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761A -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761A
KR20000030761A KR1020000013051A KR20000013051A KR20000030761A KR 20000030761 A KR20000030761 A KR 20000030761A KR 1020000013051 A KR1020000013051 A KR 1020000013051A KR 20000013051 A KR20000013051 A KR 20000013051A KR 20000030761 A KR20000030761 A KR 2000003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tation
database
module
program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환
Original Assignee
안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일환 filed Critical 안일환
Priority to KR102000001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761A/ko
Publication of KR2000003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명상을 위해 별도의 명상용 기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많이 가는 문제점과, 명상을 원할 때 바로 명상을 할 수 없고 명상용 기기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은, 다수개의 알파파 웨이브파일로 구성된 뇌파데이터베이스와; 음악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음악파일로 구성된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와; 영상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이미지파일로 구성된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와;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신망상에서 관리 및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행하여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관리유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은, 통신모듈과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함으로써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도중, 원할 때마다 명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명상용 기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부담없이 명상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meditation system used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면 명상화면, 명상음악, 알파파 등을 제공하여 휴식과 안정을 주는 명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라는 점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런 뇌는 최근 몇년사이에 의과학의 눈부신 진전으로 빠른 속도로 신비의 베일들을 벗어가고 있다.
뇌 신경세포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전기적 흐름이 생기는데 이때 뇌파가 발생한다. 최신 연구들은 뇌파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뇌파는 잠잘 때나 혼수상태에 빠졌을 때는 아주 느린 델타파(0.5∼4Hz)가, 꾸벅꾸벅 졸고 있을 때나 잠에 빠져 있을 때는 세타파(4∼7Hz)가 나타난다. 활동할 때는 빠른 베타파(14∼30Hz), 명상을 할 때는 비교적 느린 중간정도의 알파파(7∼13Hz)가 주로 나타난다.
상기 알파파는 두뇌의 정보처리가 감소할 때 나타나는 뇌파로서, 보통 눈을 감으면 눈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가 없어지기 때문에 시각중추가 있는 후두부에서 이 파가 잘 나타난다. 블록을 맞추는 것과 같은 공간적인 일을 할 때는 주로 우측 대뇌부가 활동하기 때문에 좌측 대뇌부에 큰 진폭의 알파파가 나타난다. 그리고 말을 하거나 글을 쓰고 있을 때는 좌측 대뇌가 더 큰 활동을 하기 때문에 우측 대뇌부에 알파파가 나타난다. 반면 사람이 적당히 긴장하고 있을 때에는 베타파가 주로 나와 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게 만든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심해서 긴장의 도가 지나치면 빠른 베타파가 나타난다. 이때는 감정적 흥분이 심해서 다른 사람과 잘 충돌하거나 기억된 사실을 잘 잊어버린다.
지속적으로 베타파만 발산하는 사람은 스트레스, 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면역기능 저하, 고혈압,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에 걸리기 쉽다. 아직 의학적으로 베타파가 얼마동안 지속되어야 이들 질병에 노출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기간의 베타파가 이들 질환을 유발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럴 때는 뇌를 인위적으로 알파파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이들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뇌를 알파파 상태로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명상을 하거나 조용한 음악을 들으며 쉬는 것이다. 명상은 마음 속에 있는 여러가지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하나로 통일해 무념무상의 경지에 몰입하게 만들어 준다. 교회나 절에서 하는 종교적인 기도도 명상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 이때 사람의 뇌는 외부로부터의 해로운 자극이 입력되지 않으므로써 알파파가 잘 발생하게 된다.
음악은 자연의 소리와 닮은 물리적 파동을 지닌 음악(예:비발디의 사계, 베토벤의 전원교향곡)을 듣는 것이 좋다. 숲속의 바람소리, 시냇물 흐르는 소리, 파도소리, 눈을 밟는 소리, 새소리와 같은 자연의 소리는 정신을 맑고 쾌적하게 만들어 알파파 상태를 만들어 준다. 이는 정신이 복잡할 때 산위에 오르거나, 시원한 폭포수 근처나 파도소리가 들리는 바닷가에 갈 때 즐거운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이다.
과학자들은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정도는 뇌를 알파파 상태로 만들어 주도록 권유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의 바쁜 도시생활때문에 매일 엄청난 양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인위적으로 알파파를 발생시켜 명상에 들도록 해주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로, 명상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기출원번호:10-1997-081430)가 있다.
상기 명상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는, 명상모드를 설정하여 음성과 영상을 선택하게 되면 그 선택된 음성과 영상이 스피커와 CRT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은 명상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의 텔레비젼 수상기는, 명상모드의 선택과 음성 및 영상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10), 상기 명상모드에서 출력될 음성과 영상이 저장된 음성메모리(14)와 영상메모리(20), 이 음성메모리(14)와 영상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음성과 영상을 디코딩하는 음성디코더(15)와 영상디코더(21), 상기 디코딩된 음성과 영상을 상기 음성처리부(17)와 영상처리부(23)로 스위칭출력하는 음성스위칭부(16)와 영상스위칭부(22), 상기 명상모드의 설정상태에서 선택된 음성과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 및, 상기 명상모드의 설정시 영상과 음성의 메뉴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CRT에 표시되도록 하는 OSD발생부(24)로 구성된다.
이러한 명상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는, 명상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과 배경화면을 선택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명상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트레스가 쌓일 때는 바로 바로 풀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명상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는, 명상을 돕기 위한 장치로 텔레비젼을 이용함으로써 텔레비젼이 비치된 장소나 가정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장인의 경우는 업무시간 도중이나 점심시간 등을 이용하여 잠깐 동안 명상에 잠기고 싶어도 텔레비젼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명상에 잠길 수 없다. 즉, 종래의 명상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는 일상생활을 하는 도중에 필요시 바로 바로 명상할 수 없기 때문에 비실용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명상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는, 명상을 위해서는 고가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따라서, 수상기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커서 널리 보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상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젼과 같은 별도의 명상용 기기를 이용하지 않으며,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도중, 원할 때마다 명상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명상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시스템의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시스템의 전체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프로그램의 순서도.
도5는 명상프로그램별로 실행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은, 다수개의 알파파 웨이브파일로 구성된 뇌파데이터베이스와; 음악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음악파일로 구성된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와; 영상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이미지파일로 구성된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와;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신망상에서 관리 및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행하여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관리유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는, 집중력향상용 또는 수면촉진용 등의 명상목적별로 세분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파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알파파의 출력주기에 따라 느린파형웨이브파일, 중간파형웨이브파일, 빠른파형웨이브파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이미지뷰어프로그램이나 음악파일플레이어없이 사용자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와 모니터를 통하여 바로 출력시키는 실시간실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관리유지모듈이 있고, 통신모듈, 사용자관리모듈, 명상프로그램모듈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들은 중앙의 관리유지모듈과 연계되어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실시간실행모듈과, 다운로드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에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명상프로그램모듈은 뇌파데이터베이스,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 명상자료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유지모듈은 통신망,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명상시스템에 접속한 이용자(사용자)의 관리 및 통신모듈, 사용자관리모듈, 명상프로그램모듈간의 데이터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관리유지모듈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신망상에서 관리 및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행하여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본 명상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메인프로그램이 이 관리유지모듈에서 실행된다. 도3은 이 메인프로그램의 순서도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살펴보면, 일단,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자로그인과정을 거친다.(S1)
상기 사용자로그인과정(S1)은 관리유지모듈의 제어하에 사용자관리모듈에서 이루어진다. 최초로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ard), 그외 신상정보 등을 함께 등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미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사전에 등록된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로그인시킨다.
그리고 본 명상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항상 관리유지모듈의 제어하에 통신모듈이 동작하여 본 명상시스템과 접속자간에 데이터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관리모듈과 통신모듈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하여 명상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명상시스템은 종래의 명상기기와 달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명상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모듈은 본 명상시스템을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서 운영되도록 해주는 구성으로 DNS서버, 웹서버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컴퓨터는 본체와 모니터로 구성된다. 컴퓨터의 보급으로 사무처리에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나 직장에서 대부분의 낮시간을 보내는 일반인들의 경우 항상 컴퓨터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컴퓨터에 웹브라우저만 설치하면 언제든지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명상을 원할 때마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하여 명상에 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로그인 과정(S1)이 끝나면 본 명상시스템의 용도를 선택한다.(S2)
상기 용도선택과정(S2)은 다양한 명상프로그램 중 한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후술하겠지만 명상의 목적이 집중력향상인지, 중간휴식인지, 수면촉진인지 등에 따라 사용자가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명상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일차적으로 마음이 안정되는 것이다. 마음이 안정되면, 집중력도 향상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상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 명상프로그램을 집중력향상용, 중간휴식용, 수면촉진용으로 전문화하여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좀 더 전문화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전문화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을 다시 세분하여 장시간 숙면용 또는 단시간 숙면용 등으로 전문화시켜 단시간 숙면용 명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장인들이 짧은 점심시간동안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문화를 하지 않더라도 일차적으로 명상에 몰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중력향상이나 수면촉진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가 얻어지므로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명상프로그램을 전문화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했으면(S3)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고,(S6) 사용자가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했으면(S4)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고,(S7) 사용자가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했으면(S5)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된다.(S8)
상기 각 명상프로그램은 다시 뇌파을 선택하는 부분과, 명상음악을 선택하는 부분, 그리고 명상화면을 선택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4는 이러한 명상프로그램의 순서도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살펴보면,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어(S21) 뇌파/음악/화면선택과정을 거친다.(S22)
상기 뇌파/음악/화면 선택과정(S22)은, 명상에 몰입하는 데 있어 명상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상음악과 명상화면과, 뇌파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단, 사용자가 뇌파를 선택하면,(S23) 뇌파데이터베이스가 가동되고,(S26) 뇌파 출력프로그램이 실행된다.(S29) 사용자가 명상음악을 선택하면,(S24)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가 가동되고,(S27) 명상음악 출력프로그램이 실행된다.(S30)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명상화면을 선택하면,(S25)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가 가동되고,(S28) 명상화면 출력프로그램이 실행된다.(S31)
상기 뇌파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주파수를 가진 알파파 웨이브파일(wave file)로 구성된다. 상기 알파파 웨이브파일은 웨이브파일 실행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고 통신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알파파의 출력은 사용자의 컴퓨터의 사운드카드로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뇌파를 듣기 위해서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 이어폰 등을 착용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파파를 주파수별로 3가지로 나누어 뇌파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였다. 정확하게는, 알파파를 출력하는 주기를 슬로우(slow), 미드(mid), 패스트(fast) 3가지로 세분하여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로우파형, 미드파형, 패스트파형으로 뇌파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알파파를 좀 더 세분하여 뇌파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상음악으로 널리 알려진 비발디의 사계나, 베토벤의 전원교향곡, 숲속의 바람소리, 대황하 등의 음악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이나 폭포, 수풀과 같은 자연을 연상시키는 화면과, 작아지는 원 등의 이미지파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상음악은 명상음악 출력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별도의 음악실행 프로그램 예를 들면, 제트오디오와 같은 오디오플레이어의 실행없이 앞서의 뇌파와 함께 사용자 컴퓨터의 사운드카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명상화면의 경우도 별도의 뷰어프로그램의 실행없이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였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모듈은 실시간실행모듈과 다운로드모듈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실시간실행모듈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명상영상이나 명상음악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모듈은 실시간이 아닌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가 명상영상과 명상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명상영상파일이나 명상화면파일 등을 다운로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을 상기와 같이 실시간실행모듈과 다운로드모듈로 구성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명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온라인상에서만 명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통신모듈을 실시간실행모듈만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명상시스템에 접속해서만 명상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뇌파데이터베이스,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는 실행되는 명상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5는 상술한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별로 실행되는 뇌파와 명상음악, 명상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의 경우, 뇌파로는 슬로우파형, 미드파형, 패스트파형, 명상음악으로는 대황하, 타오르는 불, 천청류, 명상화면으로는 작아지는 원, 발광, 화면가르기, 촛불 등이 실행된다. 그리고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의 경우, 뇌파로는 슬로우파형, 미드파형, 패스트파형, 명상음악으로는 비발디의 사계, 베토벤의 전원교향곡, 동설화, 명상화면으로는 배, 무당벌레, 말미잘, 눈결정체 등이 실행된다.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의 경우, 뇌파로는 슬로우파형, 미드파형, 패스트파형, 명상음악으로는 숲속의 바람소리, 마음의 언덕, 피안을 향하여, 명상화면으로는 풍경, 물풀, 낙엽, 풀꽃 등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상프로그램에 따라 도5와 같이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에는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이 실행되도록 구성하였고,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에는 수면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이 실행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명상프로그램별 뇌파와 명상음악과, 명상화면 데이터베이스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은 동시에 실행되도록 구성하였다. 동시에 3가지를 복합적으로 체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명상의 효과를 배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뇌파와 명상음악, 명상화면이 동시에 실행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각각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뇌파 출력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실행을 중단시킬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되도록 구성하였다.(S32) 물론, 명상음악 출력프로그램과 명상화면 출력프로그램도 사용자가 실행을 중단시킬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되도록 구성하였다.(S33,S34)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각 출력프로그램의 실행을 온/오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만 출력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뇌파 출력프로그램이나 명상음악 출력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면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이 중단된다.(S35)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시킴에 따라(S35) 사용자가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을 실행했다면 집중력향상용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이 중단되고,(S9) 사용자가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을 실행했다면 중간휴식용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이 중단된다.(S10) 그리고 사용자가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했다면 수면촉진용 명상프로그램의 실행이 중단된다.(S11)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로그오프하면(S12) 본 명상시스템과의 접속이 끊어진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명상시스템을 이용하여 명상을 하기 위해서는 다시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본 명상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로그인한 후(S1) 명상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상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은, 통신모듈과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함으로써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도중, 원할 때마다 명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명상용 기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부담없이 명상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개의 알파파 웨이브파일로 구성된 뇌파데이터베이스와;
    음악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음악파일로 구성된 명상음악데이터베이스와;
    영상으로써 명상에 몰입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명상이미지파일로 구성된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와;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신망상에서 관리 및 유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행하여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관리유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명상음악, 명상화면데이터베이스는, 집중력향상용 또는 수면촉진용 등의 명상목적별로 세분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알파파의 출력주기에 따라 느린파형웨이브파일, 중간파형웨이브파일, 빠른파형웨이브파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명상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각 데이터베이스의 파일들을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이미지뷰어프로그램이나 음악파일플레이어없이 사용자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와 모니터를 통하여 바로 출력시키는 실시간실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KR1020000013051A 2000-03-15 2000-03-15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KR20000030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51A KR20000030761A (ko) 2000-03-15 2000-03-15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51A KR20000030761A (ko) 2000-03-15 2000-03-15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761A true KR20000030761A (ko) 2000-06-05

Family

ID=1965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51A KR20000030761A (ko) 2000-03-15 2000-03-15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761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003A (ko) * 2000-08-16 2000-11-06 신일산 교육 정보 제공 전용 웹브라우저
KR20010094109A (ko) * 2000-04-04 2001-10-31 심규석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학습효과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되는 정보 저장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재생 방법
KR20020008683A (ko) * 2000-07-25 2002-01-31 장석우 인터넷상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두뇌잠재능력개발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KR20020061259A (ko) * 2001-01-15 2002-07-24 김도향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20087581A (ko) * 2001-05-14 2002-11-23 (주)인터텔 네트워크 기반 최면 자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433A (ko) * 2001-11-30 2003-06-09 (주)엠비즈코리아 씨비에쓰를 이용한 잠재의식 활성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391013B1 (ko) * 2000-06-17 2003-07-12 김문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무한 음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0441A (ko) * 2002-02-25 2003-08-30 쓰리알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최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최면 서비스 방법
KR20030085764A (ko) * 2002-05-01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이용한 음향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0463080B1 (ko) * 2002-01-08 2004-12-23 장석우 인터넷의 온라인 오프라인을 활용하는 광안경 장치
KR100472720B1 (ko) * 2002-04-12 2005-03-08 주식회사 드림프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파일의 다운로드 방법및 시스템
KR100544230B1 (ko) * 2003-10-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예술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7124B1 (ko) * 2018-12-10 2019-06-10 김병전 미술 작품이 배경으로 표출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명상 보조 시스템
KR20210026331A (ko) 2019-08-29 2021-03-10 김양희 뇌파 유도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210061312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불상스크린을 갖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KR20210061313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불상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20210061311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디스플레이 명상시스템
KR20210061314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102313663B1 (ko) 2020-12-24 2021-10-19 안형철 Vr명상시스템
CN113805836A (zh) * 2021-09-18 2021-12-17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基于脑电波的冥想音效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51408A (ko) 2021-05-06 2022-11-15 안형철 Vr명상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09A (ko) * 2000-04-04 2001-10-31 심규석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학습효과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되는 정보 저장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재생 방법
KR100391013B1 (ko) * 2000-06-17 2003-07-12 김문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무한 음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8683A (ko) * 2000-07-25 2002-01-31 장석우 인터넷상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두뇌잠재능력개발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KR20000064003A (ko) * 2000-08-16 2000-11-06 신일산 교육 정보 제공 전용 웹브라우저
KR20020061259A (ko) * 2001-01-15 2002-07-24 김도향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20087581A (ko) * 2001-05-14 2002-11-23 (주)인터텔 네트워크 기반 최면 자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433A (ko) * 2001-11-30 2003-06-09 (주)엠비즈코리아 씨비에쓰를 이용한 잠재의식 활성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63080B1 (ko) * 2002-01-08 2004-12-23 장석우 인터넷의 온라인 오프라인을 활용하는 광안경 장치
KR20030070441A (ko) * 2002-02-25 2003-08-30 쓰리알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최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최면 서비스 방법
KR100472720B1 (ko) * 2002-04-12 2005-03-08 주식회사 드림프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파일의 다운로드 방법및 시스템
KR20030085764A (ko) * 2002-05-01 200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이용한 음향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0544230B1 (ko) * 2003-10-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예술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7124B1 (ko) * 2018-12-10 2019-06-10 김병전 미술 작품이 배경으로 표출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명상 보조 시스템
KR20210026331A (ko) 2019-08-29 2021-03-10 김양희 뇌파 유도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2313663B1 (ko) 2020-12-24 2021-10-19 안형철 Vr명상시스템
KR20210061312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불상스크린을 갖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KR20210061313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불상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20210061311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디스플레이 명상시스템
KR20210061314A (ko) 2021-05-06 2021-05-27 안형철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20220151408A (ko) 2021-05-06 2022-11-15 안형철 Vr명상시스템
CN113805836A (zh) * 2021-09-18 2021-12-17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基于脑电波的冥想音效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0761A (ko)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Krueger Music as affective scaffolding
Prpa et al. Attending to breath: exploring how the cues in a virtual environment guide the attention to breath and shape the quality of experience to support mindfulness
US9987459B2 (en) Device for inducing and maintaining sleep
KR101904505B1 (ko)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US9191764B2 (en) Binaural audio signal-based applications
US6875167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ain wave-inducing signals and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ame
Lotan Mesika et al. Waking up the bear: dance/movement therapy group model with depressed adult patients during Covid-19 2020
Graham Re-socialising sound: Investigating sound, selfhood and intersubjectivity among people living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Hsieh et al. The effect of water sound level in virtual reality: A study of restorative benefits in young adults through immersive natural environments
Garner et al.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US20240001068A1 (en) Mood adjus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al-time biosensor signals from a subject
Yin et al. Drifting Off in Paradise: Why People Sleep in Virtual Reality
Schmid et al. Music therapy research during a pandemic: An accidental experiment in caring for music
Chan et al. Exploring theater experiences among Hong Kong audiences
Hsieh et al. The effect of water sound level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benefits: A study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on urban Forest Trail
Lord Shattering the Myth of the Passive Spectator: Entrepreneurial Efforts to Define and Enhance Participation in" Non-Participatory" Arts
Freedman Meditation
US20230321392A1 (en) Audio-Based Operant Conditioning for Brain Training
KR200204453Y1 (ko) 헤드셋
Finley Mobilizing the technology storm: app-based stress relief–using free or low-cost apps to beat work and personal stress
Bentley Soundscape and the Experience of Positive Silence
Whalen Working with incongruence in a Wholebody Focusing Oriented approach to psychotherapy: towards a mutuality of shared presence
Alasuutari Is globalization undermining the sacred principles of modernity?
CN116650790A (zh) 主被动体验融合的交互式虚拟现实心理疏导放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