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119A - Bill managing device - Google Patents

Bill mana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119A
KR20000034119A KR1019980051319A KR19980051319A KR20000034119A KR 20000034119 A KR20000034119 A KR 20000034119A KR 1019980051319 A KR1019980051319 A KR 1019980051319A KR 19980051319 A KR19980051319 A KR 19980051319A KR 20000034119 A KR20000034119 A KR 20000034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anknote
link
driv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07902B1 (en
Inventor
최영찬
Original Assignee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현철,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함현철
Priority to KR101998005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902B1/en
Publication of KR2000003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902B1/en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PURPOSE: A bill managing device is provided to store plural pieces of bill flowing in through a bill cognizer in a temporary storage and to load them in a bill load box on a transaction and to return them on a request of return. CONSTITUTION: A bill manag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910) in which a bill load box(900) is installed; a bill cognizer(200) which cognizes what type a bill, which flows in through a bill throwing hole(101), is and whether it is a counterfeit bill or not; a bill pressure device which applies a prescribed pressure to a first and a second transfer belt(306,307) which insert and transfer the bill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bill cognizer(200); a bill transfer part(400) which transfers the bill, which arrives at a first and a second guide(315,316), to a load waiting place(B) in the upper part of the bill load box(900); a main power part(800) which includes a first dynamometer which rotate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fer belts(306,307) and a second dynamometer which rotates a third or a seventh transfer belt(406,407,413,608,609); a bill diverging means(500) which supplies bills to a temporary storage place(A) or a load waiting place(B) selectively; and a stacking means(700) which pushes bills, which are supplied to the load waiting place(B), in the bill load box(900).

Description

지폐 처리장치Banknot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에 대기시킨 다음, 거래발생시에 지폐 적재수단을 이용하여 지폐적재함에 적재함과 동시에, 반환요구시에는 지폐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일괄반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hand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bills introduced through a bill reader are placed in a temporary storage location and then loaded into a bill stacker using a bill stacking means when a transaction occurs. , When the request for return relates to a bill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enable a collective return using the bill discharge means.

화폐중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지폐는 금액별로 다양한 크기와 문양을 지니고 있으며, 지폐 인식이 가능한 자동판매기나 자동발권기 등에서는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지폐를 반출하거나 차례대로 적재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Banknotes most widely used in currency have various sizes and patterns for each amount of money, and vending machines and ticket machines that can recognize banknotes determine whether the bills are introduced or counterfeited, and take out the bil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s. The device which loads one by one is provided.

자동판매기나 자동 발권기 등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는 본 출원인이 1998년 2월 5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3287호가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폐를 정확히 판별하는 기능과 함께 위폐를 식별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지닌 지폐인식기가 개시되어 있다.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8-3287 filed by the applicant of February 5, 1998, which can distinguish banknotes of various kinds handled in a vending machine or an automatic ticketing machine, is available. It discloses a banknote recognizer having a function of accurately identifying a variety of bills, and the function to identify and discharge the counterfeit.

또한, 이러한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차례대로 지폐적재함에 스태킹할 수 있는 장치로는 본 출원인이 1998년 9월 2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8-36133호 및 제 98-36134호가 있다. 여기에는 지폐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지폐를 수평상태로 가지런히 적재하는 수평형 스태킹장치 및 수직으로 세워 가지런히 적재하는 수직형 스태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98-36133 and 98-36134, filed on September 2, 1998 by the present applicant, can stack the bills flowing through the banknote recognizer in the banknote stacker. hav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orizontal stacking device for horizontally stacking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a banknote recognizer and a vertical stacking device for vertically stacking banknotes.

이들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지폐 인식기를 비롯하여 수평 및 수직처리장치는 유입된 하나의 지폐를 인식한 후에, 위폐 여부를 판독하며, 판독된 지폐를 지폐 적재함에 차례대로 적재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긴 하지만,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적재장소에 보관한 후에 일괄적으로 적재함과 동시에, 반환 요구시에는 임시 저장하고 있던 복수매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반환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Alth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ing the conventional banknote recognizers disclosed in these patents, have a function of recognizing a counterfeit after reading a banknote which has been introduced, and reading the banknotes in order, the banknotes are sequentially loaded. In addition, the bank stores a plurality of bills in a temporary storage place and loads them in a batch,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bills temporarily stored at the time of a return request cannot be collectively return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폐적재함에 일괄 적재할 수 있으며, 반환요구시에는 일괄 반환할 수 있는 지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can be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of a plurality of bills flowing through the banknote recognizer in a temporary storage, and can be collectively loaded in the banknote loading box when a transaction occurs, it can be returned collectively upon reque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ll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il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C부분 확대도,2a and 2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dynamometer of the main pow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2b,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가압수단을 보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nknote pressing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분기수단을 보인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ill branch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적재수단을 보인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ill loading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0:지폐 출입부 101:지폐 투입구100: banknote entrance 101: banknote opening

102:지폐반환구 200:지폐인식기102: paper money return 200: paper money recognizer

201:인식기 구동모터 300:지폐 가압수단201: Recognizer drive motor 300: Bank pressurizing means

301, 302, 313, 401, 402, 408, 409, 412, 601, 602, 603, 610:아이들롤러301, 302, 313, 401, 402, 408, 409, 412, 601, 602, 603, 610: idler roller

303, 304, 808, 809, 605, 606, 612:제 1∼제 7구동기어303, 304, 808, 809, 605, 606, 612: 1st-7th drive gear

304', 403', 808', 809', 605',410':제 1∼제 6구동풀리304 ', 403', 808 ', 809', 605 ', 410': 1st to 6th drive pulley

303", 304", 403", 410", 606", 612":구동롤러303 ", 304", 403 ", 410", 606 ", 612": Drive roller

306, 307, 406, 407, 413, 608, 609:제 1∼제 7이송벨트306, 307, 406, 407, 413, 608, 609: first to seventh transfer belts

310, 505:제 1,2솔레노이드 314, 506, 622:인장 코일스프링310, 505: First and second solenoids 314, 506, 622: Tensile coil spring

308, 309, 414, 415, 417, 615, 617, 618, 706, 901∼903:센서308, 309, 414, 415, 417, 615, 617, 618, 706, 901 to 903: Sensor

803, 806, 812, 607, 416:제 1∼5구동벨트 400:지폐 이송부803, 806, 812, 607, 416: First to fifth drive belt 400: Paper money transfer part

500:지폐 분기수단 700:스태킹 수단500: branching means 700: stacking means

708, 709:제 1, 2승강링크 714:푸시 플레이트708, 709: 1st, 2nd lifting link 714: Push plate

800:메인 구동부 810:클러치800: main drive unit 810: clutch

900:지폐 적재함 910:본체900: paper money box 910: bod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와; 상기 지폐인식기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 및 제 2이송벨트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과; 제 1 및 제 2가이드에 도달한 지폐를 대략, 180°회전이동시키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와, 이들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하는 제 5이송벨트와, 임시 저장위치(A)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적재함 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로 이루어진 지폐 이송부와; 제 1구동벨트, 제 2구동벨트를 통해 제 3구동기어로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 3구동벨트를 통해 제 1 및 제 2구동기어로 전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 및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와 제 4구동풀리(809')를 구동시키는 제 4구동기어(809)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축상의 제 4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 및 제 5구동벨트로 전달하여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로 이루어진 메인 동력부와; 상기 제 3이송벨트와 상기 제 4이송벨트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과; 상기 지폐 분기수단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상기 적재함 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과; 다수의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인식기 구동모터, 메인 구동모터, 클러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main body is built in the banknote stacking paper money is loaded on one side lower; A banknote recognizer for recognizing the kind and the counterfeit of a banknote introduced through a banknote input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Banknote pressurizing means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first conveyance belt and the second conveyance belt for sandwiching and conveying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bill acceptor; Third and fourth conveyance belts for moving the bills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s by approximately 180 °, and a fifth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he bills conveyed by these conveying belts to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 bill transfer part comprising sixth and seventh transfer belts for transferring the bill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location A to the stack standby position B on the upper side of the stack box;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motor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e gear via the first drive belt and the second drive bel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gears through the third drive belt, thereby transferr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The third driving gear and the fourth driving gear 809 for driving the fourth driving pulley 809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operating the first driving system and the clutch to selectively rotate rotational force of the coaxial fourth driving gear. A main power unit composed of a second drive system for transmitting the fourth drive belt and the fifth drive belt to rotate the third to seventh transfer belts; Banknote branching means for selectively supplying a bill conveyed by the cooperation of the third conveyance belt and the fourth conveyance belt to any one of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Stacking means for pushing the banknote supplied to the stacking standby position (B) by the banknote branching means into the stacking box; It is achieved by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cognizer drive motor, the main drive motor, the clutch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il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a∼2c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동력계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서 채용한 지폐 가압수단, 지폐 분기수단 및 지폐 적재수단을 보인 구성도 및 그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il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ynamometer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respectively, bill pressing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 bill showing a bill banking means and a bill stacking means and an operation exampl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 이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지폐 이송부(400)와,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와,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와,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500)과,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과, 다수의 센서의 신호를 받아 인식기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13)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910 with a banknote loading box 900 that is loaded banknotes on one side lower portion, and whether the winding and the counterfeit of 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banknote opening 101 Banknote press means 300 which applies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banknote recognizer 200 and the 1st conveyance belt 306 and 2nd conveyance belt 307 which pinch and convey the banknote which passed this banknote recognizer 200, and recognizes. ), A banknote conveying unit 400 for conveying the banknotes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s 315 and 316 to the stacking standby position B on the upper part of the stack 9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belts ( A first dynamometer for rotating 306, 307, a second dynamometer for rotating the third to seventh transfer belts 406, 407, 413, 608, and 609, and a bill for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By the banknote branching means 500 and banknote branching means 500 which selectively supply to any one of the loading standby positions B, the said stacking is carried out. Stacking means 700 for pushing banknotes supplied to the pre-position B into the stacking box 900, and a recognizer drive motor 201, a main drive motor 801, and a clutch 810 in response to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t consists of a controller 813 for controlling).

여기에서, 본체(910)의 일측 하부에는 지폐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되어 있으며, 지폐적재함(900)옆에는 다수의 센서(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8, 706, 901∼90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구동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13)가 설치되어 있다.Here, a banknote stacker 900 in which banknotes are stacked in a horizontal state is built in on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910, and a plurality of sensors 308, 309, 414, 415, 417, and 614 are next to the banknote stacker 900. , 616, 618, 706, and controllers 813 for controlling various drive motors and solenoids in accordance with signals transmitted from 901 to 903.

본체(910)의 일측 상부에는 지폐가 유입되는 지폐투입구(101) 및 투입된 지폐를 반환하는 지폐반환구(102)가 형성된 지폐출입부(10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지폐투입구(101)는 지폐반환구(102)의 상부에 배치된다.On one side of the main body 910, a banknote entry part 100 having a banknote inlet 101 into which banknotes are introduced and a banknote return opening 102 for returning the inserted banknotes are disposed. In general, the banknote input port 101 is disposed above the banknote return port 102.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도 1의 우측상단에 배치된 지폐인식기(200)를 통해서 권종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폐여부 및 권종이 판별된다.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는 인식기 구동모터(201) 및 다수의 이송롤러(203)의 작동에 따라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위폐로 판명된 지폐는 배출롤러(204)의 작동에 의해서 다시,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배출된다.Banknotes introduced through the banknote injection hole 101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ata of the winding type through the banknote recognizer 200 disposed in the upper right of Figure 1 is determined whether the counterfeit or winding. Banknotes passing through the banknote recognizer 200 enters between the first conveying belt 306 and the second conveying belt 307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cognizer driving motor 201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203, and proved to be counterfeit. The bill is again discharged through the bill input port 101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204.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에 의해서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사이로 공급하게 된다. 이들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는 지폐의 유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지폐 감지센서(308) 와 제 2지폐 감지센서(309)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폐 감지센서의 대부분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센서를 채용하였다.The first conveyance belt 306 and the second conveyance belt 307 by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bill recognizer 200 is su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s (315, 316). The first conveyance belt 306 and the second conveyance belt 307 are provided with a first bill detection sensor 308 and a second bill detection sensor 309 for detecting the inflow state of the bill. Most of the bill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photo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지폐 이송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에 의해서 대략, 180°회전되어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들 이송벨트(406, 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는 제 5이송벨트(413)에 의해서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되어 저장되거나,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서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된다.In the banknote conveying section, the banknotes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s 315 and 316 are rotated approximately 180 degrees by the third and fourth conveyance belts 406 and 407 and are convey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flow direction. The bills transferred by these transport belts 406 and 407 are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location A by the fifth transport belt 413 or loaded by the sixth and seventh transport belts 608 and 609. 900 is conveyed to the load standby position B on the upper side.

이때, 제 3이송벨트(406)와 상기 제 4이송벨트(407)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폐는 본 발명의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서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 곳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이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는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At this time, the bills transferred in cooperation of the third conveying belt 406 and the fourth conveying belt 407 are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by the banknote branching mean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s are selectively supplied to any one of them, and the bills supplied to the stacking standby position B by the bill diverter 500 are stacked into the stack 900 by the stacking means 700.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비롯하여, 다음에 설명하게 될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인 동력부(800)를 구성하는 제 1동력계 및 제 2동력계를 다음의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wer unit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riving the third to seventh transfer belt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cluding thes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306 and 307, The first dynamometer and the second dynamometer will be described in FIG. 2.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동력부의 제 1 및 제 2동력계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C부분 확대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기어가 치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기어로, 구동벨트를 통해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풀리로 설명하고, 구동기어와 동축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풀리로 전달된 동력을 각종 이송벨트를 통해 아이들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요소를 구동롤러로 설명한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first and second dynamometers of the main pow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2B.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ower transmission element in which two gears are engaged is described as a drive gear, and a power transmission element that directly receives or transmits power through a drive belt is described as a drive pulley, and the drive gear is coaxial. The power transmission element for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ing pulley in the mounted state to the idle roller through the various conveying belts will be described as a driving roller.

먼저, 도 2a에는 메인 구동모터(80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구동모터(801)에서 발생된 동력은 차례대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거쳐 제 1구동풀리(304')로 전달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항시 회전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구동부(800)의 메인 구동모터(801)축 상에는 메인 구동풀리(802)가 장착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풀리(802)는 제 1구동벨트(803)에 의해서 중간풀리(804)와 연결되어 있다. 이 중간풀리(804)는 다시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풀리(804')를 통해서 제 2구동벨트(806)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구동벨트(806)는 제 3구동기어(808)에 동축으로 장착된 제 3구동풀리(808')와 연결되어 있다.First, FIG. 2A shows a first dynamometer driven by the main drive motor 801. The power generated by the main drive motor 801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 pulley 304 ′ through the first driving belt 803, the second driving belt 806, and the third driving belt 812.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306 and 307 are rotated at all times. In more detail, the main drive pulley 802 is mounted on the main drive motor 801 axis of the main drive unit 800, and the main drive pulley 802 is formed by the first driving belt 803. 804. The intermediate pulley 804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belt 806 through a pulley 804 'which is coaxially mounted again, and the second drive belt 806 is coaxially connected to the third drive gear 808. It is connected to the mounted third drive pulley 808 '.

제 3구동풀리(808')는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제 2구동풀리(304')로 전달된다. 또한, 제 2구동기어(304)는 제 1구동기어(303)와 맞물려 있으므로, 제 1구동풀리(303')로 전달된 동력이 제 2구동기어(304)와 제 1구동기어(303)를 통해서 제 1구동기어(303)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303")까지 전달된다. 대향으로 배치된 구동롤러(303", 304")에는 각각,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가 감겨져 있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3구동벨트(803, 806, 812)를 통해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04", 303")를 통해 제 2 및 제 1이송벨트(307, 306)로 차례대로 전달되어 이를 항시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의 다른 쪽은 아이들 롤러(301, 301')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져 있다.The third drive pulley 808 ′ is delivered to the second drive pulley 304 ′ through the third drive belt 812.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driving gear 304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ing gear 303,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pulley 303 ′ causes the second driving gear 304 and the first driving gear 303 to pass through. It is transmitted to the drive roller 303 "coaxially mounted with the 1st drive gear 303. The drive rollers 303" and 304 "arrange | positioned opposingly have the 1st conveyance belt 306 and the 2nd, respectively. The conveying belt 307 is wound.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motor 801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driving belts 803, 806, and 812 is controlled by the driving rollers 304 "and 303".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nd first conveyance belts 307, 306 in turn to rotate it at all time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belts 306, 307 is rotatable to the idle rollers (301, 301 '). It is wound.

다음, 도 2b에는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808)와 치합되는 제 4구동기어(809)에 의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607) 및 제 5구동벨트(416)로 전달하여 나머지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구동시키는 제 2동력계가 도시되어 있다.Next, in FIG. 2B, the fourth driving belt 607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ing motor 801 are driven by the fourth driving gear 809 meshed with the third driving gear 808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lutch 810. A second dynamometer is shown for delivery to the fifth drive belt 416 to drive the remaining third to seventh transfer belts 406, 407, 413, 608, 609.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4구동기어(809)는 클러치(810)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어,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클러치(810)의 작동에 의해서 제 3구동기어(808)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력전달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컨트롤러(813)의 제어에 의해서 클러치(810)가 작동되어 제 3구동기어(808)의 동력이 제 4구동기어(809)로 전달 가능하게 되면,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은 제 1구동벨트(803)와 제 2구동벨트(806) 및 제 3구동기어(808)를 통해서 제 4구동기어(809)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제 4구동풀리(809')로 전달된다.In more detail, the fourth driving gear 809 is coaxially mounted with the clutch 810,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s engaged with the third driving gear 808 by the operation of the clutch 810 and is selectively selected. Enables power transmission Therefore, when the clutch 810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13 and the power of the third drive gear 808 can be transmitted to the fourth drive gear 809,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motor 801 is zero. The first driving belt 803, the second driving belt 806, and the third driving gear 808 are transferred to the fourth driving pulley 809 ′ coaxially mounted with the fourth driving gear 809.

제 4구동풀리(809')로 전달된 동력은 제 4구동벨트(607)를 통해서 제 5구동풀리(605')와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되며,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서 제 6구동풀리(4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2구동풀리(403')로 전달된 동력은 이 제 2구동풀리(403')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롤러(403")를 통해서 다수의 아이들 롤러(401, 402)에 감겨져 있는 제 3이송벨트(406)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Power transmitted to the fourth driving pulley 809 'is transmitted to the fifth driving pulley 605' and the second driving pulley 403 'through the fourth driving belt 607, and the second driving pulley 403'. The power transmitted to) is again transmitted to the sixth driving pulley 410 ′ through the fifth driving belt 416. Therefore,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e pulley 403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idle rollers 401 and 402 through a drive roller 403 "coaxially mounted with the second drive pulley 403'. It is transmitted to the third transfer belt 406 to rotate it.

또한, 제 5구동벨트(416)를 통해 제 6구동풀리(410')로 전달된 동력은 이 제 6구동풀리(410')와 동축으로 장착된 구동롤러(410")를 통해서 아이들 롤러(412)에 감겨져 있는 제 5이송벨트(413)로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의 동일방향 회전에 의해서 중간에 밀착되어 있는 제 5구동벨트(413)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40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ixth drive pulley 410 'through the fifth drive belt 416 is idle roller 412 through the drive roller 410 "coaxially mounted with the sixth drive pulley 410'. ) Is transferred to the fifth conveyance belt 413 wound around the fifth conveyance belt 413. The fifth driving belt 413 closely contacted in the middle by the same direction rotation of the third conveyance belt 406 and the fourth conveyance belt 407. )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idle rollers (408).

한편, 제 4구동벨트(607)를 통해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 5구동풀리(605')에는 제 5구동기어(605)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고 제 5구동기어(605)는 다시, 제 6구동기어(606)와 맞물려 있다. 제 6구동기어(606)는 2개의 아이들 기어(604)를 개재하여 제 7구동기어(612)와 치합되어 있으며, 이들 제 6구동기어(606)와 제 7구동기어(612)에는 각각, 구동롤러(606"), (612")가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5구동풀리(605')로 전달된 동력은 이들 구동롤러(606"), (612")를 통해서 제 6이송벨트(608)와 제 7이송벨트(609)로 전달됨으로써, 이들 이송벨트(608, 609)는 각각, 다수의 아이들 롤러(601∼603)에 감겨진 상태로 회전되면서 지폐를 이송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fth drive gear 605 is coaxially mounted to the fifth drive pulley 605 ′ through whi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e motor 801 is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drive belt 607, and the fifth drive gear 605. ) Is meshed with the sixth drive gear 606 again. The sixth drive gear 606 is engaged with the seventh drive gear 612 via two idle gears 604, and the sixth drive gear 606 and the seventh drive gear 612 are respectively driven. Rollers 606 ", 612" are coaxially mounted. Therefore,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fifth drive pulley 605 'is transmitted to the sixth conveying belt 608 and the seventh conveying belt 609 through these driving rollers 606 "and 612", thereby transferring these. The belts 608 and 609 are rotate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idle rollers 601 to 603, respectively, to transfer banknotes.

도 2c는 도 2b의 C부분 확대도로, 본 발명의 지폐 배출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일단이 상기 제 6구동롤러(606")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결되고 타단에는 종동롤러(6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613)과, 이 브라켓(613)의 연장단(613a)을 소정의 힘으로 당겨 종동롤러(610)를 제 7구동기어(612)와 동축으로 구동롤러(612")사이에서 종동되는 종동롤러(611)에 에 밀착시켜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 3인장 코일스프링(6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아이들 기어(604)를 거쳐 제 6구동기어(606)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구동롤러(612")가 회전하고, 종동롤러(610)는 스프링(622)의 탄성력에 의해서 종동롤러(61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어, 다음에 설명하게 될 지폐 반환동작시에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게 된다.FIG. 2C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2B, showing the banknote discharg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is configuration, a bracket 613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sixth drive roller 606 " shaft and the other end driven roller 610 rotatably mounted thereon, and the bracket 613 mounted thereon. The driven roller 6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iven roller 611 driven between the seventh drive gear 612 and the driving roller 612 "coaxially with the seventh drive gear 612 by pulling the extension end 613a of the The third tension coil spring 622 grips the rear end. Therefore, the driving roller 612 "rotates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sixth drive gear 606 via the two idle gears 604, and the driven roller 610 is driven roll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22.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611 is hel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banknote is gripped during the banknote return operation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지폐 처리장치에서는 제 1이송벨트(306)와 제 2이송벨트(307)사이를 통과하는 지폐가 정확히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롤러(313)에 의해 제 1이송벨트(306)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지폐를 가압하여 밀착 전송되도록 하는 지폐 가압수단(300)은 지폐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 일단에는 핀(320)에 의해 연결된 로드(311)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상기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인장 코일스프링(314)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nknote pressurizing means 300 for pressurizing the banknote passing between the first conveyance belt 306 and the second conveyance belt 307 is accurately transferred. As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banknote pressurizing means 300 pressurizes the banknote at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pressure roller 313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belt 306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 308. The first solenoid 310 pulling the plunger 310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based on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309, and the rod 311 connected at one end by the pin 320. The plunger 310a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essure roller 313 is rotatably mounted at the other end by a pin 324 so that the pivoting pin 322 is operated when the first solenoid 310 is operated. A link 320 for the pressure roller 313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belt 306 while rotating, and a pull to pull the link 32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rst solenoid 310 is turned off. It consists of a single tension coil spring 314.

따라서,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13)는 솔레노이드(31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플런저(310a)가 당겨지면서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가 당겨지게 되고, 링크(312)의 회동으로 가압롤러(313)는 실선의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하강하게 되어 지폐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롤러(313)의 적당한 가압력에 의해서 지폐를 밀착시켜 확실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when the banknote acquisition is permitted in the banknote recognizer 200 and the tip of the banknote advances to the second sensor 309, the controller 813 applies a current to the solenoid 310. Accordingly, the link 312 is pulled through the rod 311 while the plunger 310a is pulled, and the pressure roller 313 moves from the position of the solid line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virtual line by the rotation of the link 312. This will lower the pressure and press the banknote to the appropriate pressur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convey banknotes tightly and reliably by the appropriat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roller 313.

그러므로,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사이에 협지되어 유입된 지폐는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하게 될 지폐 분배수단의 분배체(501)에 의해서 제 4이송벨트와 제 5이송벨트 사이로 공급되어 임시 저장위치(A)로 보내진다.Therefore, the banknotes introduced and held between the third conveying belt 406 and the fourth conveying belt 407 are divided by the fourth conveying belt and the first conveying body by the distribution body 501 of the banknote distributing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It is fed between 5 conveying belts and sent to the temporary storage location (A).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분기수단(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414, 415, 417)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05a)를 당기는 제 2솔레노이드(505)와, 로드(504)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505a)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힌지(52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1링크(503) 및 이 제 1링크(503)를 통해 플런저(505a)로부터 전달되는 작동력에 의해 힌지(528)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링크(502)와, 일단은 핀(530)에 의해 상기 제 2링크(502)에 형성된 슬롯(502a)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타단(501a)은 상기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핀(532)에 의해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체(501)와, 제 2솔레노이드(505)의 오프시에 상기 제 1링크(320)의 연장단(526)을 잡아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2인장 코일스프링(506)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4,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nknote branching means 500 is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s 414, 415, and 417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A first link 503 and a first link 503 which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plunger 505a via the rod 504 and pivots about the hinge 522 via the second solenoid 505 for pulling 505a. A second link 502 pivoting about the hinge 528 by an actua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plunger 505a through the link 503, and one end of which is formed in the second link 502 by a pin 530. The other end 501a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slot 502a and transfers the bills carried by the third and fourth transfer belts 406 and 407 to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 Dispensing mounted on the main body 910 by a pin 532 to be selectively supplied to any one of B) It consists of a 501 and a second solenoid 505, the second tension coil spring 506 to stretch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distal end 526 of the first link 320 at the time of off.

로드(504)는 핀(520)에 의해 제 1링크(503)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분배체(501)의 선단(501a)에 의해서 지폐의 이송방향이 가변된다. 즉, 지폐 감지센서(4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바탕으로, 지폐 임시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던 지폐를 지폐 적재함(900)쪽으로 반송하는 경우에, 컨트롤러(813)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플런저(505a)가 당겨지면서 로드(504)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링크(503, 502)는 각각, 힌지(522, 528)를 중심으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면서 분배체(501)를 당긴다. 그로 인해, 분배체(501)는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 3의 실선위치에서 가상선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지폐는 도 5에 도시한 스태킹 수단(700)에 의해서 적재함(900)내부로 스태킹된다.The rod 50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nk 503 by the pin 520,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is variable by the tip 501a of the distribution body 501. That is, the controller 813 in the case of conveying the bill stored in the bill temporary storage unit 400 toward the bill stacking box 900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ill sensing sensor 414 and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 Energizes the second solenoid 505. Accordingly, as the plunger 505a is pulled, the first and second links 503 and 502 are rotated as shown in the imaginary line about the hinges 522 and 528 via the rod 504, respectively. Pull the sieve 501. Therefore, the distributor 501 is rotated about the hinge 532 and moved from the solid line position of FIG. 3 to the virtual line position, thereby being transferred by the third and fourth transfer belts 406 and 407. Banknotes are supplied between the sixth and seventh transfer belts 608 and 609. The bills thus supplied are stacked into the stacking box 900 by the stacking means 700 shown in FIG.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지폐 감지센서(614, 616)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피니언(702)을 회전시키는 스태킹 모터(701)와, 상기 피니언(702)에 의해 회전되며 핀(704')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70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기어(703)와,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70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홀(707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707)와, 상기 레버(707)에 의해서 상기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승강링크(708) 및 힌지(720)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와 대칭적으로 승강되는 제 2승강링크(709)와, 하부에는 상기 적재 대기위치(B)에 대기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 넣는 밀판(71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핀(712)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714a)이 형성되고 타단은 핀(722)에 의해 제 2승강링크(709)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 플레이트(714)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tacking means 700 for pushing the bills supplied to the stack standby position (B) by the bill splitting means 500 into the stacking box 900,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ill detectors 614 and 616. A stacking motor 701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to rotate the pinion 702, and is rotated by the pinion 702 and guide pin 704 by the pin 704 ′. Cam gear 703 is rotatably mounted, and one end is formed with a guide hole 707a in which the guide roller 704 slides, and the other end of the cam gear 703 is rotatably formed around the hinge pin 710 in the main body 910. The lever 707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first lifting link 708 and the hinge 720 are mount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hinge pin 710 by the lever 707. The second elevating link 709 is symmetrically elevating with the elevating link 708, and A push plate 713 is attached to push the bills waiting at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into the stacking box 900, and the first lifting link 708 is slid at one end by a pin 712. A long hole 714a is formed which is possibly mounte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push plate 714 connected to the second lifting link 709 by a pin 722.

따라서,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 적재 대기위치로 지폐가 이동된 상태를 센서(614)에 의해 감지하게 되고, 지폐의 선단이 센서(616)에는 감지되지 않아 지폐의 길이가 대략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813)는 지폐가 적재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702)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되어 있는 캠기어(703)를 회전시키게 되어, 캠기어(70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704)도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bill is moved to the stacking standby position by the sixth and seventh transfer belts 608 and 609 is sensed by the sensor 614, and the tip of the bill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616 so that If the length is judg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the controller 813 determines that the bill is in a stackable state, and energizes the stacking motor 701. As the pinion 702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cking motor 701, the cam gear 703 engaged with the pinion 702 is rotated, and the guide roller 704 installed on the cam gear 703 also starts to rotate together. do.

이때, 가이드 롤러(704)는 레버(707)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707a)에 끼워져 있으므로, 캠기어(703)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70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레버(707)의 회동에 따라 제 1승강링크(708)도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힌지(720)에 제 1승강링크(708)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승강링크(709)가 상대 운동하게 되어 푸시 플레이트(713)를 대기위치(P)에서 적재위치(Q)로 이동시킴으로써, 지폐를 적재함(900)내로 스태킹하고, 캠기어(703)의 회전에 따라, 레버(707)를 비롯한 제 1 및 제 2승강링크(708, 709)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푸시 플레이트(714)를 상승시켜 적재 대기위치(P)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guide roller 704 is fitted in the guide slot 707a formed in the lever 707, as the cam gear 703 rotates, the lever 707 is hinge pin 710 as shown in FIG. It is rotated around. As the lever 707 rotates, the first lifting link 708 also rotates about the hinge pin 710 and starts to descend. Accordingly, the second elevating link 709 coupled to the first elevating link 708 on the hinge 720 moves relative to the push plate 713 from the standby position P to the stowed position Q. Thereby stacking the bills into the stacking box 900 and, as the cam gear 703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708 and 709, including the lever 707, are shown in phantom lines in FIG. While moving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n the push plate 714 is raised to move to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P).

이러한 상태에서,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 푸시 플레이트(714)는 항상 적재 대기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캠기어(703)축 상에는 슬릿이 형성된 엔코더(705)를 설치하였다. 이 슬릿을 센서(706)가 감지하여 컨트롤러(813)에 전송하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이 신호에 따라 스태킹 동작 이외의 경우에는 항상 푸시 플레이트(714)가 대기위치(P)에 유지되도록 하여 지폐의 유입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push plate 714 should always be kept in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except for the stacking operation. To this end, an encoder 705 having a slit is provided on the cam gear 703 axis. The slit is detected by the sensor 706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813. The controller 813 maintains the push plate 714 at the standby position P at all times except for the sta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is signal. Do not disturb the inflow of bills.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만일,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에 의해서 이송된 지폐 다발이, 지폐 적재함(900)에 정상적으로 적재할 수 없이 진행방향으로 늘어진 경우 감지센서(617)에 의해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13)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즉, 지폐 감지센서(615)에 의해서 지폐를 정지시키는 순간, 지폐의 선단이 센서(617)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도 2c에서 설명한 지폐 배출수단에 의해서 지폐 반환구(102)로 배출시킨다.1, if the bundle of bills conveyed by the sixth and seventh conveying belts 608 and 609 is stretch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without being able to be normally loaded in the bill holder 900, the detection sensor 617 This is detected by the controller 813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hat is, when the banknote is stopped by the banknote sensor 615, when the tip of the banknote is detected by the sensor 617, the banknote return port 102 by the banknote discharge means described in Figure 2c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be discharged.

즉, 지폐 감지센서(617)에 지폐의 선단이 감지되거나 일괄 반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지폐 감지센서(615)를 통과한 지폐는 그대로 센서(617)를 통과하여 그 후단이 센서(617)에 감지되는 순간에 정지되며, 제 5구동기어(605)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613)과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롤러(610) 및 브라켓(613)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3인장 코일 스프링(622)에 의해 아이들 롤러(610) 및 아이들 롤러(611)사이에 지폐의 후단이 물려있게 되고, 선단은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That is, when the tip of the bill is detected or the collective return signal is input to the bill detecting sensor 617,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bill detecting sensor 615 is passed through the sensor 617 as it is, and the rear end is sent to the sensor 617. Third tension coil spring which is stopped at the moment of sensing and applies tension to the bracket 613 fixed to the fifth drive gear 605 and the driven roller 610 and the bracket 613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back end of the banknote is inherited between the idle roller 610 and the idle roller 611 by the 622, the tip is to be exi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ill return port (102).

이때, 지폐의 반환여부는 레버(619) 및 감지센서(618)에 의해서 검출된다. 즉, 사용자가 반환된 지폐를 뽑아내면 레버(619)의 움직임이 센서(618)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면, 컨트롤러(813)는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반환동작을 완료하게 된다.At this time, whether to return the bill is detected by the lever 619 and the sensor 618. That is, when the user pulls out the returned bill, when the movement of the lever 619 is detected by the sensor 618 and sent to the controller 813, the controller 813 blocks the current transmitted to the motor to complete the return operation. Done.

지금까지 각 부별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동관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지폐 적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So fa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and its operation relationship have been partially described, but the overall banknote stacking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 인식기(200)의 판별작업을 거쳐 유입된 지폐는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컨트롤러(813)는 제 1지폐 감지센서(308)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메인 구동모터(801)를 통전시킨다. 메인 구동모터(801)의 작동으로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서 구동롤러(303", 304")가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가 회전하게 된다.When the banknote is input through the banknote input port 101, the banknote introduced through the discrimination operation of the banknote recognizer 200 is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306, 307).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13 energizes the main driving motor 801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nknote sensor 308. The driving rollers 303 ″ and 304 ″ are rotated through the first driving belt 803, the second driving belt 806, and the third driving belt 812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driving motor 801. The two conveying belts 306 and 307 rotate.

이때, 지폐인식기(20)에서 지폐의 입수가 거부되면, 메인 구동모터(801)는 정지되며 지폐인식기(200)의 배출동작에 의해 지폐는 지폐 투입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지폐가 이송되면서 지폐의 후단이 지폐 인식기(200)의 배출롤러(204)를 빠져 나오면, 지폐 인식기(200)가 정지되어 입수 거부상태로 된다.At this time, if the acquisition of the bill in the bill recognizer 20, the main drive motor 801 is stopped and the bil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ill inserting hole 101 by the ejection operation of the bill recognizer 200. In addition, when the back end of the banknote exits the discharge roller 204 of the banknote recognizer 200 while the banknote is transferred, the banknote recognizer 200 is stopped to obtain a state.

지폐인식기(200)에서 지폐의 입수가 허가되고, 지폐의 선단이 제 2지폐 감지센서(309)까지 진행되면, 컨트롤러(813)는 제 1솔레노이드(310) 및 클러치(810)를 통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 1솔레노이드(310)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링크(312)를 당기게 되어, 링크(31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를 가압하여 지폐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810)의 작동으로 제 4구동기어(809)가 회전되면서 제 4구동벨트(607)를 개재하여 제 6구동기어(404), 제 5구동기어(605) 및 이들 축과 연결된 제 3이송벨트(406), 제 4이송벨트(407), 제 5이송벨트(413),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가 차례대로 회전하기 시작한다.When the banknote recognizer 200 is allowed to obtain the banknote and the tip of the banknote advances to the second banknote sensor 309, the controller 813 energizes the first solenoid 310 and the clutch 810. Accordingly, the first solenoid 310 pulls the link 312 via the rod 311, so that the pressure roller 313 rotatably mounted at one end of the link 312 may include the first transfer belt 306. Press) to ensure that the bills are transferred securely. At the same time, the fourth driving gear 809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lutch 810 and is connected to the sixth driving gear 404, the fifth driving gear 605, and the shafts through the fourth driving belt 607. The third conveying belt 406, the fourth conveying belt 407, the fifth conveying belt 413, and the sixth and seventh conveying belts 608 and 609 start to rotate in sequence.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를 통과한 지폐가 제 3 및 제 4지폐 감지센서(414, 415)를 통과하여 제 5지폐 감지센서(417)에 도달하면, 메인 구동모터(801)가 정지하게 되어 지폐의 이송이 중지됨과 동시에, 지폐인식기(200)는 지폐 입수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When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s 315 and 316 passes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bank detection sensors 414 and 415 to reach the fifth bank detection sensor 417, the main driving motor 801 Stops and the transfer of the bills is stopped, and the bill recognizer 200 is in a state where banknotes can be obtained.

2번째 지폐가 입수되면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제 2지폐 감지센서(309)의 동조에 의해 제 5지폐 감지센서(417)에 의해 정지되어 있던 첫 번째 지폐와 두 번째 지폐의 선단은 임시 저장위치(A)에서 만나게 된다.When the second banknote is obtained,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banknote and the second banknote which are stopped by the fifth banknote sensor 417 by the synchronization of the second banknote sensor 309 is a temporary storage position. You will meet at (A).

이후, 거래 또는 반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며,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813)는 제 2솔레노이드(505)를 통전시킨다. 제 2솔레노이드(505)의 통전으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배체(501)가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 3 및 제 4지폐 감지센서(414, 415)를 지난 지폐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진행된다.Thereafter,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until a transaction or return signal is input, and when the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813 energizes the second solenoid 505. As the second solenoid 505 is energized, the distribution body 501 is moved to a position shown by a virtual line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us, passes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bank detection sensors 414 and 415. The banknote proceeds between the sixth and seventh transfer belts 608, 609.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사이로 진행된 지폐가 센서(615)에 의해서 감지된 순간, 지폐의 선단이 센서(617)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 반환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컨트롤러(813)는 지폐가 적재 가능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여, 메인 구동모터(801)를 정지시켜 지폐 이송을 중지하고 스태킹 모터(701)를 통전시킨다. 스태킹 모터(701)의 통전에 따라 푸시로드(714)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P)로부터 적재위치(Q)로 이동되면서 밀판(713)으로 지폐를 적재함(900)내에 밀어넣게 된다.When the banknote advanced between the sixth and seventh transfer belts 608 and 609 is detected by the sensor 615, when the tip of the banknote is detected by the sensor 617, the bill return slot 102 as described above. If it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813 determines that the bill is in a stackable state, stops the main drive motor 801 to stop the bill transfer, and energizes the stacking motor 701. Let's do it. According to the energization of the stacking motor 701, the push rod 714 is pushed into the stacking box 900 by moving the banknote from the standby position P to the stacking position Q as described in detail in FIG. 5. It is put in.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적재함(900)내에 스태킹된 지폐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최대 적재매수에 근접하게 되면, 이 상태는 센서(902)에 의해 감지되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센서(902)의 신호에 따라 경고등이나 경보기 등을 작동시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적재함(900)내에 지폐가 충만되면, 이 상태는 센서(903)에 의해 컨트롤러(813)로 보내지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기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지폐의 입수가 중단되도록 한다. 이후, 센서(903)에 의해 적재함(900)내의 지폐량이 줄어들어 비어있는 상태가 감지되면, 지폐입수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컨트롤러(813)는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지폐를 적재하게 된다.If this operation is repea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bills stacked in the stacking box 900 to approach the maximum number of sheets, this state is detected by the sensor 902 and sent to the controller 813, and the controller 813 ) Transmits a warning message by operating a warning light or an alarm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nsor 902. In addition, when the bill is filled in the stacking box 900, this state is sent to the controller 813 by the sensor 903, the controller 813 stop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o stop the acquisition of bills. Subsequently, when the amount of bills in the stacking box 900 is reduced by the sensor 903 and an empty state is detected, the bill accepting operation is enabled, and the controller 813 repeats the above operations to load the bills.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인식기를 통과하여 유입된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다가 거래 발생시에 지폐적재함에 일괄 적재할 수 있으며, 반환요구시에는 일괄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지폐 홀딩수단을 이용하여 복수매의 지폐를 임시 적재장소에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지폐 적재수단을 지폐 적재함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하여 지폐가 수직하방으로 스태킹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ills flowing through the banknote recognizer can be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and can be collectively loaded into a banknote stack when a transaction occurs, and can be collectively returned when a return is requested. In addition, by using a banknote holding means a plurality of banknotes can be aligned neatly in the temporary storage place, and the billing device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bill holders to configure the bills can be stacked vertically downw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iniaturized.

Claims (5)

일측 하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함(900)이 내장된 본체(910)와;A main body 910 having a banknote loading box 900 in which banknotes are stack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본체(910)에 형성되어 있는 지폐투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인식하는 지폐인식기(200)와;A bill recognizer (200)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kind and counterfeit of a bill introduced through the bill insertion hole (101) formed in the main body (910); 상기 지폐인식기(200)를 통과한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하는 제 1이송벨트(306) 및 제 2이송벨트(307)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지폐 가압수단(300)과;Bill pressing means (300)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first conveyance belt (306) and the second conveyance belt (307) for sandwiching and conveying the bill passing through the bill recognizer (200); 제 1 및 제 2가이드(315, 316)에 도달한 지폐를 대략, 180°회전이동시키는 제 3 및 제 4이송벨트(406, 407)와, 이들 이송벨트(406, 407)에 의해 이송된 지폐를 임시 저장위치(A)로 이송하는 제 5이송벨트(413)와, 임시 저장위치(A)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적재함(900)상부의 적재 대기위치(B)로 이송하는 제 6 및 제 7이송벨트(608, 609)로 이루어진 지폐 이송부(400)와;Third and fourth transfer belts 406 and 407 for rotating the banknotes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s 315 and 316 by approximately 180 degrees, and the banknotes transferred by these transfer belts 406 and 407. 6th and 5th conveying belts 413 for conveying to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6th and 5th conveying positions of bill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to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of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container 900; A bill conveying unit 400 formed of seven conveying belts 608 and 609; 제 1구동벨트(803), 제 2구동벨트(806)를 통해 제 3구동기어(808)로 전달된 메인 구동모터(801)의 회전력을 제 3구동벨트(812)를 통해 제 1 및 제 2구동기어(303, 304)로 전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이송벨트(306, 307)를 회전시키는 제 1동력계 및 클러치(8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3구동기어(808)와 제 4구동풀리(809')를 구동시키는 제 4구동기어(809)가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동축상의 제 4구동기어(809)의 회전력을 제 4구동벨트(607) 및 제 5구동벨트(416)로 전달하여 상기 제 3 내지 제 7이송벨트(406, 407, 413, 608, 609)를 회전시키는 제 2동력계로 이루어진 메인 동력부(800)와;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ing motor 801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ing gear 808 through the first driving belt 803 and the second driving belt 806 is first and second through the third driving belt 812. The third drive gear 808 and the fourth dri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ynamometer and the clutch 810 for transmitting to the drive gears 303 and 304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306 and 307. The fourth driving gear 809 for driving the driving pulley 809 'is engaged to selectively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axial fourth driving gear 809 to the fourth driving belt 607 and the fifth driving belt 416. A main power unit 800 including a second dynamometer for rotating the third to seventh transfer belts 406, 407, 413, 608, 609; 상기 제 3이송벨트(406)와 상기 제 4이송벨트(407)의 협동으로 이송된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폐 분기수단(500)과;Banknote branching means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bill conveyed in cooperation of the third conveying belt 406 and the fourth conveying belt 407 to any one of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 500); 상기 지폐 분기수단(500)에 의해 상기 적재 대기위치(B)로 공급된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넣는 스태킹 수단(700)과;Stacking means (700) for pushing the bills supplied to the stacking standby position (B) by the bill branch means (500) into the stacking box (900); 다수의 센서(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8, 706, 901∼90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인식기 구동모터(201), 메인 구동모터(801), 클러치(8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The recognizer drive motor 201, main drive motor 801, and clutch 810 according to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308, 309, 414, 415, 417, 614, 616, 618, 706, 901 to 903.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813) for controll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폐 가압수단(300)은 지폐감지센서(308, 309)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310a)를 당기는 제 1솔레노이드(310)와;The banknote pressing means 300 includes a first solenoid 310 for pulling the plunger 310a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based on an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s 308 and 309; 일단에는 로드(311)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310a)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핀(324)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310)의 작동시에 회동핀(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가압롤러(313)가 제 1이송벨트(306)에 밀착되도록 하는 링크(320)와;The plunger 310a is connected to one end via a rod 311, and the pressure roller 313 is rotatably mounted to the other end by a pin 324 so that the first solenoid 310 rotates when the first solenoid 310 is operated. A link 320 which rotates about the pin 322 so that the pressure roller 3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ransfer belt 306; 제 1솔레노이드(310)의 오프시에 상기 링크(320)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인장 코일스프링(3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Banknote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irst tension coil spring 314 to pull the link 320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irst solenoid 310 is of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폐 분기수단(500)은 다수의 지폐 감지센서(414, 415, 415)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플런저(505a)를 당기는 제 2솔레노이드(505)와;The banknote branching means 500 is a second solenoid 505 that pulls the plunger 505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based 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banknote detecting sensors 414, 415, and 415. )Wow; 로드(504)를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505a)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힌지(52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1링크(503) 및 이 제 1링크(503)를 통해 플런저(505a)로부터 전달되는 작동력에 의해 힌지(528)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링크(502)와;A first link 503 operatively coupled to the plunger 505a via a rod 504 and pivoting about a hinge 522 and transmitted from the plunger 505a through the first link 503. A second link 502 pivoting about the hinge 528 by the operating force; 일단은 핀(530)에 의해 상기 제 2링크(502)에 형성된 슬롯(502a)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타단(501a)은 상기 제 3이송벨트(406)와 제 4이송벨트(407)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임시 저장위치(A)와 상기 적재 대기위치(B)중 어느 한곳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핀(532)에 의해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배체(501)와;One end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slot 502a formed in the second link 502 by a pin 530 and the other end 501a is connected by the third and fourth transfer belts 406 and 407. A distribution body 501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910 by pins 532 so as to selectively feed the bills to be transferred to any one of the temporary storage position A and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제 2솔레노이드(505)의 오프시에 상기 제 1링크(320)의 연장단(526)을 잡아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2인장 코일스프링(50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Banknote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nsion coil spring (506) for pulling the extension end (526) of the first link (320)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second solenoid (505) of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태킹 수단(700)은 지폐 감지센서(614, 616)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컨트롤러(813)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피니언(702)을 회전시키는 스태킹 모터(701)와;The stacking means 700 includes a stacking motor 701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13 on the basis of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anknote detecting sensors 614 and 616 to rotate the pinion 702; 상기 피니언(702)에 의해 편심 회전되며, 핀(704')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70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기어(703)와;A cam gear 703 which is eccentrically rotated by the pinion 702 and in which a guide roller 704 is rotatably mounted by a pin 704 ';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704)가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 홀(707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본체(9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707)와;A guide hole 707a through which the guide roller 704 is slid at one end thereof, and a lever 707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910 around the hinge pin 710; 상기 레버(707)에 의해서 상기 힌지핀(710)을 중심으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승강링크(708) 및 힌지(720)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와 대칭적으로 승강되는 제 2승강링크(709)와;Rai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elevating link 708 by the first elevating link 708 and the hinge 720 is mounted so as to move relative to the hinge pin 710 by the lever 707. A second lifting link 709; 하부에는 상기 적재 대기위치(B)에 대기하고 있는 지폐를 상기 적재함(900)내부로 밀어 넣는 밀판(71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핀(712)에 의해 상기 제 1승강링크(708)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공(714a)이 형성되고 타단은 핀(722)에 의해 제 2승강링크(709)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 플레이트(7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A lower plate 713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acking box 900 to push bills waiting at the loading standby position B. At one end, the first lifting link 708 is provided by a pin 712. The bill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hole 714a is slidably mount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push plate 714 connected to the second lifting link 709 by a pin 72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6구동롤러(606")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되고 타단에는 종동롤러(6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613)과,A bracket 613 that is rotatably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sixth driving roller 606 " shaft and the other end of which a driven roller 610 is rotatably mounted; 상기 브라켓(613)의 연장단(613a)을 소정의 힘으로 당겨 종동롤러(610)를 제 7구동기어(612)와 동축으로 장착된 구동롤러(612")에 밀착시켜 지폐의 후단을 파지하는 제 3인장 코일스프링(6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처리장치.Pulling the extension end 613a of the bracket 613 with a predetermined force to closely follow the driven roller 610 to the drive roller 612 "coaxially mounted with the seventh drive gear 612 to hold the rear end of the bill. Banknote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rd tension coil spring (622).
KR1019980051319A 1998-11-27 1998-11-27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KR100307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en) 1998-11-27 1998-11-27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en) 1998-11-27 1998-11-27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19A true KR20000034119A (en) 2000-06-15
KR100307902B1 KR100307902B1 (en) 2001-11-30

Family

ID=1956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19A KR100307902B1 (en) 1998-11-27 1998-11-27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9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35B1 (en) * 2004-04-19 2006-08-09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Apparatus for escrowing sheet material of sheet material process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881B1 (en) * 1982-05-28 1988-05-28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Sorting device for paper curr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35B1 (en) * 2004-04-19 2006-08-09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Apparatus for escrowing sheet material of sheet material proces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7902B1 (en) 200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6167B2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JPH09293160A (en) Paper money processor
WO2005088566A1 (en) Device for handling paper sheets or the like,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and device for conveying paper sheets or the like
US450141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838605B1 (en) Sheet handler
JPH09235046A (en) Bank note processor
EP2400469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US8181952B2 (en) Paper sheet hand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sheets
KR100307902B1 (en)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KR100319023B1 (en) Bill escrow mechanism
JPH11283074A (en) Circulation type paper money receiving and paying machine
KR20020046254A (en) Mechanism for package processing of multiple giro
JP3755803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and bill handling method
JP5101153B2 (en) Banknote dispensing device
JP4005674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JPH03276281A (en) Reject mechanism of paper money paying machine
JPH05132183A (en) Delivery device for paper sheet and the lik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ash dispensing device using the device
JP2001143128A (en) Cash receiving and paying device for paper money receiving and paying machine
JP2002251648A (en) Bill depositing/withdraw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3488005B2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KR100277997B1 (en) Printing machine of cash dispenser
JP2010018404A (en) Safe, bill processor, and bill handling device
JP2000190914A (en) Device for binding sheets
JPH08161582A (en) Holding device for returned paper money or the like
JPH08147530A (en) Paper money batch pay-o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