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747A -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 Google Patents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747A
KR20000032747A KR1019980049301A KR19980049301A KR20000032747A KR 20000032747 A KR20000032747 A KR 20000032747A KR 1019980049301 A KR1019980049301 A KR 1019980049301A KR 19980049301 A KR19980049301 A KR 19980049301A KR 20000032747 A KR20000032747 A KR 20000032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modem
memory
audio signal
digit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2747A/ko
Publication of KR200000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phonic apparatus, e.g. telephone answering machine or videotex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1Telephone answer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뎀은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조하고,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외부로 출력시키고; 저장 수단은 모뎀에서 변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며; 제어 수단은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조되도록 모뎀을 제어하고, 변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디지털 음성 신호의 확인을 위해 확인 요청을 하면 저장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모뎀에서 복조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합기에 존재하는 모뎀과 메모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시켜 부재중에는 외부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에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 녹음시켜 이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합기의 제작 원가를 절감시킨다.

Description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본 발명은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AD(Telephone Answering Device)와 TAD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합기의 모뎀과 메모리를 이용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 기기들이 널리 보급됨과 동시에 각 기기들이 갖는 고유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고성능인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그러한 연유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기기들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적인 장치(이하, 복합기로 칭함)가 등장하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기는 프린터와 팩시밀리를 복합적으로 구성한 형태로서, 인쇄수단과 스캐닝수단, 그리고 모뎀과 같은 정보전송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프린터와 팩시밀리로서의 기능은 물론 스캐너와 복사기로서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에 가미된 팩시밀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캐너와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 각각의 단품으로 존재하던 단말을 하나로 엮어서 만든 다기능의 단말기로 컴퓨터와 연동이 되어 기능을 갖는, 즉 컴퓨터-인터페이스 기능이 가미된 다기능 주변장치(Multi Functional Peripheral)를 일컫는다.
이러한 복합기에는 자동 응답 기능이 더 부가되어 자동 응답 기능 기능 수행시 외부와 호가 연결이 되면, 사용자가 미리 녹음시킨 음성 메시지가 외부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부재를 알리고, 외부에서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켜 사용자가 부재중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TAD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가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시킨 상태에서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LIU(Line Interface Unit)(170)를 거쳐 아날로그 음성 신호(즉, 음성 메시지)가 전송되면 TAD(Telephone Answering Device)(210)는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TAD 메모리(220)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적응차분(適應差分) 펄스 부호변조는 음성과 음악 등 오디오 신호의 전통 비트레리트를 낮추기 위한 고효율 엔코딩 방식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TAD 메모리(220)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 즉,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130)의 임의의 기능 키(미도시)를 눌러 확인 요청을 하면 중앙처리장치(110)는 TAD(2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TAD(210)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경시켜 이를 스피커 컨트롤 로직(200)을 통해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190)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피커(190)에서 TAD 메모리(220)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들려준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패널(130)의 다른 임의의 기능 키(미도시)를 눌러 음성 메시지를 마이크(180)를 통해 녹음시키면, TAD(210)는 사용자가 녹음시킨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TAD 메모리(220)에 저장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와 호(CALL)가 연결되면 TAD(210)는 TAD 메모리(220)에 기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인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모뎀(160)과 LIU(170)를 통해 상대방에서 전송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TAD 복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자동 응답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TAD와 TAD 메모리가 사용됨으로써 복합기의 단가가 상승되는 등 복합기의 고기능화 구현에 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기에 존재하는 모뎀과 메모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시켜 부재중에는 외부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에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 녹음시켜 이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합기의 제작 원가를 절감시키는 데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TAD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메시지의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중앙처리장치 120 : 메모리
140 : 조작 패널 160 : 모뎀
170 : LIU 180 : 마이크
190 : 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모뎀은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하고,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조하여 외부로 출력시키고; 저장 수단은 모뎀에서 변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며; 제어 수단은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되도록 모뎀을 제어하고, 복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디지털 음성 신호의 확인을 위해 확인 요청을 하면 저장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모뎀에서 변조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저장 수단은 디지털 음성 신호의 삭제/변경이 가능한 DRAM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메시지의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중앙처리장치(110)는 설정된 모드의 프로그램에 따라 복합기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 공중회선망(PSTN)으로부터 LIU(170)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전송되면 모뎀(160)을 제어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하며, 또한 사용자가 조작 패널(130)의 임의의 기능 키(미도시)를 눌러 메모리(120)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확인하고자 하면 모뎀(160)을 제어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조하여 스피커(19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키기 위하여 조작 패널(130)의 다른 임의의 기능 키(미도시)를 눌려 마이크(180)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키면 모뎀(160)을 제어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한 후, 복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메모리(120)에 저장시키고, 자동 응답 수행시 외부와 호(CALL)가 연결되면 사용자의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송출시킨다.
메모리(120)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따라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스캐너(14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등을 임시로 저장하고, 특히 디지털 음성 신호가 저장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DRAM이다.
조작 패널(OPE:Operating Panel)(130)은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상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 및 자동 응답 기능에 따른 다수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키매트릭스가 구성되어, 키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키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0)에 제공하며, 또한 조작패널(130) 내부에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복합기(100)의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엘씨디(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성된다.
스캐너(140)는 팩스 기능이나 복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또는 복사 모드가 설정되면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삽입되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이를 이미지화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10)로 다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터(150)는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수신되거나 스캐너(1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컴퓨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인쇄 용지에 프린팅한다.
모뎀(160)은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공중회선망(PSTN)으로부터 LIU(17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하며, 특히,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로 변조한 후 스피커(19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180)나 공중회선망(PSTN)으로부터 LIU(17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한 후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한다.
LIU(170)는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를 받아 공중회선망(PSTN)과 모뎀(160)과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공중회선망(PSTN)으로부터의 신호와 모뎀(160)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고, 전화기로서의 기본 기능에 필요한 스피치 회로, 다이얼링 회로 및 링신호 검출회로가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 방법>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의 녹음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키기 위하여 조작 패널(130)의 임의의 기능 키를 조작하면(S1), 중앙처리장치(110)는 녹음의 시작을 알리는 확인음을 스피커(190)를 통해 송출하고(S2),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을 시작하며(S3),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되는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킨다(S4).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10)는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모뎀(160)에서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되도록 모뎀(160)을 제어하고(S6), 카운팅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7).
그리하여, 카운팅이 종료되었으면 모뎀(160)에서 복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메모리(120)에 저장시킨다(S8).
<음성 메시지 수신 방법>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의 수신 방법은 먼저,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외부에서 링(RING) 신호가 전송되면(S10), 중앙처리장치(110)는 사용자가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였는지를 검출하여(S20),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였으면 외부와 호(CALL)를 연결한다(S30).
그런 후, 중앙처리장치(110)는 메모리(120)에 디지털 음성 신호(즉,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가 녹음되었는지를 검색하여(S40), 디지털 음성 신호가 기 저장되어 있으면 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모뎀(160)과 LIU(170)를 통해 공중회선망(PSTN)으로 전송하여 외부에 사용자의 부재를 알린다(S50).
사용자의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가 모두 전송되면(S60), 중앙처리장치(110)는 녹음을 알리는 확인음(예를 들면, '삐'소리)을 외부로 전송하고(S70), 기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을 시작한다(S80).
그리고, 외부에서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모뎀(160)에서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되도록 모뎀(160)을 제어하고(S90), 기 설정된 시간의 카운팅이 종료되면(S100), 복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메모리(120)에 저장시킨다(S11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130)의 다른 임의의 기능 키를 조작하여 확인 요청을 하면(S120), 중앙처리장치(110)는 모뎀(160)을 제어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조한 후(S130), 스피커(190)를 통해 외부로 송출시킨다(S140).
그리고, 단계 20(S20)에서 자동 응답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전화 모드를 수행하고(S21), 단계 40(S40)에서 사용자가 부재를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특정 음을 외부로 송출하여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알리거나 또는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부재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 후 특정 음을 송출한다(S41).
한편, 단계 120(S120)에서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확인 요청을 하지 않으면 단계 10(S10)으로 복귀되어 단계 10(S10)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전송되는 모든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다.
따라서, TAD 및 TAD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모뎀과 메모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시킨 후 이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녹음시킨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송출하여 외부에 사용자의 부재를 알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복합기에 존재하는 모뎀과 메모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시켜 부재중에는 외부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에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 녹음시켜 이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합기의 제작 원가를 절감시킨다.

Claims (2)

  1.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하고,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적응차분 펄스 부호변조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조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모뎀;
    상기 모뎀에서 변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자동 응답 기능 수행시 공중회선망(PSTN)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조되도록 상기 모뎀을 제어하고, 복조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저장 수단에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디지털 음성 신호의 확인을 위해 확인 요청을 하면 저장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상기 모뎀에서 변조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디지털 음성 신호의 삭제/변경이 가능한 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KR1019980049301A 1998-11-17 1998-11-17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KR20000032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01A KR20000032747A (ko) 1998-11-17 1998-11-17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01A KR20000032747A (ko) 1998-11-17 1998-11-17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747A true KR20000032747A (ko) 2000-06-15

Family

ID=1955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301A KR20000032747A (ko) 1998-11-17 1998-11-17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27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291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80885B2 (ja) データ通信装置
KR20000032747A (ko) 자동 응답이 가능한 복합기
KR100233718B1 (ko) 팩시밀리의 메시지 송,수신보고방법
KR0149714B1 (ko) 음성 및 화상 전송장치
JP329518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53845B1 (ko) 복합기의음성메시지전송결과관리방법
KR970003398B1 (ko) 팩시밀리전송시 수신자지정제어방법
KR100233723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휴대장치의 호출에 응답한 동작상태 알림방법
JP2692794B2 (ja) 通信装置
JP3682574B2 (ja) 通信端末装置
JP359188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56785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194472B1 (ko) 팩시밀리에서 기록용지 없음 알림방법
JP2570486B2 (ja) 会話予約非応答処理装置
JP3359047B2 (ja) 画像通信装置
JP2637444B2 (ja) 通信システム
JPH076691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式
JPH103266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送信方法
KR19990005619A (ko) 팩시밀리에서 통화예약요청에 대한 불응답시 음성메시지 녹음방법
EP0899935A2 (en) Facsimile machin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ly coded voice data
KR19990010100A (ko) 복합기의 음성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KR19990032373A (ko) 음성 안내메시지 송출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장치
KR19990033872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신메세지 저장방법
KR19980057467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통화예약에 의한 자동응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