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435A - 트윈 캔 - Google Patents

트윈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435A
KR20000031435A KR1019980047484A KR19980047484A KR20000031435A KR 20000031435 A KR20000031435 A KR 20000031435A KR 1019980047484 A KR1019980047484 A KR 1019980047484A KR 19980047484 A KR19980047484 A KR 19980047484A KR 20000031435 A KR20000031435 A KR 20000031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twin
rim
presen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호
Original Assignee
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호 filed Critical 지성호
Priority to KR101998004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435A/ko
Publication of KR2000003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포개거나 겹쳤을 때 1개의 완전한 독립된 형태를 이루는 1쌍의 대칭인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용기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판매되고 유통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통과정중에는 1쌍으로 결합되어 판매되거나 유통되다가 최종 소비자는 결합된 1쌍의 용기를 별도의 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할 때 적정량만큼만 마실 수 있고, 2명이 서로 1쌍을 이루는 각 용기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을 마시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트윈 캔( Twin can)
본 발명은 음료수 용기로 사용되는 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대칭인 2개의 용기가 서로 결합되어 1쌍을 이루는 트윈 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료수 용기는 여러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알루미늄 합금재로 만든 캔은 음료수를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고, 음료수를 마신 다음 재활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캔은 외형이 대개 원통형 형상으로 정형화되어 있으므로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예컨대 종래의 캔은 용량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그 전체 용량을 다 마시지 못하는 소비자는 일부를 남겨야 하였다. 그리고 1개의 캔에는 1종류의 음료만 담겨져 있어 2가지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2종류의 음료가 각각 들어 있는 2종류의 음료를 구매하여야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캔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각각은 별개의 밀봉된 캔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겹쳤을 때에는 1개의 독립된 형태를 이루는 트윈 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포개거나 겹쳤을 때 1개의 완전한 독립된 형태를 이루는 1쌍의 대칭인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1쌍의 용기는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판매되고 유통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통과정중에는 1쌍으로 결합되어 판매되거나 유통되다가 최종 소비자는 결합된 1쌍의 용기를 별도의 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할 때 적정량만큼만 마실 수 있고, 2명이 서로 1쌍을 이루는 각 용기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을 마시기에 적합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캔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캔들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반원통형 용기 13a,13b: 캡
14,15: 개방부 21,22: 삼각기둥형 용기
23,24: 개방부 25a: 폴리에틸렌 필름
31,32: 반원통형 용기 35: 홀더
36: 상부 림 36a: 노치
37: 하부 림 37a: 받침테
38: 세로 지지대 38a: 돌기
39: 손잡이 41,42: 반원통형 용기
41a,42a: 플랜지부 44: 클립
51,52: 반원통형 용기 51a,52a: 훅크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캔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캔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된 2개의 용기(11,1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11,12)는 각각의 평면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지면 단일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들 2개의 용기(11,12)는,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어 진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질의 프라스틱제 캡(13a,13b)이 끼워져 서로 결합되어 2개의 용기(11,12)가 1세트를 이루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반원통형 용기(11,12)는 상면에 개방부(14,1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2개의 용기(11,12)를 1세트로 결합하는 수단은 합성수지재 수축필름을 사용하여 상·하단을 밴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2개의 용기(11,12)가 상·하단에서 각각 캡(13a,13b)으로 결합되어 1개의 원통형 형태로 된 1세트의 상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연인들이나, 친구들이 1세트를 구입하여 각각의 용기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된 2개의 용기(21,2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21,22)는 각각의 평면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지면 단일의 4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2개의 용기(21,22)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단에 각각 연질의 플라스틱 캡을 끼우거나, 수축필름(25a,25b)을 감아서 1세트로 결합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된 2개의 용기(31,3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31,32)는 각각의 평면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지면 단일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1개의 홀더(35)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2개의 반원통형 용기(31,32)를 1세트로 고정해주는 홀더(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2개의 용기(31,32)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하단을 각각 감싸는 상부 림(36)과 하부 림(37)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림(37)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받침테(37a)가 수평방향으로 반경방향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지지하는 용기(31,32)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35)는 상기 상부 림(36)과, 하부 림(37)을 서로 연결지지하는 다수개의 세로 지지대(38)를 구비하며, 이들 각 세로 지지대(38)는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38a)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림(36)과 하부 림(37)들이 서로 인접함으로써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홈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로 지지대(38)들은 상기 상부 림(36)과 하부 림(37)들을 서로 연결지지하여 홀더(35)의 형태를 유지하며, 아울러 내측면의 돌기(38a)들이 인접한 2개의 용기(31,32)들 사이의 틈새를 메꾸어주므로 외관을 좋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홀더(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부 림(36)에 연결된 아치형 손잡이(39)를 포함하여 용기(31,32)를 한데 결합한 상태로 운반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고, 상부 림(36)에는 노치(36a)가 형성되어 홀더(35)를 분리할 때 쉽게 파열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된 2개의 용기(41,4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41,42)는 각각의 평면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지면 단일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용기(41,42)는 평면부의 좌우측 선단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41a,42a)를 구비하고 , 이들 마주보는 1쌍의 플랜지부(41a,42b)를 한꺼번에 끼워 상기 1쌍의 용기를 서로 고정하는 클립(44)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2개의 반원통형 용기를 서로 마주보게 포갠상태에서 그들 1쌍의 플랜지부(41a,42b)마다 1개의 클립(44)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1세트로 고정하기 간편하고, 분리도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된 2개의 용기(51,5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51,52)는 각각의 평면부 좌우 측 양단모서리부에 형성된 후크부(51a,52a)를 구비하고, 한쪽 후크부(51a)가 대응하는 다른 쪽 후크부(52a)의 홈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2개의 용기(51,52)가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반원통 용기가 1쌍으로 결합되어 유통되고 판매되다가 사용할 때에는 분리한 후, 연인이나 친구와 같은 2명이 각각 자기의 용기를 사용하게 하거나, 1인이각 용기를 시차를 두고 차례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이한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고, 음료낭비를 줄일 수있으며, 특히 2개의 용기를 1세트로 결합하기가 간편하고 손잡이가 있어 운반하거나 휴대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용기(11,12)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용기(11,12)는 서로 마주보는 평면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지면 단일의 통일된 형상을 형성하는 세트를 이루며, 상기 2개의 용기(11,12)가 서로 맞대어 포개어진 상태로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기는 반원통 형상의 용기(1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기는 삼각기둥 형상의 용기(2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2개의 용기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동시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연질의 플라스틱 캡(13a,1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2개의 용기의 상단 및 하단 둘레를 따라 둘러싼 폴리에틸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2개의 용기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하단을 각각 감싸는 상부 림(36) 및 하부 림(37)과, 상기 상부 림(36)과 하부 림(37)을 서로 연결지지하는 다수개의 세로 지지대(38) 및 양단이 상부 림(36)에 연결된 손잡이(39)으로 이루어지고,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일체로 성형된 홀더(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캔.
KR1019980047484A 1998-11-06 1998-11-06 트윈 캔 KR20000031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84A KR20000031435A (ko) 1998-11-06 1998-11-06 트윈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484A KR20000031435A (ko) 1998-11-06 1998-11-06 트윈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435A true KR20000031435A (ko) 2000-06-05

Family

ID=1955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484A KR20000031435A (ko) 1998-11-06 1998-11-06 트윈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4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91B1 (ko) * 2007-08-21 2011-05-17 정충현 결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91B1 (ko) * 2007-08-21 2011-05-17 정충현 결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146B1 (en) Double chambered container
US5316398A (en) Combination bottle and stick
US3977569A (en) Drink dispenser
US6206218B1 (en) Nested containers
CA2280058C (en) Attachment for bottle neck
JPS60240645A (ja) 多容器パツケ−ジ
GB2127376A (en) Can for effervescent beverages
JP2004518586A (ja) 使い捨て収納および流出用カラフェ
JPH0314446A (ja) 少なくとも一対が、個々の用途に対して離脱し得るように結合された、形式的もしくは機能的に補完し得る液体生成物の容器の製造および/またはパッケージ方法、ならびに該方法を任意に実現するため結合された、および/または結合可能な容器および/または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または結合装置
JPH0455682B2 (ko)
KR20000031435A (ko) 트윈 캔
GB2303114A (en) Package for liquids
JP2000153841A (ja) 飲料容器
US5310052A (en) Shower curtain ring package
GB2361906A (en) Sachet containing alcoholic beverage
JP2001072071A (ja) 容 器
JPH1159728A (ja) 軟包装体自立用容器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KR200305916Y1 (ko) 용기
KR940007259Y1 (ko) 재활용 용기
JP2005239203A (ja) ボトル型容器
CN210556393U (zh) 一种瓶盖产品包装
KR200167395Y1 (ko) 분할형피이티병
KR200324260Y1 (ko) 하나의 용기로 두가지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JP4279715B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