 지지한다. 휠에는 브레이크가 제공되어 있다. 바닥에 따른 단일 입구 가동식 분배기(6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카트 조립체(64)의 전방에 한 쌍의 핸들(64F)이 제공되어 있다. 상당한 깊이를 갖는 조절가능하게 장착된 싱크 또는 드립 트레이는 한 쌍의 수평으로 정렬된 키이 구멍 슬롯(64H)(단지 사용치 않는 쌍만 도시함) 내측에 끼워맞춰지는 포스트(도시않음)에 의해 프레임(64G)에 장착된다.
하나의 입구를 갖는 분배기(66)는 플랫폼(64A)상에 놓여 있는 폐쇄 바닥부(66B)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으로 정렬될 때 음료출구(60)로부터 새롭게 브루잉된 음료를 직접수용하기 위한 중앙 배치식 입구 깔대기(66D)가 장착되어 있는 절연 뚜껑(66C)을 갖는 측벽(66A)에 의해 한정된 단열 콘테이너를 가진다. 분배기(66)가 글라스 게이지(66F)에 의해 표시된 소정량의 커피로 채워진 후에, 분배기 조립체(62)는 핸들(64F)을 사용하여 하부 브루어(30B)의 물꼭지(66E)로부터 개개의 컵이나 용기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소정의 거리에 있는 위치로 회전되어 이동된다. 분배기(66)가 채워진 후에, 입구 깔대기(66D)는 제거가능한 통풍 캡(420)(도시않음)으로 폐쇄되어 이송중의 쏟아짐이나 열손실을 감소하게 된다. 단열 커버(66C)는 나사형성된 기둥의 아래에 고정된 나사 노브(66G)에 의해 하향으로 단단히 나사조임된 클램프에 의해 제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로크된다. 클램프는 해제되며 커버(66C)는 세척을 위해 분배기의 내측으로 진입하기 위하 한 쌍의 핸들(66H)에 의해 제거된다. 이와는 달리, 핸들(66H)은 입구 분배기 전체를 플랫폼(64A)으로부터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이중의 브루잉 시스템(30)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일 입구 분배기 조립체(64)로 사용되며, 또한 한 쌍의 가동식 단일 입구 분배기 조립체(620가 각각의 브루어에 의해 채워져야 하는 일련의 분배기 조립체(62)로 조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d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중 브루어 조립체(30)는 도 1a및 도 1b의 가동식 단일 입구 분배기 조립체(62)와 유사한 가동식 이중 입구 분배기 조립체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입구 분배기 조립체(72)는 이중 브루어 조립체(30)와의 결합위치로 바닥(36)을 가로질러 회전할수 있는 카트(74)상에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결합위치에서, 한 쌍의 입구노즐(72A,72B)은 하나의 분배기 조립체(72)내측으로 양측 브루어로부터 신선한 커피를 직접 동시에 브루잉할 수 있도록 좌우측 브루어(30A,30B)의 음료 출구와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가동식 단일입구 분배기 조립체(62)처럼, 이중입구 분배기 조립체(70)는 프레임 또는 하우징(74)을 지지하는 4개의 휠(72)세트를 가지며 차례로 이중입구 분배기(720를 지지한다. 이중입구 분배기는 단열체(76)와 입구 깔대기(72A,72B)가 장착된 단열 뚜껑(78)을 가진다. 상기 뚜껑(78)은 노브(80)에 의해 하향으로 조여진 클램프에 의해 상기 단열체(76)의 개방 상부를 폐쇄하도록 해제가능하게 폐쇄된다. 가동식 이중 분배기 조립체(70)는 키이 홀 슬롯(84)에 의해 팬(74)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된 싱크(82)도 가진다. 이중 분배기 조립체(72)도 핸들(86), 레벨 게이지(88), 대향측면에 있는 한 쌍의 정렬된 물꼭지(90,92) 및 상당히 낮게 중심부에 위치된 물꼭지(94)를 가진다. 이중 분배기는 약 24갤런의 커피를 보존할 수 있어서 프레임(74)에 의한 지지대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되어 있다.
음료출구(60)와 이중입구 깔대기(72A)의 깊이정렬은 도 2A에 도시된 대로 단일입구 분배기 조립체(62)와 동일하게 하우징부(40)의 전방(40C)에 대해 이중입구 분배기(70)의 후부가 눌려질 때 달성된다. 깊이정렬은 보조된다. 측면정렬은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분배기 조립체용 안내수단(68B,68B')과 협력하는 도시된 브루어 조립체(32)의 내측 안내수단(66A,66A')에 의해 달성된다.
먼저 도 2A및 도 2B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동식 단일 입구 분배기(64)는 바닥부(36)에 지지되어 있으며, 한 쌍의 길다랗고 대칭적으로 배열된 수 안내부재(68B,68B')가 이중 브루어 조립체(30)의 안내레그(66A,66A')와의 결합에 의해 안내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뽀족하게 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안내부재(66A,66A')의 전방엣지와의 결합시 안내부재들이 안내부재(66A,66A') 사이에 있는 공간의 중심쪽으로 캠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들은 안내부재(66A,66A')의 전방면(100)과 결합하여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함으로써 적절한 깊이정렬의 달성을 도와주는 서로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하는 숄더(98)를 가진다.
도 3A, 및 도 3B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가동식 단일입구 분배기 조립체 카트의 내측 안내부재(68B')와 대향 측면에서 협력하는 동일한 안내부재(66A')가 암 안내부재, 또한 일반적으로 직선의 암 안내부재(102)과 협력하는 수 안내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안내부재(102)는 중앙 또는 내측 안내부재의 단부(100)와 결합하여 평행한 측벽(104) 사이에 있는 안내부재(66A)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단부(106)를 갖는 한 쌍의 평행한 측벽(104)을 가진다. 측벽(104) 사이로 연장하는 스톱부재(106)는 안내부재(66A)의 전방면(100)과 결합하여 더 이상의 전방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정확한 깊이정렬을 도와준다. 또한, 안내부가(66A)가 안내부재(102)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면, 둥근 모서리(108)가 후방 하우징(40)의 전방벽에 맞닿아 정확한 깊이 정렬을 도와준다.
따라서, 도 1A 내지 도 3B의 브루잉 시스템의 사용시 작동자는 브루잉 시스템과 협력관계에 있는 분배기를 수동으로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한 사람이 들어올리기에 너무 무거운 대용량의 이중 입구 분배기 내측으로 직접 브루잉할 수 있다. 또한, 가동식 이중입구 분배기(72)의 경우에 양측 블루어는 분배기 내측으로 직접 음료를 동시에 브루잉하는데 사용된다. 이중 브루어(30)상의 동일한 안내부재는 가동식 단일입구 분배기 조립체(62)와 가동식 이중입구 분배기(70)를 정확하게 정렬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중 브루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작동자는 협동하는 안내부재를 사용하는 하나 또는 두개의 브루어(30A,30B)의 음료출구와 정확히 정렬하도록 가동식 분배기를 회전시키며, 커피를 분배기 내측으로 브루잉하며, 소정량이 수용되면 브루어(30)와의 결합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분배기를 이동(회전)시킴으로써, 다른 가동식 분배기용 공간이 브루어와 결합하여 이동될수 있게 한다.
이중 브루어(30')의 다른 실시예가 도 1a 내지 도 3b의 이중 브루어(30)와 거의 동일하지만, 가동식 단일 또는 이중 분배기 조립체 내측으로 음료를 직접 브루잉할수 있는 용량을 갖춘 대신에 한 쌍의 단일 입구 분배기 및 수동이동용 브루어로부터 서비스 카트 등으로 단일 입구 분배기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고 있는 것이 상이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 후방 하우징부(40B)가 이동되었으며, 대신에 후방 상부하우징(40A')이 기저부(34') 및 반대편 상부(106)위에 있는 4개의 레그(104)위에 지지되어 있다.
휠에 장착된 플랫폼(64A)상에 지지되는 대신에, 단일입구 분배기(66)는 도 4c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평행하고 길다란 한 쌍의 트랙위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분배기 선반(108)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랙(110)은 선반(106)에 단단히 부착된 선반 장착부재(112)에 의해 용이한 이동을 위해 휠(111)이 지지되어 있는 U형 채널을 가진다.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선반(108)의 전방에 있는 핸들(114)은 선반(108)을 수동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접근할 수 있으며 단일 분배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루어의 수용을 위한 음료출구 아래에 정렬된 작동가능한 위치로부터 도 4c에 도시된 장전/비장전 위치로 선반에(108)에 의해 이송되는데, 상기 장전/비장전 위치는 분배기의 상부를 떠남이 없고 선반(108)과 관련하여 분배기를 미끄럼시키지 않고도 분배기 및 다른 측면을 따라 핸들(66H)로 접근하여 서 있을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선반(108)은 장전위치로 이동되어 선반(108)위에 텅빈 분배기를 놓고 작동가능한 브루어 위치로 미끄러지거나 후방으로 회전된다. 분배기가 선택된 양의 음료로 채워진 후에, 선반(108)과 장전된 분배기는 전방 장전위치로 다시 전방으로 미끄럼한다. 상기 분배기는 장전/비장전 위치에 있는 동안 선반을 수동으로 들어올려 직접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가동 서비스 카트로 먼저 이동된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서비스 카트는 가동 분배기(62)의 서비스 카트 조립체(64)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바람직하게, 나사형성된 구멍을 갖는 보스(116)를 가지며, 상기 구멍내부에는 서비스 카트에 의해 이송된 나사형성된 볼트(118)가 결합가능하게 수용되어 분배기가 카트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나사형성된 볼트는 슬롯(120)에 따른 상대적인 미끄럼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보어(116)의 나사형성된 구멍과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중 브루어(30')의 브루어(30A,30B)는 개별적인 하우징내에 홀더 교대로 장착된다. 상기 단일 브루어는 도 4d의 서비스 카트 조립체의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선반(108)을 지지하는 특정 스탠드(120)상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식 이중 브루어(30)의 다른 변형예들이 도 1d에, 이중 브루어(30')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관련 브루어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의 동일한 보유 탱크(124A,124B)로 신선한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가동식 이중 브루어 조립체(120) 및 고정식 이중 브루어 조립체(122)도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전달 브루어의 제어 패널(126A,126B)은 전달능력과 관련된 제어 패널(44A,44B) 이외에도 제어 스위치를 가진다. 파워 스위치(46), 대기 표시기(48), 브루잉 시작 스위치(50), 정지 스위치(52) 및 플러시 스위치(54') 이외에도, 각각의 제어패널은 두개의 변환 스위치, 즉 자동변환 온/오프 쌍안정 스위치(128)와 변환을 수행하도록 수동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단안정 수동변환 제어 스위치(130)를 가진다.
각각의 변환 브루어(120,122)는 펌프(도 7a에 도시), 하나 이상의 변환라인, 또는 도관(132) 및 펌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브루어로부터 브루어가 연결된 제 1 보유 탱크(124A)로 신선하게 브루잉된 음료의 이송을 가능하게 할수 있는 관련 밸브 및 연결부를 가진다. 수동 제어밸브(136)를 갖는 라인(134)은 제 1 탱크가 채워지기 전에 탱크(124A,124B) 사이의 전달을 위한 저장탱크와 선택적으로 상호연결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보유 탱크(124)는 다음 보유 탱크(124B)를 채워 넘치기 전에 먼저 채워져야 한다. 자동 변환 스위치(128)가 온되면, 펌프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커피를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작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음료의 전달 및 수동 유지 변환스위치(130)의 유지는 수동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변환 스위치와 관련하여 플러시 스위치(545')는 펌프(도시않음), 변환 라인(132) 및 보유 탱크(124A,124B)을 세척하느데 사용된다.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제 3 스위치인 비상정지 스위치, 또는 파워 보조 브레이크/리세트 스위치(138)가 추가되어 있다. 쌍안정 스위치(138)가 눌려지면, 모든 브루잉 및 전달기능이 그치고 브루어로의 전원이 차단된다. 스위치(138)가 브루어를 리세트하고 전원을 재설정하도록 당겨지면, 제어기는 블우어 싸이클의 재시작을 필요로하며 비상정지 스위치가 작동할 때 진행하는 본래의 브루어 싸이클이 정지된다.
도 5a를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보유 탱크는 약 60갤런의 음료를 보유할 수 있으며 탱크가 채워질 때 해드 압력을 감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부레벨에 있는 상부 물꼭지(140)와 상기 상부 물꼭지(140)의 레벨보다 낮은 상당히 낮은 레벨에 있는 하부 물꼭지(142)를 가진다. 보유 탱크는 또한, 단열체, 핸들(146)을 갖는 제거가능한 단열 커버(144)를 가지며 고정식 이중 브루어(122)를 장착하기 위한 거의 동일한 스탠드(150)상에 지지된다. 제 1 탱크(124A)는 자체 라인(132)에 의해 각각의 브루어(120,122)에 직접 연결된다. 단지 두 개의 보유 탱크(124A,124B)만이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브루잉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탱크와 연결하기 위한 용량을 갖지만, 각각의 브루잉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탱크와 연결하기 위한 용량을 가지며 각각의 탱크는 다중 브루어와의 입구측 연결을 위한 용량과 다른 탱크의 입구측과의 연결을 위한 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어떤 수의 탱크도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이중 브루어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은 두 개의 브루어 각각이 자체 내장식이며 각각 적합한 기능을 할수 있도록 다른 브루어와는 별도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동시에, 이중 브루어는 공지의 비 독립적 시스템의 속도보다 더 빠르거나 같은 제조속도를 달성하도록 조화된 형태로 작동하며, 공지의 시스템은 표준 110볼트 교류전류와 같은 더 일반화된 낮은 레벨의 전력보다 높은 표준 220볼트 교류전류와 같은 높은 레벨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의 브루어, 부루어(30A,30B)들이 자체의 개별적인 전기 가열소자(154)와 자체 전력공급원, 탱크(156)로 또한 탱크로부터의 자체 물 공급제어기 및 자체 제어기(158)를 구비한 자체 분리형 온수 탱크(152)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같이 형성될 수 있다. 두개의 브루어를 위한 전류 연결부와 단일의 물 연결부가 제공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부들은 두 개의 분리형 브루어로 즉각 분기되어 있다.
레벨 센서(164)와 브루어(166)의 단부들에 의해 한정된 일정량의 브루잉 레벨을 모든 전력공급원에 인접한 탱크의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단지 하나의 온수 탱크(152)의 가열소자(154)까지 분배하는 분리형 물 탱크로 인해, 220볼트의 교류전류 대신에 표준 120볼트 교류전류의 사용을 통해 탱크(152)내의 온수에 대한 급속한 가열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의 브루어는 탱크가 먼저 채워지는 경우와 같은 작동중에 물이 정상적인 가장 낮은 레벨 아래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레벨센서(168)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브루어는 또한, 탱크(152)로부터 제어기(158)의 제어하에 있는 세척작동중 또는 각각의 브루어 싸이클의 시작시 선택된 시간주기동안 음료수 분배기(174)의 환형 홈(172) 위에 있는 바이패스 위치까지 온수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밸브(170)도 포함한다. 음료수 분배기 밸브(176)는 온수를 분배기(174)의 중앙 보올(178)위에 적절히 위치된 음료수 분배기 위치로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보올(178)은 환형 또는 도넛형 분배기 바이패스 홈(172)과 격리되어 있다. 상기 홈(172)으로부터의 물은 브루어 바스켓(182)의 주변부와 보올(178) 아래의 중앙위치에 커피(186)를 유지하는 필터(184) 사이에 있는 환형 간극(180)을 통해 낙하하여 필터(186)를 우회하게 된다. 밸브(170)로부터의 우회된 물과 커피(186)를 통과하여 밸브(176)와 보울(178)로부터의 음료수는 브루어 출구(60)를 통해 배출되어 입구 깔대기(66D)를 통과한다. 바이패스 싸이클 및 브루어 싸이클의 주기는 제어기(158)의 전류시간(188)에 의해 결정된다. 세척 싸이클중 밸브(170,176)는 동시에 개방된다.
도 6a의 브루어를 상부에서 보면, 각각의 제어기(158)는 비상 정지 및 전력 리세트 스위치로 나누어져 있으며 통신라인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어기의 다른 측면에는 직류전력 공급원(184), 제어 스위치 패널(126)(접점은 도시않음) 및 회로 카드(186)를 포함하는 모든 자체의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기계는 물이 정확한 온도에 있고 탱크가 가득차 있을 때 브루어 싸이클을 시작하려고 준비한다. 물이 가열되어야 하면, L1 400이 T'스타트 터미널로 스위칭된다. 이것을 제어기가 인식하면, 릴레이 접점(402)이 폐쇄되고 T'스타트 터미널로부터 히터 접점기를 활성화하는 히트 콘트(404)(HEAT CONT)로 전환된다. 물이 적절한 온도로 되면, L1 400은 히터 접점기를 탈활성화하는 T'스테이트 인풋(STATE input)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제어기는 T-스타트 터미널과 히트 콘트 터미널 사이의 릴레이 접점을 개방할 것이다. 외측 레벨 제어기가 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감지하면, L1은 LLC 필(FILL) 터미널(406)로 스위치된다. L1은 TDR1의 N.C. 접점을 통해 필 솔(SOLL) 터미널로 이동하여 필 솔레노이드(408)를 활성화한다. 외측 레벨 제어기가 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L1은 LLC 필 터미널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히터가 오프되고 충전이 오프되면 제어기는 대기램프의 출력을 켠다. 그러면 브루어 싸이클이 시작될 것이다. 상기 대기램프는 필 솔레노이드 또는 가열이 요청되는 경우에 다시 꺼지게 된다.
브루어 싸이클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브루어 버튼(50)을 눌러야 한다. 제어기는 L1을 TDR1-1 릴레이 터미널(410)에 걸어둘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TDR1-4 직류 접점에 연결된 내측회로를 통해 이를 인식할 것이다. 그후, 상기 제어기는 L1을 상기 TDR1 ALC TDR2 인터벌 타이머를 활성화하는 TDR1-2 및 TDR2-2로 스위칭하는 K2를 활성화할 것이다. 제어기는 상기 BREW 램프출력(50')을 플러시하기 시작할 것이다. TDR1은 브루어 솔레노이드를 활성화하고 TDR2는 바이패스 솔레노이드(414)를 활성화할 것이다. TDR1(TDR1-5 및 TDR1-8)상의 제 2 접점 세트는 LLC 필 출력이 브루어 싸이클중 필 솔레노이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무효화한다. TDR이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필 솔레노이드(408)는 탈활성화하며 L1은 TDR1-4접점으로 다시 스위칭된다. 제어기는 이를 다시 인식하여 TDR1 및 TDR2로부터 L1이 스위칭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기는 BREW램프 출력(50')를 플러시하는 것을 정지할 것이다. 브루어 싸이클은 이제 완료된다. TDR2는 TDR1이 싸이클을 종료하라는 신호를 제어기로 송신하므로 TDR1보다 오랫동안 세트되지 않는다. 이때에, LLC 필 출력과 용기가 다시 채워지게 하는 필 솔 터미널 사이에 접점이 재설정되게 한다. 브루어 싸이클이 대기램프(48')가 켜지기 전에 시작되면, 파워래치 및 BREW램프(50')를 켜나 물이 소정의 온도가 되고 탱크가 채워질 때까지 인터벌 타이머를 작동하지 않는다.
브루잉 사이클을 완성하는 중에, 자동 이송 스위치(128)가 밀폐되면 이송 사이클이 제어되기 시작한다. 이때 L1이 TDR3 인터발 사이클을 시작하는 TDR3-2 동력 인풋 단자로 스위치된다. L1 400은 이송 펌프(303)을 여기하는 이송 펌프 단자에 스위치된다. 콘트롤에서 내부 회로는 이송 펌프(303)가 여기되어 새로운 브루잉 사이클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인식한다. 이송 사이클중에, 자동 램프(128')는 불이 들어오게 제어 된다. 이송 사이클의 완성중에, 이송 펌프는 여기되는 것이 감소되고, 자동 램프는 불이 들어오는 것이 정지되고, 물이 적당한 온도에 있을때 새로운 브루잉 사이클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된다.
자동 이송
자동 이송 스위치(128)가 밀폐될때, 브루잉 사이클을 후속하는 이송 기능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자동 이송 스위치(128)가 밀폐되지 않을때, 이송는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진다. 수동 이송가 인식될수 있도록 제어되고, 이송 펌프가 여기될때 브루잉 사이클이 일어나지 않게 제어된다. 이송 스위치가 밀페되고 이송 기능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자동 램프(128')는 고체상태로 있게 된다. 자동 램프(128')는 이송 램프(303)가 여기될때 언제든지 불이 들어오게 된다.
연속 작동
연속 작동 모드에서 브루잉 사이클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며, 그외 상이한부분에 대해서는 하기에 기술한다.
콘트롤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케이블(416)에 연결된다. 이러한 작동 모드에서 하나의 유니트만이 히터 콘택터(404)상에서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콘트롤은 케이블의 통합을 연속적으로 조정한다. 케이블(416)이 라인을 개방하면, 두 콘트롤은 작동을 중지시키고 전달 링크 에러의 신호를 보내어 3개의 램프에 불이들어오게 한다. 동력은 제거되어야 하고 상태는 교정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모드에서 전달 회로는 동력이 다른 콘트롤이 유니트를 허용하는 것을 제거할지를 결정할수 있다. 상기 유니트는 필요한 경우에 작동의 스탠드 모드에서도 열을 갖고 있도록 동력을 받게된다. 제 2 유니트가 다시 동력을 받을때, 연속의 작동모드는 상술된바와 같이 다시 기술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도 5a의 보유 탱크(124A,124B)와 동일한 보유 탱크(124)의 다른 특징부는 세척 매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척 매카니즘은 중앙에 위치된 직립형 도관(302)의 단부의 중심에 장착된 스프레이 노즐(300)을 포함한다. 상기 도관(302)은 계속하여 분리 가능한 호스(312)를 통해 도관(304), 수동적으로 제어되는 밸브(302), 도관(308) 및 콘넥터(310)를 거쳐 브루잉의 펌프(303)에 연결가능하다. 먼저, 필요한 경우 도 4a에 도시된바와 같이 브루잉 헤드의 측면상의 정지 위치로부터 이송 호스(418)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환기 캡(420)을 제거시킨 후 분배기상의 시각 유리(66F)의 상부속으로 상기 호스를 삽입시킨다. 두번째로, 브루잉 헤드위의 이송, 자동 ON 푸쉬 버튼을 선택하면, 보유 탱크 작동 펌프(303)가 도관(132)을 통하여 어언을 형성하는 고온의 물을 유지탱크(124)로 펌프하도록 된다. 제거가능한 뚜껑(144)의 내부면(316) 및 벽(315)의 내부면(314)을 위생 세척하기 위해 브루잉으로부터 고온의 물로 유지탱크(124)의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을때, 고온은 호스(312)로부터 펌프된다. 세척 사이클중에 고온의 유동이 점선(318)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온의 세척은 고속의 분무로 표면을 가로질러 아래로 떨어지도록 예각으로 뚜껑(144)의 내부(316)와 충돌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과거에 비누로 세척하는 것보다 우수한 세척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9b를 참조하면, 뚜껑(144) 및 측벽(315)의 접합부에 인접한 보유 탱크 (315)의 일부(320)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브루잉 시스템의 또 다른 장점은 측벽(315) 및 뚜껑들이 중간에 절연물질이 포함된 2중 벽 구조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뚜껑(144)은 고체의 절연제(338)를 갖는 상부(322) 및 하부(336)를 구비한다. 2중 벽(315)은 외측벽 또는 자켓(336) 및 내측벽 또는 라이너(340)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및 외측벽 사이에는 뚜껑(144)에서와 같은 고체의 절연물질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머(TRYMER)로 절연층(340)이 형성된다. 또한, 뚜껑의 내부금속면과 탱크의 측벽사이에 열 절연층이 제공된다. 뚜껑(144)의 상부 또는 외부 벽 (322)은 내부벽(336)으로 부터 고립되며, 절연 시멘트-형 또는 다른 절연물질, 양호하게는 트라이머(TRYMER)의 스트립(342)에 의해서 주변에 고정된다. 이 절연 스트립은 벽(336)으로 부터 벽(322)을 고립하며, 내부 측벽(340)의 단부(340')로부터 벽(336)을 고립시킨다. 절연물질,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머(TRYMER)로 구성된 또 다른 열 절연 스트립(342)이 외측벽(338) 및 내측벽 또는 라이너(340)을 함께 고정시키며, 열적으로 차단시킨다.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내부 금속이 임의의 외측 금속과 접촉하게 된다. 내부면(336')은 커피의 열적인 절연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 열 강하를 반영하도록 높은 복사면을 구비한다. 각각의 분배기에서, 단일 유입구 및 2중 유입구는 모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열적 절연 및 차단구조로 구성된다. 모든 분배기에서 이러한 열적인 절연으로 인하여 분배기 또는 탱크에 대해 추가로 열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지며, 작동중에 필요한 동력원은 작게 된다.
이동성 2중 유입 분배기 및 이동성 단일 유입 분배기들은 2중의 절연 벽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8) 및 측벽(76)은 2중의 절연 벽구조로 이루어지며, 열적으로 고립된 뚜껑 부재(342aA,342B) 및 열적으로 고립된 측벽 부재(342C)를 또한 구비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중앙 보울(178)을 구비한 분무 디스크(345)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보울은 브루잉 밸브(176)로 부터 고온을 수용하며, 브루잉 물을 구멍(346)의 매트릭스를 통해 다수의 분리 샤워(shower)속으로 분리시키므로서 커피의 전체 베드가 이루어진다. 바이패스 밸브(170)는 고온의 물을 커피 베드 주위로 전환되는 곳을 통하여 이동시키고, 브루잉 바스켓속으로 배수구멍(344)의 매트릭스를 통하여 이동시키며, 브루잉된 커피로 브루잉 바스켓의 하부에서 혼합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특히 분무 디스크(345)가 보울(178)로부터 그릇(172)을 분리시키는 환형 벽(348)을 구비하므로, 수용된 물의 레벨(350,352)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으며, 바이패스 기간에 종결되고, 브루잉 물은 커피(186)속을 통과하기 시작한다. 브루잉 바스켓은 베이스(354)를 구비하며, 바이패스/브루잉 물 분배기 (174)의 하부에 대항하여 그 상부(356)에서 끼워맞춤되므로, 브루잉 바스켓(180)내의 열과 스팀을 상부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밀봉 결합은 도 10a,10b,10c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루잉 바스켓 장착 조립체(356)에 의해서 분류기와 결합 및 분리 상태로 미끄럼 이동되는 브루잉 바스켓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다. 브루잉 바스켓(180)은 제도형-프레임(358)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브루잉 바스켓이 프레임(358)에 대해 하방 또는 측면이동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358)은 로울러(364)와 결합하는 미끄럼 결합 트랙(360,362)의 대향 셋트에 의해서 병진 이동하기 위해 장착되며, 상기 로울러는 제도형 슬라이드와 같이 작동한다. 핸들(364)을 잡아당기면, 작동기는 도 10a에 도시된 작동위치로부터 도 10b에 도시된 위치까지 브루잉 바스켓 장착 조립체를 미끄럼 이동시키며, 브루잉 바스켓(180)은 핸들(368)을 사용하여 프레임(258)로 부터 수직으로 용이하게 상승된다. 이때, 브루잉 바스켓은 삽입되고, 제도형 프레임(365)는 슬립형으로 밀폐된다. 프레임은 분류기의 하부면(358)에 대해 약간 이격된 각도로 장착되며, 그러므로서 브루잉 바스켓의 상부(356)의 리딩 에지는 하부(358)밑에 위치되며, 브루잉 바스켓의 상부면(356)은 도 10a에 도시된 바 같이 프레임이 거의 삽입될 때까지 하부면(358)과 결합하지 못한다. 이 위치에서, 캠 부재(370)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캠 표면은 프레임의 리딩 하부 에지의 통로에 위치되어 리딩에지를 상부(356)의 레벨까지 상승시키며, 하부면(358)에 끼워마춤되도록 압축시킨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는 모든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양호한 실시예가 하기에 기술된다. 또한, 도 1a의 두 브루잉 및 도 4e의 단일 브루잉 시스템(121)의 일부에 대하여도 하기에 기술된다. 지적된 바와 같이, 두 브루잉(30)은 전달 코드의 라인과 함께 단일 하우징 내에 장착된 두대의 단일 브루잉(121)으로 구성된다. 브루잉의 작동에 의해 여러 단계가 좌우되며, 이동성 분배기내의 이동을 위해 스탠드상에 장착되거나, 카운터상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이용되는 각 브루잉 헤드상의 ON위치로 파워 스위치(46)를 밀다.
각 브루잉 헤드는 도 6b에 도시된바와 같이 컴퓨터(158)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는 헤드의 회전을 위해 라이트(48)까지 브루잉을 시작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나, 브루잉 사이클은 언제든지 선택될수 있으며, 컴퓨터(158)는 가능한 쉽게 사이클을 시작하게 될것이다. 상기 라이트(48)는 고온 탱크가 라이트 밑의 브루잉에 연결될때 물로 가득 채워지고, 물은 적당한 온도까지 상승하며 필요하다면 이송가 마루리된다. 이송 기능은 채워지는 또는 가열기능을 지연시키지 못한다. 최초의 시간에 라이트(48)가 용이하게 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브루잉사이의 시간은 브루잉이 명령을 받을때 발송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좌우된다. 전기 동력의 이용에 좌우되어, 이송 옵션내의 두 브루잉(30)은 언제나 하나의 브루잉만을 가열상태를 허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열과정에서의 이러한 지연은 제 2 브루잉 헤드가 가열되기 전에 제 1 브루잉 헤드가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될때 저온 시작중에만 중요하게 된다. 저온 시작 가열이 지연된 후에, 정상적인 열 지연은 단지 몇분 사이에 강하된다. 전기 동력 및 물 온도에 좌우되어, 정상적인 열 지연은 작동자에 의해서 인지될 수 있다.
각 디스펜서(62)는 마무리된 커피가 가능한 고온으로 될 수 있도록 브루잉 커피를 넣기 전에 예비 가열된다. 비록 세척 버튼(54)을 사용하여 브루잉 헤드 자체에는 고온의 물 공급이 충분하게 된다. 고온의 물로 시각 유리상의 거의 반을 채우기 위해 용기를 놓고, 디스펜서 속으로 배수 및 브루잉하기 전에 적어도 10분을 기다린다.
보유 탱크로 이동되어질 임의의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브루잉 바스켓에서 커피 없이 각 헤드에서 브루잉을 완전히 이루며, 자동 이송 버튼(128)을 온(On)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물의 브루잉만이 모든 커피 이송 호스를 통해 고온의 물을 푸쉬하고, 유지탱크(144)에 대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상기 고온의 물은 상기 구성요소들을 세척하고 예열시킨다. 브루어상에 사용된 동일한 세척 및 예열 작용을 위해 몇분동안 보유 탱크(144)에서 세척 제트(300)사에서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커피를 이송하기 전에 유지탱크를 배수시킨다.
브루잉 바스켓(180)을 유지하는 드로이어(356)를 주의 깊게 개방하고, 고온의 커피가 내측면에 없게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정지부에 대해 브루잉 헤드 밖의 바스켓(180)을 유지하기 위해 드로이어(180)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브루잉 바스켓을 제거시킨다. 핸들을 편안하게 잡을때까지 하나의 핸들(368)에 의해서 브루잉 바스켓을 회전시킨다. 이제 두 핸들(368)을 잡고 드로이어(356)를 명확하게 하고 제거할 때까지 바스켓을 상승시킨다. 필요하다면, 오래된 커피 성분을 비우고 브루잉 바스켓을 세척할 수 있다.
브루잉 바스켓에 하나의 종이 필터를 놓는다. 상기 종이 필터속으로 여러분이 원하는 커피를 놓는다. 깊이가 균일할 때까지 필터에서 커피를 스무스하게 한다.
브루잉 바스켓을 그것의 정지부에 대해 밖으로 당기고, 브루잉 바스켓을 드로이어속에 위치시킨다. 바스켓을 회전시키고, 하나의 핸들을 드로이어의 전방 모서리한쪽으로 좌우로 정렬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드로이어가 밀폐될때 브루어 바디에 브루잉 바스켓의 핸들의 부딪침을 방지한다. 드로이어를 밀폐시킨다. 드로이어는 완전히 밀폐된 브루잉 위치에서 브루어의 면을 세척한다. 이송 옵션을 갖는 두 브루어는 카운터상에 장착된다(단계 7 및 8의 과정, 스킵9 및 10). 이송 옵션을 갖는 두 브루어는 스탠드상에 장착된다(단계 9 및 10의 과정). 이송 옵션을 갖는 두 브루어는 스플리트 스탠드상에 장착된다(단계 7 내지 10의 과정)
도 4c에 도시 된바와 같이 드로이어 유지 디스펜서응 매우 주의깊게 개방하면, 디스펜서내에는 어떠한 더운 커피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내측면상의 커피와 함께 디스펜서의 중량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펜서는 한 사람에 의해서 드로이어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배수되어져야 한다. 전체 디스펜서를 주의깊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 핸들(66h)에 한사람씩 두 사람이 필요하게 된다. 텅비워 있거나 가득채워진 디스펜서는 6 갤런을 운반하거나 세척을 위해 드로이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드로이어 상부면까지 보유 립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디스펜서 1인치를 상승시키고 드로이어를 완정히 연장시키므로서 디스펜서를 제거한다. 필요하다면, 새로운 브루잉을 시작하기 전에 디스펜서를 텅비게 하고 세척한다.
디스펜서 드로이어를 완전한 개방 위치로 연장시킨다. 꼭지와 함께 드로이어상의 보유 립의 내측면에 디스펜서를 세척하고 텅비게 한다. 드로이어를 브루잉 헤드에서의 위치로 후방 미끄럼 이동된다. 디스펜서의 면은 적절한 위치에 있을때, 브루잉 바스켓 드로이어의 면을 세척하게 된다.
6 갤런의 디스펜서를 사용할 때, 18갤런을 수용하는 이동성 탱크, 및 24갤런빌을 수용하는 이동성 탱크(18갤런 및 24갤런을 수용하는 탱크는 스플리트 스탠드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는 항상 커피 라이너가 세척 및 텅비게 된다.
주의 : 6갤런의 브루잉을 지지하기 위해 커피 라이너 및 커피 시각 케이지를 항상 주의하시오. 카트는 작동자의 조정 핸들 및 꼭지를 갖는 브루잉 헤드 하에서 정지된다. 커피 격실의 전방벽은 브루잉 바스켓 드로이어의 전면을 세척한다. 6, 18 및 24 갤런 카트를 사용할 때, 브루잉 바스켓의 개방은 커피 디스펜서 카버 개구위에 놓이게 된다.
주의 : 항상 카트상의 정지 브레이크에 설정하시오. 카트가 이동되지 않고 작동자의 제어상태에 있게 될 때, 브레이크는 설정되어야 한다. 브루어 밑에 카트를 절대 정지시키지 말고, a) 브루잉 위치에 완전히 있게 하고, b) 정지 브레이크를 설정한다. 브레이크는 조정 휘일(64E)의 후방에, 그리고 바로 위에 도 1b에 도시 된바와 같이, 패달(37)상에 여러분의 다리로 누름으로써 설정된다. 브레이크가 설정될 때, 그린 버튼은 상기 패달위로 연장된다. 상기 녹색 버튼은 브레이크 해체버튼이다. 브레이크는 여러분의 다리로 그린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의 정지를 가져온다. 카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카트의 작동매뉴얼에 언급되어 있다.
메인 제어 보드 및 컴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제어 보드의 기능은 시간의 기능으로 처리되고, 작동자의 스위치와 인터페이스하고, 그들이 수행 될때까지 작동자 스위치의 명령을 재 넘버한다. 또한, 시스템의 에러 탐지 및 통합방식으로 히터의 전기 동력 관리를 처리한다. 각각의 브루잉 헤드는 자체의 메일 제어 보드를 구비한다. 메인 제어 보드는 컴퓨터 및 타이머를 수행한다. 물 온도는 배타적으로 열전쌍에 의해서 제어되지만, 두 브루어에서의 물탱크가 가열될때 메인 제어 보드에 의해서 결정된다. 고온 물 탱크에서 레벨은 각 탱크에 바쳐지는 액체 레벨 제어 보드에 의해서 감지된다. 메인 제어 보드가 LLC를 조정하므로, 브루어는 다음의 브루어 사이클을 위해 준비되고, 브루잉 사이클중에 전체 사이클을 금지시킨다.
전체 시스템 및 액체 레벨 제어보드를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의 기능은 커피 브루어 사이클을 완성하기 위해 브루어에서 물의 충분한 량을 유지시키도록 유입되는 물을 제어하는데 있다. 각각의 브루어 헤드는 각각의 고온 물탱크를 구비하고, 각 탱크는 자체의 액체 레벨 제어 보드(LLC)를 구비한다. 상기 LLC는 고온의 물 탱크 유입 밸브를 제어하고, 메인 제어보드에 현상태를 제공한다. LLC는 상부 및 하부에서 2개의 물 센서 탐지기를 사용한다. 물 유입 밸브는 두 탐지기가 물과 접촉 할때까지 개방된다. 하부 탐지기는 히터의 연소 위험성 없이 히터를 가열하여 탱크속의 충분한 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물이 하부 탐지기에 의해서 감지되지 않을때, LLC는 히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제어보드에 신호를 보낸다. 고온의 물탱크가 브루잉 레벨에 가등채워질때 상부탐지기가 감지한다. 상부 탐침 센서가 물을 감지할 때, 물 유입 밸브를 차단하고, 메인 제어보드는 후속의 브루잉 사이클을 허용한다. 브루잉 사이클중에 물 유입 밸브는 고온의 물탱크의 재충전을 메인 제어 보드에 의해서 금지된다. 세척버튼의 작동중에 고온의 물탱크로 부터 물이 있을때, LLC는 자동적으로 탱크를 브루잉 레벨까지 다시 충전시킨다.
가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열 시스템 기능은 브루잉 커피에 대해 적당한 온도까지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있다. 각 브루잉 헤드는 각각의 고온 물탱크를 구비하고, 각 탱크는 자체 열전쌍을 구비한다. 더모스탯은 공장에서 205 ℉로 미리설정된다. 더모서탯은 브루어(brewer)내의 다른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작동되지만 3 방법으로 가열을 금지할 수 있다. 1) 설치후 가장 먼저 시작하거나 물 공급의 손실에서와 같은 낮은 물 레벨 탐지기에 도달하는데 온수 탱크내의 물이 충분하지 않으면, 가열은 주 제어판을 통해 LLC에 의해 금지된다. 2) 브루잉 사이클동안, 가열은 주 제어판에 의해 금지된다. 3) 두 브루 헤드상의 주 제어판이 연결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면, 주 제어판은 가열기의 한 세트에만 적당한 시간에 인입 전원으로부터 끌어들이도록 허용한다. 어느 탱크를 먼저 가열을 위해 사용하면 이것이 이루어질 때 까지 다른 댕크는 잠겨있다. 제 1 탱크가 종료되자 마자 가열되기 시작한다. 더모스택은 물이 204℉ 아래로 떨어질 때 마다 가열을 시도할 것이다.
디스펜스 시스템.
디스펜스 시스템의 기능은 브루잉 바스켓으로 브루잉 물을 전달하여 커피의 브루잉을 달성하는 기능을 한다. 각 브루 헤드용 디스펜스 시스템은 브루 밸브와 브루 타이머, 바이패스 밸브 및 바이패스 타이머, 스프레이 디스크와 바이패스 도넛과 온수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주 제어판은 이들 밸브에 작동자 브루 시작 및 브루 멈춤 버튼을 인터페이스한다. 세척 버튼은 이들 두 밸브를 직접 개방하고 주 제어판을 통하지 않는다. 6갤런의 최대 물 체적은 온수 탱크의 측면상에 6갤런 레벨로 브루 및 바이패스 밸브의 위치를 위해서 공장에서 영구적으로 설정된다. 브루 타이머는 6갤런이 탱크로부터 배수될때 까지 브루 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이송 특성에 따른 모델에서, 브루 시간은 6갤런 배수량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것 이상으로 연장되어 이송 펌프 사이클을 지체한다. 이 지체 시간(브루 시간 연장)은 이런 시간에 커피 이송 펌프를 시작하도록 허용하므로 펌프는 브루잉 바스켓으로부터 똑똑 떨어지는 것을 멈춘후 바로 종료하도록 한다. 타이밍 사이클에서의 이들 단계는 AT 브루어가 시간당 최대 브루 체적으로 조정되도록 허용한다. 모든 브루어상의 주 제어판은 브루와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될 때 까지 LLC의 온수 탱크의 재충전을 금지한다. 밸브 위치와 탱크 충전의 상호작용은 브루 체적이 반복가능하고 예견가능하게 보장한다. 디스펜스 시스템의 반복가능하고 예견가능한 특성은 타이머가 6갤런까지 브루 온도 물의 어느량도 마찬가지로 배수하도록 설정되게 허용한다. 브루 밸브는 스프레이 디스크상에 옮겨진다. 스프레이 디스크는 브루 물을 다수의 분리 스트림으로 분리해서 온수로 브루잉 바스켓내에 커피 베드의 전체 표면을 보여분다. 바이패스 타이머는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되므로 바이패스의 소망의 퍼센트를 얻을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바이패스 물을 브루잉 바스켓내의 커피 베드 둘레와 브루잉된 커피와 함께 커피 용기로 전달하는 바이패스 도넛으로 옮겨진다. 브루 물 체적의 0 내지 40%는 이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주 제어판은 브루어가 준비될 때 까지 브루 사이클의 시작을 지체할 수 있다. I.E. 적당한 온도, 꽉찬 물탱크 및 이송은 적용가능하다면 완성된다.
스위치와 이들이 하는 일
전압(온/오프), 연장된 푸시버튼, 래칭 스위치.
전압 온/오프 스위치 라이트는 적당한 위치에서 스위치 온이다. 스위치는 스위치 아래의 브루 헤드에만 전압 온/오프를 전환한다.
준비(브루하기 위한)전용 라이트. 준비 라이트는 라이트 아래의 브루 헤드에 연결된 온수 탱크가 물로 채워질 때, 그리고 물이 적당한 온도에 이를 때 온이다. 브루어상으 각 브루 헤드는 준비 라이트를 가진다. 브루 사이와 제 1 시간상의 매 날마다 준비 라이트가 얼마나 오랜동안 온되어야 하는 가는 브루어가 주문받을 때 발생된 전기사항(electrical specifications)에 달려 있다. 이용가능한 전원에 의존하여, 통신 코드를 가진 싱글 브루어와 트윈 브루어(30)는 단지 하나의 브루 헤드가 적당한 시간에 가열되도록 형상될 수 있다. 가열 공정에서의 지체는 제 2 헤드가 가열을 시작하기 전 제 1 브루 헤드가 기온까지 상승해야 될 때 콜드 스타트 동안에만 중요하다. 콜드 스타트 열 지체후, 정상 열지체는 단지 몇분만에 떨어진다. 이용가능한 물온도와 전압에 따라서, 정상 열 지체는 작동자에 의해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
브루(스타트), 순간 푸시 버튼. 브루 사이클을 가속하기 위해서, 브루/스타트는 브루 헤드가 준비되기전 선택될 수 있다. 브루/스타트가 브루 헤드가 준비되기전 선택되면, 브루/스타트 라이트는 브루 헤드가 준비를 기다리는 동안 온으로 전환되어 온으로 남는다. 두 상태는 브루 헤드가 브루 사이클을 준비 및 스타트하기 전에 맞추어 져야 한다. 탱크는 물로 채워져야 하고, 물은 기온까지 올라 가야한다. 브루/스타트 스위치가 이미 눌려져 있으면, 브루 헤드는 이들 두 상태가 만족될 때 자동적으로 브루 사이클을 시작할 것이다. 브루/스타트 라이트는 실제 브루 사이클 통안 발광할 것이다.
스톱( 브루), 순간 푸시 버튼, 라이트 없음. 스위치 아래의 브루 헤드상의 브루 사이클을 스톱 및 취소하라. 브루 사이클은 스톱된 점으로부터 재시작될 수 없다. 브루 사이클이 취소되면, 처음부터 시작을 해야한다.
세척 (홀드), 순간 푸시 버튼, 라이트 없음. 세척 버튼을 눌려서 유지해서 브루와 바이패스 밸브 양자를 개방하라. 뜨거운, 브루 온도 물은 이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 한 브루잉 바스켓과 바이패스 도넛을 통해 디스펜서로 흐를 것이다. 이 기능은 주로 작동 사이클, 시프트 또는 날짜의 종료시에 있는 브루 헤드를 린스하는데 사용된다. 세척은 또한 제 1 사용 날짜 전에 브루 헤드와 디스펜서를 예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의: 이 버튼을 너무 오래 유지하면 디스펜서를 과충전할 수 있다.
10 AMP 회로 브레이커(재설정하기 위한 푸시), 모든 좌/우 측면 브루 헤드 전기 부품 및 기능 스위치의 보호는 이 브레이커에 의해 제공된다. 투윈 브루어의 좌 또는 우에 있는 각 브루 헤드는 분리 브레이커를 가진다. 브루 타이머. (전방 타이머) 1 초 증분내에 조정가능함.
이들 조정에 필요한 시간은 브루잉에 필요한 완성 6 갤런의 온수 탱크를 깨끗이 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시간으로 필요할 것이다. 이송 옵션을 가진 브루어는 떨어뜨리는데 필요한 추가의 시간(각 커피, 가루, 중량 및 선택된 스프레이 디스크에 가변가능함)을 요한다. 이 추가의 시간의 목적은 브루잉 바스켓이 급격한 떨어지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이송 종료 시간이 단지 약간 길도록 보장하는데 충분히 긴 이송 스타트 시간을 지체하는 것이다. 최소 브루 시간에 추가된 시간의 적당한 량은 이송이 완성되고 디스펜서가 다음 브루를 위해 비워지도록 보장한다. 추가 시간이 필요한 것보다 길면, 시간당 갤런의 커피 생산량은 불필요하게 줄어들 것이다. 항상 디스펜서를 검사하여 다른 브루 사이클을 시작하기 전 이송이 성공적인 것을 증명하라. 이송 시간이 항상 조정될 수 있으며 이 조정이 쉽게 달성될 수 있음을 명심하라.
바이패스 타이머. (중간 타이머) 1초 증분내에서 조정가능함.
요구되는 파이패스의 임의의 %를 얻기 위해 필요한 세팅에 대한 하기의 바이패스 차트를 참조하라. 바이패스 타이머 및 브루잉 타이머는 바이패스 백분율이 변경될 때 조절됨을 기억하라. 필수적으로 바이패스%를 증가시킴에 따라 브루잉 시간은 감소되어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I.E.와 동일하지 않으므로, 바이패스 타이머 상에서 나타난 25초 이상은 브루잉 타이머 상에서의 평균 25초 이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차트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타이머 세팅- 이송 있음/없음
이송에 맞게 최소 브루잉 시간 연장
% 바이패스 타이머 최소 브루잉 시간
바이패스 초(s) = 용량(Gal.) 초(s) = 용량(Gal.)
5% .3 5.7
10% .6 5.4
15% .9 5.1
20% 1.2 4.8
25% 1.5 4.5
30% 1.8 4.2
35% 2.1 3.9
40% 2.4 3.6
1. 이송 타이머. (백 타이머) 71A & 72A상에 사용하지 않음
1. 브루 물에 대한 커피 접촉시간
커피 접촉 시간은 스프레이 어셈블리내의 스프레이 디스크내에 위치된 구멍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커피 하기의 커피 그라인드와 그 다음 좌측의 접촉 시간을 선택하라.
접촉 굵은 그라인드 구멍 중간 그라인드구멍 미세한그라인드구멍 주문 그라인드 구멍
시간(분)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4.0
4.5
5.0
5.5
6.0
6.5
1. 레벨링
브루어, 카운터, 및 스탠드는 정확한 알코올 수준기로 높이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브루어, 카운터, 및 스탠드는 조절가능한 피트를 갖는다. 레벨링은 피트를 볼트로 결합하기전에 행해져야 한다. 볼트 결합용 피트 장착 구멍은 브루어가 수평(레벨)일 때 제공되는 구멍으로 정열되지 않으며, 브루어의 후방 경사는 브루어의 어느 전방 경사에 바람직하다.
도 5a에 도시한 보유 탱크(124A, 124)에 커피를 이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투윈 브루어 시스템(120, 122)은 비이송 싱글 브루어(122)와 투윈 브루어(30)의 작동과 부분적으로 동일하고 부분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작동된다. 이송 브루어(120(서어빙 카트),122)는 모두 투윈 브루어로서 언급되며 아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소 다르게 처리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옵션을 가진 신선하게 부루잉된 음료를 성공적으로 준비하는 단계들은 아래와 같이 생각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46)를 눌려서 사용되어지는 각 브루 헤드상에서 온 위치로 놓는 것을 시작한다.
각 브루 헤드는 상기 헤드용 준비 라이트(48)이 온될 때까지 브루의 시작을 허용하지 않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컴퓨터(158)를 가진다. 그러나, 브루 사이클은 아무때나 선택될 수 있고 컴퓨터(158)는 준비되자 마자 사이클을 시작할 것이다. 준비 라이트(48)는 라이트 아래의 브루 헤드에 연결된 온수 탱크가 물로 채워질 때 온이고, 물은 적당한 온도로 상승하고 필요하다면 이송은 종료된다. 이송 기능은 충전 또는 가열 기능을 지체하지 않는다. 브루 사이와 제 1 시간상의 매 날마다 준비 라이트(48)가 얼마나 오랜동안 온되어야 하는 가는 브루어가 주문받을 때 발생된 전기사항(electrical specifications)에 달려 있다. 이용가능한 전원에 의존하여, 이송 옵션을 가진 트윈 브루어(30)는 단지 하나의 브루 헤드가 적당한 시간에 가열되도록 형상될 수 있다. 가열 공정에서의 지체는 제 2 헤드가 가열을 시작하기 전 제 1 브루 헤드가 기온까지 상승해야 될 때 콜드 스타트 동안에만 중요하다. 콜드 스타트 열 지체후, 정상 열지체는 단지 몇분만에 떨어진다. 이용가능한 물온도와 전압에 따라서, 정상 열 지체는 작동자에 의해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
각 디스펜서(62)는 완료된 커피가 가능한 뜨겁게 하기 위해서 브루 커피를 넣기전에 예열되어야 한다. 온수의 어떠한 소오스도 된다. 심지어 세척 버튼(54)을 사용함으로써 브루 헤드 자체여도 된다. 온수를 볼수 있는 유리 용기에 약 절반정도 온수로 채우고 디스펜서로 배수 및 브루잉하기전 적어도 10분 기다려라.
보유 탱크로 이송되어지는 약간의 커피를 만들기전에, 브루잉 바스켓내의 커피없이, 각 헤드내의 한 꽉찬 브루를 만들고 ON 위치내에 자동 이송 버튼(128)을 놓는다. 이런 브루전용 물은 보유 탱크(144)에 모든 커피 이송 호스와 부품을 통해 온수를 밀어낼 것이다. 온수는 이들 부품들을 린스하고 예열한다. 브루어상에 사용된 동일한 린스와 예열에 알맞은 몇 분동안 보유 탱크(144)내에 린스 제트(300)를 확실히 온으로 전환하라. 끝으로, 보유 탱크로 커피를 이송하기전에 보유 탱크를 배수하라.
브루잉 바스켓(180)을 유지하는 드로워(356)를 매우 주의있게 개방하고 내측에 포획된 어떠한 커피나 그라운드가 없는지를 확인하라. 브루 헤드로부터 스톱부까지 바스켓(180)을 유지하는 드로워(180)를 먼저 슬라이딩함으로서 브루잉 바스켓을 제거하라. 양손에 편안하게 도달할 때까지 한 핸들(368)로 브루잉 바스켓을 돌려라. 지금 양 핸들(368)을 잡고 드로워(356)를 깨끗이 해서 제거할 수 있을 때 까지 바스켓을 위로 들어올려라. 필요하다면 오랜된 커피 그라운드를 비우고 브루잉 바스켓을 청소하라.
브루잉 바스켓내에 한 종이 필터를 놓아라. 이 종이 필터에 너희 그라운드 커피를 놓아라. 균일한 깊이가 될 때까지 필터내에 커피를 고르게 하라. 스톱부로 브루잉 바스켓 드로워를 당기고 여기에 브루잉 바스켓을 놓아라. 드로워의 양 전방 코너의 좌 또는 우로 한 핸들로 브루잉 바스켓을 회전하고 정렬하라. 이 회전은 드로워가 폐쇄될 때 브루잉 바스켓 핸들이 브루어 바디를 타격하지 못하게 한다. 드로워는 완전히 폐쇄된 브루 위치에 있을 때 브루어의 면과 동일한 높이가 될 것이다. 카운터상에 장착된 이송 옵션을 가진 투윈 브루어는 7 & 8단계로 진행하고 9 & 10 단계를 뛰어넘는다. 스탠드(서어빙 카트 전용)상에 장착된 이송 옵션을 가진 투윈 브루어는 9 & 10 단계로 진행한다. 스플릿 스탠드(서어빙 카트 & 디스펜서 드로워용)상에 장착된 이송 옵션을 가진 투윈 브루어는 7 - 10단계로 진행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를 유지하는 드로워를 매우 주의있게 개방하고 디스펜서 내측의 어떠한 고온 커피가 없는지를 확인하라. 이송 호스는 디스펜서 드로워가 개방되기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루 헤드의 측면상에 파킹되어져야 할 것이다. 내측에 커피를 가진 디스펜서의 중량에 의해서, 디스펜서는 사람에 의해 드로워로부터 제거되기 전 배수되어야 한다. 꽉찬 디스펜서를 주의있게 제거하는데 각 핸들에(66H) 한 사람씩 두 사람이 필요하다. 비거나 꽉찬 디스펜서는 6갤런 서어빙 카트상에 청소 또는 수송을 위해 드로워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드로워를 완전히 연장하고 디스펜서를 1인치 상승함으로써 디스펜서를 제거하여, 드로워의 상부의 보유 립을 청소하라.
디스펜서 드로워를 완전히 개방한 위치로 연장하라. 물꼭지와 상관없는 드로워상의 보유 립 내측에 깨끗하고 빈 디스펜서를 놓아라. 브루 헤드내의 위치로 드로워를 뒤로 슬라이딩하라. 디스펜서의 면은 적당한 위치에 있을 때 브루잉 바스켓 드로워의 면과 높이가 일치한다.
카트를 가진 6 갤런 디스펜서를 사용하면, 18 갤런 모빌 서어빙 탱크, 24 갤런 모빌 서어빙 탱크(18 갤런과 24 갤런. 모빌 서어빙 탱크는 스플릿 스탠드에서 사용할 수 없음)는 항상 커피 라이너가 깨끗하고 비워 있는 것을 보장한다.
주의: 항상 커피 사이트 게이지와 커피 라이너를 검사하여 만들고자 하는 6갤런 브루의 수를 유지하는지 확인하라. 카트는 작동자 조정 손과 물꼭지에 상관없이 브루 헤드/헤드들 아래에 파킹된다. 커피 구획부의 정면이 브루잉 바스킷 드로워의 면과 세척되는지를 확인한다. 6, 18 및 24갤런의 카트를 사용할때, 브루잉 개구가 커피 분배기 커버 개구위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주의 : 항상 카트상에서 파킹 브레이크로 셋팅되게 한다. 카트가 주행되지 않을때 조작자의 제어하에 있지 않을때라도 브레이크를 셋팅하여야 한다. 브루어 아래에 카트를 파킹시키지 않아야 하며, A) 이것은 충분히 브루잉 위치에 있도록 하고 B) 파킹 브레이크를 셋팅하여야 한다. 이 브레이크는 각각의 조정가능한 휠(64E)의 바로 위에 그리고 뒤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37)을 사용자의 발로 압착함에 의해 셋팅된다. 브레이크가 셋팅될때, 녹색 버튼이 이 패들위로 확장된다. 이 녹색 버튼은 브레이크 해제 버튼이다. 이 브레이크는 사용자의 발로 녹색 버튼을 압착함에 의해 운행되도록 해제된다. 카트를 사용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적절한 카트 조작 설명서에 기술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브루잉 출발 스위치(50)을 압착한다. 준비 표시등(48)이 켜진다면, 브루잉 출발 스위치 표시등은 번쩍임을 개시하고 바로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할것이다. 준비 표시등이 켜있지 않다면, 브루잉 출발 스위치 표시등은 번쩍이지 않을것이다. 브루잉 출발 스위치 표시등은 사용자가 준비 표시등이 켜지자마자 브루잉을 개시하는것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하여 브루잉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번쩍이는 것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4b와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옵션을 갖는 이중 브루어상에서 사용자는 각각의 브루잉 헤드상에 옵션을 갖추어서 브루잉 싸이클의 말기에 60갤런의 정치식 보유 탱크(144)에 최종 처리된 커피의 자동 이송을 선택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브루잉 헤드상의 한측면상의 파킹 위치로 부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호스(418)로 이동시킨다. 배출 캡(420)을 제거한후 분배기상에서 관측 유리(66F)의 상단으로 삽입한다. 두번째로, 사용자가 음료를 어언으로부터 도관(132)를 통해 보유 탱크(124)로 펌핑하도록 보유 탱크 작용 펌프(303)에 이송하려면 브루잉 헤드위의 이송 자동 온 푸쉬 버튼을 선택한다. 이 이송 자동 온푸쉬 버튼(128)은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는 어떨때라도 선택될수 있다. 이 브루잉 헤드는 브루잉 싸이클의 말기에 분배기의 전체 함량을 보유 탱크로 자동적으로 이송할것이다. 브루잉 싸이클을 정지한후 또한 사용자는 2개의 방식으로 수동 버튼으로 커피를 이송할수 있다. 사용자는 이송 자동 온 푸쉬 버튼을 선택하여 이 수동 이송 버튼(130)을 바로 누른다. 이것은 브루잉 싸이클 동안 이송을 선택할 경우 행해질수 있도록 바로 조절된 이송을 개시할것이다. 두번째 방법에서, 이송 자동 온 푸쉬 버튼을 오프 위치로 배치하여 이송이 완결될때까지 수동 이송 버튼(130)을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적절한 정지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적절한 동력 버튼을 오프 위치로 누름에 의한 어느 하나에 의해 브루잉 및 이송 싸이클을 정지시킬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브루어 중앙의 비용 정지용 파암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양쪽 수단을 셧다운 시킬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브루잉 싸이클의 중간에 브루잉 헤드를 정지시키려면, 사용자는 개시로부터 새로운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할수 있다. 사용자는 이것을 정지한후에는 브루잉 싸이클을 재개시 할수 없다. 만약 사용자가 싸이클의 중간에 브루잉 헤드를 정지시키려면, 사용자는 이송 수동 푸쉬 버튼(130)을 유지함에 의해 이송을 마무리할 수 있다.
비상용 정지 푸쉬 버튼(442)을 눌러서 동력을 브루어에서 제거하여 상기 양쪽 측면에서 모든 작용을 취소한다. 만약 문제가 단지 한 측면으로 분리된다면, 부(offending)측면의 동력 스위치는 꺼질수 있으며 비상 정지 스위치가 재설정된다. 이것은 브루어가 정(good)측면으로 적용되어 연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주의깊게 탐색한후 신속한 드립핑을 정지하자마자 브루잉 바스켓을 비우고 사용자는 브루잉 바스켓내의 커피 베드위에 어떠한 물도 더이상 가두어지지 않도록 확인한다.
밤동안 또는 짧은 기간 저장하기 위해, 브루어 및 디스팬서는 다음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브루잉 바스켓내에 커피가 없이 각각의 헤드에서 충분하게 브루잉시키고 온위치에서 자동 이송하도록 한다. 이 물은 단지 브루잉되어 모든 커피 바링 튜브 및 부품을 통해 보유 탱크로 고온 세척 수를 밀어내게 한다. 이것은 단지 깨끗한 물을 펌프와 라인내에 남을 것이다. 브루잉 바스켓을 제거하고 헝겊으로 바스켓위의 면적을 닦아내어 수집되어 있는 커피 오일을 제거하도록 한다. 브루잉 시스템은 세척할때까지 오랜 시간동안 남아 있으면 안된다.
각각의 브루어는 동일한 부품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이중 브루어는 실질적으로 2개의 동일한 캐비넷에서 2개의 완전한 단일 브루어이다. 필요에 따라 컴퓨터는 동일한 벽 회로 브리이커상에서 브루어 헤드가 조작되도록 한다. 이중 브루어는 이송 키트를 부가함에 의해 이송 특징을 갖는 분야에서 용이하게 전환될수 있다. 모든 홀 및 연결부가 제공된다.
메인 제어 보드 및 컴퓨터
메인 제어 보드의 작용은 조절된 작용을 관리하도록 하고, 조작자 스위치와 인터페이스되고, 이들이 수행될수 있을때까지 조작자 스위치 명령과, 시스템 에러 탐색, 가열기 전기 동력 관리를 일체화된 양태로 기억하도록 한다. 각각의 브루잉 헤드는 그 자체의 메인 제어 보드를 갖춘다. 메인 제어 보드는 컴퓨터 및 타이머를 지지한다. 수온은 써머스텟에 의해 제어되지만 이중 브루어내의 어느 물 탱크가 가열되는지 그리고 그 시간의 결정은 메인 제어 보드에의해 이루어진다. 온수 탱크내의 물의 수준은 각각의 탱크내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 수준 제어 보드에 의해 감지된다. 메인 제어 보드는 LLC를 모니터하여 브루어가 다음 브루잉 싸이클을 준비하도록 하고 브루잉 싸이클 동안 충지 싸이클을 억제한다.
시스템 및 액체 수준 제어 보드를 채운다. 충진 시스템의 작용은 커피 브루잉 싸이클을 완결시키도록 브루어내의 충분한 물의 양을 유지하도록 유입되는 물을 제어한다. 각각의 브루어 헤드는 개별적인 고온 물 탱크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탱크는 그것 자체의 액체 수준 제어 보드(LLC)를 갖춘다. LLC는 고온 탱크 물 유입 밸브를 제어하고 메인 제어 보드에 상태 리포트를 제공한다. LLC는 하나는 상부이고 하나는 하부인 2개의 물 감지 탐침을 사용한다. 물 유입 밸브는 양쪽 탐침이 물이 접촉될때까지 개방되어 있다. 하부 탐침은 탱크내의 충분한 물의 존재를 감지하는데 사용되어 가열기를 태울 위험 없이 가열기가 작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물이 하부 탐침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때, LLC는 메인 제어 보드에 신호를 보내어 가열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부 탐침은 고온 물 탱크가 브루잉 수준으로 채워질때를 감지한다. 상부 탐침이 물을 감지할때, 이것은 물 유입 밸브를 차단하고 메인 제어 보드에 신호를 보내어 다음 브루잉 싸이클을 수행하도록 한다. 브루잉 싸이클 동안, 물 유입 밸브는 메인 제어 보드에 의해 고온 물 탱크가 재충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플러쉬 버튼을 작동시키는 동안 고온의 물 펌프로 부터 물이 취해질때, LLC는 탱크를 브루잉 수준까지 다시 채운다.
가열 시스템. 가열 시스템의 작용은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커피를 브루잉시키는 적정한 정도로 이르게 한다. 각각의 브루잉 헤드는 개별적인 고온의 물 탱크를 갖추도록 하고 각각의 탱크는 그 자체의 써머스텟을 갖춘다. 이 써머스텟은 제조소에서 205。F로 예비 셋팅되게 한다. 이 써머스텟은 브루어의 다른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조작되지만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억제될수 있다. 1) 고온 물 탱크내에서 충분한 물이 제공되지 않아서 하부 물 수준 탐침에 이르게 될때, 물 공급의 설치 또는 손실후에 첫번째 개시에서, 열은 메인 제어 보드에 의해 LLC에 의해 억제된다. 2) 브루잉 싸이클 동안, 열은 메인 제어 보드에 의해 억제된다. 3) 2개의 브루잉 헤드상의 메인 제어 보드가 통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면, 메인 베어 보드는 단지 한 셋트의 가열기를 한번에 유입 동력 원으로부터 끌어내어 지도록 한다. 먼저 어느 탱크가 열을 요구하는지에 따라 이것이 행하여질때까지 다른 탱크를 잠글것이다. 제 2 탱크는 제 1 탱크가 작업을 종료하자마자 다시 가열을 개시할것이다. 이 써머스텟은 물이 204도로 떨어질때는 언제라도 가열을 개시할것이다.
분배 시스템. 분배 시스템의 작용은 커피의 브루잉을 이루도록 브루잉 바스켓에 브루잉된 물을 전달하는 것이다. 각각의 브루잉 헤드에 있어서의 분배 시스템은 브루잉 밸브 및 브루잉 타이머, 바이패스 밸브 및 바이패스 타이머, 스프레이 디스크 및 바이패스 도너츠, 및 고온 물 탱크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 보드는 조작자 보루잉 개시 및 브루잉 정지 버튼을 이들 밸브에 인터페이스되게 한다. 이 플러쉬 버튼은 2개의 밸브를 직접적으로 개방하도록 하고 메인 제어 보드를 통해 이어지도록 한다. 최대 6갤런의 물 용적은 고온 물 탱크의 측면에서 6갤런의 수준에서 브루잉 및 바이패스 밸브의 위치에 의해 제조소에 의해 영구적으로 셋팅된다. 브루잉 타이머는 6갤런이 탱크로부터 배출될때까지 브루잉 밸브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셋팅된다. 이송 특징을 갖는 모델에서, 브루잉 시간은 6갤런의 배출로 최종 처리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너머 연장되어 이송 펌프 싸이클을 지연시킨다. 이 지연 시간은 펌프가 브루잉 바스켓 정지부로부터 떨어진후 짧은 시간으로 최종 처리되도록 시간에서 커피 이송 펌프가 개시되도록 셋팅된다. 조절된 싸이클내의 이들 단계는 시간 당 최대의 브루잉 용적에 대해 이송 브루어가 조정되도록 한다. 모든 브루어상의 메인 제어 보드는 브루잉 및 바이패스 밸브가 차단될때까지 LLC를 고온의 물 탱크로 재충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 위치 및 탱크 충진의 상호 작용은 브루잉 용적이 반복성 및 예측성이 있도록 보장한다. 이 분배 시스템의 반복성 및 예측성 특성은 그밖에도 6갤런이하의 임의의 양의 브루잉 온도의 물이 배출되게 타이머가 셋팅되도록 한다. 이 스프레이 디스크는 브루잉 물을 다수의 분리 스트리임으로 분리하도록 하여 고온의 물로 브루잉 바스켓내의 커피 베드의 전체 표면을 샤워시키도록 한다. 이 바이패스 타이머는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된 상태에서 셋팅하도록 하여 의도한 퍼센테이지의 바이패스를 달성하도록 한다. 이 바이패스 밸브는 바이패스된 물을 바이패스 도우넛으로 비우고 여기서 브루잉 바스켓내의 커피 베드 주변에서 브루잉된 커피와 함께 커피 컨테이너로 벗어나도록 한다. 0 내지 40퍼센트의 브루잉된 물의 용적이 이러한 범위내에서 전환될수 있다. 메인 제어 보드는 브루어가 준비될때까지 브루잉 싸이클의 개시를 지연시킬수 있다. 다시말해, 적절한 온도, 채워진 물 탱크, 및 이송은 적용가능하다면 완전하게 된다.
이송 시스템. 이 이송 시스템은 이송 펌프, 이송 타이머, 및 관측 유리 어뎁터를 갖춘 이송 픽업 호스로 구성된다. 이송 시스템은 3개의 다른 방법으로 작용된다. 첫째로, 자동 이송 스위치가 ON위치에 있을때, 각각의 브루잉 싸이클의 말기에서 이송 타이머에 셋팅된 시간에 대해 자동적으로 메인 제어 브드가 이송 펌프를 가동되게 한다. 두번째로, 조절된 이송 싸이클은 자동 이송 스위치를 ON위치에 두고 바로 수동 이송 버튼을 누름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출발될수 있다. 이송 펌프를 출발시키는 3번째 방법은 자동 이송 스위치를 OFF위치로 밀어내어 정지된 이송을 완결시키고 콘테이너로부터 예열된 물을 비우는데 필요로 하는한 수동 이송 버튼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송 싸이클은 가열 및 충진으로부터 고온 물 탱크를 지연시키지 않지만 이송 펌프가 오프될때까지 다음 브루잉 싸이클의 개시를 지연시킬것이다.
동력 스위치(46)(온/오프), 연장된 푸쉬 버튼, 랫칭 스위치. 동력 온/오프 스위치 표시등이 스위치에 의해 온위치에서 켜져있다. 이 스위치는 단지 스위치 아래의 브루잉된 헤드에 대해 동력을 온/오프시킨다.
개시 표시등(48')은 표시등 아래의 브루잉 헤드에 연결된 고온 물 탱크가 물로 채워질때는 켜지고, 물이 적절한 온도에 이르게 되고 그리고 이송될때, 선택에 따라 최종처리된다. 브루어의 각각의 브루잉 헤드는 준비 표시등을 갖춘다. 매일 및 브루잉사이에 준비 표시등이 첫시간에 얼마나 켜지는지는 브루어가 명령할때의 공개된 전기 명세에 따라 좌우된다. 유효 전기 동력에 따라, 이중 브루어는 단지 하나의 브루잉 헤드가 한번에 가열하도록 배치될수 있다. 이 가열 공정의 지연은 다른 헤드가 가열을 개시하기 전의 온도로 제 1 브루잉 헤드가 도달될때 냉각 개시를 하는 동안만 중요하다. 냉각 개시 가열 지연후에, 정상 열 지연은 단지 수분으로 떨어진다. 유용한 전기 동력 및 물 온도에 따라, 정상 열 지연은 조작자에게 경고되지 않을수도 있다.
브루잉 개시 스위치(50), 푸쉬 버튼, 표시등(50'). 브루잉 싸이클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브루잉/개시는 브루잉 헤드가 준비되기 전에 선택될수 있다. 브루잉/개시가 브루잉 헤드가 준비되기 전에 선택된다면, 브루잉/개시 표시등은 켜져서 유지되어 브루잉 헤드가 준비를 개시하도록 기다린다. 이들 조건은 브루잉 헤드가 준비되고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기전에 충족되어져야만 한다. 탱크는 물로 채워져야만 하고, 물은 의도한 온도이하로 유지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선택에 따라 자동 이송이 이 싸이클을 완결시켜야만 한다. 만약 브루잉/개시 스위치가 이미 눌러져 있다면, 이들 3개의 조건이 만족될때 브루잉 헤드가 브루잉 싸이클을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브루잉/개시 표시등이 실제 브루잉 싸이클동안 번쩍일것이다.
정지 스위치(52), 푸쉬 버튼, 표시등 없음. 이 스위치를 정지시키고 스위치 아래의 브루잉 헤드의 브루잉 및/또는 이송 싸이클을 무효로한다. 이 브루잉 이송 싸이클은 이들이 정지되는 지점으로부터 재개시되지 않을수 있다. 브루잉 싸이클이 무효로 된다면, 개시하여만 한다. 만약 이송 싸이클이 무효로 된다면 수동 이송 푸쉬 버튼으로 이송을 종료하여만 한다.
이송 스위치(128)(온/오프), 랫칭 푸쉬 버튼, 표시등. 스위치 아래의 브루잉 헤드에 대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때 광은 켜지고 번쩍이지는 않으며 이어서 자동 이송 싸이클동안 번쩍이거나 또는 수동 이송 버튼이 눌려진다. 이 이송 싸이클은 브루잉 싸이클이 종료될때 자동적으로 개시되고 브루잉 바스켓으로부터 드립 아웃은 거의 완결된다. 드립 아웃은 이송이 종료될때 완결되어야만 한다. 완결된 이송은 이 스위치를 온 위치에 두고 수동 이송 버튼을 바로 눌러서 어떨때라도 개시될수 있다.
이송 수동 스위치(130)(HOLD), 푸쉬 버튼, 표시등 없음. 버튼 아래의 브루잉 헤드에 연결된 이송 펌프는 이 버튼이 눌려져 있는 동안에는 가동될것이다. 자동 이송 온/오프 스위치는 이송 펌프가 가동되는 동안에는 번쩍일것이다. 완결된 이송은 자동 이송 스위치를 온 위치에 두고 수동 이송 버튼을 눌러서 어떤때라도 개시될수 있다. 수동 이송 버튼은 어떤때라도 커피를 보유 탱크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수 있다. 또한 이 버튼은 브루잉 헤드를 분배기로 세척한후 사용될수 있어서 보유 탱크에 대한 이송 펌프 및 라인을 세척하도록 한다.
플러쉬 스위치(54)(HOLD), 푸쉬 버튼, 표시등 없음. 버튼 아래에 있는 브루잉 헤드에서 브루잉 및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플러쉬 버튼을 눌러서 유지한다. 고온의, 브루잉 온도, 물은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 동안 브루잉 바스켓 및 바이패스 도우넛을 통해 분배기로 유동될것이다. 이 조작 싸이클, 쉬프트 또는 그날의 말기에 주로 브루잉 헤드를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플러싱은 이들을 먼저 그날 사용하기 전에 브루잉 헤드 및 분배기를 예열시키는데 사용된다.
주의 : 이 버튼을 오랜 기간동안 충분하게 유지한다면 분배기를 과하게 채울수 있다.
경고 : 각각의 브루잉 헤드를 분배기로 플러싱한후, 본 발명은 수동 이송 버튼은 이송 펌프 및 라인은 보유 탱크로 상승시키도록 한다. 수동 이송이 완결된후, 각각의 보유 탱크내의 세척 젯트를 개방하고 보유 탱크를 최종적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비상용 정지 스위치(442)(재설정하도록 당김) 랫칭 파암 크기의 푸쉬 버튼, 표시등 없음. 비상용 정지 버튼을 눌러서 모든 전기 회로를 해체하도록 하고 브루어의 모든 작용을 무효로 한다. 비상용 정지 버튼을 당겨서 브루어를 재설정한다. 버튼이 정지 위치로 밀려질때 비상용 정지 버튼 표시등이 켜진다. 오류가 부(offending) 측면에 분리되어 적절한 동력 스위치가 꺼진후까지 비상용 정지 버튼은 재설정되어서는 안된다. 이것은 브루어의 정(good) 측면이 보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될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비상 상황이 확인되어 해결될수 있다.
10AMP 회로 브리이커(재설정을 위해 누름). 개별적 10AMP의 브리이커에 의해 각각의 브루잉헤드 전기 부품 및 작용 스위치에 보호물이 제공된다.
2AMP 회로 브리이커(재설정을 위해 누름). 이 브리이커는 각각의 헤드 펌프앞에 바로 연결되며 나머지 브루잉 헤드로부터 펌프를 분리할것이다. 펌프가 오류가 생긴다면, 브루잉 헤드는 분배기 또는 카트로 직접적으로 브루잉되는데 사용될수 있다.
탱크 온도는 제조소에서 비점보다 7。F 낮거나 또는 해수면에서 205。F로 설정된다. 이 조정은 사용자의 고도에서 물의 비점으로 7도 만큼 고도가 감소되어야만 한다. 실제 브루잉된 물의 온도는 195도 F의 의도한 온도로 분배 부품을 열 전달함에 의해 감소될것이다.
브루잉 타이머(프론트 타이머) 1/2 증가로 조정가능. 조정에 필요한 시간은 브루잉하는데 필요한 완결된 6갤런의 고온의 물 탱크를 비워내는데 요구된 최소 시간이 되도록 요구된다. 이송 선택성을 갖는 브루어는 드립 아웃을 위해 필요한 추가의 시간(각각의 커피, 분쇄, 중량 및 선택된 스프레이 디스크에 대해 가변적임)을 필요로 한다. 브루잉 바스켓이 단지 급속한 드립핑을 종료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이송 종료 시간이 단지 약간 길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하게 긴 이송 개시 시간을 지연시키는것이 이 추가 시간의 목적이다. 최소 브루링 시간에 부가되는 적절한 시간은 이송을 완결시키고 분배기가 다음 브루잉을 위해 비워지는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추가 시간이 필요한것보다 더 길다면, 커피 제조의 시간 당 갤런은 불필요하게 감소될것이다. 다른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기 전에 이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항상 분배기를 관측하여야 한다. 또한 이송 시간은 조정가능하고 이 조정에 약간 영향을 미친다.
바이패스 타이머. (중간 타이머) 1초 내에 조절가능한 증가량
요구되는 파이패스의 임의의 %를 얻기 위해 필요한 세팅에 대한 하기의 바이패스 차트를 참조하라. 바이패스 타이머 및 브루잉 타이머는 바이패스 백분율이 변경될 때 조절됨을 기억하라. 바이패스%를 증가시킴에 따라 브루잉 타임은 감소되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동일하지 않으므로 즉, 바이패스 타이머 상에서 증가되는 25초는 브루잉 타이머 상에서 감소되는 25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차트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타이머 세팅-이송 있음/없음
이송에 적합하게 최소 브루잉 시간 연장
% 바이패스 타이머 최소 브루잉 시간
바이패스 초(s) = 용량(Gal.) 초(s) = 용량(Gal.)
5% .3 5.7
10% .6 5.4
15% .9 5.1
20% 1.2 4.8
25% 1.5 4.5
30% 1.8 4.2
35% 2.1 3.9
40% 2.4 3.6
전달 타이머. (백 타이머) 1초 내에 조절가능한 증가량
디스펜서로부터 커피의 이송은 매우 신속한 공정이다. 브루잉 주기의 말단에서 전달이 자동적으로 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수동 스위치를 아래로 고정시킴으로써 언제든지 수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브루잉 타임 세팅은 전달 주기의 개시를 결정할 것이다. 전달 주기는 고정된 시간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브루잉 타이머는 전달 타이머가 브루잉 바스켓이 신속하게 낙하를 중단한 직후에 멈춰지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브루잉 타이머는 브루잉 물의 용량을 조절하지 못함을 기억하라. 브루잉 물의 용량은 온수 탱크 내에 디스펜스 피팅 위치에 의해 설정된다. 브루잉 타이머는 브루잉 물의 용량이 통과된 이후에 브루잉 디스펜스 밸브가 개방된채로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되는 지를 결정한다. 브루잉 타이머 상의 시간은 전달 타이머의 개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브루잉 물의 전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지나 연장된다. 하기의 차트는 이러한 오버랩을 나타내고 있다.
개시총괄 브루잉 시간종료
최소 필요한 브루잉 물의 전달 시간 브루잉 바스켓 적하
브루잉 타이머 세팅 이송 타이머
이송 타이머 상의 평균 시간은 ??? 초 내지 ???초 사이가 될 것이다. 실제적인 전달 시간은 매우 짧은데 이는 고정 탱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달 호스의 길이때문이다. 전달 타이머는 전달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 시간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브루잉 컴퓨터는 전달이 완료될 때까지 또 다른 브루잉을 방지할 것이다.
브루어를 이송 사양에 따라 조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라.
오프 위치에서 자동 온/오프 스위치를 이송하라. 6 갤런의 디스펜서 내부로 커피로 브루잉을 완료하고 브루잉 바스켓의 적하를 포함하여 필요한 총 시간을 기록하라. 바스켓으로부터 적하 높이는 전체 시간이 멈추었을 때 허용되는 지를 스스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완료된 브루잉을 디스펜서로부터 고정 탱크까지 수동 이송하라. 시간 조절은 공기가 브루어를 탱크에 연결하는 라인을 제거시킬 때 멈출 것이다. 총괄 이송 시간을 기록하라.
브루잉 타이머 상에 유입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총괄 시간을 얻기 위해 총괄 브루잉 시간으로부터 총괄 이송 시간을 공제하여라.
물을 커피 접촉 시간에 브루잉하라.
커피 접촉 시간은 분사 조립체 상의 분사 디스크에 위치된 전체 구멍의 수 및 크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분사 조립체 성능에 대한 차트는 소정의 접촉 시간량에 대해 논의되어진다.
커피 하기의 커피 그라인드와 그 다음 좌측의 접촉 시간을 선택하라.
접촉 굵은 그라인드 구멍 중간 그라인드구멍 미세한그라인드구멍 주문 그라인드 구멍
시간(분)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 크기 패턴
4.0
4.5
5.0
5.5
6.0
6.5
레벨링.
브루어, 카운터, 및 스탠드는 정확한 알코올 수준기로 높이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브루어, 카운터, 및 스트랜드는 조절가능한 피트를 갖는다. 수준 측량은 피트를 볼트로 풀기 이전에 행해져야 한다. 볼트용 피트 장착 구멍은 브루어가 수평일 때 제공되는 구멍으로 정열되지 않으며, 브루어의 전방 경사는 약간 뒤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풀 인(full in)에서 풀 아웃(full out)까지 최대 이송 즉, 회전수를 규정한다).
3가지 종류의 작동기, 1가지 종류의 램프 구멍, 1가지 종류의 커플링, 1가지 종류의 커버.
대기, 작동, 및 이송 램프는 컴퓨터 에러가 있을때는 동시에 플래시될 것이다.
각각의 라이트은 광 앞쪽에 부착된 1W 1100 오옴 레지스터를 갖는다. 이는 광의 전압을 90볼트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전압 감소는 라이트의 수명을 5X로 연장시킨다.
전원 스위치(46)(온/오프) 단일 접촉 N.O., 연장된 버튼, 래칭, 온 위치에서 스위치와 작동된 램프(46')는 온 위치에서 스위치와 작동된다. 스위치 아래의 브루잉 헤드에 전원을 온/오프로 켜라.
대기 램프(48')는 (브루잉에) 램프 전용이며, 탱크가 물로 채워지거나, 물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 때 램프가 온된다. 램프 아래의 브루잉 헤드에 대한 브루잉에 대기 표시를 하라.
브루잉 스위치(50) (작동) 단일 접촉 N.O., 순간 버튼, 작동/브루잉인 브루잉이 준비되기 이전에 선택될 수 있다. 작동/브루잉 램프(50')는 (온도, 물, 또는 이송이 아직 준비되지 않을 때) 작동되기 위해 브루잉에 대기중일 때 유지된다. 탱크가 물로 채워질 때, 적정 온도에 도달하며, 이송은 완료된다. 브루잉은 자동적으로 작동될 것이다. 램프는 실제적인 브루잉 주기중에 플래시될 것이다.
멈춤 스위치(브루잉 또는 브루잉/이송)는 단일 접점 N.C., 순간 버튼, 램프가 없다. 인터럽터 및/또는 리셋 브루잉 그리고 이미 선택된 이송 함수.
이송-자동 스위치(128)(온/오프) 단일 접점 N.O., 래칭, 자동 모드가 선택될 때 온되고 이송 주기중에 플래시하는 램프(128'). 단지 이송과 관련하여 브루어 상에서 사용됨. 이송은 브루어가 작동 완료되고 배출이 거의 완료되었을 때 자동 개시될 것이다. 배출은 이송이 끝나기 이전에 완료되어야 한다. 완전한 이송은 이 스위치를 온 위치에 위치시키고 수동 이송 버튼을 순간적으로 누름으로써 임의의 시간에 개시될 수 있다.
이송-수동 스위치(130)(고정) 단일 접점은 N.O., 순간 버튼, 램프가 없다. 단지 이송과 관련하여 브루어 상에서 사용됨. 이송 펌프는 이 스위치가 눌러지는 동안 작동될 것이다. 자동 이송 온/오프 스위치는 플래시되는 반면 이송 펌프는 작동된다. 완전한 이송은 자동 이송 스위치를 온 위치에 위치시키고 수동 이송 버튼을 순간적으로 누름으로써 임의의 시간에 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 또는 이송 펌프를 세척하기 위해 브루어 헤드를 플러싱 한 후에 고정 탱크 내부로 커피를 이동하고 고정 탱크 내부에 정열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러시 스위치(54) (고정) 2 접점, N.O. 순간, 램프는 없다. 브루어 및 바이패스 밸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압축시키고 고정시킨다. 브루잉 온수는 스위치가 압축되는 동안 브루잉 바스켓 및 바이패스 도넛 내부로 흘러들어간다.
비상 멈춤 스위치(442) (리셋에 당김) 2개 접점 N.O./N.C. 개방 회로로 누르며 리셋으로 당긴다. 램프는 버튼이 멈춤 위치에서 눌러질 때 작동된다. 단지 이송과 관련하여 브루어 상에서 사용됨. E 멈춤은 브루어 내에서 모든 작동을 종결한다. 수은 계전기 및 E 멈춤 스위치에 와이어의 고온 측면만이 멈춤 위치에 놓여질 때 전압을 갖는다. E 멈춤은 하기의 A) 또는 B) 이후 까지 리셋되어서는 안된다. A) 오류가 위반면에 떨어져 있거나 적절한 전원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 브루어의 양호한 측면이 고장 수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사용되게 한다. 또는 B) 긴급 상황이 확인되고 해결된다.
10 AMP 회로 브레이커 (리셋으로 눌려짐) 제어판 보드는 AT 모델상에 E 멈춤 스위치를 통해 유입 전기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10 AMP 브레이커, 그리고 나서 브루어 내의 적절한 헤드용 전원 스위치로 나온다. 각각의 브루잉 헤드는 자체의 10 AMP 브레이커를 갖는다. A 모델에 대해(이송은 없음)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브레이커, 및 파워 스위치로 나온다.
2 AMP 회로 브레이커 (리셋으로 눌려짐) 이러한 브레이커는 이송 펌프 앞에 연결되며 브루어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펌프를 분리시킬 것이다. 펌프가 고장나게 되면, 브루어는 디스펜서 또는 카트 내부로 직접 브루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 제어 보오드 및 컴퓨터 소거 프로그램 가능 ROM(EPROM) 소프트 웨어
임의의 위치 사이에서 상호교환가능한 3 개의 동일한 타이머는
전방 = 브루어 밸브 타이머, 덤프 밸브르 통해 완전한 6 갤런을 유지하기 위해 초 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타이머는 이송 펌프의 작동을 지연시키기 위해 AT 모델 상에서 연장된다.
중간 = 바이패스 밸브 타이머는 0 내지 40%의 바이패스를 얻기 위해 초 내에서 설정된다. 바이패스 타이머 내의 변화는 브루어 타이머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변화를 필요로 할 것이다.
후방 = 이송 펌프 타이머는 완전하게 비어있는 디스펜서 및 라인을 유지하기 위해 초 내에서 설정된다. 이 시간은 이송 호스의 길이에 따라 변할 것이다.
모든 유입 및 유출 신호는 연결기에 쉽게 추적된다.
독립형의 점프는 서비스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유입 전원을 한번에 인출하기 위해 두개의 가열기를 방지하기 위해 한번에 하나의 점프이다.
동일한 보오드는 모든 모델 왼쪽 또는 오른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및 국제 전압 보오드 또는 성분으로 교환할 수 없다.
통신 케이블은 3개의 와이어를 가지고 있으며, 전송하고, 수신하고, 그리고 접지된다. 루우프를 갖는 코오드의 단부는 슬레이브로서 보오드를 나타낸다. 통신 링크가 두절된다면, 슬레이브는 사용될 수 없다. 유입 전력 회로 브레이커가 온수 탱크에 공급하기에 충분하다면, 독립형 점프는 주 제어판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각각의 주 제어 보오드 내부로 플러그 접속된다. 브루잉 중에 에러가 탐지된다면, 브루잉은 브루잉 헤드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완료된다. 에러는 (2개의 브루어 상의 두개의 헤드) 브루어를 아래로 전원을 작동시키고 브루어를 다시 뒤로 후퇴시켜 작동시킴으로써 리셋될 수 있다.
충전 시스템/액체 레벨 제어 보오드
이중의 프로우브 액체 레벨 보오드, 표준 HWBS에 의해 제어된다.
탱크는 브루잉 주기중에 재충전되지 않는다.
이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밸브의 분배를 허용하는데 이는 표준 물의 압력이 모든 물에 대해 0 내지 6 갤런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탱크는 플러시중에 그리고 그 이후에 자동적으로 재충전된다.
충전 밸브는 표준 s-45이다. 필요하다면 각각의 측면에 대해 3/8 T 피팅으로 결합한다. 수압 또는 유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브루어는 탱크가 충전되는 시간과는 관계없이 충분한 물을 가질때까지 브루잉 되지 않을 것이며 브루잉은 정확하게 6 갤런이 된다. 덤프 밸브는 탱크 높이 아래로 정확하게 6 갤런의 지점에서 위치된다. 브루잉 타이머는 덤프 밸브가 6갤런을 모두 배출시키도록 충분히 길게 개방됨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된다. 밸브 시간은 이송 펌프를 지연시키기 위해 AT 모델 상에서 6 갤런 배출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 이하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연 시간은 펌프가 브루잉 바스켓으로부터 배출된 이후에 곧 완료되도록 커피 이송 펌프가 정확한 시간에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다. 타이밍 주기 내의 이러한 단계는 브루어가 시간당 최대 브루어 용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온수 탱크의 재충전은 브루어 주기의 말단을 나타내는 브루어 덤프 밸브가 밀폐될 때까지 방지된다. 디스펜서를 충전하기 위한 디스펜스 시스템을 참조하면 된다.
가열 시스템
모든 브루어 상의 온수 탱크, 좌측 및 우측면은 18 갤런의 탱크와 동일하다.
표준 자동 온도 조절 장치 및 프로우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생성물 자동 온도 조절 장치 조립체의 다른 측면 상에 장착된 연결기를 갖는다.
가열기는 10 kw, 240V, 5 kw 240 V, 10 KW 480V 이다.
수은 계전기는 80 amp 3 ph, 60 amp 3ph이다.
고온 탱크 및 트윈 브루어(30) 내의 가열기와 그리고 이송 사양을 갖는 트윈 브루어(30)는 하나의 브레이커에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는 계전기를 제어하고 오직 하나의 탱크만이 한번에 가열된다. 즉, 2 탱크 도면 31 amps 각각은 하나의 50 amp 브레이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두가지 모두 80 amp 브레이커에 연결된다면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가열기 배치는 유입 전원을 최대화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스 시스템
스프레이헤드는 소나기와 같은 37개의 고르게 이격된 구멍에 의해 커피 베드 위로 브루어 덤프 밸브로부터 브루잉 물을 분산시킨다.
이송 시스템
이송은 hp 자체 마증물(priming) 펌프에 의해 수행된다.
각각의 펌프는 2 amp 회로 브레이커에 연결된다.
브루잉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커피의 브루잉을 참조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커피는 차 또는 코코아 등의 브루잉을 발생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브루어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여러 형태의 요소중의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여러 실시예 및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을 이것에 국한시키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한 단열식 제거가능한 어언과, 그리고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기 전에 상기 단열식 제거가능한 어언을 예열하도록 온수로 상기 단열식 제거가능한 어언을 세척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수단이 브루잉 개시 스위치를 갖춘 제어기, 세척 스위치, 및 상기 어언 내로 온수를 통과시키도록 상기 브루잉 개시 스위치의 독립적인 브루잉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2.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브루잉 바스켓 내에서 브루잉 재료를 통과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에 적재될 때 상기 브루잉 재료를 통해 온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브루잉 밸브와,
    세척 스위치와, 그리고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통해 어언 내로 유입되어 상기 어언을 세척하는 온수의 유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브루잉 밸브 및 바이패스 밸브를 둘다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3. 음료를 브루잉하는 방법으로서,
    브루잉 바스켓 내에 음료 재료를 위치시키기 전에, 단열식 제거가능한 어언을 예열하도록 온수를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통해 상기 단열식 제거가능한 어언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어언 내부에 온수를 담아두는 단계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어언에 부착된 물꼭지를 통하여 온수를 상기 어언으로부터 방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에 음료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예열된 어언 내로 고온의 음료를 직접적으로 브루잉시키기 위하여 온수가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의 음료 재료를 통과하도록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내면을 갖춘 하나 이상의 보유 탱크와, 그리고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기에 앞서 상기 보유 탱크를 세척 및 살균하도록 상기 내면 상에 온수를 분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5.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유 탱크와,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기에 앞서 온수로 상기 보유 탱크를 예열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예열 수단이 브루잉 바스켓 내에서 브루잉 재료를 통과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에 적재될 때 상기 브루잉 재료를 통해 온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브루잉 밸브와,
    수동 세척 스위치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통해 어언 내로 유입되는 온수의 유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브루잉 밸브 및 바이패스 밸브를 둘다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보유 탱크를 예열하도록 상기 어언으로부터 상기 보유 탱크로 온수를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6. 브루잉 방법으로서,
    부루어로부터의 온수로 어언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어언에서부터 보유 탱크까지 이송 라인을 연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보유 탱크의 내면을 세척하고 펌프 및 상기 이송 라인을 세척하기 위하여 온수를 상기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어언으로부터 상기 보유 탱크로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음료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베이스와,
    후미 하우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전방 하우징에 장착되는 음료 배출구를 갖춘 전방 하우징 및 후미 하우징을 구비한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브루어와,
    플로어를 가로질러서 카트를 롤링하는 수단을 갖춘 카트를 구비한 서어빙 카트 조립체와,
    서어빙 디스펜서 상의 유입 노즐 내로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브루잉된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상에 장착된 서어빙 디스펜서와, 그리고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직접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음료 배출구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카트 조립체를 상기 서어빙 디스펜서의 유입 노즐과 정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브루잉 시스템.
  8.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음료 브루어로 빈 서어빙 디스펜서를 롤링하는 단계와,
    상기 서어빙 디스펜서의 유입구로 직접적으로 음료를 브루잉하는 단계와,
    새로의 브루잉된 음료의 디스펜서를 다른 원거리 서어빙 장소로 롤링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원거리 서어빙 장소에서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온수 탱크,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 전기 히터, 브루어 바스켓을 통해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제어가능하게 분배하는 디스펜서 기구,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상기 히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를 위한 전력 공급기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루어와, 그리고
    전력이 다른 브루어의 히터에 인가되는 동안에 하나의 브루어의 개시 브루잉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여 하나의 브루어의 히터에 대한 전력의 인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한 쌍의 브루어 각각의 제어기 각각과 결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
  10. 완전한 브루잉 싸이클에 필요한 소정의 양의 물을 억제하기 위한 온수 디스펜서 탱크,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 브루잉 바스켓 내로 온수 디스펜서 탱크 내의 온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수단,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기 위한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 및 브루잉 싸이클 제어기를 갖춘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루잉 싸이클 제어기가,
    온수 디스펜서가 브루잉 싸이클에 필요한 소정의 양의 물을 포함하는 때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의 수작동의 발생을 저장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온수 디스펜서 탱크가 소정의 양의 물을 포함하기 전에 상기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가 브루잉 싸이클을 시작하도록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 수단이 브루잉 싸이클에 필요한 소정의 양의 물이 상기 온수 디스펜서 탱크 내에 담겨있는 지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여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로 물을 분배하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성기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 수단과 감지 수단 둘다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11. 브루잉 싸이클을 개시하는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 상기 개시 스위치와 결합된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 및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 제어기를 갖춘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 제어기가,
    상기 브루잉 싸이클 스위치가 브루잉 싸이클을 시작하도록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을 제 1 작동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브루잉 시스템이 브루잉 싸이클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여 상기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을 상기 제 1 모드와는 상이한 제 2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수단과, 그리고
    브루잉 싸이클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 1 및 제 2 모드와는 상이한 제 3 모드에서 상기 브루잉 싸이클 상태 표시등을 상기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12. 보유 탱크, 브루어로부터 상기 보유 탱크로 음료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 및 이송 제어기를 갖춘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송 제어기가,
    상기 음료를 브루잉 싸이클의 완료에 따라서 상기 보유 탱크로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 1 수작동 쌍안정 스위치와, 그리고
    제 2 수작동 단안정 스위치가 수동으로 온상태에서 유지되는 동안에만 상기 보유 탱크로 음료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 2 수작동 단안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안정 스위치는 온상태에서 수동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료의 이송을 중단하도록 오프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브루잉 시스템.
  13.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브루잉 바스켓, 온수 디스펜서 탱크,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 및 상기 브루잉 싸이클 개시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여 상기 온수 디스펜서 탱크로부터 상기 브루잉 바스켓 내로 물을 분배하는 것을 제어하는 수단을 각각 갖춘 한 쌍의 브루어와,
    상기 한 쌍의 브루어 둘다를 위한 단일 긴급 중단 스위치와, 그리고
    온수의 이송을 중단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루어의 둘 다의 상기 분배 제어 수단을 야기시키는 상기 긴급 중단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브루어 브루잉 시스템.
  14. 이중 브루어 시스템으로서,
    이송 스위치 및 상기 이송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여 각각의 브루어로부터 보유 탱크로 음료를 이송하는 수단을 각각 갖춘 한 쌍의 브루어와,
    긴급 중단 스위치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브루어 둘다의 이송 수단이 상기 보유 탱크로 음료를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긴급 중단 스위치의 작동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브루어 시스템.
  15.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상부와 기저부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상부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브루어와,
    제거가능한 어언을 지지하기 위한 어언 지지부재와,
    상기 브루어로부터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어의 아래에 상기 어언이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지지로부터 상기 어언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어의 아래의 정렬위치로부터 상기 어언이 이동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상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어언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16. 브루잉 방법으로서,
    브루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어언 지지부재상에 장착된 동안에 음료를 어언 내로 브루잉하는 단계와,
    상기 어언 지지부재에 의한 지지로부터 상기 어언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상기 어언이 상기 브루어 아래로부터 이동되는 어언 제거 위치로 음료 배출구 아래의 브루잉 위치로부터 상기 어언 지지부재를 이동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거 위치에 있는 동안에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어언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프레임, 물 디스펜서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물 디스펜서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브루잉 재료를 유지하는 브루잉 바스켓, 및 브루잉 바스켓 장착 장치를 갖춘 브루잉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루잉 바스켓 장착 장치가,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해제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상기 브루어 디스펜서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어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가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때 상기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로부터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잉 바스켓이 상기 브루어와의 정렬위치로부터 벗어나고 적어도 상기 프레임과 부분적으로 이탈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를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시스템.
  18. 브루어로 음료를 브루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브루어의 전방으로부터 이격된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루잉 바스켓 지지부에 음료 재료를 갖춘 브루잉 바스켓을 장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브루어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브루어와 상기 브루잉 바스켓이 정렬되는 브루잉 위치로 적재 위치로부터 상기 브루잉 바스켓을 갖춘 상기 지지부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브루잉 바스켓 조립체로서,
    일단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넓은 개구부와 대향 단부에 새로이 브루잉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좁은 개구부가 형성된 불투수성 폐쇄 벽을 갖춘 중공체와,
    음료 재료의 음료 삼투성 필터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 바스켓과, 그리고
    브루잉 싸이클 동안에 상기 필터 지지 바스켓 및 이의 내부에 지지되는 어떠한 재료로 통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중공 바스켓과 좁은 개구부를 통해 우회하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지지 바스켓과 상기 폐쇄 벽의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도록 상기 폐쇄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시켜 상기 중공체 내부에 상기 필터 지지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브루잉 바스켓 조립체.
KR1019997002331A 1996-09-18 1997-09-18 브루잉 시스템, 및 브루잉 시스템에 브루잉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KR100574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27596P 1996-09-18 1996-09-18
US60/026,275 199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245A true KR20000036245A (ko) 2000-06-26
KR100574590B1 KR100574590B1 (ko) 2006-04-28

Family

ID=2183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331A KR100574590B1 (ko) 1996-09-18 1997-09-18 브루잉 시스템, 및 브루잉 시스템에 브루잉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8) US6044753A (ko)
EP (1) EP1011399A4 (ko)
KR (1) KR100574590B1 (ko)
CA (1) CA2265970C (ko)
WO (1) WO1998011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458B1 (en) * 1999-03-03 2001-01-16 Cambro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self contained sink and water storage cart
BR0010743A (pt) * 1999-05-20 2002-04-16 Lancer Partnership Ltd Dispensador de bebida, processos para projetar um dispensador de bebida ou de reconfigurar um dispensador de bebida existente, para receber entrada de usuário em um dispensador de bebida, para enviar informação de um dispensador de bebida para um usuário, opara dispensar uma bebida a partir de um dispensador de bebida, de comunicação externa para um dispensador de bebida, e de comunicação externa de dispensador de bebida, sistema para monitoração de fluido refrigerante congelado, processo para controlar uma unidade de refrigeração de um dispensador de bebida, sistema para monitoração de nìvel de lìquido, e, processo para controlar um sistema de carbonação de um dispensador de beebida
US6227101B1 (en) 1999-12-10 2001-05-08 Masoud Rabadi Coffeemaker with automated interlocks
US6428627B1 (en) 2000-03-15 2002-08-06 Hatco Corporation Flow heater
US6439105B1 (en) 2000-07-31 2002-08-27 Bunn-O-Matic Corporation Multiple direction holder and beverage making apparatus
US6401729B1 (en) 2000-08-21 2002-06-11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reservo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447079A1 (en) * 2001-05-07 2003-01-03 Bunn-O-Matic Corporation Shared water reservoir beverage system
US7182970B2 (en) 2001-12-20 2007-02-27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WO2003092457A1 (en) * 2002-05-06 2003-11-13 Bunn-O-Mat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er control
US6659048B1 (en) 2002-06-06 2003-12-09 Emerson Electric Co. Supercharged hot water heater
US6701826B2 (en) * 2002-06-28 2004-03-09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Electric coffee maker for selectively brewing Espresso coffee and Americano coffee
WO2004006739A1 (en) * 2002-07-16 2004-01-22 Bunn-O-Matic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792847B2 (en) * 2002-09-18 2004-09-21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A Division Of Conopco, Inc.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20040118298A1 (en) * 2002-12-18 2004-06-24 Main Power Electrical Factory Ltd. Coffee making machine
US6931984B2 (en) * 2003-06-26 2005-08-23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Feature disablement controlled brewer
GB2407428B (en) * 2003-10-20 2006-02-15 Kraft Foods Uk Ltd A beverage vending machine installation
EP1681968B1 (en) * 2003-11-07 2013-04-17 Bunn-O-Matic Corporation Adjustable volume brewer
US7225728B2 (en) * 2004-01-30 2007-06-05 Wilbur Curtis Company, Inc. Brewing apparatus with pre-infusion and pulse brewing
US7202449B1 (en) * 2004-03-25 2007-04-10 Renau Corporation Brewing machin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879504B2 (ja) * 2004-04-08 2012-02-22 ハイデルベルガー ドルツクマシーネ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印刷機
US7380494B2 (en) * 2004-07-23 2008-06-03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Dispensing machine
NL1029155C2 (nl) * 2004-10-19 2006-04-20 Sara Lee De Nv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US8438968B2 (en) * 2005-03-17 2013-05-14 Hamilton Beach Brands, Inc Rotatable coffee maker
US20060261088A1 (en) * 2005-05-20 2006-11-23 Qin's, Inc. Container systems for beverages and other fluid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7610848B2 (en) 2005-06-09 2009-11-03 Conpco Inc. Dispensing machine with eductor
CN2920114Y (zh) * 2005-08-15 2007-07-11 王冬雷 咖啡机酿造锁紧装置
US7640845B2 (en) 2005-09-12 2010-01-05 Keurig, Incorporated Drain for beverage forming machine
US7568358B2 (en) * 2006-01-09 2009-08-04 Maytag Corporation Control for a refrigerator door dispenser light
US20070175337A1 (en) * 2006-01-31 2007-08-02 Conopco, Inc., D/B/A Unilever Beverage system for dispensing a homogeneous beverage and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CN2897100Y (zh) * 2006-04-10 2007-05-09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出咖啡机构改良的咖啡机
US20080017042A1 (en) * 2006-07-19 2008-01-24 Robert Almblad Automated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8087346B2 (en) * 2006-07-25 2012-01-03 Newco Enterprises, Inc. Multiple beverage brewer
US20080041231A1 (en) * 2006-08-17 200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US20080063772A1 (en) * 2006-09-12 2008-03-13 The Coca-Cola Company Concentrated fresh brewed tea
US20080178749A1 (en) * 2007-01-25 2008-07-31 Stutman Peter S Remotely controlled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user-defined food product or beverage
GB2447024A (en) 2007-02-27 2008-09-03 Kraft Foods R & D Inc A dispensing machine for hot or cold drinks
US8061263B1 (en) 2007-04-16 2011-11-22 Richard W. Hein Sensor head and brew cup for a beverage brewing device
GB2449213B (en) 2007-05-18 2011-06-2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beverage cartridges
GB2449420B (en) 2007-05-18 2009-10-21 Kraft Foods R & D Inc Improv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630B (en) * 2007-05-18 2010-01-06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422B (en) 2007-05-18 2009-09-16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421B (en) 2007-05-18 2009-09-0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7836820B2 (en) * 2007-09-19 2010-11-23 Sunbeam Products, Inc. Brewing device having a delayed release mechanism
US20090249960A1 (en) * 2007-10-12 2009-10-08 Lassota Zbigniew G Electrically powered beverage brewer and method of making and inventorying same
US8327755B1 (en) * 2008-06-06 2012-12-11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brewer with power driven tubular hot water dispense valve and method
US20100034943A1 (en) * 2008-08-08 2010-02-11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s for On Demand Iced Tea
US8522668B2 (en) * 2008-08-08 2013-09-03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n demand iced tea
US8075935B2 (en) * 2008-11-21 2011-12-13 Conair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brewing variable amounts of coffee
CN102245496B (zh) * 2009-07-23 2015-05-13 斯马特巴尔国际有限责任公司 自动饮料配制器
US20110182652A1 (en) * 2010-01-22 2011-07-28 Hannah Chung Wearable Sanitizing Gel Dispenser, Kit, and Associated Methods
IT1399817B1 (it) * 2010-04-28 2013-05-03 Lavazza Luigi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n particolare caffe'.
BR112012032780B1 (pt) 2010-06-21 2020-09-29 Smartbar Usa Llc Dispensador de bebida para mistura e dispensa de líquidos
RS58182B1 (sr) * 2010-08-10 2019-03-29 Rheavendors Services Spa Mašina za izdavanje napitaka sa grejačem komore za pripremu
US10010213B2 (en) * 2010-11-02 2018-07-03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and food containers
US11950726B2 (en) * 2010-11-02 2024-04-09 Ember Technologies, Inc. Drinkware contain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9814331B2 (en) 2010-11-02 2017-11-14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US9499333B2 (en) * 2010-11-11 2016-11-22 Nestec S.A. Capsul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n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nutritional product
US20120313017A1 (en) * 2011-03-15 2012-12-13 Jeff Farris Beverage dispensing valve
USD677510S1 (en) 2011-06-16 2013-03-12 Calphalon Corporation Coffee maker
US10314426B2 (en) * 2011-11-23 2019-06-11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US20130174743A1 (en) * 2012-01-06 2013-07-11 B/E Aerospace, Inc. Aircraft brewing apparatus
EP2819557B1 (en) 2012-02-28 2020-07-29 Gudpod Corp. A nutraceutical compoun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10470604B2 (en) 2013-03-12 2019-11-12 Keurig Green Mountain, Inc. Delayed fill of beverage machine heater tank
WO2015077237A2 (en) 2013-11-20 2015-05-28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Cooking system power management
WO2015142726A1 (en) * 2014-03-18 2015-09-24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Dispensing architecture for a hybrid fountain beverage consumable cart and galley dispensing system
US8960999B1 (en) 2014-03-28 2015-02-24 Gu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DE102014213798A1 (de) * 2014-07-16 2016-01-2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Wasserspendereinheit die eine Aufnahmeeinheit zum Einsetzen eines Geschmacksmittel-Behälters aufweist
US9782036B2 (en) 2015-02-24 2017-10-10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portable drinkware
EP3114972B1 (de) * 2015-07-09 2017-08-23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S20180146818A1 (en) * 2015-07-27 2018-05-31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l., Ltd. Brewing system for beverage machine, beverage machine and beverage brewing method
EP3359000A4 (en) * 2015-10-05 2019-04-17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INFUSER WITH ADJUSTABLE SHELF
US10517420B2 (en) 2015-10-09 2019-12-31 Bunn-O-Matic Corporation Accelerated brew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70119200A1 (en) * 2016-01-19 2017-05-04 Anthony David Bressi Automated beverage and fragrance synthesizers
CN107212757A (zh) * 2016-03-21 2017-09-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饮品机的控制方法
USD843162S1 (en) 2016-09-15 2019-03-19 Gudpod Corp. Pod for a beverage mixing system
KR20180035662A (ko) 2016-09-29 2018-04-06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열되거나 냉각된 음료용기
CN106820977A (zh) * 2017-01-05 2017-06-13 福州汇智集佳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饮水机
USD818763S1 (en) 2017-03-03 2018-05-29 Hamilton Beach Brands, Inc. Stand mixer
WO2019000012A1 (en) * 2017-06-30 2019-01-03 Breville Pty Limited DRIP FILTER COFFEE MACHINE
US20190110643A1 (en) * 2017-10-14 2019-04-18 Gloria Contreras Smart charger plate
ES2959703T3 (es) 2018-01-31 2024-02-27 Ember Tech Inc Sistema de biberón calentado o enfriado activamente
US10799072B2 (en) 2018-04-13 2020-10-13 Hamilton Beach Brands, Inc. Stand mixer with bowl lift
CA3095760A1 (en) 2018-04-19 2019-10-24 Ember Technologies, Inc. Portable cool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D865437S1 (en) 2018-07-02 2019-11-05 Hamilton Beach Brands, Inc. Mixer bowl
USD859911S1 (en) 2018-07-02 2019-09-17 Hamilton Beach Brands, Inc. Standmixer
AU2020206753A1 (en) 2019-01-11 2021-07-15 Ember Technologies, Inc. Portable cool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11358106B2 (en) 2019-01-25 2022-06-14 Hamilton Beach Brands, Inc. Stand mixer with mechanism to lift head
US11162716B2 (en) 2019-06-25 2021-11-02 Ember Technologies, Inc. Portable cooler
US11668508B2 (en) 2019-06-25 2023-06-06 Ember Technologies, Inc. Portable cooler
CN114174741A (zh) 2019-06-25 2022-03-11 恩贝尔技术有限公司 便携式冷却器
CN110801154B (zh) * 2019-11-12 2021-09-24 呼格吉乐 饮水机
US20210163169A1 (en) * 2019-12-02 2021-06-03 Embo, Llc Bottom feed portable bottle filling station
US11871866B2 (en) * 2020-06-02 2024-01-16 Starbucks Corporation Modular brew systems
CN112220351A (zh) * 2020-10-10 2021-01-15 黄雯曼 一种基于物联网的饮水机
US11912558B2 (en) 2021-03-12 2024-02-27 Smart Bar Usa Llc Beverage dispense hea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5338A (en) * 1925-12-17 1929-08-20 Jamestown Metal Equipment Co I Suspension
US1851183A (en) * 1927-03-14 1932-03-29 Griffitha E Hill Oven
US3270918A (en) * 1963-12-26 1966-09-06 Bastian Blessing Co Hot beverage dispenser
US3945411A (en) * 1974-04-01 1976-03-23 Mojonnier Bros. Co. System for mixing various kinds of fluid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ans for cleaning the apparatus between operations
CH608363A5 (ko) * 1975-06-06 1979-01-15 Hagezet Ag
US4579048A (en) * 1979-09-14 1986-04-01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4407315A (en) * 1981-06-12 1983-10-04 Haberer Merle D Apparatus for cleaning interior of a milk tank
US4482066A (en) * 1982-09-24 1984-11-13 Dykstra Donald P Storage rack with an extendible shelf structure
DE3436984A1 (de) * 1984-10-09 1986-04-17 Erich H. Dipl.-Ing. 4950 Minden Woltermann Maschine zum zubereiten heisser getraenke mit dosierter fluessigkeitsentnahme
US4621571A (en) * 1984-11-28 1986-11-11 Bloomfield Industries, Inc. Satellite coffee brewing system
US4606476A (en) * 1985-06-17 1986-08-19 Pocock Richard L System for sanitizing beverage dispensing systems
DE8702616U1 (ko) * 1987-02-20 1987-04-16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5650 Solingen, De
US4809594A (en) * 1987-08-11 1989-03-07 Bloomfield Industries, Inc. Tea brewer
US4773313A (en) * 1988-01-20 1988-09-27 Bunn-O-Matic Corporation Iced tea brewer with portable server
US5000082A (en) * 1988-07-27 1991-03-19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making beverage
CA1269690A (en) * 1989-03-14 1990-05-29 Peter Klein Electrical apparatus useful to prepare a hot beverage
DE3938446C1 (ko) * 1989-11-18 1991-04-18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4950 Minden, De
US5245914A (en) * 1990-09-18 1993-09-21 Vitous Charles J Dual tea brewer
US5195422A (en) * 1990-10-09 1993-03-23 Grindmaster Corporation Hot water batch delivery system for a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5133247A (en) * 1991-01-11 1992-07-28 Mr. Coffee, Inc. Coffee maker
DE4130446A1 (de) * 1991-09-13 1993-03-25 Braun Ag Bruehgetraenkemaschine
NL9200585A (nl) * 1991-12-06 1993-07-01 Smitdesign Bv Snel opwarmend koffiezetapparaat met grote capaciteit.
US5309821A (en) * 1992-05-28 1994-05-10 Bunn-O-Matic Corporation Coffee brewing urn
DE4318113C1 (de) * 1993-06-01 1994-06-01 Braun Ag Brühgetränkemaschine
DE9312009U1 (de) * 1993-08-12 1993-10-07 Krups Fa Robert Kaffeemaschine
US5644972A (en) * 1994-08-03 1997-07-08 American Metal Ware Co.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and dispensing a hot beverage
US5503060A (en) * 1995-01-17 1996-04-02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Automatic drip coffeemaker and thermal carafe assembly
US5676041A (en) * 1995-02-03 1997-10-14 Appliance Development Corp. Coffee brewing apparatus
US5584229A (en) * 1995-08-14 1996-12-17 Bunn-O-Matic Corporation Reduced temperature coffee brewer
US5676040A (en) * 1996-04-15 1997-10-14 Bunn-O-Matic Corporation Automatic refill brewing apparatus
US5704275A (en) * 1996-12-31 1998-01-06 Bloomfield Industries Canada, Limited Electronic brew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1399A1 (en) 2000-06-28
US6135009A (en) 2000-10-24
US6044753A (en) 2000-04-04
US5943944A (en) 1999-08-31
US6668704B1 (en) 2003-12-30
US5953981A (en) 1999-09-21
KR100574590B1 (ko) 2006-04-28
EP1011399A4 (en) 2002-07-31
US6035761A (en) 2000-03-14
CA2265970C (en) 2005-12-27
CA2265970A1 (en) 1998-03-26
US6706300B1 (en) 2004-03-16
WO1998011809A1 (en) 1998-03-26
US6543335B1 (en)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590B1 (ko) 브루잉 시스템, 및 브루잉 시스템에 브루잉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
US4309939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7234389B1 (en) Brewer system with brew status indicator and method
US6843164B2 (en) Coffee brewer
US4579048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CA1237909A (en) Apparatus for making tea or coffee
US5000082A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making beverage
US8490540B2 (en) Programmable brewer
JPS61128924A (ja) サテライトコ−ヒ製造装置
JP5203947B2 (ja) 飲料生成機のドレン
EP2651269B1 (en) Ac and/or dc voltage powered machine for preparing espresso coffee and other infused drinks and beverages
CA1217948A (en) Beverage making machine with hot water faucet
US4603620A (en) VPS with hot water dispenser
JPH07505328A (ja) コーヒー抽出分配器
US4745852A (en) Apparatus for mak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a brewed beverage, in particular coffee
JPS60210218A (ja) ホツトドリンク調製装置
US4782744A (en) Beverage brewer and hot water dispenser
CN113453592B (zh) 用于在咖啡机中生产咖啡饮料的方法
US5907993A (en) Satellite brewing system
US6571685B1 (en) Oxygenating tea maker and method
US6713109B1 (en) Method of tea extraction
US20030196554A1 (en) Dual mode hot beverage dispenser
JP3076510B2 (ja) 給湯装置
RU2792845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йного напитка в кофейном автомате
JPH09259349A (ja) 抽出式飲料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