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370A -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370A
KR20000022370A KR1019980710801A KR19980710801A KR20000022370A KR 20000022370 A KR20000022370 A KR 20000022370A KR 1019980710801 A KR1019980710801 A KR 1019980710801A KR 19980710801 A KR19980710801 A KR 19980710801A KR 20000022370 A KR20000022370 A KR 2000002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wire
arm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367B1 (ko
Inventor
미쉘 듀레
끌로드 바데이
제임스 데시리
Original Assignee
자비에르 드 프로멩트
메탈 디플로이에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비에르 드 프로멩트, 메탈 디플로이에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자비에르 드 프로멩트
Publication of KR2000002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7Distinct end coupler
    • Y10T403/5761Interrupted periphery, e.g., split or segment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6Leaf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은 2개의 아암(55, 56)을 포함하며, 제 1 아암(55)용 장착수단(57, 58)은 제 1 부분(51, 52)상에 커플링의 독립적인 조임이 가능하게 하며, 제 2 부분(53, 54)상에 제 2 아암(56)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은 2개의 부분의 연결동안 제 2 부분(54)의 횡단 와이어를 맞무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킹수단(60)을 포함하며, 케이블 크레이는 미리 장착된 커플링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
본 발명은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과 조립된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얻기 위한 준비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와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는 높은 장력 또는 낮은 장력 전기케이블의 모든 형태를 지탱하고 안내하는데 다양하게 이용되며 탄성 도체 또는 채널이 광섬유와 같은 서로 다른 지점사이의 양 끝을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는 메시형태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홈통 형태, 즉 U자 형태를 취하며, 직물 와이어로 알려진 횡단 홈통형상으로 제조된 횡단 와이어를 포함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를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횡단 와이어는 홈통의 주변부 전체에 걸쳐 분산된 둘러싸는 와이어로 잘알려진 길이방향 와이어에 용접 또는 유사한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바닥 및 2개의 측면이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에 존재하며 측면의 상부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와이어에서 끝난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수평에 대해 수평, 수직 또는 경사진 바닥의 어떠한 위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길이방향 및 횡단 와이어의 형상과 분배, 수, 단면, 형상 또는 본질에 상관없이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의 모든 형태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유럽특허 제0 298 82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소정 길이의 유닛으로 형성되며 소망 길이로 사이트상의 단부와 단부가 조립되어 소망 구성으로 조립되어야 한다.
조립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체는 케이블 트레이의 2개의 연속 유닛을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조립 부품은 커플링으로 알려져 있다. 커플링 또는 조립 커플링은 본 출원서에서 사용될 것이다.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용 커플링 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플링은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분리적으로 솔더링되는 부속물로써 이용가능하며, 사용자가 커플링 요구를 계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커플링의 장착은 공구를 사용 또는 추가 장착부품을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커플링은 조립되어지는 유닛이 장착을 위해 정확한 위치에서 작업장에 위치되어질 때 케이블 트레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은 충분치 않은 조건 또는 접근이 어려운 조건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프랑스특허 제2 691 590호에는 균형이 잡히지 않은 케이블 트레이 모듈로 구성된 셀프 고정 케이블 트레이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 커플링의 한쪽 단부는 모듈의 한쪽 단부에 영구적으로 용접되며, 커플링의 다른쪽 단부는 조립되어지는 다음 모듈의 단부에 링크되는 커플링 핀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상에 영구적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링의 사용은 전술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지만 제조상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특히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사용자는 추가보정의 용접 동작, 용접된 커플링과 용접된 커플링이 없는 케이블 트레이의 이중 축적의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프랑스특허 제2 691 590호에 따라 모듈이 설치길이로 인해 절단한다면, 분리 커플링이 용접된 커플링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채용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는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상에 미리장착될 수 있는 자연상태의 보편적인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용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며 케이블 트레이 유닛과 커플링은 다른 케이블 트레이 유닛과 조립준비상태로 용접되어지지만 커플링은 항상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장 작은 작업이 가능하고 떼어낼 수 있지만 케이블 트레이 유닛 사이의 가장 단단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의 양호한 전기적 연속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별한 공구나 부속품을 요구하는 일 없이 쉽게 장착하고 떼어낼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구비한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수송을 위해 적재가능한 가장 콤팩트한 케이블 트레이 유닛상에 미리 위치되는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본 발명은 2개의 아암내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의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조립하는 커플링을 제공하며, 각 아암은 래칭용 장착수단과 함께 제공되어지며, 이는 제 1 유닛의 단부 구역과 제 2 유닛의 단부 구역상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아암에 독립하며 제 1 유닛과 커플링 고형체를 단독으로 제공하며, 제 2 유닛상에 제 2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2개의 유닛의 조립동안 제 2 유닛의 횡단 와이어와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캐치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이며, 또한 커플링은 양호한 조립상태를 확실하게 하는 강성 및 탄성특성을 구비한 금속이다.
따라서,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에 자율적이며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의 단부상에 커플링을 래치할 수 있으며, 언제라도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링이 제공된 제 1 유닛상에 제 2 유닛을 조립하기 위해, 제 2 케이블 트레이 유닛의 단부는 상대적 커플링-케이블 트레이 이동에 의해 변위되어 커플링의 제 2 아암에 맞물리며, 제 2 아암의 탄성 캐치수단은 제 1 유닛을 따르는 위치로 제 2 유닛을 단독으로 래칭한다.
조립체는 커플링의 제 1 아암을 떠나 제 1 유닛에 완전하게 래칭되어 장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커플링은 제 1 유닛과 블록을 이룬다.
커플링은 윤곽이 길이방향 또는 횡단적인 스트립 형태의 일부로 구성되며, 크기는 2개의 길이방향 사이에 조립되어지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의 와이어를 내장시킬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내장시킬 수 있는 크기이다.
커플링은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와 2개의 연속적인 횡 와이어에 의해 각 유닛의 단부에서 구성된 메시로 독점적으로 위치되지 않으며, 이들 와이어중의 하나는 조립되어지는 유닛의 단부에 위치된 횡 와이어이다.
케이블 트레이가 측면에 제공될 때, 길이방향 와이어를 구성하는 메시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을 구성하는 스트립은 클리어런스를 제외하고는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를 분리하는 간격과 장착되어지는 간격 사이는 동일한 폭을 가진다.
커플링을 구성하는 스트립은 더욱 단단한 커플링을 제공하도록 스트립의 가장자리를 겹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내측 또는 외측 쪽으로 윤곽을 이룰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유닛상에 커플링을 고정하고 래치하는 위치에 사용되는 제 1 아암용 장착수단은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와이어을 지탱하는 길이방향 표면과 유닛의 횡단 와이어을 지탱하는 횡단 표면으로 구성되며, 2개의 횡단 지탱표면은 유닛의 2개의 다른 연속적인 횡단 와이어을 지탱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길이방향 지탱 표면과 횡단 지탱표면은 각각의 와이어상에 지탱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힘은 횡단 지탱 표면에 의해 부여된 힘에 대향 센스이며 마찰력과 약간의 탄성 변형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 유닛사에 커플링을 록킹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길이방향 와이어의 내측상에 지탱되며 횡단 지탱 표면은 횡단 와이어의 외측상에 지탱된다.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장착동안 제 1 아암의 양 측면에 위치된 2개의 길이방향 와이어상에 지탱된다.
가이드 마크는 대응하는 유닛상에 제 1 아암을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또한 하우징 또는 오목부와 같은 스톱 수단을 포함하며 횡단 와이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스톱 수단은 그의 유닛상에 커플링을 래치하며, 래치수단은 또한 위치지정 수단으로써의 구실을 한다.
유닛상에 정확한 위치지정을 위해, 제 1 아암은 예를 들면 횡단 와이어중의 하나를 내장하는 탭의 형태로 접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톱 수단은 이 접합부쪽으로 또는 대향 측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횡단 지탱 표면은 스트립 또는 에지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커플링을 형성하는 스트립의 횡단 연신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연신은 이 표면이 지탱되는 길이방향 와이어의 형상과 결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동일 기능을 갖는 다수의 부분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아암을 장착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 1 횡단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과 제 2 횡단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루프로 구성되며, 상기 탭/루프 조립체는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상에 래치된다.
커플링의 제 1 아암, 탭 및 루프는 각각의 와이어상에 탭과 루프를 지탱할 수 있는 크기이며, 루프 하우징내의 횡단 와이어의 맞물림은 루프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루프가 제 1 아암의 자유단부에 밀접하게 위치되면 제 2 루프는 상기 루프에 밀접하게 위치될 수 있는 힌지를 구성하여 커플링이 래치된 위치에 대향 위치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며 래치 또는 편형 수단은 접혀진 위치에 커플링을 유지한다.
커플링의 제 2 아암은 케이블 트레이의 제 2 유닛의 횡단 와이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캐치수단을 포함한다.
이 탄성 캐치수단은 제 2 유닛의 단부에 위치된 횡단 와이어 또는 다음의 횡단 와이어와 서로 함께 동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탄성 캐치수단"은 제 2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장착하도록 동시에 커플링 또는 케이블 트레이 또는 양쪽의 탄성변형을 요구하는 커플링의 제 2 아암에 위치되는 수단을 의미하며, 커플링과 케이블 트레이는 래치 후에 초기 형상을 회복한다.
탄성수단은 커플링의 중앙에 밀접하게 또는 제 2 아암의 자유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유닛의 단부의 횡단 와이어 또는 다음의 횡단 와이어와 각각 함께 동작한다.
이 탄성수단의 다른 예는 아암의 단부에 밀접하게 위치되고 예를 들면 굴곡부로 형성된 하우징에 제공된 커플링의 일반적인 방향에 대해 경사진 탄성 가이드 테두리이다. 다른 예와 같이, 탄성 변형을 요구하는 램프를 구성하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핀은 횡단 와이어에 대해 특정 하우징일 수 있다.
이 핀은 크기, 스탬핑, 커팅 또는 부착 부품과 같은 수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제 2 아암의 크기는 제 1 아암, 제 2 아암 및 한쪽에 형성되고 동일한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제 1 아암과 같은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 사이에 내장될 수 있는 크기이다.
제 2 아암에 대한 장착수단은 다수의 탄성 캐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수단은 서로다른 횡단 와이어와 함께 동작한다.
제 2 아암에 대한 장착수단은 또한 아암의 자유단부에 밀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와 같은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탄성 캐치수단은 가이드 수단에 밀접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되지 않는다.
그의 중앙에 밀접하게, 커플링은 장착될 때 지탱하는 2개의 조립된 유닛의 단부의 횡단 와이어상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핀은 커플링의 제 1 아암의 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이 제 1 아암은 커플링의 중앙 근처의 횡단 지탱 표면에 밀접하게 위치되는 탭을 포함한다.
제 2 아암과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최소한으로 작업물을 위치시키며, 각각의 유닛상의 조립된 위치의 제 2 아암과 제 1 아암은 약간의 탄성응력을 받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커플링을 포함하는 한쪽 단부에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제조하도록 커플링을 사용하며, 제 1 아암에 의해 상기 유닛에 장착되어 래치되며, 유닛의 다른 단부는 유닛을 함께 조립하도록 다른 유닛에 장착되어 래치된 2개의 다른 커플링의 제 2 아암을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은 그들의 제 1 아암에 의해 이미 장착된 미리 장착된 유닛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커플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미리 장착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미리 장착된 유닛은 다른 미리 장착된 또는 미리 장착되지 않은 유닛 부분의 자유단부에 매우 쉽게 조립될 수 있다.
2개의 유닛은 약간 비스듬하게 간단하게 정열되며, 2개의 커플링의 제 2 아암은 그들을 수용하는 제 2 유닛의 하우징내에 맞물리며, 하우징은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 사이에 위치되어진다.
2개의 유닛을 서로 밀접하게 이동시킨 후, 2개의 유닛은 횡단 와이어상에 각각의 제 2 아암이 제공된 탄성 캐치수단을 축방향으로 맞물도록 함께 밀려진다.
유닛이 U자 단면을 가질 때, 미리 장착된 유닛의 2개의 커플링은 유닛의 측면에 대칭으로 위치된다. 이들 커플링은 길이방향 와이어와 다음의 길이방향 와이어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려가능한 이점은 케이블 트레이 유닛이 미리 장착되거나 또는 미리 장착되지 않은 양쪽에 공급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 제품의 범위는 조금의 변경도 필요하지 않다. 이는 유닛의 이송전의 요구에 의존하는 미리 장착된 유닛을 얻도록 유닛에 본 발명의 커플링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어떤 무거운 용접 형태 동작을 피할 수 있으며 커플링 없이 유닛을 지탱하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커플링의 살계는 또한 미리 장착된 유닛이 다른 한쪽 상부에 매우 쉽게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링을 떼어내는 것은 장착시와 마찬가지로 어떤 특정 공구 또는 부속품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필요하다면, 이는 레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커플링을 쉽게 장착 및 떼어낼 수 있다.
커플링은 소망 위치에서 소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단일 1피스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스트립의 형태로 공통 지지체상에 용접 또는 다른 수단으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복합물 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2개의 코기 커플링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플링을 화살표 F1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커플링을 화살표 F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커플링이 장착된 도 1의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2개의 커플링을 사용하여 조립된 도 1의 2개의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3의 A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3의 B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9b도는 도 3의 A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4의 선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2개의 조립된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장착된 본 발명의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12는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뒤로 회전된 도 11의 커플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은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된 U자 형상의 횡단 와이어(4)에 용접되어 메시형태로 조립된 길이방향 와이어(2, 3)로 구성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유닛(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는 평평한 베이스(5)와 측면(6, 7)을 가지며, 이들 각 측면은 길이방향 가장자리 와이어(8)에서 끝난다.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유닛(1)은 유닛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와이어(9, 10)를 포함하는 4개의 와이어로 한정하였다. 특히, 이러한 유닛은 어떠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미터의 길이로 할 수 있고 유닛은 일반적으로 수미터의 표준길이로 판매된다.
제 1 실시예로 도 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케이블 트레이 유닛(1, 1')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의 2개로 된 커플링(11, 11')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2개의 커플링(11, 11')은 동일하며, 단지 보여지는 측면만을 다르게 도시하였으며, 그들은 2개의 아암: 케이블 트레이 유닛(1)인 제 1 유닛에 장착하기 위한 제 1 아암(12, 12')과 케이블 트레이 유닛(1')인 제 2 유닛에 장착하기 위한 제 2 아암(13, 13')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동일 커플링(11, 11')이 도 3 및 도 4에 다른 각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커플링이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1)에 위치되어 장착되고 래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2개의 유닛(1, 1')은 커플링(11, 11')에 의해 연결된 병렬로 일직선으로 조립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은 필요한 기능의 전부를 수행하도록 소망 위치에 소망 형상으로 특히 장착수단으로써 제 1 유닛(1)과 제 2 유닛(1')에 장착되는 1피스 스트립(14)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암 장착수단(12)은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할 것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닛(1)에 커플링(11, 11')을 자동적이고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래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11)의 2개의 아암(12, 13)의 기능은 동일하거나 또는 대칭은 아니며, 제 2 아암(13)의 장착수단은 제 1 아암(12)의 장착수단과는 대조적으로 격리된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의 커플링(11)의 독립적인 장착을 허용하지 않는다.
스트립(14)의 주요부는 커플링에 소망 강성, 모멘트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의 두 가장자리 각각에 접혀진 가장자리(15, 16)를 포함한다.
스트립(14)의 횡단면은 평평한 바닥부를 갖는 U자 형태이며, 그의 개구부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측을 향하여 방향져 있으며, 커플링은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에 위치되어진다.
스트립(14)의 폭(L)은 클리어런스와는 별개로 후방 와이어는 가장자리 와이어를 구성하는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3, 8)를 분리하는 높이(H)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커플링(11)은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 사이에 내장되어지며, 각 아암(12, 13)의 길이(D1, D2)는 각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 2개의 횡단 아암(10, 4)과 함께 작용하도록 각각 2개의 연속적인 횡단 와이어(10, 4)를 분리하는 길이(M)보다 약간 더 길다.
제 1 아암(12)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장착될 때 첫째로 커플링(11)을 따라 활주하는 갈이방향 와이어(3, 8)을 지탱하는 길이방향 지탱 표면을 구성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스트립(14)의 양 측면에 위치되고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3, 8)을 분리하는 높이(H)보다 더 큰 전장(L')을 갖는 2개의 러그(20, 21)로 구성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러그(20, 21)는 장착동안 커플링(11)의 양 측면에 위치된 2개의 길이방향 와이어(3, 8)의 내측을 지탱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러그(20, 21)의 단면도이다. 이 러그는 그들의 전장에 걸쳐 스트립(14)의 접혀진 가장자리(15, 16)와 일체이며, 스트립(14)에 평행하다.
이 변형에 있어서, 러그(20, 21)는 그들의 길이부분이 스트립(14)의 접혀진 가장자리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이 변형에 대해, 길이방향 와이어의 내측을 지지할 때, 러그(20, 21)로 구성된 지탱 표면은 길이방향 및 횡단 와이어의 위치에 존재하는 작업물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 위치에 탄성을 부여한다.
길이방향 와이어(3, 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5, 26)을 지탱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또한 횡단 와이어에 대한 지탱을 부여하기 위한 횡단 표면을 포함하며, 길이방향 지탱 표면의 양 측면은 러그(20, 21)로 구성된다.
제 1 횡단 지탱표면은 커플링(11)의 중앙 가까이에 밀접하게, 즉 접혀진 가장자리(15, 16)의 절개부(65, 66)로 구성된 내부 단부(12)에 위치되며, 스트립(14)의 양 단부는 하우징(19)내의 제 1 유닛의 횡단 와이어, 이 경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부 횡단 와이어(10)를 수용하여 내장할 수 있는 탭(17, 18)에 의해 완료된다.
러그(20, 21)의 다른 측면에 위치된 제 2 횡단 지탱 표면은 이 경우에 있어서 아암(12)의 자유단부 가까이에 위치된다.
이 제 2 지탱 표면(22)은 아암(12)의 단부에 있는 가장자리(15, 16)에서 테이퍼지며 스톱 수단, 이 경우에 있어서 스톱 노치(24)를 포함하는 램프(23)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커플링이 상기 스톱 노치(24)내에 상기 와이어를 래칭하는 커플링(11)의 아암(12)의 자유단부에 대응하는 이 경우에 있어서 횡단 와이어의 외측을 지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횡단 지탱 표면(65, 66)상의 러그(20, 21)와 제 2 횡단 지탱 표면(22)의 탭(17, 18)의 크기, 형상 및 위치는 커플링의 아암(12)이 길이방향 와이어(3,8)의 내측 방향과 횡단 와이어(10, 4)의 외측 방향에 대향하여 동시에 지탱하도록 하여 약간의 탄성변형으로 탭(17, 18)의 하우징(19)내에 횡단 와이어(10)를 함께 내장하는 위치로 아암(12)의 래칭 및 블록킹을 매우 효과적으로 하며, 횡단 와이어(4)는 스톱 노치(24)내에 위치되어진다.
지탱 표면(22)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 있어서, 텝(17, 18), 하우징(19)로 구성되는 것 대신에, 스톱 노치(24)와 동일한 형태의 스톱 오목부로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횡단 와이어(10)의 외측은 스톱 노치로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에 있어서, 한쪽은 횡단 와이어"10"을 수용하고 다른 한쪽은 횡단 와이어"4"를 수용하도록 2개의 스톱 노치(24)를 포함하며, 제 1 아암은 그의 말단중의 한쪽에 단지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1 유닛(1)과 제 2 유닛(1') 양쪽에 대한 탭(17, 18)의 이점은 이들 유닛(10, 10')의 각각의 단부 와이어를 위한 스톱 돌출부 또는 핀을 구성하며, 와이어(10')는 그들이 커플링(11)의 제 2 아암(13)의 측면에 탭(17, 18)에 대하여 위치된 오목부(27)내에 위치되어진다.
이 스톱 돌출부는 유닛(1, 1')의 횡단 단부 와이어(10, 10')가 서로에 대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길이방향 와이어의 단부에서의 어떠한 문제를 회피한다.
또한, 탭(17, 18)에 직각인 스트립(14) 구역은 구멍(68)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구멍은 유닛(1, 1')을 접지하기 위한 부분 또는 조립동안 유닛(1, 1')의 전기적 연속성을 확실하게 하는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다른 부속품을 허용한다.
제 2 아암(13)을 제 2 유닛(1')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탄성 캐치수단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이 캐치수단은 커플링의 자유단부에 있는 탄성 테두리(28)로 구성되며, 이 탄성 테두리의 단부(29)는 경사진 도구(guideway)를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는 이 테두리와 함께 동작하는 횡단 와이어에 대한 캐치 하우징을 형성하는 굴곡부(crook)(30)를 포함한다. 하우징(30)내에 와이어(4')를 맞무는 것은 경사진 단부(29)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제 2 아암(13)의 자유단부의 변형은 도 7에 A로 도시되어 있다. 탄성 테두리(28')의 형상은 와이어(4')을 캐치하는 도구(29')와 하우징(30') 양쪽을 제공한다.
변형에 있어서, 도 3에 A로 도시된 탄성 시스템 대신에, 커플링(11)의 제 2 아암은 도 3의 B로 커플링의 중앙부분으로 상세하게 도시된 부분을 대체하는 도 8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3의 A로 도시된 단부는 도 9a와 9b에 도시된 단부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의 탄성 캐치수단은 제 2 유닛(1'')의 단부에 있는 횡단 와이어(10'')에 대한 캐치 하우징을 형성하는 오목부(32)에 뒤따르는 핀 또는 램프(31)를 포함한다.
이 유닛(13)의 자유단부는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횡단 와이어(4')에 대한 가이드 수단, 즉 포크(fork)로 구성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횡단 와이어(4')는 스트립(33, 34)과 커플링의 가장자리(15, 16) 사이에 내장되며, 포크의 자유단부는 횡단 와이어(4')의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도록 플레어져 있으며 포크의 베이스(35)는 와이어(4')에 대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도 3에 A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탄성 수단은 케이블 트레이의 양쪽의 탄성 변형을 요구하며, 특히 유닛(1')의 횡단 와이어는 이들 수단과 함께 작용하며, 커플링 또는 한 번에 양쪽을 캐칭하도록 하며 커플링상의 제 2 유닛(1')의 조립체는 제 1 유닛(1)에 이미 장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리 장착된 유닛(1)을 도시하며, 2개의 커플링(11, 11')이 유닛(1)의 측면 가장자리(6, 7)의 제 1 아암(12, 12')에 의해 동시에 장착되며, 가장자리 와이어(8)와 다음의 길이방향 와이어(3), 유닛(1)의 다른 단부(9) 사이는 다른 미리 장착된 유닛을 수용하도록 준비된다. 미리 장착된 유닛(1)은 2개의 커플링(11, 11')의 2개의 제 2 아암(13, 13')에 유닛(1)에 동일한 새로운 유닛(1')을 수용하도록 준비한다.
장착은 약간 비스듬하게 정열된 2개의 유닛(1, 1')을 브리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공통 축을 따라 2개의 유닛(1, 1')을 함께 미는 것에 의해 캐치 하우징(30, 30')에 횡단 와이어(4')를 맞물도록 커플링의 아암의 자유단부(13, 13')에 위치된 전술한 가이드 수단을 사용한다.
유사하게, 유닛(1)의 다른 자유단부가 새로운 미리 장착된 유닛을 수용하도록 준비되며, 이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길이는 매우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커플링(50)이 2개의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장착되어 조립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며, 제 1 유닛은 2개의 횡단 와이어(51, 52)로 나타내며 와이어"52"는 단부 와이어이며, 제 2 유닛은 또한 2개의 횡단 와이어(53, 54)로 나타내며 와이어"53"은 단부 와이어이다. 참조부호"55"는 제 1 아암을 나타내며, 참조부호"56"은 커플링(50)의 제 2 아암을 나타내며, 스트립의 일반적인 형상은 접혀진 가장자리이다.
제 1 아암에 대한 장착수단은 와이어(52)를 내장하고 이 아암(55)의 자유단부에 위치된 탭(57)과 와이어(51)상에 커플링을 내장하여 래치할 수 있는 루프(58)를 포함한다.
도 11의 경우에 있어서, 커플링은 길이방향 와이어에 대한 지탱 표면을 포함하지 않으며, 장착은 2개의 연속적인 와이어(51, 52)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아암(56)은 경사진 도구를 구비한 탄성 테두리수단(59)과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와이어에 대한 캐치 하우징(54)을 형성하는 굴곡부(60)를 포함한다.
장착될 때, 제 2 유닛의 단부 와이어(53)는 탭(57)에 밀접하게 위치된다.
도 11의 커플링은 루프(58)에 따르는 제 1 아암의 단부(55)에 있는 제 2 루프(61)를 포함한다.
이 제 2 루프(61)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커플링의 후방을 둘러싸며 캐치하고 이 제 2 루프(61)에 내장된 횡단 와이어와 다음의 횡단 와이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오목부(62) 사이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커플링은 장착되어지는 유닛의 외측을 유지한다.
루프(61)는 힌지로써 작용한다.
이 커플링은 제 2 루프(61)에 내장된 횡단 와이어, 이 경우에 있어서 와이어(51)로써 제 1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지되며, 다른 와이어(63, 64)는 그들의 하우징내에 자연적으로 위치되어진다.
이 방식에 있어서, 커플링은 장착된 위치로 와이어를 이끌어 미리 장착된 유닛을 생산하도록 와이어(51)에 대해 180°로 피봇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제 1 아암은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매우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대해, 장착은 위치내로 래치할 때까지 길이방향 및 횡단 지탱 표면 전체에 걸쳐 커플링(11, 11')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래칭은 탭(17, 18)과 스톱 노치(24)의 존재에 의해 촉진되어진다. 이는 대향 방향으로의 슬라이딩하는 힘에 의해 떼어내어진다.
필요에 따라, 스크류드라이버가 커플링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단부에 있어서, 구멍, 예를 들면 사각 구멍(67)이 스톱 노치(24)의 외측으로 스트립(14)의 아암(12)에 제공되며, 스크류드라이버가 하우징 노치(24)로부터 횡단 와이어(4)를 맞물거나 또는 분리하도록 한쪽 방향 또는 양쪽 방향으로 횡단 외이어(4)를 들어올리도록 구멍(67)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밀려진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대해, 제 1 아암은 그들 각각의 하우징내의 횡단 와이어 단부(51, 52)를 맞무는 것에 의해 제 1 유닛에 장착되며, 탭(57)에 와이어(52)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시작하여 와이어(51)가 루프(58)에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역동작이 이를 때어낸다.
또한, 각 아암(12, 13, 55, 56)의 장착 수단은 커플링의 각 아암이 래치된 유닛에 대해 최소 또는 제로 작업물을 가지는 유닛에 대응하여 조립되고 래치되는 위치 및 크기를 가진다.
이는 각 아암에 대한 다양한 장착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며, 약간의 인장응력이 대응하는 아암에 설정되도록 배치되어진다.
이는 미리 장착된 유닛과 2개씩 조립된 유닛에 대한 양쪽에 커플링의 진동 또는 떨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커플링의 장착 및 분리는 전술한 부속품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플링은 실물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커플링 또는 미리 장착된 유닛의 양쪽에 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링과 미리 장착된 케이블 트레이 유닛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4)

  1. 길이방향 및 횡단 와이어의 메시형태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으로써, 상기 커플링은 2개의 아암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며, 각 아암에는 제 1 유닛의 단부 구역과 제 2 유닛의 단부 구역의 각 위치에 제거가능하게 래치시키기 위한 장착수단이 제공된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유닛에 커플링 고형체를 단독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유닛에 상기 제 2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2개의 유닛의 조립동안 상기 제 2 유닛의 횡단 와이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캐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 조립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장착수단은 소망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의 장착수단은 하나의 부분으로 상기 스트립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에는 장착되어지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혀진 가장자리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클리어런스와는 별개로 유닛의 2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와이어를 분리하는 간격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길이방향 와이어는 상기 유닛의 측면에 위치된 와이어이며, 상기 길이방향 와이어중의 하나는 가장자리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횡단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과 제 2 횡단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루프로 구성되며,
    상기 탭-루프는 상기 제 1 케이블 트레이 유닛에 전제적으로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상기 제 1 아암의 자유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루프가 상기 루프 가까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루프는 힌지로 구성되며, 커플링이 장착된 위치에 대향하는 역 위치로 상기 유닛을 따라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와이어를 지탱하는 길이방향 표면으로 구성되며, 이 길이방향 지탱 표면의 양쪽 측면에는 횡단 와이어를 지탱하는 횡단 표면을 가지며,
    상기 2개의 횡단 지탱 표면은 2개의 다른 횡단 와이어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 지탱 표면에 부여된 힘은 상기 2개의 횡단 와이어 표면에 부여된 힘에 대향 방향으로 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마크가 소정 위치로 커플링이 위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소정 위치로 상기 커플링을 래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횡단 와이어는 2개의 연속적인 횡단 와이어를 지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지탱 표면은 상기 스트립의 가장자리에 측면으로 위치된 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러그는 2개의 길이방향 와이어를 지탱할 수 있는 형상이며, 그들의 길이방향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상기 스트립의 가장자리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지탱 표면은 상기 스트립 가장자리의 접혀진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 지탱 표면중의 한쪽과 함께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탭 또는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제 2 스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톱 수단은 다른 횡단 와이어와 함께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단 지탱 표면은 진입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의 탄성 캐치수단은 상기 아암의 자유단부에 밀접하게 위치되며, 횡단 와이어에 대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굴곡부가 제공된 테두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는 상기 스트립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0.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의 탄성 캐치수단은 상기 아암의 자유단부에 밀접하거나 또는 상기 커플링의 중앙에 밀접하게 위치된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핀은 횡단 와이어와 탄성적으로 함께 작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내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 2 아암의 자유단부에 위치된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커플링이 제공된 한쪽 단부와 커플링으로부터 자유로운 다른 단부를 가지며,
    다른 유닛에 장착된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다른 커플링의 2개의 아암의 탄성 캐치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커플링은 상기 유닛의 측면에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커플링은 상기 가장자리 와이어와 상기 가장자리 와이어로 진행하는 길이방향 와이어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유닛.
KR10-1998-0710801A 1996-07-26 1997-07-23 케이블트레이유닛및그의조립커플링 KR100390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9686A FR2751723B1 (fr) 1996-07-26 1996-07-26 Eclisse d'assemblage pour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et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obtenus
FR96/09686 1996-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70A true KR20000022370A (ko) 2000-04-25
KR100390367B1 KR100390367B1 (ko) 2004-01-31

Family

ID=949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01A KR100390367B1 (ko) 1996-07-26 1997-07-23 케이블트레이유닛및그의조립커플링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193434B1 (ko)
EP (1) EP0822364B1 (ko)
JP (1) JP3516960B2 (ko)
KR (1) KR100390367B1 (ko)
AT (1) ATE201257T1 (ko)
BR (1) BR9710599A (ko)
CA (1) CA2262494C (ko)
CZ (1) CZ294549B6 (ko)
DE (1) DE69704816T2 (ko)
DK (1) DK0822364T3 (ko)
ES (1) ES2159099T3 (ko)
FR (1) FR2751723B1 (ko)
ID (1) ID17670A (ko)
NO (1) NO318533B1 (ko)
PT (1) PT822364E (ko)
WO (1) WO1998004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11B1 (ko) * 2000-09-09 2003-06-02 탁태식 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8150B1 (en) * 1997-05-13 2002-01-08 Micron Technology, Inc. Diagnostic and managing distributed processor system
FR2791115B1 (fr) * 1999-03-19 2001-06-15 Vergokan Element de fixation pour une gouttiere en treillis
FR2796121B1 (fr) * 1999-07-06 2001-09-14 Metal Deploye Sa Accessoire de fixation pour chemin de cables en fils, et chemin de cables en fils equipe au moins d'un tel accessoire
US6463704B1 (en) * 1999-11-05 2002-10-15 Roger Jette Cable support apparatus for a raised floor system
FR2804253B1 (fr) * 2000-01-24 2002-05-10 Krieg & Zivy Ind Chemin de cables en fils a haute resistance
FR2821211B1 (fr) * 2001-02-16 2003-07-25 Krieg & Zivy Ind Eclisse de raccordement pour chemins de cables en fils, chemin de cables en fils equipe d'une telle eclisse et ensemble de chemins de cables en fils raccordes par une telle eclisse
US6709186B2 (en) * 2001-11-16 2004-03-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WO2003084018A1 (en) * 2002-03-27 2003-10-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093997B2 (en) 2002-03-27 2006-08-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FR2841694B1 (fr) * 2002-06-26 2005-01-14 Const Electr De La Seine Ces Support de conduits en treillis
CA2406555A1 (en) * 2002-10-04 2004-04-04 Legrand S.P.A. A protection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and a tray including said member
US20040245411A1 (en) * 2003-05-08 2004-12-09 Phelan Kevin Patrick Modular cable support system
FR2857789B1 (fr) * 2003-07-17 2005-09-30 Const Electr De La Seine Ces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support de conduits et support de conduits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858127B1 (fr) * 2003-07-21 2007-05-11 Gewiss France Sa Organe d'assemblage de deux goulottes en treillis de fils soudes, goulotte en treillis de fils soudes et chemin pour cables en comportant application
US7546987B2 (en) * 2003-08-20 2009-06-16 Howard Sinkoff Cable tray assemblies
FR2859318B1 (fr) * 2003-08-25 2005-10-07 Gewiss France Sa Goulotte et eclisse pour chemin pour cables, chemin pour c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goulotte
FR2865320B1 (fr) * 2004-01-15 2006-04-07 Const Electr De La Seine Ces Support de conduits en treillis comportant deux troncons relies par une eclisse.
US20060038091A1 (en) * 2004-08-18 2006-02-23 Gregg Winn Cable tray system
FR2883108B1 (fr) * 2005-03-14 2007-06-08 Icm Group Sa Eclisse de chemin de cables en fils
US7544895B2 (en) * 2005-05-06 2009-06-09 Societe De Constructions Electriques De La Seine (Ces) Fishplate and a wire duct tray comprising at least two segments interconnected by such a fishplate
EP1727252A1 (en) * 2005-05-26 2006-11-29 Legrand S.p.A. Joining device for mesh cable trays
FR2888683B1 (fr) * 2005-07-12 2007-10-12 Icm Group Sa Eclisse de raccordement de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FR2894726B1 (fr) * 2005-12-13 2008-02-29 Icm Group Sa Chemin de cables en fils, notamment chemin de cables a usage domestique
US7315680B1 (en) * 2006-06-21 2008-01-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routing devices with integrated couplers
US20080023212A1 (en) * 2006-07-20 2008-01-31 Larsen Lars R Cable pathway patch panel rack
US7584929B2 (en) * 2007-02-21 2009-09-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896295B2 (en) * 2007-02-21 2011-03-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481597B2 (en) * 2007-02-21 2009-01-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504583B2 (en) * 2007-02-21 2009-03-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815152B2 (en) 2007-02-21 2010-10-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463809B2 (en) * 2007-02-21 2008-12-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20080197243A1 (en) * 2007-02-21 2008-08-2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493005B2 (en) 2007-02-21 2009-02-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upler for cable trough
US7954776B2 (en) * 2007-07-05 2011-06-07 Panduit Corp. Wire basket pathway system
DE202007009658U1 (de) * 2007-07-11 2007-09-06 Niedax Gmbh & Co. Kg Gitterrinne sowie Gitterrinnenverbindung
US20090223152A1 (en) * 2008-03-07 2009-09-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Wire Tray Stock
FR2937400B1 (fr) * 2008-10-17 2013-05-24 Cts Cable Tray Systems Sas Piece d'assemblage de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en treillis de fils pouvant prendre deux positions et chemin de cables equipe d'une telle piece.
US8263863B2 (en) * 2009-01-05 2012-09-11 Chatsworth Products, Inc. Cable radius anchor for wire mesh basket tray
USD777114S1 (en) * 2009-01-13 2017-01-24 Richard Gregg Winn Wire cable tray
DE202009003045U1 (de) * 2009-03-06 2010-07-22 Paul Hettich Gmbh & Co. Kg Schnellbefestigungseinrichtung
FR2948504B1 (fr) 2009-07-27 2012-12-14 Cts Cable Tray Systems Sas Systeme de verrouillage pour chemins de cables et chemins de cables munis d'un tel systeme
FR2956256B1 (fr) 2010-02-08 2015-05-22 Icm Group Chemin de cables en fils
US8783628B2 (en) 2010-03-26 2014-07-22 Roger Jette Flexible cable management system
US8424814B2 (en) 2010-05-19 2013-04-23 Panduit Corp. Cable tray cable routing system
ES2396209B1 (es) 2011-07-14 2014-01-30 Valdinox, S.L. Tramo de bandeja portacables.
ES2549931T3 (es) 2011-12-15 2015-11-03 Niedax France Sistema de bloqueo de dos tramos de carril de cables
ES2435736R1 (es) * 2012-06-20 2014-02-06 Valdinox, S.L. Bandeja portacables conformada por tramos de bandeja acoplables entre sí
US10483733B2 (en) 2012-10-09 2019-11-1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Joint strip
US9293899B2 (en) 2013-02-12 2016-03-22 Panduit Corp. Transition splice for cable routing system
FR3007592B1 (fr) 2013-06-20 2015-07-17 Cts Cable Tray Systems Sas Troncon de chemin de cables a encliquetage transversal, chemin de cables comprenant de tels troncons et procede de fabrication
US9209609B2 (en) 2013-06-26 2015-12-08 Cablofil Inc.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WO2015002459A1 (ko) * 2013-07-02 2015-01-08 주식회사 폴리시스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연결장치
US20150071597A1 (en) * 2013-09-06 2015-03-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assette systems with fiber retaining covers
DE202014100932U1 (de) * 2014-01-28 2014-03-27 Accuride International Gmbh Schnellbefestigungselement und Führungsschiene
ES2518741B1 (es) * 2014-03-18 2015-08-11 Pemsa Pequeño Material Eléctrico, S.A. Pieza de unión para tramos de bandeja portacables de rejilla y tramo de bandeja portacables de rejilla
US10003180B1 (en) 2015-11-30 2018-06-19 Chatsworth Products, Inc. Cable pathway divider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US10935060B2 (en) * 2017-02-13 2021-03-0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plice plate for cable tray fitting
ES1201060Y (es) 2017-11-06 2018-09-19 Pemsa Cable Man S A Dispositivo de union para bandejas portacables de rejilla y tramo de bandeja portacables de rejilla
KR101887232B1 (ko) * 2018-04-17 2018-08-09 (주)선일이엔지 방진용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와 헹거
US10433658B1 (en) * 2018-09-12 2019-10-08 Trion Industries, Inc. Tray divider panel attachment for wire-sided trays
FR3108210B1 (fr) * 2020-03-13 2022-04-01 Legrand France Tronçon de chemin de câble s présentant une extrémité éclissée
US11398720B2 (en) * 2020-04-01 2022-07-26 Cablofil, Inc. Flex-fitting cable tray
US11404857B2 (en) * 2020-04-01 2022-08-02 Cablofil, Inc. Flex-fitting cable tray
US11283250B2 (en) * 2020-07-24 2022-03-22 Cablofil, Inc. Slider bracket assembly
US11677221B2 (en) 2020-10-22 2023-06-13 Panduit Corp. Locking snap-on splice for cable basket
US11909154B1 (en) 2021-03-08 2024-02-20 Chatsworth Products, Inc. Endcap for establishing electrical bonding connection
EP4080701A1 (en) 2021-04-20 2022-10-26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Cable tray clip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4228110A1 (en) 2022-02-11 2023-08-16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plice clip for cable tray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89646A (en) * 1964-06-30 S. Jaworski Leonard Molding clip
US3767841A (en) * 1972-07-25 1973-10-23 Amp Inc Conductor in-slot electrical connectors
US4393560A (en) * 1980-06-28 1983-07-19 Kabushiki Kaisha Togo Seisakusho Clip for retaining a windshield molding in an automobile
FR2652206B1 (fr) * 1989-09-15 1991-12-06 Krieg & Zivy Eclisse rapide pour chemin de cable en fils soudes.
US5203022A (en) * 1991-03-05 1993-04-13 Motorola, Inc. Clamping assembly for interlocking a radio and battery housing
FR2687207B1 (fr) * 1992-02-11 1995-05-24 Mavil Eclisses pour treillis en fils soudes.
FR2691590B1 (fr) * 1992-05-22 1994-07-29 Petit Max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auto-encastrab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tels troncons.
FR2711208B1 (fr) * 1993-10-15 1995-11-24 Metal Deploye Sa Eclisse pour assemblage de tronçons de chemins de câbles.
FR2727712A1 (fr) * 1994-12-01 1996-06-07 Metal Deploye Sa Element porteur pour structures en treillis
US5614153A (en) * 1995-05-26 1997-03-25 Rainin Instrument Co., Inc. Pipette tip ejector
US6024329A (en) * 1997-11-10 2000-02-15 Defem System Ab Support device for a cableway
US6061884A (en) * 1999-01-15 2000-05-16 Gs Metal Corp. Interlocking cable support tra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11B1 (ko) * 2000-09-09 2003-06-02 탁태식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2494A1 (fr) 1998-02-05
PT822364E (pt) 2001-11-30
CZ26999A3 (cs) 1999-05-12
FR2751723B1 (fr) 1998-09-11
JP2000515954A (ja) 2000-11-28
KR100390367B1 (ko) 2004-01-31
ID17670A (id) 1998-01-15
EP0822364A1 (fr) 1998-02-04
EP0822364B1 (fr) 2001-05-16
NO318533B1 (no) 2005-04-11
CZ294549B6 (cs) 2005-01-12
ATE201257T1 (de) 2001-06-15
DE69704816T2 (de) 2001-11-22
US6402418B1 (en) 2002-06-11
DE69704816D1 (de) 2001-06-21
WO1998004860A1 (fr) 1998-02-05
CA2262494C (fr) 2004-05-25
NO990343D0 (no) 1999-01-25
ES2159099T3 (es) 2001-09-16
NO990343L (no) 1999-03-26
JP3516960B2 (ja) 2004-04-05
BR9710599A (pt) 2002-03-12
US6193434B1 (en) 2001-02-27
FR2751723A1 (fr) 1998-01-30
DK0822364T3 (da) 200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370A (ko)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
US6431501B1 (en) Interlocking modular ladder-type cable tray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RU240089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накладка для трассы кабеля из проволочных нитей
EP0479227B1 (fr) Dispositif de montage et de fixation de modules unitaires sur un support de maintien
US9853428B2 (en) Cable tray cable routing system
RU2395885C2 (ru) Наклад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участков кабельных трасс
US7452157B2 (en) Connecting butt straps for wire cable trays wire cable trays equipped with same wire cable tray assemblies connected with same
AU652111B2 (en) Communication box assembly
JP7489182B2 (ja) イージーロックp字型クランプ
US20120175470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US7523897B2 (en) Device for fixing a wire on a load bearing elemen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pening
US20030116682A1 (en) Joining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US4641991A (en) Connector for reinforcing rods
CN111344921A (zh) 用于连接网式线缆桥架的连接装置和网式线缆桥架部分
EP1708207B1 (fr) Outillage pour la fabrication de harnais rigides à grosses sections
US11677221B2 (en) Locking snap-on splice for cable basket
CZ294553B6 (cs) Účinné polotuhé výrobky pro osobní hygienu
GB2467426A (en) Joining device for grid trays
JP7447109B2 (ja) 接合アセンブリ及び接合アセンブリで使用するための固定装置
EP0289429B1 (fr) Ensemble d'éléments de boîtiers pour la réalisation de faisceaux de câblage
KR20030082938A (ko)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쐐기의 막힌 단부의 커넥터
US6024329A (en) Support device for a cableway
WO1992004755A1 (en) Cable tray systems and connecting devices therefor
FR2857792A1 (fr) Eclisse et support de conduits en treillis comportant au moins deux troncons relies par une telle eclis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