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335A - 휴대용 디지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335A
KR20000031335A KR1019980047318A KR19980047318A KR20000031335A KR 20000031335 A KR20000031335 A KR 20000031335A KR 1019980047318 A KR1019980047318 A KR 1019980047318A KR 19980047318 A KR19980047318 A KR 19980047318A KR 20000031335 A KR20000031335 A KR 2000003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processor
digital
mobi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
Original Assignee
고진
바로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 바로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진
Priority to KR101998004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335A/ko
Publication of KR2000003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저장 장치를 사용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및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 기능을 갖는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종래의 메모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용이 많이 들고 또 확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가볍고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컴퓨터와 접속하여 데이터의 편집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저장 장치(mobile storage device)를 사용함으로써 MP3 연주, 개인 데이터 관리(organizing), 음성 인식 및 기타 디지털 데이터 처리 및 관리가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portable digital device)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정보화 진행이 심화됨에 따라 데이터의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는 그 발생 원인 및 형식에 기초하여 크게 아날로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로 나누어지며,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가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보다 훨씬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데이터도 기록 및 재생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와 관련된 응용 분야로 개인들과 관련한 제품 개발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는 MP3 플레이어(MP3 player), 전자 개인 데이터 관리기(electronic organizer), 음성 레코더/플레이어(voice recorder/player) 등을 들 수 있다.
MP3 플레이어는 MPEG 레이어(layer) 3을 의미하는 것으로 MPEG 기술의 오디오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은 MPEG1의 발표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증가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표준에 대한 새로운 필요성으로 인해 MPEG2를 발표하였고 현재 객체 지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MPEG4까지 발표하였다. 처음 표준화된 MPEG1은 동영상과 오디오를 디지털 저장 장치에 최대 1.5M bps로 압축, 저장하기 위한 코딩 기술로 모두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중 하나인 오디오 부분에는 3가지의 오디오 코딩 기법이 정의되어 있는데, 각각 레이어 1, 레이어 2, 레이어 3이라고 부른다.
MPEG의 오디오 레이어들은 인식 코딩이라고 하는 동일한 코딩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한다. 이는 사람의 청감 모델(hearing sense model)을 분석하여 적용한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를 이용하는 기법으로, 사람 귀의 둔감함을 이용한 일종의 트릭(trick)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마스킹 효과란 큰 음에 의해 어떤 임계값 이하의 작은 음이 가려지는(masking) 현상을 말하는데, 이에는 주파수 마스킹(frequency masking) 및 시간적 마스킹(temporal masking)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질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데이터의 양을 보통의 12분의 1(일반 CD 50장에 해당하는 압축율)로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표준화된 MP3는 ISDN망을 이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CD 수준의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만들며,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 이용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형 오디오(AOD: Audio On Demand) 또는 온라인 주문형 음악 서비스(Music On Demand)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는 개인 전자 수첩 기능도 포함하여 개인의 일정, 전화번호, 주소 등과 같은 데이터 응용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구현한 실례이다. 현재에는 기존의 키 패드 등을 이용한 입력 방식과는 별도로 음성 인식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의 한 예로서 음성 기록기를 들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을 컴퓨터 등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는 원시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압축/복원 방식이 사용한다. 이러한 압축 방식의 예로서는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방식, DSP 그룹이 제안한 "트루 스피치(True Speech)" 방식 등 10여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ADPCM 방식은 일종의 펄스 코드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방식으로서 표준 PCM 방식보다 더 낮은 비트율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True Speech"는 LPC(Linear Predictive Coding)라는 기존 압축 알고리즘(compression algorithm)의 단점을 개선한 기술로 "개선된 LPC"라고도 한다. ADPCM 방식은 재생 음질이 뛰어나며, True Speech 방식은 압축율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 등 각각의 방식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므로 현재는 응용예에 따라 적절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앞에서 예로서 설명된 각각의 개인 휴대용 디지털 장치들에서는 데이터가 추후 재생 사용되기 위해서 저장 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저장 매체들은 더 작은 크기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 더 빠른 전송 속도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던컨(Duncun)의 미국 특허 제 4,772,873호는 입력 디지털 필터, A/D 컨버터,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D/A 컨버터 및 출력 디지털 필터를 구비하며 주파수 분할에 의한 동일 클럭을 제공하여 구동하는 디지털 전자 레코더/플레이어를 개시한다. 이 특허 문헌에 의하면 메모리 수단으로 RAM, DRAM, PROM 또는 EPROM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 메모리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실용적인 플레이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리오(Liao)의 미국 특허 제 5,673,417호는 CPU, 키 스위치 매트릭스, LCD 드라이브, LCD, 전원, 플래시 메모리 및 SRAM을 이용한 전자 오거나이저를 제시한다. 여기서 플래시 메모리는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위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분할된 개인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며, SRAM은 다수의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 영역과 플래시 메모리의 개인 데이터 저장 영역에서 등록된 데이터를 위한 개인 데이터 작업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분할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저장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플래시 메모리 및 SRAM 자체의 기능적 제한과 코스트 상승의 문제가 있다.
한편, 멘덴홀(Mendenhall)의 미국 특허 제 5,812,760호는 입력 데이터 오거나이저, 데이터 관리 버퍼, 등록 파일, 로컬 유닛 및 컨트롤러로 구성된 프로그램 가능한 MPEG 시스템 레이어 파저(system layer parser)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소스가 비트 스트림으로 포트 및 입력 데이터 오거나이저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 특허 기술에 있어서도 용량, 확장성 및 가격의 측면에서 만족할 만한 메모리 관리에 대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새로운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여러 가지 저장 매체 중에서 휴대 가능한 디지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 장치로서 전원이 꺼진 경우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는 그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이 비싸며 확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있기 때문에, 필요한 충분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메모리 장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동 저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을 용이하게 교체, 구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MP3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을 용이하게 교체, 구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을 용이하게 교체, 구동시킬 수 있고,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휴대용 개인 데이터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을 용이하게 교체, 구동시킬 수 있고,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및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전체 계층도.
도 2는 시스템 초기화 단계에서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의 시스템 초기화 과정이 대기 상태로 진행된 다음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MP3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MP3 플레이어에서의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의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부에서의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0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MP3 플레이어
402: 이동 저장 매체
404: 이동 저장 매체 드라이브
406: ATAPI 인터페이스
408: 메모리 A
410: CPU
412: MP3 디코더
414: D/A 변환기
416: 전력 증폭기
418: 스피커
420: 표시 장치(LCD)
422: 입력 장치(키 패드)
600: 음성 레코더
628: 음성 압축/복원부
630: 음성 코덱
632: 마이크로폰
800: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
824: 메모리 B
826: 음성 인식부
1000: 휴대용 디지털 장치
1034: 스위칭부
본 발명에 따라서,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의 기능을 하기 위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portable digital device)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과 접속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MP3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압축을 복원시키기 위한 MP3 디코더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음성 압축/복원 수단(voice compression/ decompression means)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수단(voice recognition means)과; 상기 음성 인식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인식수단에서 음성 인식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 수단과; 상기 MP3 디코더,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 및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수단들에게 전달하고 또 상기 수단들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및 음성 인식부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계층도와 시스템이 시작한 경우의 초기 과정 및 전체 진행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와 각 실시예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다시, 이들 기능이 통합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구성도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장치를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하위 시스템 계층(Sub-System Layer) 및 장치 드라이버 계층(Device Driver Layer)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시스템에 전력이 공급되면 다른 구성부에도 역시 기준 클럭(reference clock)을 공급하는 타이머로부터의 타이밍에 따라 시스템 초기화가 시작된다(102, 106).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메뉴(menu)가 표시되며(104), 메뉴에서의 선택에 따라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또는 음성 인식부가 선택된다(108, 110, 112).
만약 MP3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하위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114), 장치 드라이버 계층의 버튼 장치(120), 표시 장치(122), 및 MP3 디코더 장치(128) 등이 관련되어 MP3 방식으로 코딩된 음악이 연주될 수 있다.
음성 레코더(110)가 선택되면, 하위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114) 및 ADPCM 코덱(ADPCM Codec)(116), 장치 드라이버 계층의 버튼 장치(120), 표시 장치(122), 및 음성 코덱 장치(Voice Codec Device)(130) 등이 관련되어 음성이 녹음된다.
다음으로 만약 음성 인식부(112)가 선택되면, 하위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114), ADPCM 코덱(116) 및 음성 인식 엔진(Voice Recognition Engine)(118), 장치 드라이버 계층의 버튼 장치(120), 표시 장치(122), 및 음성 코덱 장치(130) 등이 관련되어 음성이 인식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 장치로는 문자, 기호 및 필요한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LCD 표시장치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CD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메뉴 또는 제공되는 표시를 나타낸다. LCD 드라이버는 편의에 따라 CPU에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파일 시스템과 관련하여 PC 인터페이스 장치(PC Interface Device) 및 ATAPI 장치(ATAPI Device)가 장치 드라이버 계층에 포함되는데 이들을 통하여 데이터들을 저장 매체 및 외부의 컴퓨터와 주고받게 된다.
클릭 디스크는 아이오메가(Iomega)사 제조의 상표명 "클릭(Clik)"에 의해 제조된 저장 매체로서,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약 40MB의 용량을 가지며, 가볍고 소형인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클릭 드라이브(404) 및 클릭 디스크(402)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PC(HPC: Handheld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클릭 디스크"는 구동장치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디스크 타입으로서 약 40 MB의 저장 용량을 가지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1.22MB/sec를 나타낸다. 클릭 디스크 구동장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폭 50.1㎜, 중량 10g을 가지며,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에 장착하기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클릭 드라이브(404)는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자체의 입력 장치와 디스크의 데이터를 읽어서 외부로 전송하는 출력 장치를 갖는다.
클릭 디스크 및 클릭 드라이브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으며 가격이 저렴한 이동 저장 시스템(mobile storage system)이 개발되어 미국의 아이오메가(Iomega)사에 의해 상용화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동 저장 장치로서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동 저장 수단은 클릭 디스크와 같이 이동성 및 저장 용량이 양호한 저장 매체과 그 매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는 시스템 초기화 단계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1의 참조 번호 (10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초기화되기 시작되면(202) 먼저 표시 장치가 초기화된다(204). 다음으로 버튼 장치가 초기화되며(206), 현재 시각 및 최상위 메뉴(Top Menu)가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208). 이와 같이 진행된 다음, 최상위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태스크(menu task)가 생성된 후(210),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로 진행됨으로써(212) 처음 시스템 개시 단계의 초기화 과정이 종료된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 초기화 과정이 대기 상태(212)로 진행된 다음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대기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키 패드 등을 사용하여 버튼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대기한다(304). 이러한 경우 만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버튼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자체적으로 전원 차단(Power Down) 상태가 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304, 306, 308, 310 및 312). 만일 사용자가 버튼 메뉴를 선택하였다면, 다음의 진행은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 메뉴에 해당하는 작업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선택될 수 있는 작업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및 음성 인식을 예로 들었으나 이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았음을 주목해야 한다.
만일 MP3 플레이어가 선택되었다면, 이러한 선택에 따라 ATAPI 장치 및 MP3 디코더 장치가 순차적으로 초기화(314, 316)된 후 MP3 디렉토리가 시스템에 장착(즉, 로딩되어 표시됨)된다(318). 마지막으로 대응하는 MP3 플레이어 태스크가 생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MP3 연주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320).
만일 음성 레코더가 선택되었다면, 이러한 선택에 따라 역시 ATAPI 장치 및 음성 코덱 장치가 순차적으로 초기화(322, 324)된 후 음성 데이터 디렉토리가 장착된다(326). 마지막으로 대응하는 음성 레코더 태스크가 생성됨으로써 음성 녹음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328).
또한, 음성 인식부가 선택되었다면, 이러한 선택에 따라 역시 ATAPI 장치 및 음성 코덱 장치가 순차적으로 초기화(330, 332)된 후 음성 인식 디렉토리가 장착된다(334). 마지막으로 대응하는 음성 인식 태스크가 생성됨으로써 음성 인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326).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설명된 각 실시예별로 그 시스템 구성과 진행 과정을 블록도와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decompress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MP3 플레이어(MP3 player)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MP3 방식으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MP3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압축을 복원시키기 위한 MP3 디코더 수단과; 상기 MP3 디코더에 접속되어 압축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D/A 변환 수단과; 상기 D/A 변환기에 접속되어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MP3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MP3 플레이어의 시스템 구성 및 MP3 플레이어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4의 블록도 및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참조 번호(402)는 예를 들어 디스크일 수 있는 이동 저장 매체를 나타낸다.
한편, 이동 저장 매체(402)가 클릭 디스크인 경우는 기존의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와는 달리 디스크로 구현되므로 용량이 초과될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시킬 필요 없이 다른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삭제시 필요한 과도한 전력도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클릭 디스크를 구동하는 클릭 드라이브(404)도 착탈식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높다.
클릭 디스크는 ATAPI(AT Attached Packet Interface, 406)을 통하여 데이터를 CPU(410)에 전달하거나 CPU(410)으로부터 전달받는다. 프로세서 수단으로서 연산력과 경우에 따라 필요한 내장 메모리를 갖는 CPU(410)에는 데이터 처리시 일정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A(408)가 접속된다. 또한, CPU(410)에는 MP3 방식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MP3 디코더(MP3 decoder, 412)가 접속된다. MP3 디코더(412)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CPU(410)가 요청된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MP3 디코더(412)에서 압축된 데이터의 압축이 복원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디코딩할 때 사용되는 클럭도 CPU(410)으로부터 MP3 디코더(412)로 역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압축이 복원된 데이터는 역시 클럭과 함께 MP3 디코더(412)로부터 D/A 변환기(414)로 전달되어 그 데이터 형식이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로 변환된 데이터는 전력 증폭기(416)을 거쳐 스피커(418)에 전달되어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 4에는 입력 및 표시 수단으로 키 패드(key pad, 422)와 LCD(420)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비록 입력 수단으로 키 패드(422)만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는 또 다른 입력 포트(port) 등을 통하여 PC 등으로부터 MP3 방식으로 코딩되어 압축된 데이터를 역시 받아들여 클릭 디스크(402)에 저장하고 추후 재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저장 수단으로 이동 저장 매체(402) 및 드라이브(404)만이 도시되었지만, 또다른 출력 포트가 구비됨으로써 예컨대 포트를 통해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P3 플레이어가 연주 가능한 상태로 된 후(도 3의 320 및 도 5의 502 참조), MP3 플레이어 메뉴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504, 506). 이러한 경우 만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버튼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자체적으로 전원 차단 상태가 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506, 508, 530, 532, 534). 만일 버튼 메시지가 단계 (508)에서 선택되었다면, 디렉토리 변경, 파일 선택 및 초기 메뉴 복귀 가운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음 단계가 계속된다.
만일 디렉토리 변경이 선택되었다면, 선택된 디렉토리로 변경(510)된 후 선택된 디렉토리 내에 있는 모든 파일을 판독하여 표시 장치 상에 파일 목록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음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된다(512, 514, 506). 그 다음으로 다시 단계 (508)에서 사용자가 디렉토리 변경, 파일 선택 및 초기 메뉴 복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였는지가 판단된다.
단계 (508)에서 파일 선택 버튼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단계 (516)에서 선택된 파일이 판독된다. 이와 같이 판독된 파일은 MP3 디코더(412)로 전송되어 압축이 복원되어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음 단계 (520)에서는 선택된 파일의 마지막 데이터까지 판독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파일이 끝난 경우는 다시 단계 (512)로 진행하여 새로운 파일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파일이 끝나지 않은 경우는 파일의 마지막 데이터까지 판독할 수 있도록 단계 (516)로 진행한다.
단계 (508)에서 초기 메뉴로 복귀하도록 버튼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도 3의 단계 (302)로 진행하여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또는 음성 인식부가 다시 선택되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단계 (522)에서 먼저 MP3 디코더(412)를 종료시키고 또 단계 (524)에서 장착된 MP3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MP3 플레이어 사용이 종료된 후 버튼 메시지 대기 상태(302)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 음성 데이터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복원(decompress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음성 압축/복원 수단(voice compression/ decompression means)과;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에 접속되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복원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성 및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6의 블록도 및 도 7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도 4의 구성부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재 번호로 참조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도 역시 상술한 도 4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제 2 실시예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의 경우에, 마이크로폰(63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이 역시 A/D 및 D/A 변환 기능을 갖는 음성 코덱(630)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음성 압축/복원부(628)로 전달된다. 음성 코덱(630)에서는 녹음(recording)의 경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압축함으로써 이동 저장 매체(602)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압축에 사용될 수 있는 압축 알고리즘으로는 ADPCM 방식, "True Speech" 방식, AMB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들이므로 이러한 방식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는 경우, 이동 저장 매체(602)에 저장되었던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음성 압축/복원부(628)에서 복원되어 음성 코덱(630)으로 전달된다. 음성 코덱(630)에서는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스피커에 전달함으로써 녹음된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7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성 레코더가 녹음 가능한 상태로 된 후(도 3의 328 및 도 7의 702 참조), 음성 레코더 메뉴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704, 706). 이러한 경우 만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버튼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전원 차단 상태가 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706, 708, 732, 734, 736). 만일 버튼 메시지가 단계 (708)에서 선택되면, 파일 삭제, 녹음 및 초기 메뉴 복귀 가운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음 단계가 계속된다.
만일 파일 삭제가 선택되면, 선택된 파일이 삭제(710)된 후 선택된 디렉토리 내에 있는 모든 파일을 판독하여 표시 장치 상에 파일 목록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시 메시지 버튼을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712, 714, 706). 그 다음으로 다시 단계 (708)에서 사용자가 파일 삭제, 녹음 및 초기 메뉴 복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708)에서 녹음 버튼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단계 (716)에서 녹음이 될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단계 (718)에서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가 음성 코덱(630)으로부터 음성 압축/복원부(628)로 전달되며, 단계 (720)에서 전달된 음성 데이터가 ADPCM 방식으로 압축된다. 다음 단계 (722)에서는 녹음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녹음이 끝난 경우는 다시 단계 (712)로 진행하여 새로운 파일을 포함한 전체 파일을 표시한 후 사용자가 다시 메뉴 선택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714, 706). 만일 녹음이 끝나지 않은 경우는 음성 코덱(630)으로부터 또다른 음성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단계 (718)로 진행한다.
단계 (708)에서 초기 메뉴로 복귀하도록 버튼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3의 단계 (302)로 진행하여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또는 음성 인식부가 다시 선택되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단계 (724)에서 먼저 음성 코덱(630)을 종료시키고 또 단계 (726)에서 장착된 음성 녹음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음성 레코더 기능이 종료된 후 버튼 메시지 대기 상태(도 3의 단계 (302))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음성 인식하여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에 있어서, 프로세서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간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수단(voice recognition means)과;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서 음성 인식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 수단과;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음성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 데이터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부의 시스템 구성 및 음성 인식부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8의 블록도 및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는 도 4 및 도6의 구성부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재 번호로 참조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도 역시 상술한 도 4 및 도6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의 경우, 마이크로폰(83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가 먼저 A/D 및 D/A 변환 기능을 갖는 음성 코덱(830)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음성 인식부(826)으로 전달된다. 음성 인식부(826)에서는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의 특징(feature)이 추출되어 별도의 메모리 B(824) 내에 저장된 기존 음성 특징과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 결과에 따라 메모리 내에 저장된 음성 저장 테이블(vrtable: voice registered table)이 갱신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은 적응적 특성(adaptive characteristic)을 갖게된다.
이와 같이 인식된 음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는 이동 저장 매체(802)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출력의 경우 이동 저장 매체(802)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는 음성 코덱(830)을 통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스피커(818)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음성 인식부에서의 진행 과정을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음성 인식부가 인식 가능한 상태로 된 후(도 3의 단계 336 및 도 9의 단계 902 참조), 음성 인식 디렉토리 내의 음성 등록 테이블(vrtable)이 판독된 후 음성 인식 메뉴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904, 906, 908). 이러한 경우 만일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버튼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자체적으로 전원 차단 상태가 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908, 910, 946, 948, 950). 만일 버튼 메시지가 단계 (910)에서 선택되었다면, 특징 삭제, 특징 첨부, 음성 인식 및 초기 메뉴 복귀 가운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음 단계가 계속된다.
특징 삭제 버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항목(entry)이 단계 (912)에서 삭제되고 삭제된 항목을 제외한 항목들로 음성 등록 테이블이 재구성된 후 단계 (906)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
특징 첨부 버튼이 선택된 경우, 단계 (916)에서 음성 코덱(830)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단계 (918)에서 음성 인식 엔진(Voice Recognition Engine)으로부터 음성 특징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920)에서 음성 인식 엔진으로부터 특징을 획득했는지를 판단하여 특징을 획득한 경우는 단계 (922)로 진행하여 음성 등록 테이블에 획득한 특징을 첨부시킨 후 단계 (906)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 만일 단계 (920)에서 음성 특징을 획득하지 못하였다면, 단계 (934)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단계 (906)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 이 경우 에러 메시지로 특징 획득을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재시도할 것을 안내하는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역시 단계 (924)에서 음성 코덱(830)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단계 (926)에서 음성 인식 엔진으로부터 음성 특징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928)에서 음성 인식 엔진으로부터 특징을 획득했는지를 판단하여 특징을 획득한 경우는 단계 (930)로 진행하여 유사한 특징이 음성 등록 테이블에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 단계 (930) 다음으로 유사한 음성 특징을 찾았는지를 단계 (932)에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 (932)에서의 판단 결과 유사한 음성 특징을 찾았다면 단계 (936)로 진행하여 음성 등록 테이블 내에서 찾은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 (934)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단계 (906)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
한편, 단계 (928)에서 음성 특징을 획득하지 못하였다면, 역시 단계 (934)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단계 (906)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버튼 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대기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910)에서 초기 메뉴로 복귀하도록 버튼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도 3의 단계 (302)로 진행하여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 또는 음성 인식부가 다시 선택되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단계 (938)에서 먼저 도 8의 음성 코덱(830)을 종료시키고 또 단계 (940)에서 장착된 음성 인식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음성 인식부 기능이 종료된 후 버튼 메시지 대기 상태(302)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개인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음성 인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명령어의 입력 또한 음성 인식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개인 데이터의 입력을 위하여 상술한 음성 입력 방식 이외에 키 패드를 사용하여 키 입력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가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이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를 하나로 통합할 경우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상술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는 도 6 및 도 8의 음성 코덱(630 및 830)을 사용하여 도 4의 D/A 변환기(414)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단 하나의 음성 코덱(1030)만을 포함한다. 또한 스위칭부(1034)를 간단히 포함시킴으로써 MP3 디코더(1012), 음성 압축/복원부(1028) 및 음성 인식부(1026)들이 하나의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컴퓨터와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와 시리얼 또는 패럴랠 포트 등을 사용하여 접속하여 데이터의 기록, 삭제 또는 변경 등 필요한 편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본 발명의 장치에 송신하여 저장함으로써, 기록 및 저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오거나이저 프로그램의 포맷을 그대로 본 발명의 개인 데이터 관리 장치의 포맷과 일치시켜서 상호간에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클릭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음악 파일이 디스크에 저장한 상태로 상용화되면, 사용자는 그 디스크를 구입하여 자신의 본 발명의 장치에 삽입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와 본 발명의 장치를 접속하여 MP3 음악 파일을 본 발명의 장치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고, 클릭 드라이브를 장착한 컴퓨터에서 직접 클릭 디스크에 음악 파일 또는 오거나이저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 후 데이터가 저장된 디스크를 본 발명의 장치에 삽입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메모리의 확장성 및 데이터 교체, 편집이 매우 용이하고 메모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력 소모가 적고 단가가 낮은 소형 이동 저장 매체를 사용한 본 발명의 휴대용 디지털 장치는, MP3 재생, 개인 데이터 관리(organizer), 음성 인식 및 기타 디지털 데이터 관리가 효율적으로 가능하며 또 그 저장 매체의 확장이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특정한 응용예와 관련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또 다른 변형 및 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행해진 그와 같은 모든 변형, 수정 및 응용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Claims (11)

  1.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decompress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MP3 플레이어(MP3 player)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MP3 방식으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MP3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압축을 복원시키기 위한 MP3 디코더 수단과;
    상기 MP3 디코더에 접속되어 압축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D/A 변환 수단과;
    상기 D/A 변환기에 접속되어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MP3 플레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장 수단은 약 40 MB의 저장 용량을 갖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컴퓨터와 접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음성 데이터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복원(decompress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음성 레코더/플레이어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음성 압축/복원 수단(voice compression/ decompression means)과;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에 접속되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복원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장 수단은 약 40 MB의 저장 용량을 갖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음성 인식하여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간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수단(voice recognition means)과;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서 음성 인식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 수단과;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음성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 데이터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장 수단은 약 40 MB의 저장 용량을 갖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 컴퓨터와 접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MP3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플레이어, 개인 데이터 관리기(organizer)의 기능을 하기 위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portable digital device)에 있어서,
    프로세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신호 처리시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저장 수단(mobile storage means)과;
    상기 이동 저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 저장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 교환을 중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서 수단과 접속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MP3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압축을 복원시키기 위한 MP3 디코더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전달하고 또 상기 프로세서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음성 압축/복원 수단(voice compression/ decompression means)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접속되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수단(voice recognition means)과;
    상기 음성 인식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인식수단에서 음성 인식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 수단과;
    상기 MP3 디코더, 상기 음성 압축/복원 수단 및 상기 음성 인식 수단에 접속되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수단들에게 전달하고 또 상기 수단들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음성 코덱(voice codec)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 수단에 접속되며, 소리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코덱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수단과;
    상기 음성 코덱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 코덱 수단으로부터의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시키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접속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리로 바꾸기 위한 스피커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장 수단은 약 40 MB의 저장 용량을 갖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외부 컴퓨터와 접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동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47318A 1998-11-05 1998-11-05 휴대용 디지털 장치 KR20000031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18A KR20000031335A (ko) 1998-11-05 1998-11-05 휴대용 디지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18A KR20000031335A (ko) 1998-11-05 1998-11-05 휴대용 디지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35A true KR20000031335A (ko) 2000-06-05

Family

ID=1955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318A KR20000031335A (ko) 1998-11-05 1998-11-05 휴대용 디지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3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655B1 (ko) * 2000-01-28 2002-07-27 이용희 전원 절약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저장장치
KR100426170B1 (ko) * 2001-10-17 2004-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KR100473889B1 (ko) * 2001-03-02 2005-03-08 블루텍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록매체 및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100557178B1 (ko) * 1999-07-3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피3 곡 선택재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78B1 (ko) * 1999-07-3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피3 곡 선택재생방법
KR100345655B1 (ko) * 2000-01-28 2002-07-27 이용희 전원 절약 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저장장치
KR100473889B1 (ko) * 2001-03-02 2005-03-08 블루텍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록매체 및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100426170B1 (ko) * 2001-10-17 2004-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20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무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US6388961B1 (en)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KR100539033B1 (ko)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JP2006317972A (ja) 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方法とこれを適用した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
JP2002268695A (ja) リムーバブル・フェース・プレート圧縮ディジタル・ミュージック・プレイヤ
JP2003032617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8268969A (ja) ディジタルデータプレーヤー、そのデータ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7025001A (ja) 音声記録装置、音声記録方法及び音声記録プログラム
JP4230517B2 (ja) 音声及び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20000031335A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
JP4012976B2 (ja) 口述録音及び録音再生装置
JP2000148190A (ja) 携帯用デジタル装置
US7124086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stored on a removable recording medium
KR100630109B1 (ko) 휴대형 뮤직 비디오 시스템
JP2005072799A (ja) 記録装置と記録方法
US7765198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2003131698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KR20050041603A (ko)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제작방법 및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 컨텐츠 재생장치
KR100442060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녹음 및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9122609A (ja) 音響信号符号化装置と音響信号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H09218694A (ja) 音声記録再生装置および音声記録再生システム
JP3640920B2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組み込まれたマイク装置
JP2001034295A (ja) 音声メッセージ記録再生方式
KR100980171B1 (ko) 디지털 정보의 재생 방법 및 디지털 정보 기록 또는 재생장치
KR100505793B1 (ko) 휴대용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