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007A - 융기형도로표지설치장치및이장치에사용하기위한표지 - Google Patents

융기형도로표지설치장치및이장치에사용하기위한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07A
KR20000030007A KR1019997001295A KR19997001295A KR20000030007A KR 20000030007 A KR20000030007 A KR 20000030007A KR 1019997001295 A KR1019997001295 A KR 1019997001295A KR 19997001295 A KR19997001295 A KR 19997001295A KR 20000030007 A KR20000030007 A KR 2000003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slide
road
mark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린죤엘
Original Assignee
그린 죤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죤 엘 filed Critical 그린 죤 엘
Publication of KR2000003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8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applying prefabricat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설치 헤드는 차량에 장착되어 이 차량이 도로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도로를 따라 도로에 인접하게 이동한다. 상기 설치 헤드는 수직 적재 챔버의 바닥에 적재 스테이션을 구비하며 플로어를 따라 활주하여 표지들을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셋팅 스테이션 내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셋팅 램은 도로 위에 미리 배치된 접착제 위로 표지들을 강제한다. 복수개의 헤드가 차량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선의 양쪽에 표지들을 동시 설치하도록 대향하는 열을 이룰 수 있다. 본 장치의 신뢰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인접 표지들과 상호 체결되는 색인된 표지를 사용할 수 있다. 표지들을 적재 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송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기구로는 이송 플랫폼 또는 적재 챔버의 상방에 배치되고 표지들을 적재 챔버로 하방 이송시키는 캐러셀 등이 있다. 측방 개구부를 통하여 적재 챔버 속으로 표지들을 이송시키는 평행 테입도 또한 포함된다.

Description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표지{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AND MARKER FOR USE IN SAME}
도로 위에 융기형 도로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치들에는 많은 심각한 단점이 있다. 이들 단점으로는 고도의 숙련 노동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며, 설치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 등이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안전이 문제가 된다. 작업자의 안전이 염려되는 일차적인 원인은 비교적 차량에 노출되는 위치에 작업자가 있어야 한다는 데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설치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또는 완전하게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작업자는 통상 도로와 인접한 곳에서 접착제 및/또는 표지를 도로 위에 수작업으로 설치한다. 흔한 경우로서, 도로가 차량에 대해 차단되어 있지 않다면, 차량은 작업자와 아주 근접하여 통과한다.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는 또한 아주 고온의 재료를 다루어야 하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게다가, 완전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설치할 때 사람이 실수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기 때문에 표지를 정확히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융기형 도로 표지(raised road marker)를 자동 설치하기 위한 장치 및 자동 설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특수 표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램(ram)에 의해 도로 위에 놓여지는 표지들을 적재 챔버(loading chamber)의 바닥에서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셋팅 스테이션(setting station)까지 플로어를 따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와, 기울어지지 않도록 인접 표지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색인된 표지(indexed marker)와, 적층 표지들을 방출하도록 바닥이 없는 용기가 연속적으로 공급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되는 상기 바닥이 없는 용기가 놓여 있는 이송 플랫폼(delivery flatform)과, 표지들을 적층하고 적층 표지들을 방출하는 3단 캐러셀(three-tier carrousel)을 구비하고 있는 설치 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요소들이 장착되는 차량의 트레일러부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도.
도 2는 생략된 전방부와, 상부에 각이진 추가 공급 튜브를 구비한 도 1의 장치의 설치 헤드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3은 캐러셀의 양호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4는 커버가 개방 위치로 들어 올려진 도 3의 캐러셀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5는 추가된 설치 헤드 장치 부분들을 구비하거나 커버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캐러셀의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설치 헤드의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설치 헤드의 플로어 및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셋팅 램 및 슬라이드 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플로어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플로어의 평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지만 캐러셀 이송 수단을 생략한 차량 트레일러부의 개략적인 입면도.
도 11은 평행 테이프 가이드(G)부를 포함하고 있는 도 10의 설치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가이드부, 설치 헤드의 대응하는 플로어부 및 슬라이드부, 평행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램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3은 투하실 도어에 의해 지지되고, 셋팅 램에 의해 도로 위로 놓여질 준비가 되어 있는 도로 표지를 도시하고 있는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헤드 부분의 저면도.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아랫쪽으로 이동하면서 투하실 도어를 개방하도록 강압하고 있는 표지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5는 설치 헤드 측벽 중 하나와 이에 장착된 투하실 도어의 부분 측면 입면도로서, 도 13에 도시된 위치의 투하실 도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6은 도 15와 유사하지만, 도 14에 도시한 개방 위치에서의 투하실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7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투하실의 양호한 실시예의 입면도.
도 18은 둥근 도로 표지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변형 형태의 슬라이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서, 분리진 위치에서의 플로어 부재 및 정지 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9는 도 18과 유사하지만, 상호 체결된 위치에서의 슬라이드 부재 및 정지 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장치, 부속된 셋팅 램을 입면 상태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셋팅 램 헤드의 저면도.
도 22는 직사각형 반사기 형태의 도로 표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23은 표지의 주반사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는 도 22에 도시한 표지의 입면도.
도 24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형태의 표지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셋팅 램 헤드의 저면도.
도 25는 허상으로 도시한 도로 표지와 맞물리는 도 24의 셋팅 램 헤드의 입면도.
도 26 내지 도 29는 적재 챔버벽들의 설치 헤드 플로어 및 슬라이드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서, 표지를 도로 위에 놓을 위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0은 정지 도그를 구비한 설치 헤드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6과 유사한 도면.
도 31은 도 30과 유사하지만, 다른 위치에서의 설치 헤드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된 정지 도그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2는 복수개의 설치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 트레일러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33A, 도 33B 및 도 33C는 도로 표지가 놓여지는 전형적인 3가지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4는 색인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변형된 둥근 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A는 도 34에 도시한 표지의 평면도.
도 35B는 도 34에 도시한 표지의 저면도.
도 36A 및 도 36B는 도 35A 및 도 35B와 유사하지만 색인된 표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37은 반사성 정방형 표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
도 38은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한 표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
도 39는 둥근 도로 표지와, 부속된 공급 기구 및 색인 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적인 개략 단면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한 표지의 저면도.
도 41은 3단 캐러셀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42는 도 41에 도시한 3단 캐러셀의 상부단의 변형 형태 및 부속된 표지 안내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43은 도 42의 일부를 도시하며, 덮개가 제거된 안내부 중 하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도 43에 도시한 안내부의 배향 장치 및 배향 스테이션 내에 배치된 표지의 분해도.
도 45는 정방형 개구부들로 이루어지는 두 별개의 원에 표지를 배향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평면도.
도 46은 적층 표지들을 표지가 설치 헤드 속으로 공급되는 위치 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47은 투하실 도어와 편향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입면도.
도 48은 낡은 터틀 표지를 도로에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 단면 입면도.
도 49는 접착제 분배 매니폴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50은 적재 챔버에 사용될 수 있는 차단 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본 발명의 주제는 융기형 도로 표지들을 도로에 설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도로를 따라 도로에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설치 헤드를 포함한다. 이 설치 헤드는 상부면이 있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한 플로어와, 상기 상부면에 배치된 적재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셋팅 스테이션이 상기 플로어를 따라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슬라이드의 수직 두께는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다. 액츄에이터(actuator)가 상기 슬라이드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를 상기 플로어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다. 벽들이 상기 적재 스테이션 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한 적재 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벽들은 대향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들 부분 각각은 단 하나의 표지가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플로어를 따라 그리고 그 부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거리를 두고 상기 플로어 위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거리는 두 개 이상의 표지가 동시에 상기 부분 아래로 이동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상기 슬라이드에는 이 슬라이드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동할 때 하나의 표지를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셋팅 스테이션 속으로 밀어 내는 접촉면이 있다. 상기 셋팅 스테이션 위에 후퇴 위치를 갖는 램이 상기 셋팅 스테이션 쪽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셋팅 스테이션 내의 표지를 도로 위로 하향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별한 적용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설치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새것을 제작할 때에, 복수개의 설치 헤드를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열을 이루어 차량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여러 표지들을 차선의 양쪽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현재 계획중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 헤드에는 표지들을 적재 챔버 속으로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다. 이 개구부는 상기 벽들의 대향 부분과 수직하고 상기 적재 스테이션에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장치는 표지들을 상기 개구부로 이송시키는 평행 테이프(collation tap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행 테이프는 여러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적재 스테이션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상기 평행 테이프가 주위를 감싸고 있는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래크 기어(rack gear)가 상기 슬라이드에 의해 운반된다. 피니언 기어가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롤러와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의 활주 운동을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시킨다.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 운동은 상기 평행 테이프의 상부 런을 상기 적재 스테이션을 향해 이동시킨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적재 챔버 속으로 개방된 상단 개구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적재 챔버는 적층 표지들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표지들을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적재 챔버 속으로 하향 공급시키기 위하여 여러 이송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송 기구의 한 형태는 상기 적재 챔버 위에 배치되고, 공급 스테이션과, 상기 상단 개구부와 연통하는 공급 스테이션의 이송 개구부와,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이르는 공급 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 플랫폼이다. 바닥이 없는 용기들 각각은 적층 표지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하부에 감지용 구멍이 있다. 센서가 공급 스테이션 부근에 배치되어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에 표지가 없음을 상기 감지용 구멍을 통해 감지한다. 제거 액츄에이터(removal actuator)가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와 맞물려서 그 용기를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시키고, 다른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를 따라 상기 공급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 플랫폼과 그에 부속된 장치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한가지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맞물림 휠(engagement wheel)을 포함한다. 이 맞물림 휠은 용기들의 원주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절단부(cutout)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들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램을 포함한다. 이 램은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 및 후퇴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이송 기구는 상기 적재 챔버 위에 배치되어 표지들을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적재 챔버 속으로 하향 공급시키는 복수단의 캐러셀(multi-tiered carrousel)이다. 이 캐러셀은 3개의 동심(同心) 단들을 포함한다. 각 단에는 표지들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직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단들은 한 개의 표지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인 회전가능한 상부단과, 고정된 중간단과, 회전가능한 하부단을 포함한다. 중간단과 하부단 각각의 높이는 그 단에 마련된 각 수직 개구부에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각 단에 마련된 수직 개구부는 인접 단의 수직 개구부와 정렬될 수 있다.
캐러셀의 양호한 특징은 정방형 반사체 표지들을 자동으로 배향시킬 수 있는 배치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상부단의 수직 개구부는 하나의 원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정방형 개구부를 포함한다. 안내부(guideway)가 상기 원에 이른다. 배향 스테이션(orienting station)이 상기 안내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센서가 상기 배향 스테이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그 센서는 인접한 반사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향 스테이션의 정방향 표지와 맞물리도록 이동되고, 상기 반사면이 상기 센서와 대면할 때까지 상기 정방형 표지를 피벗시키는 피벗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본 장치에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호한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 중 하나는 둥근 표지와 함께 사용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및 플로어 정지 부재이다. 이 정지 부재에 상기 셋팅 스테이션에 인접하는 아치형 단부면이 있다. 슬라이드는 상기 표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셋팅 스테이션 내의 둥근 표지가 상기 아치형 단부면 사이에서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양호한 특징부는 표지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하향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는 헤드를 구비한 램이다. 상기 램 헤드는 돔 형태의 상부면이 있는 둥근 표지 또는 평평한 상부면이 있는 직사각형 표지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어떤 경우이든지, 램 헤드의 형태는 표지가 도로 위로 하향 가압될 때 표지를 안정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설치 헤드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 헤드는 플로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셋팅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슬라이드에는 셋팅 스테이션 중 하나와 정렬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제2 적재 스테이션을 형성하는 관통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현재, 두 개의 셋팅 스테이션을 구비한 설치 헤드에 사용하기에 양호한 다른 특징부는 슬라이드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도그(stop dog)이다. 셋팅 스테이션 중 바깥쪽 셋팅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것은 두 개 이상의 표지가 상기 셋팅 스테이션 중 바깥쪽 셋팅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된다.
기존 도로를 보수하는 작업시 사용하도록 일차적으로 설계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기존의 낡은 표지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도로에서 낡은 표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 헤드 전방 쪽으로 차량에 장착가능한 스크래퍼(scrapper)를 포함한다. 분리된 표지 및 이에 수반된 파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 튜브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색인된 융기형 도로 표지이다. 이 표지는 둥근 상단면과 평평한 바닥면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색인 돌출부(indexing projection)가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한다. 상보형(相補形) 리세스(complementary recess)가 상기 바닥면 속으로 연장함으로써 인접 표지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표지들을 상호 체결시킨다. 표지들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표지들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돌출부와 리세스는 인접 표지들이 상대적인 원주 방향의 다양한 배향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색인 돌출부와 상보형 리세스의 형태는 변화될 수 있다. 제1 양호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스포크(spoke)를 구비하며, 상기 각 아암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스포크가 대응한다. 제2의 양호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융기형 딤플(raised dimple)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각 딤플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전자 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내부 공동(cavity)이 있는 플라스틱 성형 본체부를 포함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이다.
융기형 도로 표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형태의 이송 플랫폼과, 전술한 캐러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표지는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완전히 자동화되고, 비교적 고속으로 설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두 명 정도의 작업자에 의해서 표지들을 설치할 수 있고, 두 명의 작업자는 설치 작업 중 내내 차량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인건비가 크게 감소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은 최대화된다. 표지 작업 설치의 전체 생산성은 최대화되고 교통 방해는 최소로 유지된다. 본 장치의 여러 양태에 따른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장치에 대한 숙련 및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작업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당한 정확도로 도로 표지를 설치할 수 있고, 여러 상황에 따라 다른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융통성을 갖고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들은 융기형 도로 표지를 도로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 및 이 장치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특수한 표지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장치 및 표지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되고 현재 출원인에게 알려져 있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양식을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장치는 도로 표지를 설치 헤드(H)로 이송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별한 용도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호 이송 수단(alternate delivery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각 설치 헤드는 단지 하나의 이송 헤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은 트레일러(V)가 차량의 캡부(cap portion)(도시 생략)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휠(W)에 베드(bed)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트레일러(V)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소들은 트레일러 베드 상에 그리고 트레일러 베드 아래에 장착된다. 이들 요소로는 접착제 저장기(R)와 분배기 또는 접착제 튜브(D)가 있다. 이들 요소로는 또한 공기 압축기(P), 다른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유닛(E)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핫 멜트 아스팔트 접착제(hot melt bitumen adhesive)를 사용하여 도로 표지를 설치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경우에, 접착제 저장기(R)에는 전기 유닛(E)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가열 수단이 제공되어 정확한 설치 온도에서 상기 아스팔트 접착제를 유지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에폭시(EPOXY)"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접착제와 같이 2부 접착제(two-part adhesive)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로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두 가지 형태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트레일러(V)를 정지시키지 않은 채 도로 표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착제 튜브 분배기(D)는 트레일러(V)와 동일한 속도로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트레일러(V)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튜브 분배기(D)를 접착제가 분배되는 동안에 도로 표지가 설치되는 도로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장치는 도로 표지를 설치 헤드(H)로 이송하기 위한 2개의 선택적인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수단은 도 1에서 일반적인 형태로 도시한 캐러셀(C)이다. 이 캐러셀(C)은 도로 표지를 공급 튜브(2)를 통해 설치 헤드(H)로 이송한다. 제2 수단은 평행 테이프(collation tape) 상의 도로 표지를 공급 롤(F)로부터 가이드(G) 아래쪽의 설치 헤드(H)로 공급하는 평행 유닛(collated unit)이다. 표지를 이송하는 이들 두 수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을 특별한 용도에 적용할 경우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어떤 이송 수단이 사용되든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로 표지를 완전히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두 작업자가 시간당 약 5마일의 속도로 표지를 차선의 양측부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 작업자는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운전한다. 다른 작업자는 시각적으로 또는 비디오 모니터를 통해 작업을 모니터하고, 특별히 미리정해진 패턴으로 표지를 내려 놓는 작업을 개시하는 명령과 같이 요구되는 어떤 명령 입력을 제공한다. 두 작업자는 표지를 내려 놓는 작업 동안에 차량의 캡(cap)에 남아 있는 것이 좋다. 표지를 내려 놓는 작업의 실행은 컴퓨터 제어되는데, 내려 놓는 작동에서의 여러 단계는 장치의 부품들의 이동 및/또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들에 의해 시동된다. 센서는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고, 컴퓨터는 장치의 부품들에 신호를 보내 그 부품들을 적절히 작동 또는 작동 해제시킨다. 현재, 작업 속도를 제한시키는 주요인은 접착제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 상태이다.
도 2는 설치 헤드(H)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설치 헤드(H)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수직한 공급 튜브(2)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이진 상측부(4)를 구비하는 변형된 공급 튜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각이진 상측부(4)는 설치 헤드(H)가 트레일러 베드로부터 측방향으로 편의(偏倚, offset)될 수 있도록 해준다. 공급 튜브의 형태가 어떻든지 간에, 도로 표지들은 수직 튜브(2)를 통해 수직 적재 챔버(6) 속으로 하향 공급된다. 표지들은 도 2에 도시한 둥근 표지(T)와 같이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표지(T)는 보통 "터틀(turtle)"이라고 알려져 있다. 적재 챔버(6)는 [트레일러(V)에 대해] 측방향 외벽(8)과 측방향 내벽(10) 및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측벽(14)들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 튜브(2)의 하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재 챔버(6)의 상단에 끼움부가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끼움부(7)는 둥근 표지(T)용의 원통형 공급 튜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원형이다. 정방형 공급 튜브용의 정방형 끼움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튜브는 둥근 표지 또는 정방형 튜브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설치 헤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셋팅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2개의 셋팅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 2에서, 측벽(14)들 사이에 위치된 설치 헤드(H) 부분을 도시하기 위해 전방 측벽은 생략하였다. 측방향으로 내측 방향은 도 2에서 화살표(12)로 나타낸다. 둥근 표지(T)는 슬라이드(16)에 의해 설치 헤드(H) 내에서 측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되고 궁극적으로는 셋팅 스테이션(18, 20)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지들은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도로 위에 내려 놓인다.
도 3 내지 도 5는 캐러셀(3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캐러셀(30)은 열쇠 구멍 형태의 측벽(33)과, 제거가능한 덮개(34)와, 플로어(36)를 갖는 하우징(32)을 구비한다. 측벽(33)의 좁은 단부에 입구(30)와 출구(40)가 있다. 상부 차폐판(42)과 하부 차폐판(44)이 이들 각 개구부(38, 4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U자형의 내벽(45)은 외측벽(33)과 함께, 바닥이 없는 용기(100)가 캐러셀(30)을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벽(45)은 짧은 수직부를 갖고, 외벽(33)의 상측 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다. 하측의 대응하는 U자형 벽(도시 생략)이 캐러셀(30)의 플로어(36)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이 좋다. 상측 및 하측의 U자형 벽들은 용기들이 캐러셀(C)을 통해 이동할 때 용기(100)들을 안내하고, 용기가 통로에서 이탈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통로는 입구(38)로부터 시작되는 입구 통로 또는 공급 통로(46)와, 아치부(48)와, 입구 통로(46)에 평행하고 출구(40)에 이르는 출구 통로(50)를 포함한다.
용기(100)는 여러 수단에 의해 캐러셀(30) 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절한 한 수단은 용기(100)를 입구(38)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이다. 일단 용기(100)가 하측 가이드(44) 위로 그리고 입구 통로(46) 속으로 이송되면, 그 용기 뒤로 이송된 용기(100)는 그 앞의 용기를 입구 통로(46)를 통해 캐러셀 통로의 아치부(46)를 향해 밀어낸다. 용기(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은 용기(100)의 라인 끝에서 편향되는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 스프링은 용기(100)를 입구 통로(46)를 향해, 입구 통로(46) 속으로, 그리고 입구 통로(46)를 통해 편향시킨다.
용기(100)가 입구 통로(46)의 끝 및 아치부(48)의 시작 부분에 도달하면, 용기는 맞물림 휠(52)에 의해 맞물린다. 이 맞물림 휠(52)의 원주 둘레에는 복수개의 아치형 절단부(54)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절단부(54)는 용기(100)의 외측면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휠(52)은 샤프트(56)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56)는 (도 5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전력이 공급되어 맞물림 휠(52)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용기(100)를 입구 통로(46)로부터 출구 통로(50)까지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캐러셀(30)의 플로어(36)는 공급 스테이션(58)에서의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통로(46, 48, 50)를 따라 연속적이다. 공급 스테이션(58)에는 플로어(36)를 관통하는 수직 관통구가 있는데, 이는 표지들이 공급 스테이션(58)과 정렬되어 있는 용기(100)로부터, 캐러셀(30)을 벗어나 공급 튜브(2) 속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특정 용기(100)로부터의 모든 표지들이 공급 튜브(2) 속으로 분배되면, 맞물림 휠(52)은 45°회전하여 다음 용기(100)를 용기 내의 표지들이 분배되는 위치로 가져 간다. 본 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용기(100)가 비워져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이 있는 것이 좋다. 이는 예컨대, 용기(100)의 바닥에 수직 슬롯을 제공하고 슬롯에 인접하는 표지가 전혀 없음을 감지하는 광감지기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터틀 설치 헤드(H)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H)의 내측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전방 측벽(14)은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치 헤드(H)는 두 개의 적재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제1 적재 스테이션은 적재 챔버 벽(8, 10, 14)에 의해 형성되고, 적재 챔버(6)의 바닥에 위치된다. 제2 적재 스테이션(60)은 슬라이드(16)에 마련된 수직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드(16)는 설치 헤드의 수평 플로어(64) 상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2 적재 스테이션(60)의 위치는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16)는 플로어(64)의 상부면을 따라 램에 의해 전후로 수평하게 이동되는 것이 좋다. 도 5 및 도 7은 플로어의 측방향 내측 단부와 맞물리도록 플로어(64)의 앞을 향해 위치된 램(62)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설치 헤드(H)의 후방 측벽(1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 후방 측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램(62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1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직 램 및 벨 크랭크(bell crank)와 같은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재 챔버 벽(8, 10)의 바닥은 표지가 한 번에 하나씩 플로어(64)를 따라 상기 벽(8, 10) 아래에서, 그리고 적재 챔버(6)의 바닥에 있는 적재 스테이션을 출입할 수 있도록 표지의 높이보다 약간 큰 거리를 두고 플로어(64) 위에 이격되어 있다. 슬라이드(16)의 높이(수직 두께)는 슬라이드(16)가 상기 챔버 벽(8, 10) 아래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8 및 도 9는 플로어(64)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플로어(64)는 종방향 슬롯(68) 및 횡방향 슬롯(70)과 교차하는 주슬롯부(66)를 구비한다. 상기 슬롯(68, 70)은 그 교차부에서 주슬롯부(66)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제공한다. 이 관통구는 플로어(64) 상에 파편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16)와 플로어(64) 사이의 원활한 활주 맞물림을 유지시켜 준다. 플로어(64)는 또한 제1 셋팅 스테이션(18)을 형성하는 수직 개구부에 의해 상기 주슬롯부(66)와 분리되어 있는 정방부(71)를 포함한다. 이 정방부(71)는 주슬롯부(66)와 동일한 슬롯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셋팅 램(72)은 셋팅 스테이션(18, 20) 각각에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의 장착 벽(74)은 설치 헤드(H)의 외측 단부로부터 적재 챔버(6)의 외벽(8)까지 측벽(14)들 사이에서 그리고 플로어(64) 위로 연장한다. 개구부(76)가 각 셋팅 스테이션(18, 20) 위의 장착 벽(74)을 수직하게 관통 연장한다. 상기 개구부(76)는 이에 대응하는 램(72)이 셋팅 과정 동안 상기 장착 벽(74)을 통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각 셋팅 램(72)은 장착 벽(74)에 고정된 하우징(도 7에서 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각 셋팅 스테이션(18, 20)에는 또한 한 쌍의 대향하는 투하실(bomb bay) 도어(78)가 제공된다. 도 6에서, 도시 생략한 전방 측벽에 장착된 투하실 도어 역시 도시 생략하였다. 투하실 도어(78)는 도 11에서도 도시하지 않았다. 투하실 도어(78)가 기능하는 방식은 이하에서 상술된다. 셋팅 스테이션(20)으로 들어가는 표지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표지를 램(72)과 정렬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단부 벽(79)과 같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로 표지를 설치 헤드(H)로 이송하기 위한 다른 이송 수단, 즉 평행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행 유닛은 조합 테이프 또는 캐리어 웨브(80) 상의 도로 표지를 차량 베드에 장착된 공급 롤(F)로부터 가이드(G) 아랫쪽으로 설치 헤드(H)까지 공급한다. 웨브(80)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터틀(T)과 같은 복수개의 도로 표지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감압 접착제가 있다. 웨브(80)는 공급 롤(F)로부터 설치 헤드(H)까지 하향 연장하는 상부런(upper run)과, 설치 헤드(H)로부터 공급 롤(F)의 전방으로 장착된 권취롤(TR)까지 후방 연장하는 하부런을 구비한다. 캐리어 런의 하측 단부에서, 웨브(80)는 웨브(80)를 점차적으로 이동시켜 터틀(T)을 설치 헤드(H)까지 이송시키는 구동 롤러(82) 둘레에서 안내된다. 가이드(G)는 구동 롤러(82)와 가이드(G)의 상측 단부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위치된 복수개의 안내 롤러(84)를 포함한다. 가이드(G)는 도 11에서 일부를 도시한 하우징(94)을 구비하는 것이 좋은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브(80)의 상부런과 하부런 모두를 에워싼다.
슬라이드(16) 뿐만 아니라 구동 롤러(8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 램을 작동시키는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좋다. 램(62, 62A)의 형태 및 상대적인 위치에 관계 없이, 슬라이드(16)와 맞물려 슬라이드(16)를 플로어(64)를 따라 [트레일러(V)에 대해] 측방향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슬라이드(16)가 차례로 이동하면, 캐리어 웨브(80)가 이동된다. 이를 위해, 구동 롤러(82)에 인접한 슬라이드(16)의 측면을 따라 래크(86)가 장착된다. 래크(86)는 피니언 샤프트(90) 상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88)와 맞물린다. 피니어 샤프트(90)는 기어 박스(도시 생략)를 통해 중앙의 구동 샤프트(92)와 맞물려 구동 롤러(82)를 회전시키고, 따라서 웨브(80)를 이동시킨다. 권취롤(TR)은 클러치 공기 구동식 모터와 같은 것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웨브(80) 상에 일정한 인장력을 제공하고 이완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터틀(T) 또는 다른 표지들이 웨브(80)로부터 설치 헤드(H)까지 이송된다. 도 11은 구동 롤러(82)를 보호하는 가이드 하우징(94) 부분과, 터틀(T)이 관통 이송되는 측벽의 개구부에 인접한 설치 헤드(H)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틀(T)이 웨브(80)의 상부런의 하측 단부에 도달하면, 그 터틀은 적재 플랫폼(96) 위로 이송된다. 플랫폼(96)은 터틀(T)이 웨브(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도와주는 베벨 연부(beveled edge)(98)를 구비한다. 터틀(T)은 플랫폼(96)으로 이동하고, 터틀 뒤의 터틀(T)에 의해 적재 챔버(6)의 바닥에서 적재 스테이션으로 밀어 넣어진다. 구동 롤러(82)의 구동 기구(86, 88, 90, 92)의 기어비는 슬라이드 의 한번의 증가 이동에 의해 하나의 터틀(T)이 웨브(80)로부터 적재 챔버(6)의 바닥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슬라이드의 한 번의 증가 이동 크기는 슬라이드(16) 길이의 1/3 또는 플로어(64) 길이의 1/5이다.
공급 튜브(2)를 통해 아래쪽으로 또는 평행 웨브(80)로부터 후방으로 적재 챔버(6)의 바닥까지 이송된 도로 표지는 설치 헤드(H) 내에서 슬라이드(16)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표지들은 셋팅 스테이션(18, 20)까지 측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도로 표지들은 상기 셋팅 스테이션으로부터 셋팅 램(72)에 의해 도로 위로 내려 놓인다. 표지가 셋팅 스테이션(18, 20) 중 어느 하나로 이송되면, 투하실 도어(78)에 의해 플로어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높이로 유지된다. 투하실 도어(78)는 셋팅 램(72)이 표지를 투하실 도어(78)를 통해 도로 위로 하향 강압하도록 작동될 때까지 도로 표지를 지지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투하실 도어(78)의 양호한 형태 및 그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각 셋팅 스테이션(18, 20)에는 설치 헤드(H)의 대향 측벽(14)들에 장착된 한 쌍의 투하실 도어(78)가 제공된다. 각 도어(78)는 대체로 수직한 레그(102)와, 대체로 수평한 레그(104)와, 수평 레그(104)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 원통형의 단부(106)를 구비한 L자 형상이다. 수직 레그(102)의 상측 자유 단부는 힌지 플레이트(100)에 의해 각 측벽(14)의 외면에 장착된 힌지(108)에 연결된다. 편향 스프링(112)이 포스트(114) 상에 장착되는데, 상기 포스트는 측벽(14)에 고정되는 내측 단부를 구비하며, 수직 레그(102)의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하고 단부 캡에 의해 형성된 외측 받침부(116)에서 끝난다. 스프링(112)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외측 접합부(116)와 수직 레그(102)와 접한다. 수평 레그(104)는 수직 레그(102)의 바닥 연부로부터 측벽(14)의 구멍(118)을 통해 연장한다. 편향 스프링(112)은 투하실 도어(78)를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위치로 편향시킨다.
셋팅 스테이션(18, 20)에서 투하실 도어(78)가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 원통형 단부(106)의 상부면은 플로어(64)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있고, 셋팅 스테이션(18, 20) 내의 표지(T)를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한다. 도어부(106)와 플로어(64)의 상단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표지(T)는 슬라이드(16)에 의해 제1 셋팅 스테이션(18)으로부터 플로어(64)의 정방부(71)까지 이동되거나, 또는 셋팅 스테이션(18)에서 셋팅 램(72)에 의해 도로 위로 내려 놓일 수 있다. 제2 셋팅 스테이션(20)에서의 표지는 그 이동 제한점에 도달하고, 도로 위로 내려 놓인다. 각 셋팅 스테이션(18, 20)에서, 셋팅 램(72)이 작동되면, 셋팅 램은 표지(T) 상에 하향 힘을 가하여, 도 14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지(T)를 하측으로 밀어내고 투하실 도어(78)의 수평 레그(104)에 힘을 가한다. 일단 표지(T)가 투하실 도어(78)를 해제시키면, 편향 스프링(112)은 투하실 도어(78)를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그 휴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투하실 도어(78)는 슬라이드(16)에 의해 셋팅 스테이션(18, 20) 속으로 이동되는 다음 표지를 지지할 준비를 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둥근 표지(T)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형태의 슬라이드(16') 및 램 헤드(146)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16')는 정지 부재(79')와 협동하여 표지(T)를 셋팅 스테이션(18, 20)에서 램(72)과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표지(T)의 맞물림으로 인해 표지(T)가 요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드(16')는 수직의 아치 단부면(122)에서 끝나는 연장부(120)를 갖는다. 연장부(120)의 각 측부에는 수직 측벽(124)과, 이 수직 측벽(124) 바닥에 수평 돌출부(126)가 있다. 상기 측벽(124)과 돌출부(126)는 단부면(122)으로부터 슬라이드(16') 길이의 약 절반을 따라 연장한다. 정지 부재(79')는 수직하게 배향된 U자형 부재인데, 이 부재는 내측 아치 단부로부터 정지 부재(79')의 한 단부(132)의 외측 개방 단부까지 정지 부재(79')를 따라 그리고 정지 부재(79')를 통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개구부(130)를 갖고 있다. 상기 개구부(130)는 수직한 측벽을 구비한 하측부(134)와, 방사상 내측으로 기울어진 측벽을 갖는 베벨부(136)와, 수직 측벽을 갖는 상측부(1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130)의 크기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16')의 돌출부(126)가 개구부(130)의 하측부(134)에 수용된 채 슬라이드(16')의 연장부(120)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18은 슬라이드(16')가 정지 부재(79')로부터 멀리 후퇴되고 아치면(122)이 정지 부재(79')의 단부(132)와 직면하는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16')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16')가 정지 부재(79')를 향해 이동될 때, 표지(T)는 아치면(122)에 의해 맞물리고, 슬라이드(16')에 의해 정지 부재(79')의 개구부(130) 속으로 밀어 넣어진다. 슬라이드(16')의 연장부(120)는 표지(T)와 함께 개구부(130) 속으로 그리고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아치면(122)은 표지(T)를 개구부(130)의 하측부(134)에서 그 하측 연부와 견고히 위치시키도록 표지(T)에 대해 강제된다. 베벨면(136)은 표지(T) 상측의 둥근 경사면과 맞물린다. 아치면(122)과 개구부 측벽(134, 136)에 의해 표지(T)가 맞물림으로써 표지(T)는 셋팅 램(72)과 정렬된 수평 위치에 유지되어 표지(T)의 요동 또는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아치면(122)의 곡률 반경은 아치면(122)의 두 대향 단부에서 확실히 접촉할 수 있도록 표지(T)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약 1/4 인치). 표지(T)가 맞물리면, 셋팅 램(72)은 표지(T)를 도로 위에 내려 놓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16')는 하나의 셋팅 스테이션을 갖는 설치 헤드에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16')는 도 6,7,12 및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한 제2 스테이션(60)과 같이 제2 적재 스테이션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할 경우, 슬라이드(16') 및 설치 헤드 플로어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둥근 터틀 표지(T)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램 헤드(146)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셋팅 램(72)은 너트(144)에 의해 장착 벽(74)에 고정된 원통형 하우징(140)을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142)가 원통형 하우징(140)의 하측 단부를 통해 장착 벽(74)의 대응 개구부(76)를 통해 활주가능하게 연장된다. 램 헤드(146)는 너트(148)에 의해 피스톤 로드(142)의 외측 단부에 부착된다. 램 헤드(146)는 하측으로 향하는 리세스(152, 154)를 구비한 대체로 원통형 또는 디스크 형태이다. 리세스의 내측부(152)는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다. 리세스의 외측부(154)는 내측부 측벽의 바닥 연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그리고 하측으로 테이퍼지는 베벨 측벽을 구비한다. 외측 리세스의 베벨부는 터틀 표지(T)의 둥근 상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셋팅 램(72)이 작동되면, 피스톤 로드(142)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램 헤드(146)를 슬라이드(16')에 의해 정지 부재(79')에 맞물린 터틀 표지(T)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터틀 표지(T)에 대해 램 헤드(146)에 가해지는 힘은 터틀 표지(T)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투하실 도어(78)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터틀 표지(T)가 하측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셋팅 램(72)은 터틀 표지(T)를 접착제 속으로 셋팅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접착제 튜브(D)로부터 분배된 접착제 풀 위로 터틀 표지(T)를 하향 가압한다. 램 헤드(146)의 직경은 투하실 도어(78)가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조차도 투하실 도어(78) 사이에서 램 헤드(146)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램 헤드(146)는 터틀 표지(T)라고 알려진 둥근 돔 형태의 표지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다른 형태의 도로 표지에 대해서는 다른 형태의 램 헤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다른 형태의 표지가 도 22,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이 표지(RM)는 내측 및 외측으로 경사진 4개의 측면을 가진 정방형 베이스와 평평한 상단을 갖는다. 두 개의 주측면과 두 개의 좀 더 작은 제2 측면(158)이 있다. 보통, 주측면 중 하나에는 반사체(156)가 제공된다.
정방형 반사체 표지(RM)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당한 램 헤드(160)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램 헤드(160)는 하측으로 개방된 슬롯(162, 164)이 있고 이 슬롯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슬롯의 내측부(162)는 수직 측벽을 구비하며, 외측부(164)는 내측부(162)의 바닥으로부터 하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경사진 베벨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슬롯(162, 164)의 하측으로 향하는 벽에 원통형 리세스(166)가 제공되어 램 헤드(160)를 피스톤 로드 상에 장착시키는 너트를 수용한다. 슬롯의 베벨부(164)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체 표지(RM)의 경사진 주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 26 내지 도 29는 도로 표지를 셋팅 램에 의해 도로 위로 내려 놓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설치 헤드 슬라이드(16)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형 도로 표지는 적재 챔버(6)를 통해 설치 헤드 속으로 하향 공급된다. 도시할 목적으로, 설치 헤드의 측벽은 생략하였고, 적재 챔버(6)의 벽(8, 10)은 수직 높이를 단축하여 도시하였다. 적재 챔버(6) 내의 적층 표지(RM)를 도시하였다. 실제 작동시, 적재 챔버(6)는 적층 도로 표지에 의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도로 표지의 중량은 적절히 배향된 적층 표지의 바닥에 도로 표지를 유지하는 것을 도와주고, 표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적층 표지가 적재 챔버(6) 내에 유지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적재 챔버(6)와, 캐러셀 또는 다른 장치 사이에 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데, 표지는 상기 캐러셀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적재 챔버(6) 속으로 수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표지를 한 번에 하나씩 적재 챔버(6) 속으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문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6은 적재 챔버(6) 내의 도로 표지(RM)가 도로 위로 내려 놓이는 위치로 이동되는 작동의 시작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에서, 슬라이드(16)는 최대로 후퇴한 위치,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16)는 설치 헤드의 플로어를 따라 점차적으로 전후 이동되고, 각 증가량은 두 적재 챔버 벽(8, 10)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거리는 또한 적재 스테이션(60), 적재 스테이션(60)의 한 측부 상의 슬라이드부, 플로어부(71), 셋팅 스테이션(18, 20)의 폭이다.
도 27은 슬라이드(16)가 왼쪽으로 한 증가량만큼 이동한 후의 슬라이드(16)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16)가 이동하면, 슬라이드(16)의 왼쪽 단부는 적재 챔버(6)의 최하측 표지(RM)를 적재 챔버(6), 제1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셋팅 스테이션(18) 속으로 밀어낸다. 셋팅 스테이션(18)에서, 표지(RM)는 투하실 도어(도 26 내지 도 29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적재 스테이션(60)은 적재 챔버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였지만, 그 안에는 어떠한 표지도 위치하고 있지 않다.
도 28에서, 슬라이드(16)는 도 27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추가 이동되었다. 이러한 이동은 셋팅 스테이션(18)에서의 표지(RM)를 슬라이드(16)의 단부에 의해 셋팅 스테이션(18)으로부터 플로어의 정방부(71)로 이동되게 한다. 제2 적재 스테이션(60)은 적재 챔버(6) 속으로 이동되었다. 이 위치에서, 설치 헤드의 두 적재 스테이션은 그 위치가 부합한다. 슬라이드(16)가 제2의 증가 이동하여도 더 이상 어떠한 표지(RM)도 적재 챔버(6)로부터 이동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은 챔버 벽(8)에 의해 차단되었기 때문이다. 적재 스테이션(60)이 이동하여 적재 챔버와 합치하면, 제2의 표지(RM)가 적재 스테이션(60) 속으로 떨어진다. 이는 슬라이드(16)가 더욱 왼쪽으로 이동하여 도 29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면 제2의 표지(RM)가 적재 챔버(6)로부터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표지(RM)는 슬라이드(16)에 의해 적재 챔버(6)로부터 셋팅 스테이션(60) 속으로 이송되었다. 슬라이드(16)의 이러한 작동 시점에서, 제2 적재 스테이션(60)은 셋팅 스테이션(18)과 일치한다. 슬라이드(16)의 이동은 또한 제1 표지(RM)를 플로어부(71)로부터 제2 셋팅 스테이션(20) 속으로 이동시킨다.
도 29에 도시한 작동 단계에서, 표지(RM)는 셋팅 스테이션(18, 20) 중 하나 또는 그 둘 모두로부터 도로 위로 놓여질 위치에 있게 된다. 원하는 표지 또는 표지들(RM)이 놓여진 후에, 슬라이드(16)는 도 26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후퇴된다. 다음에 본 장치는 새로운 표지(RM)가 제2 적재 스테이션(60)에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6에 도시한 형태로 있게 된다. 도 29의 셋팅 스테이션(18)에 도시된 표지(RM)가 도로 위로 놓여졌을 때, 슬라이드(16)가 도 28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하면 새로운 표지(RM)가 제2 적재 스테이션(60) 속으로 떨어지고, 다음에 슬라이드(16)에 의해 적재 챔버(6)로부터 이동된다. 스테이션(18)에서 표지(RM)가 도로 위에 내려 놓이지 않은 경우에는, 그 표지는 단순히, 슬라이드(16)에 의해 적재 챔버(6)를 통해 적재 챔버의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표지를 셋팅 스테이션(18, 20) 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이클이 다시 개시되면, 적재 스테이션(60) 내에 있는 표지(RM)는 슬라이드(16)가 도 27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29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할 때 다른 표지(RM)가 적재 스테이션(60) 속으로 그리고 적재 챔버(6)로부터 이동되어지는 것을 방해하기 보다는 사이클의 시작 단계에서 작동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아니한다. 표지(RM)는 적재 챔버(6)를 통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적재 챔버 벽(8, 10)의 바닥과, 플로어 사이의 간격은 슬라이드(16) 및 표지(RM)의 수직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이다. 표지(RM)가 적재 챔버(6)를 통해 활주할 때, 적재 챔버는 슬라이드(16)의 고체부가 지지부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재 챔버(6) 내에 이미 위치된 표지(RM)를 지지하는 지지부 역할을 한다.
표지가 평행 테이프 또는 캐리어 웨브(80)로부터 설치 헤드(H) 속으로 공급될 때 설치 헤드 슬라이드(16)의 작동은 표지가 적재 챔버(6) 속으로 하향 공급되는 전술한 작동과 같다. 도 12 및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의 초기 이동에 의해 표지(T)는 웨브(80)로부터 적재 챔버(6) 속으로 그리고 슬라이드(16)의 왼쪽(도시 생략)의 고체부 위로 공급되게 한다. 이 시점에서, 작동은 전술한 것과는 달리 변화되어야 한다. 슬라이드(16)는 다시 도 26에 도시한 그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다음에 다시 도 27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는 표지(T)를 적재 챔버(6)로부터 셋팅 스테이션(18) 속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작동 단계는 전술한 것과 같다. 캐리어 웨브(80)의 이동 및 이에 의한 표지(T)의 적재 챔버(6) 속으로의 이송이 슬라이드 램(62, 62A)에 의해 작동된 슬라이드(16)의 이동에 얽매이기 때문에 별도의 단계가 필요하다. 슬라이드(16)의 증가 이동에 의해 표지(T)가 적재 챔버(6)로 이송되는 방식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하였다.
슬라이드(16)가 제1의 두 번 증가 이동하는 동안에만, 즉 슬라이드가 도 26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27에 도시한 위치까지, 그리고 다음에 도 28에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만, 웨브(80)가 이동한다면, 초기의 두 추가 단계는 표지(T)가 슬라이드(16)의 측방향 외측 단부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 헤드를 준비하는 슬라이드(16)의 모든 작동 사이클 동안 반복되어야 한다. 제1 사이클의 슬라이드 이동 후에 초기의 두 추가 단계는 슬라이드(16)를 제3의 증가 이동시킴으로써, 즉 웨브(80)의 이동을 또한 작동시키게 되는 도 28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29에 도시한 위치까지 슬라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표지(T)가 적재 챔버(6)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슬라이드(16)가 도 29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26에 도시한 위치로 후퇴할 때 적재 챔버(6) 내에는 두 개의 표지(T)가 있게 된다. 두 표지(T) 중 하나는 슬라이드(16)가 후퇴함에 따라 제2 적재 스테이션(60) 속으로 떨어진다. 다른 표지는 슬라이드(16)가 도 26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할 때 적재 챔버(6)에 남아 있어서, 슬라이드(16)의 측방향 외측 단부에 인접하게 되어 새로운 사이클이 개시될 때 셋팅 스테이션(16)으로 이동될 준비에 놓여 있게 된다. 다른 선택적인 대안은 슬라이드(16)를 추가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도 26에 도시한 위치의 오른쪽으로 증가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16)의 초기 전후 증가 이동을 생략하는 것이다. 이 선택적인 대안은 전술한 슬라이드(16)에 의한 웨브(80)의 3단계 작동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이와 함께 전술한 작동 사이클은 각 사이클의 종료 시점에서, 셋팅 스테이션(18, 20) 내의 두 표지, 또는 제2 셋팅 스테이션(20) 내의 표지만이 셋팅 램에 의해 도로 위로 놓여지는 한 반복적으로 후속될 수 있다. 셋팅 스테이션(18) 내의 표지가 도로 위로 내려 놓여지지 않는다면, 그 표지는 적재 스테이션(60)에 남아 있게 되고, 슬라이드(16)가 후퇴할 때 슬라이드(16)에 의해 다시 이송된다. 그러나, 제2 셋팅 스테이션(20) 내의 표지가 도로 위로 놓여지지 않는다면, 그 표지는 슬라이드(16)에 의해 다시 이송되지는 않고, 셋팅 스테이션(20) 내에 남아 있게 된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한 사이클이 반복된다면, 제2 표지는 이미 점유된 셋팅 스테이션(20)을 향해 그리고 그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될 것이다. 제2 표지의 이동으로 인해, 스테이션(20) 내의 제1 표지가 투하실 도어(78)에 대해 밀려 그 도어(78)를 개방시키고 따라서, 제1 표지가 버려진다 하더라도, 이러한 상황에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 본 장치의 신뢰성을 최대화하고, 본 장치의 작동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2 표지가 셋팅 스테이션(2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도 30 및 도 31은 변형된 형태의 설치 헤드(H')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헤드는 셋팅 스테이션(20) 내의 표지가 도로 위로 놓여지지 않는 사이클에 이은 슬라이드의 후퇴를 제한하는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설치 헤드(H')의 구조는 도 6에 도시한 설치 헤드의 구조와 유사하다. 설치 헤드(H')는 대향 측벽(14)과, 이 측벽(14) 및 단부벽(8, 10)에 의해 형성된 적재 챔버(6)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플로어(64)의 종방향 슬롯이나 횡방향 슬롯(68, 70)이 없는 플로어(64')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슬롯(68, 70)이 추가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플로어(64')에서 다른 차이점은 둥근 표지(T)를 설치하는데 좋다는 것이다. 이는 플로어(64')의 단부(71') 형태이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단부(71')는 도 6에 도시한 정방형 플로어 부분(71)과 같이 정방형이라기 보다는 정지 부재(79')와 함께 셋팅 스테이션(20)을 형성하는 아치형 외측 단부면(168)을 갖고 있다. 설치 헤드(H')의 슬라이드(16")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슬라이드(16')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큰 차이점은 슬라이드(16")가 슬라이드(16')보다 길고, 도 6에 도시한 슬라이드(16)처럼 제2 적재 스테이션(60)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슬라이드(16")가 도 30에 도시한 그 연장된 위치로 이동할 때, 슬라이드(16")의 아치형 단부면(122)은 플로어(64')의 아치형 단부면(168)과 정렬되어 표지(T)를 셋팅 스테이션(20) 내에 적절히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해 준다. 설치 헤드(H')에는 또한 플로어와, 정방형 반사체 표지(RM)과 함께 사용하도록 형성된 단부 정지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설치 헤드(H')의 작동은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 도 30은 최대로 연장된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16")와, 각 셋팅 스테이션(18, 20) 내의 적소에서 셋팅 램에 의해 도로 위로 놓여질 준비가 되어 있는 표지(T)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셋팃 작동이 셋팅 스테이션(20) 내의 표지(T)를 도로 위에 내려 놓는 작동을 포함한다면, 슬라이드가 후퇴하고 연장하는 완전한 사이클이 반복된다. 셋팅 스테이션(20) 내의 표지(T)가 도로 위로 놓여지지 않는다면, 셋팅 스테이션(20)에서의 셋팅 램이 작동되지 않았음을 센서(도시 생략)가 감지하여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낸다. 그 신호는 설치 헤드(H')의 측벽(14) 중 하나에 장착된 램(170)을 작동시키는 명령 신호이다. 정지 도그(172)가 램(170)의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도 30에서, 도그 가이드 및 하우징(174) 내부의 후퇴 위치에 있는 정지 도그(172)는 보이지 않는다. 램(172)이 작동되면, 피스톤 로드가 연장되어 도그(172)를 플로어(64')를 향해, 그리고 후퇴하는 슬라이드(16")의 경로 속으로 하향 이동시킨다. 이는 슬라이드(16")가 도 31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의 왼쪽으로의 이동이 재개되면, 표지(T)는 적재 챔버(6)로부터 셋팅 스테이션(18)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슬라이드(16")의 왼쪽에는 어떠한 표지(T)도 없고, 따라서 제2 표지(T)가 셋팅 스테이션(20)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셋팅 스테이션(20)에서 셋팅 램이 작동되면, 센서는 작동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고, 램(170)은 후퇴하여 정지 도그(172)를 후퇴시킨다. 그 후에, 완전한 작동 사이클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10은 하나의 설치 헤드(H)를 구비한 설치 헤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부합되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효율은 복수개의 설치 헤드를 하나의 차량 트레일러에 제공함으로써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32는 새로운 도로 건설시 도로 표지(T, RM)를 설치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설치 헤드(H)의 형태라고 예상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차량 트레일러(V')의 각 측면에 7개의 설치 헤드(H)가 장착되어 있다. 각 설치 헤드(H)는 트레일러(V')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트레일러(V')의 폭 및 설치 헤드(H)가 연장하는 크기는 트레일러(V')의 한 번의 통과에 의해 차선 표지들이 한 차선의 양 측부에 놓이도록 선택된다. 트레일러(V')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유닛(E)과 접착제 저장기(R)와, 공기 압축기(P)를 포함하는 형태의 장치가 장착된다. 설치 헤드의 형태를 간단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표지를 설치 헤드(H)로 공급하는 공급 장치는 도시하지 않았다. 표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전술한 캐러셀(30),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캐리어 웨브(80) 또는 후술하는 장치와 같은 여러 장치에 의해 설치 헤드(H) 속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한다면, 같은 트레일러(V') 상의 다른 설치 헤드(H)에 대해 다른 형태의 기구 및/또는 다른 형태의 표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2에 도시한 장치의 작동시에, 표지들 라인의 올바른 위치 설정은 차량 전방에 그리고 차량 측부에 센딩 유닛(sending unit)과 차량 내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삼각 측량(triangulation)함으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개개의 표지들을 간격을 두고 정확히 위치 설정하는 것은 도로와 접촉하는 타이밍 휠(timing wheel)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컴퓨터는 휠의 분당 회전을 모니터하여 이동된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표지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표지가 일단 도로 위에 내려 놓여지면, 접착제가 경화되었을 때 표지가 도로에 확고히 결합되도록 표지가 접착제 속에 적절히 놓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표지의 이동에 대한 저항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에 의해 지탱되고 아래쪽으로 매달린 아암이 표지와 접촉하도록 설치 헤드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표지의 저항이 충분하다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표지가 적절히 놓여졌음을 컴퓨터에 신호를 보낸다. 표지가 휘어지면, 아암은 표지를 옆으로 밀어내려고 하고, 신호의 부존재는 컴퓨터에게 표지를 도로 위에 내려 놓는 과정이 실패했음을 알려준다.
도 33A, 도 33B 및 도 33C는 고속도로 건설시 사용되는 차선 표지의 전형적인 3가지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3A에는 대부분이 둥근 표지(T)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개재되어 있는 반사성 표지(RM)로 이루어지는 표지 라인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B에는, 2중 표지 라인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 라인은 도 33A에 도시한 라인과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33C에는 한 라인은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한 라인과 동일하고, 다른 라인은 둥근 표지(T)와 그 라인에서 빈 공간을 두고 설치된 반사성 표지(RM)로 이루어진 이중 표지 라인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에 도시한 3가지 형태는 현재 도로 건설시 사용되는 전형적인 표지 패턴을 도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시된 형태 중 어떠한 형태로든 표지를 내려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넓은 범위의 다른 형태로도 표지를 내려 놓을 수 있게 해준다. 도 32는 도 33B에 도시한 패턴으로 놓기 위하여 전경의 설치 헤드(H)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종래의 도로 표지(T, RM)가 합리적인 치수 공차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한 그러한 종래의 도로 표지를 사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효율 및 신뢰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34 내지 도 38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변형된 표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34, 도 35A 및 도 35B를 참조하면, 변형 터틀 표지(TI)는 그 기본적인 형태가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터틀 표지(T)와 동일하다. 단지 중요한 차이점은 변형 터틀 표지(T)에 색인부(indexing portion)가 있다는 것이다. 도 34 및 도 35A를 참조하면, 변형 터틀 표지(TI)의 둥근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십자형 돌출부(176)가 있다. 이 돌출부(176)는 길이가 동일하고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4개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십자형 돌출부의 중심은 변형 터틀 표지(TI)의 상부면의 중심과 일치한다. 변형 터틀 표지(TI)의 평평한 하부면은 도 35B에 도시되어 있다. 이 하부면은 상부의 돌출부(176)와 상호 보완적인 오목부(178)를 포함하고 있어 인접한 변형 터틀 표지(TI)의 돌출부(176)를 수용한다. 상기 오목부(178)는 외측의 환형부(180)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8개의 스포크(spoke)를 포함하며, 이 스포크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의 환형부(180)까지 연장한다. 오목부(178)는 변형 터틀 표지(TI)의 상부면의 곡률과 대체로 합치하여, 그 상부면을 수용하고 돌출부(176)를 오목부(178)에 수용한다. 오목부(178)는 8개의 스포크(182)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2의 변형 터틀 표지(TI)가 제1 변형 터틀 표지(TI)로 떨어지면, 돌출부(176)의 각 아암은 바로 오목부의 스포크(182) 중 하나에 바로 수용되어 상부의 변형 터틀 표지(TI)는 약간만 추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 이동은 대부분은 적층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색인된 변형 터틀 표지(TI)가 공급 튜브 또는 표지들이 적층되는 다른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융기된 돌출부(176)와 오목부(178)가 상호 체결되면 변형 터틀 표지(TI)가 튜브에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변형 터틀 표지(TI)가 기울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어써, 그 표지(TI)가 튜브에서 꽉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표지(TI)가 튜브의 바닥에서 적재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 표지(TI)들이 부정확하게 배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색인부들(176, 178)의 상호 체결로 인해 표지(TI)가 적재 챔버(6)의 바닥에서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방해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표지(TI) 상부면의 곡률로 인해 바닥의 표지(TI)가 적층 표지(TI) 아래로부터 쉽게 활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적용에 있어서, 단 한가지 형태의 표지가 어떤 특정 공급 튜브에 사용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원한다면, 둥근 표지 및 정방형 표지가 하나의 공급 튜브 또는 다른 공급 장치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정방형 표지들은 그 하측면에 도 35B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오목부(178)를 갖는 것이 좋다. 정방형 표지들의 평평한 상부면에 상보형 돌출부(176)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표지들이 혼합 적층되어 있을 때에 둥근 표지들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 줄 것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다른 형태의 색인된 표지(TI-2)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한 표지(TI)와 같이, 표지(TI-2)는 여러 상대적인 원주 방향으로 인접 표지들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출부와 리세스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표지(TI-2)의 상부면과 동심원으로 원형 배열된 4개의 딤플(dimple)(175)을 포함한다.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두고 떨어진 8개의 원형 오목부(177)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딤플(175)에 대해 두 개의 오목부(177)가 대응한다. 오목부(177)에 의해 형성된 원형 영역(179)은 표지(TI-2)의 만곡된 상부면을 수용하는 원형 오목부(179)를 형성한다.
도 37 및 도 38은 특수한 표지와 함께 사용되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정방형 표지(RM')는 두 개의 대향하는 반사면(156)과, 표지의 평평한 상부면에 두 개의 태양 전지(184)를 구비하고 있다. 태양 저지(184)는 표지(RM')에 끼워진 플래셔(flasher) 또는 표지(RM')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미터는 예컨대, 교통 상황 정보를 중앙 로케이션에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용도는 표지 트랜스미터가 일단 법집행인에 의해 작동되면 사고 지점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태양 전지(184) 중 하나는 섬광을 일으키거나 또는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법집행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도 38은 변형된 둥근 색인 표지(TI')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지(TI')의 외부 형태는 도 34 내지 도 35B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다른 특징으로는 내부 공동(186)이다. 이 내부 공동(186)은 전송 및/또는 기록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표지에 매립되는 마이크로칩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을 갖는 정방형 표지에 유사한 공동이 제공될 수 있다. 센서 및 정보 시스템 기술의 발전으로, 특수한 표지에 태양 전지 및 마이크로칩 특징부들을 사용하는 넓은 범위의 추가 용도가 개발될 것으로 여겨진다.
도 39 및 도 40은 자동화된 표지 설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변형 표지(T')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지(T')는 그 바닥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색인 슬롯(188)을 갖고 있다. 상기 표지(T')는 하측에 수평런(horizontal run)(190)을 갖는 공급 튜브를 통해 설치 헤드로 하향 공급될 수 있다. 표지(T')를 도 39에 도시한 지점까지 하향 공급하는 것은 중력의 작용 및/또는 표지들이 서로를 따라 미는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컨베이어(192)가 하측 수평런(190)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표지(T')가 컨베이어(192)에 도달하면, 컨베이어(192)에 의해 지탱되는 색인 핀(194)은 표지(T') 바닥의 색인 슬롯(188) 속으로 수용된다. 스프링 부하 상측 부재(196)가 컨베이어(192) 위쪽에 제공되어 표지(T')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핀(194)을 슬롯(188) 내에 유지시킨다. 컨베이어(192)는 표지(T')를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 헤드 속으로 이동시킨다. 표지를 색인 핀(194)에 의해 체결되도록 올바른 회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표지(T') 라인을 함께 연결시키는 얇은 재료의 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컨베이어(192)는 복수개의 표지(T')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색인 핀(194)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 41 내지 도 45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로 표지를 설치 헤드에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캐러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캐러셀(198)은 회전가능한 상부단(200)과, 고정 중간단(202)과, 회전가능한 하부 단(204)을 포함하는 3개의 동심단을 구비한다. 상부단(200)과, 하부단(204)은 고정 중간단(20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부단(200)에는 도로 표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는 동심원인 복수개의 원으로 배열되어 있고, 둥근 개구부(206)의 내측 원은 중앙의 정방형 개구부(208) 원과 외측의 둥근 개구부(206)의 원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들 개구부는 중간단(202) 및 하부단(204)의 긴 수직 개구부와 정렬되도록 배열되어 적층 표지들을 수용한다. 둥근 개구부는 둥근 표지(T)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정방형 개구부는 정방형의 반사성 표지(RM)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캐러셀의 개구부 수는 변화될 수 있다. 현재 양호한 개구부 배열이 도 42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배열에서는 동심원인 4개의 개구부 원으로 되어 있는데, 3개의 내측 원은 도 41에 도시한 패턴이고, 외측에 다른 정방형 개구부(208) 원이 있다.
상부단(200, 200')는 각 개구부(206, 208)에 하나의 표지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되어 있다. 상부단(200, 200')의 기능은 표지를 공급 가이드로로부터 안내부(210, 212)까지 한번에 하나씩 수용하는 것이다. 상부단(200, 200')은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비어 있는 어떤 개구부(206, 208)를 연속적으로 채운다. 번갈아서, 상부단(200, 200')은 중간단(202)의 대응하는 긴 개구부의 빈 공간을 연속적으로 재충전한다. 하부단(204)은 필요에 따라 점차적으로 회전하여 중간단(202)으로부터의 표지를 수용하고, 완전한 적층 표지들을 적절한 공급 튜브 위에 위치시킨다. 공급 튜브는 복수개의 설치 헤드를 공급하도록 각이 지고 배열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공급 안내부(210, 212)는 단 하나의 표지 라인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높이로 된 폐쇄 통로이다. 각각의 안내부(210, 212)는 표지들을 한 번에 하나씩 안내부(210, 212)로 공급하는 종래의 분류기(sorter)(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된다. 안내부(210, 212)의 높이가 제한되어 있어서, 표지들이 안내부(210, 212)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것이 방지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둥근 표지들의 회전 방위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둥근 표지들은 안내부(210)를 통해서 둥근 개구부(206)로 직접 공급된다. 도 42에는 둥근 개구부(206)의 두 동심원 원 각각에 대하여 둥근 표지용 안내부(210)가 있다. 또한, 정방형 표지(RM)용의 두 안내부(212)도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정방형 표지(RM)용의 각 안내부(212)는 덮개(214)와 배향 스테이션(216)을 포함한다. 배향 스테이션(216)의 목적은 안내부(212)로부터 상부단(200') 속으로 공급되는 각 정방형 표지(RM)의 반사성 표면(156)이 표지를 도로 위에 설치하도록 올바로 배향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표지(RM)가 배향 스테이션(216)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한 쌍의 문(218)이 배향 스테이션(216)의 상류측에 제공되어, 이전의 표지(RM)가 배향 스테이션을 떠날 때까지 표지(RM)가 배향 스테이션(216)을 향해 그리고 그 배향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표지(RM)가 배향 스테이션(216)으로 들어가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배향 스테이션(216)의 하류측 단부에 문(도시 생략)을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문의 위치를 낮춤으로써 배향된 표지(RM)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또한 센서를 작동시켜 상류측 문(218)에 신호를 보내 그 위치를 낮추어 다음 표지(RM)가 배향 스테이션(216)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4는 배향 스테이션(216)에서의 감지 및 배향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광센서(220)가 배향 스테이션(216) 내의 표지(RM)의 인접면에 빛을 비추어 반사면(156)으로부터 다시 반사된 빛을 감지한다. 반사면(156)이 센서(220)에 인접한 올바른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피벗 샤프트(222)가 상승되어 표지(RM)와 체결된다. 피벗 샤프트(222)의 방사상 상부면은 도 36에 도시한 오목부 패턴과 상보적인 돌출부(224)를 갖고 있다. 표지(RM)의 하부에는 도 36에 도시한 형태의 오목부가 있다. 따라서, 피벗 샤프트(222)의 상부에 있는 돌출부(224)는 표지(RM)의 바닥과 상호 체결된다. 안내부(212)의 덮개(214)에 의해 지탱되는 스프링(226)이 표지(RM)의 상부를 가압하여 표지와 피벗 샤프트(222)가 적절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해 준다. 피벗 샤프트(222)는 센서(220)가 반사면(156)이 올바로 배향되었음을 감지할 때까지 피벗되어 표지(RM)를 피벗시킨다. 표지(RM)가 배향된 후에, 표지는 안내부(212)를 통해 이동하고, 캐러셀의 상부단(200')에 놓인다. 표지(RM)를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캐러셀로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두 안내부(21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32에 도시한 방식으로 단 하나의 캐러셀로부터 표지를 단 하나의 차선 양측부에 동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라서 표지들을 설치 헤드에 공급하는 다른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바닥이 없는 직사각형 용기(230)들이 공급 경로 또는 안내로(232)를 따라 수직의 개구부가 있는 모통이의 공급 스테이션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수직의 개구부를 통해 표지가 설치 헤드로 하향 공급된다. 상기 용기(230)는 이송 기구 또는 용기(230)를 공급 스테이션으로 향하게 하는 스프링 기구에 의해 안내로(2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용기(230)가 공급 스테이션을 넘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 부재(도시 생략)가 제공되는 것이 좋다. 용기(230)는 둥근 표지 또는 정방형 표지를 수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표지들을 직사각형 용기에 미리 형성된 적층 형태로 싸게 되면(packaging) 반사체 표면은 적절한 방향으로 자동 배향된다. 공급 스테이션 부근에 광센서(234)가 제공되어 측부의 개구부 또는 용기의 바닥에 잇는 감지 구멍을 통해 용기(230)에 표지가 없는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조건이 감지되면, 램(236)이 작동되어 빈 용기(230)를 공급 스테이션(58)으로부터 안내로(23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램(236)은 용기(230)의 돌출부(도시 생략)와 맞물리는 맞물림 판(238)을 구비하고 있다. 각 용기(230)의 대향 측벽에는 인접 용기(230)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이 좋다.
도 47은 변형된 형태의 투하실 도어(78')와 이 도어(78')를 그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47에 도시한 투하실 도어(78)는 힌지(108)에 의해 설치 헤드 측벽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수직 레그(102)와, 원통형 단부(106)에서 끝나는 수평 레그(104)를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어(78')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어(78')의 변형된 점으로는 수직 레그(10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평 돌출부(240)이다. 돌출부(240)의 외측 단부에 피벗 부착부(242)가 제공되어 유압식 충격 흡수부(246)의 피스톤 로드(244)의 외측 단부를 돌출부(240)에 피벗가능하게 부착시킨다. 충격 흡수부(246)는 설치 헤드 측벽에 장착되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스프링이 도어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저항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하실 도어(78')가 외측으로 개방 이동되는 것에 저항한다. 충격 흡수부(246)는 또한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여 도어를 유지하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도어(78')가 그 폐쇄 위치로 돌아가도록 편향시킨다. 원하는 편향을 제공하는 충격 흡수부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충격 흡수의 내구성과 신뢰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새로운 도로를 건설할 때에 표지를 설치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기존 도로의 파손 또는 없어진 표지들을 대체하는 보수 작업시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수 작업시에, 도 1에 도시한 트레일러(V)와 같은 차량은 표지 라인에 인접한 차도를 따라 이동한다. 트레일러(V)는 다른 형태의 표지들을 도로 위에 놓기 위하여 복수개의 설치 헤드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차량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센서는 없어지거나 파손된 표지들을 감지한다. 표지가 없어진 것을 감지하면, 작동자는 어떤 형태의 표지가 필요한지를 결정하여 대체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본 장치를 작동시킨다. 표지가 파손되었음을 감지하면, 파손된 표지는 먼저 새로운 표지를 설치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도 48은 손상된 표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방부에 의해 운반되는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 장치는 플레어된(flared) 하측 단부(254)를 구비한 진공 튜브(252)와, 스크래퍼(scraper)(250)를 포함한다. 스크래퍼(250)는 전방에 손상된 표지(T)를 유지하는 접착제 본체(256)에 의해 강제되는 첨단부(pointed end)를 구비하고 있어서, 접착제(256)를 도로에서 분리시켜 표지(T)를 자유롭게 한다. 스크래퍼(250)는 접착제의 결합을 끊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기 잭 해머(electric jack hammer)와 유사한 진동 장치의 한 부품인 것이 좋다. 자유롭게 된 표지(T)와 제거된 접착제 및 다른 관련 파편은 진공 튜브(252) 속으로 흡인되어 폐물 용기로 들어간다. 다음에, 차량은 손상된 표지를 대체하는 새로운 표지 설치 위치로 이동된다. 진공 유닛의 플레어된 하측 단부(254)는 유연성이 충분해서 경로의 추가 도로 표지 위로 진공 유닛이 이동할 수 있다. 스크래퍼(250)는 제거 과정 사이에서 후퇴되어야 한다.
도 49는 도시되고 전술한 이중 설치 헤드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접착제 분배 매니폴드(260)를 도시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접착제 분배기는 단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두 개의 나란한 표지를 설치하기 위해 접착제를 동시에 분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들 분배기는 또한 두 개의 나란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분배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도 않다. 도 49를 참조하면, 매니폴드(260)는 그 위에 한 쌍의 별도로 이격된 공기 램 실린더(2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262)는 설치 헤드의 셋팅 스테이션(18, 20)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과 동일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도로 표지가 통상적으로 이중 중앙선 설치 헤드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각 실린더(262)는 압축기(P)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수용하는 커플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기 입구(264)를 갖고 있다. 이중 헤드형 피스톤 부재가 실린더(262) 내부에 활주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부에 공기 램 액츄에이터 피스톤(266)과, 하부에 액츄에이터 피스톤(266)으로부터 로드(270)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분사 피스톤(268)을 구비하고 있다. 각 실린더(262) 하부의 매니폴드(260) 바닥벽에 있는 개구부에 의해 하부 노즐이 형성된다. 각 노즐은 돌출 아암(274)이 구비되어 있는 노즐 구멍 덮개(272)를 갖고 있다. 제2의 좀 더 작은 공기 작동식 실린더(도시 생략)가 아암(274)에 부착되어 덮개(272)를 매니폴드(260)의 바닥을 따라 수평하게 피벗시킴으로써 노즐 구멍을 개폐시킨다.
가열된 아스파트질 접착제가 접착제 튜브(D)를 통해 매니폴드(260) 속으로 공급된다. 전기 가열 테이프 또는 핫 오일 자켓이 매니폴드 본체 둘레에 제공되어 그 안에 있는 접착제의 온도를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재가열한다. 매니폴드(260)의 내부는 접착제로 채워진다. 실린더(262) 하측부 내부의 매니폴드 내부는 이러한 하측부의 개구부를 통해 채워진다. 각 실린더(262)의 개구부는 도 49에 도시한 분사 피스톤(268) 위치 바로 아래의 실린더 벽의 두 원주 방향 홈(groove)(276) 형태인 것이 좋다. 이 홈(276) 및 피스톤(268)의 축방향 두께는 피스톤(268)이 도 49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할 때 홈(276)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홈(276)은 피스톤(268)이 도 49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피스톤(268)에 의해 막힌 채로 남아 있다.
작동시, 매니폴드(260)는 접착제가 차량의 이동에 의해 분배되는 곳 위의 위치로 이동된다. 매니폴드(260)가 적소에 있을 때, 실린더(262) 중 어느 하나 또는 실린더 둘 모두에 압축 공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는 신호를 보내 밸브를 개방시킨다. 압축 공기는 입구(264)로 들어가서 액츄에이터 피스톤(266)을 작동시켜 피스톤 부재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분사 피스톤(268)은 매니폴드(260)의 접착제에 작용하여 접착제를 노즐을 통해 방출시킨다. 동시에, 좀 더 작은 에어 실린더는 노즐 덮개(272)를 적당한 양만큼 피벗시켜 원하는 양의 접착제를 노즐을 통해 도로 위로 하향 방출시킨다. 덮개(272)의 피벗식 장착은 덮개(272)를 개폐시키는 재빠른 스냅 작용을 제공하고 따라서 정확한 양의 접착제 분배를 보장하기 위한 중앙 집중식 배치이다. 매니폴드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할 경우 두 접착제 본체를 동시에 분배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접착제를 분배 위치 위의 적소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또한 두 나란한 위치 중 어느 한 곳에만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해준다. 특별한 위치에 접착제를 놓은 후에, 매니폴드는 접착제 튜브(D)를 통해 재충전되어 다음 위치에 도달했을 때 바로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50은 종래의 둥근 표지(T)를 설치할 때 설치 헤드의 막힘(jamming) 방지를 도와주는 양호한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적재 챔버 벽(8)의 바닥부에는 대향하는 블록 부재(blocking member)가 제공될 수 있다. 각 블록 부재(280)의 수직면은 벽(8)에 고정된다. 블록 부재(280)의 바닥은 벽(8)의 바닥 위로 작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블록 부재(280)의 단면은 모퉁이가 절단되어 사선 수직면(diagonal vertical surface)(282)을 형성하는 형태의 정방형 형태이다. 두 블록 부재(280)의 사선 수직면(282)은 서로에 대해 90°로 배향되어 있고, 벽(8)에 대해 45°각도로 배향되어 있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선 수직면(282)의 높이 및 방위는 제1 표지(T) 아래의 다른 표지(T)가 벽(8) 아래에서 슬라이드(16)에 의해 적재 챔버(6)로부터 밀려나갈 때 다른 수직면(282)이 표지(T)와 맞물려 표지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하는 높이 및 방위로 되어 있다. 블록 부재(280)는 상측의 표지(T)가 하측의 표지(T)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주고, 벽(8) 아래의 공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해 준다. 대향하는 적재 챔버 벽(10)에는 또한 한 쌍의 블록 부재(28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였지만, 이는 형태 및 설명에 있어서 다음의 청구항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변형 및 생략이 가능하다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Claims (26)

  1. 융기형 도로 표지들을 도로 위에 설치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로서,
    도로를 따라 도로에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서 차량에 장착가능한 설치 헤드와,
    표지들을 상기 설치 헤드의 적재 챔버 내로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헤드는,
    상부면이 있고 이 상부면에 적재 스테이션이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인 플로어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셋팅 스테이션과,
    수직 두께가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를 상기 상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적재 스테이션의 위쪽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들과,
    상기 셋팅 스테이션의 위쪽에 후퇴 위치를 갖고 상기 셋팅 스테이션 쪽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상기 셋팅 스테이션 내의 한 개의 표지를 도로 위로 강제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벽들은 대향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 각각은 단 하나의 표지가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플로어를 따라 그리고 그 부분 아래로 이동하기에 충분하지만 두 개 이상의 표지가 동시에 상기 부분 아래로 이동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거리를 두고 상기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에는 이 슬라이드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동할 때 하나의 표지를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셋팅 스테이션 속으로 밀어 내는 접촉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지들을 차선의 양쪽에 동시 설치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열을 이루면서 차량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3. 융기형 도로 표지들을 도로 위에 설치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로서,
    도로를 따라 도로에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서 차량에 장착가능한 설치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헤드는,
    상부면이 있고 이 상부면에 적재 스테이션이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인 플로어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셋팅 스테이션과,
    수직 두께가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를 상기 상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적재 스테이션의 위쪽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재 챔버를 형성하는 벽들과,
    상기 셋팅 스테이션의 위쪽에 후퇴 위치를 갖고 상기 셋팅 스테이션 쪽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상기 셋팅 스테이션 내의 한 개의 표지를 도로 위로 강제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에는 상기 적재 챔버 내로 표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있으며,
    상기 벽들은 대향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 각각은 단 하나의 표지가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플로어를 따라 그리고 그 부분 아래로 이동하기에 충분하지만 두 개 이상의 표지가 동시에 상기 부분 아래로 이동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거리를 두고 상기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에는 이 슬라이드가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동할 때 하나의 표지를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셋팅 스테이션 속으로 밀어 내는 접촉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표지들을 차선의 양쪽에 동시 설치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열을 이루면서 차량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벽들의 대향하는 부분들에 대하여 수직하고 상기 적재 스테이션에 인접하며, 표지들을 상기 개구부로 이송시키는 평행 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스테이션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상기 평행 테이프가 감싸고 있는 구동 롤러와, 상기 슬라이드에 의하여 운반되는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평행 테이프의 상부런을 상기 적재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의 상기 플로어를 따라 이루어지는 활주 운동을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와 작동식으로 연결된 피니언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적재 챔버로 개방되는 상단 개구부이고, 상기 적재 챔버의 크기는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챔버의 위쪽에 배치되며, 공급 스테이션과, 상기 상단 개구부와 연통하는 상기 공급 스테이션의 이송 개구부와,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이르는 공급 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 플랫폼과; 각각이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하부에 감지용 구멍이 있는 복수개의 바닥이 없는 용기들과;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에 표지들이 없는지 여부를 상기 구멍을 통하여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와 맞물려서 그 용기를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시키고, 다른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를 따라 상기 공급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시키는 제거 액츄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용기들의 원주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절단부가 마련되어 있는 맞물림 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끌어내도록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 및 후퇴 가능한 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챔버 위에 배치되어 표지들을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적재 챔버 내로 하향 공급하는 캐러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캐러셀은 각각 표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직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 개의 동심 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들은 한 개의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회전 가능한 상부단과, 고정 중간단 및 회전가능한 하부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단 및 하부단 각각의 높이는 그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에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각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는 인접하는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와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는 원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정방형 개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원에 이르는 안내부와, 이 안내부를 따라 배치된 배향 스테이션과, 상기 배향 스테이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인접하는 반사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와, 상기 배향 스테이션 내의 정방형 표지와 맞물리게 이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방형 표지를 반사면이 센서와 대면할 때까지 피벗시키기도록 배치된 피벗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는 상기 셋팅 스테이션에 인접하는 아치형 면이 있는 정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에는 둥근 표지와 맞물리기 위한 아치형 단부면이 있고, 상기 슬라이드는 표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셋팅 스테이션 내의 둥근 표지가 상기 아치형 면들 사이에 유지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은 표지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하방 리세스가 마련된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헤드는 플로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셋팅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에는 상기 셋팅 스테이션들 중 하나와 정렬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제2 적재 스테이션을 형성하는 관통 개구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셋팅 스테이션들 중 외측 셋팅 스테이션으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이동을 제한하여 두 개 이상의 표지가 상기 셋팅 스테이션들 중 외측 셋팅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도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표지들을 차선의 양쪽에 동시 설치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열을 이루면서 차량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설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헤드 전방 쪽의 차량에 장착되어 낡은 표지를 도로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래퍼와, 분리된 표지 및 이에 수반된 파편들을 제거하도록 배치된 진공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19. 둥근 상단면과,
    평평한 바닥면과,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색인 돌출부와,
    인접하는 표지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표지들을 상호 체결시키고 표지들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면 속으로 연장되는 상보형 리세스를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리세스는 인접 표지들이 상대적인 원주 방향의 다양한 배향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반경 방향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반경 방향 스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아암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스포크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융기형 딤플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원형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딤플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22. 융기형 도로 표지들을 도로 위에 설치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로서,
    공급 스테이션과, 이 공급 스테이션에서 이송 플랫폼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이송 개구부와,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이르는 공급 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 플랫폼과;
    각각이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하부에 감지용 구멍이 있는 복수개의 바닥이 없는 용기들과;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 스테이션의 용기에 표지들이 없는지 여부를 상기 구멍을 통해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와 맞물려서 그 용기를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이동시키고, 다른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를 따라 상기 공급 스테이션 속으로 이동시키는 제거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용기들의 원주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절단부를 구비하는 맞물림 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공급 스테이션 내의 용기를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 끌어내도록 상기 공급 경로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 및 후퇴 가능한 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25. 융기형 도로 표지들을 도로 위에 설치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로서,
    각각 표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직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세 개의 동심 단들을 구비하는 캐러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들은 한 개의 표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상부단과, 고정 중간단 및 회전 가능한 하부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단 및 하부단 각각의 높이는 그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에 적층 표지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하고, 각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는 인접하는 단의 상기 수직 개구부와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설치 장치.
  26. 전자 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내부 공동이 마련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기형 도로 표지.
KR1019997001295A 1996-08-15 1997-08-15 융기형도로표지설치장치및이장치에사용하기위한표지 KR200000300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98,427 US5853263A (en) 1996-08-15 1996-08-15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US8/698,427 1996-08-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07A true KR20000030007A (ko) 2000-05-25

Family

ID=248051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295A KR20000030007A (ko) 1996-08-15 1997-08-15 융기형도로표지설치장치및이장치에사용하기위한표지
KR1019997001296A KR20000030008A (ko) 1996-08-15 1997-08-15 융기형도로표지를설치하는데사용되는접착제분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296A KR20000030008A (ko) 1996-08-15 1997-08-15 융기형도로표지를설치하는데사용되는접착제분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5853263A (ko)
EP (2) EP0918905A4 (ko)
JP (2) JP2001510513A (ko)
KR (2) KR20000030007A (ko)
AU (2) AU724430C (ko)
CA (2) CA2264108A1 (ko)
WO (2) WO1998006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263A (en) * 1996-08-15 1998-12-29 Accrued, Inc.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US6079899A (en) * 1997-05-08 2000-06-27 Winter Beaver, Inc. Raised road marker
US6227454B1 (en) * 1999-07-14 2001-05-08 Jackson Products, Inc.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ight-visible road markings
AUPQ554400A0 (en) * 2000-02-10 2000-03-02 Potters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pplying reflective elements to surface
ATE543953T1 (de) * 2001-12-24 2012-02-15 Woodwelding Ag Verfahren zum anbringen von elementen auf oberflächen von bauobjekten des strassenverkehrs
US6602021B1 (en) * 2002-01-14 2003-08-05 Kwung-Chul Kim Pavement mar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709193B1 (en) * 2002-09-20 2004-03-23 Illinois Tool Works Inc. Temporary raised pavement marker (TRPM) applicator machine for automatically applying pavement markers to road surfaces
US6685389B1 (en) * 2002-09-20 2004-02-03 Illinois Tool Works Inc. Machine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ings from temporary raised pavement markers (TRPMs)
US6896444B2 (en) 2002-11-25 2005-05-24 Illinois Tool Works Inc.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US6832871B2 (en) * 2002-11-25 2004-12-21 Illinois Tool Works Inc.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AU2004201726B9 (en) * 2002-11-25 2006-11-16 Illinois Tool Works Inc.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US6712548B1 (en) * 2003-02-19 2004-03-30 Illinois Tool Works Inc. Temporary raised pavement marker (TRPM) applicator machine for automatically applying pavement markers to road surfaces
US20040175232A1 (en) * 2003-03-07 2004-09-09 Hunter Charles Eric Emissive highway markers
US6955497B2 (en) * 2003-05-21 2005-10-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20050238425A1 (en) * 2004-04-22 2005-10-27 Safar Samir H Pavement marker and system for freeway advance accident merge signal
US20050265782A1 (en) * 2004-06-01 2005-12-01 Everett James C Method for giving a concrete surface visual and tactile detectable warnings, resulting surface, and components
MX2007009312A (es) * 2005-02-01 2008-03-10 Troikaa Pharmaceuticals Ltd Preparaciones inyectables de diclofenaco y sus sales farmaceuticamente aceptables.
US7153056B1 (en) * 2005-06-08 2006-12-26 Pac-Tec, Inc. Road marker with reverse cups
US20080166181A1 (en) * 2006-12-15 2008-07-10 Charles Pilate Temporary striping system for roadways
US8123430B2 (en) * 2009-01-30 2012-02-28 Fortson-Peek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ighway striping with pavement markers
US8425144B2 (en) * 2009-01-30 2013-04-23 Fortson-Peek Company, Inc. Pavement marker, method and apparatus
US8091157B2 (en) * 2009-02-25 2012-01-10 Polyjohn Enterprises Corporation Modular portable restroom
US8763670B2 (en) * 2011-04-08 2014-07-01 Rodney Clouse Automated peeler
US8734047B2 (en) * 2012-01-09 2014-05-27 Robert K. Hughes, Jr. Traffic control marker with mesh base
US9630202B1 (en) 2015-10-07 2017-04-25 William E. Howseman, Jr. Plunger-type dispensing valve for the rapid deposition of adhesive to road pavement surfaces for enabling the fixation of pavement markers to road pavement surfaces
US20190234032A1 (en) * 2018-01-28 2019-08-01 Harry E. Lowe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US11203844B2 (en) * 2019-10-14 2021-12-21 Fortson-Peek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road markers and attaching the road markers to a road surface
JP6902230B1 (ja) * 2019-12-27 2021-07-14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構造を備えた道路標識
EP4043641B1 (en) * 2021-02-10 2024-03-20 Vaisala, OYJ A self-leveling embedded road surface sensor
US11905668B1 (en) * 2023-08-01 2024-02-20 EcoPath Striping LLC RPM installer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9525A (en) * 1930-09-09 1931-01-20 Adam F Hoff Street-traffic marker
US2699982A (en) * 1951-02-19 1955-01-18 Thomas C Batterson Traffic marker
US3332327A (en) * 1964-10-23 1967-07-25 Elastic Stop Nut Corp Pavement marker
US3590709A (en) * 1967-09-11 1971-07-06 Ricoh Kk Multiphotographing device
US3478714A (en) * 1968-08-05 1969-11-18 Borg Warner Signal device
US3540358A (en) * 1968-08-21 1970-11-17 Park Intern Corp Marker button setter
US3590701A (en) * 1970-01-05 1971-07-06 Terry K Ten Broeck Automated lane-divider button applying machine
US3836275A (en) * 1972-03-31 1974-09-17 D Finch Roadway marker device
US3864052A (en) * 1974-02-04 1975-02-04 Minnesota Mining & Mfg Applicator for pavement markers
US4089730A (en) * 1977-04-11 1978-05-16 W. H. Brady Co. Aisle marker applicating machine
US4136991A (en) * 1977-06-02 1979-01-30 Elin R. Clark Roadway marker and process of and application for producing the same
IT1097474B (it) * 1978-07-05 1985-08-31 Eigenmann Ludwig Elementi retroriflettenti perfezionati per segnaletica stradale,e metodo per il loro orientamento e posa in opera
IT1097491B (it) * 1978-07-07 1985-08-31 Eigenmann Ludwig Metodo e dispositivi perfezionati per la formazione di segnalazioni stradali orizzontali perfezionate,ad alta visibilita' ed aderenza,con elementi retroriflettenti quantitativamente e topologicamente predeterminati e posizionati
US4340319A (en) * 1978-12-18 1982-07-20 Amerac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4232979A (en) * 1978-12-18 1980-11-11 Amerac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US4596622A (en) * 1979-10-05 1986-06-24 Amerace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n abrasion-resistant reflective marker
DE3168141D1 (en) * 1980-07-30 1985-02-21 Redland Prismo Ltd Apparatus for applying road marking materials to roadways
NZ206430A (en) * 1982-11-30 1986-10-08 Road Const Authority Pavement line marking apparatus
US4623280A (en) * 1985-04-25 1986-11-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vement marker applicator
CH664781A5 (it) * 1985-07-23 1988-03-31 Eigenmann Ludwig Procedimento per la formazione di mezzi di segnalazione stradale ottenuti dall'addensamento di elementi retroriflettenti singoli.
DE3526711A1 (de) * 1985-07-26 1987-02-05 Debuschewitz Kg H Fahrbare verlegemaschine fuer markierungsnaegel fuer fahrbahnen
CH667480A5 (it) * 1985-12-18 1988-10-14 Helmut Eigenmann Procedimento per la deposizione di elementi retroriflettenti visibili nella pioggia sulla superficie stradale e dispositivo per realizzarlo.
US4936485A (en) * 1989-02-08 1990-06-26 Downing Donald M Manually operated marker dispenser
US5078538A (en) * 1989-06-16 1992-01-07 Stimsonite Corporation Base for roadway mark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974990A (en) * 1989-10-24 1990-1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aised pavement marker applicator
US5052854A (en) * 1990-04-19 1991-10-01 Sfo Enterprises Highway guidance vehicle systems
US5092658A (en) * 1990-12-12 1992-03-03 Surface Preparation Systems Apparatus for surface profiling
US5244334A (en) * 1991-01-17 1993-09-14 Shinmei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withdrawing road sign
US5199814A (en) * 1991-01-18 1993-04-06 Flexco Impact recovery delineation system
US5340231A (en) * 1991-12-10 1994-08-23 Stimsonite Corporation Pavement marker
FR2690468B1 (fr) * 1992-04-23 1994-07-08 Lambert Ets Rene Plot de balisage.
US5310279A (en) * 1992-11-19 1994-05-10 Elgin Molded Plastics, Inc. Pavement markers with frangible installation tabs
US5354143A (en) * 1992-11-19 1994-10-11 Elgin Molded Plastics, Inc. Pavement markers and method for making
US5470170A (en) * 1992-11-19 1995-11-28 Elgin Molded Plastics, Inc. Pavement markers and method for making
US5397617A (en) * 1993-05-21 1995-03-14 Chen; Judy Reflective road sign
US5503499A (en) * 1995-06-06 1996-04-02 Thomas; Glen E. Impact formed depressions and installation machine
US5529429A (en) * 1993-10-29 1996-06-25 Pelegrin; Oscar D. Traffic control assembly
US5449244A (en) * 1994-02-14 1995-09-12 Sandino; Hector Light reflective pavement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605381A (en) * 1994-10-17 1997-02-25 Stimsonite Corporation Pavement marking eradicator
US5667334A (en) * 1995-06-13 1997-09-16 Stimsonite Corporation Base for roadway marker
US5662430A (en) * 1995-10-26 1997-09-02 Lee; Fang Ming Universal ground marker
KR100190118B1 (ko) * 1996-04-20 1999-06-01 안의식 표면장착 및 원상복귀형 델리니에이터
KR100190119B1 (ko) * 1996-04-20 1999-06-01 안의식 원상복귀형 교통용 칼라콘
US5853263A (en) * 1996-08-15 1998-12-29 Accrued, Inc.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8905A1 (en) 1999-06-02
CA2264108A1 (en) 1998-02-19
WO1998006901A1 (en) 1998-02-19
US5975795A (en) 1999-11-02
EP0918906A1 (en) 1999-06-02
AU724430B2 (en) 2000-09-21
AU724430C (en) 2002-01-03
AU4153997A (en) 1998-03-06
CA2264109A1 (en) 1998-02-19
WO1998006902A1 (en) 1998-02-19
AU3983097A (en) 1998-03-06
US5853263A (en) 1998-12-29
AU717571B2 (en) 2000-03-30
US5888018A (en) 1999-03-30
KR20000030008A (ko) 2000-05-25
US6059488A (en) 2000-05-09
EP0918905A4 (en) 1999-09-22
JP2001517278A (ja) 2001-10-02
JP2001510513A (ja) 2001-07-31
EP0918906A4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0007A (ko) 융기형도로표지설치장치및이장치에사용하기위한표지
WO1998006902A9 (en)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and marker for use in same
US5934822A (en)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CN102202491A (zh) 种子种植机
US8186542B2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US20090212062A1 (en) Fastening machines
US6796454B1 (en) Fastening machines
AU741932B2 (en)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road markers and marker for use in same
US20210070559A1 (en) Rotary discharge of containers from a depalletizer
US4373316A (en) Plug driving apparatus
AU20042052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lated array of temporary raised pavement markers (TRPMs) for facilitating the serial application of such temporary raised pavement markers (TRPMs) to roadway surfaces
US6902348B2 (en)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CN113562236B (zh) 一种马克笔包装设备
US6902349B2 (en)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AU2004201726B9 (en) Collated road mark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collated road markers to roadway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