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429A -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429A
KR20000030429A KR1020000010093A KR20000010093A KR20000030429A KR 20000030429 A KR20000030429 A KR 20000030429A KR 1020000010093 A KR1020000010093 A KR 1020000010093A KR 20000010093 A KR20000010093 A KR 20000010093A KR 20000030429 A KR20000030429 A KR 2000003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ve
animation
editing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홍
Original Assignee
김성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홍 filed Critical 김성홍
Priority to KR102000001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429A/ko
Publication of KR2000003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화면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실사로 각각 촬영하는 실사촬영단계(100); 상기 실사촬영단계(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입력단계(200); 상기 입력단계(200)에서 입력된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리하는 분리단계(300);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이미지에서 필요한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부분을 별도로 저장하는 복사단계(400);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트레이싱단계(510)와 실사의 이미지 내지는 상기 트레이싱단계(510)에서 추출된 외곽선 내에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이미지효과단계(520)로 구성되는 이미지처리단계(500);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에서 애니메이션화된 이미지를 배경화면, 인물 그리고 기타화면을 하나의 이미지로 편집합성하는 이미지편집 합성단계(600);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합성된 이미지에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음향편집합성 단계(700);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합성된 개개의 이미지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700)의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영상편집합성 단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실사를 촬영하여 상기 실사를 애니메이션화하여 애니메이션 영화의 배경, 인물, 기타 화면으로 활용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편집에 의해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method for making of animation movie using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화면을 실사로 촬영하여 촬영된 실사화면을 애니메이션화 하여 사용하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은 페이퍼 애니메이션이 가장 처음으로 사용된 방식이다. 상기 페이퍼 애니메이션은 제작자가 각각의 종이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상물의 움직임을 직접 그려 넣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그려진 각각의 종이를 한 프레임씩 촬영하게 되고, 상기에서 촬영된 프레임을 모아서 필름으로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영화가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페이퍼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방법은 작업자가 직접 모든 종이에 그림을 그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30분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셀 애니메이션 방식이 있다. 상기 셀 애니메이션 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업자가 셀 필름 상에 배경화면, 대상물 그리고 기타 화면 등을 각각 그리게 된다. 그리고, 각각 그려진 셀 필름을 조합하여 한 프레임씩 촬영하여 동영상을 만들어 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상술한 페이퍼 애니메이션 제작방법 보다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배경화면 등의 움직임이나 대상물의 움직임 등은 움직임이 발생할 때마다 직접 그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중 슬램덩크라는 것이 있다. 상기 영화의 경우, 농구장에서의 애니메이션이 많다. 그러나, 농구장에서 경기하는 인물에 대해서는 상세한 묘사로 그려지지만, 주위의 관중석의 경우, 간단한 묘사로 그치게 된다. 관중석에서의 카메라 앵글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셀 애니메이션에서 계속 그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셀 필름 상에 많은 그림을 그려야 하므로, 동일한 시간내에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자가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고가의 셀 필름을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화제작에 있어서, 주체적인 대상물의 움직임이외에 부가적인 배경화면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가 있다. 종래의 제작방식은 상기 배경화면을 작업자가 직접 움직이는 모든 배경화면을 그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화면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실사로 각각 촬영하고, 촬영된 각각의 화면을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상기 프레임을 애니메이션화된 이미지로 제작하여 이를 다시 편집합성하여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저렴한 비용의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종래의 셀 애니메이션과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일치시킴으로써 셀 애니메이션적인 요소를 가지는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사촬영단계 200 : 입력단계
300 : 분리단계 400 : 복사단계
500 : 이미지처리단계 510 : 트레이싱단계
520 : 이미지효과단계 600 : 이미지편집합성단계
700 : 음향편집합성단계 800 : 영상편집합성단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화면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실사로 각각 촬영하는 실사촬영단계와; 상기 실사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영상에서 필요한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부분을 별도로 저장하는 복사단계와; 실사의 영상에서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트레이싱단계와 실사의 이미지 내지는 상기 트레이싱단계에서 추출된 외곽선 내에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이미지효과단계로 구성되는 이미지처리단계; 상기 이미지효과단계에서 애니메이션화된 이미지를 배경화면, 인물 그리고 기타화면을 하나의 이미지로 편집합성하는 이미지편집합성단계와;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에서 편집합성된 이미지에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음향편집합성단계;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에서 편집합성된 개개의 이미지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의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영상편집합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싱단계(510)는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실사의 이미지에서 직접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실사의 이미지 상에 여백의 이미지를 위치시켜 하위 계층의 실사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간접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는 실사의 이미지에 명암, 채도, 필터효과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싱단계(510)에서 생성되는 실사의 외곽선 이미지 내에 색상 부여, 채도 조절, 필터효과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편집합성단계(800)는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합성된 개개의 이미지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700)의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컴퓨터 상에서 랜더링(Rende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실사 촬영된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적은 비용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사촬영단계(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사촬영단계(100)는 애니메이션 영화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실사로 각각 촬영하는 단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실사촬영단계(100)이전에 촬영에 대한 사전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사전작업은 연출, 기획, 콘티, 카메라 앵글 검토 등 촬영 이전에 준비해야 하는 작업들이다. 상기 사전작업에 의해 애니메이션 영화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의 동작, 기타화면 등을 촬영 이전에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각각 촬영하게 된다.
다음, 입력단계(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단계(200)는 상기 실사촬영단계(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먼저, 촬영된 영상이 담긴 카메라를 컴퓨터의 USB, 패러럴 .파이어 와이어등의 포트에 연결하여 어도비 프리미어(Adobe)프로그램의 메뉴 중 movie capture를 선택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내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 분리단계(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리단계(300)는 상기 입력단계(200)에서 입력된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단계(300)는 상기 영상을 애니메이션화 하기위해 한 프레임씩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단계(300)는 어도비 프리미어(Adobe)프로그램의 메뉴 중 file →new →output options →numbered pict files을 선택하여 낱장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영상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녹색(Green)분위기라면, 상기 프로그램의 filter →hue-saturation 으로 전체적인 이미지를 녹색(Green)으로 바꾸어 작업을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후술하게 될 이미지처리단계(500)에서 개개의 이미지를 바꿀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다음, 복사단계(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사단계(400)는 상기 분리단계(300)의 분리된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필요한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부분을 별도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복사단계(400)는 어도비 포토샵(Ado -be Photoshop)와 같은 이미지 처리용 프로그램의 기능 중 색상이나 명도가 유사한 부분을 감지해 내는 기능을 사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구현된 기능으로 불충분한 이미지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거쳐 정확한 이미지로 만들어 진다.
다음, 이미지처리단계(5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단계(500)는 트레이싱단계(510)와 이미지효과단계(520)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트레이싱단계(510)는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과 같은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의 기능 중 Lasso Tool과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페인터(Painter)와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file →new →ok 하여 새로운 파일을 열고, file →clone source를 선택하여 그릴 파일을 선택하고, 상단 우측에 블랙과 화이트가 있는 표시에 마우스를 접근시키면 그릴 파일이 비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는 상기 트레이싱단계(510)에서 추출된 외곽선 이미지 내에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는 셀 애니메이션 작업에서 색칠을 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는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이나 페인터(Painte-r)를 이용해서 밝기나 채도, 색상을 조절하고 회화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다양한 필터를 주기도 하고, 페인터(Painter)에서는 다양한 미술도구들이 지원되지만, 여기서는 메뉴에서 브러시(Brush)툴을 선택하여 콘테나 연필을 선택한다. 그리고, Controls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테나 연필의 농도, 채도 등의 값을 지정한다. 또한, Art Materials메뉴의 Color툴에서 색상을 지정하여 색칠하게 된다.
다음,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편집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법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디지털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크로마키기법은 필름이나 비디오에 의해 기록되어진 이미지를 컴퓨터에 받아들여 한 장씩 낱장 단위로 처리하는 비실시간 크로마키이다.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과 같은 이미지 처리용 프로그램에서는 색상이나 명도가 유사한 부분을 감지해 내는 기능이 있다. 상기한 기능을 응용하여 전경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피사체에는 사용하지 않는 색을 배경으로 사용하여 촬영한 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배경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이미지 상에서 배경과 전경의 피사체를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크로마키 기법과 상기 이미지처리단계(500)에서 처리된 이미지인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 등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합성하게 된다.
다음, 음향편집합성단계(7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700)는 상기 애니메이션 영화에 들어갈 음향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기본적으로, 어도비 프리미어 (Adobe Premiere)에서 지원하는 file →capture →audio capture 메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운드 전용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향을 갭쳐받거나 외부 마이크를 이용하여 효과음과 나레이션을 캡쳐받고 음향을 편집하여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는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프로그램 상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지점을 타임라인 창에서 선택한 후 원하는 음향을 저장한다.
다음, 영상편집합성단계(8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700)를 거친 후,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프로그램 상의 make movie를 선택하여 mov 파일을 만들게 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mov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을 VHS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어도비 프리미어 (Adobe Premiere),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페인터(Painter)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도 제작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흐름도이다. 이하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는 순서를 단계별로 설명한다.
1.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를 실행시켜 실사로 촬영된 영상을 비디오로 재생시키면서 재생되는 화면을 컴퓨터 상의 저장장치(Storage Device)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은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의 file 메뉴의 서브메뉴인 capture메뉴에서 video capture를 선택한다. 상기에서 선택된 영상은 비디오 캡쳐 창에 나오게 되고, 작업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무비파일로 저장한다.
2. 저장된 영상을 정지된 화면에 해당하는 프레임으로 나누는 작업을 한다. 상기에서 만들어진 무비파일을 상기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에서 다시 불러 들인다. 상기 무비파일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project창에 위치시킨다. 메뉴 상단에 위치한 타임라인의 파일을 선택한 뒤, make메뉴에서 moivie를 선택하여 mov항목을 pct로 바꾼 상태에서 초당 몇 프레임으로 할 것인지를 지정하고, ok버튼을 누른다. 상기 pct파일은 상기 무비파일이 개별의 낱장으로 분리된 파일이다. 그리고, 각 프레임마다 고유의 이름을 지정한다.
3. 상기 2과정에서 각 프레임별로 저장된 이미지중 작업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이나 페인터(Paint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러들인다. 그리고, 불러들인 실사 이미지의 외곽선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2과정의 작업 중 실사 이미지의 외곽선을 선택영역으로 지정하는 방식은 툴박스(Tool Box)의 Lasso Tool(Lasso Tool, Polygon Lasso Tool, Magnetic Lasso Tool) .마스크영역. 매직 지팡이등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영역을 지정하게 된다. 상기 해당 메뉴에 관한 설명을 이미지 편집프로그램을 다루는 작업자에게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상기 과정 3에서 선택영역으로 지정된 이미지의 외곽선 내부를 애니메이션화하는 작업은 두 가지가 있으며, 작업의 분류와 선택은 작업자의 자유의지에 따라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작업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단
(애니메이션 A 작업),
(애니메이션 B 작업),
로 대별하여 구분 지으며, 그 각각의 작업의 특징은 A 작업의 경우,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방식이며, B 작업의 경우 페인터(Painter)를 이용해서 작업하는 방식이다.
(애니메이션 A 작업)으로 - 상기에서 각 프레임을 나눈 파일을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이나 페인터(Painter)를 이용해서 밝기나 채도, 색상을 조절하고 회화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다양한 필터를 주기도 한다. 상기 밝기와 채도, 색상은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의 메인 메뉴에서 Image → Adjust → Brightness/Contrast와 Image → Adjust → Hue/Saturation 메뉴로 조절한다. 그리고, 필터는 메인 메뉴에서 filter → Artistic → Rough Pastels 등을 사용한다. 애니메이션 A 작업은 실사의 이미지를 직접 애니메이션화하는 데 사용된다.
(애니메이션 B 작업)으로 - 상기에서 각 프레임을 나눈 파일을 페인터(Painter)를 실행시켜 읽어 들인다. 상기 페인터(Painter)에서는 다양한 미술도구들이 지원된다. 여기서는 회화적 효과를 내는 도구중 하나로 메뉴에서 브러시(Brush)툴을 선택하여 콘테나 연필을 선택한다. 그리고, Controls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테나 연필의 농도, 채도 등의 값을 지정한다. 또한, Art Materials메뉴의 Color툴에서 색상을 지정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메뉴의 New file을 선택하여 여백으로 된 새로운 파일을 열고, 메뉴의 file →clone source에서 그릴 파일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하면서, 새로운 파일 위의 상단 우측에 트래싱지 창에 마우스를 접근시키면, 그릴 파일들이 비추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선 추출 작업을 하고, 새 창에 비쳐진 그림의 윤곽선과 그외 필요하다 생각된 부분들을 브러시로 따라 그린다. 그런다음 Materials color창 아래에 있는 Clone color칸에 체크 표시를 해주면 된다. 이렇게 비춰진 파일은 우측, 원본은 좌측에 두고 비교해 가면서 메뉴의 window →Show art materials를 선택하여 팔렛트를 꺼낸 후 원본은 색감을 스포이드로 추출하고, 그 색감을 살려 마우스로 색칠하게 된다. 상기 작업 후 메인 메뉴에서 Effects →Total Control을 통해 전체적인 색상, 명도, 채도를 지정하여 애니메이션화하게 된다. 상기 애니메이션 B 작업은 실사의 이미지를 여백으로 된 새로운 파일 아래에 위치시켜 상기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여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간접적인 애니메이션 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적 스타일을 살릴 수 있다.
5. 상기 과정 4에서 작업된 애니메이션화된 파일들을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과 편집합성하기 위해서는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와 같은 그래픽 편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이어(Layer)라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어(Layer)란 임의의 이미지에서 필요한 부분을 별도로 떼어내는 작업을 말한다. 이때, 레이어(Layer)를 제외한 부분은 투명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레이어(Layer)를 제외한 투명한 부분엔 편집합성될 다른 이미지로 나머지 공간을 채우게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스럽게 이미지를 서로 편집합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이어는 상기 과정 3에서 선택된 부분을 지정한다. 그리고,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의 메인 메뉴에서 레이어(Layer) → new Layer → Layer via copy를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이 새로운 레이러(Layer)로 저장된다. 이때, 화면의 아래 쪽에 레이어(Layer)창을 보면 새로운 레이어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레이어(Layer)창에서 원본 레이어(Layer)를 detect시키면, 화면에서 선택된 부분만 남고, 나머지 부분은 투명하게 처리된다.
6. 상기 과정 5를 통해 만들어진 편집합성된 이미지를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에서 불러들인다. 불러들인 파일은 프로젝트 창(Project Window)에 표시된다. 상기 프로젝트 창에 위치시키는 방법은 메인메뉴의 file → import → folder → 배경폴더 불러내기를 하게 되면 project창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항목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해서 타임라인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모든 편집합성된 이미지를 순서대로 위치시킨다.
그런 뒤, 프리미어(Premiere)의 S1트렉에 알파채널로 된 폴더를 위치시킨다. 상기 방법은 메인메뉴의 file → import → folder → 레이어로 된 폴더 불러내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위치시킨 알파트렉을 선택한 뒤, transparence명령을 주어 none 항목을 알파채널 항목으로 선택하여야 편집합성된 레이어(Layer)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만들어진 편집합성된 레이어와 편집합성된 이미지에 대한 특수효과를 주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기본적인 특수효과는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이나 페인터(Painter)상에서 부여하게 되지만, 예를 들어, 눈이 오는 효과 등은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에서 할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의 snow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가 특수효과를 주고자 하는 곳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한 후, 메인메뉴인 filter → FF Snow를 선택하여, 필터창에서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눈의 양과 속도 등을 선택하고 OK버튼을 클릭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가지 특수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7. 상기 과정 6을 거친 후, 영상의 작업자가 원하는 해당 장면에 맞는 음향효과를 입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라는 프로그램 내에 있는 음향편집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운드 에디트 등 사운드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음악CD를 상기 영상에 삽입하는 것을 가정하여 작업하는 것을 기술하면, 음악 CD를 먼저 재생시킨 후, 메인메뉴의 file → capture → audio capture를 선택하여 필요한 부분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하면 음악파일이 제작된다. 상기 음악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타임라인 창에 가져다 놓는다. 따라서, 상기 영상파일과 음악파일이 모두 타임라인이 배치된다.
8. 상기 과정 7과정까지 모두 종료되면,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의 메뉴에서 make movie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mov .avi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완성된 mov. avi파일은 VHS. DV테이프출력을 통해 비디오 테이프로 만들어진다.
상기의 과정이 시행되면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화면을 실사로 촬영하여 촬영된 실사화면을 애니메이션화 하여 셀 애니메이션의 원화면이나 동화면 없이도 애니메이션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저비용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애니메이션 영화의 화면에 사용될 배경화면, 인물, 기타화면을 실사로 각각 촬영하는 실사촬영단계(100);
    상기 실사촬영단계(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입력단계(200);
    상기 입력단계(200)에서 입력된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리하는 분리단계(300);
    상기 분리단계(300)의 분리된 이미지에서 필요한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부분을 별도로 저장하는 복사단계(400);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트레이싱단계(510)와 실사의 이미지 내지는 상기 트레이싱단계(510)에서 추출된 외곽선 이미지 내에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이미지효과단계(520)로 구성되는 이미지처리단계(500);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에서 애니메이션화된 이미지를 배경화면, 인물 그리고 기타화면을 하나의 이미지로 편집합성하는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 합성된 영상에 음향효과를 추가하고 편집하는 음향편집, 편집합성단계(700);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합성된 개개의 이미지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의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영상편집합성단계(8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싱단계(510)는 실사의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실사의 이미지에서 직접 외곽선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실사의 이미지 상에 여백의 이미지를 위치시켜 하위 계층의 실사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간접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효과단계(520)는 실사의 이미지에 색상. 명도, 채도, 필터효과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싱단계(510)에서 생성되는 실사의 외곽선 이미지 내에 색상 부여, 채도 조절, 필터효과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편집합성단계(800)는 상기 이미지편집합성단계(600)에서 편집합성된 개개의 이미지와 상기 음향편집합성단계(700)의 음향효과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컴퓨터 상에서 랜더링(Rende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KR1020000010093A 2000-02-29 2000-02-29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KR20000030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93A KR20000030429A (ko) 2000-02-29 2000-02-29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93A KR20000030429A (ko) 2000-02-29 2000-02-29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429A true KR20000030429A (ko) 2000-06-05

Family

ID=1965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093A KR20000030429A (ko) 2000-02-29 2000-02-29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4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14B1 (ko) * 2000-08-30 2003-03-06 송대호 출판만화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방법
KR100386779B1 (ko) * 2001-03-14 2003-06-09 주식회사 마나스톤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동영상 제작 및 재생 시스템과 그방법
KR20030057726A (ko) * 2001-12-29 2003-07-07 전순호 외곽선 정합 기반 애니메이션의 중간 동화 자동 생성방법
KR20140127719A (ko) * 2013-04-25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141A (en) * 1984-12-24 1987-09-22 Agfa-Gevaert N.V.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mbined live-action and animation motion picture film
EP0427723A1 (en) * 1988-03-22 1991-05-22 Orjan Strandberg COMPUTER ANIMATION METHOD AND DEVICE.
KR19980074996A (ko) * 1997-03-28 1998-11-05 강상경 에니메이션 합성 사진 제조 방법
US5923400A (en) * 1994-03-28 1999-07-13 Spector; Donald Real-time film animation technique
US6061462A (en) * 1997-03-07 2000-05-09 Phoenix Licensing, Inc. Digital cartoon and anima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141A (en) * 1984-12-24 1987-09-22 Agfa-Gevaert N.V.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mbined live-action and animation motion picture film
EP0427723A1 (en) * 1988-03-22 1991-05-22 Orjan Strandberg COMPUTER ANIMATION METHOD AND DEVICE.
US5923400A (en) * 1994-03-28 1999-07-13 Spector; Donald Real-time film animation technique
US6061462A (en) * 1997-03-07 2000-05-09 Phoenix Licensing, Inc. Digital cartoon and animation process
KR19980074996A (ko) * 1997-03-28 1998-11-05 강상경 에니메이션 합성 사진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14B1 (ko) * 2000-08-30 2003-03-06 송대호 출판만화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방법
KR100386779B1 (ko) * 2001-03-14 2003-06-09 주식회사 마나스톤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동영상 제작 및 재생 시스템과 그방법
KR20030057726A (ko) * 2001-12-29 2003-07-07 전순호 외곽선 정합 기반 애니메이션의 중간 동화 자동 생성방법
KR20140127719A (ko) * 2013-04-25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316A (en) Desktop digital video processing system
US6556775B1 (en) Image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US100082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digital footage into a digital cinematographic template
US75199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editing using an image stack
US5734794A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activated cell animation
US73362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or modifying 3D animations in a non-linear editing environment
AU650179B2 (en) A compositer interface for arranging the components of special effects for a motion picture production
US7873909B2 (en) Manipulation and merging of graphic images
KR102032606B1 (ko) 3d 게임엔진기반 머시니마 제작방법
MXPA03010039A (es) Sistema y metodo para mejorar la secuencia de imagen.
KR102215290B1 (ko) 컴퓨터 그래픽 합성 시스템 및 방법
AU2015213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al iteration workflow for image sequence depth enhancement
Byrne The visual effects arsenal: VFX solutions for the independent filmmaker
KR20000030429A (ko)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
KR101457045B1 (ko)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및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374914B1 (ko) 출판만화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방법
Ganbar Nuke 101: professional compositing and visual effects
CN115002555B (zh) 一种应用于直播间的主题制作方法、装置及设备
KR20050078100A (ko) 동영상 카툰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프로그램을수록한 기록 매체
US6452642B1 (en) Digital manipulation of video images
KR20230164274A (ko) 3d 동영상과 만화의 패치워크에 의한 영상제작방법
Eagle Pan/Crop, Track Motion, and Basic Compositing in Vegas
Collins “By the Way, Meet Vera Stark”: An Exploration of Process, Film, and Collaboration
Henric Comparison of Node Based Versus Layer Based Compositing
Kloskowski Photoshop compositing secrets: Unlocking the key to perfect selections and amazing photoshop effects for totally realistic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