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955A -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955A
KR20000033955A KR1019980051039A KR19980051039A KR20000033955A KR 20000033955 A KR20000033955 A KR 20000033955A KR 1019980051039 A KR1019980051039 A KR 1019980051039A KR 19980051039 A KR19980051039 A KR 19980051039A KR 20000033955 A KR20000033955 A KR 2000003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input
r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740B1 (ko
Inventor
김효중
정철형
고정훈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7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04J3/085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for ring networks, e.g. SDH/SONET rings, self-healing rings, meashed SDH/SON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synchronous transmission, e.g. time division multiplex [TDM], slott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10Gb/s의 입력신호를 5Gb/s의 신호로 분기하는 4개의 역다중화기와, 각각 상기 역다중화기에서 분기된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5Gb/s의 보호대역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운영대역과 보호대역이 1/2씩 포함되는 2.5Gb/s의 4개의 신호로 분기하는 4개의 스위치와, 그 스위치의 2.5Gb/s의 제 1, 제 2입력신호와 하위망의 입력신호 2.5Gb/s신호를 입력받아 분기/결합/링 절체하는 8개의 분기/결합/링절체기와, 그 분기/결합/링절체기의 2.5Gb/s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5Gb/s의 보호대역신호로 다중화 경로를 설정하는 다른 4개의 스위치와, 그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운용대역과 보호대역신호들을 각기 10Gb/s로 다중화시켜 출력하는 4개의 다중화기로 구성되며, 입출력용량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와 링 절체기를 증가된 용량만큼 확장하고 역다중화기와 다중화기는 각각의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변경시켜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역다중화기, 다중화기, 다단의 스위치와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를 이용하여 신호의 용량이 증가하여도 단순히 장치의 수를 늘려서, 분기/결합/링절체를 제공할 수 있는 BLSR-4를 위한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를 제공할 수있게 된다.

Description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탈 계층(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전송장치 중 4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4 Fiber 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 : 이하 BLSR-4라 함.)형 분기/결합 다중 장치(Add-drop multiplexer : 이하 ADM이라 함.)에 사용하여 신호의 분기(Drop), 결합(Add), 링 절체(Ring switch) 및 통과(Through)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Add / Drop / Ring switch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기/결합/통과/링절체의 경로의 설정이 자유롭고, 경로설정을 위한 제어가 간편하고, 장치에 입력되는 용량이 증가해도 장치의 재설계 없이 확장이 가능한 BLSR-4를 위한 분기/결합/링절체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는 대용량의 신호를 노드(어떤 전송장치)에서 노드(다른 전송장치)로 연결된 전송망을 이용하여 오류 없이 전송하고 복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이다.
2개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전송망에서는 대용량의 신호중 자기 노드로 전송된 신호만을 뽑아내고(분기, Drop), 나머지 신호는 통과(Through)시키는 기능, 자기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송신해야 할 신호를 전송되는 신호의 빈곳에 실어주는(결합, Add)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망의 장애시에도 전송신호의 손실 없이 전송이 가능한 복구기능(링 절체, Ring switch)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결합/분기 다중장치(ADM)라 하며,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는 대용량의 전송장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가되는 기술로서 망의 노드인 전송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중 일부를 분기 시키거나, 노드의 종속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송신호에 결합하는 기능을 주로하며, 선로장애시 전송신호의 복구를 위한 링절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는 종래의 2선형 링망 (BLSR-2 : 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 with 2 fibers)에 사용되는 분기/결합/링절체기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west)과 제 2(east)의 입력과 출력의 선택 및 결합/분기의 선택제어를 하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와, 그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 입력을 선택하는 제 1, 제 2 링절체부(1),(5)와, 출력을 선택하는 제 1, 제 2 결합통과 선택부(4),(2)와, 하위망 입력신호(tributary_in)의 제 1 또는 제 2출력으로의 결합 통과를 선택하는 결합제어부(6)와, 제 1 또는 제 2 링절체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하위망 출력으로 출력하는 분기 제어부(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에는 제 1(west) 링절체부(1)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제 1입력(west_in)신호와 제 1 결합/통과선택부(4)의 출력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2(east) 결합/통과제어부(2) 및 분기제어부(3)로 출력한다.
상기 제 2 결합/통과 선택부(2)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결합제어부(6)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 1 링절체부(1)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이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2 링절체부(5) 및 제 2출력(east_out)으로 출력한다. 분기제어부(3)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제 2링절체부(5)의 출력신호 및 제 1링절체부(1)의 출력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하위망 출력신호(tributary_out)로 출력한다. 제 1 결합/통과 선택부(4)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결합제어부(6)의 출력신호와 제 2 링절체부(5)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이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1 링절체부(1) 및 제 1 출력(west_out)으로 출력한다. 제 2 링절체부(5)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제 2입력(east_in)신호와 제 2 결합/통과선택부(2)의 출력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1 결합/통과 선택부(4) 및 분기제어부(3)로 출력한다. 결합제어부(6)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의 제어를 받아서, 하위망 입력(tributary_in)신호를 제 1 결합/통과 선택부(4), 또는 제 2 결합/통과 선택부(2)로 출력한다. 프로세서 인터페이스(7)는 외부제어신호를 받아서, 제 1 링절체, 제 1 결합/통과선택, 분기제어, 제 2 결합/통과선택, 제 2 링절체, 결합제어등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2선형 링망에서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모든 기능블럭을 별도의 제어신호로 제어하여야 하므로 신호의 제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도 관련된 블럭을 모두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히, 임의의 경로 설정이 불가능하여 외부에 별도의 서킷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야 완전한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단의 스위치 블럭을 적용하여 4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형 망을 제공하여 용량 확장성을 가질수 있도록 한 BLSR-4를 위한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입력신호(west_in)와 제 2입력신호(east_in) 각각의 10Gb/s의 운용대역신호와 10Gb/s의 보호대역신호를 각기 입력받아 5Gb/s의 신호 2개로 분기시키는 제 1 - 제 4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기에서 분기된 제 1입력신호의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 제 2입력신호의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운용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가 각기 1/2씩 포함되는 2.5Gb/s 용량으로 분기시키는 제 1 - 제 4 스위치와; 상기 제 1 - 제 4 스위치에서 분기된 2.5Gb/s의 제 1, 제 2입력신호와 하위망의 입력신호(tributary_in)를 입력받아 제 1, 제 2출력과 하위망출력으로 분기/결합 링 절체하는 제 1 - 제 8 분기/결합/링 절체기와; 상기 제 1 - 제 8 분기/결합/링 절체기에서 절체된 제 1 제 2 출력 4개씩을 입력받아 각기 2개의 5Gb/s의 출력으로 경로를 재설정하는 제 5 - 제 8스위치와; 그 제 5 - 제 8스위치의 5Gb/s의 출력을 제 1, 제 2 출력별로 각기 2개씩을 입력받아 10Gb/s의 출력하는 제 1 - 제 4다중화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 제 4 스위치에서 분기되는 2.5Gb/s의 신호중 1/2은 운용대역신호이고, 나머지 1/2은 보호대역신호로서 처리 되며, 두개의 하위망 입력신호는 버스를 통해 입력되어 각기 상기 제 1 - 제 4 분기/결합/링 절체기와 제 5 - 제 8분기/결합/링 절체기에 2.5Gb/s씩 입력되며, 상기 제 1 - 제 4 분기/결합/링 절체기 및 제 5 - 제 8 분기/결합/링 절체기의 하위망 출력신호는 각각의 버스를 통해 두개의 하위망 출력신호(triutary_out)로서 출력된다.
도 1은 종래의 2선형 링망(BLSR-2 : 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 with 2 fibers)에 사용되는 분기/결합/링절체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4선형 링망 (BLSR-4)에 사용되는 분기/결합/링절체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4 : 제 1-제 4 역다중화기
21-24,41-44 : 제 1-제 8 스위치
31-38 : 제 1-제 8분기/결합/링 절체 제어기
51-54 : 제 1-제 4다중화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BLSR-4를 위한 분기/결합 링절체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링절체 제어기는 10Gb/s의 입력신호를 5Gb/s의 신호로 분기하는 제 1 - 제 4역다중화기(11 - 14)와, 각각 상기 역다중화기에서 분기된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5Gb/s의 보호대역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운영대역과 보호대역이 1/2씩 포함되는 2.5Gb/s의 4개의 신호로 분기하는 제 1 - 제 4스위치(21 - 24)와, 그 제 1 - 제 4스위치의 2.5Gb/s의 제 1, 제 2입력신호와 하위망의 입력신호 2.5Gb/s신호를 입력받아 분기/결합/링 절체하는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와, 그 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의 2.5Gb/s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5Gb/s의 보호대역신호로 다중화 경로를 설정하는 제 5 - 제 8스위치(41 - 44)와, 그 제 5 - 제 8 스위치(41 - 44)의 출력신호를 운용대역과 보호대역신호들을 각기 10Gb/s로 다중화시켜 출력하는 제 1 - 제 4다중화기(51 - 5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접속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나, 본 발명의 촛점을 강조하는 것과 무관하므로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선은 운용대역(working band)신호, 점선은 예비대역(protection band)신호를 나타낸다.
링형의 망에 한 노드를 차지하는 본 발명의 링 절체 제어기는 양방향 전송을 지원하는데, 일측(west)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 1입력신호(WEST_IN), 타측(east)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 2입력신호(EAST_IN)라 하고, 마찬가지로 일측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제 1출력신호(WEST_OUT), 타측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 2출력신호(EAST_OUT)라 하며, 하위망과의 접속에 의한 하위망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위망 입력신호(TRIBUTARY_IN) 및 하위망으로 출력되는 하위망 출력신호(TRIBUTARY_OUT)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입력/출력과, 제 2입력/출력은 각각 2선의 광섬유로 망 내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2선중 1선은 운용대역의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다른 1선은 운용대역선로의 장애시를 대비한 보호대역 신호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각 선의 전송용량은 10Gb/s 이다. 한편, 상기 하위망 입력신호(TRIBUTARY_IN), 및 하위망 출력신호(TRIBUTARY_OUT)는 가용대역이 모두 운용대역으로 사용되며, 별도의 예비대역(보호대역)은 없다.
본 장치로 입력된 신호는 제 1 - 제 4 역다중화장치(11 - 14)를 거쳐서 5Gb/s의 신호 2개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운용대역 5Gb/s와 보호대역 5Gb/s는 10Gb/s의 용량을 처리하는 제 1 - 제 4스위치(21 - 24)로 입력된다. 이 제 1 - 제 4스위치(21 - 24)는 다시 2.5Gb/s의 용량으로 분기되어, 7.5Gb/s용량을 처리하는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로 입력된다.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는 제 1입(력WEST_IN), 제 2입력(EAST_IN), 하위망입력(TRIBUTARY_IN)으로 부터 2.5Gb/s 용량씩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받으며, 이 2.5Gb/s의 신호의 1/2은 운용대역신호이며, 나머지 1/2는 보호대역신호이다.
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를 거친 신호는 다시 10Gb/s용량을 처리하는 제 5 - 제 8스위치(41 - 44)로 입력되어 출력 경로를 재설정한 후, 다중화기로 입력된다. 다중화기로 입력된신호는 10Gb/s용량의 신호로 다중화된 후 광선로를 통하여 망내의 다른 노드로 출력된다.
운용대역 10Gb/s 제 1입력(WEST_IN)신호는 제 1역다중화기(11)로 입력되고, 역다중화된 후, 하나의 5Gb/s신호는 10Gb/s의 제 1스위치(21)로, 나머지 5Gb/s신호는 10Gb/s의 제 3스위치(23)로 출력된다. 운용대역 10Gb/s 재2입력(EAST_IN)신호는 제 2역다중화기(12)로 입력되고, 역다중화된 후 제 2역다중화기(22)로 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5Gb/s신호는 10Gb/s 제 2스위치(22)로, 나머지 5Gb/s신호는 10Gb/s 제 4스위치(24)로 출력된다.
보호대역 10Gb/s 제 1입력(WEST_IN)신호는 제 3역다중화기(13)로 입력되고, 역다중화된 후 제 3역다중화기(13)로 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5Gb/s신호는 10Gb/s 제 1스위치(21)로, 나머지 5Gb/s신호는 10Gb/s 제 3스위치(23)로 출력된다. 보호대역 10Gb/s 제 2입력(EAST_IN)신호는 제 4역다중화기(14)로 입력되고, 역다중화된 후 제 4역다중화기(14)로 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5Gb/s신호는 10Gb/s 제 2스위치(22)로, 나머지 5Gb/s신호는 10Gb/s 제 4스위치(24)로 출력된다.
따라서, 10Gb/s 제 1-제 4스위치(21 - 24)는 운용대역 5Gb/s와 보호대역 5Gb/s의 신호를 입력받아 10Gb/s용량의 입력신호를 VC3(Virtual Container; SDH계위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단위임)단위로 제어하여, 임의의 출력포트로 연결한 후 출력하는 10Gb/s용량의 VC3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이다. 이 10Gb/s 스위치의 역할은 각각 4개의 분기/결합/링절체기(31-34 또는 35-38)로 출력될 신호의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이다.
10Gb/s 제 1-제 4스위치(21 - 24)의 출력은 신호버스를 이용하여, 다시 2.5Gb/s의 용량으로 분기되어, 7.5Gb/s용량을 처리하는 제 1-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로 입력된다. 이때, 2.5Gb/s신호의 1/2는 운용대역신호이고, 나머지 1/2는 보호대역신호이다.
제 1스위치(21)의 4개의 2.5Gb/s 신호는 4개의 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의 제 1입력포트(W)로 입력되고, 제 2스위치(22)의 4개의 2.5Gb/s 신호는 4개의 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의 제 2입력포트(E)로 입력되며, 제 3스위치(23)와 제 4스위치(34)는 각기 제 5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5 - 38)의 제 1입력(W) 및 제 2입력(E)으로 각기 입력된다.
또한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는 하위망입력(TRIBUTARY_IN)으로 부터 2.5Gb/s 용량씩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받으며, 이 2.5Gb/s의 신호의 운용대역신호이다.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는 7.5Gb/s의 입력신호를 외부의 제어 (도 2에서는 생략되었음.)를 받아서, 입력신호(W, E)를 출력신호(T)로 분기하는 분기기능, 입력신호(T)를 출력신호(W, E)에 추가하는 결합기능,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W는 E로 출력, E는 W로 출력) 하는 통과기능, 2선로 중 1선로의 장애시에, 장애선로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던 신호를 비장애선로의 예비대역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가능토록 하는 절체기능(링절체)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를 거친 제 1,제 2신호(E, W)는 신호버스를 이용하여 10Gb/s용량을 처리하는 10Gb/s 제 5 - 제 8스위치(41 - 44)로 입력되며, 상기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31 - 38)를 거친 하위망신호(T)는 신호버스를 이용하여 하부망 출력신호(TRIBUTARY_OUT)로서 출력된다.
상기 제 1 - 제 4분기/결합/링절체기(31 -34)의 제 1, 제 2출력신호(W),(E)는 신호버스를 통하여 각기 10Gb/s 제 5, 제 6스위치(41, 42)로 입력되고, 제 5 - 제 8 분기/결합/링절체기(35 - 38)의 제 1, 제 2출력신호(W),(E)는 신호버스를 통하여 10Gb/s 제 7, 제 8스위치(43, 44)로 입력된다.
상기 10Gb/s 제 5 - 제 8스위치(41 - 44)로 입력된 신호는 4개의 제 1 - 제 4다중화기(51 - 54)로 출력될 신호의 경로를 VC3단위로 운용대역과 보호대역으로 구분하여 재설정한 후 제 1 - 제 4다중화기(51 - 54)로 출력한다. 즉, 제 1,제 2운용대역신호는 각기 제 1, 제 2다중화기(51, 52)로, 제 1, 제 2보호대역신호는 제 3, 제 4다중화기(53, 54)로 입력되어 각기 10Gb/s의 운영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로서 다중화되어 10Gb/s의 신호로 광선로를 통하여 망내의 다른 장치로 출력된다.
상기의 도 2는 일실시예로서 기본입출력 신호용량이 40Gb/s이나, 입출력용량이 40Gb/s의 2배인 80Gb/s가 되어도, 10Gb/s 스위치 및 분기/결합/링절체제어기를 2배로 늘리고, 역다중화를 1:2에서 1:4로 바꾸고, 다중화기를 2:1에서 4:1로 늘리면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용량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식 디지탈 전송 장치 중 4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BLSR-4)형 분기/결합 다중 장치(ADM)에 사용하여 신호의 분기(Drop), 결합(Add), 링 절체(Ring switch) 및 통과(Through)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결합/링절체 제어기로서, 분기/결합/통과/링절체의 경로의 설정이 자유롭고, 경로설정을 위한 제어가 간편하고, 특히, 장치에 입력되는 용량이 증가해도 장치의 재설계 없이 확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방향 선로 절체형 디지탈 전송장치에 있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입력신호(west_in)와 제 2입력신호(east_in) 각각의 10Gb/s의 운용대역신호와 10Gb/s의 보호대역신호를 각기 입력받아 5Gb/s의 신호 2개로 분기시키는 제 1 -제 4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기에서 분기된 제 1입력신호의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 제 2입력신호의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보호대역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2.5Gb/s 용량으로 분기시키는 제 1 - 제 4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서 분기된 2.5Gb/s의 제 1, 제 2입력신호와 하위망의 입력신호(tributary_in)를 입력받아 제 1, 제 2출력과 하위망 출력으로 분기/결합/링 절체/ 통과를 제어하는 제 1 - 제 8 분기/결합/링절체기와;
    상기 분기/결합/링절체기에서 절체된 제 1 제 2 출력을 입력받아 각기 2개의 5Gb/s의 출력으로 경로를 재설정하는 제 5 - 제 8 스위치와;
    그 스위치의 5Gb/s의 출력을 제 1, 제 2 출력별로 각기 2개씩을 입력받아 10Gb/s의 출력하는 제 1 - 제 4 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 절체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 제 4 스위치는
    각각 5Gb/s의 운용대역신호와, 5Gb/s의 보호대역신호를 입력받아 VC3단위로 제어하여, 임의의 출력포트로 연결한 후 출력하는 10Gb/s용량의 VC3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이고, 출력버스를 통해 4개의 2.5Gb/s의 신호로 분기시켜 출력하되, 각 2.5Gb/s 신호는 1/2은 운용대역신호이고, 나머지 1/2은 보호대역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 절체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 제 8분기/결합/링절체기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각기 2.5Gb/s의 제 1,제 2입력신호(W, E)와 신호버스를 통한 2.5Gb/s의 하위망 입력신호(T)를 입력받아, 7.5Gb/s의 입력신호를 외부의 제어에 의해서, 제 1, 제 2입력신호(W, E)를 출력신호(T)로 분기하는 분기기능, 하위망 입력신호(T)를 제 1, 제 2출력신호(W, E)에 추가하는 결합기능, 각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W는 E로 출력, E는 W로 출력) 하는 통과기능, 2선로 중 1선로의 장애시에 장애선로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던 신호를 비장애선로의 예비대역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가능토록 하는 절체기능(링절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 절체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 제 8스위치는,
    상기 제 1 - 제 4분기/결합/링 절체기에서 출력되는 제 1출력(W)과 제 2출력(E)을 각각 제 5, 제 6스위치가 입력받고, 상기 제 5 - 제 8분기/결합/링 절체기에서 출력되는 제 1출력(W)과 제 2출력(E)을 각각 제 7, 제 8스위치가 입력받고,
    제 5 - 제 8 스위치는, 입력된 신호의 출력경로를 VC3단위로 운용대역과 보호대역으로 구분하여 재설정한 후 제 1, 제 2운용대역신호는 각기 제 1, 제 2다중화기로, 제 1, 제 2보호대역신호는 제 3, 제 4다중화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 절체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입출력 신호용량이 n배로 증가되면, 상기 10Gb/s 제 1-제 4스위치 및 제 1-제 8분기/결합/링절체제어기를 각기 신호용량 증가에 따른 n배의 갯수로 증가시키고, 상기 역다중화기는 1:2 역다중화에서 1:2n 역다중화로, 상기 다중화기는 2:1다중화에서 2n:1다중화로 변경시켜 용량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 절체 제어시스템.
KR1019980051039A 1998-11-26 1998-11-26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KR10028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39A KR100281740B1 (ko) 1998-11-26 1998-11-26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39A KR100281740B1 (ko) 1998-11-26 1998-11-26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955A true KR20000033955A (ko) 2000-06-15
KR100281740B1 KR100281740B1 (ko) 2001-02-15

Family

ID=1955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039A KR100281740B1 (ko) 1998-11-26 1998-11-26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7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740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4606C (en) Ring network for sharing protection resource by working communication paths
US6983108B2 (en) Optical switching apparatus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JP293723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の障害回復方式、及び、光通信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5933258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7242861B2 (en) Optical path cross-connect and optical wavelength multiplexing diversity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3008260B2 (ja) 光伝送路のリングネットワーク通信構造とその構造用の再構成可能ノード
US67010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wavelength-division multiplex method in an optical ring network
AU74304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data in a ring network
JP3908225B2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双方向自己回復環状光通信網
JP2006191212A (ja) 光ノードおよび光分岐挿入装置
RU2394378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ллективной защиты группы оптических каналов
JP3586586B2 (ja) 光波リングシステム
JP4676657B2 (ja) 光アド・ドロップ多重化装置
JP3863134B2 (ja) 光回線分配システム
JP477755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ード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209087B2 (ja) 光アッド/ドロップ装置
KR100281740B1 (ko)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JP2000004460A (ja) 光通信ノードおよび光通信ネットワーク
CN115967465A (zh) 一种波分复用设备及光信号处理方法
US69225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channel switching in a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KR100277715B1 (ko) 디지탈 전송 시스템의 링절체 제어 장치
KR100256683B1 (ko)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JP2008259129A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を用いた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602889B1 (ko) 광섬유 경로의 가상 보호 방법 및 장치
WO2004084504A1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光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