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454U - 복합기의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의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454U
KR20000019454U KR2019990005984U KR19990005984U KR20000019454U KR 20000019454 U KR20000019454 U KR 20000019454U KR 2019990005984 U KR2019990005984 U KR 2019990005984U KR 19990005984 U KR19990005984 U KR 19990005984U KR 20000019454 U KR20000019454 U KR 200000194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ocument
feeder
document feede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8634Y1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5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기의 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원고가 적재되는 판상의 원고 급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고 급지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곳에는 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용지 카세트가 결합되고, 원고 급지대의 테두리에는 커버부가 용지 카세트의 표면까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원고 급지대의 형상 변형에 의해 용지 카세트의 용지 수용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므로 비용이 감소되며, 아울러, 용지의 오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복합기의 급지 장치{APPARATUS FOR FEEDING PAPER OF MULTI FUNCTIONAL MACHINE}
본 고안은 복합기의 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부품을 이용하여 용지 카세트의 용지 수용부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기의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사무기기는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프린터와 팩시밀리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바, 이것이 바로 복합기이다.
복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팅 기능뿐만 아니라 원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스캐닝 기능과, 스캐닝된 원고의 데이터를 인쇄하여 복사하는 복사 기능과, 스캐닝된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팩시밀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복합기능 수행장치로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쇄장치와 스캐닝장치 및 모뎀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최근에 개발된 복합기는, 복합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팩시밀리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와 프린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각각 상하로 구획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의 내부에는 상하로 팩시밀리모드(10)와 프린터모드(20)가 각각 구획 설치되어 있다.
팩시밀리모드(10)는, 본체(1)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원고(여기서, 원고는 일면에 데이터가 기록된 용지를 의미한다.)의 이송을 안내하는 원고 이송 경로(11)와,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고가 적재되는 판상의 원고 급지대(12)와, 원고 이송 경로(11)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독취장치(13)와, 독취장치(13)에 원고를 접촉시키기 위한 화이트 롤러(14)와, 독취장치(13)와 화이트 롤러(14)를 통과한 원고를 본체의 외부로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롤러(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모드(20)는, 본체(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며 용지(여기서, 용지는 인쇄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의 이송을 안내하는 용지 이송 경로(21)와, 본체(1)의 용지 투입구측에 설치되어 다수매의 용지를 적층하기 위한 용지 카세트(22)와,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미도시)와,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상면에 데이터를 프린팅하는 현상기(23)와, 현상기(23)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기(24)와,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본체(1)의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롤러(25)로 구성되어 있다.
팩시밀리모드(10)와 프린터모드(20)에 있어서, 각 모드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픽업 롤러(30)가 채용되며, 원고 급지대(12)와 용지 카세트(22)에 적재된 원고와 용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각각의 픽업 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사양과, 하나의 픽업 롤러(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원고와 용지를 급지하는 사양이 있다. 그리고, 픽업 롤러(30)에는 마찰 패드(31)(32)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픽업 롤러(30)와의 마찰력에 의해 원고와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를 전송하기 위해 원고를 원고 적재 플레이트(12)에 적재하면 원고유무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 제어부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픽업 롤러(30)를 정회전시키게 된다.
픽업 롤러(30)는 마찰 패드(31)와의 마찰력에 의해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시켜 픽업하여 원고진입감지센서(41)까지 이송시키며, 이 상태에서 전송을 위해 기기를 조작한 후 스타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시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원고를 독취장치(13)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원고는 독취장치(13)와 화이트롤러(14)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독취장치(13)는 원고의 데이터를 읽게 된다.
독취가 완료된 원고는 배지롤러(15)에 의해 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프린터모드(2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픽업롤러(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용지 카세트(22)를 픽업 롤러(30)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픽업롤러(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지 카세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일정 거리 이송시키게 된다.
현상기(23)를 지나면서 용지에 화상이 형성된 후, 정착기(24)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용지에 정착되며, 이어서, 배지 롤러(25)에 의해 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복합기에 따르면, 하나의 픽업 롤러(30)에 의해 원고와 용지가 픽업되므로 원고 급지대(12)와 용지 카세트(22)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할 수 밖에 없다. 이때, 용지 카세트(22)에는 항시 용지가 적재되어 커버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공간의 제약 때문에 하측에 배치된 급지 카세트(22)에 커버를 채용할 경우 상측의 원고 급지대(12)와 간섭이 발생되어 커버를 채용할 수 없으므로 용지 카세트(22)에 적재된 용지가 떨어지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간의 제약 때문에 별도 커버의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픽업롤러에 의해 원고와 용지를 픽업하는 경우 원고 급지대와 용지 카세트가 협소한 공간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도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오염되지 않도록 커버를 채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의 급지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 및 간단한 작업을 통해 용지 카세트를 외부와 차단시키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복합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원고 급지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2 : 원고 급지대
12a : 커버부 12b,22b : 정렬 가이드
22 : 용지 카세트 22a : 용지 수용부
30 : 픽업 롤러 30a : 픽업 롤러 회전축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복합기의 급지 장치는, 본체의 원고 투입구측에 설치되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원고가 적재되는 판상의 원고 급지대와, 상기 원고 급지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용지 카세트와, 상기 원고 급지대와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원고 또는 용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픽업하는 픽업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급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급지대의 테두리부에는 커버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지 카세트의 용지 수용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고 급지대의 선단부는 상기 픽업 롤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복합기의 급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복합기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급지대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복합기의 급지 장치는, 복합기 본체(1)의 일측에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급지대(12)와 복수매의 용지가 용지 카세트(22)가 상하로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각각 배치되며, 원고 급지대(12)와 용지 카세트(22)에 적재된 용지는 하나의 픽업롤러(30)에 의해 픽업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원고 급지대(12)의 테두리의 좌우 및 후면에는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커버부(12a)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커버부(12a)의 하단은 용지 카세트(22)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용지 카세트(22)의 용지 수용부(22a)를 외부와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원고 급지대(12)의 선단부 양측은 픽업롤러 회전축(3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원고 급지대(12)와 용지 카세트(22)에는 원고와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가이드(12b)(22b)가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급지 장치의 초기 상태는 원고 급지대(12)의 커버부(12a)가 용지 카세트(22)의 상측 및 측방으로 감싸게 되어 용지 수용부(22a)가 외부와 차단된다.
한편, 원고를 전송하기 위해 원고 급지대(12)에 원고를 적재한 후 정렬 가이드(12b)를 좌우로 움직여 원고를 정렬시킨다.
이 후, 기기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용지 카세트(22)에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작업을 설명하면, 원고 급지대(12)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원고 급지대(12)는 픽업 롤러 회전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용지 카세트(22)의 용지 수용부(22a)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 카세트(22)의 용지 수용부(22a)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지를 수납한 후 정렬 가이드(22b)를 움직여 용지를 정렬시킨다.
이어서, 원고 급지대(12)를 용지 카세트(22)측으로 회전시켜 용지 수용부(22a)를 외부와 차단시킨다.
따라서, 원고 급지대(12)의 커버부(12a)에 의해 용지 적재대(22)에 적재된 용지가 외부와 차단되므로 종래와 같이 용지가 떨어지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그리고, 별도의 커버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고 급지대(12)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부(12a)에 의해 용지 수용부(22a)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에 따른 제약이 없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복합기의 급지 장치에 의하면,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가 떨어지거나 오염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원고 급지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용지 카세트를 덮게되어 별도 커버의 설치를 위한 작업이 없어지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본체의 원고 투입구측에 설치되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원고가 적재되는 판상의 원고 급지대와, 상기 원고 급지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용지 카세트와, 상기 원고 급지대와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원고 또는 용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픽업하는 픽업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급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급지대의 테두리부에는 커버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지 카세트의 용지 수용부가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급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급지대의 선단부는 상기 픽업 롤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급지 장치.
KR2019990005984U 1999-04-13 1999-04-13 복합기의 급지 장치 KR200258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84U KR200258634Y1 (ko) 1999-04-13 1999-04-13 복합기의 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84U KR200258634Y1 (ko) 1999-04-13 1999-04-13 복합기의 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54U true KR20000019454U (ko) 2000-11-15
KR200258634Y1 KR200258634Y1 (ko) 2001-12-28

Family

ID=5476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84U KR200258634Y1 (ko) 1999-04-13 1999-04-13 복합기의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634Y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217B2 (ja) 画像読取装置
US6029970A (en)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in a multifunctional machine
JP4929098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552902A (en) Facsimile apparatus with internal mechanism for conveying originals and recording paper
US20040140606A1 (en) Original transport apparatus, original transport method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6962332B2 (en) Media conveying mechanism
JP200234805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65242B1 (ko)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532124B1 (ko) 화상형성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JPH0873107A (ja) 仕分け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58634Y1 (ko)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2006111373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22020358A (ja) 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288703B1 (ko) 복합기
KR20000020669U (ko) 복합기의 급지 장치
KR200336749Y1 (ko)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KR200160290Y1 (ko) 복합기에서 프린터 용지와 팩시밀리 수신 용지를자동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KR200231661Y1 (ko) 화상형성장치용 용지의 위치감지장치
KR100452547B1 (ko) 복합기의 자동 원고 이송장치
KR200363253Y1 (ko) 복합기의 동력전달장치
KR19980065861A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KR200217777Y1 (ko) 복합기의 원고/용지 이송장치
KR100189762B1 (ko) 원고와 인쇄 용지의 복합 자동 급지 장치
KR20000020473U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JP300509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