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755A - 음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755A
KR20000031755A KR1019980047960A KR19980047960A KR20000031755A KR 20000031755 A KR20000031755 A KR 20000031755A KR 1019980047960 A KR1019980047960 A KR 1019980047960A KR 19980047960 A KR19980047960 A KR 19980047960A KR 20000031755 A KR20000031755 A KR 2000003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extraction
hot water
m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690B1 (ko
Inventor
나오또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riority to KR101998004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6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추출 수단(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추출 수단(20)을 포위하는 원적외선 방사판(61)을 가열 수단(62)으로 가열하여 원적외선 방사판(61)으로부터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추출 수단(20)을 가열하도록 했다. 그리고,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20a)과 추출 수단(20)으로 추출된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115)에 제1 및 제2 배기 수단(120, 121)을 독립하여 설치했다. 또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20a)과, 수용 수단(20a)이 수용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20)을 포위하는 포위 수단(67)과, 포위 수단(67)에 의해 포위된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68A, 68B)과, 수용 수단(20a)에 흡기구를 위치시키고, 포위 수단(67)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기구를 구비한 배기 수단(69, 71)을 마련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추출 원료로부터 커피, 홍차, 오룡차, 녹차 등을 추출하여 컵 판매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등의 추출 원료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컵 판매하는 종래의 음료 제조 장치로서,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된 것이 있다. 이 음료 제조 장치는 급수부(100A)와 음료 제조부(100B)로 구성되어 있다.
급수부(100A)는 급수 밸브(101a)를 거쳐서 급수관(101b)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저장하는 저장소(101)와, 저장소(101)의 수도수를 냉각측 급수관(102A) 및 가열측 급수관(102B)으로 각각 압송하는 급수 펌프(102)와, 냉각측 급수관(102A)을 통과하는 수도수를, 냉각한 저장수로 냉각하는 냉각수 탱크(103)와, 냉각수 탱크(103)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시럽 쥬스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냉각측 급수관(102A)의 노즐(102A)로부터 토출시키는 냉각수 공급 밸브(104)와, 온수 탱크용 공급 밸브(102C)를 거쳐서 가열측 급수관(102B)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를 히터(105A)로 가열하여 소정 온도(예를 들어 95 ℃) 이상의 온수로 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105)와, 온수 탱크(105) 내의 온수를 레귤러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온수 공급관(107A)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밸브(106A)와, 온수 탱크(105) 내의 온수를 인스턴트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온수 공급관(107B)에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밸브(106B)와, 온수 공급관(107A, 107B) 내를 흐르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재가열 히터 블록(10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음료 제조부(100B)는 레귤러 커피용 분말 원료(이하, 추출 원료라 함)를 저장하고, 레귤러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추출구(109A)로부터 원료 슈트(110)를 거쳐서 후술하는 추출 장치(1)에 추출 원료를 공급하는 레귤러 커피 캐니스터(109)와, 추출 원료와 온수 공급관(108A)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혼합하여 레귤러 커피를 추출하여 음료 공급관(22C)에 공급하는 음료 추출 장치(10)와, 설탕을 저장하고, 설탕들이 레귤러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토출구(111A)로부터 원료 슈트(114)로 설탕을 공급하는 설탕 캐니스터(111)와, 인스턴트 커피 분말을 저장하고, 인스턴트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토출구(112A)로부터 원료 슈트(114)로 인스턴트 커피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인스턴트 커피 캐니스터(112)와, 밀크를 저장하고, 밀크들이 레귤러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의 판매 명령에 따라서 토출구(113A)로부터 원료 슈트(114)로 밀크를 공급하는 밀크 캐니스터(113)와, 원료 슈트(114)로부터 공급되는 설탕, 밀크 및 인스턴트 커피 분말 원료나 음료 공급관(22C)으로부터 공급되는 레귤러 커피, 또는 온수 공급관(107B)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판매 명령에 따른 커피 음료로서 노즐(115A)로부터 토출시키는 믹싱 볼(115)과, 복수의 컵(C)을 수용하고, 후술하는 컵 받침대(117)에 컵(C)을 공급하는 컵 공급 장치(116)와, 노즐(104A)로부터 토출하는 냉각수나 노즐(115A)로부터 토출하는 커피 음료, 또는 도시하지 않은 시럽 캐니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을 수용하는 위치에 컵 공급 장치(116)로부터 공급되는 컵(C)을 적재시키는 컵 받침대(117)와, 컵 받침대(117)의 하방에 배치되고, 폐기물을 수용하는 폐기 버킷(118)과, 음료 추출 장치(1) 및 믹싱 볼(115)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수증기 배출관(119A, 119B)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하고, 각 캐니스터(109, 111, 112, 113)의 토출구(109A, 111A, 112A, 113A)가 폐색하는 것을 방지하는 송풍기 팬(12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음료 추출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 레일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귤러 커피 캐니스터(109)로부터 공급되는 추출 원료와 온수 공급관(107A)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의 혼합체를 교반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실린더(20)와, 실린더(20)의 하방에 배치되고, 실린더(20)로부터 배출된 혼합체를 여과하는 페이퍼 필터(21)와, 페이퍼 필터(21)의 여과에 의해 토출된 레귤러 커피를 수용하여 음료 공급관(22C)으로 공급하는 음료 받침(22)과,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 및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를 거쳐서 실린더(20) 및 음료 받침(22)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5)와, 실린더(20) 내에 공급된 온수(혼합체)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20)를 가열하는 히터 블록(121)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20)는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실(20a)과, 추출 원료와 온수의 혼합체를 하방으로부터 배출하여 음료의 추출 공정이 행해지는 추출실(20b)을 구비하고, 수용실(20a)과 추출실(20b)은 도시하지 않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구(도시 생략)를 거쳐서 연통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 및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는 음료 추출 장치(1)의 추출 상태에 따라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교반 공정에서는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가 폐쇄되고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가 개방되어 에어 펌프(5)로부터 음료 받침(22)에 가압 공기를 이송하고, 추출 공정에서는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가 개방되고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가 폐쇄되어 에어 펌프(5)로부터 실린더(20) 상부에 가압 공기를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히터 블록(121)은 내부에 히터(121A)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출실(20b)의 외벽면에 부착됨으로써 실린더(20)를 가열하여 실린더(20) 내에 공급된 온수의 열이 실린더(20)에 의해 빼앗겨 미지근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레귤러 커피의 제조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탕, 밀크들이 레귤러 커피의 판매 명령이 있으면, 도시하지 않은 추출 모터가 동작하여 실린더(20)가 하강하고, 그 추출실(20b)의 바닥부와 음료 받침(2) 사이에 페이퍼 필터(21)를 협지하여 바닥부가 음료 받침(22)에 압접한다. 다음에, 실린더(30) 내의 연통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레귤러 커피 캐니스터(109)의 토출구(109A)로부터 추출 원료가 공급되고, 원료 슈트(110)를 통과해 실린더(20)의 수용실(20a)에 낙하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온수 공급 밸브(106A)가 개방되고, 온수 탱크(105) 내의 온수가 온수 공급관(107A)을 통해 재가열 히터 블록(108)에서 재가열된 후, 실린더(20)의 수용실(20a)로 공급되고, 추출 원료와 함께 추출실(20b)로 공급된다. 이 때, 음료 공급관(22C)의 음료 받침(22) 바로 뒤에 설치된 밸브(도시 생략)가 폐쇄되어 있으며, 추출실(20b) 내의 혼합체가 음료 공급관(22C)으로 유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시에 송풍기 팬(121)이 동작하고, 수용실(20a)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증기 배출관(119A)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가 폐쇄되고,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가 개방되는 동시에, 에어 펌프(5)가 동작하고, 음료 받침(22)으로 가압 공기가 이송된다. 음료 받침(22)으로 이송된 가압 공기는 페이퍼 필터(21)를 통과하여 실린더(20) 추출실(20b) 내로 유입하고, 추출실(20b) 내의 혼합체 속을 통과할 때, 그 기포의 흐름이 혼합체를 교반한다.
소정의 교반 시간이 경과하면, 에어 펌프(5)가 정지하고, 밸브가 변위함으로써 실린더(20)의 연통구가 폐색된다. 이 후, 음료 공급관(22C)의 밸브가 개방되고, 또한,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가 개방되고,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가 폐쇄된다. 그리고, 에어 펌프(5)가 동작하고, 추출실(20b)의 상부 공간에 가압 공기가 이송된다. 그 결과, 추출실(20b) 내의 혼합체가 하방으로 압송되고, 페이퍼 필터(21)로 여과되어 레귤러 커피로서 음료 공급관(22C)으로 이송된다.
음료 공급관(22C)으로 이송된 레귤러 커피는 믹싱 볼(115)에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설탕 캐니스터(111)의 추출구(111A) 및 밀크 캐니스터(113)의 추출구(113A)로부터 설탕 및 밀크가 토출되고, 각각 원료 슈트(114)를 거쳐서 믹싱 볼(115)에 공급됨으로써 믹싱 볼(115) 내에서 설탕, 밀크들이 레귤러 커피가 생성된다. 이 때, 믹싱 볼(115)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관(119B)을 거쳐서 송풍기 팬(12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믹싱 볼(115)에서 생성된 설탕, 밀크들이 레귤러는 노즐(115A)로부터 컵(C)에 주입된다.
이 음료 제조 장치에 따르면, 추출실(20b)의 외벽면에 부착된 히터 블록(121)에서 실린더(20)를 가열하고 있으므로, 교반에서 추출 과정 사이에 추출실(20b) 내 온수의 열이 실린더(20)에 의해 빼앗기기 어려워져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추출 음료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종래의 다른 음료 제조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19787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음료 제조 장치는 음료 추출 장치의 실린더나 음료 받침 등의 주요부를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케이스 내의 공기를 히터로 따뜻하게 데움으로써 주요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전자의 음료 제조 장치의 경우, 히터 블록에 의해 추출실을 국부적으로 가열해도 추출실의 외벽에서 방열하므로,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없다.
또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는 수용실의 배기와, 추출 음료에 밀크, 설탕 등을 첨가하는 믹싱 볼의 배기를 공통의 송풍기 팬에 의해 행하고 있으므로, 다른 음료의 판매가 발생해 믹싱 볼의 배기가 행해지면, 음료 추출 장치의 배기도 행해지게 되며, 전술한 방열이 조장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없다. 이 문제는 후자의 음료 제조 장치에도 공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추출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2는 도1의 A-A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정 검출 기구의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폐기 처리부의 요부 사시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제2, 제3의 공정 검출 센서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대기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폐기관의 폐색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교반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추출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찌꺼기 폐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찌꺼기 폐기 공정의 종료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추출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17은 종래의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 추출 장치
2 : 추출부
3 : 에어 펌프
4 : 폐기 처리부
5 : 에어 펌프
6 : 제어부
20 : 실린더
20a : 수용실
20b : 추출실
20c : 배출구
20d : 연통구
20e : 도입구
21 : 페이퍼 필터
21A : 축
21B : 필터 검출 레버
21C : 필터 잔량 검출 센서
22 : 음료 받침
22A : 고무 패킹
22B : 롤러
22C : 음료 공급관
22D : 폐기관
22a : 개구
23 : 밸브
24 : 추출 모터
25 : 감속기
25a, 25b : 출력축
25c : 키이
26 : 지지판
26a : 베어링
27A : 실린더 캠
27B : 밸브 캠
28A : 실린더 구동판
28B : 밸브 구동판
28a, 28b : 걸림 부재
29A : 실린더 캠 종동기
29B : 밸브 캠 종동기
30 : 인장 코일 스프링
31A, 31B, 31C : 연결 부재
32 : 레버
32a, 32b : 핀
33 : 연결 부재
34 : 인장 코일 스프링
40 : 폐기 처리 모터
41a : 출력축
35A : 제1 공정 검출판
35B : 제2 공정 검출판
35C : 제3 공정 검출판
35a : 돌기부
36A : 제1 공정 검출 센서
36B : 제2 공정 검출 센서
36C : 제3 공정 검출 센서
40 : 폐기 처리 모터
41 : 감속기
41a : 출력축
42A : 폐기관 개방 검출판
42B : 폐기관 폐쇄 검출판
42a : 돌기부
43A :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
43B :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
44 : 필터 이송 롤러
45 : 안내 롤러
46 : 압박판
46a : 지지축
47 : 고정판
48 : 압박 캠
48a : 돌기부
50 : 상부 공기 전자 밸브
51 : 하부 공기 전자 밸브
52 : 에어 파이프
53 : 음료 공급 전자 밸브
60 : 가열 기구
61, 61A : 금속판
62 : 히터
62A : 단자
62B : 히터 구동부
63 : 온수 도입구
64 : 수증기 배출구
65 : 온도 센서
66 : 단자
67 : 케이스
67A : 찌꺼기 배출구
67B : 폐기관 도출구
67C : 원료 슈트 도출구
68A, 68B : 히터
69 : 수증기 배출관
70 : 필터
71 : 송풍기 팬
100A : 급수부
100B : 음료 제조부
101 : 저장소
101a : 급수 밸브
101b : 급수관
102A : 냉각측 급수관
102B : 가열측 급수관
103 : 냉각수 탱크
104 : 냉각수 공급 밸브
104A : 노즐
105 : 온수 탱크
105A : 히터
106A, 106B : 온수 공급 밸브
107A, 107B : 온수 공급관
108 : 재가열 히터 블록
109 : 레귤러 커피 캐니스터
109A, 111A, 112A, 113A : 토출구
110 : 원료 슈트
111 : 설탕 캐니스터
112 : 인스턴트 커피 캐니스터
113 : 밀크 캐니스터
114 : 원료 슈트
115 : 믹싱 볼
115A : 노즐
116 : 컵 공급 장치
117 : 컵 받침대
118 : 폐기 버킷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추출 수단을 포위하고, 가열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원적외선 방사판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수용 수단이 수용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과, 수용 수단과 혼합 수단에 독립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배기 수단을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수용 수단이 수용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추출 수단을 포위하고 가열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원적외선 방사판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과, 수용 수단과 상기 혼합 수단에 독립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배기 수단을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수용 수단이 수용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수용 수단과 추출 수단을 포위하는 포위 수단과, 포위 수단에 의해 포위된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수용 수단에 흡기구를 위치시키고,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기구를 지닌 배기 수단을 구비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 추출 장치(1)를 도시한다. 또,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 추출 장치(1) 이외의 구성은 도17의 구성과 동일해지며, 각 인용 숫자, 부호를 그대로 채용하여 도시 및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음료 추출 장치(1)는 레귤러 커피 캐니스터(109)로부터 공급되는 레귤러 커피 분말 원료(추출 원료)와 온수 탱크(105)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의 혼합체로부터 레귤러 커피(이하, 음료라 함)를 추출하는 추출부(2)와, 찌꺼기 등을 폐기하는 폐기 처리부(4)와, 본 장치(1)의 각부에 가압 공기를 이송하는 에어 펌프(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추출부(2)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 레일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방으로부터 공급된 추출 원료와 온수의 혼합체를 교반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실린더(20)와, 실린더(20)의 하방에 배치되고, 실린더(20)로부터 배출된 혼합체를 여과하는 페이퍼 필터(21)와, 페이퍼 필터(21)의 여과에 의해 추출된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받침(22)과, 실린더(20)를 가열하여 추출되는 음료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가열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20)는 수증기 배출관(119A)에 접속된 수증기 배출구(64)를 갖고, 원료 슈트(110)로부터 공급되는 추출 원료와 온수 도입구(63)를 거쳐서 온수 공급관(107A)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실(20a)과, 추출 원료와 온수의 혼합체를 하방에 설치한 배출구(20c)로부터 배출하여 음료의 추출 공정이 행해지는 추출실(20b)을 갖고, 수용실(20a)과 추출실(20b)은 연통구(20d)로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20d)는 밸브(23)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추출실(20b)에는 에어 펌프(5)로부터의 가압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20e)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 기구(60)는 실린더(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실린더(20)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알루마이트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통형의 금속판(61)과, 원통형 금속판(61)의 외면에 부착되고, 단자(62A)에 후술하는 히터 구동부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금속판(61)을 가열하는 히터(62)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퍼 필터(21)는 회전 가능한 축(21A)에 롤 형상으로 세트되고, 후술하는 폐기 처리부(4)의 폐기 처리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도1의 좌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이퍼 필터(21)의 잔량 검출은 기단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부 혹은 선단부측이 롤 형상의 페이퍼 필터(21)에 항상 맞닿는 필터 검출 레버(21B)와, 페이퍼 필터(21)의 잔량이 적어져서 필터 검출 레버(21B)가 회전하여 스위칭 동작하고, 페이퍼 필터(21)가 사라진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6)에 출력하여 경보 출력 등에 제공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이 필터 잔량 검출 센서(21C)에 의해 행해진다.
음료 받침(22)은 상부에 개구(22a)를 구비하고, 개구(22)의 주위에 실린더(20)(배출구(20c))가 맞닿은 때, 혼합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패킹(22A)을 설치하고, 단부에 페이퍼 필터(21)의 주행을 안내하는 롤러(22B)를 구비하고, 하부에 음료를 컵측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관(22C) 및 음료를 폐기하는 폐기관(22D)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음료 공급관(22C)에는 음료 공급 전자 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추출부(2)는 추출 모터(24)와, 양측으로부터 출력축(25a, 25b)을 각각 돌출 설치하고, 추출 모터(24)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로 감속하는 감속기(25)와, 한 쪽 출력축(25a)의 일단부를 베어링(26a)에 의해 지지한 지지판(26)과, 한 쪽 출력축(25a)에 고정된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과, 실린더(20)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판(28A)과, 밸브(23)를 구동하는 밸브 구동판(28B)과, 실린더 구동판(28A)에 부착된 실린더 캠 종동기(29A)와, 밸브 구동판(28B)에 부착된 밸브 캠 종동기(29B)와, 실린더 구동판(28A)에 부착된 걸림 부재(28a)와 밸브 구동판(28B)에 부착된 걸림 부재(28b)에 양단부가 각각 걸리고, 실린더 구동판(28A)과 밸브 구동판(28B)을 서로 끌어당겨 실린더 캠 종동기(29A) 및 밸브 캠 종동기(29B)를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에 각각 접촉시키는 인장 코일 스프링(30)과, 실린더(20)와 실린더 구동판(28A)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31A, 31B, 31C)와, 밸브(23)를 선단부측의 핀(3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레버(32)와, 밸브 구동판(28B)에 부착되고, 핀(32b)에 의해 레버(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 부재(33)와, 레버(32)의 후단부측과 밸브 구동판(28B)에 부착된 걸림 부재(33)에 양단부가 각각 걸린 인장 코일 스프링(3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추출부(2)는 출력축(25a, 25b) 및 출력축(41a)이 각각 1회전함으로써 교반 공정, 추출 공정, 찌꺼기 폐기 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감속기(25)의 다른 출력축(25b)측에는 각 공정의 진행을 검출하는 공정 검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감속기(25)의 다른 출력축(25b)에는 제1, 제2 및 제3의 공정 검출판(35A, 35B, 35C)이 부착되고, 제1, 제2 및 제3 공정 검출판(35A, 35B, 35C)의 주위에는 제1, 제2 및 제3 공정 검출판(35A, 35B, 35C)의 회전 위치를 검출(예를 들어 차광에 의해 오프)하는 포토 센서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B, 36C)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 펌프(5)에는 추출실(20b)의 도입구(20e)와 음료 받침을 통과하는 에어 파이프(52)가 접속되고, 에어 파이프(52)에는 추출실(20b) 도입구(20e)의 전방단에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가, 또한, 음료 받침(22)의 전방단에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은 키이(25c)에 의해 한 쪽 출력축(25a)에 고정되어 있으며,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의 캠면은 도2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3은 공정 검출 기구의 사시도이다. 제1 공정 검출판(35A)에는 2군데에 약 90。에 걸쳐서 돌기부(35a)가 형성되고, 제2 공정 검출판(35B)에는 4군데에 약 70。에 걸쳐서 돌기부(35a)가 형성되고, 제3 공정 검출판(35C)에는 한 군데에 약 180。에 걸쳐서 돌기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도4는 폐기 처리부(4)의 요부 사시도이다. 폐기 처리부(4)는 폐기 처리 모터(40)와, 폐기 처리 모터(40)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로 감속하는 감속기(41)와, 감속기(41)의 출력축(41a)에 부착된 폐기관 개방 검출판(42A) 및 폐기관 폐쇄 검출판(42B)과, 폐기관 개방 검출판(42A)의 돌기부(42a)에 의한 차광(예를 들어, 오프)에 의해 폐기관(22D)의 개방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같은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43A)와, 폐기관 폐쇄 검출판(42B)의 돌기부(42a)에 의한 차광(예를 들어, 오프)에 의해 폐기관(22D)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와 같은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43B)와, 원주 상에 절결부(44a)를 갖고 출력축(41a)에 부착되고, 페이퍼 필터(21)를 일정 길이 만큼 송출하는 한 쌍의 필터 이송 롤러(44)와, 페이퍼 필터(21)를 한 쌍의 필터 이송 롤러(44)측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압박하는 한 쌍의 안내 롤러(45)와, 지지축(4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폐기관(22D)을 고정판(도1 참조)(47)과의 사이에서 압박 폐색하는 판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압박판(46)과, 출력축(41a)에 부착되고, 압박판(46)을 회전시키는 원주 상에 돌기부(48a)를 지닌 압박 캠(48)을 구비하고 있다.
도5는 본 음료 추출 장치(1)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음료 추출 장치(1)는 본 장치(1)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를 갖고, 이 제어부(6)에 상기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43A),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43B), 제1, 제2 및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B, 36C), 필터 잔량 검출 센서(21C), 에어 펌프(5),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 음료 공급 전자 밸브(53), 추출 모터(24), 폐기 처리 모터(40) 및 히터 구동부(62B)를 각각 접속하고, 또, 추출 음료의 판매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부(7)를 접속하고 있다.
주 제어부(7)는 추출 음료를 판매할 때마다 판매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하고, 제어부(6)는 주 제어부(7)로부터 판매 신호를 입력하면, 추출 모터(24), 폐기 처리 모터(40) 및 에어 펌프(5)를 제어하여 음료 추출 제어, 즉 교반 공정, 추출 공정, 찌꺼기 폐기 공정의 일련의 공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음료 추출 장치(1)의 동작을 도6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제1, 제2 및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B, 36C)의 출력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 내지 도13은 본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의 (a)는 주요부(실린더(20), 밸브(13)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의 (b)는 폐기관 개방 검출판(42A) 및 폐기관 폐쇄 검출판(42B) 및 필터 이송 롤러(44)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의 (c)는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의 (d)는 제1, 제2 및 제3의 고정 검출판(35A, 35B, 35C)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대기 상태(도7 참조)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한 대기 위치(P1)에 있으며, 도7에 도시한 상태에 있다. 즉, 제1, 제2 및 제3의 고정 검출 센서(36A, 36B, 36C)는 온이 되며,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43A)는 오프,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43B)는 온으로 되어 있다. 압박판(46)은 폐기관(22D)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 캠(48)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열 기구(60)의 단자(62A)에는 히터 구동 회로(62B)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며, 히터(62)의 발열 및 금속판(61)으로부터의 원적외선의 방사에 의해 실린더(20) 전체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고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 교반 공정(도8, 도9 참조)
제어부(6)는 주 제어부(7)로부터 판매 신호가 입력되면,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제3의 공정 검출 센서(36A, 36C)가 온인 때에 의거하여 대기 위치(P1)로부터 교반 위치(P2)로의 이동 동작을 행한다. 즉, 제어부(6)는 폐기 처리 모터(40)를 정회전 구동(도8의 (a)에 있어서 출력축(41a)이 좌회전하는 구동)한다. 폐기 처리 모터(40)의 구동 토오크가 감속기(41)를 거쳐서 출력축(41a)에 전달되고, 출력축(41a)이 약 60。 정회전(도8의 (a)에 있어서 좌회전)하고,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캠(48)의 돌기부(48a)가 압박판(46)을 압박함으로써, 폐기관(22D)이 압박판(46)과 고정판(47) 사이에서 폐색된다.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43B)는 폐기관 폐쇄 검출판(42B)의 돌기부(42a)에 의해 차광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제어부(6)는 폐기관 폐쇄 검출 센서(43B)로부터의 오프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폐기 처리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는 추출 모터(24)를 정회전 구동(도9의 (d)에 있어서 출력축(25b)이 좌회전하는 구동)한다. 추출 모터(24)의 구동 토오크가 감속기(25)를 거쳐서 출력축(25a, 25b)에 전달되고, 출력축(25a, 25b)이 정회전(도9의 (d)에 있어서 좌회전)하여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캠(27A) 및 밸브 캠(27B)이 정회전함으로써, 실린더 구동판(28A) 및 밸브 구동판(28B)이 하강한다. 실린더 구동판(28A)이 하강하면, 복수의 연결 부재(31A, 31B, 31C)를 거쳐서 실린더(20)가 하강하고, 추출실(20b)의 하단부가 페이퍼 필터(21)를 음료 받침(22)에 압접한다. 한편, 밸브 구동판(28B)이 하강하면, 연결 부재(33), 레버(32)를 거쳐서 밸브(32)도 하강한다. 제1 공정 검출 센서(36A)는 제1 공정 검출판(35A)에 의해 차광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이어서, 제2 공정 검출 센서(36B)는 온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공정 검출 센서(36A)의 오프에 의거하여 추출 모터(24)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한 교반 위치(P2)에 도달하고, 도9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9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3의 공정 검출 센서(36B, 36C)는 제2, 제3의 공정 검출판(35B, 35C)의 돌기부(35a)에 의해 차광되어 있지 않으므로, 온 신호를 제어부(6)에 각각 출력하고 있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공정 검출 센서(36A)의 오프, 제3 공정 검출 센서(36C)의 온에 의거하여 교반 공정을 행한다. 즉, 제어부(6)는 추출 원료 및 온수의 공급 요구 신호를 주 제어부(7)에 출력한다. 주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수용실(20a)에 추출 원료와 온수가 공급된다. 제어부(6)는 추출 원료와 온수의 공급에 맞추어서 음료 공급 전자 밸브(53)를 폐쇄하고, 또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를 개방하고, 에어 펌프(5)를 구동한다. 에어 펌프(5)는 가압 공기를 에어 파이프(52)를 거쳐서 음료 받침(22)으로 이송한다. 이 가압 공기는 페이퍼 필터(21)를 통과하여 추출실(20b) 내로 유입한다. 이 가압 공기가 추출실(20b) 내의 혼합체 속을 통과할 때, 그 기포의 흐름이 혼합체를 교반하도록 작용한다. 페이퍼 필터(21)의 하방으로부터 가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추출 원료 성분의 온수로의 용출이 조장되어 단시간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3) 추출 공정(도10 참조)
제어부(6)는 타이머로 설정된 교반 시간이 경과하면, 추출 모터(24)를 정회전 구동한다. 추출 모터(24)의 구동 토오크가 감속기(25)를 거쳐서 출력축(25a, 25b)에 전달되고, 실린더 캠(27A), 밸브 캠(27B)이 정회전한다.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캠(27A)의 캠 반경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실린더(20)는 상하 이동하지 않지만 밸브 캠(27B)의 캠 반경은 커지므로 밸브(23)가 상승하고,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구(20d)를 폐쇄한다. 제3의 공정 검출 센서(36C)는 제3 공정 검출판(35C)에 의해 차광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계속해서 제2 공정 검출 센서(36B)는 온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3 공정 검출 센서(36C)의 오프에 의거하여 추출 모터(24)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한 추출 위치(P3)에 도달하고, 도10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공정 검출 센서(36A, 36B)는 온이 된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공정 검출 센서(36A)의 온, 제3 공정 검출 센서(36C)의 오프에 기초하여 추출 공정을 행한다. 즉, 제어부(6)는 상부 공기 전자 밸브(50)를 개방하고, 하부 공기 전자 밸브(51) 및 대기 개방 공기 전자 밸브(55)를 폐쇄하고, 음료 공급 전자 밸브(53)를 개방하고, 에어 펌프(5)를 구동하여, 에어 펌프(5)로부터의 가압 공기를 에어 파이프(52)를 거쳐서 추출실(20b) 상방의 도입구(20e)로부터 공급한다. 추출실(20b) 내의 혼합체는 에어 펌프(5)로부터의 가압 공기에 의해 하방으로 압송되고, 페이퍼 필터(21)로 여과된다. 페이퍼 필터(21)로 여과된 음료는 음료 받침(22), 음료 공급관(22C)을 거쳐서 컵측으로 공급된다. 추출실(20b)에 가압 공기를 이송함으로써, 추출실(20b) 내의 기압이 증가하여 혼합체가 페이퍼 필터(21)측으로 밀려 내려가므로 단시간에 혼합체가 음료와 찌꺼기로 분리되어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교반 공정으로부터 추출 공정 중, 실린더(20)가 히터(62)의 발열 및 금속판(61)으로부터의 원적외선의 방사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린더(20) 내의 온수, 혹은 음료가 주위로 열을 빼앗기지 않아 적절한 온도의 음료를 컵에 공급할 수 있다.
(4) 찌꺼기 폐기 공정(도11, 도12 참조)
타이머로 설정된 추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는 추출 모터(24)를 정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추출 모터(24)의 구동 토오크가 감속기(25)를 거쳐서 출력축(25a, 25b)에 전달되고, 실린더 캠(27A), 밸브 캠(27B)이 정회전함으로써, 실린더 구동판(28A) 및 밸브 구동판(28B)이 상승하고, 실린더(20) 및 밸브(23)가 최상위까지 상승한다. 제1,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C)는 제1, 제3 공정 검출판(35A, 35C)에 의해 차광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이어서 제2 공정 검출 센서(36B)는 온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C)의 오프에 의거하여 추출 모터(24)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한 찌꺼기 폐기 위치(P4)에 도달하고, 도11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11의 상태에서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는 온이 되며, 페이퍼 필터(21) 상에는 찌꺼기(7)가 남는다.
제어부(6)는 제2 공정 검출 센서(36B)가 온인 때, 제1, 제3 공정 검출 센서(36A, 36C)의 오프에 의거하여 찌꺼기 폐기 공정을 행한다. 즉, 제어부(6)는 폐기 처리 모터(40)를 정회전 구동한다. 폐기 처리 모터(40)의 구동 토오크가 감속기(41)를 거쳐서 출력축(41a)에 전달되어 출력축(41a)이 정회전하고, 필터 이송 롤러(44)가 회전하여 페이퍼 필터(21)를 인출한다. 페이퍼 필터(21) 상의 찌꺼기(7)가 롤러(22B)를 통과할 때, 도12의 (a)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찌꺼기(7)가 구부러져 페이퍼 필터(21)로부터 분리되고, 폐기 버킷(118)(도17 참조)으로 낙하한다.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43A)는 폐기관 개방 검출판(42A)에 의해 차광되고, 오프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제어부(6)는 폐기관 개방 검출 센서(43A)로부터의 오프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폐기 처리 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12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5) 대기 상태로의 복귀 동작
찌꺼기 폐기 공정이 종료하면, 제어부(6)는 추출 모터(24) 및 폐기 처리 모터(40)를 정회전 구동한다. 본 장치(1)의 주요부는 도7에 도시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판매 신호가 제어부(6)에 입력될 때마다 상기 (1) 내지 (5)의 동작이 반복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실린더(20)의 가열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실험 장치를 나타내고, 실린더(20)의 추출실(20b) 내벽면의 일부에 단자(66)를 갖는 온도 센서(65)가 부착되고, 실린더(20)로부터 30 ㎜ 벗어난 위치에 금속판(61A)이 배치되고, 또한, 금속판(61A)에 단자(62A)를 갖는 출력 40 W의 히터(62)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험 장치에 있어서, 단자(66)에 도시하지 않은 측정기를, 또한, 단자(62A)에 도시하지 않은 히터 구동부를 각각 접속하고, 히터(62)를 구동시켜 실린더(20)를 가열한 때의 금속판(21A)의 온도와 실린더(20) 내벽면의 온도를, 알루마이트 처리한 금속판(61A)을 사용한 경우와 알루마이트 처리하지 않은 금속판(61A)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측정했다.
도14는 그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A는 알루마이트 처리하지 않은 금속판(61A)을 사용하여 실린더(20)를 가열한 때의 금속판(21A)의 온도를, B는 알루마이트 처리하고 있는 금속판(61A)을 사용하여 실린더(20)를 가열한 때의 금속판(21A)의 온도를, C는 알루마이트 처리하고 있는 금속판(61A)을 사용하여 실린더(20)를 가열한 때의 실린더(20) 내벽면의 온도를, D는 알루마이트 처리하고 있지 않은 금속판(61A)을 사용하여 실린더(20)를 가열한 때의 실린더(20) 내벽면의 온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루마이트 처리하고 있는 금속판(61A)을 히터(62)로 가열하면, 금속판(61A)의 온도가 낮고, 추출실(20b) 내벽면의 온도가 높아져 원적외선의 방사를 수반하는 가열 방식에 의한 우위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20)를 원적외선의 방사를 이용하여 가열하면, 실린더(20)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실린더(20) 전체를 고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출되는 음료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20)에 히터 블록 등의 가열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수하기 위해 실린더(20)를 제거한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기구(60)에 알루마이트 처리한 금속판을 사용하였지만, 검게 도장된 금속판을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판(61)은 실린더(20)뿐만 아니라, 음료 받침(22)도 포위하도록 배치되면, 더욱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수증기 배출관(119A, 119B)에 독립된 송풍기 팬(120, 121)을 설치한 점이다. 송풍기 팬(121)은 실린더(20)의 수용실(20a)에 온수가 공급된 때만, 제어부(6)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음료 추출 장치(1)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되는 다른 음료(예를 들어, 인스턴트 커피)의 판매가 발생해도, 송풍기 팬(121)은 동작하지 않고 믹싱 볼(115) 수증기의 급상승을 방지하는 송풍기 팬(120)만이 동작하므로, 음료 추출 장치(1)의 실린더(20)의 방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린더(20)를 원적외선에 의해 가열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 추출 장치(1)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벽면에 히터(68A, 68B)를 구비한 케이스(67) 내에 음료 추출 장치(1)를 수납하고, 케이스(67) 내의 공기를 히터(68A, 68B)로 데워서 음료 추출 장치(1)를 가열하도록 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1)의 실린더(20)의 수증기 배출구(64)에는 이 케이스(67) 내에 수납된 송풍기 팬(71)이 수증기 배출관(69)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수용실(20a)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가 케이스(67) 내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70은 추출 원료나 먼지 등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케이스(67)는 찌꺼기나 사용하고 난 페이퍼 필터(21)를 배출하기 위한 찌꺼기 배출구(67A)와, 폐기관(22D)을 도출하는 폐기관 도출구(67B)와, 원료 슈트(110)를 도출하는 원료 슈트 도출구(67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음료 추출 장치(1)의 사용에 의해 송풍기 팬(71)이 동작해도, 케이스(67)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뿐이므로, 히터(68A, 68B)로 데워진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음료 추출 장치(1)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출되는 음료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온의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0)에 가열 부재가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수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67) 내에 믹싱 볼(115)까지 수용하면,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믹싱 볼(115)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배출은 케이스(67) 내의 수증기 배출관(67B)에 접속한다. 또한, 케이스(67) 내에 온도 센서를 배치하고, 온도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히터(68A, 68B)나 송풍기 팬(71)의 통전을 제어하면, 케이스(67)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 따르면, 추출 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추출 수단을 포위하는 원적외선 방사판을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고, 원적외선 방사판으로부터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추출 수단을 가열하므로,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에 제1 및 제2 배기 수단을 독립하여 설치하였으므로,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수용 수단이 수용한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을 포위하는 포위 수단과, 포위 수단에 의해 포위된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수용 수단에 흡기구를 위치시키고, 포위 수단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기구를 구비한 배기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고온의 추출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

Claims (6)

  1. 추출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추출 수단을 포위하고, 가열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은 알루마이트 처리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은 검게 도장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이 수용한 상기 추출 원료와 상기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과 상기 혼합 수단에 독립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배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추출 원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이 수용한 상기 추출 원료와 상기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추출 수단을 포위하고, 가열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추출 음료에 설탕, 밀크 등의 혼합 물질을 혼합하는 혼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과 상기 혼합 수단에 독립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배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6. 추출 음료와 온수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이 수용한 상기 추출 원료와 상기 온수를 혼합하여 추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을 포위하는 포위 수단과,
    상기 포위 수단에 의해 포위된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에 흡기구를 위치시키고, 상기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기구를 지닌 배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KR1019980047960A 1998-11-10 1998-11-10 음료 제조 장치 KR10027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60A KR100279690B1 (ko) 1998-11-10 1998-11-10 음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60A KR100279690B1 (ko) 1998-11-10 1998-11-10 음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55A true KR20000031755A (ko) 2000-06-05
KR100279690B1 KR100279690B1 (ko) 2001-02-01

Family

ID=195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960A KR100279690B1 (ko) 1998-11-10 1998-11-10 음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6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690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70008B2 (ko)
US6227101B1 (en) Coffeemaker with automated interlocks
US6085637A (en) Beverage serving apparatus
US6612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US20060037481A1 (en) Espresso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DE2356236A1 (de) Heissluftofen
EP1316620A3 (en) Process for pre-hydrolysis of biomass
JP2002500057A (ja) 自動給茶機
US6516708B2 (en) Cooking machine
US6530307B2 (en) Cooking machine
KR960001210B1 (ko) 추출장치
KR100279690B1 (ko) 음료 제조 장치
JP3702071B2 (ja) 飲料抽出装置におけるペーパーフィルタ送出装置
JPH1166422A (ja) 飲料製造装置
US6298768B1 (en) Beverage serving apparatus
KR101851468B1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EP2240052B1 (en) Equipment for food preparation
JPH08112204A (ja)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KR100668624B1 (ko)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장치
KR0132931Y1 (ko) 곡물의 가공장치
JPH114769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S5858093B2 (ja) 飲料製造機
US20230414034A1 (en) Beverage machine with a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KR970002795B1 (ko) 커피메이커
DE19748582C1 (de) Schnellkoch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