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711U -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9711U KR20000019711U KR2019990006414U KR19990006414U KR20000019711U KR 20000019711 U KR20000019711 U KR 20000019711U KR 2019990006414 U KR2019990006414 U KR 2019990006414U KR 19990006414 U KR19990006414 U KR 19990006414U KR 20000019711 U KR20000019711 U KR 2000001971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tray
- electrode
- electrode plate
- ionic impuriti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액정이 저장된 액정 트레이상에 액정 패널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 부분을 끼우기 위한 긴 침지홈이 형성된다. 침지홈의 양측벽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고, 양 홈부에 전극판이 설치된다. 양측 전극판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각 전극판을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시키는 전원이 각 전극판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트레이에 저장된 액정에 함유된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과 함께 액정 패널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하 유리기판의 내측면에 부착된 투명도전막인 전극 사이에 고분자 유기배향막을 도포하여 러빙 처리한다. 이후, 상하 유리기판이 일정간격(5∼7㎛)으로 유지되도록 스페이서를 섞은 열경화성 시일제를 하부 유리기판에 인쇄하고, 상하 유리기판을 합착한 다음, 열경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액정 패널에 액정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얀(yarn) 방식, 보트(boat) 방식, 및 딥(dip) 방식이 있다.
얀 방식은 섬유소재인 얀을 액정에 담궈서 충분한 양의 액정을 흡입시킨 다음, 얀을 보트에 구비된 장홈에 넣은 후, 보트를 액정 패널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에 근접,위치시키면, 액정 주입쳄버에 미리 형성된 진공압과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인력으로 액정이 액정 패널 내부로 주입되는 방식이다.
한편, 보트 방식은 얀을 채용하지 않고, 액정 주입구에 직접 액정을 부어서 주입하는 방식이고, 딥 방식은 액정이 가득찬 트레이에 액정 주입구를 담그어 주입하는 방식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딥 방식인데, 도 1에 딥 방식을 이용한 액정 주입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트레이(1)에는 일정 등간격으로 액정(4)이 저장되어 있고, 수 개의 액정 패널(3)이 카세트(2)에 수납되어 액정 트레이(1)에 세워 배치된다. 즉, 각 액정 패널(3)의 하단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가 액정(4)에 침지되어서, 액정(4)이 액정 주입구를 통해 액정 패널(3) 내부로 유입된다.
액정이 액정 패널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액정 패널(3)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다. 이러한 진공 상태의 액정 패널(3) 하단을 액정(4)에 담그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 액정(4)이 액정 주입구를 통해 액정 패널(3) 내부로 유입되고, 액정 패널(3) 내부를 질소 가스로 서서히 퍼지하게 되면, 액정이 액정 패널(3) 내부를 골고루 채우게 된다.
그런데, 액정 트레이에 담겨진 액정에는 이온성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온성 불순물은 액정 트레이의 재질, 액정을 옮길 때 사용되는 스포이드나 피펫, 또는 액정 트레이가 수납되는 챔버에 기인한다.
먼저, 액정 트레이의 재질은 대부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이다.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에는 크롬과 니켈이 각기 18%와 8%씩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금속에서 이온성 불순물이 발생된다.
그리고, 스포이드나 피펫으로부터 발생된 칼륨, 나트륨, 염소, 칼슘 등의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을 오염시키게 되고, 아울러 챔버 내부에도 이온성 불순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과 함께 액정 패널로 주입되면, 액정 패널로 전압 인가시 액정 주입구 주변에 얼룩이 발생되는 불량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액정 주입시 이온성 불순물이 사전에 포획하여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과 함께 액정 패널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므로써, 이온성 불순물로 인한 액정 주입구 주변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액정 트레이에 액정 패널이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액정이 압력차에 의해 액정 패널로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가 구비된 액정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정 트레이 11 ; 침지홈
20,21 ; 전극판 30 ; 전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포획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액정이 저장된 액정 트레이상에 액정 패널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 부분을 끼우기 위한 긴 침지홈이 형성된다. 침지홈의 양측벽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고, 양 홈부에 전극판이 설치된다. 양측 전극판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각 전극판을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시키는 전원이 각 전극판에 연결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각 전극판으로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각 전극판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되어서, 양극의 이온성 불순물은 음극판에 포획되고, 음극의 이온성 불순물은 양극판에 포획되므로써,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과 함께 액정 패널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가 구비된 액정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트레이(10) 내부에는 액정이 저장되고, 액정 패널을 액정에 침지시키기 위한 긴 침지홈(11)이 액정 트레이(10) 표면에 형성된다. 즉, 진공처리된 액정 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가 침지홈(11)을 통해 액정에 침지되어, 압력차에 의해 액정이 액정 주입구를 통해 액정 패널로 주입되게 된다.
한편, 침지홈(11)의 양측벽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 홈부에 전극판(20,21)이 설치된다. 각 전극판(20,21)에는 전원(30)이 연결되어서, 각 전극판(20,21)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전원(30)으로부터 전압을 각 전극판(20,21)으로 인가하게 되면, 각 전극판(20,21)은 양극과 음극 각각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음극의 이온성 불순물은 양극판(20)에 포획되고, 양극의 이온성 불순물은 음극판(21)에 포획된다. 그러므로,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과 함께 액정 패널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극판과 음극판을 이용해서 이온성 불순물을 포획하므로써, 액정과 함께 이온성 불순물이 액정 패널로 유입되어, 액정 주입구 부분에 얼룩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 액정 트레이의 표면에 형성되어 액정 패널의 액정 주입구가 침지되는 침지홈의 양측벽을 따라 형성된 홈부;상기 양측 홈부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전극판; 및상기 각 전극판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여,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각 전극판이 양극과 음극으로 대전되어, 액정에 함유된 이온성 불순물이 각 전극판에 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6414U KR20000019711U (ko) | 1999-04-19 | 1999-04-19 |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6414U KR20000019711U (ko) | 1999-04-19 | 1999-04-19 |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9711U true KR20000019711U (ko) | 2000-11-25 |
Family
ID=5476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6414U KR20000019711U (ko) | 1999-04-19 | 1999-04-19 |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9711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6808A (ko) * | 2001-07-16 | 2003-01-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액정의 정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1999
- 1999-04-19 KR KR2019990006414U patent/KR2000001971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6808A (ko) * | 2001-07-16 | 2003-01-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액정의 정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19711U (ko) | 액정 트레이의 이온성 불순물 포획 장치 | |
JPS59124367A (ja) | 密封電気−光学表示セル | |
KR930005554B1 (ko) | 액정 표시소자의 액정주입 장치 및 방법 | |
KR930001831Y1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50073658A (ko) |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70051416A (ko) | 표시 패널의 실링 장치 및 방법 | |
KR100847819B1 (ko) | 액정 디스펜싱 장치 | |
KR100552284B1 (ko) |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JPS634216A (ja) | 液晶素子の製造方法 | |
KR20030001572A (ko)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19332B1 (ko) | 액정표시장치 판넬의 제조방법 | |
KR100698040B1 (ko) | 이동용 지그 | |
KR950011958B1 (ko) | 액정표시 장치의 액정주입방법 | |
KR100914195B1 (ko) | 액정표시패널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주입장치 | |
KR930001834Y1 (ko) | 액정 표시장치의 실험용 셀 | |
JPH07218922A (ja) | 液晶表示セル | |
KR0134835Y1 (ko) | 액정표시소자 | |
KR200221840Y1 (ko) | 액정 디스플레이 | |
KR930001823Y1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960014650B1 (ko) | 액정표시소자 | |
KR930002919B1 (ko) |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
JPH01237620A (ja) |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 |
JPS57161725A (en) | Liquid crystal cell | |
KR0134855Y1 (ko) | 액정표시소자의 액정주입장치 | |
JPH05249424A (ja) |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