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562A -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562A
KR20000023562A KR1019997000005A KR19997000005A KR20000023562A KR 20000023562 A KR20000023562 A KR 20000023562A KR 1019997000005 A KR1019997000005 A KR 1019997000005A KR 19997000005 A KR19997000005 A KR 19997000005A KR 20000023562 A KR20000023562 A KR 2000002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lleukin
formulation
group
virus
viral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슬랭쟝
보르제삐에르
다마의바쌈
Original Assignee
비로쎌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로쎌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로쎌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53IL-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30/00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01Peptide or protein sequence
    • Y10S930/14Lymphokine; related peptides
    • Y10S930/141Interleu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및 동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바이러스 감염 및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인텔류킨-8(IL-8) 제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IL-8 제제는 IL-8 프로테인 또는 IL-8의 생물학적 효능을 가지는 그의 유사체일 수 있다. 바이러스 감염은 파르보바이러스목, 파포바바이러스목, 아데노바이러스목, 헤르페스바이러스목, 폭스바이러스목 및 헤파드나바이러스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DNA 바이러스 또는 HIV-1 HIV-2를 제외한 레트로바이러스목, 피코르나바이러스목, 토가바이러스목, 오르소믹소바이러스목, 파라믹소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목 레오바이러스목, 온코르나바이러스목 및 필로바이러스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RNA 바이러스이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INTERLEUKIN-8 AS AN ANTIVIRAL AND ANTITUMOR AGENT}
(발명의 배경)
a)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인텔류킨-8(interleukin-8, IL-8)의 항바이러스 및 항암 작용 및 인체 및 동물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바이러스 감염 및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암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인텔류킨-8(IL-8)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b) 종래기술의 설명
인류가 앓고 있는 많은 감염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광견병, 천연두, 척수염, 간염, 황열, 면역 결핍증 및 여러 가지의 뇌염중 어떤 것은 종종 치명적이다. 다른 것도 감기, 홍역, 볼거리, 및 수두 등과 같이 매우 전염성이 강하며 급성 증세뿐만 아니라 호흡기-소화기 장애를 나타내기애 또한 중요하다. 독일 홍역 및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와 같은 것은 선천성 이상을 유발한다. 마지막으로, 종양 바이러스로 알려진 바이러스는 인체 및 동물에서 종양 및 암을 유발한다.
바이러스 중에서, 헤르페스비이러스과는 매우 흥미롭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자연에서 잘 퍼지며 사람에게 매우 병원성이 강하다. 일례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는 아동기 후반, 사춘기 또는 청년기에 감염성의 단핵 세포증가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성 감염성 단핵 세포 증가증은 목통증, 발열, 두통, 림프절종, 편도확대, 말초 혈액의 비정형성 분할 임파구의 증세를 나타낸다. 다른 증상은 가벼운 간염, 비종대 및 뇌수염이다. EBV는 또한 버키쯔 림프종(Burkitt's lymphoma BL) 및 비인두암(NPC)의 두가지 형태의 암과 관련된다. 아프리카 에콰도르의 풍토성 지역에서, BL은 어린이 암의 약 80%에 달하는 매우 흔한 어린이 악성 종양이다. 북미 코카스인에서 발견되는 NPC는 남 중국에서 26에서 55세의 매우 흔한 암중의 하나이다.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와 같이, EBV는 또한 기관 경화 또는 골수이식에 따르는 만성 면역 억제의 실제적으로 치명적 합병증인, 이식후 림프세포 증식증과 밀접하다.
또 다른 헤르페스 바이러스, 헤르페스 심플렉스 타입1(HSV-1)은 치은구내염의 병원체로서 확인된다. 증상은 발열, 목통증, 및 입의 궤양성 수포성 병변이다. HSV에 의한 가장 심한 임상 상태는 초기 생식기의 포진성 감염이다. HSV-1가 생식기의 헤르페스 감염을 유발하는 반면 HSV-2는 이 병과 밀접한 주요 바이러스이다. 상기 HSV 감염은 생식기의 병변에 소포, 농포 및 궤양을 수반한다. 소변 잔류증 또한 수반된다. 80%이상의 사람이 HSV-1 또는 HSV-2에 혈청 양성이며 재발 또는 바이러스 재활성은 60%로서 나타났다. 다른 질병도 맥락 망막 및 케라토 결막염을 포함하는 피부 및 안 질환과 같은 HSV와 밀접하다. 년간 약 300,000건의 눈의 HSV 감염이 미국에서 진단된다.
인체 헤르페스 바이러스-6 (HHV-6)는 면역 시스템의 세포의 특이한 영양성을 가져, HHV-6 감염은 면역 응답의 이상을 가져온다. HHV-6가 어린이의 초기 감염으로서 발진을 일으킨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식전에 혈청 양성인 기관 이식 수여자의 대다수가 면역 억제에 따르는 재활성의 혈청학적 증거를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헤테로필 음성(heterophil-negative) 단핵세포 증가 유사증 및 A, B형도 아닌 간염은 또한 활성 HHV-6 감염과 밀접하다. HHV-6는 가끔 환자로부터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로 분리된다. HIV 및 HHV-6가 같은 목표 세포에서 존재할수 있다는 사실은 HHV-6 감염이 HIV-혈청 양성환자가 증후성 AIDS로 발전하는 보조 인자로서 활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근래의 연구에서 인체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HIV 질병과 밀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HIV 감염 인체에서 주로 발생하는 종양, 카포시 육종(Kaposi sarcoma, KS)은 감염 병인을 가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KS-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라 명명되었고, 정식 분류는 HHV-8이다.
모든 감염성 질환에서, 치료의 효능은 숙주 면역 응답에 자주 의존한다. 이러한 것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에서 특별하다. 실제로, 모든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잠복 감염능은 면역손상 환자에서 매우 높은 비율의 재활성화 감염을 유발한다. 신장 이식 수용자에서, 40%∼70% 재활성 잠복 HSV 감염 및, 재활성 CMV 감염이 80%∼100%이다. 이러한 바이러스 재활성은 HIV 양성 환자(AIDS)에서 관찰된다.
오늘날,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많은 치료제는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화합물은 이독스유리딘, 비다라빈, 아씨클로버 및 간씨클로버이다. 상기 효능은 제한되고 많은 부작용이 있다. 눈의 HSV 감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유일하게 사용되는 이독스유리딘으로 치료된 환자의 35%에서 알러지가 보고되었다. 비다라빈의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소화기 장애(15%)이다. 아씨클로버의 주요 부작용은 신장 기능의 이상이다. 아씨클로버는 바이러스 및 숙주 세포 DNA와 결합할 수 있는 핵산 유사체이기 때문에, 숙주 세포의 정상 분할이 손상될 수 있다. 간씨클로버의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AIDS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하는 호중구 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이다.
따라서,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더욱 효과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감소된 조직의 백혈구의 축적은 염증으로서 인식된다. 염증 부위에서 백혈구의 보충은 화학 주성 사이토킨(cytokines)의 지역 산물로서 시작된다. 이와 같은 성능을 보이는 프로테인은 제일의 두 개의 시스테인의 위치에 따라 두 개의 서브패밀리에서 분류되고, 하나의 아미노산(CXC 프로테인)에 의해 분리되거나 근접된다(CC 프로테인). 두 개의 서브패밀리의 맴버는 그들의 목표 세포 선택성 및 그들 유전자의 염색체 위치에서 상이하다(Baggiolimi, et al., Adv. Immunol. 55: 97, 1994). 화학 주성 사이토킨중에서, CXC과에 속하는 인텔류킨-8은 자극된 인체 혈액 단핵구의 배양 상층액에서 동정된다. IL-8은 99 아미노산의 전구체로서 합성되고 20 잔기의 배열의 절단후에 분비되는 포도당화되지 않은 프로테인이다. 형성된 성숙 분자는 79 잔기를 가지고 N- 말단에서 단백분해적으로 더욱 진행되고, 몇 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N-말단 유사체를 생산한다: 두 개의 주요 형태는 72 아미노산 형태 및 77 아미노산 형태이다. IL-8의 구조, 배열 및 생물학적 성능은 바기오리니 등에 의하여 연구되었다(Adv. Immunol. 55: 97, 1994).
IL-8은 케라티노사이트, 상피 세포, 시노비오사이트, 헤파토사이트와 같은 많은 세포에 의해 생산된다. 말초 혈액 백혈구에서, 임파구보다 단핵구 및 호중구가 IL-8의 주요 세포 소스인 것으로 발견된다.
IL-8은 생체내 또는 실험관내에서 많은 생물학적 능을 발휘한다. IL-8은 그의 주화 효과 및 인체 호중구의 탈과립을 일으키는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다. IL-8로 처리된 호중구에서는 모양 변경, 운동 시스템 및 시토졸 프리 Ca2+가 발견된다. 특이 입자로부터의 비타민 B12결합 프로테인의 릴리스 또한 관찰된다. IL-8은 또한 호아주로성 과립의 탈과립 및 엘라스타제 및 다른 가수분해효소의 릴리스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탈과립은 세포 멤브레인에서 다양한 점착 분자를 조절하게 한다. 보체 수용기 타입 I(CR1) 및 III(CR3)의 표현 또한 탈과립으로 향상된다. IL-8은 또한 호산구 및 인체 임파구, 특히 T쎌의 주화 인자이다.
IL-8의 생물학적 효과는 7개의 트랜스멤브레인 영역, G-프로테인 결합 수용기를 통하여 전달된다. 두가지 타입의 IL-8 수용기는 타입 A 및 타입 B로서 확인된다. IL-8 수용기 타입 A는 IL-8에 높은 친화력을 가지며 Groα(멜라노마 성장 촉진 효과)에 낮은 친화력을 가지고, 반면에 타입 B는 상기 모두에 높은 친화력을 가진다. 말초 혈액 백혈구 중에서, 호중구는 IL-8 수용기, 단핵구 및 낮은 레벨로 IL-8 수용기가 표현되는 CD8+T 임파구 세포를 표현한다. B쎌 및 CD4+T 임파구에서는 IL-8 수용기가 검출되지 않는다.
IL-8이 많은 병변의 염증 진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충분한 많은 자료가 있다; 실제로, IL-8은 건선 추출물, 유사 류머티스 관절염을 가진 환자로부터의 활액, 기종 환자로부터의 흉막액, 및 호흡기 질환증을 가진 환자로부터의 기관지 폐포성의 세정내에서와 같은 염증 조직 및 삼출물내에서 검출된다. 근래에 C-C 케모킨 서브패밀리에 속하는, 시험관내에서 HIV-1, HIV-2 및 SIV 바이러스 프로테인 합성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케모킨 RANTES 및 MIP-1α 및 β가 항 바이러스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더구나, IL-8은 근래에 항 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다(Mackewicz and Levy, 1992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 8: 1039-1050). il-8이 특이 조건하에서 CD4+ 임파구에서 HIV 복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IL-8은 자연적으로 감염된 CD4+ 세포의 바이러스 복제에 영향을 주나 급성으로 감염된 세포에는 효과가 없다.
항 바이러스 작용의 몇가지 추정의 기전이 있다: 어떤 것은 특이 바이러스가 목표세포로의 부착을 봉쇄함으로서 매우 선택적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특별히 사용되는 이독스유리딘, 비다라빈, 아씨클로버, 및 간씨클로버는 HIV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어, 선택적인 항 바이러스 효능을 가지는 약제로 조성한다.
따라서, 마코빅스 및 레비에 의한 HIV에 IL-8의 항 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IL-8이 모든 바이러스에 대해 항 바이러스 효능을 보인다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현재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 약제의 특이 바이러스에의 선택성은 상기 설명을 충분히 뒷받침한다. 지금까지, IL-8의 항 바이러스 효 능의 다른 증명된 보고는 없다.
마지막으로, 탈마지의 PCT 출원(PCT/US95/12099 published March 28, 1996 under the publication number WO 96/09062)은 IL-8의 폴리펩티드 유사체를 기술하였고 유사체는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효모 감염, 기생충 감염과 같은 병리학적 조건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탈마지는 외삽 또는 폴리펩티드가 그렇게 하리라는 희망에 근거되는 주장을 증명하는 어떤 데이터도 보이지 않았다.
더욱 높은 효능을 가지고 알려진 항 바이러스 제제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 항바이러스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이상적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적으로 적합한, 요법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인텔류킨-8 제제가 이롸 같은 치료를 위하여 인체 또는 동물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더욱 효과적이고 알려진 항 바이러스 제제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없는 항바이러스 제제 및 그의 사용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레트로 바이러스(HIV-1 및 HIV-2 제외), 파필로마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같은 종양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 제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면역 억제 환자 및 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 제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EVB, HSV-1, HSV-2, CMV, VZV, HHV-6, HHV-7 및 HHV-8을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상기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에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피코르나바이러스목에 속하는 포신 엔테로바이로시스 또는 토가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소의 설사 바이러스, 또는 파라믹소바이러스목에 속하는 소의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인체 이외의 동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인터페론-α, -β, -γ, 종양 괴사 인자 α, 간씨클로버, 아씨클로버, 비다라빈, 이독스유리딘,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항 바이러스 제제와 함께 인체 및 동물의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의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레트로 바이러스, 파필로마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같은 온코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아드리아마이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항종양제와 함께 온코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암에 대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면역억제 환자 및 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면역 억제 환자는 기관 또는 조직을 이식하고 아자티오프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아드리아마이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메토트렉쎄이트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면역억제제로서 치료된 환자를 포함한다. 면역 억제 환자는 또한 아드리아마이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항 종양 화학 요법제로서 치료되거나 치료되지 않은 어떤 형태의 암 또는 종양 질환을 가진 환자를 포함한다. 면역 억제 환자는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 항염증제제로서 치료된 염증 질환을 가진 환자를 포함한다. 면역 억제 환자는 또한 화상을 포함하는 쇼크 또는 심한 외상을 가진 환자, 또는 진행중인 만성 혈액 투석 환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른 항바이러스 제제와 함께 면역억제 환자 및 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 IL-8 제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와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요법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인텔류킨-8으로 구성되는 항 바이러스 약학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와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요법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인텔류킨-8을 상기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동물 및 인체에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동물 및 인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1A ∼ 1F는 SCID 마우스에서 EBV에 의해 유도된 종양 성장 및 비종에의 IL-8의 억제 효과를 설명한다.
도 2A, 2B 및 2C는 인체 호중구에서 EBV에 의해 유도된 Ca2+운동력에의 IL-8 및 Groα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3A 및 3B는 인체 호중구에서 EBV에 의해 유도된 Ca2+운동력(A) 및 RNA 합성(B)에의 백일해 독소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i) IL-8 제제
본 발명의 IL-8 제제는 72 아미노산 형태 [Ser IL-8]72또는 77 아미노산 형태 [Ala IL-8]77,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유도체 및 유사체이다. 기술적으로 아미노산의 첨가 또는 제거는 IL-8의 효능을 향상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IL-8의 유도체 및 유사체는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IL-8과 유사한 특별한 생물학적 효능을 보이는 변형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 내용의 확실한 생물학적 효능은 IL-8의 효능과 유사한 항 바이러스 효능을 포함하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IL-8 제제는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를 포함한다.
프로테인 변경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유도체(변이체) 및 유사체는 자연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아미노산 배열 또는 다른 형태가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변경되는 분자로서 규정된다. 그러므로, 변이체는 약 10 kD의 분자량을 가질수도 또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β-머캅토에탄올 또는 디티오스라이톨과 같은 감소 제제 없이 수행되는 SDS-PAGE에 의해 규정됨). 아미노산 배열 변이체는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대립 유전자의 친척뿐아니라 소정의 변이체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배열 변이체는 자연의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변이체에 적어도 80% 상동관계, 더욱 전형적으로 90&% 상동관계를 가지는아미노산 배열을 가진다. 용어 IL-8 제제는 달리 적합하지 않는한 자연 배열 또는 변이체를 뜻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Ala IL-8]77는 유전학( Adv. Immunol. 55: 97, 1994)에서 설정된 것과 같이 인체 [Ala IL-8]77아미노산 배열, 소, 말, 돼지, 양, 개, 쥐, 고양이 [Ala IL-8]77등과 같은 다른 종으로부터의 유사 [Ala IL-8]77프로테인, 및 상기 [Ala IL-8]77의 생물학적으로 효능있는 아미노산을 가지고, 대립유전자 및 생물학적 효능을 나타내는 [Ala IL-8]77의 시험관내에서 발생되는 공유결합적인 유도체를 포함한다.
유도체 및 IL-8의 아미노산 배열 변이체는 여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요법적인 실용성에 관련하여 그의 생물학적 효능에서 유용하다.
공유 결합 변형
시험관내 합성으로 편리하게 제조되는 IL-8 제제의 공유 결합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이러한 공유 결합은 정제된 또는 원래의 프로테인의 목표 아미노산 잔기를 선택된 사이드 체인 또는 말단 잔기와 작용할 수 있는 유기 유도 제제와 반응함으로서 분자내로 유입된다. 결과의 공유 결합 유도체는 생물학적 효능 및/또는 생물학적 유용성이 변할수 있다. 그리하여, 공유 결합적으로 변형된 IL-8제제는 생체내에서 천천히 더욱 활성적인 분자(유도되지 않은 IL-8제제)로 전환되는 감소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프로드럭(pro-drug)이 될 수 있다. 변이체는 대사적으로 안정하고 화합물( 감소된 대사작용 및/또는 제거)의 퇴화된 소인을 야기하는 방법에서 변경된 IL-8 제제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적인 유사체이다.
배열 변형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아미노산 배열 변이체는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변이체는 자연 [Ser IL-8]72또는 [Ala IL-8]77으로부터의 제거, 삽입 또는 치환, [Ser IL-8]72또는 [Ala IL-8]77의 아미노산 배열내의 잔기를 포함한다. 제거, 삽입 및 치환의 어떠한 결합도 원하는 효능을 가지는 변이체를 생산하게 한다.
유전적 레벨에서, 상기 변이체는 [Ala IL-8]77을 엔코딩하는 DNA내의 핵산의 부위지시 돌연변이에 의해 제조되고, 거기서 변이체를 엔코딩하는 DNA를 생산하고, 재결합 세포 배양에서 DNA를 표현한다. 변이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사체에서와 같이 동일한 생물학적 효능을 나타낸다.
[Ala IL-8]77는 다이머로 집합하므로, 이종- 및 동종다이머를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이며, 여기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서브유니트는 변이체이다. 두 개의 서브유니트가 변이체인곳에서, 아미노산 배열의 변경은 각각의 서브유니트 체인에서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이종다이머는 두 개의 서브유니트를 엔코딩하는 DNA로 숙주 세포를 공전환하고, 필요하다면 원하는 이종다이머를 정제하거나, 또는 서브유니트를 각각 합성하고, 서브유니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서브유니트를 혼합하고, 다음 서브유니트를 재결합함으로서 쉽게 생산된다.
용어 IL-8 제제는 항 바이러스 효과와 같은 IL-8 유사 생물학적 응답을 유도할 수 있는, IL-8 수용기에 대한 항체, 또는 IL-8에 대항하여 생성된 항체에 대한 항 유전자형 항체, 또는 IL-8의 상기에 기술된 유사체 또는 변이체를 포함한다.
용어 IL-8 제제는 IL-8 수용기, IL-8을 결합하는 다른 수용기, 또는 상기 수용기의 선택된 지역에 상응하는 펩티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엔벨롭의 프로테인(또는 글리코프로테인 또는 리포프로테인) 또는 상기 프로테인의 선택된 지역에 상응하는 펩티드를 포함하고, IL-8 수용기 또는 IL-8을 결합하는 다른 수용기로 바이러스 입자의 결합을 방해한다.
용어 IL-8 제제는 IL-8 수용기(또는 IL-8을 결합하는 다른 수용기)의 유사체 또는 변이체; 상기 수용기의 선택된 지역에 상응하는 펩티드의 유사체 또는 변이체; 바이러스 엔벨롭, 또는 상기 프로테인의 선택된 지역에 상응하는 펩티드의 프로테인(또는 글리코프로테인 또는 리포프로테인)의 유사체 및 변이체를 포함한다.
용어 IL-8 제제는 그러나 아래의 식을 가지는 약 17 아미노산의 펩티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Glu-Leu-Arg-Cys-Xaa1-Cys Xaa2-Xaa3-Xaa4-Xaa5-
Xaa6-Xaa7-Xaa8-Xaa9-Xaa10-Xaa11-Xaa12
여기서
Xaa1는 글루타민산, 메티오닌 또는 발린;
Xaa2는 이솔류신 또는 발린;
Xaa3는 라이신, 글루타민산 또는 세린;
Xaa4는 트레오닌 또는 이솔류신;
Xaa5는 티로신, 류신, 메티오닌, 히스티딘, 발린 또는 트레오닌;
Xaa6는 세린, 글루타민산, 트레오닌, 또는 알라닌;
Xaa7는 라이신, 알기닌, 또는 히스티딘;
Xaa8는 없거나 프롤린, 페닐알라닌, 또는 글리신;
Xaa9는 없거나 페닐알라닌, 이솔류신 또는 발린;
Xaa10는 없거나 히스티딘, 라이신 또는 알기닌;
Xaa11는 없거나 프롤린, 류신 또는 페닐알라닌; 그리고
Xaa12는 없거나 라이신, 히스티딘 또는 알기닌이다.
ⅱ) 바이러스 감염
본 발명에 따라서 IL-8 제제로 치료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은 인체 또는 동물 바이러스 원인에 의한 감염이다.
인체 및/또는 동물 바이러스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RNA, DNA 바이러스와 HIV-1 및 HIV-2이외의 레트로바이러스목을 지칭한 것이다. DNA 바이러스에는 파르보바이러스목, 파포바바이러스목, 아데노바이러스목, 헤르페스바이러스목, 폭스바이러스목 및 헤파드나바이러스목이 해당되며, RNA 바이러스에는 레트로바이러스목, 피코르나바이러스목, 토가바이러스목, 오르토믹소바이러스목, 파라믹소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목, 레오바이러스목, 온코르나바이러스목 그리고 필로바이러스목이 해당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에 대항하는 IL-8의 항 바이러스 효능이 생체내에서 조사되었다. B 및 T 임파구가 없는 SCID마우스는 EBV 감염 도너로부터 말초 혈액 임파구로 재조성될 때 가끔 B 임파구로 발전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감염은 비종대, 복강의 확대 및 설사를 수반한다. 그리하여 SCID 마우스는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하는 인체 임파종 발생의 흥미있는 생체내 모델을 대표한다. IL-8의 항 바이러스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EBV 전환 B 세포(B95-8 세포 라인)는 SCID 마우스로 복강내 주사되고; IL-8은 다음 아래의 표 1에 따라서 다른 스케쥴에서 복강내로 투여된다.
EBV 감염 SCID 마우스에서의 IL-8의 효과의 생체내 연구의 프로토콜
그룹 1 처리되지 않은 동물
그룹 2 0일에 IL-8 주사
그룹 3 0일에 B95-8 주사
그룹 4 0일에 30분 간격으로 B95-8 및 IL-8 주사
그룹 5 0일에 B95-8 주사 및 0, 1, 2, 3, 4, 5일에 IL-8 주사
그룹 6 0일에 B95-8 주사 및 0, 7, 15, 21, 28일에 IL-8 주사
그룹 1-6 40일에 동물이 사망하고 부검됨
EBV 주사 B95-8 세포(60 x 106)는 SCID 마우스내로 복강내(IP) 주사된다. 표시된 시간에서, 마우스는 재결합 IL-8로 처리된다. 49일후 마우스는 사망하였고 부검되었다. 각각의 그룹은 3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다. IL-8은 0.1% BSA를 함유하는 NaCl 0.9% 용액에서, 마우스당 25μg 볼러스(bolus)로서 투여된다.
감염후 4주에서, B95-8 단독으로 처리된 마우스는 복부 팽창의 발생으로서 분석되듯이 확실한 염증을 보였고, 이 모델에서 심한 설사 및 종양이 성장했다. 반대로, 일주일 간격으로 25μg IL-8로서 5번 처리된 마우스(그룹 6)에서는 상기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속 6일동안 25μg IL-8로서 처리된 마우스(그룹 5)에서, 감염후 4주동안 설사가 관찰되었으나 처리되지 않은 동물(그룹 3)에서보다 약했다.
단지 한번 25μg IL-8로서 처리된 마우스(그룹 2)에서, 감염후 4주에서 관찰된 복강 염증 및 설사는 그룹 3의 처리되지 않은 감염동물에서 만큼 심하였다.
4주에서, 그룹 1, 2 및 6은 정상적으로 보였고 상기에 언급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3의 동물은 감염후 5번째 주 그리고 6번째 주에서 죽었다; 부검에서 비장 및 간의 심한 출혈을 보였다. 감염후 7주에서, 모든 그룹의 생존 동물은 죽었고 부검되었다.
IL-8로 한 번 처리된(그룹 4) 감염 동물은 도 1B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각각에서 비종대 및 약 0.7 cm 직경의 종양을 보였다. 감염되지 않고 처리되지 않은 동물(그룹 1)에서, 도 1A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비장이 정상이고 종양은 없었다. 연속 6일 25 μg IL-8로 처리된 동물(그룹 5)에서, 비종대 및 종양이 관찰되었으나 그룹 4의 동물과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일주일 간격에서 25 μg IL-8로 4번 처리된 동물(그룹 6)에서, 종양이 검출되지 않았고 비장(및 다른 기관)은 감염되지 않은 동물(그룹 1 및 2)의 비장과 형태학적으로 같았다.
생체내에서 EBV에 대한 IL-8의 항 바이러스 인체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s)로 재 조성된 SCID 마우스 모델에서 조사되고 아래의 표 2에 따라서 IL-8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는다.
PBMCS-HU-SCID 마우스의 EBV 감염에의 IL-8 효과의 생체내 연구의 프로토콜
그룹 1 NaCl: 글루코스 + 0.1% BSA로 처리된 마우스(2)
그룹 2 IL-8로 처리된 마우스(2)
그룹 3 NaCl: 글루코스 + 0.1% BSA로 처리된 EBV 감염 마우스(10)
그룹 4 IL-8로 처리된 EBV 감염 마우스(5)
모든 동물은 0.5 ml PBS내의 40 x 106인체 PBMCs가 복강내 주사된다. 5일후, 그룹 3 및 4의 동물은 EBV(40 x 106TFU/마우스, 복강내 주사)로 감염되고 모든 동물은 0, 6, 13, 20 및 27일에 식염수 또는 IL-8로 처리된다. IL-8은 NaCl:글루코스 + 0.1% BSA로서 투여된다. 처리 31일후 마우스는 죽었다.
결과는 아래의 표3에 보여진다. 감염후 22-23인에 그룹 3의 어떤 동물은 증상을 보였고, 24-25인부터 치사율이 관찰된다. 한주 간격으로 25 μg IL-8로 5번 처리된 EBV 감염 동물(그룹 4)에서, 증상은 26-27일로 지연되었고; 상기 그룹에서 치사율 또한 감소되었고 첫 번째 죽은 동물은 28일에 나타났다. 31일까지, 그룹 4의 5 동물중 2이 죽은 것에 반하여 그룹 3의 8동물중 6이 죽었다. 생존 동물은 31일에 죽었고 부검되었다; 종양 크기 또는 수의 차이는 없었고 또한 두그룹의 생존 동물간의 비장 크기의 차이도 없었다. 그룹 1 및 2의 동물은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PBMCS-HU-SCID 마우스의 EBV 유도 증상(치사율)에의 IL-8 효과
감염 관련 증상이 있는 마우스의 수/살아있는 마우스의 수
22-23일 24-25일 26-27일 28-29일 30-31일
EBV감염(그룹3) 5/8 4/5(3 사망) 3/4(4사망) 3/3(5 사망) 2/2(6 사망)
EBV감염 +IL-8 처리(그룹 4) 0/5 0/5 3/5 4/4(1 사망) 3/3(2 사망)
(1) 감염 관련 증상으로 종양 성장, 피골 상접 및 감소된 작용(기면 상태)으로 인한 복부의 확대가 있었다.
(2) 상기 그룹은 초기에 10 동물이었고; 인체 PBMC 이식(혈청내 IgG 및 항바이러스 항체로서 평가되는)으로 2 동물이 죽었으므로 단지 8 마리만이 고 려되었다.
NaCl:글루코스 + 0.1% BSA 또는 IL-8만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는 31일까지 아무런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그룹 1 및 2).
EBV는 근래에 시험관내에서 인체 호중구와 작용하고 RNA 및 프로테인 합성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IL-8은 모양 변경 및 인체 호중구내의 세포내 프리 Ca2+농도([Ca2+]i)의 일시적인 상승을 유도한다. EBV가 분리된 인체 호중구의 [Ca2+]i상에 유사하나 동일하지 않은(Ca2+축적의 다른 운동) 효과를 유도한다는 것이 관찰된다. 이와 같이 호중구의 [Ca2+]i에서 EBV 유도 상승에의 IL-8 효과가 나타난다. Ca2+운동력은 형광 소식자 FURA-2/AM으로 적재되고 EBV로 노출 전 또는 후에 IL-8 또는 Groα로 처리된 인체 호중구에서 모니터된다. EBV에 의해 유도된 [Ca2+]i의 상승은 호중구가 IL-8로 전처리되었을때 강하게 억제된다. 반면에 호중구의 EBV 전처리는 IL-8 또는 Groα의 효과를 억제하지는 않는다(도 1A, 2B, 2C). IL-8 수용기는 G 프로테인 결합 수용기이므로, 구아닌 핵산 결합 조절 프로테인(G 프로테인)의 알려진 억제자인 백일해 독소로서 호중구를 전처리함으로서 EBV 유도 Ca2+운동력 및 RNA 합성에의 G 프로테인의 실질적인 관계를 시험한다. 얻어진 결과로서 백일해 독소는 EBV에 의해 유도된 Ca2+운동력 및 RNA 합성을 확실히 억제한다는 것이 보여지고, EBV 유도는 G 프로테인 조정이라는 것이 암시된다.
IL-8의 항 바이러스 및 항 종양 효과에의 기전이 확실하지 않은 반면, IL-8이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_ 또는 인터페론의 생산과 같이 자연 항 바이러스 기전을 유발하거나 증대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다. 분리된 호중구에 EBV 유도 생물학적 효과에의 IL-8의 효과가 관찰되어 보여지고(도 2 및 3), 또한 EBV와 목표 세포와의 상호 작용은 IL-8 수용기(또는 IL-8을 인식할 수 있는 결합 부위)와 관련될 수 있고, 케이스 IL-8은 결합 부위의 경쟁(위치적 장애) 또는 수용기 내부 이행의 유도를 통하여 바이러스 목표 세포 상호 작용을 막을 것이다. 반대로, IL-8로 목표 세포의 노출은 수용기 기능성 및 자연 세포 항 바이러스 기전의 부착, 내부 이행, 복제 및 억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의 과정에 관련되는 신호 변환을 저하할 것이다. 상기 가정은 케모킨 수용기 관련 프로테인은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엔코드되고 감염된 세포의 플라즈마 멤브레인상에 표현된다는 최근의 보고서로서 뒷받침된다. EBV 시스템에서 바이러스는 IL-8에 매우 일치하는 G 프로테인 결합 수용기인 변환된 세포의 BLR-1(EBI-2와 동일) 및 BLR-2(EBI-1) 수용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EBV 감염 세포에의 IL-8 수용기에 일치하는 상기 사이토킨 수용기의 표현은 IL-8 수용기를 운반하지 않는 B 세포, 감염된 세포가 추정의 바이러스 효능에 적응하게 한다. 상기 가설은 IL-8 의 항 바이러스 효능의 추정의 기전에 어떠한 식견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어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과는 IL-8이 바이러스 감염 및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ⅲ) 용량범위
IL-8제제의 요법적인 용량은 자연 또는 처리되는 조건의 심함, 특별한 IL-8 제제, 다른 활성 화합물과 투여하는 경로에 따라 다양하며 임상 판단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또한 나이, 중량 및 개별 환자의 응답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므로 IL-8 제제의 유효 용량은 모든 범주를 고려하고 환자를 대신하여 최선의 판단함으로서 약역학 연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인 방법에서, 유효 용량은 약 1nM - 100nM 이다. 따라서, 임상의는 혈액에서 상기 농도를 생산하는 용량을 투여할 것이다.
ⅳ) 약제의 조성
적절한 투약 형태 또는 방법은 본 발명의 IL-8 제제의 유효용량으로서 포유류 특히 인체에 공급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국소 투여, 주사로서 동맥내, 복강내, 정맥내, 흉막내, 안내, 피하로 투여된다. 주사는 또한 관류 및 연속 주입으로 구성된다. 제형은 정제, 캡슐제, 액상제, 분말제, 산포제, 현탁제, 크림제, 연고제, 에어로졸제등이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은 활성 성분으로서의 IL-8제제, 약제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캐리어 그리고 선택적으로 기타 치료성분들로 구성된다.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편리하게 상기는 단위용량으로 되어 있고 약제 기술에서 잘 알려진 어떤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실제 사용에서, IL-8 제제는 종래의 약제학적 화합 기술에 따라 약제학적 캐리어를 가지는 친밀한 혼합물내의 활성 성분으로서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는 투여하기 위하여 원하는 제제 형태에 의하여 형태가 다양하다. 경구 용량 형태용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물, 글리콜, 오일, 알코홀, 향미제, 보존제, 착색제; 및 부유액, 엘릭시르 , 용액과 같은 경구 액체 제제; 또는 스타치, 슈가, 미세액정, 셀룰로즈, 희석제, 결정제, 윤활제, 결합제, 분쇄제와 같은 캐리어; 및 분말, 캡슐, 정제와 같은 경구 고체 제제와 같은 어떤 일반 약리적 매질도 사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정제는 표준 수성 또는 비수성의 기술로서 코팅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리적 조성물은 소정량의 IL-8제제를 각각 함유하는 캡슐, 카세, 또는 정제와 같은 단위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또는 수용액, 비수용액, 물내 오일 현탁액, 또는 오일내 물 현탁액내의 용액 또는 부유액으로서 나타난다. 상기 조성물은 IL-8제제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필요 성분을 포함하는 캐리어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어떠한 조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액체 캐리어 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캐리어 또는 상기 캐리어 모두와 IL-8제제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다음 필요하다면, 원하는 모양으로 제품을 연마함으로서 제조된다. 일례로, 정제는 임의적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부가 성분과, 몰딩을 압착함으로서 제조된다. 압착된 정제는 적합한 기계에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흐르는 형태내의 활성 성분을 압착하여 결합제, 윤활제, 비활성희석제, 표면 활성 또는 분산제와 임의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적합한 기계에서, 비활성 용액 희석제로서 습윤된 분말화 화합물의 복합체를 몰딩함으로서 제조된다.
IL-8제제는 약리적으로 또는 신체적으로 허용가능하고, 환자에게 해롭지 않으며, 개별적 환자에서 이로운 치료가 해로운 부작용을 능가하는 양으로 투여되어져야 한다. IL-8제제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을 투여하며, 원하는 치료 목적에 부합하고 IL-8제제의 투여로서 가능한 이득을 제공하는 양으로 투여되어 져야 한다.
실시예
생체내 연구
실시예 I
생체내에서 EBV-전환 세포로 감염된 SCID 마우스에의 IL-8의 항 바이러스 효과
8주된 암컷의 SCID-CB17 마우스(Charles River, St. Constant, Canada)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다. 6그룹의 3 마우스 각각이 준비되고, EBV-전환 세포로서 감염되고, 상기(그룹 3-6) 표1에 요약된 것과 같이 il-8로 척리하거나 처리하지 않는다. 0일에 B95-8 세포(60 x 106)가 SCID 마우스에 복강내(IP)로 주사된다. 표시될 때, 마우스는 IL-8(그룹 2, 4-6)(25μg/마우스/주사)(Peprotech Inc., Rocky Hid, NJ)을 한 번 또는 여러번 주사한다. 사용된 IL-8은 72 아미노산 형태이고 0.1% BSA를 함유하는 NaCl 0.9% 용액에서 사용된다. 처리 7주후에, 마우스는 경부 탈구로 사망하고 부검된다. 종양 및 나머지 다른 조직을 촬영하고(도 1A-1F), 박리되고 면역형광 연구 및 바이러스 DNA 분석을 위하여 냉동 보관한다. 도 1A는 감염되지 않은 비처리 마우스를 설명한다(그룹 1). 도 1B 및 1C는 B95-8 세포로 감염 30분후 한 번의 IL-8 주사로 처리된 EBV 감염 마우스를 설명한다(그룹 4). 도 1B 및 1C는 동일 동물의 복부 공동을 나타내고, 도 1C는 근접 사진이다(그룹 4). 도 1D 및 1E는 B95-8 세포로 감염 30분후부터 연속 4주동안 IL-8로 약하게 처리된 EBV 감염 마우스를 설명한다(그룹 6). 도 1F는 IL-8로 한 번 처리된(왼쪽), IL-8로 4번 처리되고(중앙), 처리되지 않은(오른쪽) EBV 감염 마우스의 복부 동공을 설명한다.
실시예 2
인체 말단 혈액 단핵 세포로 재구성된 SCID 마우스의 EBV 감염에의 IL-8의 항 바이러스 효과
임파 적출은 건강한 사람에서 수행된다. 세포는 1시간동안 채집되고 25분동안 750 X g에서 피콜(Ficoll) 경사도상에서 정제된다. PBMCs는 다음 PBS내로 세척되고 C.B.-17/SCID 마우스(4-5주 올드)내로 복강내(i.p.)(40 X 106세포/0.5 ml PBS/마우스) 주사된다. 5일이 지난후, 마우스는 4그룹으로 나뉘어지고 동물은 EBV(50μl의 107TFU/ml/마우스)를 복강내로 감염되고 표2에 표시된 것과 같이 IL-8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는다. IL-8은 0.1% BSA를 함유하는 NaCl마우스는 IL-8(그룹 2, 4-6)(25μg/마우스/주사)(Peprotech Inc., Rocky Hid, NJ)을 한 번 또는 여러번 주사한다. 사용된 IL-8은 72 아미노산 형태이고 0.1% BSA를 함유하는 NaCl:글루코스내의 용액에서 사용된다. 처리 4주후에, 마우스는 경부 탈구로 사망하고 부검된다. 종양 및 나머지 다른 조직은 채취되고 분자 분석을 위하여 냉동보관한다.
시험관내 시험
실시예 3
분리된 인체 호중구의 EBV에 의해 유도되는 칼슘 동원에의 IL-8(및 Groα)의 억제 효과
호중구 현탁액(10 x 106세포/ml)은 형광 소식자 퓨라-2/아세톡시메틸 에스테르(Fura-2/acetoxymethyl ester)(Molecular Probe, Eugene, OR)(37℃, 1 μMm, 30분)에서 배양된다. 세포는 다음 세포외 소식자가 없도록 세척되고 1.6 mM 칼슘을 함유하는 행크의 소금용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에 재부유되고 10mM HEPES로 보충된다. 퓨라-2 적재 세포 현탁액은 다른 배열에서 EBV(106전환 유니트 [TFU]/ml) 및 IL-8 또는 Groα(100 nM)로 처리된다. 형광(도 2A, 2B 및 2C)은 아민코-보우만, 시리즈 2 어패러투스(Aminco-Bowman, series 2 Apparatus: SLM-Aminco, Rochester, NY)를 이용하여 모니터된다(자극 및 방출 파장, 340 dalc 510 nm). EBV 균주 B95-8의 바이러스 제제는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생산된다. 마이코플라즈마 프리 시험된 B95-8은 10% 가열 비활성 FBS으로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성장한다. 세포의 생존력이 20%이하로 발견될 때, 셀프리 배양 상층액은 채취되고 0.45 mm 포어 크기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고, 바이러스 입자는 초원심분리로서 더욱 정제된다. 바이러스 펠레는 5mM 소디움 포스페이트(pH 7.5)에 부유되고 10-30% (wt/vol) 덱스트란 경사도상에 원심분리에 의해 정제된다. 농축된 바이러스 제제는 RPMI 1640에 재부유되고, 등분되고 사용될때까지 -80℃에 저장된다. 바이러스 역가는 1 x 107전환 유니트 (TFU)/ml인 것으로 발견된다. 도 2A, 2B 및 2C에 나타난 결과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2A: a: Groα (100 nM); b: EBV; c: IL-8 (100 nM)
도 2B: a: Groα (100 nM); b: IL-8 (100 nM) c:EBV
도 2C: a: EBV 1/10 희석, 105TFU/ml; b: EBV;
c: Groα (100 nM); d: IL-8 (100 nM)
실시예 4
Ca2+동원 및 인체 호중구에서 EBV에 의해 유도된 RNA 합성에의 백일해 독소의 효과
인체 호중구(10 x 106세포/ml)는 EBV(106TFU/ml) 또는 IL-8(100 nM) 자극에 앞서, 2시간 동안 0.5 mg/ml 백일해 독소(G-프로테인의 ADP-리보실레이션을 촉진하고 G-프로테인 중개를 억제함)하에서 37℃에서 2시간 미리 배양된다. 칼슘 동원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측정된다. 결과는 도 3에 보여지고 여기서,
a: IL-8로 자극;
b: EBV로 지극;
c: 백일해 독소로 전처리 및 IL-8로 자극;
d: 백일해 독소로 전처리 및 EBV로 자극;
EBV 유도 RNA 합성은 전체 RNA로 [5-3H] 유리딘의 병합을 측정함으로서 연구된다. 백일해 독소(0.5 mg/ml)로 전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않은 호중구(5 x 106세포/ml)1% 가열 비활성(1시간, 56℃) 자기 조직의 플라즈마로 보충된 HBSS 버퍼에 부유된다. 100 ml 약수의 세포 현탁액은 1 mCi [5-3H] 유리딘(샘플당)이 함유된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배양되고 3nM의 GM-CSF(양성 대조) 또는 EBV(106TFU/ml) 로 처리된다. 플레이트는 5% CO2를 함유하는 습한 대기하 37℃에서 5시간동안 배양된다. 상기 배양기간후에 세포는 글라스 파이버 디스크를 통한 여과에 의해 채취되고 방사능은 액상 섬광 카운터에서 측정된다. 백일해 독소는 시그마 케미칼(Sigma Chemicals; St. Louis, MO)로부터 얻어지고 0.01% BSA를 함유하는 0.9% NaCl내의 용액에서 사용된다. Groα는 페프로테크(Peprotech)를 통하여 얻어지고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백일해 독소용으로 사용된다.
도 3B에 설명된 결과는 다른 6 실시예를 나타낸다(GM-CSF, 그라눌로사이트-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반면, 추가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있거나 통상적인 공개 내용 및 본 명세서 전반에 기술된 기본 특징에 적용될 수 있는 공개 내용,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르는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는 내용을 포함하여 발명의 변경, 사용 또는 적용을 할 수 있다.

Claims (17)

  1. 인체 또는 동물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인텔류킨-8(IL-8)제제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인텔류킨-8의 생물학적 효능을 가지는 인텔류킨-8 프로테인 및 그의 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DNA 바이러스 또는 RNA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파르보바이러스목, 파포바바이러스목, 아데노바이러스목, 헤르페스바이러스목, 폭스바이러스목 및 헤파드나바이러스목으로 조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DNA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레트로바이러스목, 피코르나바이러스목, 토가바이러스목, 오르소믹소바이러스목, 파라믹소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목, 레오바이러스목, 온코르나바이러스목 및 필로바이러스목으로 조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RNA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77 아미노산의 인텔류킨-8 프로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72 아미노산의 인텔류킨-8 프로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EBV, HSV-1, HSV-2, CMV, VZV, HHV-6, HHV-7 및 HHV-8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르페스바이러스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소의 설사 바이러스인 토가바이러스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돼지의 엔테로바이러스인 피코르나바이러스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소의 호흡기 합포체 바이러스 또는 파라믹소바이러스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인터페론-α, -β, -γ, 종양 괴사 인자-α, 간씨클로버, 아씨클로버, 비다라빈, 이독스유리딘, 팜씨클로버, 프로스타글란딘 및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바이러스 제제와 결합하여 투여되는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및 동물은 면역억제 환자 또는 동물, 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제로 치료된 인체 및 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아자티오프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아드리아마이신 및 메토트렉세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5. 인체 및 동물에서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암의 치료를 위한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아드리아마이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메토트렉세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항암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류킨-8 제제의 용도.
  17.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와 결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인텔류킨-8 제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약리적 조성물.
KR1019997000005A 1996-07-05 1999-01-04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 KR20000023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74,633 1996-07-05
US08/674,633 US5900235A (en) 1996-07-05 1996-07-05 Interleukin-8 as an antiviral and antitumor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62A true KR20000023562A (ko) 2000-04-25

Family

ID=2470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005A KR20000023562A (ko) 1996-07-05 1999-01-04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00235A (ko)
EP (1) EP0909178B1 (ko)
JP (1) JP2000514066A (ko)
KR (1) KR20000023562A (ko)
AT (1) ATE232108T1 (ko)
AU (1) AU713675B2 (ko)
BR (1) BR9710206A (ko)
CA (1) CA2258697A1 (ko)
DE (1) DE69718911T2 (ko)
ES (1) ES2191842T3 (ko)
NZ (1) NZ333605A (ko)
WO (1) WO19980011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10A (ko) 2021-12-07 2023-06-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Il-12를 발현하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971B2 (en) * 2001-03-16 2005-11-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emokines and methods for inducing the differentiation of fibroblasts to myofibroblasts
EP1562608A4 (en) * 2002-10-24 2010-09-01 Paratek Pharm Innc METHOD OF USE OF SUBSTITUTED TETRACYCLINE COMPOUNDS FOR MODULATING THE RNA
WO2005051405A1 (ja) * 2003-11-25 2005-06-09 Kaneka Corporation Il-8産生促進剤と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681795A (en) * 1994-09-23 1996-04-09 University Of Nebraska Board Of Regents Polypeptide agonists and antagonists of human interleukin-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610A (ko) 2021-12-07 2023-06-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Il-12를 발현하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9178B1 (en) 2003-02-05
ATE232108T1 (de) 2003-02-15
AU713675B2 (en) 1999-12-09
US5900235A (en) 1999-05-04
NZ333605A (en) 2000-12-22
DE69718911D1 (de) 2003-03-13
BR9710206A (pt) 1999-08-10
CA2258697A1 (en) 1998-01-15
WO1998001150A1 (en) 1998-01-15
DE69718911T2 (de) 2003-12-24
JP2000514066A (ja) 2000-10-24
EP0909178A1 (en) 1999-04-21
ES2191842T3 (es) 2003-09-16
AU3331497A (en) 199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end Interleukin 1 receptor antagonist. A new member of the interleukin 1 family.
AU676491B2 (en) Immunopotentiatory agents
US5362490A (en) Human myelomonocyte interferon-gamma, and proces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I104903B (fi) Menetelmä kädellis-IL-3-proteiinin tuottamiseksi ja proteiinia koodaava rekombinantti-DNA-sekvenssi
KR19990082513A (ko)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류코트리엔 비4 또는 그 유사체
EP0107498A2 (en) Synergistic human interferon activity
JPH09289896A (ja) 免疫担当細胞においてインターフェロン−γの産生を誘導する蛋白質
US9642917B2 (en) Use of G-CSF dimer in preparation of medicament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TW570801B (en) Osteoclastgenic inhibitory agent
KR20000023562A (ko)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제로서의 인텔류킨-8
AU7520996A (en) Method of mobilizing hematopoietic stem cells
EP1075270B1 (en) Short peptide for treatment of neurological degenerative diseases
JP3520084B2 (ja) 多発性硬化症を含めた炎症の治療におけるペプチドt及びその関連ペプチド類
CN113440603B (zh) 人α干扰素亚型及受体结合相关位点突变体在制备防治新型冠状病毒感染药物中的用途
AU660493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using interleukin -6
JP2938916B2 (ja) ヘルペスウィルスの増殖阻害および潜伏感染後の再発阻止剤
JP4414494B2 (ja) 白血球減少症の予防剤および治療剤
JP2589094B2 (ja) 抗悪性腫瘍剤
EP0482213B1 (en) Antineoplastic agent
EP0614372A1 (en) Cd8?+ cell antiviral factor
CN1225016A (zh) 一种抗病毒和抗肿瘤药-白细胞介素-8
JPH08333274A (ja) 悪性腫瘍治療用キット
KR100491366B1 (ko) 면역담당세포에의한인터페론-γ의생산을유도하는단백질
JP2517962B2 (ja) 骨多孔症治療剤
US20050249698A1 (en) Synergistic effect of the osteogenic growth peptide and the granulocyte clony stimulating factor on haematogen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