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683B1 -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683B1
KR100256683B1 KR1019970063188A KR19970063188A KR100256683B1 KR 100256683 B1 KR100256683 B1 KR 100256683B1 KR 1019970063188 A KR1019970063188 A KR 1019970063188A KR 19970063188 A KR19970063188 A KR 19970063188A KR 100256683 B1 KR100256683 B1 KR 10025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lector
output
signal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385A (ko
Inventor
김효중
이유경
고정훈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6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7Error correction, e.g. fault recovery or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단국형, 선형 및 2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형의 망에 분기 및 결합 다중화 기능을 가지도록하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입력된 신호들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칭 수단과 제 1 내지 제 4 선택수단; 및 입력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식 디지탈 전송 장치의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하는 기술에 이용됨.

Description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탈 전송 장치의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만을 이용하여 분기 및 결합 다중화 기능을 가지도록하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는 대용량의 전송장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가되는 기술로서 망의 노드인 전송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분기 시키거나, 노드의 종속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송선에 결합하는 기능을 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는, 서쪽(WEST)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제 1 역다중화부(11)와, 동쪽(EAST)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제 2 역다중화부(12)와, 제 1 역다중화부(11)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전송 스위치부(13)와, 제 2 역다중화부(12)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전송 스위치부(14)와, 제 1 및 제 2 전송 스위치부(13, 14)를 각각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된 신호들을 선택하여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채널 스위치부(15)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 스위치부(16)와, 경로 스위치부(16)와 제 2 역다중화부(12)로부터 각각 전달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수신 스위치부(17)와, 경로 스위치부(16)와 제 1 역다중화부(11)로부터 각각 전달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수신 스위치부(18)와, 제 1 수신 스위치부(17)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한 제 1 다중화부(19)와, 제 2 수신 스위치부(19)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한 제 2 다중화부(20)와, 스위치(13∼18)들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부(21)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의 사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망의 신호를 하부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역다중화부(11)는 서쪽으로부터 입력되는 상부망의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다수의 채널 신호를 제 1 전송 스위치부(13) 및 제 2 수신스위치부(18)로 출력하고, 제 1 전송 스위치부(13)는 스위치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역다중화부(11)로부터 전달된 다수의 채널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채널 스위치부(15)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역다중화부(12)는 동쪽으로부터 입력되는 상부망의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다수의 채널 신호를 제 2 전송 스위치부(14) 및 제 1 수신스위치부(17)로 출력하고, 제 2 전송 스위치부(14)는 스위치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역다중화부(12)로부터 전달된 다수의 채널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채널 스위치(15)로 전달한다. 이어서, 채널 스위치부(15)는 스위치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및 제 2 전송 스위치부(13, 14)로부터 전달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하부망으로 전송한다.
다음, 하부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부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로 스위치부(16)는 스위치 제어부(21)의 제어를 받아 입력된 하부망 신호의 경로를 선택하여 제 1 수신 스위치부(17) 또는 제 2 수신 스위치부(18)로 전달한다. 이어, 제 1 수신 스위치부(17)는 스위치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역다중화부(12) 및 경로 스위치부(16)로부터 전달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1 다중화부(19)로 전달하고, 또한 제 2 수신 스위치부(18)는 스위치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역다중화부(11) 및 경로 스위치부(16)로부터 전달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2 다중화부(20)로 전달한다. 이어서, 제 1 다중화부(19)는 제 1 수신 스위치부(17)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서쪽으로 출력하고, 또한 제 2 다중화부(20)는 제 2 수신 스위치부(1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쪽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의 경우에, 선형 망에서는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할 수 있으나, 신호의 블록킹(BLOCKING) 처리, 신호의 루프백(LOOP BACK) 처리 및 송수신 장치의 비구비 신호(Unequipped signal) 처리 기능이 배제되어 있어, 신호 제어 기능이 단순히 분기 및 결합 기능에만 제한되며, 또한 선형 및 단국형으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그리고, 전송 장치는 망의 형태 및 역할에 따라 각 장치의 신호 흐름 상의 경로가 서로 상이하므로, 망의 전송 장치가 속한 망의 형태나 역할이 바뀌게 되면 신호의 경로들이 서로 연결되는 장치를 각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교체하거나, 또는 신호 연결선을 바꾸어 주어야 하는 망의 형태에 따른 호환성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탈 전송 장치에 장치 외부에서 인가하는 제어신호만으로도 단국형, 선형 및 2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형의 망에 분기 및 결합 다중화 기능을 가지도록하며, 또한 본 발명은, 신호의 블록킹(BLOCKING) 처리, 신호의 루프백(LOOP BACK) 처리 및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UNEQUIPPED) 처리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하도록하는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 1 내지 제 4 선택기와 제 4 선택부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6은 도 2의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7은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의 일실시예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구성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역다중화부 120: 제어부
130: 제 1 스위치부 140: 제 1 선택부
150: 제 2 스위치부 160: 제 2 선택부
170: 제 3 선택부 180: 다중화부
190: 제 3 스위치부 200: 제 4 선택부
210: 송수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다수의 채널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역다중화수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분기 및 결합이 완료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 상태에 따라 사용 대역 신호 및 보호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다중화수단 및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선택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채널을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 2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선택수단 및 제 2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선택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다중화 수단 및 제 2 선택수단의 출력신호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3 선택수단; 상기 제 3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다수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화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 3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들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4 선택수단; 상기 제 4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으로 전달하는 송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110)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분기 및 결합이 완료된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 및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부(130)과, 역다중화부(110) 및 제 1 스위치부(130)의 출력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부(140)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채널을 변경하는 제 2 스위치부(150)와, 제 1 선택부(140) 및 제 2 스위치부(150)의 출력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부(160)와, 역다중화부(110) 및 제 2 선택부(160)의 출력신호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3 선택부(170)와, 제 3 선택부(17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180)와, 제 1 선택부(140)의 출력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3 스위치부(190)와, 제 3 스위치부(190)의 출력신호들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4 선택부(200)와, 제 4 선택부(20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 3 스위치부(190)로 전달하는 송수신부(210)을 구비한다.
역다중화부(110)는 서쪽(WEST)에서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제 1 역다중화기(111)와, 동쪽(EAST)에서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제 2 역다중화기(112)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부(130)는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입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전송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입력된 신호를 스위칭시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로 구성된다.
제 1 선택부(140)는 제 1 역다중화기(111) 및 제 1 링 스위치(131)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선택기(141)와, 제 2 역다중화기(112) 및 제 2 링 스위치(132)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2 선택기(142)를 구비한다.
제 2 스위치부(150)는 송수신부(2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51, 152)로 구성된다.
제 2 선택부(160)는 제 1 선택기(141) 및 제 1 스위치(151)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3 선택기(161)와, 제 2 선택기(142) 및 제 2 스위치(152)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4 선택기(162)를 포함한다.
제 3 선택부(170)는 제 3 선택기(161) 및 제 1 역다중화기(111)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5 선택기(171)와, 제 4 선택기(162) 및 제 2 역다중화기(112)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6 선택기(172)를 구비한다.
다중화부(180)는 제 5 선택기(171)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서쪽으로 출력하는 제 1 다중화기(181)와, 제 6 선택기(17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쪽으로 출력하는 제 2 다중화기(182)를 포함한다.
제 3 스위치부(190)는 제 1 선택기(14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3 스위치(191)와, 제 2 선택기(14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4 스위치(192)를 구비한다.
굵은 선은 제어부의 신호버스를 의미하며, 이로부터 분기되는 신호도 또한 병렬신호이다. 따라서, 도 2의 모든 선은 병렬신호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의 사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역다중화기(111)는 서쪽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기본단위인 여러개의 채널신호로 바꾸어 제 1 및 제 5 선택기(141, 171)로 출력하고, 제 2 역다중화기(112)는 동쪽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기본단위인 여러개의 채널신호로 바꾸어 제 2 및 제 6 선택기(142, 172)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및 제 5 선택기(141, 171)로 출력되는 신호는 루프 백(LOOP BACK)을 위한 신호이며, 제 2 및 제 6 선택기(142, 172)로 출력되는 신호는 분기를 위한 신호이다.
제 1 선택기(141)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1 역다중화기(111)의 출력신호와 제 1 링 스위치(131)에서 링 스위치되어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장치의 사용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 1 역다중화기(111)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전송장치의 사용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는 제 1 링 스위치(131)에 링 스위치되어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 2 선택기(142)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2 역다중화기(112)의 출력신호와 제 2 링 스위치(132)에서 링 스위치되어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장치의 사용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 2 역다중화기(11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전송장치의 사용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는 제 2 링 스위치(132)에서 링 스위치되어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 3 선택기(161)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1 선택기(141) 및 제 1 스위치(151)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5 선택기(171)로는 통과신호를 출력하고, 제 1 링 스위치(131)로는 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4 선택기(162)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2 선택기(142) 및 제 2 스위치(152)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 6 선택기(172)로는 통과신호를 출력하고, 제 2 링 스위치(132)로는 링 스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 5 선택기(171)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 4 선택기(162)로부터 출력된 통과신호와 제 1 역다중화기(111)로부터 출력된 루프백신호를 입력하여,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입력신호를 블록킹하여 제 1 다중화기(181)로 출력한다. 또한, 제 6 선택기(172)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 3 선택기(161)로부터 출력된 통과신호와 제 2 역다중화기(112)로부터 출력된 루프백신호를 입력하여,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입력신호를 블록킹하여 제 2 다중화기(182)로 출력한다. 이때, 블록킹된 신호는 접지 신호가 된다.
제 1 다중화기(181)는 제 5 선택기(171)로부터 출력된 여러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서쪽으로 출력하고, 제 6 선택기(172)로부터 출력된 여러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쪽으로 출력한다.
제 1 링 스위치(131)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 3 선택기(161)로부터 출력된 분기 및 결합이 완료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장치가 정상적인 사용상태일 때는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와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를 입력된 그대로 출력하고, 전송장치가 비정상적인 사용상태일 때는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와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를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위칭하여 제 1 선택기(141)로 출력한다. 또한, 제 2 링 스위치(132)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제 4 선택기(162)로부터 출력된 분기 및 결합이 완료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장치가 정상적인 사용상태일 때는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와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를 입력된 그대로 출력하고, 전송장치가 비정상적인 사용상태일 때는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와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를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위칭하여 제 2 선택기(142)로 출력한다.
제 1 스위치(151)는 제어부(120)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채널 단위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된 모든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UNEQUIPPED)를 입력신호 대신에 제 3 선택기(161)로 출력한다. 또한, 제 2 스위치(152)는 송수신부(2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채널 단위의 제어를 받아, 송수신부(210)로부터 출력된 모든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UNEQUIPPED)를 입력신호 대신에 제 4 선택기(162)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위치(151, 15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통과되는 신호의 적절한 채널에 결합되도록 채널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이다.
제 3 스위치(191)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1 선택기(141)로부터 출력된 모든 신호들을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UNEQUIPPED)를 입력신호 대신에 제 4 선택부(200)로 출력한다. 또한, 제 4 스위치(192)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받아, 제 2 선택기(142)로부터 출력된 모든 신호들을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UNEQUIPPED)를 입력신호 대신에 제 4 선택부(200)로 출력한다. 이때, 제 3 및 제 4 스위치(191, 19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송수신부(210)로 적절한 채널에 분기되도록 채널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이다.
제어부(120)는 신호의 분기 및 결합과 스위칭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접속기능을 하며, 제 1 내지 제 6 선택기(141, 142, 161, 162, 171, 172), 제 1 내지 제 4 스위치(151, 152, 191, 192),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 및 제 4 선택부(200) 등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또한 제어신호가 적절히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제어신호를 읽어온다.
제 4 선택부(200)는 제 3 및 제 4 스위치(191, 192)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제어부(120)로부터 채널 단위의 제어를 받아, 제 3 및 제 4 스위치(191, 192)로부터 입력된 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송수신부(210)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10)는 제 4 선택부(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하부망으로 전송하고, 하부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위치(151, 152)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제 1 및 제 3 선택부의 일실시예 심벌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2의 제 1 내지 4 선택기와 제 3 선택부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SEL.CONTROL)에 의해서 2 개의 입력 신호(INPUT A, INPUT B)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의 일실시예 심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는, 제어부(12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SEL. CONTROL)에 의하여, 3개의 입력신호( INPUT A, INPUT B, BLOCKING)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5는 도 2의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일실시예 심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도 2의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제어부(12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SEL. CONTROL)에 의하여, 다수의 입력신호( INPUT A, INPUT B, ---, UE)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제 1 및 제 2 스위치(151, 152)는 각각 입력신호의 채널 수만큼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도 6은 도 2의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의 일실시예 심벌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2의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는, 다수의 입력신호(INPUT 00, INPUT 01, INPUT 02, ---)들을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라하고, 다수의 입력신호(INPUT 10, INPUT 11, INPUT 12, ---)들을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라고 하면,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는 사용 대역 신호(WORKING BAND)와 보호 대역 신호(PROTECTION BAND), 즉 다수의 입력신호(INPUT 00, INPUT 01, INPUT 02, ---)들과 다수의 입력신호(INPUT 10, INPUT 11, INPUT 12, ---)들을 링 스위칭한다.
정상사용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는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SEL. CONTROL)에 따라, 다수의 입력신호(INPUT 01, INPUT 02, INPUT 03, ---)들을 각각 다수의 입력단자(i00, i01, i02, ---)들을 통해 입력하고, 출력단자(o00, o01, o02, ---)들을 통해서 다수의 출력신호(OPUTPUT 00, OPUTPUT 01, OPUTPUT 02, ---)들을 출력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는 다수의 입력신호(INPUT 10, INPUT 11, INPUT 12, ---)들을 각각 다수의 입력단자(i10, i11, i12, ---)들을 통해 입력하고, 출력단자(o10, o11, o12, ---)들을 통해서 다수의 출력신호(OPUTPUT 10, OPUTPUT 11, OPUTPUT 12, ---)들을 출력한다.
비정상 동작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는 제어부(120)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입력신호들을 각각 다수의 입력단자들을 통해 입력하고, 출력단자들을 통해서 다수의 출력신호들을 출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131, 132)는 다수의 입력신호들을 각각 다수의 입력단자들을 통해 입력하고, 출력단자들을 통해서 다수의 출력신호들을 출력한다.
도 7은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의 일실시예 심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제 5 및 제 6 선택기는,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SEL. CONTROL)에 따라, 다수의 입력신호(INPUT 01, INPUT 02, INPUT 03, ---)들을 각각 다수의 입력단자(i00, i01, i02, ---)들을 통해 입력하고, 출력단자(o00, o01, o02, ---)들을 통해서 다수의 출력신호(OPUTPUT 00, OPUTPUT 01, OPUTPUT 02, ---)들을 출력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역다중화기(111, 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채널순서의 바뀜이 없이 제 5 및 제 6 선택기(171, 172)로 입력된다. 즉, 역다중화부(110)의 1번 채널로 출력된 신호는 제 3 선택부(170)의 1번채널로 입력되고, 역다중화부(110)의 2번 채널로 출력된 신호는 제 3 선택부(170)의 2번채널로 입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프레임 신호의 일실시예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에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 처리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선택기(141, 1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비구비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신호의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 처리는 동기식 디지탈 계위의 VC-3(virtural container-3) 단위의 처리를 실시하며, 이를 위해 프레임 워드(A1,A2), 구간 오버헤드 포인터(H1,H2,H3)를 삽입해 주고, 기본단위인 B1은 통과시키고, 구간 오버헤드 포인터의 H1 H1 H1 H2 H2 H2="10011000 10011000 10011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등을 삽입해 주고, 또한 기본단위의 C2="0", B3="0"를 삽입해 준다. 따라서, VC-3 유료부하(payload)에는 전부 '0'이 쓰여진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는, 신호의 분기 및 결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장치 외부에서 간단한 제어신호의 변경만으로 장치를 단국형, 선형 및 링형 ADM(add drop multiplex)) 장치로 유연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신호의 블록킹 처리, 신호의 루프백 처리 및 송신장치 비구비 신호 처리 기능을 추가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다수의 채널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역다중화수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분기 및 결합이 완료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 상태에 따라 사용 대역 신호 및 보호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다중화수단 및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선택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채널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 2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선택수단 및 제 2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선택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다중화 수단 및 제 2 선택수단의 출력신호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3 선택수단;
    상기 제 3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다수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화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 3 스위칭 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들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4 선택수단;
    상기 제 4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으로 전달하는 송수신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수단은,
    서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제 1 역다중화부; 및
    동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제 2 역다중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입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전송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입력된 신호를 스위칭시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링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수단은,
    상기 제 1 역다중화부 및 제 1 링 스위치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제 2 역다중화부 및 제 2 링 스위치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선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수단은,
    상기 제 1 선택부 및 제 1 스위치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3 선택부; 및
    상기 제 2 선택부 및 제 2 스위치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4 선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수단은,
    상기 제 3 선택부 및 제 1 역다중화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5 선택부; 및
    상기 제 4 선택부 및 제 2 역다중화부의 출력신호들 중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제 6 선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수다은,
    상기 제 5 선택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서쪽으로 출력하는 제 1 다중화부; 및
    상기 제 6 선택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쪽으로 출력하는 제 2 다중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1 선택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3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선택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채널로 변경하는 제 4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KR1019970063188A 1997-11-26 1997-11-26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KR10025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188A KR100256683B1 (ko) 1997-11-26 1997-11-26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188A KR100256683B1 (ko) 1997-11-26 1997-11-26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385A KR19990042385A (ko) 1999-06-15
KR100256683B1 true KR100256683B1 (ko) 2000-05-15

Family

ID=1952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188A KR100256683B1 (ko) 1997-11-26 1997-11-26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694B1 (ko) * 2002-10-12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형 광네트워크
KR100506206B1 (ko) * 2002-10-16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2-광섬유 링형 광 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385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6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ptical 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4633246A (en) Time divison multiplex ring
US7269130B2 (en) Redundant add/drop multiplexor
US5440540A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a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 and another ring transmission system
EP0483790B1 (en) Switching system of optical transmission lines for protecting from trouble
CA2130067C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bidirectional line-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US5546403A (en) Bidirectional line switch ring network
US61987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in a ring network
JPH07212385A (ja) 通信システム
EP0359352B1 (en) Telecommunications transmission security arrangement
JPH07170238A (ja) 追加/ドロップ・マルチプレクサ装置
EP0818089B1 (en) Optical node in an optical bus network
JP2012075115A (ja) 光通信網用のノード
GB2286097A (en) An add-drop multiplexer
CN1859062B (zh) 一种波长转换单元共享保护方法、实现装置和应用系统
KR100256683B1 (ko)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US7161965B2 (en) Add/drop multiplexor with aggregate serializer/deserializers
KR100256689B1 (ko) 분기 결합용 광전송 장치
KR100277715B1 (ko) 디지탈 전송 시스템의 링절체 제어 장치
KR100211982B1 (ko) 선형 망 및 2선식 양방향 링 망을 위한 분기/결합 제어기
KR100256684B1 (ko) 공간분할 스위치를 이용한 분기 결합 제어 장치
KR0147760B1 (ko) 동기식 광 전송 시스템
KR100304724B1 (ko) 광전송장치에서의채널교차연결장치
KR100223366B1 (ko)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KR100281740B1 (ko)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