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49A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49A
KR20000019349A KR1019980037385A KR19980037385A KR20000019349A KR 20000019349 A KR20000019349 A KR 20000019349A KR 1019980037385 A KR1019980037385 A KR 1019980037385A KR 19980037385 A KR19980037385 A KR 19980037385A KR 20000019349 A KR20000019349 A KR 2000001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ssembly
cap
insulator
guid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405B1 (ko
Inventor
남상권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8003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405B1/ko
Priority to US09/293,311 priority patent/US6207319B1/en
Priority to JP11329099A priority patent/JP4339951B2/ja
Publication of KR2000001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목적 : 커런트 브레이크의 제조공정을 단축하여 전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성 : 캡 어셈블리(38)는 캡 커버(42)에 접촉되는 전류 제한기(44)와, 전류차단 디스크(50)가 결합된 절연체(48)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류차단 디스크(50)가 용접되어짐과 함께 상기 절연체(48)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이드(58)가 형성됨으로써 절연체(48)를 고정시키는 캡 플레이트(52)를 포함한다.
효과 : 캡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벤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돌출된 가이드는 가스켓과 절반정도가 접촉된 상태에서 캔의 개구가 크림핑됨에 따라 밀착범위를 넓히게 되어 캔의 밀봉성도 좋게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지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액체 전해질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며, 전지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여 포타블화하는 전자전기제품과 함께 점점 더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다.
리튬이온전지는 정극 활물질로 리튬-천이금속산화물이 사용되고, 부극 활물질로 탄소 혹은 탄소복합체가 사용되며, 그 사이에 유기 용매에 리튬염을 녹인 액체 전해질이 주입되어서, 상기 정극과 부극간에 리튬 이온이 이동되고 기전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전지는 정극과 세퍼레이터 및 부극이 함께 권취된 전극 롤을 액체 전해질과 함께 부극과 접속된 캔의 내부에 수납하고, 그 캔의 상부에 정극과 접속된 캡 어셈블리가 가스켓을 개재하여 캔과 절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는 종래 공지된 캡 어셈블리는 나타내고 있다.
캡 어셈블리(2)는 양극 단자의 기능을 갖는 캡 커버(4)와, 이(4)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전류 제한기(6), 안전밸브(8)를 갖춘 캡 플레이트(10)의 순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캔(12)의 상부를 크림핑(Crimping)함에 의해 어셈블리 및 밀봉된다.
상기 캡 어셈블리(2)의 커런트 브레이크(current breaker)는 절연체(14)를 개재한 전류차단 디스크(16)와 상기 캡 플레이트(10)가 용접되는 구성으로 되는데, 캡 플레이트(10)의 끝단을 벤딩하여 절연체(14)를 크림핑함에 따라 일체화된다.
여기서 전류차단 디스크(16)와 용접되는 캡 플레이트(10)의 중심부는 전지의 내압 팽창에 따른 전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전지 내부에서의 이상 화학 반응에 대한 가스 방출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최초 캡 플레이트(10)의 성형시 프레스 가공에 의한 노치를 형성하여 고의적 취약부분인 안전밸브(8)로 설계되어지는 것이며, 가스에 의한 내압상승시 노치가 파단하여 캡 커버(4)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다.
그러나, 커런트 브레이크가 제조되는 과정은 캡 플레이트(10)를 프레스 가공하고, 전류차단 디스크(16)를 용접한 후 절연체(14)를 개재한 다음 벤딩하는 순서로 여러단계를 거쳐야 함으로써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캔(12)의 크림핑으로 캔(12)의 개구를 밀봉한다고는 하나, 가스켓(18)과 캡 어셈블리(2)의 접촉부위에서 종종 전해액이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커런트 브레이크의 제조공정을 단축하여 전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캡 어셈블리는 캡 커버에 접촉되는 전류 제한기와, 전류차단 디스크가 결합된 절연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류차단 디스크가 용접되어짐과 함께 상기 절연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절연체를 고정시키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는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홈에 대해 대향되는 면의 철부인 것이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캡 플레이트의 중심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다수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는 링구형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캡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5은 종래 공지된 캡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6 : 캔 38 : 캡 어셈블리
40 : 가스켓 42 : 캡 커버
44 : 전류 제한기 46 : 커런트 브레이크
48 : 절연체 50 : 전류차단 디스크
52 : 캡 플레이트 56, 72 : 홈
58, 74 : 가이드 60 : 다이
62 : 펀칭 64 : 돌기
66 : 링구형 돌기 68 : 판재
70 : 노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캡 플레이트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캡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차전지는 정극(30)과 세퍼레이터(32) 및 부극(34)이 함께 권취된 전극 롤(36)을 액체 전해질과 함께 부극(34)과 접속된 캔(36)의 내부에 수납하고, 그 캔(36)의 상부에 정극(30)과 접속된 캡 어셈블리(38)가 캔(36)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 어셈블리(38)는 가스켓(40)을 개재하여 캔(36)과 절연되는 상태에서 캔(36)의 개구를 크림핑하여 밀봉하게 되는 것이며, 캡 어셈블리(38)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정극단자인 캡 커버(42)와, 전류 제한기(44) 및 커런트 브레이크(46)로 구성된다.
특히, 커런트 브레이크(46)는 절연체(48)를 개재한 전류차단 디스크(50)가 캡 플레이트(52)의 중심부에 용접되는데, 상기 캡 플레이트(52)는 그 중심부로 노치가 형성되어 안전밸브(54)를 구성하며, 그 외측으로 링구형 홈(56)이 형성됨에 따라 대향되는 면으로는 볼록하게 철부가 성형되어짐으로써 후술하는 가이드(58)로 되어진다.
이러한 캡 플레이트(52)의 성형과정을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우선 프레스 가공에 사용되어지는 다이(60)와 펀칭(62)을 목적한 형태에 맞게 금형으로 제작하여, 펀칭의 헤드에 노치 형성을 위한 돌기(64)와, 홈 형성을 위한 링구형 돌기(66)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상적인 프레스에 끼워넣고 재료가 되는 판재(68)를 다이(60)에 얹힌 후 타발하게 되면, 캡 플레이트(52)의 중심부에 노치(70)와 함께 컵부가 성형되고, 그 외측으로 가이드(5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가이드(58)는 상기 절연체(48)의 외측면과 맞물리게 되어 절연체(48)를 고정시키게 되며 절반 가량이 상기 가스켓(40)에 의해 덧씌워져 밀봉성을 좋게 한다.
상기 가이드(58)는 다른 실시예로써 캡 플레이트(52)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홈(72)을 형성하여 대향되는 면으로 다수의 돌기(74)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절연체(48)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캡 플레이트(52)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진 가이드(74)는 내측에 위치하는 절연체를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캡 어셈블리의 커런트 브레이크로 구성되어지는 캡 플레이트를 타발하여 성형할 때 프레스의 펀치에 돌기를 형성하여 가공함으로써, 캡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대향되는 면에 가이드를 돌출하여 가이드의 내측으로 절연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캡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벤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돌출된 가이드는 가스켓과 절반정도가 접촉된 상태에서 캔의 개구가 크림핑됨에 따라 밀착범위를 넓히게 되어 캔의 밀봉성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과 함께 액체 전해질이 수납된 캔의 상측 개구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캡 커버(42)에 접촉되는 전류 제한기(44)와 전류차단 디스크(50)가 결합된 절연체(48)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류차단 디스크(44)가 용접되어짐과 함께 상기 절연체(48)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가이드(58)가 형성됨으로써 절연체(48)를 고정시키는 캡 플레이트(52)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8)는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홈(56)에 대해 대향되는 면의 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56)은 상기 캡 플레이트(52)의 중심에 대해 동일한 거리에 다수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8)는 링구형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KR1019980037385A 1998-09-10 1998-09-10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KR10030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385A KR100300405B1 (ko) 1998-09-10 1998-09-10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US09/293,311 US6207319B1 (en) 1998-09-10 1999-04-16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JP11329099A JP4339951B2 (ja) 1998-09-10 1999-04-21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385A KR100300405B1 (ko) 1998-09-10 1998-09-10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49A true KR20000019349A (ko) 2000-04-06
KR100300405B1 KR100300405B1 (ko) 2002-06-20

Family

ID=1955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385A KR100300405B1 (ko) 1998-09-10 1998-09-10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07319B1 (ko)
JP (1) JP4339951B2 (ko)
KR (1) KR100300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700A (ko) * 2014-04-08 2015-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702A (ja) * 1998-06-15 2000-01-07 Alps Electric Co Ltd 電池の電路遮断機構
KR20040007405A (ko) 2000-10-20 2004-01-24 레이오백 코포레이션 전기화학 셀의 충전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E10313860A1 (de) * 2002-03-28 2003-10-30 Denso Corp Kraftstoffpumpe mit Bürs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2381376C (en) * 2002-04-10 2008-12-02 E-One Moli Energy (Canada) Limited Heade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4303938B2 (ja) * 2002-10-31 2009-07-29 Fdk株式会社 円筒型電池
TW200525854A (en) * 2003-08-15 2005-08-01 Rov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ochemical cells
JP4953551B2 (ja) * 2003-10-31 2012-06-13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6351512A (ja) * 2005-05-16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86827B1 (ko) * 2005-07-11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719728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5116235B2 (ja) * 2006-01-23 2013-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100795680B1 (ko) * 2006-02-27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890329B1 (ko) * 2006-12-21 2009-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978092B1 (ko) * 2008-05-30 2010-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8993138B2 (en) * 2008-10-02 2015-03-3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DE102011080325A1 (de) * 2011-08-03 2013-02-07 Elringklinger Ag Druckausgleichsvorrichtung für ein Gehäuse einer elektrochemischen Vorrichtung
EP2683001B1 (en) 2012-07-02 2016-02-03 Optimum Battery Co., Ltd. Cap assembly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066197B1 (ko) * 2015-12-09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699736B2 (ja) * 2016-08-30 2020-05-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蓄電装置および電動車両
CN107316957B (zh) * 2017-06-22 2020-03-20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一体式盖板及采用上述盖板的二次电池
JP7012270B2 (ja) * 2017-07-31 2022-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円筒形電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79730A (en) * 1982-06-16 1984-12-18 Marian Wiacek Snap-in sealing and insulating member for galvanic cells
US5080985A (en) * 1989-12-07 1992-01-14 Duracell Inc. High pressure seal for alkaline cells
JP3387118B2 (ja) * 1992-06-12 2003-03-17 ソニ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H10154530A (ja) * 1996-11-21 1998-06-09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0233199A (ja) * 1997-02-20 1998-09-02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6127062A (en) * 1998-03-24 2000-10-03 Duracell Inc End cap seal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6025090A (en) * 1998-05-15 2000-02-15 Duracell Inc. End cap assembly for an alkaline cell
US6042967A (en) * 1998-07-29 2000-03-28 Duracell Inc End cap seal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700A (ko) * 2014-04-08 2015-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7319B1 (en) 2001-03-27
JP4339951B2 (ja) 2009-10-07
JP2000090963A (ja) 2000-03-31
KR100300405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405B1 (ko)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CN111987247B (zh) 二次电池的顶盖组件和二次电池
US8771870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 sealing gasket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KR20020062753A (ko) 편평 각형 전지
KR20010030515A (ko) 밀봉된 장방형 축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7960053B2 (en)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207320B1 (en) Cap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WO2006098508A1 (ja) 密閉型電池
US3960599A (en) Button type cell and battery
US6528202B1 (en) Safety vent device used in a battery module
JP2001093486A (ja) 角形密閉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277655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5444A (ko) 원통형 이차전지
US20230060460A1 (en) Power storage device
KR100777721B1 (ko) 이차전지
US7442467B2 (en) Sealed battery
KR100522676B1 (ko) 이차전지의 가스켓
JP2002175789A (ja) 偏平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544106B1 (ko) 이차전지의 캔
JPH04341756A (ja) 密閉形電池の製造法
KR100322099B1 (ko) 각형 이차 전지
JP2000138046A (ja) 密閉形電池
EP4191782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0319107B1 (ko) 밀폐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4175031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