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35A -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35A
KR20000018835A KR1019980036622A KR19980036622A KR20000018835A KR 20000018835 A KR20000018835 A KR 20000018835A KR 1019980036622 A KR1019980036622 A KR 1019980036622A KR 19980036622 A KR19980036622 A KR 19980036622A KR 20000018835 A KR20000018835 A KR 2000001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data
line
backup
error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순
황충선
Original Assignee
황충선
디엑스오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충선, 디엑스오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충선
Priority to KR101998003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835A/ko
Publication of KR2000001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인밴드 신호를 사용하여 전용선의 상태를 감시하여 전용선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보조 선로로 경로를 바꿔줌으로써 전용선을 백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부; 라우터 또는 FRAD(Frame Relay Access Device)와 연결하기 위한 DCE 인터페이스부; 전용선과 연결하기 위한 전용선 인터페이스부; 보조선로와 연결하기 위한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클록신호를 받아서 장치내에서 필요한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처리부; 상기 DCE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버퍼;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데이터 버퍼 사이에서 스위칭을 하고,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고 솎아내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받은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판정하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 상기 멀티플렉서로 인밴드 신호를 주는 인밴드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인밴드 신호 수신부로부터의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는 전송경로가 보조선로가 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 백업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 백업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밴드 신호를 사용하여 전용선의 상태를 감시하여 전용선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보조 선로로 경로를 바꿔줌으로써 전용선을 백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내 통신 등과 같이 고정된 장소 사이에서 수시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응용분야에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용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용선에 문제가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되면 막대한 손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 선로를 마련하여 백업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백업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1에서는 보조선로로서 BRI나 PRI와 같은 ISDN 선로(140)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평상시에 백업장치(110,110')는 라우터(100,100')와 데이터 모뎀(120,120')을 연결하고 있어서, 전용선(130)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된다. 전용선의 데이터 모뎀으로는 DSU(Data Service Unit), CSU(Channel Service Uni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전용선(130)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에도 백업장치(110,110')는 계속 전용선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여, 전용선에 이상이 발견되면 보조선로인 ISDN 선로(140)로 경로를 바꾸도록 되어있다. 또한, ISDN 선로(140)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계속 전용선(130)의 정상 여부를 점검하여, 전용선(130)이 정상으로 회복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용선(130)으로 복귀하도록 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전용선(130)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전용선의 이상 유무(有無)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1) DSU나 CSU에서 제공하는 상태 플랙(status flag)을 이용하는 방법과, 2) 수신 데이터의 유무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먼저, DSU나 CSU에서 제공하는 상태플랙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날로그 방식의 모뎀이나 디지털 방식의 DSU, CSU와 같은 DCE(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기기에서는 전용선의 상태에 따라 DTE(Data Terminal Equipment) 장비 쪽으로 상태 플랙을 보내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상태 플랙으로는 DCD(Data Carrier Detector), CTS(Clear To Send), DSR(Data Set Ready) 등이 있다. DTE 장비는 이 신호를 받아서 전용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태 플랙은 레벨 신호로 주어지므로, 이 신호를 받아 필요한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DTE 장비가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서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방법이다. 그러나, DCE 장비에서 판단하는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전적으로 DCE 장비에 의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상태 플랙은 정상이지만 실제로 데이터의 전송은 없는 경우도 발생하여 전용선 백업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DCE 장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유무 여부를 가지고 전용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즉, 일정 기간 이상동안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전용선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첫번째 방법으로서는 대처할 수 없었던, 상태플랙이 정상이고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용선이 완전히 끊어졌거나 하여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만을 판단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전용선에서 발생하는 에러 형태는 단순하지가 않아서, 전용선이 물리적으로 절단되거나 하여 전송이 전혀 안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주변 상황에 따른 전용선 상의 잡음이나 전용선의 결함에 의한 잡음, 물리적인 불완전한 접촉 등에 기인한 비트 에러 등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두번째 방법에 의하면, 전용선이 물리적으로 절단되거나 하여 전송이 전혀 안되는 경우에만 백업이 되고, 주변상황에 의해 에러율이 급격히 높아진다든지 하는 상황에는 대처할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안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에러율이 일정 기준 이상 높아진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 백업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데이터 전용선 백업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이고, (b)는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였을 때의 데이터 스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용선 백업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용선 백업 장치의 프로세서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모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에 빈 공간을 만들어내어, 이 빈 공간에 인밴드 신호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전용선(130)의 에러율을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128kbps의 전용선인 경우에 라우터(100)로는 126kHz의 클록을 주어 데이터를 126kbps로 받은 다음, 인밴드 프레임 2kbps를 추가시켜 데이터 모뎀(120)측으로는 128kbps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수신측의 백업장비(110')측에서는 수신된 128kbps의 데이터로부터 2kbps의 인밴드 프레임을 뽑아내어 전용선(130)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126kpbs의 데이터는 126kHz의 클록과 함께 라우터(100')로 보냄으로써 실제적으로 라우터와 라우터 사이에서는 126kbps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2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라우터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126kbps로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백업장치에서는 이를 128kbps로 보내면서 남는 2kbps의 공간에 도 2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인밴드 프레임(I)을 일정한 주기 T로 삽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백업장치(110)는 라우터/FRAD(100)로부터 도 2의 (a)와 같은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을 받아서 일정 주기 T마다 인밴드 프레임(I)을 삽입하여 데이터 모뎀(120)으로 보낸다. 그러면, 이 데이터 스트림은 전용선(130)을 거쳐서 데이터 모뎀(120')을 통해 백업장치(110')에 도달하고, 백업장치(110')에서는 이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인밴드 프레임(I)을 솎아내어 에러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체크한다. 그 결과, 에러율이 일정 한계 이상 넘어서는 경우에는 전용선에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전송 경로를 보조선로(140)가 되도록 전환시킨다.
인밴드 프레임(I)에 의한 에러율 체크 방식으로는 기존의 에러체크 방법중 적당한 것을 사용하면 되며, 예를 들면, 순환 리던던시 검사부호(Cyclic Redundancy Check Code), BCH 부호, 리드-솔로몬 부호, 길쌈 부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보조선로(140)를 통해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 도중에도, 백업장치(110)는 망을 통하여 인밴드 신호를 계속 보내고, 백업장치(110')에서는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계속 체크한다. 체크 결과,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이 일정기간 이상동안 소정 한계 이하가 되면, 백업장치(110,110')는 다시 전송경로를 전용선(130)이 되도록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선(130)이 물리적으로 절단된 경우뿐만 아니라 주변여건에 따라 에러율이 높아진 경우에도 백업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백업되고 있는 도중에도 에러율이 일정기간 이상동안 소정 한계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전용선으로 복귀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업장치(110,11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 백업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프로세서(200)는 ROM(2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110,11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리얼타임클록(RTC)(214), RAM(213), 플래시 ROM(211) 등의 주변소자가 프로세서(200)에 연결되어 있다.
멀티플렉서(230)는 프로세서(200)의 제어하에 전용선(130) 또는 보조선로(140) 중의 하나를 데이터 버퍼(220)를 통해서 라우터/FRAD(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멀티플렉서(230)는 데이터 스트림에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인밴드 신호를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빼내는 역할도 담당한다. 삽입될 인밴드 신호는 프로세서(200)의 제어하에 인밴드 신호 발생부(242)에서 생성되어 멀티플렉서(230)로 보내지며, 멀티플렉서(230)에서 빼내진 인밴드 신호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241)에서 처리되어 프로세서(200)로 보고된다. 프로세서(200)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241)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에러율이 일정 한도를 넘어서는지 또는 허용한도 이내에 들어서는지를 판단하여 멀티플렉서(230)의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다.
클록처리부(250)는 전용선 및 보조선로로부터 클록신호를 받아서 이 장치에서 필요한 클록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클록은 인밴드 신호의 발생 및 수신, 멀티플렉서(230)에서의 데이터 수신 등에 쓰이며, 또한 DCE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라우터/FRAD(100)로 보내진다.
DTE 인터페이스(270)는 전용선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클록신호는 클록처리부(250)로, 데이터 신호는 멀티플렉서(230)로 연결된다.
BRI 인터페이스(280)는 보조선로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클록신호는 클록처리부(250)로, 데이터 신호는 멀티플렉서(230)로 연결된다. 백업상황이 발생되면 상대방 백업장치에도 이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는 이 BRI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같은 경우에 BRI 인터페이스(280)에서 프로세서로 인터럽트를 걸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보조선로로 ISDN 전용선를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ADSL, ATM 선로 등과 같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용선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프로세서(20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200)는 단계 S100에서 여러가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초기 설정을 한다. 이러한 초기 설정으로는, 하드웨어의 각종 레지스터 설정과 프로그램 수행시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플랙, 카운터, 레지스터 등의 설정이 포함된다. 또한, 최초에는 멀티플렉서(230)는 데이터 경로를 전용선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이 끝나면, 프로세서(200)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241)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에러율이 일정한 한도를 넘어서는지를 계속 점검한다. 이때, 일정한 한도를 넘어서는지를 점검한다는 것은, 에러율이 특정 수치를 넘어서는지를 가지고 판단할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의 기간 이상 동안 특정 수치를 넘어서 있을 때에 일정한 한도를 넘어선다고 판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에러율의 일정 기간에 걸친 이동평균치가 특정 수치를 넘어설 때에 일정한 한도를 넘어선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S101에서 에러율이 소정 한도를 넘어서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즉 전용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송경로는 그대로 전용선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단계 S101에서의 에러율 체크를 계속 반복한다.
반대로, 단계 S101에서 에러율이 소정 한도를 넘어선 경우에는 단계 S102에서 전송경로를 보조선로로 바꾸도록 멀티플렉서(230)를 제어하여 백업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라우터/FRAD(100)로 보낼 클록을 보조선로로부터의 클록에서 취하도록 클록제어부(250)를 제어한다. 또한, 백업 동작은 양 백업장치(110,110')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나의 백업장치에서 선로의 이상을 감지하면, 다른 백업장치로 이를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선로의 이상을 감지한 백업장치의 프로세서(200)는 보조선로(140)를 통하여 백업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다른 쪽 백업장치에서는 이 신호를 받으면 바로 백업을 개시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백업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대방 백업장치에서 백업개시신호를 보내는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인터럽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선로 인터페이스(280)에서 백업신호를 받으면 바로 프로세서(200)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프로세서가 백업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 프로세서(200)가 보조선로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고 있을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선로에 의한 백업 동작이 시작되면, 단계 S103에서 프로세서(200)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241)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에러율이 허용한계치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계속 감시한다. 즉, 전송경로는 비록 보조선로로 바뀌었지만, 전용선을 통해서 인밴드 신호를 계속 주고받으면서 에러율이 회복되는지를 체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에러율의 허용한계치는 단계 S101에서의 일정 한도의 에러율과는 다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계 S101에서의 기준과 단계 S103에서의 기준을 동일하게 설정하면, 백업을 시작하자 마자 다시 전용선으로 복귀되고, 전용선으로 복귀되자마자 다시 백업되고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될 수 있으므로, 단계 S101에서의 판단 기준보다는 단계 S103에서의 판단 기준을 좀더 엄격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03에서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이 허용한계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송경로는 그대로 보조선로로 유지되어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단계 S103에서의 에러율 체크를 계속 반복한다.
반대로, 단계 S103에서 에러율이 허용한계치 이하가 된 경우에는 단계 S104로 넘어가서, 전송경로를 전용선으로 바꾸도록 멀티플렉서(230)를 제어하여 백업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라우터/FRAD(100)로 보낼 클록을 전용선으로부터의 클록에서 취하도록 클록제어부(250)를 제어한다. 또한, 상대방 백업장치로 백업동작의 종료를 알리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대방 백업장치에서도 주전용선로 경로를 바꾸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백업 동작시에 프로세서가 계속 인밴드 신호를 감시하면서 백업 종료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였지만, 백업 동작으로부터 정상 동작으로의 복귀를 수동적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백업 동작이 시작되면, 부저, 알람표시 등의 방법으로 망관리자에게 백업이 시작되었음을 알리고, 망관리자가 주전용선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한 다음, 그 문제를 해결한 후에 주전용선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에러율을 감시하면서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이 되면 그 발생시각 및 듀레이션, 에러율을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하여, 망관리자로 하여금 시간대에 따른 망의 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에러율을 계속 감시하다가 에러율이 일정 한도를 넘어서면, 그때의 시간을 리얼타임 클록(214)으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시각 및 에러율을 RAM(213) 또는 플래시 ROM(211) 등에 저장한다. 그리고, 에러율이 다시 일정 한도 이하가 되면 그때의 시간을 리얼타임 클록(214)에서 읽어들이고, 이 시각에서 이전에 기억해둔 에러율이 일정 한도를 넘어섰을 때의 시각을 뺌으로써 듀레이션을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동시에 에러율이 일정 한도를 넘어섰음을 LED 등의 표시소자나 부저 등의 음향소자를 이용해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관리자는 장치를 조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출력시킨다.
또, 인밴드 신호를 발생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전용선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바로 보조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백업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백업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 인밴드 신호의 발생 및 수신이 가능해지면 다시 주전용선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업 장치에 LED나 LCD 등의 표시장치를 설치하고, 인밴드 신호 체킹에 의한 전용선의 상태나 에러율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로 상태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은행과 같이 본점(센터)에서 각 지점으로 전산망이 연결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백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백업 동작을 센터에 있는 백업 장치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센터에는 운용요원들이 시스템을 관리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쉽고 수동 운용이 가능하며, 또한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보안사고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에러 상황을 센터의 백업 장비가 감지하여 백업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점에서는 인밴드 체킹을 하여 백업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인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다시 센터쪽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센터의 백업 장비에서는 이 신로를 받고서 백업을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백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점의 백업장비로 백업을 하라는 신호를 보조선로를 통해서 통지하고 자신도 백업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어느쪽 방향으로 에러 상황이 발생하여도 센터에서 일관성 있게 백업 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안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에러율이 일정 기준 이상 높아진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전용선 백업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백업 동작중에도 전용선이 회복되면 자동으로 전용선으로 복귀됨으로써 유지보수가 간편하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데이터 전용선 백업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부;
    라우터 또는 FRAD(Frame Relay Access Device)와 연결하기 위한 DCE 인터페이스부;
    전용선과 연결하기 위한 전용선 인터페이스부;
    보조선로와 연결하기 위한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클록신호를 받아서 장치내에서 필요한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처리부;
    상기 DCE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버퍼;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선로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데이터 버퍼 사이에서 스위칭을 하고,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고 솎아내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받은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판정하는 인밴드 신호 수신부;
    상기 멀티플렉서로 인밴드 신호를 주는 인밴드 신호 발생부
    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인밴드 신호 수신부로부터의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는 전송경로가 보조선로가 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는 것인 데이터 전용선 백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전송경로가 보조선로로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도 상기 인밴드 신호 수신부로부터의 에러율을 체크하여 허용한도 이하인 경우에는 전송경로가 전용선이 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는 것인 데이터 전용선 백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전용선 백업장치.
  4. 데이터 전용선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전용선의 일단(一端)에서 전용선 데이터 모뎀으로의 클록을 DCE 장비로의 클록보다 빠르게 하여 전용선 데이터 모뎀으로의 데이터에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와,
    데이터 전용선의 타단(他端)에서 수신된 상기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인밴드 신호의 상기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 그때의 시간 및 에러율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및 에러율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모니터링 방법.
  5.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에 있어서,
    DCE 장비로의 클록을 수신된 전용선 데이터 모뎀의 클록보다 느리게 하여 전용선 데이터 모뎀으로의 데이터에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인밴드 신호의 상기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 전송경로를 보조선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구비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보조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도중에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체크된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이 일정 허용치 이하인 경우에 전송경로를 전용선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인밴드 신호가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전송경로를 보조선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인밴드 신호가 불가능하여 보조 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도중에 인밴드 신호가 가능하게 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인밴드 신호가 가능하게 된 경우에 전송경로를 전용선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
  9. 백업장치를 전용선의 양단에 페어로 사용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백업장치는 매스터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백업장치는 슬레이브로 설정하며,
    각 백업장치에서 전용선으로의 데이터에 인밴드 신호를 삽입하며,
    각 백업장치에서 인밴드 신호의 수신 에러율을 체크하며,
    슬레이브 백업장치에서는 수신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 전용선을 통하여 백업 요청 신호를 매스터 백업장치로 전송하며,
    매스터 백업장치에서는 인밴드 신호의 에러율이 일정 한도 이상인 경우에, 또는 슬레이브 백업장치에서 보내온 상기 백업 요청 신호를 받았을 때 전송경로를 보조선로로 백업 전환하며,
    슬레이브 백업장치에서는 상기 백업개시 신호가 매스터 백업장치로부터 오면 백업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용선의 백업 방법.
KR1019980036622A 1998-09-05 1998-09-05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KR20000018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22A KR20000018835A (ko) 1998-09-05 1998-09-05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22A KR20000018835A (ko) 1998-09-05 1998-09-05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35A true KR20000018835A (ko) 2000-04-06

Family

ID=1954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622A KR20000018835A (ko) 1998-09-05 1998-09-05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8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6210A1 (en) * 2001-06-22 2003-03-27 Caners Co., Ltd. Back-up and load balanc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dual lines
KR100457229B1 (ko) * 2001-12-31 2004-11-16 (주)캐너즈 듀얼 전송로를 기반으로 백업 및 로드 밸런싱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49765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6210A1 (en) * 2001-06-22 2003-03-27 Caners Co., Ltd. Back-up and load balanc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dual lines
KR100457229B1 (ko) * 2001-12-31 2004-11-16 (주)캐너즈 듀얼 전송로를 기반으로 백업 및 로드 밸런싱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49765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8634B2 (en) Detecting method and system for consistency of link scrambling configuration
US7436291B2 (en) Protection of devices in a redundant configuration
KR20000018835A (ko) 인밴드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용선백업 방법 및 그장치
US5784274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rrors occurring in data processed by a duplexed communication apparatus
US5999983A (en) Communication control unit switched between active and stand-by functions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monitored status of a different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a common network
KR100313756B1 (ko)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06285845A (ja) 耐障害性を有する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耐障害性を有する情報通信装置
KR100274201B1 (ko) 교환기에 있어서 넘버 세븐 신호링크 자동 복구장치
KR940007555B1 (ko) 망동기 장치의 td 버스 인터페이스 방법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JP3910903B2 (ja) 制御パケット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JP3244247B2 (ja) クロック信号現用予備切替方式
JP3969359B2 (ja) 停電通報方式
JP2000013469A (ja) 通信機器の復旧装置及び復旧方法
KR100273977B1 (ko) 전송장치에서 알람처리 방법_
RU2286014C2 (ru) Системы для защитного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линии связи
KR100359908B1 (ko) 지능형 주변장치에서의 호처리 불능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JPH0213151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10294777A (ja) モデム装置
JPH07202826A (ja) 故障箇所特定方法
JPH0685942A (ja) 障害自動通知方式
KR20010064268A (ko) 에이티엠 정합 장치에서 연속성 검사 및 에이아이에스오에이엠 셀 생성 방법 및 장치
JP3450151B2 (ja) 障害通知装置及び障害通知方法
JP2000049841A (ja) 通信システム
JP2000349900A (ja) 交換装置の障害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