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431A -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431A
KR20000035431A KR1019990050111A KR19990050111A KR20000035431A KR 20000035431 A KR20000035431 A KR 20000035431A KR 1019990050111 A KR1019990050111 A KR 1019990050111A KR 19990050111 A KR19990050111 A KR 19990050111A KR 20000035431 A KR20000035431 A KR 2000003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snow
slits
fil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고헤이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헤이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332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88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073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1310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헤이,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헤이
Publication of KR2000003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보존하는 고설재배장치(高設栽培裝置)에 사용되는 보조구로,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는 것만으로 재배 용기를 안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배 용기로의 관수(灌水)의 도입로가 갖추어지고, 또한, 재배 용기의 치수 형상이 어느 정도 변한 경우라도 재배 용기를 유지할 수 있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제공.
합성 수지제인 필름재의 여러 개소에 재배 용기(2)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1a)를 형성하여 고설 재배용 보조구(1)로 하고, 이 고설 재배용 보조구(1)를 지지 프레임(10)으로 지지하여 고설 재배장치로 한다.

Description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A cultivation auxiliary device for high-installed and a cultivation apparatus for high-installed}
본 발명은 야채나 과일 등의 모종 재배에 사용되는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이 보조구를 사용한 고설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딸기 등의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는, 고설 재배가 근래에 와서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이 고설 재배에서는,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딸기의 재배 용기를 배열하여 작업자가 서있는 채로 모종 손질을 하거나 물 뿌리기(散水)나 수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토경(土耕) 재배처럼 허리를 굽히는 작업과 비교하면 작업 부담이 대폭 경감된다.
이러한 고설 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예로서,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6-1649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6-16495호 공보에 기재된 고설 재배장치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배 용기(70)와 이 재배 용기(70)를 작업자가 서있는 채로 모종 손질이 가능한 소정의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장치(8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유지장치(80)는 프레임(81), 이 프레임(81)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주(82), 프레임(81)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보조구(83)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보조구(83)는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형(型) 제작에 의해 성형된 것이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에 재배 용기(70)를 끼워 넣기 위한 개구(83c)를 가지며, 개구(83c)에 끼워 넣어진 재배 용기(70)에 산수(散水)가 빠르게 흘러 들어가도록 개구(83c) 주위가 절구 형상으로 경사진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배 용기(70)를 보조구(83)의 개구(83c)에 끼워 넣어, 재배 용기(70)의 상단에 설치한 플랜지(71)를 개구(83c)의 테두리에 걸어 보조구(83)에 유지시킨다.
이 보조구로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보조구(83)처럼, 하나의 보조구로 하나의 재배 용기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도 18에 도시하는 보조구(85)처럼, 대부분 패널 형상 평탄부(85a)에 다수의 경사부(85b), 개구(85c)를 형성하고, 패널 형상 평탄부(85a) 측단에 형성된 갈고리부(85d)를 프레임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하나의 보조구로 다수의 재배 용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설 재배장치에 있어서는, 토경 재배인 경우에 관수(灌水)가 자연스럽게 뿌리 주위로 흘러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조구에 산수(散水)한 물을 재배 용기 내에 빠르게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보조구로서는, 재배 용기를 끼워 넣기 위한 개구를 설치하는 것과, 이 개구 주위에 절구 형상의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 두가지 점이 설계 상의 중요 항목이다.
그런데, 종래의 절구 형상으로 함몰된 판 트레이 형상의 보조구(83, 85)에서는, 금속판 혹은 합성 수지 중 어느 한 재료로 형성한 경우라도, 형 제작 또는 프레스에 의한 타발 성형에 의지하게 된다. 한편, 재배 용기(70)에는 재배하는 야채나 꽃 등의 종류에 대해 각각 적당한 치수 형상이 있기 때문에, 재배 대상의 종류마다 대응하도록 다종류 사양의 재배 용기(70)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 재배 용기(70)에 관한 여러 사양의 수요가 많다.
따라서, 보조구(83, 85)를 이러한 여러 사양의 재배 용기(70)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보조구(83, 85)의 성형용 형이나 다이스를 여러 종류 준비해 둘 필요가 있어, 보조구의 제조 단계에서의 관리면이 번잡해지고, 또, 보조구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보조구로 개방하는 개구의 형상과 이 개구에 끼워 넣어지는 재배 용기와는 거의 일치한 관계이어야만 한다. 즉, 재배 용기(70)의 상단에 플랜지(71)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71)를 보조구(83, 85)의 개구 테두리에 걸어 재배 용기(70)를 보조구(83, 85)에 유지시킨다는 설치 구조이기 때문에, 재배 용기의 크기가 변하면, 보조구의 개구에 재배 용기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대부분 한 장의 패널로 같은 직경의 개구를 다수 개방하는 보조구(85)에서는, 같은 사양의 재배 용기로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한 장의 패널에 같은 직경의 개구를 다수 개방하는 종래의 보조구(85)에서는, 각종 크기의 재배 용기를 사용한 다품종 재배에 대응할 수 없었다.
또, 고설 재배장치를 재배지(栽培地)에 설치할 경우, 전용 지주(82)나 프레임(81) 등으로 구성된 유지장치(80)를 지면에 설치하고, 프레임(81) 사이에 보조구(83, 85)를 배열한 후, 다수의 재배 용기(70)를 세트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에 큰 노력과 시간을 들였었다. 마찬가지로, 재배 기간이 종료하고, 고설 재배장치를 해체하여 재배지에서 철수할 경우에도, 막대한 노력과 시간을 써버리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더욱이, 도 16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장치는 전용으로 설계된 지주(82), 프레임(81) 및 이들에 조합 가능한 일정 사이즈의 보조구(83, 85)를 사용하지 않으면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고, 재배 규모의 대소에 대한 적응성이 나쁘며,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배 용기의 치수 형상이 어느 정도 변한 경우라도, 재배 용기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재배 용기를 안정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배 용기로의 관수(灌水)의 도입로(導入路)가 정비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 설치 작업 및 해체·철수 작업이 용이하고, 범용성이 높으며, 재배 규모에 대한 적응성에 뛰어난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가능한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高設栽培用) 보조구를 구비한 고설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장치 조립 후의 사시도.
도 3은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다른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슬릿 부분의 형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의한 재배 용기의 보존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의해 큰 직경의 재배 용기를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의해 재배 용기를 경사시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프레임 등의 지지 부재에 대한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프레임 등의 지지 부재에 대한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다른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지지 부재에 길게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지지 부재에 길게설치된 도 10의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재배 용기를 끼워 넣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사용하여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장치로 모종을 재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5는 도 10에 도시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고설 재배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보조구 및 이 보조구에 끼워 넣어진 재배 용기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 18은 종래의 다른 보조구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고설 재배용 보조구 1a, 45 : 개구
1b : 반경 방향 슬릿 1c, 1d, 1e : 둘레 방향 슬릿
1f : 설편(舌片) 2, 3, 44 : 재배 용기(육묘용 용기)
2a, 3a : 본체부 2b, 3b : 플랜지
10, 20 : 프레임 10a, 20a : 다리
10b, 20b : 스테이 10c : 철망(金網)
11 : 홀더 21 : 지지대
22 : 고정구 31r : 롤체
32 : 고설 재배장치 33 : 지표면
34 : 배토(培土) 35 : 모종(苗)
36 : 흐름적합부(流滴) 37 : 점착제 도포 롤러
40 : 필름재 41, 42, 43 : 점착면
46 : 지주 47, 48 : 수평 바재(水平 bar材)
49 지지 부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조구는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다수 개소에 상기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소정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에 형성하고, 윗쪽에서 끼워 넣어지는 재배 용기에 의해 아래 쪽으로 확산되어 개방하는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 상기 개구 또는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 측을 둘러싸듯이,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 이렇게 재배 용기를 끼워 넣을 수 있게 한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상기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한 범위를 피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아래 쪽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 혹은,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측단부를 계지하여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긴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사이에 끼워 지지함으로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느슨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형 제작에 의한 경질 합성 수지제의 보조구를 사용한 고설 재배장치에 비해 저가로 고설 재배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형성하는 개구 또는 슬릿은 종래의 보조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재배 용기끼리의 간격이 동일해지도록 배열함으로서, 각각의 재배 용기에서 재배되는 식물 모종의 생육 방향은 그 주위에 인접하는 다른 식물 모종과의 관계에 있어서 모든 방향에 걸쳐 균등해지며, 생육 방향의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생육 상태가 향상하며,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는 재배 용기의 외형에 맞춘 형상으로 하면 되며, 예를 들면, 재배 용기 본체가 단면 원형의 통 형상체이면,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된다.
또, 상기 반경 방향 슬릿은 슬릿의 수가 너무 적으면 재배 용기의 유지가 불안정해지기 쉽고, 너무 많으면 가공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슬릿의 수는 3 내지 16정도, 실용적으로는 4 내지 12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릿의 시단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단부에 작은 원형의 구멍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개구 또는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 측에 간헐적으로 형성하는 둘레 방향 슬릿은 개구 또는 반경 방향 슬릿에 재배 용기를 끼워 넣었을 때에, 둘레 방향 슬릿이 넓어지기 때문에, 필름재의 재배 용기 주변부에 요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관수나 산수 시의 재배 용기로의 물의 유입이 좋아진다. 둘레 방향 슬릿의 크기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넓어진 슬릿으로부터의 누수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적당한 슬릿의 길이와 수를 설정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조구는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여러 개소에 상기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하여, 재배지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접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재배지에 설치한 프레임 등의 지지 부재에, 점착면을 사이에 끼워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길게설치한 후, 개구 또는 슬릿에 재배 용기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설 재배장치의 설치 작업 및 해체·철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재배지에 설치하는 지지 부재는 전용인 것일 필요는 없고, 점착면이 접착가능한 프레임재, 관 형상재 등이면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고, 재배 규모의 대소에 대한 적응성에 뛰어나 제작 비용이 저감된다.
이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여러 개소에 접착면을 설치함으로서, 재배지에 설치한 다수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길게설치,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강도의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착면을 직선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서, 재배지에 설치한 긴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길게설치,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한 쪽 면에만 점착면을 설치함으로서, 제조 공정에서는 롤체에 감은 상태로 제품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짐꾸림(梱包), 운반이 용이해진다. 또, 재배지에 있어서의 설치 작업에서는, 롤체를 회전시키면서 길게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은 양호하고,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 규모에 대한 적응성도 뛰어나다.
이 점착면을 점착제의 도포 혹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부설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공정에서 필요한 부분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설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 혹은 금속제의 프레임재, 관상재 등에 대한 접착성, 작업성에 뛰어나고, 재배 기간 중에 변형, 붕괴하는 일이 없으며, 고강도로 내구성에 뛰어난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름재 또는 시트재 자체에는 접착력을 갖게 하지 않고, 고설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의 프레임재, 관 형상재에 부설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조구의 주체가 되는 필름재 또는 시트재로서는, 합성 수지제인 것, 종이제인 것, 혹은, 합성 수지와 종이를 조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재 또는 시트재는 단층 구조 혹은 적층 구조 중 어느 하나라도 되고, 적층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 종이제 시트에 합성 수지제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두께에 대해서는, 단층 구조, 적층 구조 중 어느 경우라도 10㎛ 내지 300㎛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가 발수성을 초래함으로서, 관수, 산수 혹은 시비(施肥) 등을 행할 경우에, 물이나 액체비료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산포된 물이나 액체비료 등을 재배 용기 내로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합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서 발수성을 얻을 수 있지만, CP(캐스트 폴리프로필렌), PP(폴리프로필렌), LL(리니어 누전 필름) 등에 방진 가공을 실시함으로서 더욱 강한 발수성(撥水性)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종이재인 경우는 납을 먹임으로서 발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수성을 갖게 한 필름재 또는 시트재는 예를 들면, 잎이 줄기의 하부에 집중하는 스태티스 등의 식물을 재배할 때에 사용함으로서, 그 발수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관수, 산수를 시행한 후에 필름재 또는 시트재 상에 남은 물은 재배 중인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잎에 접촉함으로서 병이나 변색의 원인이 되어, 그 생육에 악영향을 준다. 또, 겨울에는 이러한 잔류수가 동결하여 식물의 잎에 저온장해를 주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필름재나 시트재에 친수성을 갖게 하면, 이들 위에 잔류한 물의 표면적이 증대함으로서 증발이 촉진되기 때문에, 상술한 폐해의 원인이 되는 잔류수를 빠르게 소실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재나 시트재의 표면에 MSP(셀로판)나 산화 티타늄을 도포함으로서 친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물은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다수 형성된 유공 필름을 사용함으로서도 친수성에 가까운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을 갖게 한 필름재나 시트재는 예를 들면, 잎이 줄기 전체로 퍼져서 전개하는 해바라기 등의 식물을 재배할 때에 사용함으로서, 그 친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광반사성을 갖게 함으로서, 태양광 등의 반사광이 재배중인 식물에 조사되도록 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 상태가 향상하여, 과실을 고르게 숙성시킬 수 있어, 해충이 기피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알루미늄 증착을 실시함으로서 광반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구비한 고설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조립 후의 고설 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재배 용기로서 딸기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한 것이다.
도 1의 고설 재배장치는 작업자가 서있는 채로 작업하기 쉬운 높이로 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 상에 적재설치한 고설 재배용 보조구(이하, 보조구라 칭한다)(1)와, 이 보조구(1)를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11)에 의해 유지장치가 구성되며, 유지장치의 보조구(1)에 의해 재배 용기로서의 육묘용 용기(2)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프레임(10)은 4개의 다리(10a)와 이들 다리(10a)의 상단에 고정시킨 스테이(10b)와, 이 스테이(10b)에 적재설치한 철망(10c)을 구비한 것이다.
철망(10c)은 펜스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건재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은 마름모 형상의 그물코인 것이면, 육묘용 용기(2)를 그물코 속에 통과시켜 물떼새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홀더(11)는 보조구(1)의 외주 테두리의 표면에 덮어 씌움과 동시에 스테이(10b)에 비스(도시하지 않는다)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육묘용 용기(2)는 종래의 재배 용기(70)와 거의 같은 구조로, 하단 측을 향하여 앞이 가늘어진 본체부(2a)와 본체부(2a)의 상단에 설치한 플랜지(2b)를 구비한 통 형상 용기이다. 또, 본체부(2a)의 저면에는 내부에 충전한 배토(培土)의 누락을 억제 물만 빠져 나갈 정도 크기의 슬릿(2c)을 설치하고 있다.
보조구(1)는 폴레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폴리프로필렌 필름과의 적층체이고, 두께는 약 100μm로, 표면에 왁스 조성물을 도포하여, 관수나 산수 시의 물의 흐름을 좋게 하도록 하고 있다.
보조구(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개구(1a)가 물떼새 형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개구(1a)에 상기 육묘용 용기(2)가 끼워 넣어짐으로서, 이 육묘용 용기(2)를 유지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개구(1a) 대신에 슬릿을 형성한 보조구(1)의 다른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보조구(1)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육묘용 용기(2)가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생기는 슬릿 부분의 형상 변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구(1)에 육묘용 용기(2)를 유지하는 위치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1b)을 절개함과 동시에, 그 바깥 측으로 직경의 크기가 다른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을 간헐적으로 절개하고 있다. 반경 방향 슬릿(1b)의 길이는 육묘용 용기(2)의 본체부(2a) 상단의 반경과 거의 같다. 또,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은 동심원의 원주 상에 일정한 피치로 같은 절개 길이로서 형성한 것으로,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가장 안쪽과 바깥 측의 둘레 방향 슬릿(1c,1e)은 거의 오버랩하고, 중간의 둘레 방향 슬릿(1d)은 이 오버랩 부분으로부터 위치를 비켜가고 있다.
이러한 반경 방향 슬릿(1b)과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은 표면 측에서 누르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한다. 즉, 반경 방향 슬릿(1b)을 설치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이들 반경 방향 슬릿(1b)끼리가 넓어져 보조구(1)의 적층 필름에 의한 삼각형 형상의 설편(1f)으로서 이면 측으로 뚫고 나온다. 또,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을 형성한 부분에서는, 이들 슬릿(1c, 1d, 1e)이 표리(表裏) 방향으로 조금 열리게 되어, 절구 형상으로 함몰해지도록 변형한다. 이처럼, 슬릿 형성 부분에 표면 측에서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반경 방향 슬릿(1b)에서 낀 부분이 설편(1f)으로서 이면 측에 꺾여져 여는 변형과, 둘레 방향 슬릿(1c, 1d, 1e) 부분이 절구 형상으로 패이는 변형이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육묘용 용기(2)의 하단을 반경 방향 슬릿(1b)의 중심을 향하여 끼워 넣음으로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2)가 안정 상태로 유지된다.
끼워 넣을 때에는, 육묘용 용기(2)의 본체부(2a)의 하단부를 반경 방향 슬릿(1b)의 중심으로 합치면서 눌러 내려가면, 반경 방향 슬릿(1b) 부분이 눌려 넓어지며, 설편(1f)이 본체부(2a)의 외주 면에 부딪쳐 이것을 구속 유지한다. 한편, 반경 방향 슬릿(1b)의 길이는 본체부(2a)의 반경과 거의 같기 때문에, 이보다도 외경이 큰 플랜지(2b)가 설편(1f)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저지된다. 이 때문에, 설편(1f)이 모두 넓어진 상태로 더욱 육묘용 용기(2)를 눌러 내려가면,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에 의해 함몰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는 부분이 아래로 눌려, 최종적으로는 도 5와 같이 화분 형상의 함몰이 플랜지(2b)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처럼, 육묘용 용기(2)를 반경 방향 슬릿(1b)에 끼워 넣으면, 설편(1f)에 의한 본체부(2a) 주변의 구속과, 주위가 절구 형상으로 패인 부분의 바닥으로의 플랜지(2b)의 좌착이 얻어진다. 또, 플랜지(2b) 부분을 끼워 넣음으로서, 보조구(1)의 상면과 플랜지(2b)와의 사이에 낙차를 갖는 절구 형상의 함몰이 생겨, 이 함몰을 관수의 도입로로서 살릴 수 있다. 즉, 보조구(1)에는 종래 구조와 같이 함몰을 설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육묘용 용기(2)의 조립에 의해 동시에 함몰이 형성되어, 육묘용 용기(2)로의 관수 유입이 재촉된다.
도 6은 사이즈가 조금 큰 육묘용 용기의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육묘용 용기(3)는 그 본체부(3a) 및 플랜지(3b) 모두 도 5의 실시예의 육묘용 용기(2)의 그것보다도 크지만, 가장 바깥 측의 둘레 방향 슬릿(1e)이 형성하는 원보다도 플랜지(3b)가 작으면, 육묘용 용기(3)는 반경 방향 슬릿(1b)에 감입되어 유지된다. 즉, 반경 방향 슬릿(1b)에 의해 넓어지는 설편(1f)의 상단이 만드는 내경과 거의 같은 부분까지 본체부(3a)가 감입되면, 설편(1f)에 의해 육묘용 용기(3)는 유지된다. 그리고, 육묘용 용기(3)를 눌러 내림으로서 둘레 방향 슬릿(1c, 1d, 1e)을 형성한 부분이 절구 형상으로 함몰하여, 이 함몰중에 플랜지(3b)가 포함되도록 하면, 관수 도입도 빠르게 행해진다.
도 7은 육묘용 용기의 자세를 바꾸어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5로 설명한 크기의 육묘용 용기(2)로 한 것으로, 반경 방향 슬릿(1b)에 끼워 넣었을 때에 본체부(2a)의 외주가 설편(1f)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보조구(1)에 대해 육묘용 용기(2)가 경사한 상태라도 유지가능하다. 즉, 종래 구조에서는 보조구(83, 85)는 육묘용 용기를 거의 수직이 되는 상태로 유지할 수는 없지만, 본 실시형태의 보조구(1)로는 육묘용 용기(2)를 자유로운 방향으로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상면을 비스듬히 경사시키도록 한 경우라도, 태양광을 쬐는 데 적절한 자세가 되도록 육묘용 용기(2)의 자세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조구(1)의 반경 방향 슬릿(1b)의 수를 12개로 하고 있지만, 이 슬릿(1b)의 수는 3 내지 16정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육묘용 용기(2)의 형상도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 형상 부분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이나 다각형이어도 되고, 플랜지 부분의 형상도 예를 들면 플랜지 부분을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절단하거나, 파형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1장의 시트 형상의 보조구(1)를 철망(10c) 상에 적재 배치하고, 홀더(11)에 의해 프레임(10) 측에 비스 등을 사용하여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8의 실시예는 다리(20a)와 파이프 형상 스테이(20b)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0)에 지지대(21)를 종횡 배열하고, 스테이(20b)에 보조구(1)의 양단을 걸어 고정구(22)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고정구(22)는 스테이(20b)의 외주 면에 감합(嵌合) 가능한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 수지재를 사용한 것으로, 그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보조구(1)를 스테이(20b)의 외주 면과의 사이에 끼워 구속한다.
이러한 고정구(22)를 사용하면, 보조구(1)의 길이를 프레임(20)의 크기에 정확히 맞추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고정구(22)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구(22)의 착탈도 간단하기 때문에, 보조구(1)의 교환 작업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에 보조구(1)를 설치했을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지지대(21)의 표면에 스프레이 풀을 바르거나, 지지대(21)에 접촉하는 보조구(1)의 부분에 접착제를 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테이(20b)의 단면을 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하면, 고정구(22)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접착제만으로 보조구(1)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고정구(22)를 사용하지 않고, 도 8과 같은 프레임(20)에 보조구(1)를 고정할 수 있는 보조구(1)의 설치 구조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구(1)의 길이 방향의 양 끝에 주머니 형상으로 감은 통부(1g)를 미리 형성해 두고, 이것을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의 양 끝에 위치하는 스테이(20b)로 외삽한다. 또한, 스테이(20b)는 프레임(20)으로부터 한쪽 단 측이 일시적으로 빠질 수 있는 편중 지지 구조를 갖게 함으로서, 통부(1g)를 스테이(20b)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5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지지 부재에 길게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고설 재배용 보조구로의 재배 용기의 감입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사용하여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고설 재배용 보조구(이하, 보조구라 칭한다)(31)는 재배 용기(44)를 감입하여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45)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 필름재(40)의 한쪽 면에 직선 형상을 한 3열의 점착면(41, 42, 43)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지주(46) 및 수평 바재(47), (48)를 조합시켜 재배지에 설치한 지지 부재(49)에 점착면(41, 42, 43)을 통해보조구(31)를 길게설치한다. 이 경우, 점착면(41, 42, 43)을 수평 바재(47)에 접착함으로서 보조구(31)가 고정된다.
이 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45)에 재배 용기(44)를 감입해 가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배 용기(44)를 지표면(33)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한 고설 재배장치(32)가 형성된다. 이 재배 용기(44)에,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34)를 충전하여 모종(35)을 육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육묘 작업의 효율화 및 노동 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필름재(40)는 발수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로, 물이나 액체비료의 흐름이 양호하기 때문에, 재배 기간 중에 관수, 산수 혹은 시비 등을 행한 경우, 물이나 액체비료 등은 흐름적합부(36; 流滴)로서 재배 용기(44) 내로 유도되어, 낭비되는 경우가 없다.
이처럼, 재배지에 설치한 지지 부재(49)의 수평 바재(47)에 점착면(41, 42, 43)을 통해 보조구(31)를 길게설치한 후, 개구(45)에 재배 용기(44)를 감입하는 것만으로 고설 재배장치(32)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은 물론, 해체·철수 작업도 용이해진다.
재배지에 설치하는 지지 부재(49)는 전용인 것일 필요는 없고, 점착면(41, 42, 43)이 접착가능한 프레임재, 관 형상재 등이면 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낮고, 범용성이 높으며, 재배 규모의 대소에 대한 적응성에도 뛰어나다.
점착면(41, 42, 43)은 여러 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49)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평 바재(47)를 이용하여, 보조구(31)를 길게설치,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강도의 고설 재배장치(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점착면(41, 42, 43)은 필름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지에 설치한 긴 지지 부재(49)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설치해 가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점착면(41, 42, 43)은 필름재(40)의 한 면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보조구(31)는 롤체(31r)에 감은 상태로 제품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곤포, 운반 등이 용이하다. 또, 재배지에 있어서의 설치 작업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체(31r)를 회전시키면서 보조구(31)를 길게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은 양호하며 보조구(31)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폭 방향으로 다수 열로 길게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재배 규모에 대한 적응성도 뛰어나다.
점착면(41, 42, 43)은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49)를 구성하는 수평 바재(47) 등에 대한 접착력,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에 뛰어나고, 재배 기간 중에 변형, 붕괴하는 일이 없으며, 고강도로 내구성에 뛰어난 고설 재배장치(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면(41, 42, 43)은 수평 바재(47) 등이 합성 수지 혹은 금속 중 어느 한 재질이어도 강한 접착력을 발휘한다.
보조구(3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필름재(40)에 개구(45)를 형성하고, 점착제 도포 롤러(37)로 점착면(41, 42, 43)을 설치한 후, 롤체(31r)의 상태로 감아 간다. 이처럼, 보조구(31)는 필름재(40)를 연속 반송하면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이 높아, 제조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다.
또한, 보조구(31)에 있어서의 필름재(40)의 폭이나 길이, 점착면(41, 42, 43)의 폭, 개수 혹은 개구(45)의 사이즈나 배열 상태 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재배 규모,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재배 용기의 사이즈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한 형태로 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서는,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여러 개소에 형성한 필름재 또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필름재 또는 시트재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 부재를 통해 지지시키는 것만으로 고설 재배장치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형 제작에 의한 경질 합성 수지제의 보조구를 사용한 고설 재배장치에 비해 염가로 고설 재배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2) 또, 개구 또는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 측을 둘러싸듯이,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하면, 재배 용기를 개구 또는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 부분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 재배 용기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관수나 산수를 재배 용기로 유도하기 위한 함몰을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갖게 할 수 있다. 또, 고설 재배용 보조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함으로서, 사이즈가 다른 재배 용기도 유지 가능해지고, 또 재배 용기의 자세를 바꾸어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설 재배장치의 재배 용기 탑재면의 자세에 상관없이, 재배 용기를 최적의 자세에 위치시킬 수 있다.
(3) 또,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여러 개소에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재배지에 설치된 프레임 등의 지지 부재에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접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한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의하면, 재배지에 설치된 프레임 등의 지지 부재에 점착면을 사이에 끼워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길게설치 한 후 개구 또는 슬릿에 재배 용기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작업 및 해체·철수 작업이 용이하다. 또, 재배지에 설치하는 지지 부재는 전용인 것일 필요는 없고, 점착면이 접착가능한 프레임재, 관 형상재 등이면 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고, 재배 규모의 대소에 대한 적응성에도 뛰어나며, 제작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4) 또,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여러 개소에 점착면을 설치함으로서, 재배지에 설치한 다수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길게설치,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강도의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5) 또,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착면을 직선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서, 재배지에 설치한 긴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길게설치해 가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설 재배장치의 설치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6) 또,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한쪽 면에만 점착면을 설치함으로서, 제조 공정에서는 롤체에 감은 상태로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제품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곤포, 운반이 용이해진다. 또, 재배지에 있어서의 설치 작업에서는, 롤체를 회전시키면서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길게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길게설치하는 작업의 작업성은 양호하고, 또, 고설 재배용 보조구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 규모에 대한 적응성도 뛰어나다.
(7) 점착면을 점착제의 도포 혹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부설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필요한 부분에 점착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설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의 프레임재, 관 형상재 등에 대한 접착성, 작업성에 뛰어나고, 재배 기간 중에 변형, 붕괴하는 일이 없으며, 고강도로 내구성에 뛰어난 고설 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8)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발수성을 갖게 함으로서, 관수, 산수 혹은 시비 등을 시행했을 때에, 물이나 액체비료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살포된 물이나 액체비료 등을 재배 용기 내로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친수성을 갖게 함으로서, 관수나 산수 후에, 고설 재배용 보조구 상에 잔류한 물의 표면적이 증대하여 증발이 촉진되고, 빠르게 소실하도록 되기 때문에, 잔류수에 기인하는 식물의 병, 변색, 저온 장해 등의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10) 필름재 또는 시트재에 광반사성을 갖게 함으로서, 태양광 등의 반사광이 재배중인 식물에 조사되도록 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 상태가 향상하고, 과실을 고르게 숙성시킬 수 있으며, 또, 해충이 기피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있어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다수 개소에 상기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소정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으로, 윗쪽에서 끼워 넣어지는 재배 용기에 의해 아래 쪽으로 확산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 측을 둘러싸도록,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4. 재배 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에 있어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다수 개소에 상기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하고, 재배지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접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다수 개소에 점착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착면을 직선 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한쪽 면에만 점착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면은 점착제의 도포 혹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부설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소정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으로, 윗쪽에서 끼워 넣는 재배 용기에 의해 아래 쪽으로 확산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10. 제4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개구 또는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 측을 둘러싸도록,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는 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는 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는 광반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 보조구.
  14.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이 다수 개소에 형성된 필름재 또는 시트재와,
    상기 개구 또는 슬릿을 형성한 범위를 피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아래 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장치.
  15. 재배 용기를 윗쪽에서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개구 또는 슬릿이 다수 개소에 형성된 필름재 또는 시트재와,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측단부를 계지하여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를 긴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슬릿은 소정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으로, 윗쪽에서 끼워 넣어지는 재배 용기에 의해 아래 쪽으로 확산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필름재 또는 시트재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의 바깥측을 둘러싸도록, 다수의 둘레 방향 슬릿을 간헐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장치.
KR1019990050111A 1998-11-24 1999-11-12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 KR20000035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33250 1998-11-24
JP10333250A JP3058865B2 (ja) 1998-11-24 1998-11-24 高設栽培用の栽培容器の保持具および高設栽培装置
JP07073399A JP3311310B2 (ja) 1999-03-16 1999-03-16 栽培用補助具
JP99-70733 1999-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431A true KR20000035431A (ko) 2000-06-26

Family

ID=2641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111A KR20000035431A (ko) 1998-11-24 1999-11-12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00035431A (ko)
CN (1) CN1167319C (ko)
TW (1) TW4123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83B1 (ko) 2020-07-07 2021-06-1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고설베드 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3432A (zh) * 2016-11-02 2017-05-10 深圳风会云合生态环境有限公司 一种可任意角度种植植物的种植容器及植物种植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83B1 (ko) 2020-07-07 2021-06-1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고설베드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4496A (zh) 2000-05-31
CN1167319C (zh) 2004-09-22
TW412398B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9865A (en) Method and container for growing transplantable plants
US20160135398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method
WO1993003602A1 (en) Plant root container and method of air root pruning
US5446995A (en) Modular drainage system for containers
US6612069B2 (en) Retrofitting aerating root pruner
US20180084736A1 (en) Cultivating tool
KR102160899B1 (ko) 식물 수경 재배 장치
US20180054976A1 (en) Cultivating tool
KR20000035431A (ko) 고설 재배용 보조구 및 고설 재배장치
KR102137565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JP3058865B2 (ja) 高設栽培用の栽培容器の保持具および高設栽培装置
KR100336631B1 (ko) 고설 재배용 용기
CN215011949U (zh) 一种园艺用固定爪台
KR102169932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JP7506931B2 (ja) 蘭用育苗ポット及び蘭の育成方法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JPH0137088B2 (ko)
JP3311310B2 (ja) 栽培用補助具
JP3001767U (ja) 植物栽培容器
JP3021937U (ja) 育苗用筒
KR200245680Y1 (ko) 고추모 지지대
JPH0616495Y2 (ja) 育苗用散水・施肥補助具及びその保持装置
JP3121897U (ja) 作物育成枠
KR20000057108A (ko) 육묘용 용기
JP2541433Y2 (ja) 育苗ポット固定用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