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605B1 - Sheet handler - Google Patents

Sheet hand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605B1
KR100838605B1 KR1020067021193A KR20067021193A KR100838605B1 KR 100838605 B1 KR100838605 B1 KR 100838605B1 KR 1020067021193 A KR1020067021193 A KR 1020067021193A KR 20067021193 A KR20067021193 A KR 20067021193A KR 100838605 B1 KR100838605 B1 KR 10083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paper
height
outside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31980A (en
Inventor
하야미 아베
미츠시게 나카오
토모유키 타마하시
하야토 미나미신
아키노리 코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6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6Feeding stacks of articles to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삽입된 지폐 다발은 클램프를 반송 벨트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그 사이에서 끼운 형태로 반송한다. 그 클램프의 이동은 2개의 아암에 동력을 전달시켜 행한다. 한쪽 아암에 전달된 동력은 링크를 통해 다른 쪽 아암에 전달된다. 그 링크에는 복수의 슬릿이 설치되고, 슬릿 검출용 복수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클램프의 이동에 따른 슬릿과 센서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압한 지폐 다발의 높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Figure R1020067021193

The inserted banknote bundles are conveyed in a form sandwiched therebetween by moving the clamp toward the conveyance belt. The clamp is moved by transmitting power to two arms. Power transmitted to one arm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rm via a link. The lin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slit are provided. According to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pressed by using the chang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lit and a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clamp is acceptable.

Figure R1020067021193

Description

종이류 취급 장치{SHEET HANDLER}Paper handling equipment {SHEET HANDLER}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paper sheets inserted from the outside.

최근, 현금자동지급기(CD)나 현금자동예금지급기(ATM) 등의 자동화기기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등에도 설치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는 그와 같은 자동화기기에 종이류로서 지폐를 취급하기 위해서 탑재된다. 그와 같은 경우, 자동화기기 본체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Recently, automated devices such as an automatic teller machine (CD) and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have been installed not only at financial institutions but also at convenience stores.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is mounted in such an automated machine for handling bills as paper. In such a case,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 indication of the main body of an automation apparatus.

지폐를 1장씩 투입하는 것은 그 수가 많아질수록 고객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워진다. 이 때문에, 자동화기기에서는, 입금하는 지폐는 겹쳐서 지폐 다발의 상태로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가 1장만 투입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지폐 다발은 1장 이상의 지폐가 겹쳐진 것이다.Putting bills one by one becomes more cumbersome for customers as the number increases. For this reason, in the automated device, the banknotes to be deposited are stacked so that they can be put in the state of a bundle of banknotes. Since only one banknote may be thrown, the bundle of bills is one or more bills stacked.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한다고는 할 수 없다. 예컨대 자동화기기, 또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고유의 허용 범위를 넘는 매수의 지폐 다발을 고객이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繰出)하여 반송하는 타입의 종래의 종이류 취급 장치 중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여, 그 높이가 상한을 넘으면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한 것이 있다.It is not possible for a customer to insert a bundle of bills properly. For example, a customer may insert a bundle of bills exceeding the inherent allowable range into an automated machine or a paper handling apparatus.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paper handling apparatus of the type which draws and conveys a banknote one by one from the bundle of banknotes inserted by a customer,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77188, the inserted banknote The height of the bundle is detected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if the height exceeds the upper limit.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에 기재한 종이류 취급 장치는 지폐 다발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하여 적층시킴으로써, 각 지폐의 자중(自重)을 이용하여 지폐 다발의 높이를 보다 정확히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폐는 가볍기 때문에, 그 자중에 비하여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를 겹쳐 쌓아도 그 전체의 높이는 각 지폐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변화된다. 이것에 따라, 반드시 지폐 다발의 높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는 없었다.The paper handling apparatu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177188 allows the paper money bundles to be stacked horizontally or inclined so as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height of the paper money bundles by using the weight of each paper money. However, since the banknote is light, it can have a large elastic force compared with its own weight. For this reason, even if banknotes are stacked, the height of the whole thereof is changed by the elastic force acting on each banknote. As a result, it was not alway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height of the bill bundle.

종이류 취급 장치 중에는 삽입된 지폐 다발을 그 상태인 채로 내부에 받아들이는 타입도 있다. 그 타입의 종래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검출에 의해 그 지폐 다발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고객이 지폐 다발을 적절히 삽입하지 않은 것을 원인으로 하는 잼(jam) 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는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히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Some types of paper handling apparatus accept the inserted bundle of bills in their state. The conventional paper handling apparatus of the type was adapted to receive the banknote bundle by the detection of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However, the customer may not be able to insert the bundle of bills properly. For this reason, jams, such as jams, caused by the customer not inserting the banknote bundle properly, were high. From this, it i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whether the bundle of banknotes inserted from the outside is appropriate at a faster stage more accurately.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718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77188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4-82293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4-82293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을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히 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per handling apparatus that can more accurate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bundle of banknotes inserted from the outside is appropriate at a faster stage.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모두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며, 각각 이하의 수단을 포함한다.The paper handling apparatuses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based on the premise that papers inserted from the outside can be handled, and each includes the following means.

제1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가압하여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The paper handling apparatus of the first aspect detects a height of a bundle conveying unit for pressing and conveying a paper bundle in which one or more sheets of paper are stacked by inserting from the outside and a paper stack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detecting means and the height of the paper bundle detected by the height detecting means satisfy the condition of accepting the paper bundl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does no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d conveying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he paper bundles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제2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져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의 받아들이기를 중지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The paper handling apparatus of the second aspect includes pressuriz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paper bundle inserted with one or more sheets of paper stacked from the outside, heigh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paper bundle pressed by the pressurizing means, and height detecting means. Conveyance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acceptance of the paper bundles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height of the paper bundles satisfies the condition of accepting the paper bundles and determines that the height does not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마다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 conveyanc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select a condition based on the height detected by the height detecting means for each of the paper bundles when a plurality of paper bundles to be integrated and handled are inserted from outsid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satisfied.

제3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과,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The paper-type handling apparatus of a 3rd aspect has the size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bundle conveyance part which conveys the paper bundle which the paper sheets laminated | stacked one or more sheets by the insertion from the outside, and the paper paper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ance part the overlapping direction. And a size control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and a conveyance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he paper bundles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when the size of the paper bundle detected by the size detection means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제4 형태의 종이류 취급 장치는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斜行量)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과,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를 포함한다.The paper handling apparatus of the fourth aspect detects the bundle conveyance unit for conveying the paper bundles in which one or more sheets of paper are stacked by external insertion, and the meandering amount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The 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ans and the conveying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he bundle of papers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part when the meandering amount detected by the 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ans are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가압한 상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높이가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높이가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height of the paper bundle inserted from the outside in a pressurized state,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height satisfies the condition to accept the paper bundle, and determines that the heigh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In this case, the paper bund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여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종이류의 탄성력에 의해 높이가 보다 높게 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실제 높이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그 상태로 반송하는 경우 및 종이류를 1장씩 조출하여 반송하는 경우 모두 종이류 다발은 가압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들로부터, 실제로는 적절한 종이류 다발이 부적절하다고 간주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detecting the height by pressing the paper bundl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specify the actual height of the paper bundle whose height is hig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aper. In the case of conveying the inserted paper bundle in such a state and in the case of feeding and feeding the paper sheets one by one, the paper bundle is usually pressurized. From the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er paper sheet bundle from being regarded as inappropriate.

예컨대 ATM 등의 자동화기기에서는, 추가 입금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추가 입금에서는, 종이류인 지폐는 복수 회로 나누어 삽입된다. 복수 회로 나누어 삽입되더라도, 삽입된 지폐의 반환은 1회로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는, 종이류 다발마다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삽입된 종이류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를 종이류 다발 전체의 시점에서 적절히 판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an automated device such as ATM, it is possible to make additional deposit. In the additional deposit, banknotes, which are paper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s and inserted. Even when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ircuits, it is required to return the inserted bank notes once. From this, when paper bundles to be integrated and handled are divided into multiple circuits and inserted from the outsi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serted paper bundles are appropriat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based on the height detected for each paper bundle. It becomes possible to determine suitably from the viewpoint of the whole paper bundl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1개 이상 검출하고, 검출한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그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문에, 적절한 사이즈의 종이류 다발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one or more sizes on the cross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sheets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insertion from the outside overlap, and when the size of the detected paper sheets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paper bundles are moved to the outside. Discharge. For this reason, only the paper bundle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accepted.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그 종이류 다발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문에, 적절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는 종이류 다발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eandering amount of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insertion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detected meandering amount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paper bund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this reason, only the paper bundle which can be conveyed in an appropriate state can be accepted.

전술한 바와 같은 종이류 다발의 판정은 그 삽입시에 또는 삽입에 의한 반송을 시작한 후, 즉시 행해진다. 이것에 따라, 어느 판정을 행한다고 해도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이 적절한지 여부의 판정을 보다 빠른 단계에서 보다 정확하게 행하게 된다.The determination of the paper bundl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mmediately at the time of insertion or after the conveyance by insertion is started. According to this, even if any determination is mad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bundle of bank notes inserted from the outside is appropriate is performed more accurately at an earlier stage.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종이류 취급 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per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을 받아들이는 종이류 반송 장치(프리·억셉터; pre-acceptor)의 반송계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The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system of the paper conveyance apparatus (pre-acceptor) which receives the banknote bundle inserted from the exterior.

도 3a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평면도.3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lamp and a drive system thereof;

도 3b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측면도.3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 and its drive system.

도 3c는 클램프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한 정면도.3C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 and its drive system.

도 4는 삽입된 지폐 다발에 클램프에 의해 압력을 가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4 is a view explaining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by a clamp to an inserted bill bundle.

도 5는 투입 출구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installed near an input outlet. FIG.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 취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a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상단 위치).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detection method by the height sensor of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upper position).

도 7b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받아들이기 가능 위치: 1).Fig. 7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ection method by the height sensor of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acceptable position: 1).

도 7c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받아들이기 가능 위치: 2).7C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ection method by the height sensor of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acceptable position: 2).

도 7d는 삽입된 지폐 다발의 높이 센서에 의한 검출 방법을 설명한 도면(하단 위치).7D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ection method by the height sensor of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bottom position).

도 8a는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지폐 다발을 설명한 도면.Fig. 8A is a diagram explaining a bundle of banknotes that satisfies the acceptance conditions.

도 8b는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지폐 다발을 설명한 도면.8B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bundle of banknotes that do not satisfy the acceptance conditions.

도 9는 지폐 다발의 사행량 측정 방법을 설명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ndering amount measuring method of a bundle of banknotes.

도 10은 입금 처리의 흐름도.10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processing.

도 11은 받아들이기 처리의 흐름도.11 is a flowchart of an acceptance process;

도 12는 부적절한 지폐 다발을 검출하기 위한 변형예를 설명한 도면.12 is a view explaining a modification for detecting an inappropriate bill bundle.

도 13a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폐 다발의 삽입 전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ate before insertion of the banknote bundle in a modification.

도 13b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폐 다발의 삽입 후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ate after insertion of the banknote bundle in a mod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종이류 취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per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그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자동화기기, 예컨대 현금자동예금지급기(ATM)에 이용되는 것을 상정한, 종이류로서 지폐를 취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장 이상의 지폐를 겹친 종이류 다발(B)을 고객이 삽입한 경우에 내부로 받아들이는 프리억셉터(Pre-acceptor)(100)와, 지폐를 수납하는 하부 유닛(200) 및 하부 유닛(200)과 프리억셉터(100) 사이의 지폐의 반송을 행하는 상부 유닛(3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프리억셉터(100)는 이후 「억셉터」 또는 「PAC」라고 표기한다.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handles banknotes as paper, assuming that it is used in an automated machine such as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As shown in FIG. 1, when a customer inserts a paper bundle B in which one or more banknotes are stacked, a pre-acceptor 100 that is taken into the interior and a lower unit for storing banknotes ( The upper unit 300 which conveys banknotes between the 200 and the lower unit 200 and the pre-acceptor 100 is comprised. The pre-acceptor 100 is referred to as "acceptor" or "PAC" after that.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입출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동작의 설명은 입금시, 출금시로 나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것을 탑재한 자동화기기로서는 ATM을 상정, 즉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상정한다. 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can deposit and withdraw money. In this regard,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divided into the time of deposit and withdrawal. As an automated device equipped with it, assume ATM, that is,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ATM main body.

억셉터(100)에 설치된 투입 출구(101)는 고객이 입금을 위한 지폐 다발(B)의 투입 또는 고객에의 출금을 위한 지폐 다발(B)의 외부로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것 이다. ATM에 탑재되는 경우, 투입 출구(101)의 외측에는 개폐되는 셔터(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이후, 고객의 시점에서,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측은 전면측, 그 반대측은 후면측이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또한, 하부 유닛(200)으로부터 보아 상부 유닛(300)측을 상측, 그 반대를 하측으로 각각 표현하기로 한다. The inlet outlet 101 installed in the acceptor 100 is for the customer to put out the bill bundle B for the deposit or to withdraw the bill bundle B for the withdrawal to the customer. When mounted at the ATM, shutters (not shown) that open and close are disposed outside the inlet and exit 101. Then, at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 input outlet 101 side of the acceptor 100 will be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reverse side thereof, respectively. In addition, as viewed from the lower unit 200, the upper unit 300 side will be represented as the upper side, and vice versa, respectively.

먼저, 입금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입금은 예컨대 고객이 ATM의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입금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요구를 고객이 하면, ATM 본체는 셔터를 열어 지폐 다발(B)의 투입 출구(101)로의 삽입(투입)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켜, 종이류 취급 장치(1)에는 삽입되는 종이류(B)의 받아들이기를 지시한다. First,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deposit is explained in detail. The deposit is made, for example, by a customer operating an ATM control unit (not shown) to request a deposit. When the customer requests the request, the ATM main body opens the shutter and moves to the state where the banknote bundle B can be inserted (inserted) into the input outlet 101, and the papers B inserted into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are inserted. ) To accept.

투입 출구(101)의 근방에는 삽입된 지폐 다발(B)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 그 지시를 받으면, 그 센서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반송을 행한다. 그 반송에 의해, 지폐 다발(B)은 반송로(102)를 통해 상부 유닛(300)의 세퍼레이터(SEP)부(310)로 운반된다.In the vicinity of the input outlet 101,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serted banknote bundle B is provided. Whe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receives the instruction from the ATM main body, it waits for the sensor to detect the banknote bundle B, and conveys it. By this conveyance, the banknote bundle B is conveyed to the separator (SEP) part 310 of the upper unit 300 via the conveyance path 102.

종이류 취급 장치(1)는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면, 그 취지를 ATM 본체에 통지한다. ATM 본체는 그 통지에 의해 셔터를 폐쇄하게 한다. Whe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receives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by the customer, it notifies the ATM body of the fact. The ATM causes the notification to close the shutter.

세퍼레이터부(310)의 하부에는 지폐 다발(B)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하기 위한 조출 기구(3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출 기구(311)는 예컨대 주지된 구성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폐에 조출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픽 롤러, 그 픽 롤러에 의해 조출된 지폐를 반송하는 피드 롤러 및 지 폐의 2중 반송 방지용으로 그 피드 롤러와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된 세퍼레이터를 갖춘 구성의 것이다. In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or part 310, the drawing | feeding-out mechanism 311 for drawing out each banknote from the banknote bundle B is provided. This feeding mechanism 311 has a well-known configuration, for example. Specifically, for example, a pick roller that transmits power in the feeding direction to the banknote located at the bottom, a feed roller for conveying the bills fed by the pick roller, and a contact roller for contacting the feed roller for double conveyance prevention of paper money. It is a structure with the separator installed in a state.

억셉터(100)가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의 스테이지(312) 상으로 운반된다. 그 스테이지(312) 및 그 상측에 위치하는 푸셔(313)는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출 기구(311)가 지폐를 조출할 수 있는 위치로의 지폐 다발(B)의 반송은 스테이지(31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스테이지(312), 푸셔(313)의 도 2에 도시하는 위치는 각각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의 상단이므로, 함께 상단 또는 상단 위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By accepting the acceptor 100 to the separator unit 310, the bill bundle B is transported onto the stage 312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stage 312 and the pusher 313 located on the upper side can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conveyance of the banknote bundle B to the position where the drawing | feeding-out mechanism 311 can feed banknote is made by moving the stage 312 downward. Since the position shown in FIG. 2 of the stage 312 and the pusher 313 is respectively the upper end in the range which can be moved, it is called an upper end or an upper end position together.

지폐의 조출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지폐와 픽 롤러를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푸셔(313)는 그 압력으로 이들을 접촉시키는 가압에 이용하고 있다. 그 가압은 스테이지(312)를 아래쪽으로 하단까지 이동시킨 후, 푸셔(31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지폐 다발(B)의 위쪽으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As is well known for the delivery of banknotes, it is necessary to contact the banknotes and the pick rollers at an appropriate pressure. The pusher 313 is used for the pressurization which makes them contact with this pressure. The pressuriza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stage 312 downward to the lower end, and then moving the pusher 313 downward to apply pressure from above the banknote bundle B. FIG.

상기 픽 롤러는 도시되지 않는 탄성 부재에 지지시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지폐의 조출에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픽 롤러의 위치 변화로부터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문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한 픽 롤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그 센서의 검출 결과를 감시하여,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푸셔(31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스테이지(312), 푸셔(313)를 이동 시키는 구동계는 각각 별개로 준비하고 있다. 그 이동용의 동력원으로서는 모두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The pick rolle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for judging from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pick roller whether or not a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feeding of the banknote. For this reaso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ick roller which moved below by the pressure is provide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is monitored and the pusher 313 is moved downward so that a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For this reason, the drive system which moves the stage 312 and the pusher 313 is prepared separately, respectively. All the stepping motors are employed as the moving power source.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조출 기구(311)에 의해 1장씩 조출된 지폐는 반송로(301)를 통해 감별부(320)로 반송되어 감별이 이루어진다. 그 감별에 의해, 지폐가 정상권인지 여부의 판별이나, 정상권의 돈 종류의 특정이 이루어진다. 가짜 지폐, 감별 불가능한 지폐 또는 파손된 지폐는 이상권(異常券)으로 판별된다. 감별된 후의 지폐는 반송로(302)로 반송된다. Banknotes fed out one by one from the separator unit 310 by the feeding mechanism 311 are conveyed to the discriminating unit 320 through the conveying path 301 to discriminate. By the discrimin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ill is in the normal right and to specify the kind of money in the normal right. Fake notes, indistinguishable notes, or broken notes are identified as abnormal notes. The banknote after the discrimination is conveyed to the conveyance path 302.

상부 유닛(300)에는 3개의 리젝트 박스(351∼353)가 설치되어 있다.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기 위해서 일시 보류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일시 보류부(330)에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반송로(303), 리젝트 박스(351∼353)의 어느 하나에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반송로(3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ree reject boxes 351 to 353 are provided in the upper unit 300. The temporary holding part 330 is provided in order to receive the banknote which the customer put in once. The conveyance path 304 is formed in each of the conveyance path 303 and the reject boxes 351-353 so that a bill can be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hold part 330 so that a bill can be accommodated.

반송로(302)에는 지폐의 반송처를 전환하기 위해서 2개의 전환 갈고리(302a, 302b)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302)에서 반송 중인 지폐를 이어서 반송시키는 반송로는 전환 갈고리(302a)에 의해 반송로(303)로, 전환 갈고리(302b)에 의해 반송로(304)로 각각 전환할 수 있다. 감별된 후의 지폐는 전환 갈고리(302a)에 의해 반송로(302)로부터 반송로(303)에 보내져 일시 수납부(330)에 수납된다. The transfer path 302 is provided with two switching hooks 302a and 302b in order to switch the destination of the bill. The conveyance path which conveys the banknote conveyed in the conveyance path 302 subsequently can be switched to the conveyance path 303 by the switching claw 302a, and to the conveyance path 304 by the switching claw 302b, respectively. The banknote after discrimination is sent to the conveyance path 303 from the conveyance path 302 by the switching claw 302a, and is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part 330. As shown in FIG.

일시 수납부(33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스테이지(331, 332)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지(331)는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수납, 스테이지(332)는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수납에 각각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편의적으로, 스테이지(331)에 의해 실현되는 수납부를 리저버(reservoir)부, 스테이 지(332)에 의해 실현되는 수납부를 에스크로(escrow)부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또한, 스테이지(331)는 RSV 스테이지, 스테이지(332)는 ESC 스테이지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The temporary storage part 330 is provided with two stages 331 and 332 which ar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age 331 is used for storing bills determined as abnormal tickets, and the stage 332 is used for storing bills determined as normal tickets. Here, for convenience, the storing part realized by the stage 331 is called a reservoir part and the storing part realized by the stage 332 is called an escrow part, respectively. The stage 331 is also referred to as an RSV stage, and the stage 332 is also called an ESC stage.

이들 스테이지(331, 332)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한 2개의 풀리(333, 334) 사이에 설치된 벨트(335)에 부착되어 있다. 2개의 풀리(333, 334) 및 벨트(335)는 스테이지별로 준비함으로써, 각 스테이지(331, 332)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These stages 331 and 332 are attached to a belt 335 provided between two pulleys 333 and 334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wo pulleys 333 and 334 and the belt 335 are prepared for each stage so that each stage 331 and 332 can be moved individually.

지폐의 반송처를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반송로(303)에는 전환 갈고리가 하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303)로 반송하는 지폐는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 반송로(304)에는 지폐를 리젝트 박스(351∼353) 중 어느 하나에 수납시키기 위해서, 2개의 전환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One switching hook is provided in the conveyance path 303 so that a conveyance destination of a bill can be selected from a reservoir portion and an escrow portion. Thereby, the banknote conveyed to the conveyance path 303 is accommodated in a reservoir part or an escrow part. In order to accommodate banknotes in any of the reject boxes 351-353, the transfer path 304 is provided with two switching hooks.

지폐의 감별, 그 감별 결과에 따른 일시 보류부(330)에의 수납은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1장씩 조출된 모든 지폐에 대하여 행한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이 완료된 후에는, 조출된 지폐는 일시 보류부(330)의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적재되어 수납된다. 조출의 완료는 세퍼레이터부(310) 내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음을 센서로 확인하거나, 또는 조출을 행하더라도 반송로(301)로 지폐가 조출되지 않음을 센서로 확인함으로써 판정된다.Differentiation of banknotes and storage in the temporary holding unit 330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are performed on all banknotes drawn out one by one from the separator unit 310. For this reason, after the extraction of the banknote from the separator unit 310 is completed, the extracted banknote is stored and stored in the reservoir unit or the escrow unit of the temporary holding unit 330. Completion of feeding is determined by checking with a sensor that a banknote does not exist in the separator part 310, or confirming with a sensor that a banknote is not sent to the conveyance path 301 even if feeding is carried out.

지폐 다발(B)의 형태로 투입된 지폐의 일시 수납부(330)에의 수납이 완료되면, 종이류 취급 장치(1)는 그 취지를 ATM 본체에 통지한다. 감별부(320)가 정상 권이라고 판별한 지폐의 매수를 돈 종류마다 카운트하여 산출한 입금액도 아울러 통지한다. 이들 통지에 의해, ATM 본체는 고객에 대하여 입금액을 제시하여, 거래를 행할지의 여부, 추가 입금의 유무 등의 조회를 행한다. 이후에는 그 조회 결과에 따라 동작한다. When storing of the banknotes put in the form of the bill bundle B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330 is completed, the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1 notifies the ATM body of the fact. The deposit amount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bills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320 as the normal volume for each kind of money is also notified. By these notifications, the ATM main body presents the deposit amount to the customer and inquires whether or not to conduct a transaction,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deposit or not. After that,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고객이 추가 입금을 요구한 경우, ATM 본체는 셔터를 재차 열어 종이류 취급 장치(1)에는 삽입되는 종이류(B)의 받아들이기를 지시한다.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구성하는 지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하여,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 When the customer requests additional deposit, the ATM body opens the shutter again to instruct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to accept the paper B inserted. The bills constituting the bill bundle B inserted by the customer are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or the escrow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33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고객이 거래의 취소를 요구한 경우에는,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받아들인 지폐의 반환을 지시한다. 그 지폐는 통상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에스크로부 또는 이들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지폐가 수납된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반환을 행한다. When the customer requests the cancellation of the transaction, the ATM main body instructs the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1 to return the bills received. The banknote is normally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the escrow portion or both of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330.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returns in the following manner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bill is stored.

일시 보류부(330)의 위쪽에는 지폐 다발(B)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30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반송로(305)는 일시 보류부(330)에 수납된 지폐 다발(B)을 억셉터(100)에 반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반송로(305) 상의 지폐 다발(B)의 반송은 캐리어(341)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캐리어(341)는 지폐 다발(B)을 반송 방향의 후방에서 누르는 형태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그와 같이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로서 겹쳐진 각 지폐는 캐리어(341)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이 때문에, 지폐 다발(B)은 적절하게 또 확실하게 반송되어,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지폐가 반송 중에 돌출되어 버리는 것은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Above the temporary holding part 330, the conveyance path 305 for conveying the banknote bundle B is provided. The conveyance path 305 can convey the banknote bundle B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holding part 330 to the acceptor 100. The conveyance of the banknote bundle B on the conveyance path 305 is performed using the carrier 341. The carrier 341 is for conveying the banknote bundle B in a form in which the bill bundle B is pushed in the rear in the conveying direction. By conveying in this way, each banknote superimposed as the banknote bundle B becomes the form supported by the carrier 341.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banknote bundle B is conveyed suitably and reliably, and it can reliably avoid that a banknote protrudes during conveyance in the crossing direction of the overlapping direction.

반송로(305) 상에는 캐리어(34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341)는 그 기어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반송로(305) 상에 설치된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341)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는 그 캐리어(341)의 반송로(305)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그 가이드는 각 스테이지(331, 332, 312)에도 설치되어 있다. On the conveyance path 305, many gear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arrier 341 are provided. The carrier 341 is configured to move along a guide (not shown)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305 by power transmission from the gear. Accordingly, the gear that transmits power to the carrier 341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305 of the carrier 341. The guide is provided in each stage 331, 332, and 312.

지폐가 리저버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를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캐리어(341)는 그 릴리스 위치에 있는 스테이지(331)의 후면측의 위치(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이미 이동시키고 있다.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은 그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위치(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셔터를 열게 하기 위해서, ATM 본체에는 예컨대 캐리어(341)를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시점에서 통지를 한다. 스테이지(331)를 이동하기 전의 캐리어(341)의 위치 및 ATM 본체에 통지하는 타이밍은 다른 경우라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When a banknote is stored only in the reservoir part, the RSV stage 331 is moved to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305 (release position). At this time, the carrier 341 has already moved to the position (escrow retreat pos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stage 331 at the release position. The bill bundle B on the stage 331 moves the carrier 341 to a position (release position) immediately in front of the acceptor 100, and is then conveyed by the acceptor 100 to the inlet outlet 101. do. In order to open the shutter, the ATM main body is notified at the time when the carrier 341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341 and the timing of notifying the ATM body before moving the stage 331 are basically the same even in other cases.

지폐가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는 반송로(305) 상으로 후퇴시킨 위치(상단 위치)로 이동시키고, ESC 스테이지(332)는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은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위치(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When the banknote is stored only in the escrow part, the RSV stage 331 moves to the position (upper position) which retracted on the conveyance path 305, and the ESC stage 332 is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305 (release) Position). The bill bundle B on the stage 332 moves the carrier 341 to a position (release position) just in front of the acceptor 100, and then is conveyed by the acceptor 100 to the inlet outlet 101. do.

지폐가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를 반송로(305) 상의 위치(릴리스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스테이지(312) 및 푸셔(313)는 각각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RSV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은 캐리어(341)를 세퍼레이터부(310)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테이지(312) 상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스테이지(312)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푸셔(313)는 스테이지(312)의 상단 위치인 합류 준비 위치로 이동시킨다. 푸셔(313)를 합류 준비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1에 도시하는 포크(342)를 푸셔(313)(전면)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그 돌출된 후, 푸셔(313)는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When a banknote is accommodated in both a reservoir part and an escrow part, the RSV stage 331 is moved to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305 (release position). At this time, the stage 312 and the pusher 313 are moved to the upper position, respectively. Banknote bundle B on RSV stage 331 is conveyed onto stage 312 by moving carrier 341 to separator portion 310. The stage 312 then moves downward and the pusher 313 moves to the joining ready position, which is the top position of the stage 312. After the pusher 313 is moved to the joining preparation position, the fork 342 shown in FIG. 1 is projected toward the pusher 313 (front side). After the protrusion, the pusher 313 moves to the upper position.

지폐는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접어 구부러진 지폐는 그 접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지폐를 단순히 겹쳐 쌓은 경우, 그 높이는 각 지폐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변화된다. 접어 구부러진 지폐가 많을수록 그 높이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포크(342)는 스테이지(312) 상의 지폐 다발(B)이 반송로(305) 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피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하고 있다. Since the banknote has elasticity, the folded banknote is intend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banknotes are simply stacked, the height thereof is changed by the elastic force acting on each banknote. The more bills that are bent, the higher the height tends to be. In this regard, the fork 342 is provided in order to avoid the banknote bundle B on the stage 312 from protruding onto the conveying path 305.

그 포크(342)는 합류 준비 위치의 높이에, 반송로(305)를 따라 돌출, 돌출한 상태로부터의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돌출이 가능하도록, 푸셔(313)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푸셔(313)로 스테이지(312) 상의 지폐 다발(B)을 억제한 상태에서 포크(342)를 돌출시켜, 푸셔(313)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포크(342)에 의해 지폐 다발(B)이 반송로(305) 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억제하고 있다. The fork 342 is provided at the height of the joining preparation position so as to be able to retreat from the protruding and protruding state along the conveying path 305. A recess is formed in the pusher 313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fork 342 is projected by the pusher 313 in the state in which the bill bundle B on the stage 312 is suppressed and the pusher 313 is moved upward, and then the fork bundle is bundled by the fork 342. (B) is suppressed so that it may not protrude on the conveyance path 305. FIG.

RSV 스테이지(331)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시킨 캐리어(341)는 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에, 각 스테이지(331, 332)는 순차 상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ESC 스테이지(332)의 상단 위치는 RSV 스테이지(331) 릴리스 위치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341)를 이동시켜, ESC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The carrier 341 which conveyed the banknote bundle B on the RSV stage 331 to the separator 310 returns to the escrow retreat position. Thereafter, each stage 331, 332 is moved to the upper position sequentially. The upper position of the ESC stage 332 corresponds to the RSV stage 331 release position. Thereby, the carrier 341 is moved, and the banknote bundle B on the ESC stage 332 is conveyed to the separator unit 310.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포크(342) 상으로 운반된다. 그 지폐 다발(B)이 운반된 후, 포크(342)는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312) 상에는 리저버부에 수납된 지폐 다발(B), 에스크로부에 수납된 지폐 다발(B)이 그 순서로 겹쳐 하나로 통합된다. 하나로 통합한 지폐 다발(B)은 스테이지(312)를 상단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어(341)로 억셉터(100)의 릴리스 위치까지 반송하고, 또한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에 반송한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반환한다. By conveying to the separator part 310, the banknote bundle B is conveyed on the fork 342. FIG. After the banknote bundle B is transported, the fork 342 is retracted. Thereby, the banknote bundle B accommodated in the reservoir part and the banknote bundle B accommodated in the escrow part are piled up one by one on the stage 312. The bill bundle B unified into one conveys the stage 312 to the upper position, thereby conveying the carrier 341 to the release position of the acceptor 100 by the carrier 341, and also inserting the outlet 101 by the acceptor 100. Return to Accordingly, return to the customer.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저브부, 에스크로부에 각각 수납된 지폐를 하나로 통합하여 반환한다. 이것은, 이들에 수납된 지폐를 따로따로 반환함으로써 일어나는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린 지폐는 예컨대 리젝트 박스(353)에 수납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anknotes respectively stored in the reserve part and the escrow part are combined and returned. This is to avoid forgetting what the customer takes by returning the bills stored therein separately. Banknotes forgotten by the customer are stored in the reject box 353, for example.

고객이 거래(입금)를 요구한 경우에는,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다. 그 지폐는 일시 수납부(330)의 리저버부, 에스크로부 또는 이들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다. 종이류 취급 장치(1)는 지폐가 수납된 장소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여 수납을 행한다. When the customer requests a transaction (transfer), the ATM main body instructs the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1 to store the bills received. The banknote is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the escrow portion or both of the temporary storage portion 330.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accommodate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a banknote was accommodated.

이상권, 즉 정상권이라고 판별되지 않은 지폐는 리저버부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지폐가 리저버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폐는 반환한다. 그 때의 동작은 고객의 취소 요구에 의해 리저버부에만 수납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The abnormality ticket, that is, the banknote which is not determined to be the normal ticket, is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For this reason, when a banknote is stored only in a reservoir part, the banknote is returned. The operation at that time is basically the same as in the case of returning the banknote stored only in the reservoir unit at the request of the customer to cancel.

지폐가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RSV 스테이지(331)는 반송로(305) 위로 후퇴시킨 상단 위치로 이동시키고, ESC 스테이지(332)는 반송로(305) 상의 릴리스 위치로 이동시켜, 그 스테이지(332) 상의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반송한 지폐 다발(B)로부터 지폐를 1장씩 세퍼레이터부(310)에 조출하여, 반송로(301), 감별부(320) 및 반송로(302)를 통해 하부 유닛(200)으로 반송한다. When the banknote is stored only in the escrow portion, the RSV stage 331 moves to the upper position retracted above the conveying path 305, and the ESC stage 332 moves to the release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305, The bill bundle B on the stage 332 is conveyed to the separator unit 310. The banknotes are fed one by one to the separator part 310 from the banknote bundle B which conveyed, and are conveyed to the lower unit 200 via the conveyance path 301, the discrimination part 320, and the conveyance path 302.

하부 유닛(200)에는 수납하는 지폐의 돈 종류별로 착탈 가능한 지폐 카세트(210)가 탑재된다. 탑재된 각 지폐 카세트(210) 내의 상부에는 지폐의 수납 및 수납된 지폐의 조출을 행할 수 있는 조출 기구(21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유닛(200)으로 반송된 지폐는 반송로(201)로 반송되어, 그 반송로(201)에 설치된 전환 갈고리에 의해 수납하여야 할 지폐 카세트(210)로 유도되어 조출 기구(211)에 의해 수납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삽입한 지폐는 그 돈 종류별로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된다. The lower unit 200 is equipped with a removable bill cassette 210 for each type of money of bills to be stored. In the upper part of each banknote cassette 210 mounted, the drawing | feeding-out mechanism 211 which can store banknotes and extract the banknotes stored is provided. The banknotes conveyed to the lower unit 200 are conveyed to the conveying path 201 and guided to the bill cassette 210 to be accommodated by the switching hook provided in the conveying path 201 and stored by the feeding mechanism 211. do. Accordingly, the bill inserted by the customer is stored in the bill cassette 210 according to the money type.

지폐가 리저버부 및 에스크로부의 양방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저버부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고객에게 반환하여, 에스크로부 에 수납된 지폐만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다. 반송한 지폐는 1장씩 세퍼레이터부(310)로 조출하여,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반송로(301), 감별부(320) 및 반송로(302)를 통해 하부 유닛(200)에 반송시켜 돈 종류별로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시킨다.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반송로(301), 감별부(320), 반송로(302) 및 반송로(304)를 통해 리젝트 박스(351 또는 352)에 수납한다. 또는, 예컨대 일단 리저버부에 수납한 후,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함으로써, 이상권의 재차 감별을 행한다.When bills are stored in both the reservoir portion and the escrow portion, the bills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are returned to the customer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only the bills stored in the escrow portion are returned to the separator portion 310. The conveyed banknotes are sent out one by one to the separator unit 310, and the banknotes determined to be the normal ticket are conveyed to the lower unit 200 through the conveying path 301, the discriminating part 320, and the conveying path 302 for each kind of money. In the bill cassette 210. The banknote determined as the abnormality ticket is stored in the reject box 351 or 352 via the conveyance path 301, the discriminating part 320, the conveyance path 302, and the conveyance path 304. Or, for example, after storing it once in a reservoir part, it conveys to the separator part 310, and discriminates | generates an abnormality | revolution again.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이 삽입한 종이류 다발(B)은 그 상태 그대로 세퍼레이터부(310)로 반송하여, 지폐 다발(B)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을 행하고, 조출하여 감별한 지폐는 일시 보류부(330)에 수납한 후, 지폐 다발(B)의 상태로 반송하여 반환하거나, 또는 그 세퍼레이터부(310)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별 후에 수납한 지폐를 1장씩 조출하여 반송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폐를 1장씩 반송하는 반송 거리는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 중에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할 확률은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은 보다 향상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per bundle B inserted by the customer is conveyed to the separator unit 310 as it is, and the paper money from the paper money bundle B is fed out, and the paper money that is fed out and discriminated is temporarily. After storing in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330, it returns to the state of banknote bundle B, returns it, or moves it to the separator part 310.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conveyance distance which conveys a banknote one by one can be made shorter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extracts and conveys each banknote stored after discrimination one by one. As a resul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jam or the like during transportation can be further reduced, so that the reliability is further improved.

이어서, 출금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출금은 예컨대 고객이 ATM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지정한 출금액의 출금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요구를 고객이 하면, ATM 본체는 종이류 취급 장치(1)에 출금 금액분의 지폐의 배출을 지시한다. 고객이 원하는 지폐를 지정한 경우에는, 그 지정 내용은 종이류 취급 장치(1)에 통지된다. Next,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withdraw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withdrawal is made, for example, by the custome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ATM to request withdrawal of the designated withdrawal amount. When the customer requests the request, the ATM main body instructs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to discharge the banknote for the withdrawal amount of money. When the customer designates a desired bill, the designation is notified to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종이류 취급 장치(1)는 ATM 본체로부터 그 지시를 받으면, 예컨대 돈 종류별로 조출하여야 하는 지폐의 매수를 결정하여, 그 결정에 따라 지폐를 조출하여야 하는 지폐 카세트(210)로부터 지폐를 1장씩 조출 기구(211)에 의해 조출하게 한다. 조출된 지폐는 반송로(201) 및 상부 유닛(300)의 반송로(306)를 통해 감별부(320)로 반송되어 감별된다. 그 감별에 의해, 정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에스크로부에 반송되고, 이상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리젝트 박스(351 또는 352)에 반송된다. Upon receiving the instruction from the ATM main body,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determines, for example, the number of bills to be dispensed for each kind of money, and extracts the bills one by one from the bill cassette 210 that is to be fed o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t is made to feed by 211. The drawn banknote is conveyed to the discriminating part 320 through the conveyance path 201 and the conveyance path 306 of the upper unit 300, and is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on, the banknote determined as the normal ticket is returned to the escrow part, and the banknote determined as the abnormal ticket is returned to the reject box 351 or 352.

에스크로부로의 지폐의 반송은 고객이 지정한 출금 금액분의 지폐를 수납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그 출금 금액분의 지폐의 수납이 종료된 후에는, 에스크로부에만 수납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와 같은 식으로 하여, 캐리어(341)를 억셉터(100)의 바로 앞의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억셉터(100)에 의해 투입 출구(101)까지 반송한다. The return of the bill to the escrow part is made until the bill for the withdrawal amount specified by the customer is stored. After the receipt of the bill for the withdrawal amount is completed, the carrier 341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acceptor 10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returning the bill stored only in the escrow part. And it conveys to the inlet outlet 101 by the acceptor 100.

이와 같이, 출금시의 지폐도 지폐 다발(B)의 상태로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이류 취급 장치(1)는 투입 출구(101) 주변에 확보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작더라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banknote at the time of withdrawal is also conveyed to the injection exit 101 of the acceptor 100 in the state of the banknote bundle B. FIG. For this reaso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can be installed even if the space which can be secured around the inlet 101 is small.

이어서, 억셉터(100)의 구성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acceptor 100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억셉터(100)의 반송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셉터(100)는 반송로(102)의 위쪽에 설치된 클램프(103)와, 반송로(102)의 아래쪽에 설치된 트레이(104)와, 그 트레이(104)에 부착된 훅(105)과, 지폐 다발(B)을 반송로(102)를 따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106)와, 반송 벨 트(106)에 의한 지폐 다발(B)의 반송량을 확인하기 위한 인코더(107)와, 반송로(102) 상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109∼112)와, 반송로(102) 상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반송로(102) 상으로의 돌출 및 후퇴를 행할 수 있는 스토퍼(113, 1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훅(105), 스토퍼(113, 114)는 지폐 다발(B)의 반송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형태로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rier system of the acceptor 100. As shown in FIG. 2, the acceptor 100 includes a clamp 103 provided above the conveyance path 102, a tray 104 provided below the conveyance path 102, and a tray 104. Checking the conveyance amount of the attached bill 105, the conveyance belt 106 for conveying the banknote bundle B along the conveyance path 102, and the conveyance bundle 106 by the conveyance belt 106 For the encoder 107, the sensors 109 to 112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conveyance path 102, and the other positions on the conveyance path 102 to protrude and retreat on the conveyance path 102. The stopper 113, 114 which can be provided is comprised. The hook 105 and the stoppers 113 and 114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form of being lined up side by side in the crossing direction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banknote bundle B. As shown in FIG.

상기 인코더(107)는 반송 벨트(106)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107a)와, 그 디스크(107a)의 원주 상에 설치된 슬릿 검출용 센서(107b)를 구비하고 있다. 그 센서(107b)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이다. 그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은 디스크(107a)의 회전에 의해 단속적으로 차광된다. 이에 따라 수광 소자로부터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그 펄스 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실제의 반송량을 특정한다. The encoder 107 is provided with a disk 107a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a motor which transmits power to the conveyance belt 106 and a slit detection sensor 107b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 107a. . The sensor 107b is an optical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intermittently shielded by the rotation of the disk 107a. Thereby, a pulse signal is output from a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actual conveyance amount is specified by counting the pulse signal.

상기 트레이(104)는 투입 출구(101)로부터 삽입된 지폐 다발(B)을 판형의 부재로 지지하는 것이다. 그것에 부착된 훅(105)은 반송로(102) 상으로의 돌출, 후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 다발(B)의 삽입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을 삽입하여야 할 길이의 가이드로 이용하고 있다. The tray 104 supports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from the input outlet 101 with a plate-shaped member. The hook 105 attached thereto is capable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onto the conveyance path 102. When inserting banknote bundle B, as shown in FIG. 2, it is used as the guide of the length to which banknote bundle B is to be inserted.

트레이(104)의 반송로(102)에 따른 이동은 도 2의 시점에서는 반송 벨트(106)와 겹치도록 설치된 벨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그 이동량을 특정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코더(107)를 따로 준비하고 있다. 스토퍼(113, 114)에 대해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전면측에 설치된 스토퍼(113)를 A스토퍼, 후면측에 설치된 스토퍼(114)를 D스토퍼라고 각각 부르기로 한다. The movement along the conveyance path 102 of the tray 104 is performed using the belt provid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conveyance belt 106 at the time of FIG. In order to specify the movement amount, the encoder 107 as shown in Fig. 2 is separately prepared. For the stoppers 113 and 114, in order to avoid confusion, the stopper 113 provided on the front side is called A stopper, and the stopper 114 provided on the back side is called D stopper, respectively.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클램프(103)의 구성 및 그 구동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3A to 3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 103 and its drive system.

그 클램프(103)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21, 12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샤프트에 의해 지폐 다발(B) 반송용의 4 라인의 반송 벨트(123)를 팽팽한 상태로 지지시킨 것이다. 가장 전면측에 위치하는 샤프트(121)에는 지폐 다발(B) 삽입용 가이드(124)가 복수 개 부착되어 있다. 반송 벨트(123)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동력은 1라인의 샤프트, 예컨대 샤프트(121)을 통해 전달된다. 그 동력은 하측에 배치된 반송 벨트(106)에도 전달된다. The clamp 103 supported the conveyance belt 123 of four lines for banknote bundle B conveyance in the tensioned state by the several shaft containing the shaft 121,122 as shown to FIG. 3A. will be. A plurality of guides 124 for inserting the banknote bundle B are attached to the shaft 121 positioned at the most front side. Power for moving the conveyance belt 123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aft of one line, for example, the shaft 121. The power is also transmitted to the conveyance belt 106 arranged below.

클램프(103)는 삽입된 지폐 다발(B)을 트레이(104)와의 사이에서 끼운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반송로(102)에 따른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계는, 샤프트(121, 122)의 양단측에 각각 부착한 아암(131, 132)에 의해 그 이동을 실현시킨다. 동력은 아암(132)에 전달되고, 그 동력은 링크(133)를 통해 아암(131)에 또한 전달된다. The clamp 103 is made to be able to move in the cross direction of the direction along the conveyance path 102, in order to make the inserted banknote B the state inserted between the tray 104. As shown in FIG. The drive system that enables the movement is realized by the arms 131 and 132 attached to both end sides of the shafts 121 and 122, respectively. Power is transmitted to arm 132, which is also transmitted to arm 131 via link 133.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31, 132)은 각각 축(131a, 13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단부에는 각각 오목부(131b, 132b)가 형성되고, 샤프트(121, 122)는 그 오목부(131b, 132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아암(132)의 다른 쪽의 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단부(132c)에는 이가 형성되고, 그 이와는 기어(135)의 이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B, the arms 131 and 132 are rotatable about the axes 131a and 132a, respectively. Recesses 131b and 132b are formed at these ends, respectively, and the shafts 121 and 122 are rotatably attached to the recesses 131b and 132b. Teeth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arm 132 which has an arc shape, and teeth of the gear 135 mesh with the teeth.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어(135)는 샤프트(134)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134)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풀리(136)가 부착되어 있다. 그 풀 리(136) 및 샤프트(138)의 단부에 부착된 풀리(139) 사이에는 드라이브 벨트(137)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C, the gear 135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aft 134. A pulley 136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134. A drive belt 137 is provided between the pulley 136 and the pulley 139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aft 138.

모터(140)는 클램프(103)를 이동시키는 구동계의 동력원이다. 그것은 예컨대 스테핑 모터이다. 그 모터(140)의 동력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141-143) 및 클러치(144)를 통해 샤프트(138)에 전달된다. 샤프트(138)에 전달된 동력은 풀리(139), 드라이브 벨트(137), 풀리(136), 샤프트(134) 및 기어(135)를 통해 아암(132)에 전달된다. 그와 같이 동력이 전달되는 결과, 클램프(103)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상단 위치)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의 이행 및 그 반대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의 이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motor 140 is a power source of the drive system for moving the clamp 103. It is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The power of the motor 140 is transmitted to the shaft 138 via the gears 141-143 and the clutch 144, as shown in FIG. 3B. Power transmitted to shaft 138 is transmitted to arm 132 via pulley 139, drive belt 137, pulley 136, shaft 134, and gear 135. As a result of such power being transmitted, the clamp 103 moves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upper position) to the state shown in FIG. 4 and vice versa in the state shown in FIG. The transition to the state shown in 2 can be performed.

클램프(103)를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지폐 다발(B)은 하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에 끼워진다. 그 지폐 다발(B)에 대해서는 충분한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할 필요는 없다. 그 지폐 다발(B)의 높이는 겹쳐진 지폐에 따라 변화되는 경우도 있어, 충분한 압력을 가했을 때의 높이는 사전에 알 수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해진 이상의 저항이 생기면 공전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를 클러치(144)로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적절한 압력이 지폐 다발(B)에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 By shifting the clamp 103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to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banknote bundle B is pressed downward and is clamped between the clamp 103 and the tray 104. FIG.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pressure more than sufficient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banknote bundle B. FIG. The height of the bill bundle B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cked bills, and the height when sufficient pressure is applied is not known in advance. 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one-way clutch that revolves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resistance occurs is employed as the clutch 144. Thereby, the appropriate pressure is reliably applied to the banknote bundle B.

링크(133)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슬릿(133a∼133c)을 설치하여, 이들의 슬릿(133a∼133c)을 검출할 수 있는 2개의 센서(145, 146)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 센서(145, 146)는 모두 광학 센서로서,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차광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슬릿(133a∼133c)을 검출한다. In the link 133, as shown in FIG. 4, three slits 133a to 133c are provided, and two sensors 145 and 146 capable of detecting these slits 133a to 133c are arranged. . These sensors 145 and 146 are both optical sensors and detect the slits 133a to 133c by whether or no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shielded.

슬릿(133a∼133c) 및 센서(145, 146)는 클램프(103)의 위치,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지 여부의 판정을 할 수 있는 배치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103)가 도 2에 도시하는 상단 위치에 있으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센서(145, 146)는 투과, 즉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수광 소자에 입사하도록 하고 있다.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라면, 도 7b 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에서는 차광, 즉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수광 소자에 입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다른 쪽의 센서(146)는 차광, 투과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지폐 다발(B)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지폐 다발(B)이 얼마 되지 않는 높이라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에서는 투과, 센서(146)에서는 차광하도록 하게 하고 있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클램프(103)는 하단 위치에 있게 된다. The slits 133a to 133c and the sensors 145 and 146 are arranged to be a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amp 103 and whether or not the bill bundle B is an acceptable height. Accordingly, when the clamp 103 is in the upper position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7A, the sensors 145 and 146 allow transmission, that i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be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f the banknote bundle B is acceptable, as shown in FIG. 7B or 7C, the sensor 145 prevents light shielding, that i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from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t this time, the other sensor 146 may be either light shielding or transmission. If the banknote bundle B does not exist or the banknote bundle B is a little high, as shown in FIG. 7D, the sensor 145 transmits the light and the sensor 146 blocks the light. Whe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7D is reached, the clamp 103 is in the lower position.

도 5는 투입 출구(101) 근방에 설치된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 근방에 설치된 센서(109∼111) 및 후면측에 설치된 센서(112)는 모두 광학 센서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sensors installed near the inlet and outlet 101. The sensors 109 to 111 provided in the vicinity and the sensor 112 provided on the rear side are both optical sensors.

지폐 다발(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하여, 즉 그 길이 방향을 삽입 방향에 교차시켜 폭 좁힘 가이드(151) 사이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투입 출구(101)에 삽입된 지폐 다발(B)의 폭(길이 방향의 길이)이 정상권인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센서(109)로서 센서(109a∼109d)의 4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109a∼109d) 및 센서(110)를 이용하여, 지폐 다발(B)이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받아들여야 하는 지폐 다발(B)이 만족해야 하는 받아들이기 조건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10) 및 센서(109b, 109c)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또한 센서(109a, 109d)의 어느 한 쪽이 그것을 검출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폐 다발(B)은 받아들이기를 거절한다. 도 8a 및 도 8b에 각각 도시한 화살표는 지폐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anknote bundle B is inserted horizontally,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tersec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is inserted between the narrowing guides 151. Four sensors 109a to 109d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the sensor 109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width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into the inlet and exit 101 is a normal winding. . These sensors 109a to 109d and the sensor 110 ar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ill bundle B should be accepted. The acceptance condition that the banknote bundle B to be accepted must satisfy is that the sensor 110 and the sensors 109b and 109c detect the banknote bundle B as shown in Fig. 8A, and the sensor 109a, It is assumed that either one of 109d) detects it. The bill bundle B as shown in Fig. 8B which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refuses to accept. Arrows shown in Figs. 8A and 8B, respectively, indicat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anknote.

지폐 다발(B)은 사행한 상태로 투입 출구(101)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 사행(斜行)의 검출은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한 지폐 다발(B)만을 대상으로 센서(109b, 109c)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The banknote bundle B may be inserted in the input outlet 101 in the state meandered. The detection of meandering is performed using the sensors 109b and 109c only for the bill bundle B that satisfies the acceptance condi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도시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지폐 다발(B)이 사행하고 있으면, 그것을 안쪽으로 반송할 때에, 센서(109b, 109c)가 검출하지 않게 되는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긴다. 그 시간차를 ΔT, 반송 속도를 V라고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센서(109b, 109c) 사이의 어긋남량(X)은, As shown in FIG. 9, when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shown by the arrow meanders, when it conveys inward, a shift occurs in the timing at which the sensors 109b and 109c do not detect. . When the time difference is ΔT and the conveyance speed is V, the shift amount X between the sensors 109b and 109c shown in FIG. 9 is

X=V·ΔTX = V · ΔT

가 된다. 이 때문에, 각도로 나타내는 사행량[θ(°)]은 센서(109b, 109c) 사이의 거리를 Y라고 하면, Becomes For this reason, when the meandering amount [theta] ([deg.]) Expressed by the angle is Y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s 109b and 109c,

θ=tan-1(X/Y)θ = tan -1 (X / Y)

로 구할 수 있다. 그 사행량(θ)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만, 지폐 다발(B)의 받아 들이기를 계속한다. Can be obtained as Only when the meandering amount (theta) is in an allowable range, acceptance of banknote bundle B is continued.

상기한 것과 같이, 지폐 다발(B)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센서(109a∼109d)를 이용하여 행한다.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지폐 다발(B)이 센서(111)를 차광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나서 그 차광이 해제될 때까지 반송한 길이가 허용 범위 내인지 확인함으로써 행한다. 지폐 다발(B)의 높이는, 클램프(103)를 가압한 후, 그것을 상단 위치로 되돌리는 데에 필요한 모터(140)의 회전량을 카운트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모터(140)로서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회전량으로서 모터(140)에 구동용으로 가한 펄스의 수(스텝 수)를 카운트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length check of the banknote bundle B in the long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sensors 109a-109d. The length check of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formed by confirming whether the banknote bundle B conveys to the position which light-shields the sensor 111, and the conveyed length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until the light-shielding is cancelled | released.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B is performed by coun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motor 140 required to return it to the upper end position after pressing the clamp 103. Since the stepping motor is employed as the motor 140, the number of steps (number of steps) applied to the motor 140 for driving is counted as the rotation amount.

상단 위치에서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45, 146)가 모두 투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센서(145, 146)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지폐 다발(B)을 가압하고 있었던 위치에서부터 상단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모터(140)에 가해진 펄스의 스텝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폐 다발(B)의 높이는 상단 위치의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의 높이에서 그 스텝 수에 대응하는 높이를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In the upper position, as shown in FIG. 7A, both the sensors 145 and 146 are transmitted. For this reason, by monitoring the signal output by the sensors 145 and 146, the number of steps of the pulse applied to the motor 140 can be counted while moving from the position which pressed the banknote bundle B to the upper end position.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bill bundle B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eps from the height between the clamp 103 and the tray 104 at the upper end position.

지폐가 갖는 탄성력은 그 자중에 비하여 큰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지폐의 탄성력에 의한 변형은 자중에 의해 막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단순히 지폐를 겹치면, 지폐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전체의 높이가 변화된다. 지폐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통상, 즉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지폐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높아진 지폐 다발(B)을 누르더라도 그 압박을 해제하면 그 해제 후에 지폐 다발(B) 은 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지폐 다발(B)을 눌렀을 때의 높이를 구하고 있다. 그와 같이 구한 높이는 지폐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거시켜 지폐마다 그 두께를 가산한 정확한 것이 된다.The elastic force of a banknote is usually larger than its own weight. This means that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anknote cannot be prevented by its own weight. For this reason, when a banknote is simply piled up, the height of the whole thing changes with the elastic force of banknote itself. Since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banknote is usually not immediately removed, even when the banknote bundle B which is hig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anknote is pressed, the banknote bundle B becomes higher after the releas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From this, the height when the banknote bundle B is pressed is calculated | required. The height thus obtained is accurate to remove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bill and add the thickness for each bill.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다발(B)의 사이즈 체크(긴 길이, 짧은 길이 양 방향의 길이 체크), 사행량(θ) 및 그 높이의 측정을 지폐 다발(B)이 억셉터(100)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정확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어,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은 보다 빠른 단계에서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은 향상되고, 보다 높은 이용 효율이 실현된다. 그것을 실현시키는 동작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ll bundle B receives the size check (long length, short length check in both directions), the meandering amount θ, and the height of the bill bundle B. It is to be done correctly while being in). For this reason, an inappropriate banknote bundle B can be determined correctly, and an inappropriate banknote bundle B can be returned to a customer at a faster stage. As a result, reliability is improved and higher utilization efficiency is realiz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for realizing i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은 종이류 취급 장치(1)의 회로 구성도이다.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1.

상기 억셉터(100)는 센서군(161), 모터군(162) 및 솔레노이드군(163)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센서군(161)은 상기 센서(109∼112, 145, 146)나 인코더(107)의 센서(107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군(162)은 클램프(103)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인 모터(140), 클램프(103)에 설치된 반송 벨트(123) 및 그 아래쪽에 설치된 반송 벨트(106)의 구동용 모터, 트레이(104)의 이동용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이들 모터는 전부 스테핑 모터이다. 훅(105), A스토퍼(113) 및 D스토퍼(114)의 돌출, 후퇴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솔레노이드군(163)은 이들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The acceptor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group 161, a motor group 162, and a solenoid group 163. The sensor group 161 is composed of the sensors 109 to 112, 145 and 146, the sensor 107b of the encoder 107, and the like. The motor group 162 is a motor 140 for driving the clamp 103, a motor for driving the conveyance belt 123 provided on the clamp 103, and a conveyance belt 106 provided below the tray 103. It consists of a motor for movement. These motors are all stepping motors. Protrusion and retraction of the hook 105, the A stopper 113, and the D stopper 114 are performed using a solenoid. The solenoid group 163 consists of these solenoids.

하부 유닛(200)은 프린트 기판(PCB)(2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그 프린트 기판(260)에는 모터군(271, 272), 센서군(273) 및 솔레노이드군(274)이 접속되 어 있다. The lower unit 20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260. Motor groups 271 and 272, sensor groups 273 and solenoid groups 274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board 260.

모터군(271)은 예컨대 복수 개의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테핑 모터는 대응하는 지폐 카세트(210) 내에 설치된 스테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모터군(272)은 예컨대 복수 개의 DC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각 DC 모터는 대응하는 지폐 카세트(210) 내에 설치된 조출 기구(211)의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The motor group 27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epping motors, for example. Each stepping motor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moving a stag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bill cassette 210. The motor group 27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C motors, for example. Each DC motor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feeding mechanism 211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ill cassette 210.

센서군(273)은 반송로(201) 상에 지폐 검출용으로 설치된 센서, 지폐 카세트(210)의 검출용의 센서(예컨대 스위치), 지폐 카세트(210)의 스테이지의 위치 검출용의 센서 및 그것에 수납된 지폐 검출용의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군(274)은 반송로(201) 상의 전환 갈고리마다 준비된 상태 전환용의 솔레노이드, 각 지폐 카세트(210) 내에 준비된 조출 기구(211)로의 동력 전달용의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ensor group 273 includes a sensor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201 for detecting the bill, a sensor (for example, a switch) for detecting the bill cassette 210,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age of the bill cassette 210, and It consists of a sensor for detecting banknotes stored, and the like. The solenoid group 274 is comprised with the solenoid for the state change prepared for every switching hook on the conveyance path 201, the solenoid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feeding mechanism 211 prepared in each banknote cassette 210, and the like.

프린트 기판(260) 상에는 종이류 취급 장치(1)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261)와, 그 CPU(2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 ROM(262)와, CPU(261)가 워크에 이용하는 RAM(263)과, 센서군(273)을 구성하는 센서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264)와, 솔레노이드군(274)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65)와, 모터군(271)을 구성하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66)와, 모터군(272)을 구성하는 DC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67)와, 예컨대 상부 유닛(3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268)와, 예컨대 ATM 본체 등의 상위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269)가 탑재되어 있다. On the printed board 260, a CPU 261 for controlling the entire paper handling apparatus 1, a ROM 262 stor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261 and various control data, and a CPU 261 are provided. A RAM 263 used for the work, a sensor driver 264 for driving a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group 273, a solenoid driver 265 for individually driving the solenoids constituting the solenoid group 274, and Communication with the motor driver 266 for driving the stepping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 271, the motor driver 267 for driving the DC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 272, and the upper unit 300, for example. A communication interface (I / F) 268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I / F) 269 for communicating with higher-level devices such as an ATM main body are mounted.

상부 유닛(300)도 프린트 기판(PCB)(3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그 프린트 기판(360)에는 모터군(371, 162), DC 모터(372), 센서군(373, 161), 솔레노이드군(374, 163) 및 감별부(320)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억셉터(100)는 상부 유닛(300)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The upper unit 300 also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360. The motor group 371, 162, the DC motor 372, the sensor group 373, 161, the solenoid group 374, 163, and the discriminating unit 320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board 360. Accordingly, the acceptor 100 is controlled by the upper unit 300.

모터군(371)은 예컨대 복수 개의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고 있다. 캐리어(341), 각 스테이지(312, 331, 332) 및 푸셔(313)는 각각 스테핑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이동이 이루어진다. DC 모터(372)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지폐를 조출하여 반송하기 위한 동력원이다. The motor group 37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epping motors, for example. The carrier 341, each of the stages 312, 331, 332, and the pusher 313 are moved using a stepping motor as a power source, respectively. The DC motor 372 is a power source for extracting and conveying bills from the separator unit 310.

센서군(373)은 각 반송로(301∼305)에 지폐 또는 캐리어(341) 검출용으로 각각 복수 개 설치된 센서, 세퍼레이터부(3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일시 보류부(33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군(374)은 반송로(301) 상의 전환 갈고리(302a, 302b) 및 다른 반송로(303, 304) 상에 각각 설치된 전환 갈고리의 상태 전환용의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The sensor group 373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each provided for detecting bills or carriers 341 in each of the conveyance paths 301 to 305,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in the separator unit 310, and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in the temporary holding unit 330. Two sensors and the like. The solenoid group 374 is comprised with the switching hooks 302a and 302b on the conveyance path 301, and the solenoid for switching the states of the switching hooks provided on the other conveyance paths 303 and 304, respectively.

프린트 기판(360) 상에는 상부 유닛(30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361)와, 그 CPU(36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 ROM(362)과, CPU(361)가 워크에 이용하는 RAM(363)과, 센서군(373, 161)을 구성하는 센서를 구동하는 센서 구동부(364)와, 모터군(371, 162)을 구성하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65)와, DC 모터(372)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366)와, 솔레노이드군(374, 163)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구 동부(367)와, 감별부(320)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I/F)(368) 및 하부 유닛(2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I/F)(369)가 탑재되어 있다. On the printed board 360, a CPU 361 that controls the entire upper unit 300, a ROM 362 stor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361 and various control data, and a CPU 361 work on the printed board 360. A RAM 363 to be used for the sensor, a sensor driver 364 for driving a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groups 373 and 161, a motor driver 365 for driving a stepping motor constituting the motor groups 371 and 162, and Between the motor driving circuit 366 for driving the DC motor 372, the solenoid bulbs 367 for individually driving the solenoids constituting the solenoid groups 374 and 163, and the discriminating unit 320. Is equipped with an interface (I / F) 368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I / F) 369 for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unit 200.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각 프린트 기판(260, 360) 상의 CPU(261, 361)는, 각각 ROM(262, 36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를 한다. CPU(261)는, 통신 I/F(269)를 통해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하여, 그 지시에 따라 하부 유닛(200)의 제어를 행하고, 상부 유닛(300)에의 지시를 행한다. 그 지시는 통신 I/F(268, 369)를 통해 상부 유닛(300)의 CPU(361)에 보내진다. The CPUs 261 and 361 on the respective printed boards 260 and 360 control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ROMs 262 and 362, respectively. The CPU 261 receives an instruction from the ATM main body via the communication I / F 269, performs control of the lower unit 200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and instructs the upper unit 300. The instruction is sent to the CPU 361 of the upper unit 300 via the communication I / Fs 268, 369.

CPU(261)는, 센서 구동부(264)에 의해 센서군(273)을 구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각종 검출 결과는 그 구동부(264)로부터 수시로 수취하고, 상부 유닛(300) 또는 ATM 본체로부터 통신된 내용은 통신 I/F(268 또는 269)로부터 수시로 수취한다. 이들 검출 결과 및 통신 내용을 해석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부(265), 모터 구동부(266, 267)에 각각 상황에 따른 지시를 한다. 이에 따라, CPU(261)의 제어 하에서 하부 유닛(200)을 동작시킨다. 또한, 통신 I/F(268 또는 269)를 통해, 통지하여야 할 정보를 수시로 송신시킨다. The CPU 261 receives various detection results obtained by driving the sensor group 273 by the sensor driver 264 from the driver 264 from time to time, and the contents communicated from the upper unit 300 or the ATM main bod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ceive from time to time from I / F 268 or 269. These detection results and communication contents are analyzed to instruct the solenoid drive unit 265 and the motor drive units 266 and 267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ly, the lower unit 20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61. In addi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I / F 268 or 269, information to be notified is often transmitted.

다른 쪽의 상부 유닛(300)의 CPU(261)는 하부 유닛(20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제어한다. 그 제어는, 센서 구동부(364)에 의해 센서군(373, 161)을 구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각종 검출 결과를 그 구동부(364)로부터 수시로 수취하여 해석하고, 솔레노이드 구동부(367), 모터 구동 부(365), 모터 구동 회로(366) 및 감별부(320)에 각각 상황에 따른 지시를 함으로써 행한다. 이에 따라, CPU(361)의 제어 하에서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동작시킨다. 감별부(320)에의 지시는 I/F(368)를 통해 행하고, 하부 유닛(200)에 통지하여야 할 정보는, 통신 I/F(369)를 통해 수시로 송신시킨다.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였을 때는 입금액, 지폐의 수납시에는 정상권이라고 판별한 지폐의 돈 종류 등이 그 정보로서 하부 유닛(200)에 송신된다. The CPU 261 of the other upper unit 300 controls the upper unit 300 and the acceptor 100 by an instruction from the lower unit 200. The control receives and analyzes various detection results obtained by driving the sensor groups 373 and 161 by the sensor driver 364 from the driver 364 from time to time, and the solenoid driver 367 and the motor driver 365. And the motor drive circuit 366 and the discriminating unit 320 are i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ly, the upper unit 300 and the acceptor 100 ar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361. Instructions to the discriminating unit 320 are made through the I / F 368, and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the lower unit 200 is frequentl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 / F 369. When the customer accepts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the amount of money received, the money type of the banknote determined as the normal right when the banknote is stored,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lower unit 200 as the information.

이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각 흐름도를 참조하여 종이류 취급 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 동작은 하부 유닛(200)의 CPU(261)가 그 하부 유닛(200)을 제어하고, 상부 유닛(300)의 CPU(361)가 그 CPU(261)의 제어 하에서 그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flowchart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PU 261 of the lower unit 200 controlling the lower unit 200, and the CPU 361 of the upper unit 300 controls the upper unit 300 and the control of the CPU 261. This is realized by controlling the acceptors 100 resp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은 지폐 다발(B)의 사이즈 체크(긴 길이, 짧은 길이의 양방향의 길이 체크), 사행량(θ) 및 그 높이의 측정은 그 지폐 다발(B)이 억셉터(100)의 투입 출구(101)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으로부터, 여기서는 지폐 다발(B)의 삽입이 행해지는 입금시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The size check (long-length, short-length bidirectional length check), meandering amount θ, and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B as described above are measured by the banknote bundle B injecting the acceptor 100. By inserting into the outlet 101. From this, only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deposit which inserts banknote bundle B is performed here is demonstrated.

도 10은 입금 처리의 흐름도이다. 그 처리는 ATM 본체가 행하는 지시에 의해, 고객이 요구하는 입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실행된다. 처음에 도 10를 참조하여 입금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10 is a flowchart of the deposit processing. The processing is executed in order to realize a deposit requested by the customer by an instruction issued by the ATM main body. First, the deposit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하부 유닛(200)의 각 부는 CPU(261)의 제어로 동작하고, 상부 유닛(300) 및 억셉터(100)의 각 부는 CPU(371)의 제어로 동작한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동작시키는 대상을 제어하는 CPU에 주목하는 형태로 설명을 행하기로 한다. Each unit of the lower unit 20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61, and each unit of the upper unit 300 and the acceptor 10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371. For this reason, description will be made here in the form of paying attention to the CPU controlling the object to be operated.

우선, 단계 101에서는, 트레이(104)가 도 2에 도시된 위치인 딜리버리(delivery)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그 딜리버리 위치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거기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 102에서는, 투입 출구(101)에 받아들이기 조건(도 8a)을 만족하는 지폐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투입 출구(101)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었던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04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3으로 이행한다. 그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허용 범위 내임을 의미한다.First, in step 101,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tray 104 exists in the delivery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shown in Fig. 2, and moves there if it does not exist in the delivery position. In the next step 1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anknote which satisfies the acceptance condition (FIG. 8A) at the injection exit 101 is detected. When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by the customer at the injection exit 101 satisfied the acceptance condition, the judgment is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04.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NO and proceeds to step 103. Satisfying the acceptance condition means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knote bundle B is within an acceptable range.

상기 단계 101, 102의 처리는, 하부 유닛(200)의 CPU(261)로부터 지폐 다발(B)의 받아들이기가 지시된 상부 유닛(300)의 CPU(361)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후술하는 단계 103∼118도 마찬가지이다. 투입 출구(101)의 근방에 설치되는 셔터는, 예컨대 단계 101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 열린다. 훅(105)은 통상 돌출한 상태로 하고 있다. The processing of the above steps 101 and 102 is realized by the control of the CPU 361 of the upper unit 300 instructed to accept the bill bundle B from the CPU 261 of the lower unit 200. The same applies to steps 103 to 118 described later. The shutter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put outlet 101 is opened after, for example, the process of step 101 is executed. The hook 105 is normally made to protrude.

단계 103에서는, 지폐 다발(B)의 검출을 시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여기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상기 단계 102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지폐 다발(B)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In step 103,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detection of the bill bundle B is started. If the fixed time has elapsed, the judgment is YES, and the series of processing ends here.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NO and returns to step 102 above. Thereby, it waits for banknote bundle B to be inserted until a fixed time passes.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그 단계 103의 판정이 YES가 되기 전의 단계에서, 지폐 다발(B)이 삽입되지 않음이 CPU(361)로부터 CPU(261)에 통지되고, 또한 CPU(261)으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된다. 그와 같은 타이밍에 통지함으로써, ATM 본체가 셔터를 닫게 한 후, 단계 103의 판정이 YES가 되도록 하고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step before the judgment of the step 103 becomes YES, the CPU 261 is notified from the CPU 361 to the ATM main body from the CPU 361 to inform that the banknote bundle B is not inserted. You are notified. By notifying at such timing, the ATM main body closes the shutter, and the determination in step 103 is set to YES.

한편, 단계 104에서는, 캐리어(341)는 세퍼레이터부(310)로 지폐 다발(B)을 운반할 때의 위치인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고, 푸셔(313), 스테이지(312)는 상단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 계속되는 단계 105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0)를 구동하여 클램프(103)에 의한 가압을 행하고, 센서(145, 146)에 의해 지폐 다발(B)의 높이를 검출한다(도 7a 내지 도 7d 참조). 스테핑 모터인 모터(140)의 구동은 CPU(361)가 모터 구동부(365)에, 회전 방향 및 펄스를 가하는 수(스텝 수)를 지정하여 그 구동을 지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다른 스테핑 모터라도 마찬가지이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104, the carrier 341 moves to the exchange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at the time of carrying the banknote bundle B to the separator part 310, and the pusher 313 and the stage 312 move to the upper position, respectively. Let's do it. In the subsequent step 105, as shown in FIG. 4, the motor 140 is driven to pressurize the clamp 103, and the height of the bill bundle B is detected by the sensors 145 and 146 (FIG. 7a to 7d). The driving of the motor 140, which is a stepping motor, is made by the CPU 361 designa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step number) of applying a pulse to the motor driving unit 365 and instructing the driving thereof. The same applies to other stepping motors.

다음에 이행하는 단계 105a에서는, 그 높이가 허용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지폐 다발(B)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 경우,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을 위해 클램프(10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센서(145)는 광을 투과하는 상태로부터 차광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그 이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지폐 다발(B)의 높이는 허용 범위 내가 아니라고 하여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8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06으로 이행한다. In the next step 105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When the banknote bundle B is at an acceptable height, as shown in Figs. 7A to 7C, the sensor 145 is shielded from the state of transmitting light while the clamp 103 is moved downward for pressurization. The state shifts to For this reason, when the transition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a judgment turns into NO that the height of banknote bundle B is not in an allowable range, and it transfers to step 108.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06.

단계 106에서는, 훅(105)을 후퇴시킨 후, 반송 벨트(106, 123) 및 트레이(104)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지폐 다발(B)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를 체크하기 위한 반송을 행한다. 그 반송은 센서(111)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나서 허 용 범위의 최대 길이만큼 행한다. 그 반송을 할 때, 사행 체크를 위해, 센서(109b, 109c)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하지 않게 되는 시간차를 잰 사행량(θ)의 산출도 아울러 이루어진다(도 9). 훅(105)의 후퇴는 CPU(361)가 솔레노이드 구동부(367)에 지시하여, 그 후퇴용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다른 솔레노이드라도 마찬가지이다. 시간을 재는 것은 예컨대 탑재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한다. 실제의 반송량은 인코더(107)의 센서(107b)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확인한다.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길이 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102에서 이루어지고 있다.In step 106, after the hook 105 is retracte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veyance belts 106 and 123 and the tray 104, respectively, and the conveyance for checking the length of the banknote bundle B in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formed. The conveyance is performed by the maximum length of the allowable range after the sensor 111 detects the bill bundle B. FIG. When the conveyance is carried out, the meandering amount θ obtained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at which the sensors 109b and 109c do not detect the banknote bundle B is also performed for meandering check (FIG. 9). The retraction of the hook 105 is performed by the CPU 361 instructing the solenoid drive unit 367 to drive the resolving solenoid. This is true for other solenoids. The timing is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built-in timer. The actual conveyance amount is confirmed by monito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107b of the encoder 107. The length check of the banknote bundle 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formed in step 102 as mentioned above.

단계 106에 계속되는 단계 107에서는, 지폐 다발(B)이 정상, 즉 지폐 다발(B)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사행량(θ)이 모두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들이 모두 허용 범위 내인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10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즉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사행량(θ)의 적어도 한 쪽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08로 이행한다. In step 107 subsequent to step 1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nknote bundle B is normal, that is, whether the length and the meandering amount θ of the short length direction of the banknote bundle B are all within the allowable range. If they are all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judgment is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10; otherwise, the judgment is NO if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meandering amount θ in the shorter longitudinal direction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8.

단계 108에서는, 클램프(103)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그 가압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해제 후에는 단계 109로 이행하여 지폐 다발(B)이 빼내어지는 것을 기다린다. 센서(109a∼109d) 모두 지폐 다발(B)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지폐 다발(B)은 빼내어졌다고 하여, 그 취지를 CPU(361)로부터 CPU(261), 또 CPU(261)으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한 후,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In step 108, the tray 104 is moved to the delivery position while the clamp 103 is pressurized, and then the pressurized state is released. After the release, the flow proceeds to step 109 to wait for the banknote bundle B to be withdrawn. When all of the sensors 109a to 109d are not detecting the bill bundle B, it is assumed that the bill bundle B has been removed from the CPU 361 and from the CPU 261 and the CPU 261. After notifying the ATM body, the series of processing ends.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일정 시간 기다려도 지폐 다발(B)이 계속하여 검 출되고 있는 경우, 그 지폐 다발(B)은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렸다고 하여, 내부에 받아들이는 리젝트 박스(353)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림으로써 ATM을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Although not particularly shown, when the bill bundle B is still detected even after waiting for a certain time, the bill bundle B is stored in the reject box 353 to be accommodated therein because the customer forgot to take it. I'm trying to. This prevents the ATM from becoming unusable by forgetting what the customer takes.

단계 107의 판정이 YES가 되어 이행하는 단계 110에서는,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까지 반송하기 위한 받아들이기 처리를 실행한다. 그 받아들이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지폐 다발(B)은 스테이지(312) 상으로 반송된다. 단계 110a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 In step 110 where the determination of step 107 becomes YES and proceeds, an acceptance process for conveying the banknote bundle B to the separator unit 310 is executed. By executing the acceptance process, the banknote bundle B is conveyed onto the stage 312. Step 110a then proceeds.

여기서, 그 받아들이기 처리에 관해서 도 11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받아들이기 처리의 실행 시작시에, 지폐 다발(B)의 전면측의 끝은 센서(111)가 지폐를 검출하는 위치(도 2 참조)보다도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Here, the recep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At the start of execution of the acceptance process, the tip of the front side of the bill bundle B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sensor 111 detects the bill (see Fig. 2).

우선, 단계 201에서는, A스토퍼(113)를 돌출시킨다. 다음 단계 202에서는, 클램프(103)를 도 2에 도시된 상단 위치로 이동시켜 후퇴시킨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145, 146)가 출력하는 신호를 감시하여 모터(140)에 펄스를 가한 스텝 수를 카운트한다. 그 후에는 단계 203으로 이행하여 카운트한 스텝 수로부터 클램프(103)의 후퇴량을 구하고, 그 구한 후퇴량을 상단 위치의 클램프(103)와 트레이(104) 사이의 높이에서 감산함으로써, 삽입된 지폐 다발(B)의 높이를 산출한다. 단계 204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First, in step 201, the A stopper 113 is projected. In the next step 202, the clamp 103 is moved back to the upper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s 145 and 146 is monitored to count the number of steps of applying a pulse to the motor 140.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3 to determine the retreat amount of the clamp 103 from the counted number of steps, and the calculated retreat amount is subtracted from the height between the clamp 103 and the tray 104 in the upper position, thereby inserting the inserted banknote. The height of the bundle B is calculated. Step 204 then proceeds.

단계 204에서는, 지폐 다발(B)이 추가 입금에 의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 정한다. 그 지폐 다발(B)이 추가 입금을 요구한 고객에 의해 삽입된 경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205로 이행하고, 현재의 거래 중에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의 높이의 누산치를 산출한다. 그 산출은 단계 203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지폐 다발(B)마다 산출되는 높이를 합계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206으로는 그 후에 이행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207로 이행한다. 그 단계 207로 이행하는 것은 도 10의 단계 106에서 클램프(103)에 의해 지폐 다발(B)을 압박시켰을 때, 센서(145, 146)의 출력 신호에 의해 그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step 2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nknote bundle B has been inserted by further deposit. When the banknote bundle B is inserted by the customer who requested additional deposit, the judgment is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05, where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by the customer during the current transaction is calculated. .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y adding up the heights calculated for each bill bundle B by performing the processing in step 203. Step 206 is then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not, the determination is NO,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07. Transitioning to the step 207 can accept the banknote bundle B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sensors 145 and 146 when the banknote bundle B is pressed by the clamp 103 in step 106 of FIG. This is because you can check whether the height is.

단계 206에서는, 산출한 누산치가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누산치가 미리 정한 상한치를 넘었을 경우, 판정은 NO가 되고, 여기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207로 이행한다.In step 2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accumulated valu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If the accumulated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judgment is NO, and the series of processing ends here.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07.

고객이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환하여야 할 지폐는 1회로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폐 다발(B)로 반송하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1회에 반송할 수 있는 지폐 다발(B)의 높이에는 상한이 있다. 추가 입금에서는, 추가 입금 후의 반환을 행할 수 있도록, 고객이 이미 삽입한 지폐 다발(B)을 고려하여 지폐 다발(B) 전체적으로 누산한 높이가 그 상한을 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지폐 다발(B) 전체적으로 누산한 높이를 구하여, 그 높이가 상한을 넘으면 고객이 새롭게 삽입한 지폐 다발(B)은 내부에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그 높이를 원인으로 하는 잼 등의 장해의 발생은 미연에,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상한은 한번에 거래할 수 있는 금액을 제한한다는 다른 이유의 것이라도 좋다.In order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forgetting to take it, it is desirable to return the bill to be returned once. However, since there exists a part conveyed by banknote bundle B, there is an upper limit to the height of banknote bundle B which can be conveyed at once. In the additional deposit, in order to be able to return after the additional deposit, it is necessary that the height accumulated in the whole bill bundle B in consideration of the bill bundle B already inserted by the customer does not exceed the upper limit. In this regard, the accumulated height of the whole bill bundle B is obtained, and when the height exceeds the upper limit, the bill bundle B newly inserted by the customer is not accepted inside.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an obstacle such as a jam due to the heigh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reliably. The upper limit may be for other reasons, limiting the amount of money that can be traded at one time.

그런데, 세퍼레이터부(310) 내의 지폐를 전부 조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지폐를 조출할 수 없는 경우, 조출할 수 없는 지폐는 세퍼레이터부(310)에 잔류하게 된다. 그 잔류 지폐는 고객의 요구에 상관없이 반환하도록 하고 있다. 추가 입금의 요구시에는 리저버부 내에 지폐가 존재하고 있으면 그것과 함께 반환하고 있다.By the way, not all the bank notes in the separator part 310 can be taken out. When all banknotes cannot be drawn out, the banknotes which cannot be taken out remain in the separator part 310. The remaining bills are to be returned regardless of the customer's request. If additional deposit is required, banknotes are returned in the reservoir unit together with them.

그러한 반환을 행하면, 상부 유닛(300) 내에 받아들이고 있는 지폐의 수는 적어지고, 지폐 전체의 높이는 단계 203에서 산출한 높이, 또는 단계 205에서 산출한 누산치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잔류하는 지폐나 리저버부에 수납되는 지폐의 수는 모두 적다고 하여, 그러한 지폐에 의한 높이, 또는 누산치의 변화분은 무시하고 있다.If such a return is made, the number of bills received in the upper unit 300 is small, and the height of the whole bill is not equal to the height calculated in step 203 or the accumulated value calculated in step 205.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umber of banknotes remaining in the remaining banknote or the reservoir part is small, the change in the height or accumulated value due to such banknotes is ignored.

단계 207에서는,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 즉 지폐 다발(B)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이동 후에는 단계 208로 이행하여 훅(105)을 돌출시킨다. 훅(105)은 그 후퇴용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종료시킴으로써 돌출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A스토퍼(113)의 돌출은 CPU(361)가 솔레노이드 구동부(367)에 지시하여 그 돌출용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In step 207, the tray 104 is moved rearward in view of the delivery position, that i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bill bundle B. FIG. After the movement, the flow advances to step 208 to protrude the hook 105. The hook 105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protruding state by terminating the drive of the retracting solenoid. The protrusion of the A stopper 113 is performed by the CPU 361 instructing the solenoid drive unit 367 to drive the protrusion solenoid.

단계 208에 계속되는 단계 209에서는, A스토퍼(113)를 후퇴시킨 후, 훅(105)이 돌출한 상태의 트레이(104)를 릴리스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 릴리스 위치란 트레이(104)의 이동 가능 범위 안에서 가장 후면측의 위치이다. 그 릴리스 위치로의 이동은 센서(112)의 출력 신호를 감시하여 행한다.In step 209 following step 208, after the A stopper 113 is retracted, the tray 104 with the hook 105 protruding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The release position is the position at the rearmost side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tray 104. The movement to the release position is performed by monito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112.

단계 209에 계속되는 단계 210에서는, 모터(140)를 구동하여 클램프(103)에 의한 가압을 행한다. 그 가압 후에는 반송 벨트(106, 123)에 동력을 전달하여 지폐 다발(B)을 미리 정한 거리만큼 반송하고(S211), 그 반송 후에는 D 스토퍼(114)를 돌출시킨다(S212). 그와 같이 하여, 지폐 다발(B)을 세퍼레이터부(310)의 스테이지(312) 상으로 반송한 후,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210 following step 209, the motor 140 is driven to pressurize by the clamp 103. After the pressurizat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veyance belts 106 and 123 to convey the bill bundle 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11), and after the conveyance, the D stopper 114 is projected (S212). Thus, after conveying the banknote bundle B on the stage 312 of the separator part 310, a series of processes are complete | finished.

도 10의 단계 110a 이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after step 110a in FIG. 10.

단계 110a에서는, 지폐 다발(B)의 세퍼레이터부(310)로의 받아들이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의 높이의 누산치가 상한을 넘지 않은 경우, 도 11의 단계 206의 판정이 YES가 되어 그 받아들이기가 행해진다. 이것으로부터, 판정은 YES가 되어 단계 111로 이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은 NO가 되어 단계 122로 이행한다.In step 110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ceptance of the bill bundle B into the separator unit 31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height of the banknote bundle B does not exceed the upper limit, the determination in step 206 of FIG. 11 is YES, and the acceptance is performed. From this, the judgment is Y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11. If not, the determination goes to NO and proceeds to step 122.

단계 122에서는, 클램프(103)에 의해 지폐 다발(B)을 가압한다. 다음 단계 123에서는, 반송 벨트(106, 123) 및 트레이(104)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트레이(104)를 딜리버리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킴으로써, 고객이 새롭게 삽입한 지폐 다발(B)을 반환한다. 그 반환 후에는 단계 119로 이행한다.In step 122, the bill 103 is pressed by the clamp 103. In the next step 123, the bundle of bills B newly inserted by the customer is transferred by transferring power to the conveyance belts 106 and 123 and the tray 104, respectively, to move the tray 104 to the delivery position (see FIG. 2). Returns. After the return, the flow proceeds to step 119.

단계 111에서는, 스테이지(312)를 하단까지 하강시킨 후, 지폐 다발(B)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가압 위치)까지 푸셔(313)를 하강시킨다. 다음 단계 112에서는, 캐리어(341)를 에스크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조출한 지폐의 수납을 위해, 일시 보류부(330)의 각 스테이지(331, 332)를 이동시켜(S113), DC 모터(372)를 회전시킨다(S114). 푸셔(313)에 의한 가압은 예컨대 지폐 다발(B)에 적절한 압력을 가했을 때에 위치하는 픽 롤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을 감시하여, 그 센서가 픽 롤러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량 더 하강시킴으로써 행하고 있다.In step 111, the stage 312 is lowered to the lower end, and then the pusher 313 is lowered to a position (pressure position) to which a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ill bundle B. FIG. In the next step 112, the carrier 341 is moved to the escrow retracted position. After that, the stages 331 and 332 of the temporary holding part 330 are moved (S113) to rotate the DC motor 372 for storing the bills drawn out from the separator part 310 (S114). Pressurization by the pusher 313 is performed by monitoring the output of a sensor for detecting a pick roller positioned when a suitabl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ill bundle B, for example, by lowering the sensor by a predetermined amount after detecting the pick roller. have.

모터(372)의 회전을 시작하게 한 후에는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의 지폐의 조출이 완료될 때까지, 세퍼레이터부(310)로부터 지폐를 1장씩 순차 조출하여 일시 보류부(330)에 반송한다(S115, S116). 이에 따라, 고객이 삽입한 지폐는 리저버부 또는 에스크로부에 수납된다.After start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372, the bank notes are sequentially drawn one by one from the separator section 310 until the dispensing of the bank notes from the separator section 310 is completed, and then conveyed to the temporary holding section 330. (S115, S116). Accordingly, the banknote inserted by the custom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or the escrow portion.

지폐의 조출은 조출 기구(311)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행하고, 지폐의 수납처는 조출된 지폐를 감별부(320)에서 감별함으로써 결정한다. 정상권이라고 판별한 지폐는 돈 종별마다 그 수를 카운트한다. 지폐의 조출 중에도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푸셔(313)는 간헐적으로 하강시키고 있다.The delivery of the banknote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feeding mechanism 311, and the destination of the banknote is determined by discriminating the drawn banknote by the discriminating unit 320. Banknotes determined to be normal are counted by the number of money. The pusher 313 intermittently lowers in order to apply an appropriate pressure even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banknote.

세퍼레이터부(310)에 반송한 지폐의 조출의 완료, 즉 조출 가능한 지폐를 전부 조출하여 일시 보류부에 수납하면, 단계 116의 판정이 YES가 되어 단계 117로 이행하여, DC 모터(372)를 정지시킨다. 이어지는 단계 118에서는, 푸셔(313), 스테이지(312)를 각각 상단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키고, 하부 유닛(200)의 CPU(261)에는 조출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나 고객이 삽입한 지폐 다발(B)의 금액(입금액)을 통지한다. 이들 정보는 CPU(261)로부터 ATM 본체에 통지된다. 통지하는 입금액은 거래 내용에 상당한다. When the dispensing of the banknotes conveyed to the separator unit 310 is completed, that is, all of the extractable banknotes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temporary holding unit, the judgment in step 116 becomes YES,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7 to stop the DC motor 372. Let's do it. In a subsequent step 118, the pusher 313 and the stage 312 are moved to the upper position (see FIG. 2), respectively, and the CPU 261 of the lowe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notice that the dispensing is completed or a bundle of bills inserted by the customer The amount of money (receipt amount) of (B) is notified. These information are notified from the CPU 261 to the ATM main body. The deposit amount to be notified corresponds to the transaction contents.

그 통지에 의해, ATM 본체는 고객에 대하여, 거래(입금 거래)를 행할지의 여부, 추가 입금의 유무 등의 조회를 행한다. 하부 유닛(200)에는 그 조회 결과에 따른 지시를 한다.By the notification, the ATM main body inquires whether or not to conduct a transaction (deposit transaction), whether or not additional deposit is made to the customer. The lower unit 200 is instructed according to the inquiry result.

단계 118에 이어지는 단계 119에서는, CPU(261)는 ATM 본체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려, 그 지시 내용을 판정한다. 고객이 추가 입금을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그 추가 입금을 지시한 경우, 그 취지가 판정되어 상기 단계 101로 되돌아가 새롭게 삽입되는 지폐 다발(B)에 대비한다. 거래의 취소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지폐의 반환을 지시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판정되어 단계 120으로 이행한다. 거래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판정되어 단계 121로 이행한다.In step 119 subsequent to step 118, the CPU 261 waits for an instruction from the ATM main body and determines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 If the ATM body instructs the additional deposit by requesting the additional deposit, the effect is determin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01 to prepare for the newly inserted banknote bundle B. FIG. If the ATM main body instructs the return of the bill by requesting the cancellation of the transaction, the effect is determin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0. If the ATM body instructs the receipt of the banknotes accepted by the transaction, the effect is determine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121.

단계 120에서는, 받아들인 지폐를 반환하기 위한 반환 처리를 실행한다. 거래를 요구함으로써 ATM 본체가 받아들인 지폐의 수납을 지시한 경우에 이행하는 단계 121에서는, 받아들인 지폐를 지폐 카세트(210)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 후에 일련의 처리를 종료시킨다. In step 120, a return process for returning the accepted banknote is executed. In step 121, when the ATM main body instructs the receipt of the received bill by requesting a transaction, the storing process for storing the accepted bill in the bill cassette 210 is executed. After executing any one of these processes, the series of processes end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출구(101)에 삽입되는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 상의 위치를 가이드(151)에 의해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가이드(151)를 설치하더라도 길이 방향 상의 사이즈가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이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 즉, 가이드(151) 사이에 들어가도록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을 투입 출구(101)에 고객이 무리하게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지폐 다발(B)의 삽입은 장해 발생의 원인이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position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knote bundle B inserted into the injection | throwing-out outlet 101 is regulated by the guide 151. As shown in FIG. However, even if such a guide 151 is provid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banknote bundle B having an inappropriate siz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That is, a customer may forcibly insert the banknote bundle B which is not arranged so that it may enter between the guides 151 in the injection | pouring outlet 101. Insertion of such a banknote bundle B becomes a cause of obstacle occurrence.

그와 같은 장해의 발생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의 삽입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가이드(171)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위치에 존재하는 센서(109e, 109f)를 더 배치함으로써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가이드(171)는 레일(172)을 따라 그 간격을 좁히는 방향, 멀리 떼어놓는 방향의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이동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풀리(173, 174) 사이에 설치된 벨트(175)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원으로서는 예컨대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The occurrence of such an obstacle further moves the guides 171 from the positions restricting the insertion of the bill bundle B as shown in Fig. 12, while further disposing the sensors 109e and 109f at those positions. This can reliably prevent it. Each guide 171 can be moved along the rail 172 in both directions of narrowing the gap and away from the belt 175, and from the belt 175 provided between the pulleys 173 and 174 to realize the movement. It is designed to transmit power. As the power source, for example, a motor can be employed.

각 센서(109e, 109f)가 지폐 다발(B)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이 삽입되기 전에 가이드(151)가 존재하는 장소로 하게 한다. 이 때문에, 받아들이기 조건을 만족하는 지폐 다발(B)(도 8a 참조)이 삽입된 것을 검출하여 각 가이드(171)를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가이드(171) 사이에 들어가도록 길이 방향이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에서는, 그 안의 지폐 중 어느 하나가 지폐 다발(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게 된다. 이것에 따라, 센서(109e, 109f)의 어느 한쪽이 지폐 다발(B)을 검출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중지의 조건으로 하면, 길이 방향이 적절히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은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부적절한 지폐 다발(B)을 받아들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osition where each sensor 109e, 109f can detect banknote bundle B is made into the place where guide 151 exists before banknote bundle B is inserted, as shown in FIG. 13A. For this reason, when detecting that the banknote bundle B (refer FIG. 8A) which satisfy | fills a acceptance condition is inserted, and moving each guide 171 as shown in FIG. 13B, it will length so that it may enter between guides 171. FIG. In the banknote bundle B in which the direction is not arranged, any one of the banknotes in it protrudes by at least one side of the banknote bundle B by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is, if either of the sensors 109e and 109f is used as a condition to stop accepting the detection of the banknote bundle B,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re to accept the banknote bundle B which is not properly aligned. Can be prevent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receipt of the inappropriate banknote bundle B more reliably.

Claims (9)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I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paper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가압하여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A bundle conveying unit for pressing and conveying a paper bundle in which one or more sheets of paper are stacked by inserting from the outside;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Heigh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heigh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s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overlap each other;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of the paper bundle detected by the height detecting means satisfies a condition that the paper bundle is to be accep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the paper bundle is described. Conveying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Papers handling apparatus comprising a.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I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paper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져 삽입된 종이류 다발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Press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paper bundle is inserted by overlapping one or more sheets of paper from the outside,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종이류 다발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과,Heigh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paper sheet bundle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로 나누어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마다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새로 삽입되는 종이류 다발의 높이가 그 종이류 다발을 받아들여야 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높이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의 받아들이기를 중지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In the case where paper bundles to be handled integrally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paper bundles from the outside, the height of the newly inserted paper bundles should accept the paper bundles based on the height detected by the height detecting means for each paper bundle. The conveyance control means which stops accepting the said paper sheet bundle when it determines with the condition being satisfied and determines that this height does not satisfy the said condi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Papers handl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통합하여 취급해야 되는 종이류 다발이 복수 회로 나뉘어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마다 상기 높이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높이를 기초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The conveyanc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is satisfied on the basis of the height detected by the height detecting means for each paper bundle when the paper bundles to be integrated and handled are inserted into the outside from a plurality of circuits. Paper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 다발의 상기 높이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siz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size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aper-like bundle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The conveyanc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aper bundles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ance unit when the size of the paper bundle detected by the size detection means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I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paper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A bundle conveyance part which conveys the paper bundle which the said papers overlapped one or more sheets by the insertion from the said outside,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종이류가 겹쳐진 방향의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사이즈 검출 수단과,Siz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one or more sizes on the cross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s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overlap each other;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종이류 다발의 사이즈가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Conveyance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he paper bundle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when the size of the paper bundle detected by the size detecting means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Papers handl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수단Guide moving means for moving a guide defining a position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paper bundle inserted from the outside;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동 수단이 상기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종이류 다발로부터 멀리 떼어놓은 후, 상기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And the size detecting means can detect the size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paper bundle after the guide moving means moves the guide away from the paper bundle.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斜行量)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meandering amount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상기 반송 제어 수단은 상기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And said conveyance control means discharges said paper sheet bundle to said outside by said bundle conveyance part, when the meandering amount detected by said meandering amount detection means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외부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를 취급할 수 있는 종이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In the paper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paper inserted from the outside, 상기 종이류가 1장 이상 겹쳐진 종이류 다발을 상기 외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반송하는 다발 반송부와,A bundle conveyance part which conveys the paper bundle which the said papers overlapped one or more sheets by the insertion from the said outside,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종이류 다발의 사행량을 검출하는 사행량 검출 수단과,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meandering amount of the paper bundles conveyed by said bundle conveying unit; 상기 사행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사행량이 허용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 상기 종이류 다발을 상기 다발 반송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반송 제어 수단Conveying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the paper bundle to the outside by the bundle conveying unit when the meandering amount detected by the 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ans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Papers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가이드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수단Guide moving means for moving a guide defining a position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paper bundle inserted from the outside;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즈 검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이동 수단이 상기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종이류 다발로부터 멀리 떼어놓은 후, 상기 종이류 다발의 상기 교차 방향 상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취급 장치.And the size detecting means can detect the size on the cross direction of the paper bundle after the guide moving means moves the guide away from the paper bundle. .
KR1020067021193A 2004-03-15 2004-10-20 Sheet handler KR1008386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3609 2004-03-15
JP2004073609A JP2005259086A (en) 2004-03-15 2004-03-15 Paper sheet hand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980A KR20060131980A (en) 2006-12-20
KR100838605B1 true KR100838605B1 (en) 2008-06-16

Family

ID=3497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193A KR100838605B1 (en) 2004-03-15 2004-10-20 Sheet handl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07707A1 (en)
EP (1) EP1732044A4 (en)
JP (1) JP2005259086A (en)
KR (1) KR100838605B1 (en)
CN (1) CN1926586A (en)
WO (1) WO200508856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80B1 (en) 2011-08-3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lling cash and check into a cassette in cash and check in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442B2 (en) * 2004-03-15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Paper sheet bundle height detection method an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US7681707B2 (en) * 2006-04-14 2010-03-23 Tabachnik Bruce M Drawerless point of sal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146804B2 (en) *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JP5286984B2 (en) * 2008-07-03 2013-09-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knote processing machine and window transaction system using the same
JP5329259B2 (en) * 2009-02-25 2013-10-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KR101095407B1 (en) 2009-02-25 2011-12-16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aper handling device, paper receiving method and paper discharging method
JP5308216B2 (en) * 2009-04-06 2013-10-0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5555055B2 (en) * 2010-06-01 2014-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Cash processing equipment
DE102011000791B4 (en) * 2011-02-17 2022-1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with a stack merging unit
EP2680238A4 (en) * 2011-02-22 2015-04-08 Glory Kogyo Kk Money processing device, money processing system, money-conveying cassette, paper-currency-processing device, and paper-currency-processing method
JP5795990B2 (en) 2012-05-14 2015-10-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WO2014155645A1 (en) * 2013-03-29 2014-10-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US10504315B2 (en) * 2013-08-05 2019-12-10 Ncr Corporation Clamping of media items
CN105118143A (en) * 2015-08-04 2015-12-02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Paper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distinguishing paper money crown word numbers
JP2019061294A (en) * 2016-02-04 2019-04-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device
CN107016776A (en) * 2016-08-22 2017-08-04 苏州少士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Sorting type automatic bundling machine press-note mechanism
CN110310410A (en) * 2018-03-20 2019-10-08 光荣株式会社 Bank note treatme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592A (en) 1987-01-23 1988-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utomatic cash dealing machine
JPH01217692A (en) * 1988-02-26 1989-08-31 Laurel Bank Mach Co Ltd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ly feedable number in paper money receiving machine
JPH02112091A (en) * 1988-10-21 1990-04-24 Hitachi Ltd Foreign-matter detecting mechanism for paper money handling device
JPH07294205A (en) * 1994-04-27 1995-11-10 Kawashima Textile Manuf Ltd 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sheet or the like
JP2002197505A (en) *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its ejection factor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272A (en) * 1974-04-02 1976-01-13 Pitney-Bowes, Inc. Scan system
US4414730A (en) * 1980-09-22 1983-11-1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f banded paper sheet bundles and a processing machine therefor
US4478400A (en) * 1982-05-19 1984-10-23 Suburban Duplicator Repair, Inc. Envelope feeder for a duplicating press
JPH01177188A (en) * 1988-01-06 1989-07-13 Hitachi Ltd Abnormal bill detecting device for money input and output port
JP2771984B2 (en) * 1988-03-29 1998-07-02 株式会社東芝 Article processing equipment
JP2746996B2 (en) * 1989-03-31 1998-05-06 株式会社東芝 Paper sheet bundle processing device
US5467406A (en) * 1990-02-05 1995-11-14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cy discrimination
US5917930A (en) * 1996-07-31 1999-06-29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US6502052B1 (en) * 1998-02-19 2002-12-31 Kabushiki Kaisha Toshiba Note bundle managing apparatus to store and count note bundles
JP4301610B2 (en) * 1998-11-30 2009-07-22 株式会社東芝 Automatic ticket gate
JP3846695B2 (en) * 2001-07-30 2006-11-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592A (en) 1987-01-23 1988-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utomatic cash dealing machine
JPH01217692A (en) * 1988-02-26 1989-08-31 Laurel Bank Mach Co Ltd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ly feedable number in paper money receiving machine
JPH02112091A (en) * 1988-10-21 1990-04-24 Hitachi Ltd Foreign-matter detecting mechanism for paper money handling device
JPH07294205A (en) * 1994-04-27 1995-11-10 Kawashima Textile Manuf Ltd 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sheet or the like
JP2002197505A (en) *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its ejection factor display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80B1 (en) 2011-08-30 2012-09-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lling cash and check into a cassette in cash and check in module
US8702095B2 (en) 2011-08-30 2014-04-22 Nautilus Hyosung Inc. Apparatus for pulling bills and checks in bundle bill and check ac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2044A1 (en) 2006-12-13
JP2005259086A (en) 2005-09-22
KR20060131980A (en) 2006-12-20
WO2005088564A1 (en) 2005-09-22
US20070007707A1 (en) 2007-01-11
CN1926586A (en) 2007-03-07
EP1732044A4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605B1 (en) Sheet handler
EP2706028B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and paper sheet conveying apparatus
US9508231B2 (en) Banknote pay-in/pay-out device and banknote transaction device
US7537214B2 (en) Method for detecting height of paper bundle and paper handling device
JP2011243082A (en) Paper sheet management apparatus and paper sheet management method
JP5547702B2 (en) Bill front / back alignment apparatus and bill front / back alignment method
JP2016218965A (en) Bill handling device
JP2007210718A (en) Paper handling device and its maintenance system
KR100832050B1 (en) Device for handling paper sheets or the like,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and device for conveying paper sheets or the like
KR102361651B1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JP4619739B2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JP2532668B2 (en) Deposit / withdrawal device
JP2019016047A (en) Paper processing apparatus
JP5190633B2 (en) Reflux banknote processing equipment
JP5101153B2 (en) Banknote dispensing device
JP4608814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H08147530A (en) Paper money batch pay-out device
JPH0319009Y2 (en)
JP457181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2001331842A (en) Paper money handling machine and its method for extracting paper money
JPS6382241A (en) Bank note cashi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