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144A -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 Google Patents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144A
KR20000026144A KR1019980043538A KR19980043538A KR20000026144A KR 20000026144 A KR20000026144 A KR 20000026144A KR 1019980043538 A KR1019980043538 A KR 1019980043538A KR 19980043538 A KR19980043538 A KR 19980043538A KR 20000026144 A KR20000026144 A KR 2000002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atm
layer interface
physical layer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6144A/ko
Publication of KR2000002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1Switch interfaces, e.g. port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에서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각각 이중화하고, 상기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한 인터페이스를 절체하고 정상적인 인터페이스로 교체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 두단간의 NNI에서의 물리층과 ATM계층의 이중화를 통하여 안정화를 이루고 망관리 측면에서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Asychrous Transfer Mode:이하 ATM이라고 함)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층과 ATM 계층을 이중화한 ATM 교환망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교환망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ATM 스위치(110,160)간은 ATM 계층 인터페이스(120,15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130,140)를 통해 망 노드 인터페이스(Network Node Interface:이하 NNI라고 함)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ATM 교환기간의 망 노드 인터페이스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렁크가 하나이기 때문에 선로의 이상이나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파손시에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다. 그로 인하여 종래 ATM 교환기간의 중요한 데이터 전달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종래 ATM 교환기간의 물리적인 장애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조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TM 교환망에서 물리층과 ATM 계층의 이중화로 물리층과 ATM 계층사이에 물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망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M 교환망에서 이중화를 실현함으로써 망간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망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ATM 교환기간의 이중화된 인터페이스 선로를 효과적으로 선로를 선택하여 원할한 셀 흐름을 보장하는 망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TM 교환망에서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각각 이중화하고, 상기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한 인터페이스를 절체하고 정상적인 인터페이스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ATM 계층을 가지는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경로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ATM 교환망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제1인터페이스를 A로 제2인터페이스를 B로 가정하면, 이중화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문은 다음과 같다.
if(A == normal)
then A == select
else
B == select
send ipc to TMN
상기 조건문에 따르면, A가 정상이면 A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B를 선택한 후 각 상태를 상위 상태 관리 블록(TMN)으로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이중화된 ATM 교환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TM 스위치(110/160)와 ATM 인터페이스(230/240)간은 각각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250,260)로 이중화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이중화된 ATM 교환망의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ATM 스위치(110)와 ATM 인터페이스(230)간의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는 내장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가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의 상태를 각각 감시하여 상위로 알리어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즉,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는 각각 자신의 상태를 중계선 보드에게 일정한 주기로 알리어 상기 중계선 보드가 물리층 인터페이스(210,22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고, 그 상태를 상위의 통신망 관리 블록으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ATM 스위치(160)와 ATM 인터페이스(240)간의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250,260)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내장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가 각 물리층 인터페이스(250,260)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위로 알리어 정상적인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물리층 인터페이스(250,260)는 자신의 상태를 중계선 보드에게 일정한 주기로 알리어 상기 중계선 보드가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고, 그 상태를 상위의 통신망 관리 블록으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이중화된 ATM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물리층 인터페이스(1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140)간은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310,320,330,340)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ATM 교환망의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ATM 계층의 이중화는 두 단을 연결하는 중계선의 신뢰도 측면에서 고려된 것으로서 기능의 이상이 있을시에 이상이 발생한 ATM 계층 인터페이스에서 정상적인 ATM 계층 인터페이스로 절체하므로써 빠른 기능 복구 및 안정성이라는 측면을 고려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ATM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모두 이중화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이중화된 ATM 교환망의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ATM 스위치(110)에서 NNI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중화된 ATM 교환망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ATM 스위치(110)는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중 기본적으로 선택된 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ATM 스위치(110)는 기본적으로 선택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ATM 계층 인터페이스로 절체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중 선택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다시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 하나를 통해 NNI로 전송된다. 이때,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도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하나의 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선택되고, 기본적으로 선택된 상기 물리층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물리층 인터페이스로 절체하게 된다.
한편, NNI에서 ATM 스위치(110)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중화된 ATM 교환망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NNI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이중화된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로 전송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물리층 인터페이스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상 발생시 다른 물리층 인터페이스로 절체하게 된다. 상기 선택된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통과한 데이터는 다시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중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ATM 스위치(110)로 전송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ATM 계층 인터페이스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른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ATM 교환망의 경로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ATM 교환망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510)단계에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는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페이스로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의 상태를 각각 감시한다. 제(520)단계에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는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에서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에서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530)단계에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는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 제1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540)단계에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는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에 제2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550)단계에서 중계선 보드내의 프로세서는 이중화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410,42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430,440)중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상위 상태 관리 블록에게 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TM 교환망에서 중계선 인터페이스를 이중화하므로써 좀더 신뢰성있는 망간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TM 교환망에서 물리층과 ATM 계층의 이중화로 물리층과 ATM 계층사이에 물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TM 교환망에서 물리층과 ATM 계층을 이중화하므로써 망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한쪽 블록이 이상 발생시에 원활한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ATM 교환망에서 인터페이스의 이중화하여 망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선로를 선택하여 원활한 셀 흐름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4)

  1.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로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상위 관리 블록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로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상위 관리 블록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 및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로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상위 관리 블록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와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와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로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된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와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중화된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와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각각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물리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상위 관리 블록으로 알리고, 상기 선택된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ATM 계층 인터페이스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상위 관리 블록으로 알리고, 상기 선택된 ATM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43538A 1998-10-17 1998-10-17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KR20000026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538A KR20000026144A (ko) 1998-10-17 1998-10-17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538A KR20000026144A (ko) 1998-10-17 1998-10-17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144A true KR20000026144A (ko) 2000-05-15

Family

ID=1955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538A KR20000026144A (ko) 1998-10-17 1998-10-17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6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443A (ko) * 2001-12-26 2003-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전송방식 교환기의 운용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상태절체방법
KR100459035B1 (ko) * 2001-12-1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 내 보드간의 이중화 구조 및 그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35B1 (ko) * 2001-12-11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 내 보드간의 이중화 구조 및 그운용 방법
KR20030054443A (ko) * 2001-12-26 2003-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전송방식 교환기의 운용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상태절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130B1 (ko) 산업 이더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장애 처리 방법, 시스템 및 교환 장치
US61734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ult-tolerant network connection switchover
KR20070033866A (ko)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부하 분산 방법 및 통신 부하 분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330473A (zh) 反向复用业务中的备用冗余
JP6429188B2 (ja) 中継装置
KR100216370B1 (ko) Atm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10239279A (ja)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1999043184A1 (en) Protection switching of virtual connections
KR20000026144A (ko) 이중화된 비동기전송모드 교환망의 관리 방법2
US7210069B2 (en) Failure recovery in a multiprocessor configuration
KR20100047388A (ko) 디지털 회로를 이용한 10 기가 이더넷 용 장애 복구 장치
JP2010136038A (ja) 伝送装置及び冗長構成部の系切替え方法
KR980013469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장치
JP2007266708A (ja) ケーブル誤接続検出装置及び方法
KR960003784B1 (ko) 프로세서간 단위 통신망간의 상호 연결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960010879B1 (ko) 공통의 버스 자원을 공유한 다수 프로세서의 버스 이중화 제어 및 버스 이상 상태 발생시 복구 처리방법
US7929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net equipment fault management
KR100299673B1 (ko) 프로세서간 통신장치의 스탠바이 링크 테스트 방법
JP4232737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
JPH10303966A (ja) インターネットワーク装置の冗長構成システムの障害検出方式
KR100485051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KR100275445B1 (ko) 신호중계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경로 이중화 방법
KR100431203B1 (ko) 이더넷 허브 보드를 이용한 아이피시 이중화방법
KR970002780B1 (ko) 복합화 네트웍 장치 및 그 방법
JP2000295236A (ja) Atm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