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287B1 -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287B1
KR101538287B1 KR1020150002062A KR20150002062A KR101538287B1 KR 101538287 B1 KR101538287 B1 KR 101538287B1 KR 1020150002062 A KR1020150002062 A KR 1020150002062A KR 20150002062 A KR20150002062 A KR 20150002062A KR 101538287 B1 KR101538287 B1 KR 10153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kra
memo
dail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태
Original Assignee
안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태 filed Critical 안기태
Priority to KR102015000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하는 차크라 제공 서버;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고,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CHAKRA MOVING IMAGE BASED ON USER'S FEEDBACK MEMO}
본 발명은 차크라(chakra)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feedback memo)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크라(chakra)는 인도에서 기원하는 개념으로서,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생명 에너지의 집적소의 의미를 갖는다. 차크라는 힌두교나 탄트라 불교와 같은 일부 종파에서 행해지는 신체 수련에서 매우 중요시 되는 개념이며, 명상을 통해 뇌파를 안정시키고 심신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육체적으로도 부조화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아, 차크라 명상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얻거나 심신의 최상 상태 유지를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차크라 명상은 차크라 명상 음악이나 차크라 이미지를 통해 심신의 조화를 꾀하고 있는데, 이러한 차크라 명상은 주로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같은 기초 정보에 기반한 차크라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다단복잡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자의 고민과 스트레스도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가운데, 사용자의 생년월일이나 기타 다른 기초 정보에 기반한 차크라 컨텐츠는 매우 획일적일 뿐만 아니라 그 효율성에 있어서도 의문이다.
또한, 기존의 차크라 명상은 심신 안정을 위해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인터넷이나 동영상 파일을 통해 제공하는 일방적인 서비스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심신 변화나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체크할 수는 없도록 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차크라 명상을 꾸준하게 실천하지 못하고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의 심신 안정화의 효율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하는 차크라 제공 서버;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고,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은, 차크라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의 제어에 따라 해당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차크라 동영상을 통해 명상을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게 매일 매일 일별 명상 실천과 행위 실천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꾸준하게 차크라 명상을 수행하고 심신 안정을 하는 데 효과가 높다.
또한, 사용자는 일별 명상 실천과 행위 실천에 의해 느끼는 상태나 평소의 고민과 스트레스를 메모로 작성하여 피드백하고 이를 분석하여 심상 상태를 높이고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차크라 영상과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해지며,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차크라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이하,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이라 함)(100)은 차크라 제공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차크라 동영상뿐만 아니라 일별 명상 가이드와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크라 명상을 꾸준하게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차크라 명상을 통해 변화한 사용자의 심신 상태는 물론 사용자의 고민이나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메모를 사용자가 피드백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최적의 차크라 명상과 일별 명상 가이드,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별 상호 작용을 통해 사용자 개인별 최적의 심신 안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크라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크라 제공 서버(110)는 기본적으로는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크라 제공 서버(110)는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된 일별 명상 가이드와 일별 실천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별 명상 가이드는 차크라 동영상별로 명상하는 법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며, 일별 실천 가이드는 일별로 사용자에게 실천 과제를 부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일별 실천 가이드의 경우 예를 들어, 88일을 기본 주기로 하여 일자별로 88개의 일별 실천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예를 들면, 1일차의 일별 실천 가이드는 '하루하루 다짐하기'로서 다음 표 1과 같이 코치(coach)와 가이드(guide), 체크(check)로 구성될 수 있다.
코치 아침에 오늘 하루 충실하게 보내겠다는 다짐을 하세요. 천리 길도 한 걸음 한 걸음씩 걸어가는 것입니다. 뜻이 있어야 길이 보입니다!
가이드 하루하루가 쌓여 인생이 됩니다. 성공적인 삶의 기본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는 것입니다. 목표방향으로 일관성 있게 나아가려는 ‘의지’는 삶이 표류하여 제자리 걸음 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줍니다. 오늘부터 굳은 의지로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실천을 통해 발전하는 하루를 보내세요. 그러나, 모든 일을 한꺼번에 해결하려 하겠다는 욕심은 스트레스와 무력감으로 뇌의 저항을 불러옵니다. 하루 단위로 나누어 오늘 할 수 있는 일부터 해 나아간다면, 매일 성과와 보람을 느끼면서 어느 새 목표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아침마다 충실한 하루에의 ‘의지’를 다짐하며 확인하는 것은, 발전을 기대하는 즐거움을 주어 오늘 하루를 풍요롭게 해줄 것입니다. 가장 유명한 하루 다짐 중 하나인 “오늘 하루를 위한 다짐(Just for Today)”을 읽어 보세요.
1. 오늘 하루 나는 한꺼번에 인생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오늘 하루만을 충실하게 살도록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평생 참고 살아간다면 나를 질리게 할 수 있는 것들 중 어떤 것은 오늘 당장 해결될 수도 있다.
2. 오늘 하루 나는 행복하게 보낼 것을 다짐한다. 사람들은 자기가 생각하는 만큼 행복하다는 링컨의 말을 기억하자.
3. 오늘 하루 나는 나의 욕망에 세상을 맞추려 하지 않고 있는 세상에 나를 맞출 것을 다짐한다. 나의 운을 오는 대로 받아들이고 나 자신을 거기에 맞출 것이다.
4. 오늘 하루 나는 나의 몸을 보살필 것을 다짐한다. 내 몸이 내 의지를 충실히 실행할 수 있도록 운동을 하고, 보살피며, 영양을 공급하고, 무시하거나 혹사시키지 않을 것이다.
5. 오늘 하루 나는 내 정신을 단련하는 노력을 할 것을 다짐한다. 유익한 것을 배우고, 허송세월을 하지 않을 것이다. 노력, 생각과 집중이 필요한 독서를 할 것이다.
6. 오늘 하루 나는 내 영혼을 단련하는 일을 3가지 할 것을 다짐한다. 누군가에게 눈치채지 않게 선행을 베풀고, 영혼의 단련을 위하여 적어도 두 가지 내키지 않는 일을 하며, 누구에게도 내 감정이 상처 입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 것이다.
7. 오늘 하루 나는 호감 가는 사람이 될 것을 다짐한다. 꾸밀 수 있는 한 외모를 잘 꾸미고, 입을 수 있는 한 잘 입고, 낮은 목소리로 말하며, 예의 바르게 행동하고,남에 대한 험담은 전혀 않을 것이다. 어떤 것에라도 불평을 하지 않으며, 나를 제외한 누구에게 가르치려 하거나 강요하지 않을 것이다.
8. 오늘 하루 나는 계획을 가지고 살 것을 다짐한다. 정확히 지키지는 못할 지라도 계획을 세워 놓을 것이다. 계획은 서두름과 망설임이라는 해악에서 나를 구해줄 것이다.
9. 오늘 하루 나는 30분의 혼자만의 조용하고 안정된 시간을 가질 것을 다짐한다. 나만의 30분 동안 신에 대해 생각하며 삶에 대해 더 넓은 관점에서 바라 볼 것이다.
10. 오늘 하루 나는 두려워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 특히, 행복하기를, 아름다운 것을 즐기기를, 사랑하고 또 내가 사랑하는 이들이 나를 사랑한다고 믿기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
체크 나만의 결의문을 만들고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표 1에서 코치(coach)는 일별 실천 가이드의 주제를 나타내며, 가이드(guide)는 코치를 실천하기 위한 개별적인 실천 항목을 나타낸다. 그리고 체크(check)는 가이드를 제대로 실천했는지를 스스로 확인하는 항목이다.
위 표 1과 같은 일별 실천 가이드를 명상과 함께 실천하여 뇌파를 안정시키고 심신을 평안하게 할 수 있다.
2일차의 예를 들면, 일별 실천 가이드는 '하루 일과 메모하기'로서, 그 코치, 가이드, 체크는 다음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코치 일과 시간 중 한 시간 단위로 메모를 작성해 보세요. 밤에는 메모를 점검하며 오늘의 성과를 일기에 적어 보세요. 기록은 기억보다 위대합니다!
가이드 더 풍부한 기억과 기록은 좋은 생각과 행동의 재료가 됩니다. 전문적인 사고든 창의적이든 사고든 사고는 기억에 크게 의존합니다. 기억이나 기록이라는 재료가 부족하면 질 좋은 사고는 불가능합니다.
사람의 기억은 생각보다 한계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기억은 한 시간이면 사라지고, 3~4일이 지나면 아주 중요한 기억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워져 버립니다. 과거의 장면을 회상할 때에도 있는 그대로 저장되었던 장면을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단편적으로 기억된 정보를 짜 맞추어 장면을 생성해 내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면 불완전한 기억에 의존하여 불완전한 사고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억을 보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메모를 통한 기록입니다. 메모는 부족한 뇌의 기억력을 외부를 통해 보완합니다. 또한, 메모는 주의력을 높이는 역할도 하여 사고력을 높여줍니다. 뇌는 장기적으로 기억을 유지하려고 할 때 많은 에너지를 쏟기 때문에, 기억하지 않고 기록으로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면 소중한 에너지를 더욱 값지게 쓸 수 있습니다. 하루 중에도 수 없이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하면 중요한 일은 더 잘 기억되고 사소한 일도 나중에 참고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해결책과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체크 좋은 아이디어도 좋고, 해야 할 일도 좋고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느낌이 드는 생각을 떠오를 때 바로 적습니다.
강의나 회의 중에도 메모하며 듣습니다.
회의나 작업을 마치고 기억할 만한 사항을 "메모장"에 적습니다.
일주일에 10분 정도 지난 메모장을 훑어보고 중요한 메모는 옮겨 적거나 보강합니다.
일별 실천 가이드별 코치에 대한 다른 예를 들면, 다음 표 3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표 3에서는 3일차부터 8일차까지의 코치(coach)를 예시하고 있다.
일자 제목 코치
3일차 아침 할 일 목록, 저녁 성과일기 쓰기 아침에는 메모장에 오늘의 할일 목록을 기록하고, 저녁에는 하루 중 의미 있는 성과를 기록하는 성장일기를 씁니다. 그날 그날의 작은 성과를 한 줄 분량이라도 일기에 기록하면 됩니다. 쓰면 더 잘 이루어집니다!
4일차 나의 행운 리스트 만들기 나에게 운이 따랐던 일, 내가 운이 좋았던 일의 목록을 만들어 보세요. 목록을 소리 내어 읽으며, 그 일의 느낌을 다시 한번 느껴 보세요. 내가 사는 세상은 나의 마음이 느끼는 대로입니다.
5일차 마음의 스위치, 긍정 상징 긍정적 생각과 감정을 불러오는 이미지 상징을 모아보세요. 이모티콘, 하트, 명품 로고 등 나에게 좋은 느낌을 주는 상징들을 정리해보세요. 상징(이미지)은 천마디 말보다 빠르고 강합니다!
6일차 잠깐 멈춤, 멍 때리기 점심 식사 후나 오후 일과 중 10분의 나만의 시간을 가져보세요. 조용하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장소에 가서 아무 생각 없이 “멍 때리기”를 하세요. 멍 때리기는 풍요가 찾아올 수 있는 틈을 만듭니다.
7일차 마음 챙김 조용한 장소에서 허리를 곧게 펴고 편하게 앉아 3분 동안 느리게 심호흡에만 집중합니다. 또는 스위치의 차크라 동영상을 집중해서 보며 음악을 듣습니다. 마음도 매일 샤워가 필요합니다!
8일차 감사하는 하루 보내기 침대에 누워 일어나기 전에 오늘 있을 주요 일정들을 떠올려 봅니다. 각 일정별로 일어날 바람직한 결과를 예상하며, 전개될 상황과 결과에 대하여 미리 감사의 말을 합니다. 하루 종일 감사할 만한 일을 일상, 사람, 행운에서 찾아 메모합니다. 감사는 기적을 부릅니다!
9일차 미소 짓기 거울을 보고 ‘치즈’하며 사진을 때처럼 웃는 표정을 지어 보세요. 기분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느껴 보세요. 일단 미소 짓기를 먼저 하고 다른 일들을 해 보세요. 미소는 행운을 부르는 묘약입니다.
위 표 3은 일별 실천 가이드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일별 실천 가이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일차부터 88일차까지 구성되며, 이를 통해 뇌파 안정과 심신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크라 제공 서버(110)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이미지와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PC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차크라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공받는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사용자의 명상 및 실천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나 사고를 입력받아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그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사용자의 고민이나 스트레스, 심신 상태 등을 자동으로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별 실천 가이드는 1일차부터 88일차까지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피드백 메모의 분석에 의해 그에 따라 선택된 일별 실천 가이드가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자동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차크라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크라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는 'RICH COACH(리치 코치)'라고 이름 붙여진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며, 일별 명상 가이드와 일별 실천 가이드의 초기 화면이며, 도 2는 일별 실천 가이드를 날짜별 리스트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매일 일기 즉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크라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를 제공한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차크라 제공 서버(110)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120)이 차크라 제공 서버(110)로부터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받아 출력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로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한다(S104).
여기서,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가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한다(S105).
이때,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가 차크라 제공 서버(110)가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106).
다음으로, 차크라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1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한다(S107).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차크라 제공 서버
120: 사용자 단말
130: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

Claims (6)

  1.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하는 차크라 제공 서버;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고,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상 상태를 높이기 위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고,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4. 차크라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기반한 차크라(chakra)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차크라 동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별 명상 가이드(guide)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차크라 동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로부터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명상 및 행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메모(user's feedback memo)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상 상태를 높이기 위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선택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크라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의 제어에 따라 해당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자동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 결과를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 분석 서버가 상기 자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메모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민과 심신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고민과 심신 상태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차크라 동영상, 일별 명상 가이드 및 일별 실천 가이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방법.
KR1020150002062A 2015-01-07 2015-01-07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3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62A KR101538287B1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62A KR101538287B1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287B1 true KR101538287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062A KR101538287B1 (ko) 2015-01-07 2015-01-07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2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59A (ko) * 2001-01-15 2002-07-24 김도향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59A (ko) * 2001-01-15 2002-07-24 김도향 인터넷을 통한 치료 음악 및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cks et al. My story: The use of narrative therapy in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Gray Performing on and off the stage: The place (s) of performance in arts-based approaches to qualitative inquiry
Henry et al. Development and field testing of a smartphone “App” for tinnitus management
Beck et al. Listening is where hearing meets brain... in children and adults
Xue et al. Mood granularity for design: Introducing a holistic typology of 20 mood states
Fortune et al. Sharing the journey: Exploring a social leisure program for persons with dementia and their spouses
Niess et al. Communication styles of interactive tools for self-improvement
Reuter et al. Older voices: Supporting community radio production for civic participation in later life
Grehan Slow Listening: The ethics and politics of paying attention, or shut up and listen
Ashby et al. ‘Wishing to go it alone’: the complicated interplay of independence, interdependence and agency
Nissen et al. Person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perceptions about occupational therapy and telehealth: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Soter Reading and writing poetically for well-being: language as a field of energy in practice
Blumer And actio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film
Siemer et al. Patients’ user experience of a blended Face-to-face and web-based Smoking Cessation Treatment: qualitative study
Pavey et al. “It gives me my freedom”: technology and responding to bodily limitations in motor neuron disease
Holth et al. “I’ve never been positive… I am now”: Participant perspectives of a Positive Behaviour Support intervention (PBS+ PLUS) for community-living individuals with ABI and their close others
Njølstad et al. ‘It’s like being a slave to your own body in a way’: a qualitative study of adolesc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Yapp Chinese lingering, meditation's practice: reframing endurance art beyond resistance
Pingitore et al. The “voice” and perspectives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short-term psychotherapy group
Khantzian Fine-tuning on painful affect and relapse: a group vignette
Bertilsdotter Rosqvist et al. Intensity and variable attention: Counter narrating ADHD, from ADHD deficits to ADHD difference
KR101538287B1 (ko) 사용자 피드백 메모에 기반한 개인별 차크라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ong et al. Virtual volunteer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ase studies of virtual animal-assisted activities in a Singapore hospice
Yim et al. Exploring participants’ experiences of a web-based program for bulimia and binge eating disorder: qualitative study
Watson et al.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eenagers with cochlear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