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818A -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818A
KR20000021818A KR1019980041091A KR19980041091A KR20000021818A KR 20000021818 A KR20000021818 A KR 20000021818A KR 1019980041091 A KR1019980041091 A KR 1019980041091A KR 19980041091 A KR19980041091 A KR 19980041091A KR 20000021818 A KR20000021818 A KR 2000002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recognizing
ccd sensor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163B1 (ko
Inventor
곽동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16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5Detecting the leading or trailing ends of a moving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61Detection methods using reference marks, e.g. on sheet, sheet holder or gu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고대에 구비되는 스케일의 선단측 하부에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점인 인식기준판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인식기준판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결정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를 원고의 선단으로 하여 CCD센서상의 대응되는 화소가 이 원고의 선단의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를 실시하도록 하고, 원고대와 CCD센서의 조립오차가 발생되었을 때는 CCD센서가 원고의 선단과의 조립오차를 반영하여 가감된 n번째 화소를 원고의 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 및 조립 오차로 인한 원고의 선단 인식 불량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스캐너와 같은 화상입력기기의 원고독취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D 센서의 조립시 주주사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로 원고의 선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입력기기에서 광로이동식 축소형 광학계를 탑재한 화상독취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1)와, 원고대(1)에 놓여진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노광램프(2) 및 원고의 화상을 반사하는 제1 반사미러(3)로 이루어지는 제1 스캐닝 캐리지(4)와, 제1 반사미러(3)에서 반사되는 원고의 화상을 다시 반사하는 제2,3 반사미러(5)(6)가 구비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7)와, 제2,3 반사미러(5)(6)에서 반사되는 화상을 집광시키는 집광렌즈(8) 및 이 집광렌즈(8)에서 집광된 화상이 결상되는 CCD센서(9)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독취기는 종래에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는 동작은 CCD센서(9)에서 임의의 n 번째 화소를 미리 결정하여 이를 원고의 선단으로 인식하여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고의 선단 독취 방식에 의하면, 제품의 제작 오차 및 조립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 원고의 선단 위치가 제품마다 상이하게 되므로 화질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차가 발생된 원고의 선단을 조정하기 위하여 CCD센서의 조립시 주주사 방향의 위치를 맞추게 될 때 별도의 조정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의 선단을 항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조립 오차에 따른 원고선단의 오인식을 방지하도록 한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입력기기인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고대 20 ; 노광램프
30 ; 제1 반사미러 40 ; 제1 스캐닝 캐리지
50,60 ; 제2,3 반사미러 70 ; 제2 스캐닝 캐리지
80 ; 집광렌즈 90 ; CCD센서
100 ; 렌즈홀더 110 ; 조립기준턱
200 ; 스케일 210 ; 인식기준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는 원고대와, 원고의 상을 노광시키는 노광램프 및 제1 반사미러가 탑재된 제1 스캐닝 캐리지와, 제1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상을 재반사시키는 제2,3 반사미러가 탑재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와, 제2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된 상을 결상시키는 집광렌즈 및 CCD센서가 구비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독취기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에 구비되는 스케일의 선단측 하부에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점인 인식기준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홀더에는 CCD센서의 조립시 주주사 방향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립기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기준판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결정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를 원고의 선단으로 하여 CCD센서상의 대응되는 화소가 이 원고의 선단의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를 실시하는 단계와; 원고대와 CCD센서의 조립오차가 발생되었을 때는 CCD센서가 원고의 선단과의 조립오차를 반영하여 가감된 n번째 화소를 원고의 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방법도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원고대(10)와, 원고의 상을 노광시키는 노광램프(20) 및 제1 반사미러(30)가 탑재된 제1 스캐닝 캐리지(40)와, 제1 스캐닝 캐리지(40)에서 반사되는 상을 재반사시키는 제2,3 반사미러(50)(60)가 탑재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70)와, 제2 스캐닝 캐리지(70)에서 반사된 상을 결상시키는 집광렌즈(80) 및 CCD센서(90)가 구비되는 렌즈홀더(10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원고대(10)의 일측에 원고를 정렬하기 위한 스케일(200)의 배면 소정 부위에는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는 인식기준판(210)을 설치한다. 이러한 인식기준판은 보통 검정색의 테이프 또는, 박막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렌즈홀더(100)에는 CCD센서(90)의 조립시 주주사 방향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립기준 걸림턱(11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CD센서의 조립시 렌즈홀더(100)에 형성된 조립기준 걸림턱(110)에 밀착시켜 고정결합함으로써 항시 일정한 위치에 CCD센서(90)가 주주사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처럼 CCD센서(90)가 렌즈홀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CCD센서(90)의 첫 번째 화소를 F 라 할 때, 인식기준판(210)의 일단인 D 점의 노광된 화소의 결상점이 CCD센서(90) 상에 대응되는 화소는 D' 점이 된다.
인식기준판(210)의 일단인 D 점으로부터 유효 독취영역을 C 라 할 때, 임의로 결정된 일정거리(B) 만큼 이격된 위치 E 점을 원고의 선단으로 하면, 실제 독취영역은 A 가 되며, 따라서 원고(P)의 선단(E)이 CCD센서상의 대응되는 화소는 E' 가 되어 E 의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CCD센서는 독취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원고대(10)와 CCD센서(90)와의 조립오차가 발생되었을 때는 원고(P)의 선단(E)이 CCD센서(90)상에 대응되는 화소는 E'와 조립오차를 반영하여 가감된 n 번째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하면 된다.
즉, 조립오차에 의한 원고선단의 변화는 CCD센서(90) 상의 대응화소인 E'가 가변되어서 그때의 원고선단(E)이 대응되는 새로운 n 번째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하면 된다.
여기서 인식기준판(210)의 일단(D)으로부터 원고선단(E)까지의 거리 B는 미리 정의된 거리이며, 조립 및 가공 오차에 의한 거리를 CCD센서(90)의 대응화소가 가변되어서 새로운 n 번째 화소(D의 신호 인식후 미리 정의된 일정한 화소수를 가감한 화소)를 원고의 선단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식기준판(210)의 일단인 D 점으로부터 CCD센서(90)가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여 독취가 실시되므로 원고(P)를 인식기준판(210)으로부터 셋팅시킨 상태에서 독취가 이루어지면 원고(P)의 선단부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장치는 제품의 제조 및 조립 오차로 인한 원고의 선단 인식 불량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렌즈홀더에 CCD센서 조립기준턱을 마련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CCD센서의 정확한 조립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원고대와, 원고의 상을 노광시키는 노광램프 및 제1 반사미러가 탑재된 제1 스캐닝 캐리지와, 제1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되는 상을 재반사시키는 제2,3 반사미러가 탑재되는 제2 스캐닝 캐리지와, 제2 스캐닝 캐리지에서 반사된 상을 결상시키는 집광렌즈 및 CCD센서가 구비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독취기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에 구비되는 스케일의 선단측 하부에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점인 인식기준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에는 CCD센서의 조립시 주주사 방향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조립기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3. 원고대에 구비되는 스케일의 선단측 하부에 원고의 선단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점인 인식기준판이 설치되는 화상독취기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준판의 일단으로부터 임의로 결정된 일정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를 원고의 선단으로 하여 CCD센서상의 대응되는 화소가 이 원고의 선단의 화소를 원고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를 실시하는 단계와;
    원고대와 CCD센서의 조립오차가 발생되었을 때는 CCD센서가 원고의 선단과의 조립오차를 반영하여 가감된 n번째 화소를 원고의 선단으로 인식하여 독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방법.
KR1019980041091A 1998-09-30 1998-09-30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27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91A KR100271163B1 (ko) 1998-09-30 1998-09-30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91A KR100271163B1 (ko) 1998-09-30 1998-09-30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818A true KR20000021818A (ko) 2000-04-25
KR100271163B1 KR100271163B1 (ko) 2000-11-01

Family

ID=1955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091A KR100271163B1 (ko) 1998-09-30 1998-09-30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55B1 (ko) * 2001-02-08 2008-01-0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55B1 (ko) * 2001-02-08 2008-01-0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163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9137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100271163B1 (ko) 화상독취기의 원고선단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1144918A (ja) 画像読取装置
JPS60154769A (ja) 光学読取装置におけるシエ−デイング補正方式
US6515771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a reference image and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distortion based on reading the reference image
US699587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6469774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3230850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1245109A (ja) 画像読取装置
JPH1135551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写機
JP3006229B2 (ja) スキャナの原稿回収装置
JP3125522B2 (ja) 画像読取装置
JP3360306B2 (ja) スキャナ
JP4476823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26447A (ja) 画像読取装置
JPS62133439A (ja) 原画フイルム周辺情報読取装置
JPS593650Y2 (ja) 原稿読取走査装置における固体走査素子取付具
JP2562028B2 (ja) 画像読取装置
JP3403064B2 (ja) 複写装置
JPH09172527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H02272874A (ja) 画像読取装置
JPH06291945A (ja) 画像読取装置
JPS58143665A (ja) 密着型読取装置
JPH06105082A (ja) 画像読取装置
JPH08237444A (ja) 画像読取装置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