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530A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32530A KR20000032530A KR1019980049007A KR19980049007A KR20000032530A KR 20000032530 A KR20000032530 A KR 20000032530A KR 1019980049007 A KR1019980049007 A KR 1019980049007A KR 19980049007 A KR19980049007 A KR 19980049007A KR 20000032530 A KR20000032530 A KR 200000325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cam
- burring
- slide
- punc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10—Manufacture by removing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4C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4C2230/23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 홀의 피어싱과 버링을 동시에 내부에서 외부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캠작용을 안내하고 복귀시킬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한다.
그 슬라이드 구조는, 슬라이드 경사캠면(211',215')이: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으로 펀치 슬라이더(21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진한 후에 그 캠슬라이더(211)가 하강하는 때에 그 펀치 슬라이더(215)를 복귀시키도록 캠슬라이더(211)와 펀치 슬라이더(215)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되게 형성되는 복귀 슬라이드면(211d,215d); 및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시에 서로 미끄럼접촉운동으로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운동을 펀치 슬라이더(215)의 전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캠작용에 의해 피어싱 및 버링 가공을 수행하도록 캠슬라이더(211)와 펀치 슬라이더(215)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되게 형성되는 가압슬라이드면(211e,215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상세하게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 홀의 피어싱과 버링을 동시에 내부에서 외부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캠작용을 안내하고 복귀시킬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에어컨용 로타리형 압축기(100)는, 미들쉘(101), 상부쉘(102) 및 하부쉘(103)로 외부 케이스가 구성되며, 그 미들쉘(101)에는, 도 1에서 상부에 스테이터(111)와 로터(112)가 조립된 모터 조립체(110)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하부에는 그 모터 조립체(110)로부터의 축(113)을 개재하여 구동되는 펌프조립체(120)가 고정된다. 상부쉘(102)은 미들쉘(101)의 상부를 밀폐시키며, 그 상부 표면에 배선단자(114)가 설치된 채, 단자커버(115)가 조립되고, 그 미들쉘(101)의 하단부는 하부쉘(103)에 의해 밀폐되고, 그 하부쉘(103)의 바닥에 베이스 플레이트(104) 및 압축기 받침대(105)가 부착되며, 그 압축기 받침대(105)를 개재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들쉘(101)에는 펌프조립체(120)의 흡입구로 어큐뮬레이터(130)를 연결시키도록 버링홀(80")와 연결파이프(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반중과 같이 비사용의 경우, 흡입 플러그(131)로 어큐뮬레이터(130)의 입구가 폐쇄된다. 또, 펌프조립체(120)의 토출구에 냉매의 공급파이프 연결관(132)이 미들쉘(101)을 개재하여 펌프조립체(120)의 토출구에 유사하게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비사용시 플러그(133)로 그 출구가 폐쇄된다.
상술한 구조의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100)에 있어서 미들쉘(101)은, 그 내주에 모터 조립체(110) 및 펌프조립체(120)를 설치하기 위해, 특히 로터(112)와 스테이터(111)의 간극을 위해 진원도가 30μ이하로 정밀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제조방법의 구성이 개략공정도로서 도시된다. 도 2에서 그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제조방법은, 블랭킹 단계(S1), 롤 벤딩 단계(S2), 쉬링킹 단계(S3), 쉘 용접 단계(S4), 브러슁 단계(S5), 1차 익스팬딩 단계(S6), 사이드 컷팅 단계(S7), 피어싱 단계(S8), 버링 단계(S9), 브라켓 용접 단계(S10), 브레이징 단계(S11) 및 2차 익스팬딩 단계(S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블랭크(10)가 롤(10')로부터 소정의 전개된 크기로 블랭킹 다이(11)와 블랭킹 펀치(12)를 이용하여 절단되어 제조되고, 상기 롤 벤딩 단계(S2)에서는, 블랭크(10)가 다수의 하부 롤(21)과 상부 롤(22)사이로 통과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롤 벤딩된 쉘(20)은, 쉬링킹 단계(S3)에서 용접이 가능도록 양단부 사이의 틈새(20')가 소성변형가공공구인 하부 쉬링킹 금형(31)과 상부 쉬링킹 금형(32)에 의해 작은 양의 틈새(30')로 수축되고, 내경과 외경의 진원도가 향상된다.
그 뒤, 그 쉘 용접 단계(S4)에서는 쉘(30)을 용접지그(41)에 배치하고 용접토치(42)에 의해 용접부(40')가 용접된다. 그 용접된 쉘(40)은, 브러슁 단계(S5)에서 쉘 받침대(51)상에 배치되고 회전하는 브러쉬(52)로 이동하면서 용접부(40')의 슬래그가 제거된다. 그 브러슁된 쉘(50)은, 1차 익스팬딩 단계(S6)에서 1차 팽창 죠우(61)의 외주에 배치되고 1차 팽창 콘(62)의 하강운동에 의해 1차 죠우 가이드(63)에 안내되어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1차 팽창 죠우(61)에 의해 그 브러슁된 쉘(50)이 소정의 직경의 원통으로 팽창되게 된다.
그 1차 팽창쉘(60)은, 사이드 컷팅 단계(S7)에서 쉘 파지 콘(72)과 쉘 파지 죠우(71)에 의해 파지된 후, 컷터(73)에 의해 그 양단부가 소정의 크기로 절삭기계가공되고 상부쉘(102)과 하부쉘(103)의 결합부(70')가 기계가공된다.
그와 같이 하여 결합부가 가공된 쉘(70)로부터 피어싱 홀(80')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단계(S8)는, 피어싱 콘(81), 피어싱 펀치(82) 및 피어싱 죠우(8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피어싱된 쉘(80)로부터 버링홀(80")를 형성하기 위해 버링 단계(S9)가 수행되며, 그 버링단계(S9)에서는, 쉘 위치설정부재(88)에 의해 그 피어싱된 쉘(80)을 배치시킨 후, 작동캠(86)에 의해 버링캠(87)이 왕복운동함으로써 버링홀(80")가 형성될 수 있다.
그 뒤, 브라켓 용접 단계(S10)에서 그 버링된 쉘(90)을 쉘 지지부재(91)에 의해 지지시킨 채, 스포트 용접 전극(92)에 의해 그 쉘(90)에 고정 브라켓(90')을 용접시키며, 브레이징 단계(S11)에서 쉘(90)의 버링홀(80")에 연결관(90")을 브레이징 토치(93)로 접합시킨 후, 최종의 쉘 내부 원통 직경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 2차 익스팬딩 단계(S12)가 실시된다. 그 2차 익스팬딩 단계(S12)에서는 1차 익스팬딩 단계(S6)에서와 유사하게 쉘(90)이 2차 팽창 죠우(96)의 외주에 삽입,배치된 후, 2차 팽창 콘(97)과 2차 죠우 가이드(98)에 의해 2차 팽창 죠우(96)를 방사상으로 확장시켜 정밀한 내경을 지니는 2차 팽창 쉘(95)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용접, 브레이징후에 이로 인한 열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내경을 2차로 확대함으로써 30μ이하의 진원도의 높은 정밀도를 지니는 설계된 치수로 정밀하게 가공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공정중 버링단계(S9)에서 쉘(80)에 펌프조립체(120)로의 냉매의 유입,토출되는 연결관(90")이 기밀되게 고정되는 버링홀(80")을 가공하기 위해 피어싱과 버링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며, 잦은 로딩과 언로딩으로 인해 쉘(80)의 내주면의 진원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버링홀(80")을 위한 피어싱후에 버링을 하기 때문에 서로 완전하게 일치되지 아니하여 버링홀(80")의 가공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 캠슬라이드구조로 하는 경우에도, 피어싱과 버링의 가공압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슬라이드 캠작용이 요구되지만, 쉘(80)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큰 캠작용력을 얻는 것이 매우 곤란하며, 나아가, 캠슬라이드 구조로의 가공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 홀의 피어싱과 버링을 동시에 내부에서 외부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캠작용을 안내하고 복귀시킬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캠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에어컨 압축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제조방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구조가 채용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4-4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캠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도 5의 선 6-6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80: 쉘(결합부가 가공된 것) 80': 피어싱 홀
80": 버링홀 200: 버링장치
201: 연결부재 202: 고정너트
203: 돌출플레이트 205: 베이스 플레이트
210: 버링펀치부 211: 캠슬라이더
211',215': 슬라이드 경사캠면 211": 암나사공
211a: T형 분리안내블럭 211b: 블록설치홈
211c: 경사면 211d,215d: 복귀 슬라이드면
211e,215e: 가압슬라이드면 211f,215f: 측면 슬라이드면
211g: 볼트삽입공 211h: 고정볼트
212: 승강 안내블럭 212': 플랜지
212",217': 고정볼트 212a: 안내설치공
212b: 스토퍼 213: 세팅 링
215: 펀치 슬라이더 216: 버링 펀치
216': 고정너트 217: 가이드 플레이트
220: 버링다이부 221: 왕복운동블럭
222: 다이블럭 223: 버링다이
230: 스크랩 제거부 250: 로케이션 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구조는, 미들쉘, 상부쉘 및 하부쉘로 외부 케이스가 구성되며, 내주 상부에 스테이터와 로터로 된 모터 조립체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하부에는 그 모터 조립체로부터의 축을 개재하여 구동되는 펌프조립체가 용접, 고정되는 에어컨 로타리압축기의 미들쉘에서, 그 펌프조립체로의 냉매의 유입,토출되는 연결관이 기밀되게 고정되는 버링홀을 가공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되게 배치된 유체실린더와 같은 왕복운동기구의 연결부재와, 고정너트와 돌출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해체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슬라이드 경사캠면이 형성된 대략 원형단면의 캠슬라이더와, 외주에 쉘이 삽입되며, 내주가 그 캠슬라이더의 외주에 미끄럼접촉으로 그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플랜지 및 고정볼트를 개재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각 펀치 슬라이더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안내설치공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승강 안내블럭와, 상기 캠슬라이더의 슬라이드 경사캠면과 미끄럼접촉, 캠작용을 하여 그 캠슬라이더의 승강운동을 반경방향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드 경사캠면이 형성되고, 반경방향운동이 상기 승강 안내블럭의 안내설치공에 안내되며, 피어싱과 동시에 버링가공을 수행하는 버링 펀치가 고정된 펀치 슬라이더와, 상기 펀치 슬라이더에 각각 방사상으로 대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왕복운동블럭에 다이블럭을 개재하여 고정되며 피어싱과 동시에 버링가공을 수행하는 버링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경사캠면이: 상기 캠슬라이더의 상승으로 펀치 슬라이더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진한 후에 그 캠슬라이더가 하강하는 때에 그 펀치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도록 캠슬라이더와 펀치 슬라이더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되게 형성되는 복귀 슬라이드면; 및 상기 캠슬라이더의 상승시에 서로 미끄럼접촉운동으로 그 캠슬라이더의 상승운동을 펀치 슬라이더의 전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캠작용에 의해 피어싱 및 버링 가공을 수행하도록 캠슬라이더와 펀치 슬라이더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되게 형성되는 가압슬라이드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슬라이드면과 복귀 슬라이드면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그 캠슬라이더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가압슬라이드면과 복귀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T형 분리안내블럭이 그 경사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에 블록설치홈을 형성하고, 그 블록설치홈에 T형 분리안내블럭이 삽입된 후에 그 블록설치홈에 형성된 암나사공 및 T형 분리안내블럭에 형성된 볼트삽입공을 개재하여 고정볼트에 의해 T형 분리안내블럭이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T형 분리안내블럭의 양 측면에 의해 펀치 슬라이더가 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면이 T형 분리안내블럭과 펀치 슬라이더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구조가 채용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구성이 상부 평면도로서 도시되며, 도 4에는 도 3의 선 4-4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는 도 4에서의 캠슬라이더의 슬라이드부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며, 도 6에는 도 5의 선 6-6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는, 대략 원형단면의 캠슬라이더(211), 대략 원통형상의 승강 안내블럭(212), 버링 펀치(216), 펀치 슬라이더(215) 및 버링다이(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1)은, 상하로 승강되게 배치된 유체실린더와 같은 왕복운동기구의 연결부재(201)로서, 고정너트(202)와 캠슬라이더(211)의 돌출플레이트(203)를 개재하여 해체가능하게 캠슬라이더(211)가 그 연결부재(201)에 연결된다.
그 캠슬라이더(211)는, 도 3 및 도 4에서 통상적으로 원형단면으로서 상부에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하로 그 유체실린더의 연결부재(201)와 함께 승강 안내블럭(212)에 안내되어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은, 가압슬라이드면(211e),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복귀 슬라이드면(211d)은,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으로 펀치 슬라이더(21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진한 후에 그 캠슬라이더(211)가 하강하는 때에 그 펀치 슬라이더(215)를 복귀시키도록 캠슬라이더(211)에 형성되고, 가압슬라이드면(211e)은,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시에 서로 미끄럼접촉운동으로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운동을 펀치 슬라이더(215)의 전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캠작용에 의해 피어싱 및 버링 가공을 수행하도록 캠슬라이더(211)에 형성된다. 이 경우, 가압슬라이드면(211e)의 면적을 복귀 슬라이드면(211d)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한다.
상기 측면 슬라이드면(211f)은,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의 양 측면에 의해 펀치 슬라이더(215)가 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캠슬라이더(211)에 형성된다.
또, 그 가압슬라이드면(211e)과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면에 경사면(211c)을 형성하고, 그 가압슬라이드면(211e)과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이 형성된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상기 경사면(211c)에 고정되며, 또한, 그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211c)에 블록설치홈(211b)을 형성하고, 그 블록설치홈(211b)에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삽입된 후에 그 블록설치홈(211b)에 형성된 암나사공(211") 및 T형 분리안내블럭(211a)에 형성된 볼트삽입공(211g)을 개재하여 고정볼트(211h)에 의해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을 가압슬라이드면(211e),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캠슬라이더(211)의 승강운동을 간단하게 펀치 슬라이더(215)의 반경방향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더욱 가압슬라이드면(211e,215e)의 접촉 면적을 복귀 슬라이드면(211d)의 접촉면적보다 넓게 하여 피어싱 및 버링가공을 위해 큰 가공력에 견딜 수 있고, 이때, 작용하는 면압을 낮출 수 있어 마모를 감소시켜 내구성과 가공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형 분리안내블럭(211a)으로 그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을 형성함으로써 가공시 분리하여 보다 정밀하게 슬라이드 면의 가공을 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필요한 경우, 펀치 슬라이더(215)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5')과의 조합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도 5에서 빗금부분으로 도시한 부분은 최종적으로 캠슬라이더(211)의 원주면 및 상면가공시 동시에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면(211c)을 미끄럼 접촉시키지 아니하는 때에는 더욱 블록설치홈(211b)만을 정밀가공함으로써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의 조립을 위한 가공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안내블럭(212)은, 그 외주에 쉘(80)이 삽입되며, 그 내주가 그 캠슬라이더(211)의 외주에 미끄럼접촉으로 그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플랜지(212') 및 고정볼트(212")를 개재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5)에 고정된다. 또한, 각 펀치 슬라이더(215)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안내설치공(212a)이 그 승강 안내블럭(212)의 형성된다.
또, 캠슬라이더(211)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에 접촉하여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승강 안내블럭(212)의 내주면에 스토퍼(212b)가 고정되게 부착된다. 즉, 스토퍼(212b)의 하단면은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버링 펀치(216)의 반경방향 운동을 제한하여 피어싱과 버링을 동시에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펀치 슬라이더(215)에는, 캠슬라이더(211)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1')과 미끄럼접촉, 캠작용을 하여 그 캠슬라이더(211)의 승강운동을 반경방향운동으로 전환하며, 그 캠슬라이더(211)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경사캠면(215')이 형성되고, 그 펀치 슬라이더(215)의 반경방향운동이 상기 승강 안내블럭(212)의 안내설치공(212a)에 의해 안내되도록 그 승강 안내블럭(212)의 안내설치공(212a)에 설치되며, 버링 펀치(216)가 각각 펀치 슬라이더(215)에 고정되어 함께 방사상으로 운동하게 된다. 그 버링 펀치(216)의 고정방법의 일예로 도 5에서 펀치 슬라이더(215)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형성되는 펀치설치공(215a)에 펀치헤드(216")가 삽입되고, 그 펀치헤드(216")의 외면을 가압하여 버링 펀치(216)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216')가 고정너트삽입공(215b)의 측벽부 암나사부(215c)에 체결된다.
상기 펀치 슬라이더(215)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5')도, 상기 가압슬라이드면(211e),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과 접촉하여 마끄럼운동하도록 그 가압슬라이드면(211e), 복귀 슬라이드면(211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1f)에 대응되게 가압슬라이드면(215e), 복귀 슬라이드면(215d) 및 측면 슬라이드면(215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버링다이(223)는, 각각 다이블럭(222)에 고정되고, 그 다이블럭(222)은, 상기 펀치 슬라이더(215)에 각각 방사상으로 대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5)상에서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왕복운동블럭(221)에 고정되며, 쉘(80)이 승강 안내블럭(212)의 외주에 배치되면, 먼저, 그 다이블럭(222)이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왕복운동블럭(221)와 함께 전진하여 쉘(8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왕복운동블럭(2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블럭(222)의 하부에는 형성되지 아니하고, 버링다이(223)로부터 스크랩이 후퇴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스크랩 배출통로(221")가 형성되며, 그 왕복운동에 따른 스크랩 배출통로(221")의 왕복이동거리사이에 걸쳐 버링스크랩을 수집하도록 스크랩 제거부(2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5)에 설치된다.
또한, 피어싱홀(80')이 도 2에서와 같이 버링 단계(S9)이전에 가공되는 경우에는, 그 피어싱홀(80')을 기준으로 버링홀(80")의 가공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쉘(80)의 로딩시에 그 피어싱홀(80')에 삽입되고 언로딩시에 이탈되는 로케이션 핀(25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케이션 핀(250)에 의해 이미 가공되어 위치설정의 기준으로 되는 피어싱 홀(80')을 이용함으로써 버링홀(80")의 위치가 정밀하게 설정되어 가공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쉘(80)이 승강 안내블럭(212)에 로딩되고, 로케이션 핀(250)이 전진하면, 왕복운동블럭(221)이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전진하여 버링다이(223)와 다이블럭(222)이 쉘(80)에 접촉하며, 그 뒤, 유체실린더와 같은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캠슬라이더(211)가 상승하여 펀치 슬라이더(215)를 방사상 외측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버링다이(223)에 대해 버링 펀치(216)의 작용으로 그 쉘(80)로부터 피어싱 및 버링가공이 동시에 수행되어 버링 홀(80")이 가공된다.
이와 같이하여 발생한 버링스크랩은 펀치삽입공(223') 및 스크랩 배출통로(222")를 따라 스크랩 제거부(230)로 수집되며, 그 뒤, 버링 펀치(216)가 왕복운동기구 및 캠슬라이더(211)의 하강과 함께 후진하여 쉘(8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왕복운동블럭(221)이 후진하여 버링다이(223)를 다이블럭(222)과 함께 후진되며 로케이션 핀(250)이 도시가 생략된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후퇴됨으로써 쉘(80)을 언로딩시킬 수 있게 되고, 버링홀(80")의 가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펌프조립체(120)에 조립하기 위한 연결관(90")을 버링 홀(80')에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브레이징 용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구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을 형성함으로써 정밀한 가공으로 정밀한 미끄럼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고 보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 미들쉘(101), 상부쉘(102) 및 하부쉘(103)로 외부 케이스가 구성되며, 내주 상부에 스테이터(111)와 로터(112)로 된 모터 조립체(110)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하부에는 그 모터 조립체(110)로부터의 축(113)을 개재하여 구동되는 펌프조립체(120)가 용접,고정되는 에어컨 로타리압축기의 미들쉘에서, 그 펌프조립체(120)로의 냉매의 유입,토출되는 연결관(90")이 기밀되게 고정되는 버링홀(80")을 가공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되게 배치된 유체실린더와 같은 왕복운동기구의 연결부재(201)와, 고정너트(202)와 돌출플레이트(203)를 개재하여 연결부재(201)에 고정되고 해체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슬라이드 경사캠면(211')이 형성된 대략 원형단면의 캠슬라이더(211)와, 외주에 쉘(80)이 삽입되며, 내주가 그 캠슬라이더(211)의 외주에 미끄럼접촉으로 그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플랜지(212') 및 고정볼트(212")를 개재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5)에 고정되며, 각 펀치 슬라이더(215)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안내설치공(212a)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승강 안내블럭(212)와, 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슬라이드 경사캠면(211')과 미끄럼접촉, 캠작용을 하여 그 캠슬라이더(211)의 승강운동을 반경방향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드 경사캠면(215')이 형성되고, 반경방향운동이 상기 승강 안내블럭(212)의 안내설치공(212a')에 안내되며, 피어싱과 동시에 버링가공을 수행하는 버링 펀치(216)가 고정된 펀치 슬라이더(215)와, 상기 펀치 슬라이더(215)에 각각 방사상으로 대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5)상에서 왕복운동기구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왕복운동블럭(221)에 다이블럭(222)을 개재하여 고정되며 피어싱과 동시에 버링가공을 수행하는 버링다이(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경사캠면(211',215')이: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으로 펀치 슬라이더(21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진한 후에 그 캠슬라이더(211)가 하강하는 때에 그 펀치 슬라이더(215)를 복귀시키도록 캠슬라이더(211)와 펀치 슬라이더(215)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복귀 슬라이드면(211d,215d); 및상기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시에 서로 미끄럼접촉운동으로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승운동을 펀치 슬라이더(215)의 전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캠작용에 의해 피어싱 및 버링 가공을 수행하도록 캠슬라이더(211)와 펀치 슬라이더(215)에 서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압슬라이드면(211e,215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슬라이드면(211e,215e)과 복귀 슬라이드면(211d,215d)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그 캠슬라이더(211)의 상면에 경사면(211c)을 형성하고, 그 가압슬라이드면(211e)과 복귀 슬라이드면(211d)이 형성된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그 경사면(211c)에 고정되며;그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211c)에 블록설치홈(211b)을 형성하고, 그 블록설치홈(211b)에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삽입된 후에 그 블록설치홈(211b)에 형성된 암나사공(211") 및 T형 분리안내블럭(211a)에 형성된 볼트삽입공(211g)을 개재하여 고정볼트(211h)에 의해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이 고정될 수 있으며;상기 T형 분리안내블럭(211a)의 양 측면에 의해 펀치 슬라이더(215)가 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면(211f,215f)이 T형 분리안내블럭(211a)과 펀치 슬라이더(215)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007A KR20000032530A (ko) | 1998-11-16 | 1998-11-16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007A KR20000032530A (ko) | 1998-11-16 | 1998-11-16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530A true KR20000032530A (ko) | 2000-06-15 |
Family
ID=1955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9007A KR20000032530A (ko) | 1998-11-16 | 1998-11-16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32530A (ko) |
-
1998
- 1998-11-16 KR KR1019980049007A patent/KR200000325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02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 forming sheet material | |
US20060266092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battery case | |
US4569111A (en) | Apparatus for jointing plate materials | |
CN111203691B (zh) | 一种水表壳体的加工方法 | |
KR20000032530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의 슬라이드구조 | |
KR20000032529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장치 | |
KR20000032531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 버링장치의 펀치구조 | |
CN215616140U (zh) | 电机铁芯拼块焊接定位工装 | |
CN112756473B (zh) | 铜薄壁骨架制作新方法 | |
KR20000027105A (ko) | 에어컨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사이징을하는 익스팬딩장치 | |
JP3062109U (ja) | 管継手本体の製造装置 | |
KR20000027117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제조방법 | |
KR20000027113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3점피어싱장치 | |
KR20000032520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피어싱장치의 슬라이드 캠구조 | |
KR20000008732U (ko) | 탄성밴드에 의한 복귀죠우를 지니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미들쉘의 사이징을 위한 익스팬딩장침 | |
KR20000032524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 피어싱장치의 펀치장착구조 | |
KR20000032522A (ko) | 수평방향 스크랩발생장치의 스크랩제거장치 | |
KR20000032521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피어싱장치의 스크랩제거장치 | |
KR20000032782A (ko) |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버링가공시의 미들쉘 세팅지그 | |
KR20000027107A (ko) | 슬라이드키에 의해 안내 및 캠작용을 하는 에어컨 로타리형 압축기의 미들쉘의 사이징을 하는 익스팬딩장치 | |
KR960011543B1 (ko) | 고정밀 블랭킹 가공장치 및 그 방법 | |
JP2005315252A (ja) | 無膨張マットを巻いたセラミック触媒担体の収容外筒への圧入装着方法及び圧入装着装置 | |
CN111468659A (zh) | 一种电机壳体成形模具 | |
CN217700958U (zh) | 一种全尺寸自定位涨紧头 | |
CN217252064U (zh) | 一种管件冲槽加工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