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614A -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614A
KR20000032614A KR1019980049119A KR19980049119A KR20000032614A KR 20000032614 A KR20000032614 A KR 20000032614A KR 1019980049119 A KR1019980049119 A KR 1019980049119A KR 19980049119 A KR19980049119 A KR 19980049119A KR 20000032614 A KR20000032614 A KR 2000003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vehicle
terminal
gps
pos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이흥수
주식회사 해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수, 주식회사 해울 filed Critical 이흥수
Priority to KR101998004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2614A/ko
Priority to AU11866/00A priority patent/AU1186600A/en
Priority to PCT/KR1999/000686 priority patent/WO2000030058A1/en
Publication of KR200000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과,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방법들은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교통 정보 수집을 위한 설비에 드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내에서 각종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당해 차량의 위치를 GSP 단말기로부터 입력하는 단계와, 이들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동전화기(즉, PCS 폰과 같은 셀룰라 폰)를 통해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정차 중인지 등을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교통 정보 관제 센터는 이러한 차량 상태 정보를 참작하여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분석하도록 한다. 차량에 탑재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내에서 당해 차량이 운행 중인 도로에서의 속도 자체를 산출하고 이를 그 위치와 함께 전송하도록 하며, 또한 도로 교통 상황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차량 상태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1회의 전송만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은 GPS와 무선송수신 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당해 차량의 위치를 관제 센터로 송신하면, 관제 센터에서 각 차량의 위치들과 그 위치들이 수신된 시간에 근거하여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당해 차량이 있는 도로의 속도로서 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계속해서 수신하여야만 당해 구간도로의 차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해당 도로구간의 속도를 구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해당구간(교통정보구간 노드 링크구조)의 속도를 구하는데 많은 연산을 수행하여 할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관제 센터의 연산량이 급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제 센터에서 수행해야 되는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관제 센터로 전송해야 될 데이터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파 점유시간을 줄이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차량 상태 필드의 상세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방향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 표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 필드의 상세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 필드의 상세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표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방법에서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절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서 속도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a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서 교통 정보 단말기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방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차량 상태 필드
102…속도 필드
103…도로 방향 필드
104…차종 필드
105…위치 필드
107…차량 ID 필드
701…기지국
702…교통 정보 관제 센터
703…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
802…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800…데이터베이스 센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전화기 및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로 방향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요구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진행 방향 데이터와,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정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정차 데이터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엔진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또한 상기 차량이 교통 사고를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는 충돌, 추돌, 전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접속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의 요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또한 당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가 정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데이터 및 그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차륜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속도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평균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기는 PCS폰과 같은 셀룰라 폰일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이동전화기와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간의 통신 채널 중 정보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은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동전화기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는 기지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법은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 요구가 있을 때마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구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내에 그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기지국에 소정 통신망을 통해서 결합되는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는 복수의 기지국마다 하나씩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 요구가 있을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기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구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에는 이동전화기의 위치 등록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도가 위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내에 구간 지도가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간 지도는 제어기에 결합되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GPS 단말기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GPS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소정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 방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TRS 망, ATM 망, 비콘(Bicon) 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도로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가공 처리된 교통 상황 정보들이 수록되는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구역에 속하는 도로에서의 구간 속도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통 정보 관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구역에 관련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그 안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도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구역에 속하는 모든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통계학적인 방법에 따라 복수의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구간 속도를 상기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차량으로 복수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된 경우에 오래된 것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없거나 또는 신뢰할 만큼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최고 속도를 그 도로의 속도로 설정하거나, 연관성이 있는 당해 도로의 과거 교통 정보(예를 들어, 하루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 데이터, 한 주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 데이터, 일년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를 사용하여 당해 도로의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설날, 추석, 크리스마스 등과 같은 교통 상황이 특수하게 전개되는 날에는 일년 전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을 평균값, 중간값, 최다치 중 어느 하나를 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은 또한 상기 입력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사고 관련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 관련 데이터인 경우 긴급 구조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포함되는 구간 지도-여기서, 구간 지도는 도로가 있는 위치와 그 도로가 속하는 구간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전화기 및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로가 도로 방향 및 위치에 따라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되어 있는 구간 지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GPS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및 시간 데이터와 상기 구간 지도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100)는 차량 상태 필드(101), 속도 필드(102), 도로 방향 필드(103), 차종 필드(104), 위치 필드(105) 및 기타 상태 필드(106)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100)는 차량 ID 필드(107), 차량 상태 필드(101), 속도 필드(102), 도로 방향 필드(103), 차종 필드(104), 위치 필드(105), 기타 상태 필드(106)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차량 상태 필드(101)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을 위한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교통 정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차량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이러한 차량 상태 필드(10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상태 필드(101)는 진행 방향 서브필드(301), 정지 서브필드(302), 사이드 브레이크 서브필드(303), 엔진 서브필드(304), 브레이크 서브필드(305), 충돌 서브필드(306), 추돌 서브필드(307), 전복 서브필드(308), 사고 서브필드(309), 정체 서브필드(310) 및 기타 서브필드(311)를 포함하고 있다.
진행 방향 서브필드(301)는 당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 방향 서브필드(301)는 2비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0"인 경우에는 직진, "1"인 경우에는 후진, "10"인 경우에는 좌회전, "11"인 경우에는 우회전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방향지시등의 레버 또는 방향지시등의 신호를 이를 알 수 있다.
진행 방향 서브필드(301)는 도 3의 정지 서브필드(302)등과 결합하여 좌회전 대기 차량, 또 정체 등으로 신호대기 우회전 신호대기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차량이 운행중인지 아니면 주정차 중인지를 교통 정보 관제 센터에 알려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 누군가를 기다릴 목적으로 시동을 키고 차량을 도로 견에 세워둘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정보 없이 단순히 차량의 위치와 속도만을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 등을 통해서 기지국을 거쳐서 관제 센터로 전송하게 되면, 관제 센터는 당해 차량이 있는 도로가 정체되어있다고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교통 상황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차량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서브필드(302), 사이드 브레이크 서브필드(303), 엔진 서브필드(304), 브레이크 서브필드(305), 충돌 서브필드(306), 추돌 서브필드(307), 전복 서브필드(308), 사고 서브필드(309), 정체 서브필드(310)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1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정지 서브필드(302)는 당해 차량이 정지 또는 정차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필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지 서브필드(302)는 1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차륜 거리 센서로 일정한 시간 내에 신호 없음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차륜 거리 센서로 일정한 시간 내에 신호 있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사이드 브레이크 서브필드(303)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용무를 보기 위하여 차량을 주정차 하는 경우에, 그러한 차량으로부터의 교통 정보를 무용한 정보로 취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정차 중인 차량을 식별하기 위하여,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브레이크 서브필드(303)가 "0"인 경우에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임을 나타내도록 하고 "1"인 경우에는 당해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엔진 서브필드(304)는 차량이 운행중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엔진이 작동중임을 나타내도록 하고, "1"인 경우에는 엔진이 정지되어 있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브레이크 서브필드(305)는 풋 브레이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풋 브레이크가 작동중임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풋 브레이크가 해제됨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충돌 서브필드(306)는 당해 차량이 충돌 사고가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서브필드로서, 예를 들어 충돌이 있는 경우에는 "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당해 차량의 앞부분에 충돌 센서를 부착하고 그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추돌 서브필드(307)는 당해 차량이 뒤에 있는 차량에 의해 추돌 사고를 일으켰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추돌 사고가 있었음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추돌 사고가 없었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돌 서브필드(307)의 데이터는 당해 차량의 후미에 추돌 센서를 부착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근거하여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충돌센서는 에어백의 충돌신호등 입력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추돌 센서는 차량후미에 접촉 센서 등으로 설치하여 일정 충격량이상의 추돌에 반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복 서브필드(308)는 당해 차량이 전복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전복되었음을 "1"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에 전복 센서를 부착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근거하여 당해 서브필드의 데이터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사고 서브필드(309)는 당해 차량이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1"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고 서브필드(309)의 데이터는 사고 스위치를 운전자 조정 패널 또는 그 밖의 운전자 또는 보조자가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수단에 설치하고, 운전자 또는 보조자로 하여금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이 스위치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정체 서브필드(310)는 당해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 정체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필드로서, 예를 들어 "0"인 경우에는 운행중인 도로가 정체임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정체 스위치를 운전자 조정 패널 또는 그 밖의 운전자 또는 보조자가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수단에 설치하고, 운전자 또는 보조자로 하여금 정체지역에서 이 스위치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장기간 정체중 일 때는 차량이 사이드 브레이크 작동시키거나 엔진을 정지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이 스위치를 사용하게끔 한다.
정밀 서브필드(311)는 해당 데이터가 DGPS 또는 기타 방법으로 위치의 오차가 1-10m 이내의 오차임을 나타낸다. "0" 일 경우 오차가 1-10m 이내를 "1"일 경우는 10M 이상을 나타내며, 이 기준은 달리 해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차량 상태 정보가 교통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관제 센터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타 서브필드(312)를 남겨 둘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 필드(101)는 도 3에 도시된 서브필드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 서브필드들의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속도 필드(102)는 당해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1 바이트(byte)로 구성할 수 있으며, ㎞/h를 기본 단위로 하여 0∼255㎞/h의 숫자 부분만을 데이터로 나타낼 수 있다. 종래에는 당해 차량의 속도 정보를 직접 관제 센터로 송신하지 않고 위치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관제 센터에서 프로세스 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차량에 있는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해당 도로구간의 속도 데이터를 얻어 이를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관제 센터로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관제 센터가 처리해야할 프로세스 량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도로 방향 필드(103)는 운행중인 당해 차량이 진행하고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로 1가에서 종로 2가로 주행하고 있는지 아니면 종로 2가에서 종로 1가로 주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맵 매칭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 진행 방향의 도로인지 반대 방향의 도로인지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맵 매칭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순간적인 위치만을 가지고는 당해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도로의 방향이 진행 방향의 도로인지 반대 방향의 도로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DGPS 등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도 차량이 중앙선 근처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차량이 어느 방향의 도로를 운행 중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당해 차량이 진행중인 방향에 관련된 데이터를 차량(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차량 내에 탑재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으로부터 관제 센터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는 일정 시간 차이를 두고 GPS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위치데이터들에 근거하여 도로 방향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이로나 마그넷 컴퍼스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로 방향 필드(103)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3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위를 모두 8개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0"인 경우에는 북쪽, "1"은 북동쪽, "2"은 동쪽, "3"은 남동쪽, "4"는 남쪽, "5"는 남서쪽, "6"은 서쪽, "7"은 북서쪽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로 방향 필드(103)가 나타내는 방위의 형태는 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8개보다 적거나 또는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 또는 16개, 32개,... 등으로 방위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4개 이하인 경우에는 방향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방위 구분수가 증가하게 되면 그 만큼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8 또는 16 방위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종 필드(104)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가 탑재되는 차량의 종류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이다. 버스 전용 차선을 달리는 버스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도로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게 되면, 버스 전용 차선의 교통 상황과 버스 전용 차선이 아닌 도로의 교통 상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당해 차량이 일반 승용차인지, 짐을 운반하는 트럭인지, 택시인지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차종 필드(104)의 데이터 구성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 택시
2 : 승용차
3 : 시내 버스
4 : 시외 버스
5 : 고속 버스
6 : 전세 버스
7 : 기타 버스
8 : 트럭 1톤 이하
9 : 트럭 2톤 이하
10: 트럭 3톤 이하
11: 트럭 5톤 이하
12: 트럭 5톤 초과
13: 지프차
14: 다인승 차량
15: 위험물 차량
16: 특수 차량
등 …
이와 같이 차종을 구분하여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는, 교통 정보를 제공할 때 버스 전용 차선과 그 밖의 차선의 속도 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도로의 차종의 따른 속도를 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래픽으로 그러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스 전용 차선의 교통 상황과 비전용 차선의 교통 상황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들 필드의 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은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시 프로그램에 이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는 전원을 제거하여도 그 내용이 변하지 않는 방법과 기타 딥스위치 등으로 해당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도 있다.
위치 필드(105)는 당해 차량의 위치를 송신하기 위한 필드이다. 위치 필드(105) 내에 당해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실시예들을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a를 참조하여 위치 필드(105)의 일 예를 살펴보면, 위치 필드(105)는 도면 번호 서브필드(501), x좌표 서브필드(502) 및 y좌표 서브필드(503)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서브필드(501)는 여러 개의 도면(즉 지도)중 당해 차량의 위치가 표시되어야 할 도면을 나타내기 위한 서브필드이다. x좌표 서브필드(502) 및 y좌표 서브필드(503)는 도면 번호 서브필드(501)에 의해 지정된 도면 내에서의 상대 좌표값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서브필드들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도면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도면을 사용함으로써 x좌표 및 y좌표를 각각 상대 좌표값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x좌표 및 y좌표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즉 지도)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통 정보가 서비스되는 지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각 도면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낸 위치 필드(105)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위치 필드(105)는 x좌표 서브필드(511), y좌표 서브필드(512), z좌표 서브필드(5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서브필드들은 각각 GPS 절대 좌표계로 나타낸 x좌표, y좌표, z좌표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 필드(105)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는 GPS 단말기(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또는 DGPS 단말기,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GPS로 표시하기로 한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GPS 시스템은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GPS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 등의 높이 위도, 경도, 시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GPS 시스템인 경우에는 측정 거리 오차가 대략 100m 정도이고, DGPS인 경우의 측정 거리 오차는 대략 1∼5m 정도가 된다. 따라서, GPS의 정보를 내장된 전자 지도와 맵 매칭을 수행하여 교정된 위치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DGPS인 경우에는 구태여 맵 매칭을 수행하지 않고 위치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차량 ID 필드(108)는 당해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이다. 이러한 차량 ID를 사용함으로써, 당해 차량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탑재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관제 센터 내의 저장 공간 또는 통신망을 통해서 관제 센터에 결합될 수 있는 저장 공간상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한 차량 ID를 이용하여 이를 탐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기타 상태 필드(106)는 이 도면들에서 특히 지정하지는 않았으나 교통 상황을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필드이다. 예를 들어, 기타 상태에는 위험물 차량인 경우의 운반중인 위험물의 종류를 식별하는 필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인 경우에는 휘발유, "1"인 경우에는 액체 산소, "2"인 경우에는 액체 질소, ...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상태 필드(106)를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는 차종이 택시인 경우의 "0"이면 빈차를 나타내도록 하고, "1"이면 손님이 승차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는 택시요금기의 작동 신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필드들 외에 다른 필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는 것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드들의 순서를 서로 바꾸어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시스템의 구성예들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 기지국(701),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포함한다.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는 그 안에 포함된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기지국(701)으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즉 교통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당해 차량이 운행중인 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당해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속도 정보 및 주행중인 도로 방향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위치 및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정보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701)은 이러한 기능 외에 종래에서와 같은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 등과 같은 이동전화기의 무선 전화 서비스 등도 수행할 수 있다.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는 기지국(701)과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지리적으로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의 기지국(701) 내에는 당해 기지국(701) 내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기지국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나, 도 7b에는 그러한 기지국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에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a에서,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서 기지국(701)을 거쳐서 해당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0)에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의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즉, 이동 전화기)을 통해 또는 기타 무선 데이터 망을 통해 기지국(701)으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전송되었다가 다시 기지국(701)에서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701)에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하지만 여러 대의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교통 정보의 수집을 행하면, 필요한 경우에만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쉽게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는 있으나, 교통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로 설정을 위한 호 접속 등에 시간이 소요되어 교통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주 통신로를 설정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채널 점유 시간이 증가할 염려가 있다.
도 7b는 이러한 점을 개선한 것이다.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0)는 특정 사건(예를 들어, 교통 사고 발생, 긴급 환자 발생 등)에 트리거되거나 또는 일정 주기마다 기지국(701)으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한다. 즉,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지 않아도 차량으로부터 특정 사건에 트리거되거나 또는 일정 주기마다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통상 당해 차량이 운행 중인 위치와 운행 중인 도로의 속도를 포함한다. 그러나, 특정 사건에 트리거되어 전송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에는 당해 차량의 속도 정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701)은 그 안에 있는 저장 공간(도시하지 않음)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일정 주기마다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송신되거나,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전송할 수 있다.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는 이렇게 수집된 교통 정보를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 복수의 기지국들(701a, 701b, ...), 데이터베이스 센터(800),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 센터(80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 및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포함한다.
먼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802)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에 포함되는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은 이동전화라는 특징으로 말미암아 일정 주기마다 또는 폴링에 의해서 그 위치를 해당되는 기지국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701)은 일정 주기마다 또는 폴링에 의해서 사용자가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이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는 통상의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의 이동전화 착신 서비스를 위하여 가입자의 이동전화가 위치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상시 기억하는 망내 데이터베이스의 하나로서, 착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요금 부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존재한다. 이러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기지국(701)에 대해서 하나의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만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701) 마다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전화의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를 위한 통신 채널중의 일부를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즉 도 1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해당 기지국(701)으로 전송하게 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0)로부터 기지국(701a)으로 전송되면, 기지국(701a)은 데이터베이스 센터(800)에 접속하여 그 안에 있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갱신한다. 즉, 기지국(701)은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센터(8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는 이에 기초하여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갱신한다. 도 8a에서, 복수의 기지국들(701a, 701b, ...)을 통해서 다수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 내에 저장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는 데이터베이스 센터(800)에 접속하여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는 그 안에 또는 외부에 교통 정보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이를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라 부르기로 함)를 둘 수 있으며,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내용은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포함된 정보들을 소정 교통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하여 생성한 정보가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와 통신을 수행한다.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로 질의(query)를 하고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는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가 요구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검색하여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전송(즉 응답)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센터(800) 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는 기지국 및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적어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액세스하여 읽기/쓰기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기지국별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별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특정 도로에 관련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특정 도로의 평균 속도를 구하기 위하여 그 도로 상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b에서 기지국(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내의 제어기)은 수신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그에 결합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한다. 기지국은 소정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폴링 방식으로 또는 일정 주기마다 기지국 내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설치한다고 가정하였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는 기지국별로 구성되어 있고,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복수의 기지국마다 하나만을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기지국별로 구성하면서도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는 복수의 기지국마다 하나만을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802) 및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가 데이터베이스라는 공통성이 있으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로부터 기지국(701)으로 전송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전송된 다음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다. 그리하여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의 필요에 따라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인출되어 프로세싱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와 같이 기지국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수집을 요구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일에 트리거되어 그러한 요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이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옮겨질 때, 해당 차량으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의 데이터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시간 필드(901), 차량 ID 필드(902), 차량 상태 필드(903), 속도 필드(904), 도로 방향 필드(905), 차종 필드(906), 위치 필드(907) 및 기타 상태 필드(9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량 ID 필드(902), 차량 상태 필드(903), 속도 필드(904), 도로 방향 필드(905), 차종 필드(906), 위치 필드(907) 및 기타 상태 필드(908)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차량 ID 필드(107), 차량 상태 필드(101), 속도 필드(102), 도로 방향 필드(103), 차종 필드(104), 위치 필드(105), 기타 상태 필드(106)에 각각 상응한다. 시간 필드(901)는 당해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갱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차량 ID 필드(902)는 차량의 번호, PCS폰과 같은 셀룰라폰 등의 전화번호, 교통 정보 단말기의 고유 번호, 기타 고유 번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는 예를 들어 셀룰라폰(대표적으로는 PCS폰)과 같은 이동전화기(201), GPS(202),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를 포함한다.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이동전화기(201) 및 GPS(202)에 결합된다. 또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상기한 충돌 센서, 추돌 센서, 방향지시등 레버와 같은 디지털 센서(204)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패널(205)과 같은 입력 수단, 브레이크(206), 사이드브레이크(207) 등에 모두 또는 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206)로부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로 인가되는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선이다. 브레이크 신호선은 통상의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적색 후미등을 점등시키는데 사용되는 신호선이다. 따라서, 이 신호선을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브레이크(207)가 작동하는 경우, 통상의 차량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사이드 브레이크 신호선을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그 안에 메모리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메모리 공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도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도는 GPS(202) 내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가 이에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지도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모리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 전화기(201)와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 간의 인터페이스 및 GPS 단말기(202)와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 간의 인터페이스를 RS232C에 따라 구현할 수도 있고 기타 정합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엔진 제어 및 트랜스미션 제어부(ECU/TCU : Engine Control Unit/Transmission Control Unit)(208)에 결합되어 데이터를 통신한다. 엔진 제어 및 트랜스미션 제어부(208)로부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예로는 엔진회전수, 차량속도, 에어컨 작동유무, 트랜스 미션의 위치(1단 2단 후진), 차량 각 부분의 고장 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여기에 열거하지 않은 많은 차량 운전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는 차륜센서에서의 펄스를 카운트하면서 거리를 알 수 있고, 또 단위 시간에 펄스 수는 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도 11에서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가 ECU/TCU(208)로 속도 데이터를 요구함으로써 속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에서 차량의 속도는 교차로나 분기점을 통과할 때, 차량의 방향이 바뀔 때, 정지 상태에 있다가 진행할 때마다, 과거의 속도 데이터를 무시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작점들로부터 소정 지점까지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로 등을 통과하는 것을 인지하는 방법은 직진, 좌회전, 우회전, 유턴 등을 위해 핸들을 조작하게 되므로, 핸들의 편향 정도 및 내장된 지도와의 맵매칭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전자 지도와 호환이 가능한 전자 지도를 내장하며, 이러한 전자 지도는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도 12의 단계 1211 및 관련 설명 참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분할된 도로 구간들이 저장하도록 하여, 이러한 구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이 운행중인 구간을 벗어나고 새로운 구간을 운행하게 되면 새로이 속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속도를 구하는 방법은 GPS(202)로부터 얻어지는 좌표값과 그에 상응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방법과 차량의 차륜 거리 센서 등을 이용하여 얻은 이동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방법과, 차량의 속도계를 사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PCS(201), GSP(202),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를 하나의 모듈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중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서 각 기지국(701)으로부터 얻은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로부터 각 도로의 속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먼저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가 취급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다수의 차량들로부터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집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이고, 다른 하나는 수집된 교통 정보를 처리 및 가공하여 교통 정보 서비스 이용 고객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교통 상황 정보가 수록되는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인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가 예정하고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구간별로 나누어져 있는 특정 구간 도로에서의 속도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여기서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 내에 있는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 내에 수록될 특정 구간 도로의 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1201에서 일정 구역 내에 포함되는 도로 상을 운행하는 차량들로부터(즉 각 차량의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로부터)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로부터 읽어들인다. 일정 구역이란, 바람직하게는 기지국별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기지국이 지원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보다 넓거나 좁게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단계 1202로 진행하여 끝인지를 검사한다. 즉, 당해 일정 구역 내의 도로들을 운행 중이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이 모두 처리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경우에는 시스템의 연산처리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통계학적인 방법들에 따라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을 폐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이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관리하는 제어기가 단위 시간당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래된 데이터를 폐기하고 새로운 데이터가 기입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를 제어하는 제어기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703)가 기지국 내에 설치되면 기지국이 이러한 제어기 역할을 하고,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에 설치되면 교통 정보 관제 센터가 그 역할을 하며, 도 8a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기(801)가 그러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 자체를 조절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701)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요구 발생 자체를 조절함으로써, 필요이상으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축적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202에서 끝인 경우에는 단계 120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03으로 진행하여 입력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사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사고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계 1204로 진행하여 긴급 구조 요청 처리를 수행한다. 긴급 구조 요청 처리는 예를 들어, 119구조대 제어 센터로 전화를 걸어 사고 차량의 위치 및 사고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 1203에서 사고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1205에서 당해 차량 수집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이 정지 중인지 또는 주차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은 도 3에 나타낸 정지 서브필드(302), 사이드 브레이크 서브필드(303), 엔진 서브필드(304), 브레이크 서브필드(305)의 모두 또는 그들중 일부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당해 차량이 주정차중이라고 판단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120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206에서는 해당 거리별 도로 방향별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분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 구역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구간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각 도로 구간들로 진행 방향 및 반대 방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의 위치 필드 및 도로 방향 필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어느 도로 구간의 어느 도로 방향의 데이터인지를 분류한다.
한편 단계 1202에서 당해 구역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모두 입력되어 분류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1207로 진행한다.
단계 1207 내지 단계 1212는 당해 구역 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도로 구간의 어느 하나의 도로 방향에 대한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당해 구역 내에 8개의 도로 구간과 각각 2개의 방향이 있다면, 도합 16회가 수행될 것이다.
먼저, 단계 1207에서 당해 도로 구간의 당해 도로 방향을 운행 중이던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 중에서 동일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2 이상인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것만을 남기로 오래된 데이터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1208에서 해당 도로에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있는 경우에는 단계 12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09로 진행한다. 단계 1209에서는 당해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으로 특정되는 곳으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전혀 수집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 해당 도로의 최고 속도로 당해 도로의 속도 정보로 설정한다. 왜냐하면, 어느 도로의 소통이 원활한 경우에는 당해 도로를 주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러한 차량으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소통이 원활할수록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될 확률이 낮아지므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도로 구간의 당해 도로 방향의 속도를 최고 속도로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당해 도로 구간, 도로 방향으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있기는 하나,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양의 정보가 수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당해 도로의 속도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가 없거나 적은 경우에 당해 도로의 이전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로 전날 같은 시각의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하거나, 교통 상황의 요일 특성을 감안하여 한 주 전의 같은 시각의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날, 추석, 하기 휴가 기간, 연휴, 크리스마스 등과 같이 특수한 교통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와 관련이 있는 일년 전의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의 교통 상황 정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저장한 후에, 이를 저장하였다가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1210에서는 당해 차량 수집 교통 정보에 포함된 속도 필드의 데이터(즉 속도)와 기존에 있던 해당 도로의 속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당해 도로의 속도를 추정(estimation)한다. 이와 같은 추정에는 통계적인 방법, 예를 들어 평균값, 중간값, 최다 발생값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209 또는 단계 1210을 수행한 다음, 단계 1211에서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거리 속도를 갱신한 후, 단계 1212로 진행한다. 단계 1212에서는 당해 구역에 포함되는 모든 도로 구간 및 모든 도로 방향에 대해서 속도 산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검사하여, 끝인 경우에는 단계 1213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07로 되돌아가서, 단계 1207 내지 단계 1211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서 차량에 탑재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내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서 속도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1301에서 거리 변수 s를 0으로 초기화하고, 타이머를 0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단계 1302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1301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1303으로 진행한다. 단계 1303에서 엔진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면 단계 1301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1304에서 교통 구간이 바뀌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교통 구간이 바뀐 경우에는 역시 단계 1301로 되돌아간다. 요컨대,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이거나,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거나, 교통 구간이 바뀐 경우에는 단계 1301로 되돌아가서 거리 변수 s를 0으로 초기화하고, 타이머를 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단계 1302 및 단계 1303에서 단계 1301로 되돌아가기 전에 일정 기간 프로세스를 대기시켰다가 단계 1301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통상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거나 엔진이 작동되지 않는 기간이 데이터 처리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데이터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 1302 내지 단계 1304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서 수행하여도 됨을 알 수 있다.
단계 1305에서 타이머의 시간이 일정 시간(즉 t1)이 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t1은 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단위 시간을 의미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단계 13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308에서 잠시 대기한 후 단계 1302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대기중인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단계 1302로 되돌아가는 대신에 바로 단계 1305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단계 1305에서 일정 시간이 되었으면, 단계 1306에서 거리측정기의 거리(s)를 입력하여, 단계 1307에서 속도를 산출한다. 즉, 속도(v)=거리(s)/시간(t1)에 따라 속도를 산출한다.
한편, 거리측정기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차륜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주행 거리(s)를 산출하는 것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교통 정보 수집 장치(200) 내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서 수행되는 속도 갱신 방법은 일정 주기마다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PCS폰과 같은 이동전화기(201)가 기지국(701)으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요구(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서 교통 정보 단말기에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방법들은 각각 인터럽트 또는 폴링(polling)에 의해 루틴이 시작되도록 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갱신 방법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단계 1401에서 PCS폰 등과 같은 이동전화기(201)를 통해서 전송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그러한 요구가 없다면 그러한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한 요구가 있는 경우 단계 1402로 진행하여 차량의 상태 등을 읽어들인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에 결합되어 있는 각종 센서 및 신호선들을 통해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입력한다. 이어서, 단계 1403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으로 구성하고, 단계 1404에서 PCS폰 등과 같은 이동전화기(201)를 통해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기지국(701)으로 전송한다. PCS폰과 같은 이동전화기(201)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정보 채널 및 제어 채널에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실을 수 있다.
특히 제어 채널을 이용시 기지국 또는 제어국에서 위치 등록 추적 접속 또는 단말기의 제어 명령을 내릴 때 상기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이들 데이터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외에 기지국마다 소정 저장 공간에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따로 저장 및 갱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차량 수집 교통 정보만을 교통 정보 관제 센터(702)로 전송하여 해당 지역의 교통 정보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00m ∼ 5㎞ 정도의 작은 단위로 지역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해당 도로의 데이터를 찾는 시간을 단축시켜 프로세싱을 고속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갱신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계 1411에서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단계 1411에서, 일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검사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단계 1412에서 차량의 상태 등을 입력한다. 이어서, 단계 1413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차량 수집 교통 정보 포맷으로 구성하고, 단계 1414에서 PCS폰 등과 같은 이동전화기(201)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한다. 도 14b의 도시된 방법의 경우에는 PCS폰 등에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기지국(701)으로부터 차량 수집 교통 정보에 대한 전송 요구를 수신하면 이를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203)는 교통 정보 서비스 수신 기능이 합체되어 하나의 교통 정보 단말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나의 교통 정보 단말기로 구성하고, 도 10 및 도 11의 GPS(202)를 DGPS(차분 GPS)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DGPS에서 필요로 하는 보정 신호를 서비스중인 교통 상황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채널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보정 신호를 자주, 예를 들어 10초마다 보내면, 위치를 정밀하게 나타낼 수가 있으나, 지나치게 자주 교정 정보를 보내는 방법은 통신량을 증가시키므로 전송 주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30초 또는 1분마다 교통 정보를 보내고, 차량 위치 속도 정보는 매 1분 또는 30초단위로 측정하고, 교정정보가 왔을 때 위치를 정밀하게 계산하여(도 14의 단계 1413에서), PCS(셀룰라폰) 등에 데이터를 전송하고(도 14의 단계 1414에서), 기지국에서 PCS 등에 데이터를 요구할 때 이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DGPS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위치오차가 극히 작은 경우에는 도 3의 정밀 서브필드를 "0"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무선망(예를 들어 ATM 망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테나 및 그에 부합하는 통신부를 제어기 내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 따르면, 운행 중인 차량의 위치를 계속해서 추적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에 따른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법은 해당 차량을 계속 추적하여 위치 데이터를 얻고 이에 기초하여 관제 센터 등에서 특정 도로의 속도를 연산하였기 때문에, 계속적인 위치 파악을 위해 통신량이 많을 뿐 아니라, 특정 차량의 추적에 실패하면 이미 축적하였던 위치 데이터들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콘 또는 영상 감지기를 통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의 차량으로부터 당해 차량이 운행 중인 도로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그 도로의 속도 정보 및 당해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의 방향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1회의 전송만으로도 당해 도로에 관한 교통 정보를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통신량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속도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교통 상황 분석의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당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면서도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 감지기, 스피드건 또는 폐루프 등은, 차량의 진행 대수 또는 차량의 속도를 알 수는 있으나, 교통 정보의 서비스를 행하고자 하는 모든 도로에 이들 검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에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들이 노상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상 변화 등에 의한 요인으로 고장 등이 자주 일어난다. 또한 이러한 감지기들에서 수집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하여 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시설 비용도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의 경우 서울에만 수백억에서 1000 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 또 이들 시설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토지 점유 비용 또는 적적한 장소를 임대하는 것도 쉬운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설치에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실상 이동전화기 및 GPS(202) 단말기와 결합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바람직하게는 교통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기능이 합체된 교통 정보 단말기)만 보급하는 것으로 이들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교통 정보 단말기(교통 정보 수신 기능)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합체하여 하나의 단말기로 구성하는 데에는 와 이들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교통 정보의 수집 및 가공 처리된 교통 정보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9)

  1. 이동전화기 및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인 도로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도로 방향을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요구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진행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정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엔진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교통 사고를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는 충돌, 추돌, 전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접속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의 요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가 정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데이터 및 그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차륜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속도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평균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기는 PCS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이동전화기와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간의 통신 채널중 정보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이동전화기와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간의 통신 채널중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9.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기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는 기지국 내에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이 저장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 요구가 있을 때마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구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 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도 상기 기지국 내에 함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기지국에 소정 통신망을 통해서 결합되는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는 복수의 기지국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 요구가 있을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기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구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센터 내에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 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도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구역에 관련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구역에 속하는 모든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통계학적인 방법에 따라 복수의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차량으로 복수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된 경우에 오래된 것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최고 속도를 그 도로의 속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통계학상 신뢰할 수 없는 일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에 근거하여 당해 도로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하루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일주일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특수한 교통 상황이 발생하는 날인 경우에,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전년도 같은 날의 같은 시간대의 도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같은 시간대의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들을 통계학적으로 처리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을 평균하는 것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을 구하는 것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의 중간값을 구하는 것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사고 관련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 관련 데이터인 경우 긴급 구조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포함되는 구간 지도-여기서, 구간 지도는 도로가 있는 위치와 그 도로가 속하는 구간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내에 구간 지도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4.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소정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인 도로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도로 방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진행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정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엔진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교통 사고를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는 충돌, 추돌, 전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4.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가 정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5.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데이터 및 그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6.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차륜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7.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속도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평균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8. 제47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들로부터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구역에 관련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구역에 속하는 모든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통계학적인 방법에 따라 복수의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최고 속도를 그 도로의 속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통계학상 신뢰할 수 없는 일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에 근거하여 당해 도로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하루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일주일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5. 제62항에 있어서,
    특수한 교통 상황이 발생하는 날인 경우에,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전년도 같은 날의 같은 시간대의 도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같은 시간대의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들을 통계학적으로 처리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7.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포함되는 구간 지도-여기서, 구간 지도는 도로가 있는 위치와 그 도로가 속하는 구간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6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내에 구간 지도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70. 복수의 차량들에 각각 탑재되는 복수의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도로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가공 처리된 교통 상황 정보들이 수록되는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구역에 속하는 도로에서의 구간 속도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통 정보 관제 센터에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구역에 관련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들을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도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구역에 속하는 모든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통계학적인 방법에 따라 복수의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구간 속도를 상기 교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차량으로 복수의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수집된 경우에 오래된 것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최고 속도를 그 도로의 속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 도로 구간 및 도로 방향에 대해서 수집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통계학상 신뢰할 수 없는 일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에 근거하여 당해 도로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하루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일주일 전의 같은 시각의 당해 도로의 속도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7. 제74항에 있어서,
    특수한 교통 상황이 발생하는 날인 경우에,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전년도 같은 날의 같은 시간대의 도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8.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과거 속도는 같은 시간대의 당해 도로의 과거 속도들을 통계학적으로 처리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79.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을 평균하는 것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80.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을 구하는 것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8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학적인 방법은 복수의 속도 데이터들의 중간값을 구하는 것인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8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된 차량 수집 교통 정보가 사고 관련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 관련 데이터인 경우 긴급 구조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8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 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내에 포함되는 구간 지도-여기서, 구간 지도는 도로가 있는 위치와 그 도로가 속하는 구간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84. 이동전화기 및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GPS 단말기)에 결합되는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인 도로 방향을 산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상기 도로 방향을 더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수집 교통 정보는 차량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진행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주·정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데이터는 엔진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1.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교통 사고를 일으켰는지를 나타내는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관련 데이터는 충돌, 추돌, 전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3.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가 정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4.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데이터 및 그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5.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차륜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6.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속도계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7. 제86항에 있어서,
    도로가 도로 방향 및 위치에 따라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되어 있는 구간 지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및 시간 데이터와 상기 구간 지도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8.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9. 제44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역 측위 시스템(GPS)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49119A 1998-11-16 1998-11-16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00032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19A KR20000032614A (ko) 1998-11-16 1998-11-16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AU11866/00A AU1186600A (en) 1998-11-16 1999-11-16 Traffic data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gps device and speed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hicle-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PCT/KR1999/000686 WO2000030058A1 (en) 1998-11-16 1999-11-16 Traffic data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gps device and speed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vehicle-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19A KR20000032614A (ko) 1998-11-16 1998-11-16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614A true KR20000032614A (ko) 2000-06-15

Family

ID=1955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119A KR20000032614A (ko) 1998-11-16 1998-11-16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00032614A (ko)
AU (1) AU1186600A (ko)
WO (1) WO200003005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7A (ko) * 1999-10-28 2001-05-15 이우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 시스템
KR100478180B1 (ko) * 2002-08-27 2005-03-22 주식회사 옵투스 차량속도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529015B1 (ko) * 2002-10-16 2005-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정보 수집시스템 및 방법
KR100696800B1 (ko) * 2005-01-03 2007-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KR100726567B1 (ko) * 2000-08-21 2007-06-11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73791A (ko) * 2014-12-17 2016-06-27 (주)에이텍티앤 차량 단말기의 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교통 흐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90874B1 (es) * 2001-06-11 2004-06-16 Universidad De Alcala Sistema y metodo para el control de la velocidad e identificacion de la posicion de un vehiculo.
US7457835B2 (en) 2005-03-08 2008-11-25 Cisco Technology, Inc. Movement of data 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to a storage location closest to a center of activity for the data
KR20060119746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60119739A (ko) * 2005-05-18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간 통과시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방법 및 장치
US7729335B2 (en) 2005-05-18 2010-06-01 Lg Electronics Inc.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relating to a prediction of congestion status and using the same
KR20060122668A (ko) * 2005-05-27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수신 장치
CA2562202C (en) 2005-10-05 2013-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CA2562427C (en) 2005-10-05 2012-07-10 Lg Electronics Inc. A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CA2562206C (en) 2005-10-05 2012-07-10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CA2562220C (en) 2005-10-05 2013-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US7668209B2 (en) 2005-10-05 2010-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CA2562212C (en) 2005-10-05 2012-07-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CA2562209C (en) 2005-10-05 2011-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CN104217593B (zh) * 2014-08-27 2016-05-2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面向手机移动速度的路况信息实时获取方法
CN104751642B (zh) * 2015-03-11 2016-10-26 同济大学 一种高等级道路交通流运行风险实时预估方法
US9704398B2 (en) 2015-09-14 2017-07-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driver situational awareness
CN105632193B (zh) * 2015-12-25 2017-12-22 银江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时空关联性的数据缺失路段速度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7536B (en) * 1993-07-07 1998-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DE19643454C2 (de) * 1996-10-10 2003-08-21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mittlung von Daten zur Verkehrslagebeurteil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7A (ko) * 1999-10-28 2001-05-15 이우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 시스템
KR100726567B1 (ko) * 2000-08-21 2007-06-11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78180B1 (ko) * 2002-08-27 2005-03-22 주식회사 옵투스 차량속도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529015B1 (ko) * 2002-10-16 2005-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정보 수집시스템 및 방법
KR100696800B1 (ko) * 2005-01-03 2007-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KR20160073791A (ko) * 2014-12-17 2016-06-27 (주)에이텍티앤 차량 단말기의 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교통 흐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86600A (en) 2000-06-05
WO2000030058A1 (en)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2614A (ko)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US5504482A (en) Automobile navigation guidance, control and safety system
US11846522B2 (en) Warning polygons for weather from vehicle sensor data
US7406382B2 (en) System for determining weather information and providing ambient parameter data
US8099236B2 (en) GPS navigator
US7142979B1 (en) Method of triggering the transmission of data from a mobile asset
US69521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osition
US20110313633A1 (en) Device for navigating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of navigating the same
US20100057334A1 (en) Method and system to estimate vehicle traffic conditions
US20080162028A1 (en) Traffic congestion degree determination device, traffic congestion degree notification device, and program
CA2227651A1 (en) A proces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moving bodies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JP2004525454A (ja) 渋滞レベルに応じた道路料金(roadtariff)による交通管制システム(trafficcontrolsystem)
US20070027572A1 (en) Vehicle-mounted information indication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2901503A (zh) 导航信息发送系统和发送方法
CN102479394A (zh) 通行费信息通信系统、交通信息接收路线选择系统及方法
JPH09180094A (ja) 航法装置と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0169538A (ja) 通信型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80082156A (ko) 이동 통신을 이용한 동적 내비게이션 시스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방
JP200213106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基地局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道路交通情報システム
JPH09145386A (ja) 親局制御運行支援及び管理方法、移動体の位置決め方法
JP2001307276A (ja) 交通情報システム、交通情報システム用基地局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US7546201B2 (en) Method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bill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JP2004274414A (ja) 車載情報システム
JPH06162392A (ja) Mcaを使用した位置情報収集装置
EP1726916A1 (en) An off-board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