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314A -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314A
KR20210061314A KR1020210058643A KR20210058643A KR20210061314A KR 20210061314 A KR20210061314 A KR 20210061314A KR 1020210058643 A KR1020210058643 A KR 1020210058643A KR 20210058643 A KR20210058643 A KR 20210058643A KR 20210061314 A KR20210061314 A KR 20210061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tation
unit
breathing
projector
psych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철
조순길
조영자
Original Assignee
안형철
조영자
조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철, 조영자, 조순길 filed Critical 안형철
Priority to KR102021005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314A/ko
Publication of KR2021006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명상시스템관한 것으로서, 프로젝터을 통하여 명상영상을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와 상기 프로젝터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 및 상기 영상제어단말부로 명상의 실행 및 진행단계에 따른 명상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명상영상데이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젝터을 통하여 명상영상을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명상시스템{Projector Meditation System}
본 발명은 프로젝터명상시스템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와 상기 프로젝터투사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로 구성하여, 프로젝터를 통하여 명상영상을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상시스템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명상 영상을 제공하여 명상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명상시스템은 명상영상을 제공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 명상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명상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기에서 영상플레이어가 실행되어서 단말기에 저장 또는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명상 영상을 모니터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보면서 명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명상시스템은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명상 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명상의 수련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명상의 수련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아 명상 수련도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10-2000-003076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명상시스템이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명상 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명상의 수련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명상의 수련도에 대응되는 영상의 제공이 이루지지 않아 명상 수련도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와 상기 프로젝터투사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 및 상기 영상제어단말부로 명상의 실행 및 진행단계에 따른 명상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명상영상데이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와 상기 프로젝터투사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로 구성함으로써, 프로젝터을 통하여 명상영상을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를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착용구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착용구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명상영상데이터부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심리조절제어부의 관계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시선감지단말부의 관계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심리감지단말부의 관계 구성을 보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명상영상을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젝터(100)와 프로젝터투사부(200), 스피커부(310), 영상제어단말부(900), 명상영상데이터부(5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100)는 명상영상을 투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투사부(200)는 프로젝터(100)에 의하여 투상된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310)는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310)는 일측에 향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향로(300)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향로(300)는 일측에 분위기 조명이 나타나도록 배출향로(300) 주변으로 조명빛을 조절 점등하는 심리조명장치(410)와 내부에 향 연기를 조절 배출하는 심리향배출장치(4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심리향배출장치(420)는 향 연기처럼 수증기를 배출하는 초음파 가습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심리조명장치(410)의 조명색을 점멸 및 변동 조절하며, 심리향배출장치(420)의 향 연기 배출속도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심리를 조절하도록 사용자의 측정된 심리 또는 유도하고자 하는 심리를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심리조절제어부(40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단말부(900)는 프로젝터(100)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명상영상데이터부(500)는 명상 수련을 위한 명상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투사부(20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명상영상데이터부(500)는 폭포 가상환경에서 수련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폭포환경명상데이터부(511)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폭포환경명상데이터부(511)는 명상수련자에 명상수련 시작에 따라 폭포환경영상을 제공하고 명상수련자의 시선고정지속시간이 명상 수련에 따른 일정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폭포의 중앙에서 명상수련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전환영상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전환영상은 폭포의 중앙에서 빛 또는 옥 및 부처가 표출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명상영상데이터부(500)의 다른 명상영상데이터는 유나환경명상데이부와 다라니환경명상데이터부(513), 컬러환경명상데이터부(514), 소리환경명상데이터부(515), 동물두상명상데이터부, 냄새상상환경데이터부(517) 및 표장환경데이터부(518) 등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나환경명상데이터부(512)는 다른 명상수련자의 명상수련영상을 통하여 모방수련으 할 수 있게 명상수련모습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다라니환경명상데이터부(513)는 불경음성과 함께 티벳언어와 같은 불경의 고어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컬러환경명상데이터부(514)는 특정 단일 색상으로 이루어진 단일색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소리환경명상데이터부(515)는 특정 소리를 내는 기구 또는 악기의 소리와 함께 기구 또는 악기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동물두상명상데이터부는 사자 또는 호랑이와 같은 동물의 두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어지는 것이다.
상기 냄새상상환경데이터부(517)는 명상수련자가 특정 냄새를 상상할 수 있게 하는 냄새상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표장환경데이터부(518)는 옴 도는 만자등과 같은 특정 표장이 디스플레이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프로젝터투사부(200)의 일측에 사용자의 양측 홍체를 각기 촬영할 수 있게 시선카메라부(210), 상기 시선카메라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홍체의 시선고정지속시간을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시선감지단말부(6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시선감지단말부(600)는 시선카메라부(210)에서 촬영된 홍체영상을 저장하는 홍체영상데이터부(610)와 시선카메라부(210)의 촬영주기에 따라 홍체영상데이터부(610)에 저장된 이전 홍체영상데이터와 신규 홍체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홍체의 위치변경 유무를 감지하여 홍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시점까지를 시선고정지속시간으로 판단하여 시선고정지속시간을 출력하는 시선감지비교연산부(620)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명상프로젝터(100)시청과정 중 심리를 감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심리감지수단(700)과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을 통하여 감시된 심리정보와 호흡정보를 분석하여 명상 수련도를 연산출력하는 심리감지단말부(8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은 헤드착용구(710)에 프로젝터(100)에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할 수 있게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뇌파감지부(731)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은 헤드착용구(710)에 사용자의 맥막을 감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맥박감지부(73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은 헤드착용구(7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체온감지부(73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은 헤드착용구(710)에 구비되어서 사용자의 코구멍 앞에 위치하여 호흡과정의 코바람을 감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숨바람감지부(734)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리감지수단(700)은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하는 이어스피커를 갖는 이어셋착용구(720)에 구비되어서 이어스피커 안에 사용자의 숨소리를 집음할 수 있게 귀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들리는 숨소리를 집음하는 숨소리감지부와 상기 이어셋착용구(720)의 연결줄 복부 위치에 복부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복식호흡감지부(736)로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심리감지단말부(800)에 상기 숨소리감지부 및 복식호흡감지부(736)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호흡상태를 인식하는 호흡상태감지부(81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흡상태감지부(810)에 상기 숨바람감지부(734)의 정보를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심리감지단말부(800)에 상기 뇌파감지부(731)와 맥박감지부(732) 및 체온감지부(733)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인식하는 심리상태감지부(82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제어단말부(900)에 호흡상태감지부(810)의 호습상태 감지와 심리상태 및 사용자의 명상수련도에 따른 명상수련자 고도 명상수련도를 관리할 수 있게 한 호흡수련연산부(91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호흡수련연산부(910)는 호흡상태감지부(810)를 통하여 감지되는 호흡상태 즉 잡식단계(911)와 풍식단계(912), 기식단계(913) 및 진식단계(914)에 이르는 명상수련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잡식단계(911)는 호흡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고 호흡의 소리가 있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 풍식단계(912)는 호흡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호흡에 풀무와 같이 힘이 있는 호흡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 기식단계(913)는 호흡이 안개와 같이 흐름이 느껴지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 진식단계(914)는 호흡이 없고 피부호흡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즉, 본 발명은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100)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200)와 상기 프로젝터투사부(200)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310), 상기 프로젝터(100)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900) 및 상기 영상제어단말부(900)로 명상의 실행 및 진행단계에 따른 명상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명상영상데이터부(50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프로젝터(100)가 프로젝터투사부(200)로 명상영상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이를 사용자에게 명상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선카메라부(210)와 시선감지단말부(6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명상영상의 제공과정에 있어 시선고정지속시간의 감지를 통하여 명상의 수련상태를 감지하고, 명상수련에 따른 다른 명상영상의 제공을 통하여 명상수련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선카메라부(210)와 시선감지단말부(600)는 구비하고, 시선감지단말부(600)를 시선카메라부(210)에서 촬영된 홍체영상을 저장하는 홍체영상데이터부(610)와 시선카메라부(210)의 촬영주기에 따라 홍체영상데이터부(610)에 저장된 이전 홍체영상데이터와 신규 홍체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홍체의 위치변경 유무를 감지하여 홍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시점까지를 시선고정지속시간으로 판단하여 시선고정지속시간을 출력하는 시선감지비교연산부(62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시선카메라부(210)에 의하여 촬영되는 홍체의 영상을 시선감지비교연산부(620)가 지속적으로 비교연산 출력하여 시선고정에 의한 명확한 명상수련의 감지와 명상수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명상영상데이터부(500)에 폭포환경명상데이터부(511)와 윤나환경명상데이터부와 다라니환경명상데이터부(513), 컬러환경명상데이터부(514), 소리환경명상데이터부(515), 동물두상명상데이터부, 냄새상상환경데이터부(517) 및 표장환경데이터부(518) 등의 다양한 명상환경데이터를 구비하면, 다양한 명상환경데이터를 명상수련자에게 제공하며 명상수련자의 선택에 명상수련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명상수련자의 기호도에 따른 명상수련데이터를 제공을 통하여 흥미도가 상승되는 명상수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헤드셋착용구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헤드셋착용구에 있는 심리감지수단(700)(뇌파감지부(731), 맥박감지부(732), 체온감지부(733), 숨바람감지부(734), 숨소리감지부, 복시호흡상태감지부(810))을 통하여 얻은 정보를 심리감지단말부(800)가 연산출력하여 사용자의 심리정보와 호흡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진의 현 명상수련 심리상황을 알게 되어 이를 활용하여 명상수련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다.
특히, 호흡연산부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호흡상태가 잡식단계(911)와 풍식단계(912), 기식단계(913) 및 진식단계(914)에 이르는 고도 명상수련과정을 호흡상태감지부(810)를 통한 호흡감지를 통하여 수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배출향로(3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심리조절제어부(400)가 상기 심리감지단말부(800)와 시선감지비교연산부(620)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련심리상황에 따라 심리조명장치(410)와 심리향배출장치(420)를 조절하여 (조명의 색, 밝기, 깜박임 / 향 연기의 배출량, 배출속도) 상용자의 명상심리를 나타내어 주거나, 사용자에게 맞는 심리상태로 가도록 유도하여 명상의 수련을 유도 집중하게 하는 것이다.
100: 프로젝터
200: 프로젝터투사부
210: 시선카메라부
300: 배출향로
310: 스피커부
400: 심리조절제어부
410: 심리조명장치
420: 심리향배출장치
500: 명상영상데이터부
510: 배경영상데이터부
511: 폭포환경명상데이터부
512: 유나환경명상데이터부
513: 다라니환경명상데이터부
514: 컬러환경명상데이터부
515: 소리환경명상데이터부
516: 동물형상명상데이터부
517: 냄새상상환경데이터부
518: 표장환경데이터부
600: 시선감지단말부
610: 홍체영상데이터부
620: 시선감지비교연산부
700: 심리감지수단
710: 헤드착용구
720: 이어셋착용구
731: 뇌파감지부
732: 맥박감지부
733: 체온감지부
734: 숨바람감지부
735: 숨소리감지기
736: 복식호흡감지부
800: 심리감지단말부
810: 호흡상태감지부
820: 심리상태감지부
900: 영상제어단말부
910: 호흡수련연산부
911: 잡식단계
912: 풍식단계
913: 기식단계
914: 진식단계

Claims (4)

  1. 명상시스템에 있어서;
    명상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프로젝터의 투상에 의하여 명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구비되는 프로젝터투사부와 상기 프로젝터투사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귀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스피커부,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영상제어단말부 및 상기 영상제어단말부로 명상의 실행 및 진행단계에 따른 명상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명상영상데이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젝터투사부의 일측에 사용자의 양측 홍체를 각기 촬영할 수 있게 시선카메라부를 구비하되,
    상기 시선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홍체의 시선고정지속시간을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시선감지단말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선감지단말부는 시선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홍체영상을 저장하는 홍체영상데이터부와 시선카메라부의 촬영주기에 따라 홍체영상데이터부에 저장된 이전 홍체영상데이터와 신규 홍체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홍체의 위치변경 유무를 감지하여 홍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시점까지를 시선고정지속시간으로 판단하여 시선고정지속시간을 출력하는 시선감지비교연산부로 구성하고,
    상기 영상제어단말부가 상기 시선감지단말부에 제공되는 시선고정지속시간에 따른 명상 집중상태에 따라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3. 상기 스피커부는 일측으로 향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향로로 구비하고,
    상기 배출향로는 일측에 분위기 조명이 나타나도록 배출향로 주변으로 조명빛을 조절 점등하는 심리조명장치와 내부에 향 연기를 조절 배출하는 심리향배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심리조명장치의 조명색을 변동 조절하며, 심리향배출장치의 향 연기 배출속도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심리를 조절하도록 사용자의 측정된 심리 또는 유도하고자 하는 심리을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심리조절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명상프로젝터시청과정중 심리를 감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심리감지수단과 상기 심리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시된 심리정보와 호흡정보를 분석하여 명상 수련도를 연산출력하는 심리감지단말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리감지수단은 사용자가 귀에 꽂아 사용하는 이어스피커를 갖는 이어셋착용구에 구비되어서 이어스피커 안에 사용자의 숨소리를 집음할 수 있게 귀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들리는 숨소리를 집음하는 숨소리감지부와 상기 이어셋착용구의 연결줄 복부 위치에 복부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복식호흡감지부로 구비하고,
    상기 심리감지단말부에 숨소리감지부와 복식호흡감지부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호흡상태를 인식하는 호흡상태감지부를 구비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제어단말부에 호흡상태감지부의 호흡상태 감지와 사용자의 명상수련도에 따른 명상수련자 고도 명상수련도를 관리할 수 있게 한 호흡수련연산부를 구비하며;
    상기 호흡수련연산부는 호흡상태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호흡상태 즉 잡식단계와 풍식단계, 기식단계 및 진식단계에 이르는 명상수련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되,
    상기 잡식단계는 호흡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고 호흡의 소리가 있는 단계이고;
    상기 풍식단계는 호흡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호흡에 풀무와 같이 힘이 있는 호흡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상기 기식단계는 호흡이 안개와 같이 흐름이 느껴지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단계이고;
    상기 진식단계는 호흡이 없고 피부호흡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KR1020210058643A 2021-05-06 2021-05-06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20210061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3A KR20210061314A (ko) 2021-05-06 2021-05-06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3A KR20210061314A (ko) 2021-05-06 2021-05-06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314A true KR20210061314A (ko) 2021-05-27

Family

ID=7613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43A KR20210061314A (ko) 2021-05-06 2021-05-06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2946A (zh) * 2021-07-21 2021-10-26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穿戴设备的冥想训练方法、装置、终端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61A (ko) 2000-03-15 2000-06-05 안일환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61A (ko) 2000-03-15 2000-06-05 안일환 통신망을 이용한 명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2946A (zh) * 2021-07-21 2021-10-26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穿戴设备的冥想训练方法、装置、终端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3096B2 (ja) アイフィードバックによ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13634B1 (ko) 사용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가상현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표시 방법 및 콘텐츠 관리 방법
US20120052469A1 (en) Nasal flow device controller
JP2019519053A (ja) 視覚機能データを獲得し、分析し、生成する、かつデータに基づいてメディア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061311A (ko) 디스플레이 명상시스템
US11393252B2 (en) Emotion sen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en et al. Exploring pupil dilation in emotion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WO201817338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61314A (ko) 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102313663B1 (ko) Vr명상시스템
CN113452985A (zh) 装置和头戴式套件
KR20210061313A (ko) 불상프로젝터 명상시스템
KR20210061312A (ko) 불상스크린을 갖는 프로젝터명상시스템
KR20220151408A (ko) Vr명상시스템
US20230095350A1 (en) Focus group apparatus and system
CN115887942A (zh) 医疗床驱动方法、控制设备、计算机设备和介质
CN116133594A (zh) 基于声音的注意力状态评价
US20190217031A1 (en) Multi-Sensual Immersive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40115831A1 (en) Enhanced meditation experience based on bio-feedback
US20240164672A1 (en) Stress detection
US20230259203A1 (en) Eye-gaze based biofeedback
JP202404686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恐怖症改善支援方法
JP202404686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恐怖症改善支援方法
WO2023049089A1 (en) Interaction events based on physiological response to illumination
CN116997880A (zh) 注意力检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