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994A - 겹층용 보강 이음쇠 - Google Patents

겹층용 보강 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994A
KR20000026994A KR1019980044788A KR19980044788A KR20000026994A KR 20000026994 A KR20000026994 A KR 20000026994A KR 1019980044788 A KR1019980044788 A KR 1019980044788A KR 19980044788 A KR19980044788 A KR 19980044788A KR 20000026994 A KR20000026994 A KR 2000002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wall
fitting member
tongue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를-에른스트 쿠산케
Original Assignee
카를-에른스트 쿠산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를-에른스트 쿠산케 filed Critical 카를-에른스트 쿠산케
Priority to KR101998004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6994A/ko
Publication of KR2000002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하측 부분에 있는 제1 이음쇠 부재가 유지 브리지를 구비하고, 벽 슬랩에 있는 제2 이음쇠 부재가 설형체를 구비하는, 벽 슬랩을 하측 부분 상에 겹층시키기 위한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동시에 하부 구조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제1 이음쇠 부재(1, 111)는 이격 웨브(5)를 구비하고, 유지 브리지(6)는 이격 웨브(5)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며, 제2 이음쇠 부재(2)는 설형체(9)에 의해 유지 브리지(6)의 배후에 맞물려 고정된다.

Description

겹층용 보강 이음쇠
본 발명은 하측 부분에 있는 제1 이음쇠 부재가 유지 브리지를 구비하고, 벽 슬랩에 있는 제2 이음쇠 부재가 설형체를 구비하는, 벽 슬랩을 하측 부분 상에 겹층시키기 위한 겹층용 보강 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겹층용 보강 이음쇠는 벽 슬랩, 블라인드 및 기타의 보조 요소를 하측 부분 상에 겹층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그러한 겹층을 위해 제1 이음쇠 부재가 고정되는 하부 구조물이 필요하다. 그러한 구조물의 배후 부분은 2개의 벽 슬랩이 서로 겹층되어 예컨대 격벽을 형성할 경우에는 역시 벽 슬랩으로 될 수 있다. 벽 슬랩 자체는 나무 슬랩, 판, 복합 슬랩, 플라스틱 슬랩 등으로서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동시에 하부 구조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은 겹층된 2개의 벽 슬랩으로 이루어진 격벽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겹층용 보강 이음쇠의 2개의 쇠고리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단독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단독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조립식 벽 수납장 및 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패널 형식의 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X선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11 : 이음쇠 부재
5 : 이격 웨브
6 : 유지 브리지
9 : 설형체
10 : 맞물림 돌출부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이음쇠 부재가 이격 웨브를 구비하고, 유지 브리지가 이격 웨브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며, 제2 이음쇠 부개가 설형체에 의해 유지 브리지의 배후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1 이음쇠 부재가 동시에 하부 구조물의 역할을 하고, 이격 웨브에 의해 겹층된 벽 슬랩의 간격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선행 기술과는 차별된다. 즉, 겹층용 보강 이음쇠는 2개의 벽 슬랩이 조작이 가능한 유닛으로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2개의 벽 슬랩으로 형성된 격벽이 조립식 구조 유닛으로서 취급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보강 이음쇠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또는 기타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의 플라스틱 사출 부재로 형성되다.
이음쇠 부재를 맞물리 형식으로 유지시키기 것은 제2 이음쇠 부재가 유지 브리지의 배후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음쇠 부재는 제2 이음쇠 부재의 설형체가 제1 이음쇠 부재의 이격 웨브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벽 슬랩의 측방향으로의 정향을 보장해준다.
벽 슬랩이 겹층용 보강 이음쇠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결속된 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이음쇠 부재는 2개씩 짝을 이루어 서로 대향된 채 배치되는데, 서로 대향된 제1 이음쇠 부재의 이격 웨브는 서로 반대로 정향된다. 즉, 서로 결속되어야 하는 2개의 벽 슬랩에 대해 2개씩 짝을 이루어 대향되는 4개 이상의 이음쇠 부재가 필요하다. 각각의 서로 대향된 제1 이음쇠 부재는 그 이격 웨브에 의해 서로 반대로 정향된다. 따라서, 반대측에 각각 놓여지는 이격 웨브는 각각의 제2 이음쇠 부재의 설형체를 위한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여 제2 이음쇠 부재가 횡방향으로도 안내되도록 해준다. 이격 웨브는 서로 대면하거나 서로 외면한다. 그 때문에, 벽 슬랩은 어느 방향으로도 서로에 대해 이탈될 수 없다. 겹층용 보강 이음쇠의 수는 벽 슬랩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벽 슬랩을 바닥 평면 상에 조립하는 것은 이격 웨브가 수평으로 정향되어 바닥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이음쇠 부재가 문 단열판에 부착되어 제2 이음쇠 부재에 의해 문에 겹층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으로 단열 문, 특히 이중 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해준다.
제1 이음쇠 부재의 이격 웨브는 각각 원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 웨브의 길이가 상이한 다수의 제1 이음쇠 부재를 준비하여 벽 슬랩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겹층용 보강 이음쇠는 2개의 벽 슬랩을 서로 겹층시켜서 격벽을 구성하려는 목적, 벽 슬랩 또는 지붕 슬랩을 하부판에 겹층시키려는 목적, 단열판을 문에 겹층시키려는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은 매우 광버위한 사용 분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특별한 프레임 구조물 또는 하부 구조물이 없어도 2겹의 판 구조물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한, 본 발명은 하부 구조물을 필요로 함이 없이 나사의 잠착이 가능하고 지지력이 있는 판이 겹층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부분이 각종의 이격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될 수 있는 구조 부재가 지지력이 있는 판에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맞물림 작용은 결합의 분리도 가능하게 해준다. 즉, 칸막이로 분할된 조립식 벽 수납장, 문 구멍 구역에 있는 이중 후면, 조립식 후벽 수납장의 배후측 정면판, 겹층 문짝 판, 중간 단열재를 구비한 가옥용 겹층 문짝, 방음 삽입물을 구비하는 경량의 격벽, 중간 높이의 격벽, 흉벽 요소, 견본 구조물과 진열 상자에 있는 조립식 벽 및 다수의 변경이 가능한 실연용 슬랩 등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겹층용 보강 이음쇠는 제1 이음쇠 부재(1)와 제2 이음쇠 부재(2)로 이루어진다. 제1 이음쇠 부재(1)는 고정 요소, 특히 고정 나사(12)를 위한 관통 구멍(4)이 마련된 지지판(3)을 포함한다. 지지판(3)에는 지지판(3)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이격 웨브(5)가 부착된다. 이격 웨브(5)의 단부에서는 둥근 테두리를 구비한 유지 브리지(6)가 횡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이음쇠 부재(2)도 역시 관통 구멍(8)이 마련된 지지판(7)을 포함한다. 지지판(7)으로부터 맞물림 돌출부(10)가 마련된 설형체(9)가 돌출된다. 설형체(9)는 지지판(7)의 하측면에 대해 유지 브리지(6)의 폭 또는 두께 만큼 떨어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4개의 겹층용 보강 이음쇠가 배치되어 2개의 벽 슬랩(13, 14)을 결합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이음쇠 부재(1, 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고정 나사(12)에 의해 벽 슬랩(14)에 고정된다. 이음쇠 부재(1, 11)는 각각 짝을 이루어 서로 대향된 채 배치되는데, 그 경우에 서로 대향된 이음쇠 부재(1, 11)는 서로 면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즉, 이음쇠 부재(1, 11)의 이격 웨브(5)는 지지판(3)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이격 웨브(5)가 측방향을 따른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한 배치는 유지 브리지(6)가 지지판(3)의 중앙을 향해 정향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이한 2개의 이음쇠 부재(1, 11)를 준비해야 한다.
제2 이음쇠 부재(2)는 벽 슬랩(13) 상에 놓여진다. 도 2에 따른 그러한 배치에서는 2개의 벽 슬랩이 서로 끼워질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설형체(9)는 유지 브리지(6)의 배후에 맞물려 고정된다. 그에 의해, 벽 슬랩이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서로 대향된 제1 이음쇠 부재(1, 11)는 그 이격 웨브(5)에 의해 각각의 제2 이음쇠 부재(2)의 설형체(9)를 안내하여 2개의 벽 슬랩이 횡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방지해준다. 즉, 2개의 벽 슬랩(13, 14)은 서로 공동으로 취급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벽 슬랩은 격벽으로서 바닥 평면(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된 벽 슬랩은 상단부에서도 역시 평면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는 4개의 겹층용 보강 이음쇠가 도시되어 있다. 겹층용 보강 이음쇠의 수는 각각의 벽 슬랩의 크기에 상응하게 결정된다.
이음쇠 부재로 2겹의 벽 슬랩을 예비 제작하여 공사 장소에서 어려운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은 경제적인 제작을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설형체(9) 및 이음쇠 부재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정향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우선 제1 벽 슬랩(14)을 설치하여 정향시키고, 이어서 제2 벽 슬랩(13)을 수직 방향으로 끼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식으로, 설형체(9)는 수평 방향으로 정향될 수도 있다. 그것은 각각의 설치 상황 및 구조적 조건에 따라 판단된다.
도 6은 격벽 또는 조립식 벽 수납장 및 문을 본 발명에 따른 겹층용 보강 이음쇠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격벽의 슬랩(21, 22)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사이에는 단열재/방음재 삽입물(23)이 배치될 수 있다. 겹층용 보강 이음쇠의 이음쇠 부재(1, 2)도 도시되어 있다. 이음쇠 부재(1, 2)는 적절한 다수로 마련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벽 부분은 버팀대(24) 및 기초 벽(25)에 결합된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슬랩(26, 27)으로 조립식 벽 수납장의 횡벽이 조립된다. 그러한 슬랩(26, 27)은 이음쇠 부재(1, 2)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그 경우에 이음쇠 부재(1)의 이격 웨브(5)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아서 슬랩(25, 27)의 간격도 작아진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28)에는 단열재/방음재 삽입물을 구비한 이중판(29)이 이음쇠 부재(1, 2)에 의해 겹층된다.
각각 하나의 겹층용 보강 이음쇠의 이음쇠 부재(1, 2) 만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겹층용 보강 이음쇠는 필요한 안정성을 보장하는데 상응하는 수로 마련되어야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짝을 이루는 요소(31)로 이루어진 격벽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요소(31)는 이음쇠 부재(1, 2)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한 채 결합되는 슬랩(32, 33)으로 이루어진다. 이음쇠 부재(1, 2)의 이격 웨브(5)는 수평으로 정향되어 도 9에 따른 바닥 평면(34) 상에 놓여질 수 있고, 그에 의해 요소(31)의 중량이 바닥 평면(34)에 전달될 수 있다. 상단 평면(35)은 격벽을 정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랩(32)은 사전에 제작되어 바닥 평면(34)과 상단 평면(35) 과의 사이에 조립된다. 이어서, 슬랩(33)이 각각 수평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인접 요소(31)의 결합은 스프링 스트립(36)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랩(32)과 슬랩(33) 과의 사이의 중공 공간은 배관/배선 설비의 수납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한 벽 구조물은 언제든지 다시 서로 떼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수 또는 개수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슬랩은 각각 개별적으로 해제되거나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겹층용 보강 이음쇠에서는, 제1 이음쇠 부재가 동시에 하부 구조물의 역할을 하여 겹층된 2개의 벽 슬랩이 독립된 구조 유닛으로 취급될 수 있다.

Claims (6)

  1. 하측 부분에 있는 제1 이음쇠 부재는 유지 브리지를 구비하고, 벽 슬랩에 있는 제2 이음쇠 부재는 설형체를 구비하는, 벽 슬랩을 하측 부분에 겹층시키기 위한 겹층용 보강 이음쇠에 있어서,
    제1 이음쇠 부재(1)는 이격 웨브(5)를 구비하고, 유지 브리지(6)는 이격 웨브(5)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며, 제2 이음쇠 부재(2)는 설형체(9)에 의해 유지 브리지(6)의 배후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이음쇠 부재(2)는 유지 브리지(6)의 배후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출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이음쇠 부재(2)의 설형체(9)는 제1 이음쇠(1)의 이격 웨브(5)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음쇠 부재는 각각 짝을 이루어 서로 대향된 채 배치되고, 서로 대향된 제1 이음쇠 부재(1, 11)의 이격 웨브(5)는 서로 반대로 정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격 웨브(5)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바닥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이음쇠 부재는 문 단열판에 부착되어 제2 이음쇠 부재에 의해 문에 겹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층용 보강 이음쇠.
KR1019980044788A 1998-10-26 1998-10-26 겹층용 보강 이음쇠 KR20000026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88A KR20000026994A (ko) 1998-10-26 1998-10-26 겹층용 보강 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88A KR20000026994A (ko) 1998-10-26 1998-10-26 겹층용 보강 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994A true KR20000026994A (ko) 2000-05-15

Family

ID=1955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88A KR20000026994A (ko) 1998-10-26 1998-10-26 겹층용 보강 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6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7090B2 (en) 2001-05-14 2005-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alyzing and managing loss factors in test proces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162A (en) * 1976-04-05 1977-10-12 Hayashi Seikou Kk Fixing device
JPS59113305A (ja) * 1982-12-20 1984-06-30 昭和電工建材株式会社 中空成形板状体の取付け方法
JPH01280145A (ja) * 1988-04-30 1989-11-10 Kokuyo Co Ltd 固定ブラケット
JPH07151116A (ja) * 1993-12-01 1995-06-13 Daiken Trade & Ind Co Ltd ブラケット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162A (en) * 1976-04-05 1977-10-12 Hayashi Seikou Kk Fixing device
JPS59113305A (ja) * 1982-12-20 1984-06-30 昭和電工建材株式会社 中空成形板状体の取付け方法
JPH01280145A (ja) * 1988-04-30 1989-11-10 Kokuyo Co Ltd 固定ブラケット
JPH07151116A (ja) * 1993-12-01 1995-06-13 Daiken Trade & Ind Co Ltd ブラケット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7090B2 (en) 2001-05-14 2005-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alyzing and managing loss factors in test proces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2765B1 (en) A building panel
US5782047A (en) High-rise building system using light gauge steel wall panels
US4276730A (en) Building wall construction
US3412513A (en) Plate-like sound-absorbing structural element preferably having two outer plate-shaped members
US8833023B2 (en) Composite panel for a wall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621804B2 (en) Insulating wal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3514476A (ja) 建築用パネル化構造システム
KR101399772B1 (ko) 벽패널 유니트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벽구조
GB2470734A (en) A stackable building module
US4073102A (en) Premanufactured modular town house building construction
JP3257111B2 (ja) 耐火構造
US6330775B1 (en) Prefabricated building wall structure
JP2024036488A (ja) 建物の遮音構造
US4067159A (en) Building cluster of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KR20000026994A (ko) 겹층용 보강 이음쇠
JP5123603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7273590B2 (ja) 天井構造
CN113047516A (zh) 一种易于组装的用于装配式建筑的预制木板材
KR20100034877A (ko) 패널 접합 시스템
JP2013079545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H088163Y2 (ja) 耐火遮音間仕切壁
CN214785290U (zh) 一种易于组装的用于装配式建筑的预制木板材
JP2022114959A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及び間仕切壁の施工方法
KR960001440B1 (ko) 선박 또는 해상 건축물의 주거공간용 벽 구조체
GB2608983A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