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259A -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259A
KR20020061259A KR1020010002217A KR20010002217A KR20020061259A KR 20020061259 A KR20020061259 A KR 20020061259A KR 1020010002217 A KR1020010002217 A KR 1020010002217A KR 20010002217 A KR20010002217 A KR 20010002217A KR 20020061259 A KR20020061259 A KR 2002006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music
sound
interne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향
Original Assignee
김도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향 filed Critical 김도향
Priority to KR102001000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259A/ko
Publication of KR2002006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또는 음악의 정보를 등록시키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원을 가입 받고, 영상 또는 음악이 제공될 때마다 광고를 제공하고, 제공된 영상 또는 음악, 광고, 시간을 등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픈 사람들의 증세에 따라 가벼운 치료를 하기 위하여, 치료음악과 치료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실시간 치료 프로그램이다. 치료영상으로서는 증세에 따라 스스로 할 수 있는 지압, 수지침, 관상명상, 도인체조, 자연영상 등을 제공하며 그와 함께 소리의 힘을 오행별로 나누어 경락을 자극시켜 치료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음악을 제공하여 짧은 시간에 간단히 치료가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A Therapy Music and Picture Suppl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by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치료하고자 하는 증세에 따라 경락을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오행에 기초하여 작곡된 치료음악과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 사회가 고도 정보화 사회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인간의 사회적 소외현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컴퓨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및 정신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현대 사회인의 정신적 및 육체적인 문제점을 해소 시키고자 이른바 기체조 또는 명상을 할 수 있는 업체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더불어 근래에는 명상을 도와줄 수 있는 명상음악이 시판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서양의 명상음악은 사람의 뇌파를 이른바 세타(θ)파에 근접시킴으로써 정신을 맑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체조와 명상은 수련을 하기 위해 수련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전문 수련인을 제외한 바쁜 현대인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즉, 예를 들어 하루종일 컴퓨터를 사용해야하는 직장인은 짬짬이 명상을 하거나 기체조를 하여 신체 및 정신을 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명상음악은 뇌파를 세타파에 근접시켜 정신을 맑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특정의 증세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인터넷을 통해 지압, 수침, 관명, 도체, 자연의 치료동영상을 제공하고, 오행별로 경락을 자극시켜 치료할 수 있도록 치료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동영상과 치료음악을 제공함과 더불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치료하고자 하는 증세별로 오행(五行)에 입각하여 경락(經絡)을 자극시킴으로써 치료할 수 있는 음악을 작곡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서 회원서비스 단계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2에서 비회원서비스 단계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데이터베이스, 광고데이터베이스, 회원데이터베이스, 이력데이터베이스의 필드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아픈증세 메뉴에서 가-마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서브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메뉴에서 가슴답답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자연에 의한 치료동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아픈증세의 서브메뉴에서 목,어깨결림A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지압에 의한 치료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아픈증세의 서브메뉴에서 간기능 강화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A~C)은 도 12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도체에 의한 치료동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아픈증세 메뉴에서 타-하 항목의 현기증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수침에 의한 치료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원데이터베이스20 : 이력데이터베이스
30 : 서버40 : 광고데이터베이스
50 : 컨텐츠데이터베이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이 제공될 때마다 더불어 제공되는 광고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광고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과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로 하여금 치료영상, 치료음악, 광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회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이 제공될 때마다 더불어 제공되는 광고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광고데이터베이스와;
제공된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 광고, 제공된 시간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이력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과 접속되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로 하여금 치료영상, 치료음악, 광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가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치료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선택된 증세의 치료영상 및 치료음악을 전송시키는 회원서비스단계와; 상기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접속자가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치료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선택된 증세에 관련된 광고를 시청하도록 전송시킨 후 치료영상 및 치료음악을 전송시키는 비회원서비스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회원데이터베이스, 20은 이력데이터베이스, 30은 서버, 40은 광고데이터베이스, 50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 60은 인터넷, 70은 회원터미널, 80은 비회원터미널, 90은 광고주터미널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는 인터넷(60)을 통해 회원터미널(70), 비회원터미널(80), 또는 광고주터미널(90)과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30)는 회원데이터베이스(10), 이력데이터베이스(20), 광고데이터베이스(40),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와 접속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서버(30)에 설치되어 일체로 운영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운영되면서 서버(3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는 예컨대 서버급 펜티엄 컴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서버(30)에는 인터넷서비스를 할 수 있는 운영프로그램이 설치됨과 더불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하여 예컨대 SQL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데이터베이스(10)에는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등록시키고, 이력데이터베이스(20)에는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등록된다. 또한,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에는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 서비스의 정보를 저장되고, 광고데이터베이스(40)에는 비회원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때 동시에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버(30)를 통해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은 예컨대 ASP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회원터미널(70), 비회원터미널(80), 광고주터미널(90)에 제공되는 사용자 프로그램은 예컨대 JAVA스크립트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컨텐츠의 용량이 크지 않아 HTML파일로 직접 작성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에는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른 동영상파일의 경로정보 등을 모두 HTML파일에 직접 코딩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치료 음악 및 치료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회원 또는 비회원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한다(S110). 그러면, 서버(30)는 접속자가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초기 화면에서, 회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버(30)는 입력된 회원의 ID와 패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상기 회원의 인증은 회원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 서버(30)는 접속자에게 회원서비스를 제공한다(S150).
한편, 접속자가 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접속자로 하여금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유도하고(S130),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원가입처리 서비스를 통해 가입시킨 후(S140), 회원서비스(S150)를 제공한다. 접속자가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회원의 성명, 주소 등의 일반정보와 함께 반복적으로 치료받고자 하는 치료정보를 선택적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만일, 접속자가 회원으로 가입을 하지 않는 경우에 서버(30)는 접속자에게 비회원서비스를 제공한다(S160).
상기 회원서비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자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비회원서비스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서비스와 광고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회원서비스는 회원으로부터 회비를 받는유료서비스로 운영될 수 있고, 비회원서비스는 광고주로부터는 광고비를 받고 무료서비스로 운영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회원서비스 단계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회원서비스가 시작되면, 서버(30)는 회원으로 하여금 계속치료, 증세메뉴, 반복치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속치료는 소정의 치료계획(예컨대 임신개월 수 마다)에 따라 하나의 치료가 끝나면 다음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반복치료는 회원이 운영자의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이미 등록시켜둔 치료서비스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증세메뉴는 서버(30)에서 증세메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풀-다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회원이 증세메뉴를 선택하면, 서버(30)는 회원이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회원터미널(70)에 상세한 증세 서브메뉴를 제공한다(S240). 그러면, 회원은 제공된 증세메뉴에서 치료하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한다(S250). 상기 선택된 증세는 회원터미널(70)로부터 서버(30)로 전송된다.
회원이 이와 같이 증세를 선택하면, 서버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레코드에서 해당 증세의 치료정보(예컨대 치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회원터미널(70)측으로 전송시킨다(S260). 상기 회원의 터미널로 전송되는 정보는 회원터미널(70)의 이른바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치료동영상에는 지압, 수침, 관명, 도체(도인체조), 또는 자연 영상과 치료음악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치료음악은 증세를 치료하기 위해 경락(經絡)을 자극시킬 수 있도록 작곡된 것이다. 상기 지압, 수침, 도체와 같은 동영상은 필요에 따라 정지화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치료정보에서 텍스트는 치료를 하기 위해 치료동영상과 결합된 치료에 대한 도움말로 구성된다.
상기 치료동영상과 텍스트는 해당 증세의 치료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S270). 이와 같이 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가 종료되게 되면, 서버(30)는 회원ID, 컨텐트ID, 제공시간의 정보를 이력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킨다(S280). 이때 서버(30)는 회원에게 제공된 치료에 따른 컨텐트ID를 회원데이터베이스(10)의 최종치료컨텐트ID 필드에 등록시킨다.
한편, 회원서비스가 시작될 때 회원이 계속치료를 선택하게 되면, 서버(30)는 회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된 치료정보를 추출한다(S220). 상기 최종적으로 제공된 치료정보는 회원데이터베이스(10)의 최종치료컨텐트ID 필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는 회원에게 제공해야할 치료정보를 검색하고 추출한다(S230). 이때 제공해야할 치료정보는 상기 최종치료컨텐트ID에 해당되는 레코드를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검색하고, 그 레코드의 연결치료컨텐트ID 필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어야 할 치료정보의 검색이 이루어지면, 서버(30)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레코드에서 해당 증세의 치료정보(예컨대 치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회원터미널(70)측으로 전송시킨다(S260). 마찬가지로 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가 종료되게 되면, 서버(30)는 회원ID, 컨텐트ID, 제공시간의 정보를 이력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킨다(S280). 이때 서버(30)는 회원에게 제공된 치료에 따른 컨텐트ID를 회원데이터베이스(10)의 최종치료컨텐트ID 필드에 등록시킨다.
마지막으로, 회원서비스가 시작될 때 회원이 반복치료를 선택하게 되면, 서버(30)는 회원이 등록시켜둔 반복치료정보를 추출한다(S300). 상기 반복치료정보는 회원데이터베이스(10)의 반복치료컨텐트ID 필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서버(30)는 회원에게 제공해야할 치료정보를 검색하고 추출한다(S310). 이때 제공해야할 치료정보는 상기 반복치료컨텐트ID에 해당되는 레코드를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검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어야 할 치료정보의 검색이 이루어지면, 서버(30)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레코드에서 해당 증세의 치료정보(예컨대 치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회원터미널(70)측으로 전송시킨다(S260). 상기 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에 등록된 파일이고, 텍스트는 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에 등록된 것이다.
계속해서, 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가 종료되게 되면 서버(30)는 회원ID, 컨텐트ID, 제공시간의 정보를 이력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킨다(S280). 그리고 서버(30)는 회원에게 제공된 치료에 따른 컨텐트ID를 회원데이터베이스(10)의 최종치료컨텐트ID 필드에 등록시킨다.
도 4는 도 2에서 비회원서비스 단계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비회원서비스가 시작되면, 서버(30)는 접속자에게 제공해야할 증세메뉴를 비회원터미널(80)측으로 전송시킨다(S410). 그러면, 접속자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증세메뉴에서 치료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한다(S420). 상기 선택된 증세는 비회원터미널(80)로부터 서버(3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비회원이 증세를 선택하면, 서버(30)는 접속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해당 증세에 등록된 동영상 광고를 비회원터미널(80)측으로 전송시킨다(S430). 이때, 동영상광고는 접속자가 선택한 증세의 컨텐트ID를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검색하고 필드에 등록된 광고ID를 검색한 후, 광고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해당 광고ID의 광고파일경로명 필드에 등록된 동영상파일을 추출하여 제공하면 된다.
상기 비회원에게 제공되는 광고가 종료되게 되면, 서버(30)는 비회원이 선택한 증세의 치료동영상과 텍스트를 비회원터미널(80)측으로 전송시킨다(S450). 이때, 비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은 예컨대 3분내에 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비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에 등록된 파일이고, 텍스트는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에 등록된 것이다.
이와 같이 비회원에게 제공되는 치료가 종료되게 되면, 서버(30)는 컨텐트ID, 광고ID, 제공시간의 정보를 이력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킨다(S470). 그리고 치료서비스가 비회원에게 제공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이력데이터베이스(20)의 회원ID 필드에는 비회원을 나타내는 코드를 등록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데이터베이스, 광고데이터베이스, 회원데이터베이스, 이력데이터베이스의 필드구조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A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 B는 광고데이터베이스, C는 회원데이터베이스, D는 이력데이터베이스(20)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는 컨텐트ID,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비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 비회원용파일형식,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 회원용파일형식, 회원용치료텍스트, 광고제공여부, 광고ID, 연결치료컨텐트ID의 필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광고데이터베이스(40)는 광고ID, 광고주, 광고기간, 컨텐트ID, 광고파일경로명, 광고길이, 광고파일형식의 필드로 구성된다.
또한, 회원데이터베이스(10)는 회원ID, 성명, 주소, 전화번호, 가입일, 포인트, 패스워드, 최종치료컨텐트ID, 반복치료컨텐트ID의 필드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이력데이터베이스(20)는 이력ID, 회원ID, 컨텐트ID, 광고ID, 제공시간의 필드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초기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0은 메뉴표시부, 210은 증세표시부, 310은 텍스트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40은 아픈증세 메뉴의 가-마 항목메뉴, 180은 바-사 항목메뉴, 190은 아-카 항목메뉴, 200은 타-하 항목메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항목별 메뉴는 전체보기 메뉴를 통해서 제공되는 치료를 모두 조회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아픈증세 메뉴에서 가-마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서브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마 항목의 서브메뉴는 예컨대 가슴답답, 간기능 강화, 갑상선, 고혈압예방A, 두통, 만성피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메뉴에는 제공되는 치료별로 동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뉴의 우측에 동영상 표시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원 또는 비회원은 증세별로 치료받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메뉴에서 가슴답답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답답을 선택하면, 증세표시부(142)에는 "가슴이 답답할 때"의 텍스트가 표시되고, 텍스트표시부(143)에는 해당되는 증세의 도움말이 표시된다. 상기 증세표시부(142)에 표시되는 내용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증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텍스트표시부(143)에 표시되는 내용은 접속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컨텐트데이터베이스(50)의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이때에는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화면의 우측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속도 선택메뉴(144)가 표시된다. 상기 전송속도 선택메뉴는 동영상이 전송될 경우 통신상태에 따라 최적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 가능한 통신속도는 예를 들어 56K, 128K, 256K, 512K이다.
도 9는 도 8에서 임의의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자연에 의한 치료동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45는 동영상표시영역, 147은 그래픽영상, 146은 자연영상, 148은 화면확대버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자연영상과 그래픽영상은 치료효과가 나타나도록 구성되고, 서로 오버레이시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확대버튼(148)을 클릭하면, 동영상표시영역(145)이 전체화면크기로 확대된다.
이때, 상기 동영상이 플레이될 때 치료를 위한 음악이 동시에 플레이되게 된다. 따라서 접속자는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고 음악을 감상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다.
상기 치료를 위한 음악은 다음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행의 원리에 입각하여 경락을 자극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 1] 오행과 소리의 관계
오행의 구분 소리
ㄱ, ㄲ, ㅋ
ㄴ, ㄷ, ㅌ, ㄹ
ㅁ, ㅂ, ㅍ
ㅇ, ㅎ
ㅅ, ㅊ
상기와 같이 오행별 소리에 따라 음악을 작곡하게 되는데, 이때 음악은 경락을 자극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다음의 표와 같이 작곡된다.
[표 2] 경락별 오행에 의한 치료음악 작곡 기준
순번 경락 중심음(中心音) 보음(補音) 운행음(運行音)
1 수태음폐경 水, 金 木 -> 火
2 수양명대장경 木, 火 水 -> 土
3 속양명위경 火, 土 水 -> 木
4 속태음비경 木, 火 水 -> 金
5 수소음심경 土, 木 金 -> 水
6 수태양소장경 木, 土 木 -> 火
7 족태양방광경 金, 土 木 -> 火
8 족소음심경 土, 金 木 -> 水
9 수궐음심포경 火, 水 金 -> 土
10 족소양담경 火, 土 水 -> 金
11 족궐음간경 火, 土 金 -> 水
12 수소양삼초 木, 土 金 -> 水
상기 치료음악은 기본음, 보음, 운행음을 기초로 하여 작곡되게 되는데, 이때 멜로디의 고, 저, 완급의 상태를 같은 원리로 적용하고, 리듬 및 소리의 공간(소리가 비어 있는 부분)을 이용하여 명상이 되도록 작곡하게 된다.
[표 3] 증세별 치료 영상, 음악, 경락과의 관계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영상 음악 경락
1 1 두통A 지압 소양10 수양명
2 두통B 수침 태양2 족태양
3 두통C 관명 태양1 수궐음
2 4 편두통A 도체 궐음3 족소양
5 편두통B 수침 궐음4 수소양
6 편두통C 수침 궐음1 족소양
3 7 후두통 관명 태양5 족태양
4 8 현기증A 지압 6 족궐음
9 현기증B 관명 7
10 현기증C 관명 9
11 현기증D 수침 1 수소양
12 현기증E 수침 6 족궐음
13 현기증F 지압 8 수소양
14 현기증G 도체 10 족소음
5 15 양기부족A 관명 소음9
16 양기부족B 지압 3 수태양
17 양기부족C 도체 9 족소음
18 양기부족D 도체 3 족소음
19 양기부족E 도체 4 족소음
20 양기부족F 도체 9 족소음
6 21 갑상선 도체 6 수궐음
7 22 만성피로 도체 4 족소음
8 23 이명 도체 2 단전
9 24 탈모예방A 도체 9 족소음
25 탈모예방B 도체 7 족소음
10 26 관절염 도체 9 족소음
11 27 손에땀 관명 5 수소음
12 28 숙취A 도체 1 족궐음
29 숙취B 지압 10 족궐음
30 숙취C 관명 2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영상 음악 경락
13 31 치질예방 도체 8 족태양
14 32 집중력 도체 5 족태양
15 33 불면증A 도체 10 쉬 字
34 불면증B 관명 9 소주천
35 불면증C 지압 8 족소음
16 36 소화불량A 관명 6 족궐음
37 소화불량B 도체 5 족양명
38 소화불량C 도체 6 족양명
39 소화불량D 도체 6
17 40 옆구리통증A 도체 1 족소양
41 옆구리통증B 도체 2
42 옆구리통증C 도체 3 족소양
18 43 협심증 도체 허字결
19 44 가슴답답 도체 쓰字결
20 45 오줌소태 도체 10 족태양
21 46 변비A 수침 8 수양명
47 변비B 도체 7 수양명
22 48 목디스크 도체 3 수소음
23 49 요통A 수침 9 족태양
50 요통B 도체 7 족소음
24 51 호흡기질환 도체 7 수태양
25 52 목, 어깨결림A 수침 1 수양명
53 목, 어깨결림B 지압 2 수태양
54 목, 어깨결림C 도체 1
26 55 잔뇨감 도체 4 족태양
27 56 코속이가려움 도체 4 쓰자
28 57 오래된가래 관명 4 연수관
29 58 야뇨증 도체 9
30 59 암내예방 도체 1 승기법
31 60 통풍예방 지압 8 족태음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영상 음악 경락
32 61 구역질A 관명 2 족태양
62 구역질B 지압 5 족양명
33 63 과식 도체 6 족양명
34 64 위쓰림A 수침 6 족양명
65 위쓰림B 지압 6 족양명
35 66 얼굴이부었을 때 지압 5 족태양
36 67 코피자주남 지압 4 족양명
37 68 고혈압예방A 도체 1 족궐음
69 고혈압예방B 관명 9 족소음
38 70 시력저하A 수침 10 수태양
71 시력저하B 지압 9 족양명
72 시력저하C 도체 8 족태양
73 시력저하D 지압 1 족양명
74 시력저하E 지압 6 수소양
39 75 천식예방 도체 7 족소음
40 76 소아변비 지압 8 수양명
41 77 위염 수침 6 수양명
42 78 생리통 지압 4 족양명
43 79 목안이답답 지압 3 수소음
44 80 오한 지압 4 수양명
45 81 어린이감기 수침 7 수양명
46 82 초기감기 수침 7 수양명
47 83 편도선예방 수침 3 족소음
48 84 축농증A 지압 5 수양명
85 축농증B 수침 5 족양명
49 86 생리불순 수침 9 족궐음
50 87 얼굴통증 수침 5 수양명
51 88 기관지염 관명 7
52 89 당뇨예방 도체 3 족태음
53 90 코속이갑갑 수침 7 족태양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영상 음악 경락
54 91 여드름예방 수침 5 수양명
55 92 갑작스런위통 수침 6 족양명
56 93 두드러기 수침 5 수태양
57 94 콧물감기 지압 7 수태음
58 95 호흡장애 수침 7 수태음
59 96 감기설사 지압 8 수양명
60 97 기억력A 수침 4 수양명
98 기억력B 지압 5 수궐음
61 99 종기예방 수침 7 족태양
62 100 다리저림 도체 9 족태음
63 101 견비통 관명 9 수태양
64 102 손발부음 관명 5 수양명
65 103 다리통증 도체 3 족태양
66 104 악몽 도체 2 족태양
67 105 늦잠버릇 도체 3 족소음
68 106 고열 지압 4 수궐음
69 107 심장질환 관명 3
70 108 과민성대장염 관명 8
71 109 화가날때 자연 1 족궐음
110 두려울 때 자연 2 족소음
111 우울할 때 자연 3 족태음
112 슬플 때 자연 4 수태음
72 113 초조할 때A 자연 6 소소양
114 초조할 때B 수침 2 족태양
73 115 외로울 때 자연 7 수양명
116 누군가 미울 때 자연 8 수궐음
117 근심걱정 자연 6 족양명
74 118 불안할 때A 자연 3 족태양
119 불안할 때B 수침 6 수소음
75 120 흥분될 때A 자연 1 족궐음
분류번호 일련번호 증세 영상 음악 경락
75 121 흥분될 때B 수침 10 수궐음
76 122 눈피로 자연 1 족궐음
123 괴로울 때 자연 2 족양명
77 124 짜증날 때A 자연 3 수궐음
125 짜증날 때B 지압 4 수궐음
78 126 힘빠질 때 자연 5 족양명
127 사고력 자연 6 족태음
128 암기력 자연 7 족궐음
129 임신부현기증 자연 8 족태양
130 아랫배통증 자연 9 수소음
79 131 소변불량 관명 10 족태양
80 132 윗이빨통증 수침 3 수양명
133 아랫이빨통증 수침 4 수양명
81 134 스트레스A 자연 9 수양명
135 스트레스B 자연 10 수궐음
136 스트레스C 지압 10 수궐음
137 스트레스D 수침 10 수궐음
82 138 임신1개월 자연 1 족궐음
139 임신2개월 자연 2 수소양
140 임신3개월 자연 3 수궐음
141 임신4개월 자연 4 수소양
142 임신5개월 자연 5 족태음
143 임신6개월 자연 6 족양명
144 임신7개월 자연 7 수태음
145 임신8개월 자연 8 수양명
146 임신9개월 자연 9 족소음
147 임신10개월 자연 10 족태양
83 148 간기능강화 도체 1 족궐음
84 149 신경통 도체 2 수태음
85 150 흰머리 도체 9 족태양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아픈증세의 서브메뉴에서 목,어깨결림A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어깨결림A를 선택하면, 증세표시부(152)에는 "목, 어깨 결림 A"의 텍스트가 표시되고, 텍스트표시부(153)에는 해당되는 증세의 도움말이 표시된다. 상기 증세표시부(152)에 표시되는 내용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증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텍스트표시부(153)에 표시되는 도움말의 내용은 접속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컨텐트데이터베이스(50)의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이때에는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화면의 우측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속도 선택메뉴(154)가 표시된다. 상기 전송속도 선택메뉴는 동영상이 전송될 경우 통신상태에 따라 최적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 가능한 통신속도는 예를 들어 56K, 128K, 256K, 512K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지압에 의한 치료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55는 지압하고자 부위(예컨대 손), 156은 지압점, 157은 도움말표시부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목,어깨 결림이 있는 접속자는 화면에 표시된 치료영상을 참조하여 오른손의 합곡 점을 지압하여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움말표시부(157)에는 치료를 위한 도움말이 표시되므로 접속자는 치료효과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만일 도움말표시부(157)에 표시되는 도움말의 내용을 소리로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음악파일을 출력시키면 된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아픈증세의 서브메뉴에서 간기능 강화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기능 강화를 선택하면, 증세표시부(162)에는 "간기능 강화"의 텍스트가 표시되고, 텍스트표시부(163)에는 해당되는 증세의 도움말이 표시된다. 상기 증세표시부(162)에 표시되는 내용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증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텍스트표시부(163)에 표시되는 내용은 접속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컨텐트데이터베이스(50)의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이때에는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화면의 우측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속도 선택메뉴(164)가 표시된다. 상기 전송속도 선택메뉴는 동영상이 전송될 경우 통신상태에 따라 최적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 가능한 통신속도는 예를 들어 56K, 128K, 256K, 512K이다.
도 13(A~C)은 도 12에서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도체(도인체조)에 의한 치료동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65~167은 동영상표시영역, 168은 도움말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움말표시부(16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간기능 강화를 위한 도움말은 도체를 설명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무릎을 꿇고 않아 발끝을 잡고 천천히 상체를 숙였다 서서히 뒤로 젖히는 체조를 8회 반복한다."라고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A의 동영상 165는 상체를 숙이는 동작, 166은 서서히 뒤로 젖히는 동작, 167은 완전히 뒤로 젖힌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접속자는 치료동영상을 보면서 도체를 실시하면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치료목적에 따라 도인체조를 위한 음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아픈증세 메뉴에서 타-하 항목의 현기증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치료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기증를 선택하면, 증세표시부(172)에는 "현기증"이 표시되고, 텍스트표시부(173)에는 해당되는 증세의 도움말이 표시된다. 상기 증세표시부(172)에 표시되는 내용은 컨텐츠데이터베이스(50)의 증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텍스트표시부(173)에 표시되는 내용은 접속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컨텐cm데이터베이스(50)의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용치료텍스트 필드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다.
이때에는 제공되는 치료동영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화면의 우측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속도 선택메뉴(174)가 표시된다. 상기 전송속도 선택메뉴는 동영상이 전송될 경우 통신상태에 따라 최적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선택 가능한 통신속도는 예를 들어 56K, 128K, 256K, 512K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임의의 통신속도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수침에 의한 치료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75는 수침하고자 부위(예컨대 손), 176은 수침점, 177은 도움말표시부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현기증이 있는 접속자는 화면에 표시된 치료영상을 참조하여 오른손의 관충 점을 수침하여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움말표시부(177)에는 치료를 위한 도움말이 표시되므로 접속자는 치료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만일 도움말표시부(177)에 표시되는 도움말의 내용을 소리로서 출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음악파일을 출력시키면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체조와 명상은 수련을 하기 위해 수련장을 찾아야 하는 문제와 명상음악은 뇌파를 세타파에 근접시켜 정신을 맑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특정의 증세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압, 수침, 관명, 도체, 자연의 치료동영상을 제공하고, 오행별로 경락을 자극시켜 치료할 수 있도록 치료음악을 제공하여 증세별 예방별 치료효과가 높다. 점점 심해가는 인터넷 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육체적, 정신적 질병에 대한 치료와 예방책으로서 중요한 일인 것이다.

Claims (16)

  1.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이 제공될 때마다 더불어 제공되는 광고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광고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과 접속되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로 하여금 치료영상, 치료음악, 광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2.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가입된 회원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회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로부터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이 제공될 때마다 더불어 제공되는 광고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광고데이터베이스와;
    제공된 치료영상 또는 치료음악, 광고, 제공된 시간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이력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과 접속되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로 하여금 치료영상, 치료음악, 광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데이터베이스는 컨텐트ID, 증세, 비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 비회원용파일형식, 비회원용치료텍스트, 회원용치료파일경로명, 회원용파일형식, 회원용치료텍스트, 광고ID, 연결치료컨텐트ID를 등록시키는 필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데이터베이스는 광고ID, 광고주, 광고기간, 컨텐트ID, 광고파일경로명을 등록시키는 필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데이터베이스는 회원ID, 패스워드, 최종치료컨텐트ID, 반복치료컨텐트ID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필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데이터베이스는 이력ID, 회원ID, 컨텐트ID, 광고ID, 제공시간을 등록시키는 필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영상 제공 장치.
  7.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접속자가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접속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치료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선택된 증세의 치료영상 및 치료음악을 전송시키는 회원서비스단계와;
    상기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접속자가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치료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선택된 증세에 관련된 광고를 시청하도록 전송시킨 후 치료영상 및 치료음악을 전송시키는 비회원서비스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서비스단계는 회원이 계속치료, 증세메뉴, 반복치료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서비스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증세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서비스 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세한 증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선택된 증세의 치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회원의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치료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치료 데이터 전송 단계가 종료되면, 회원에게 제공된 치료의 종류, 회원, 제공된 시간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회원이 계속치료를 선택하면 회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된 치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치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치료정보에 기초하여 계속 제공되어야 할 치료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회원이 반복치료를 선택하면 회원이 등록시킨 반복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어야할 치료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원서비스단계는 회원이 서비스 받고자 하는 증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세한 증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증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증세에 대응되는 동영상광고를 비회원의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광고를 비회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가 종료되면, 선택된 증세의 치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전송시키는 치료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치료 데이터 전송 단계가 종료되면, 비회원에게 제공된 치료의 종류, 광고, 제공된 시간의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서비스단계에서 제공되는 치료음악은 오행에 따라 음을 구분시켜 작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음악은 오행에서 목(木)은 ㄱ, ㄲ, ㅋ 에 해당되는 음, 화(火)는 ㄴ, ㄷ, ㅌ, ㄹ에 해당되는 음, 토(土)는 ㅇ, ㅎ에 해당되는 음, 금(金)은 ㅅ, ㅊ에 해당되는 음, 수(水)는 ㅁ, ㅂ, ㅍ에 해당되는 음과 대응되도록 작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서비스단계에서 제공되는 치료음악은 인체의 경락과 오행이 대응되도록 음을 구분시켜 작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서비스단계에서 제공되는 치료음악은 오행에 따른 기본음, 보음, 및 운행음을 기초로 하여 작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서비스단계에서 제공되는 치료음악은 치료와 대응되는 경락이 수태음폐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토(土)로 하고 보음을 수(水)와 금(金)으로 하고 운행을 목(木)에서 화(火)로 운행하고;
    수양명대장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금(金)으로 하고 보음을 목(木)과 화(火)로 하고 운행을 수(水)에서 토(土)로 운행하고;
    속양명위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금(金)으로 하고 보음을 화(火)와 토(土)로 하고 운행을 수(水)에서 목(木)으로 운행하고;
    속태음비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토(土)로 하고 보음을 목(木)과 화(火)로 하고 운행을 수(水)에서 금(金)으로 운행하고;
    수소음심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화(火)로 하고 보음을 토(土)와 목(木)으로 하고 운행을 금(金)에서 수(水)로 운행하고;
    수태양소장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수(水)로 하고 보음을 목(木)과 토(土)로 하고 운행을 목(木)에서 화(火)로 운행하고;
    족태양방광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수(水)로 하고 보음을 금(金)과 토(土)로 하고 운행을 목(木)에서 화(火)로 운행하고;
    족소음심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화(火)로 하고 보음을 토(土)와 금(金)으로 하고 운행을 목(木)에서 수(水)로 운행하고;
    수궐음심포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목(木)으로 하고 보음을 화(火)와 수(水)로 하고 운행을 금(金)에서 토(土)로 운행하고;
    족소양담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화(火)로 하고 보음을 화(火)와 토(土)로 하고 운행을 수(水)에서 금(金)으로 운행하고;
    족궐음간경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목(木)으로 하고 보음을 화(火)와 토(土)로 하고 운행을 금(金)에서 수(水)로 운행하고;
    수소양삼초의 경우에는 기본음을 화(火)로 하고 보음을 목(木)과 토(土)로 하고 운행을 금(金)에서 수(水)로 운행하도록 작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방법.
KR1020010002217A 2001-01-15 2001-01-15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20061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217A KR20020061259A (ko) 2001-01-15 2001-01-15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217A KR20020061259A (ko) 2001-01-15 2001-01-15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259A true KR20020061259A (ko) 2002-07-24

Family

ID=2769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217A KR20020061259A (ko) 2001-01-15 2001-01-15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26B1 (ko) * 2002-06-19 2005-03-17 조원석 사주에 따른 부가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38287B1 (ko) * 2015-01-07 2015-07-22 안기태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185A (ja) * 1996-10-18 1998-05-12 Kokurenshiya:Kk 音と映像によるリラクゼーション・セラピィ・システムおよび音と映像と匂いによるリラクゼーション・セラピィ・システム
KR20000030305A (ko) * 2000-02-21 2000-06-05 정용호 인터넷상에서의 광고방법
KR20000030761A (ko) * 2000-03-15 2000-06-05 안일환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KR20000058593A (ko) * 2000-06-17 2000-10-05 김문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무한 음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3742A (ko) * 2000-08-01 2000-11-06 윤석진 인터넷을 이용한 뇌파 조절 방법.
KR20010000918A (ko) * 2000-10-24 2001-01-05 오봉균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185A (ja) * 1996-10-18 1998-05-12 Kokurenshiya:Kk 音と映像によるリラクゼーション・セラピィ・システムおよび音と映像と匂いによるリラクゼーション・セラピィ・システム
KR20000030305A (ko) * 2000-02-21 2000-06-05 정용호 인터넷상에서의 광고방법
KR20000030761A (ko) * 2000-03-15 2000-06-05 안일환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KR20000058593A (ko) * 2000-06-17 2000-10-05 김문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무한 음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3742A (ko) * 2000-08-01 2000-11-06 윤석진 인터넷을 이용한 뇌파 조절 방법.
KR20010000918A (ko) * 2000-10-24 2001-01-05 오봉균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26B1 (ko) * 2002-06-19 2005-03-17 조원석 사주에 따른 부가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38287B1 (ko) * 2015-01-07 2015-07-22 안기태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wett et al. Social networks in sport: Parental influence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Garland et al. Mindfulness-oriented recovery enhancement for alcohol dependence: Therapeutic mechanisms and intervention acceptability
Quiroga Murcia et al. Shall we dance? An exploration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dancing on well-being
Beutler Empirically based decision making in clinical practice.
Cunningham et al. A randomized trial of group psychoeducational therapy for cancer patients
Rector et al. Cognitive change and the therapeutic alliance: The role of technical and nontechnical factors in cognitive therapy.
Helms An overview of medical acupuncture
Varma Present state of psychotherapy in India
Lane The effect of a single music therapy session on hospitalized children as measured by salivary immunoglobulin A, speech pause time, and a patient opinion Likert scale
Towne Clitoral stimulation during penile-vaginal intercourse: A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ing sexual experiences in support of female orgasm
Blackett et al. Health rhythms: A preliminary inquiry into group-drumming a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on a structured day services programme for substance-misusers
KR20020061259A (ko)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Bernstein The experience of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substance dependence
Reece Group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in gay men
Orman Refraining of an addiction via hypnotherapy: A case presentation
Re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masturbation beliefs scale
Bauman et al. Using symbolic-experiential family therapy to treat adjustment disorder: A case study
Kawano The effect of exercise on body awareness and mood
Bouchrika Best Music for Studying in 2024: Baroque & Classical Pieces
Levenson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on dreams: Commentary on paper by Hazel Ipp
Unsworth Using the Australian Therapy Outcome Measures for Occupational Therapy (AusTOMs-OT) to measure outcomes for clients following stroke
Mobily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moral values of activity.
Smith et al. Physical activity: A tool in promoting mental health
Chen et al. Mate Selection Counseling for Chinese Women
Schöffski et al. 284 Does effective chemotherapy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CC) improve quality of life (QL)? Preliminary results of a randomized phase II-study using the eortc QLQ C3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