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006A -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 - Google Patents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006A
KR20000036006A KR1019997001968A KR19997001968A KR20000036006A KR 20000036006 A KR20000036006 A KR 20000036006A KR 1019997001968 A KR1019997001968 A KR 1019997001968A KR 19997001968 A KR19997001968 A KR 19997001968A KR 20000036006 A KR20000036006 A KR 2000003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passageway
cordless phone
bod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542B1 (ko
Inventor
쏜톤커티스웨인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도날드 디. 먼둘
Publication of KR2000003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셀룰러 전화기 등, 무선 전화기(10)의 플립 커버(16) 및 본체 구조재(12)와의 사이에, 커버의 선회축(18)에 동축 일직선상의 방향으로 두 구성 소자를 접속하는 힌지를 통하여 본체에 대하여 통로의 일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음향 통로(20)가 구성된다. 내부 통로는 커버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커버를 본체 구조재에 접속하는 힌지 핀(34)을 통하고, 거기서부터 본체 구조재의 내부 연장 통로(14)를 통하여 본체 구조재에 배치된 마이크로폰(28)까지 연장된다. 커버의 개구 및 마이크로폰과의 사이의 음향 통로는 커버가 개방 또는 닫혀진 위치에 관계없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커버에 형성된 통로 및 본체 구조재에 형성된 통로 사이의 상호 접속은 각 구성 소자 간의 끼워 맞춤의 결과로써 억제되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튼튼하게 밀착된 상태는 무선 전화기를 오랜 기간 사용한 후에도 유지된다.

Description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TELEPHONE HAVING SEALED ACOUSTICAL PASSAGEWAY THROUGH FLIP COVER HINGE}
무선 전화기, 특히 셀룰러 전화기는 더욱 더 작아지기 때문에, 스피커, 또는 이어폰, 및 음성 픽업(pickup)용 마이크로폰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소형의 셀룰러 전화기에는 셀룰러 전화기의 본체에 선회축으로 장착되고, 키이패드(keypad) 등의 적어도 전화기의 일부분을 덮는 보통 "플립"이라고 하는 커버가 있다.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형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플립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마이크로폰이 사용자의 입에 근접한 영역에 있도록 플립의 말단부에 마이크로폰을 장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플립의 힌지 접속을 통하여 본체로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되거나 또는 플립 커버 및 본체 사이에 가요성(可撓性) 커넥터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장치는 모두 마모되기 쉽고, 이후에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화기 본체에 배치된 회로로 가는 전기적 신호가 열화(劣化)되기 쉽다.
기타의 셀룰러 전화 장치에서는, 마이크로폰이 스피커로부터 가능한 한 먼 거리를 두고 전화기의 본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기가 소형으로 되면,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폰은 통상의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폰이 입 근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음성 입력 품질이 떨어진다. 사용자의 음성 레벨의 결과적인 감소는 또한 마이크로폰에 의해서 포착되는 배경 잡음의 양을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
손에 쥐는 소형의 무선 전화기기에서 음성을 포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은 유럽 특허 사무소 문서 제0 275 996 B1호에 기재되어 있다. EPO(European Patent Office) 문서는 플립 커버의 슬롯(slot)으로부터 기기 본체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까지의 밀폐 음향 통로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음향 통로는 플립 커버의 힌지 접속을 통하여 본체로 연결된다. 음향 통로는 플립이 개방 위치로 펼쳐질 때에 작동한다. 그러나, EPO문서에 기재된 장치는 몇 가지 고유의 문제가 있다. 첫째, 이 장치는 본체 하우징과 플립 힌지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모에 대한 보완을 제공하지 않는다. 플립은 항상 개방되거나 닫혀져 있기 때문에, 밀폐 구조가 마모될 수 있으며 밀폐 음향 통로를 형성하는 능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둘째, 플립이 닫혀 있을 때, 플립 힌지를 통하는 경로가 열려 있어서, 섬유 부스러기, 음식물, 먼지, 및 기타의 부스러기 등의 물질이 들어갈 기회가 발생하고 이후에 플립이 열릴 때 음향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셋째, 플립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는 음성 통신 동안에 마이크로폰으로의 통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라도 닫히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한 부주의한 충격 등의 작은 움직임도 플립을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플립의 음향 통로 및 본체의 음향 통로 사이에 불일치를 일으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기기를 오랫 동안 사용함으로 인한 마모에 대하여 보완하기 위하여 소형 장거리 통신 기기의 플립 커버에 형성된 개구(開口), 및 플립과 본체 사이에 제한적으로 접속된 기기의 본체에 배치된 마이크로폰과의 사이에 밀폐된 음향 통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상 밀접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 소자간에 힌지에 의한 상호 접속을 통하여 밀폐 통로를 형성하여, 외부 물질의 퇴적 가능성 및 이후의 통로의 차단을 제거하는 이러한 기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플립 및 본체 사이의 음향 통로의 개방이 유지되고, 플립 커버의 개폐, 또는 중간 위치에 관계없이 통로가 일치되는 기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전화기 본체에 선회축으로써 장착된 보호 커버(cover)를 갖춘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특히, 커버에 형성된 음향 통로와 통하도록 본체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을 갖춘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셀룰러 전화기의 3차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1에 나타낸 셀룰러 전화기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2에 나타낸 셀룰러 전화기의 확대 평면도로서, 커버부 및 본체부를 단면으로 나타내어 두 구조재의 상호 접속을 더욱 양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셀룰러 전화기의 커버 및 본체 구성부 사이를 힌지로써 상호 접속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장거리 통신 기기의 커버 및 본체 구성부의 부분 확대 평면 단면도로서, 두 구성부의 힌지 상호 접속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거리 통신 기기의 커버 및 본체 구성부의 힌지에 의한 상호 접속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 단면도.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라서, 무선 전화기는 본체 구조재에 정해진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내부 통로가 연장·형성되는 본체 구조재, 및 본체 구조재에 선회축으로써 부착되어 닫힌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미리 형성된 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는 커버를 갖추고 있다. 선회축은 본체 구조재 및 커버에 미리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연장된다. 커버에는 또한 미리 형성된 선회축에 동축으로 일직선상으로 된 첫 번째 부분, 및 통로의 첫 번째 부분과 통하는 두 번째 부분, 및 커버의 선택된 표면으로부터 통로의 두 번째 부분에 이르는 개구로써, 내부적으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무선 전화기는 추가로 본체 구조재의 내부적으로 연장된 통로와 통하는 본체 구조재내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본체 구조재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커버의 선회축과 동축 일직선상으로, 또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첫 번째 부분과 통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무선 전화기의 기타의 특징은 본체 구조재의 정해진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부(凹部)를 갖춘 본체 구조재를 포함한다. 요부는 커버의 회전축에 대하여 동심(同心)으로 형성된다. 커버는 또한 외부적으로 형성된 제1종단부를 갖춘 힌지 핀을 포함하며, 제1종단부에는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첫 번째 부분과 통하는 개구를 갖추고 있다. 외부적으로 형성된 힌지 핀의 제1종단부는 커버가 본체 구조재에 조립될 때 본체 구조재의 요부와 튼튼하게 밀착하도록 부합된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무선 전화기의 기타의 특징은 커버와 함께 일체 구조로 형성되는 힌지 핀, 및 힌지 핀의 외부적으로 형성된 제1종단부와 본체 구조재의 요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環狀)의 밀폐용 부재(seal)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은 커버와 별도로 형성되고, 커버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의 선회축 방향을 따라서 커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가동(可動)할 수 있는 제2종단부를 갖춘 힌지 핀을 포함한다. 본 장치에서, 무선 전화기는 힌지 핀의 제2종단부 및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밀폐 부재를 포함한다. 어느 장치에서든지, 밀폐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라서, 음성을 무선 전화기로 인도하기 위한 장치는 제1종단부 및 제2종단부를 갖는 커버, 및 커버를 제1종단부에서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힌지 접속 수단은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커버가 선회하는 축을 갖는다. 이 장치는 추가로 커버의 제2종단부에서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힌지 접속 수단의 축과 일직선상으로 된 커버의 밖으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출구에 접속하면서 커버에 형성된 중공부(中空部)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향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음성을 무선 전화기로 인도하기 위한 장치의 기타의 특징은 커버가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무선 전화기의 개구로의 음향 통로의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기타의 특징은 커버가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개구에 대향(對向)하는 제1표면, 및 제1표면의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제2표면을 갖는 중공(中空)의 핀을 포함하는 음향 통로의 출구를 포함한다. 핀은 마찰이 적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중공의 핀은 커버에 대하여 고정되는 반면에,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중공 핀이 커버에 대하여 가동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제1 및 제2스프링 암(arm)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에 커버가 힌지로써 접속될 때 무선 전화기의 개구로의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1스프링 암은 커버가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개구 주위의 제1방향으로 힘을 형성하며, 제2의 암은 커버가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장거리 통신 기기, 또는 무선 전화기는 셀룰러 전화기(10)를 특정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셀룰러 전화기(10)는 키이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스크리인, 안테나, 및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회로를 수용(收容)하는 본체 구조재(12)를 갖추고 있다. 도 3∼6에 잘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체 구조재(12)는 본체 구조재(12)의 정해진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14)를 갖는다.
셀룰러 전화기(10)는 또한 본체 구조재(12)에 선회축으로써 부착되어, 본체 구조재(12) 및 커버(16)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미리 형성된 축(18)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는 커버 또는 플립(16)을 포함한다. 커버(16)는 커버가 본체 구조재(12)의 키이패드 위를 덮는 상태로 배치되는 닫힌 위치, 및 커버(16)가 본체 구조재(12)의 키이패드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18)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커버(16)는 선회축(18)과 동축으로 일직선상으로 된 첫 번째 부분(22), 및 커버(16)의 표면으로부터 통로(20)의 두 번째 부분(24)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26)와 통하는 음향 혼(horn)을 형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두 번째 부분(24)을 갖는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20)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마이크로폰(28)은 본체 구조재(12)의 내부 연장 통로(14)와 통하게 본체 구조재(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연장 통로(14)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16)의 선회축(18)과 동축 일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커버(16)에 형성된 통로(22)의 첫 번째 부분(22)과 통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통로(14)와 일직선상으로 된 내부 개구를 갖춘 고무 밀폐 부재(30)가 본체 구조재(12) 내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폰(28) 주위에 음향적 밀폐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16)의 개구(26), 및 본체 구조재(12)에 배치된 마이크로폰(28)과의 사이에 밀폐된 음향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커버(16) 및 본체 구조재(12)와의 사이의 힌지 상호 접속은 몇 가지 상이한 장치로써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본체 구조재(12)에는 본체 구조재(12)의 정해진 표면의 일부에 요부(32)가 형성되고, 이 요부는 커버(16)의 선회축(18)에 대하여 동심으로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다. 또한 커버(16)는 도 3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6)와 일체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개의 구조재로서 형성되는 힌지 핀(34)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모든 장치에서, 힌지 핀(34)은 커버(16) 내에 내부적으로 형성된 통로(20)의 첫 번째 부분(22)과 통하게 형성된 개구가 있는, 외부적으로 형성된 제1종단부(36)를 갖추고 있다.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는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요부(32)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튼튼하게 밀착한다.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가 요부(32)에 직접 밀착해서 접촉될 때, 직접적으로 밀착하는 구조재의 적어도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 쪽을 낮은 마찰 계수 및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 예로서, 듀폰(Dupont)에서 생산하는 아세탈 호모폴리머(homopolymer) 수지인 Delrin, 및 셀라니스(Celanese)에서 생산하는 코폴리머(copolymer)인 Celcon등의 열경화성 아세탈 수지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를 본체 구조재(12)의 요부(32)에 직접적으로 밀착시키는 것은 두 구조재 간의 끼워 맞춤으로써 훌륭하게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커버(16)에는 선회축(18)과 동축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커버의 반대 쪽에 제2의 핀(38)이 형성되어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본체 구조재(12)에는 본체 구조재(12)의 하측부 반대 쪽에, 선회축(18)과 동축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제2요부(40)가 있다. 힌지 핀(34, 36)의 외부 종단부 사이의 거리는,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요부(32, 40) 사이의 거리보다, 예로서 약 0.25㎜ 작은 정도로서, 다소 작다. 커버(16)는 본체 구조재(12)의 하측부 위에 커버(16)를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본체 구조재(12)에 조립되어서, 충분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힌지 핀(34, 36)에 밀착한 커버의 짧은 암 부분(42, 44)을 펼침으로써 핀(34, 36)의 외부 종단부가 본체 구조재(12)를 깨끗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조립되었을 때에는, 힌지 핀(34, 38)의 외부 종단부 및 요부(32, 40) 사이에, 예로서 상기 예에서 약 0.25㎜로서 끼워 맞추어 진다. 따라서, 조립후에 고정되면, 힌지 핀(34, 36)의 외부 종단부는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대응 요부(32, 40)에 튼튼하게 밀착된다.
별개의 구성 소자로서 형성될 때에는, 힌지 핀(3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6)에 형성된 캐비티(cavity)에 튼튼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축(18) 방향을 따라서 커버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가동적일 수도 있다. 도 5의 장치에서, 힌지 핀(34)에 형성된 환상의 쇼울더(shoulder) (48)를 수용하기 위하여 커버(16)에 환상의 요부(46)가 형성된다. 요부(46)의 깊이는 하우징에 형성된 핀(34)용의 요부(46) 및 개구 내에서 핀(34)이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환상 쇼울더(48)의 두께 보다 크다. 힌지 핀(34)은, 힌지 핀(34)의 설치후에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접 등으로써, 커버(16)에 부착되는 환상의 링(ring)에 의하여 커버(16) 내에 장착된다. 환상의 밀폐 부재(50)는 힌지 핀(34)의 제2종단부(52) 및 커버(16) 사이에 배치된다. 밀폐 부재(50)는 커버(16)를 본체 구조재(12)에 조립하는 결과로써 압축될 때, 힌지 핀(34)에 대하여 억제력을 형성함으로써,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를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요부(32)의 표면에 밀착하여 접촉시키도록 압력을 가하기에 충분한 압축되기 전의 두께를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6)를 본체 구조재(12)에 조립할 때, 밀폐 구조재(50)는 압축된 상태이다. 더욱이, 밀폐 부재(50)의 중앙에는 커버(16) 내부 통로(20)의 첫 번째 부분(22)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멍(54)이 있다.
고정 핀 장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 및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요부(22)와의 사이에 환상의 엘라스토머 밀폐 부재(54)가 배치되어서, 커버(16)에 형성된 통로(20)의 첫 번째 부분(22), 및 본체 구조재(12)의 내부 연장 통로(14)와의 사이에 튼튼한 음향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서, 커버(16)의 힌지 소자(34)를 본체 구조재(12)의 수용 요부 표면(32)에 튼튼하게 밀착시킴으로써, 각 구조재 내에 일직선으로 된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서, 커버(16)에 형성된 개구(26)로부터,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마이크로폰(28)까지 연장되는 튼튼하고, 밀폐된 음향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10)에 힌지 접속된 커버(16)를 갖춘 무선 전화기(10)에 음성을 인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커버가 축(18)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고, 커버(16)에 형성된 내부 통로(20)와 통하는 개구(26)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향 통로를 제공하는 무선 전화기(12)에 커버(16)를 힌지로써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커버(16)에 형성된 음향 통로(20)의, 무선 전화기(10)의 본체(12)에 형성된 개구(14)로의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전화기(10)의 본체 구조재(12)상의 대응 표면의 간격 거리 보다 작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커버(16)에 형성된 제1 및 제2스프링 암(42, 44)을 포함한다. 조립할 때, 제1암(42)은 커버 통로 개구(20) 주위의 제1방향으로 힘을 형성하고 제2스프링 암(44)은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힘을 형성한다. 더욱이 설명된 실시예에서, 커버(16)에 형성된 음향 통로(20)에 대한 출구는 본체 구조재(12)에 형성된 내부 통로(14)와 통하는 중공의 힌지 핀(34)의 제1종단부(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중요한 것은 플립 힌지를 통하는 음향 통로의 개폐(開閉)동작을 없애고, 플립 커버가 닫혀져 있을 때라도 열려 있는 힌지를 통하는 밀폐되어 둘러싸인 통로로써 대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커버가 닫혀져 있을 때 통로가 열려 있다면 이 통로 안에 빠질 수 있는 부스러기에 의하여 통로가 막히는 것을 제거한다. 추가적으로, 튼튼하게 밀착된 커버(16) 및 본체 구조재(12)의 표면 사이의 동축 일직선상의 회전 접속으로써 음향 전송 품질의 손실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실험 결과, 대응하는 구성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아세탈 수지로 형성될 때, 플립 커버(16)를 10,000회 개폐 시험한 후에 커버(16) 및 본체 구조재(12) 사이의 음향 밀폐 구조는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기를 상당 기간 연장해서 사용한 후에도 힌지 핀(34) 및 본체 구조재(12) 사이의 끼워 맞춤 구조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커버 및 본체 구성 소자 사이에 힌지로 접속된 장치의 특정 주요 구조로써 설명되었지만, 전문 기술자는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구조에 대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이하의 청구 범위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성,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 범위와 함께, 본 개시 및 도면의 연구로부터 알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본체 구조재의 정해진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를 갖춘 본체 구조재와,
    상기 본체 구조재에 선회축으로써 부착되고, 상기 본체 구조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상태로 커버가 배치되는 닫힌 위치와 상기 본체 구조재의 상기의 적어도 일부분만큼 상기 커버가 벌어져 있는 개방된 위치와의 사이에 미리 형성된 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는 커버로서, 상기 선회축은 상기 본체 구조재 및 상기 커버의 미리 정해진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의 미리 형성된 축에 동축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첫 번째 부분, 및 통로의 상기 첫 번째 부분과 통하는 두 번째 부분, 및 상기 커버의 선택된 표면으로부터 통로의 상기 두 번째 부분에 이르는 개구를 갖추어 내부적으로 통로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본체 구조재의 상기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커버의 상기 선회축과 동축 일직선상으로, 또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상기 첫 번째 부분과 통하게 형성된, 상기 본체 구조재의 상기 통로와 통하는 상기 본체 구조재내에 배치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조재는 본체 구조재의 상기 정해진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선회축에 대하여 동심(同心)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의 상기 첫 번째 부분과 통하게 형성된 개구가 있는, 외부적으로 배치된 제1종단부를 갖춘 힌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적으로 배치된 힌지 핀의 제1종단부는 상기 커버가 본체 구조재에 조립될 때 본체 구조재의 상기 요부와 튼튼하게 밀착하도록 부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일체 구조로 형성된 상기 힌지 핀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는 상기 힌지 핀의 외부적으로 배치된 제1종단부, 및 본체 구조재의 상기 요부와의 사이에 배치된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로써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 통로의 상기 첫 번째 부분, 및 본체 구조재의 상기 내부 연장 통로와의 사이를 통하게 하는 중앙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은 상기 커버내에 내부적으로 형성된 제2종단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에 대하여 상기 선회축 방향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가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는 힌지 핀의 상기 제2종단부 및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배치된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엘라스토머 재료로써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 통로의 상기 첫 번째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앙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9. 음성을 무선 전화기로 인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종단부 및 제2종단부를 갖춘 커버,
    상기 제1종단부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커버가 선회하는 축을 갖춘 상기 힌지 접속 수단, 및
    상기 커버의 제2종단부에서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힌지 접속 수단의 상기 축과 일직선상으로 되어 상기 커버 밖으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출구, 및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상기 출구에 접속하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중공부(中空部)로써 형성되는 음향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을 무선 전화기로 인도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힌지 접속을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무선 전화기의 개구로의 음향 통로의 상기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음향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제1표면, 및 상기 제1표면의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제2표면을 갖춘 중공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마찰이 적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핀은 상기 커버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핀은 상기 커버에 대하여 가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무선 전화기의 개구로의 상기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1스프링 암 및 제2스프링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 암은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개구 주위의 첫 번째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제2스프링 암은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첫 번째 방향에 반대되는 두 번째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무선 전화기에 힌지로써 접속될 때 상기 무선 전화기의 개구로의 상기 출구를 음향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중공의 핀의 상기 제2표면 및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탄성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7001968A 1996-09-10 1997-09-05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 KR100447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09,251 US5915015A (en) 1996-09-10 1996-09-10 Telephone having sealed acoustical passageway through flip cover hinge
US08/709,251 1996-09-10
US8/709,251 1996-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006A true KR20000036006A (ko) 2000-06-26
KR100447542B1 KR100447542B1 (ko) 2004-09-08

Family

ID=2484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968A KR100447542B1 (ko) 1996-09-10 1997-09-05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15015A (ko)
EP (1) EP0925677B1 (ko)
JP (1) JP3776459B2 (ko)
KR (1) KR100447542B1 (ko)
CN (1) CN1143498C (ko)
AU (1) AU721528B2 (ko)
BR (1) BR9712017A (ko)
DE (1) DE69728587T2 (ko)
EE (1) EE04133B1 (ko)
HK (1) HK1023014A1 (ko)
MY (1) MY117378A (ko)
WO (1) WO1998011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3203B1 (fr) * 1993-03-23 1995-04-28 Alcatel Radiotelephone Terminal radiotéléphonique portatif compact.
SE508866C2 (sv) * 1997-03-06 1998-11-09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talkommunikationsapparat med ljudkanal i utfällbar lucka
US6256481B1 (en) * 1997-04-26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US6965790B1 (en) * 1997-06-23 2005-11-15 Ericsson Inc. Acoustic pipe for flip style cellular telephone
US6977648B1 (en) * 1997-11-13 2005-12-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lighting to a keypad
USD423494S (en) * 1998-11-26 2000-04-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telephone
DE10028690C2 (de) * 2000-06-09 2003-10-09 Fhf Funke & Huster Fernsig Gmb Mikrofoneinsprache, insbesondere für einen Telefonhörer
JP4571632B2 (ja) * 2003-07-09 2010-10-27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折りたたみ可能な端末のためのスピーカ配置
EP1496676B1 (en) * 2003-07-09 2011-11-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peaker arrangement for foldable terminals
DE102004010772A1 (de) 2004-03-05 2005-10-06 Deere & Company, Moline Austrageinrichtung mit einer Messeinrichtung
US7548628B2 (en) 2004-11-16 2009-06-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icrophone coupl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DE602004011621T2 (de) * 2004-11-16 2009-01-29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Mikrofonkoppler für ein Kommunikationsgerät
US7832055B2 (en) * 2004-12-30 2010-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US8483776B2 (en) * 2005-07-27 2013-07-09 Sony Corporation Acoustic path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13110632A (ja) * 2011-11-22 2013-06-06 Toshiba Corp 集音装置及び集音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D779482S1 (en) * 2015-02-12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CN111432053A (zh) * 2020-03-27 2020-07-17 歌尔微电子有限公司 可实现远距离拾音的移动终端
KR20230026225A (ko) * 2021-08-17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9832A1 (de) * 1983-03-18 1984-09-20 Siemens Ag Schnurloses telefon
ATE92697T1 (de) * 1987-01-23 1993-08-15 Siemens Ag Fernsprechhandapparatekoerper mit einer die bedienungseinrichtung verschliessbaren klappe.
JPS63240244A (ja) * 1987-03-27 1988-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機筐体の送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E04133B1 (et) 2003-08-15
US5915015A (en) 1999-06-22
CN1235724A (zh) 1999-11-17
EP0925677B1 (en) 2004-01-02
DE69728587T2 (de) 2005-02-03
CN1143498C (zh) 2004-03-24
BR9712017A (pt) 1999-08-24
EE9900108A (et) 1999-10-15
WO1998011705A1 (en) 1998-03-19
AU4251097A (en) 1998-04-02
HK1023014A1 (en) 2000-08-25
JP2001500689A (ja) 2001-01-16
AU721528B2 (en) 2000-07-06
JP3776459B2 (ja) 2006-05-17
EP0925677A1 (en) 1999-06-30
KR100447542B1 (ko) 2004-09-08
MY117378A (en) 2004-06-30
DE69728587D1 (de)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6006A (ko) 플립 커버 힌지를 통하는 밀폐 음향 통로를 갖춘 전화기
RU2162276C2 (ru) Механизм петли
US5960094A (en) Communications headset
KR100329134B1 (ko) 스피커 조립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6052464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KR100439540B1 (ko) 축방향의음향연결기를포함하는무선전화기및음성을축방향으로채널링하는방법
AU760290B2 (en)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AU687439B2 (en) Telephone handset
AU739881B2 (en) Radiotelephone with sliding acoustic member
RU2201038C2 (ru) Крепление микрофон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икрофона и звуковой цепи радиотелефон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и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онтакт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3764922B2 (ja)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EP0992147B1 (en) Acoustic pipe for flip style cellular telephone
JP2003110676A (ja) 携帯型通信機器及び同機器用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60108654A (ko) 절첩식 휴대 단말기
MXPA99002266A (en) Telephone having sealed acoustical passageway through flip cover hinge
KR100575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스피커 및 카메라 통합 장치
WO1997042746A1 (en) Sound guide for speech communicators
JPH11177664A (ja) 携帯電話機用マイクロホン装置
GB2342002A (en) Microphone boom assembly
EP0740878A1 (en) Telephone han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