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735A -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735A
KR20000018735A KR1019980036480A KR19980036480A KR20000018735A KR 20000018735 A KR20000018735 A KR 20000018735A KR 1019980036480 A KR1019980036480 A KR 1019980036480A KR 19980036480 A KR19980036480 A KR 19980036480A KR 20000018735 A KR20000018735 A KR 20000018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unit
valve
removal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425B1 (ko
Inventor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4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7Condensing developer fum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쉘에 접속된 제거관과, 상기 제거관에 설치되는 제 1,2 밸브부와, 상기 제 1,2 밸브부 사이에 설치되는 포집부와, 상기 제 2 밸브부와 포집부 사이에 설치되는 팬부와, 상기 제 1,2 밸브부와 접속되어 상기 제거관내로 유동되는 엔진 쉘로부터 자연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본 발명은 증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쉘 내부로부터 증발되는 캐리어 증기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감광 벨트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고 현상액을 도포한 다음, 상기 감광 벨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전사 매체 사이로 인쇄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현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현상 방식으로는 분말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법과, 노파(no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에 토너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습식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에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11a)(11b)(11b)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11a)(11b)(11c)의 외면에는 무한 궤도상의 회전 운동이 가능한 감광 벨트(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인쇄기(10)는 상기 감광 벨트(12)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13a)(13b)(13c)(13d)와 정전 잠상 영역에 박막화된 토너 이미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의 현상액을 구비하는 현상 장치(14a)(14b)(14c)(14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기(10)는 상기 감광 벨트(12) 상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롤러(15)와, 공급된 인쇄 용지(16) 상에 현상액을 정착시키도록 상기 전사 롤러(15)와 상호 결합하여 가압하는 정착 롤러(17)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중 하나(11a)의 일측에는 감광 벨트(12)를 사이에 두고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하는 캐리어 회수장치(20)가 설치된다.
캐리어 회수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벨트(12)로부터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드라이 롤러(21)와, 상기 액상 캐리어를 증발시키는 히팅 롤러(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21)(22)가 설치된 매니폴드(23)에는 회수관(24)이 접속되어, 응축된 캐리어를 별도의 회수 장치(미도시)로 회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23) 내에서 미처 응축되지 못한 기상 캐리어는 회수관(24)을 통하여 응축 장치(25)로 보내지고, 상기 응축 장치(25)로부터 응축되어 회수가능하다. 또한, 상기 응축 장치(25) 내에 잔류되는 가스는 배출관(26)을 통하여 필터부(27)로 유동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엔진 쉘(200) 내부에는 자연 증발되는 기상 캐리어가 존재하는데, 이 기상 캐리어는 엔진 쉘(200)로부터 접속된 제거관(28)을 통하여 강제 배출시키게된다. 이에 따라, 기상 캐리어는 제거관(28)과 연결된 필터부(27)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 쉘(200)은 도 1에서 언급한 감광 벨트, 현상 장치, 주사 장치, 대전 장치 및 회수 장치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엔진 쉘(200) 내부에 존재하는 기상 캐리어가 필터부(27)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27)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하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캐리어가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대기중에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엔진 쉘 내부로부터 자연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를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회수 장치 21. 드라이 롤러
22. 히팅 롤러 23. 매니폴드
24. 회수관 25. 응축 장치
26. 배출관 27. 필터부
28. 제거관 200. 엔진 쉘
30,40,50. 증기제거장치 31. 제거관
32. 밸브부 32a. 제 1 밸브부
32b. 제 2 밸브부 33. 포집부
34. 팬부 35,41. 순환관
42. 가열부 43. 촉매부
52. 점화 장치 53. 보조 연소부
300. 냉각응축 장치 310. 캐리어 냉각부
320. 열교환소자 330. 방열부
340. 방열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는, 엔진 쉘에 접속된 제거관; 상기 제거관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제 1,2 밸브부;상기 밸브부 사이에 설치되는 포집부; 상기 제 2 밸브부와 포집부 사이에 설치되는 팬부; 및 상기 밸브부와 접속되어 상기 제거관내로 유동되는 엔진 쉘로부터 자연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부와 접속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결된 냉각응축 장치이고, 상기 냉각응축 장치는 캐리어 냉각부와, 방열부와, 상기 캐리어 냉각부와 방열부 사이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소자와, 상기 방열부와 인접하게 설치된 방열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제거 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부와 접속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는 촉매산화 장치이고, 상기 촉매산화 장치는 상기 제 2 밸브부로부터 유입된 기상 캐리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캐리어를 분해하는 촉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거 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와 접속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연소 장치이고, 상기 연소 장치는 상기 제 2 밸브부로부터 유입되는 캐리어를 점화시키는 점화 장치와, 상기 점화 장치와 동시에 점화되는 연료를 공급하는 보조 연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30)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제거장치(30)는 엔진 쉘(200)로부터 제거관(31)이 접속된다. 상기 제거관(31)의 소정부에는 엔진 쉘(200)로부터 증발되는 기상 캐리어가 배출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제 1 밸브부(32a)와, 제 2 밸브부(32b)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밸브부(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2 밸브부(32a)(32b) 사이에는 기상 캐리어를 포집하는 포집부(33)가 장착된다. 상기 포집부(33)는 기상 캐리어를 포집할 수 있도록 흡착성이 강한 물질, 예컨대 활성탄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부(33)를 통과한 기상 캐리어는 법적으로 유해하다고 규제되는 특정 농도이하의 상태가 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부(32b)와 포집부(33) 사이의 제거관(31) 통로에는 팬부(34)가 설치되는데, 상기 팬부(34)는 포집부(33)로부터 여과된 기체를 대기로 신속하게 배출가능하도록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팬부(34)는 상기 포집부(33)를 통과한 기상 캐리어의 농도를 감지한다. 즉, 상기 포집부(33)의 포집량에 따라 팬부(34)의 구동 시간이 변하게 되므로, 상기 포집부(33)의 포화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팬부(34)의 구동 시간에 따라 상기 포집부(33)가 기상 캐리어를 완전 포화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2 밸브부(32a)(32b)의 경로는 대기측으로 개방되지 않고 폐쇄된 경로로 전환케 된다. 즉, 상기 포집부(33)의 포화 능력이 한계에 이르게 되면, 상기 밸브부(32)는 경로를 전환하여 별도의 제거 수단측으로 기상 캐리어가 통과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33)에 포집된 기상 캐리어는 재증발시켜 상기 제거 수단에 의하여 제거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2 밸브부(32a)(32b)에는 순환관(35)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35)은 제거 수단, 예컨대 냉각응축 장치, 촉매산화 장치, 연소 장치, 흡수 장치, 생물학적처리 장치, 전자빔방식 장치, 막분리 장치등과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수단중에서 냉각응축 장치(300)를 예를 들어 보였다.
상기 냉각응축 장치(300)는 상기 순환관(35)과 상호 접속되고, 엔진 쉘(200)로부터 증발되어 포집부(33)로부터 완전 포화된 기상 캐리어가 재증발되어 순환관(35)을 통하여 유입되면 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냉각응축 장치(300)는 기상 캐리어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캐리어 냉각부(310)가 마련된다. 상기 캐리어 냉각부(310)는 열교환소자(320)을 사이에 두고 방열부(330)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냉각부(310)는 냉각휜(311)과, 상기 냉각휜(311) 사이에 충전되는 메탈볼(312)을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소자(320)는 캐리어 냉각부(310)와 방열부(330) 사이에서 흡열 및 방열의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열전자소자인 펠티어 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부(330)는 상기 캐리어 냉각부(310)로부터 흡수된 열을 방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330)의 인접한 곳에는 방열부(330)를 냉각시키는 방열팬(340)이 설치된다.
여기서, 냉각응축 장치(300)로부터 열교환된 기상 캐리어는 액화되어, 상기 캐리어 냉각부(310)와 접속된 회수관(24)을 통하여 회수가능하다. 그리고, 응축 장치(300)에서도 제거되지 못하는 기상 캐리어는 다시 순환관(35)을 통하여 제 1 밸브부(32a)측으로 유입되어 포집부(33)를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포집부(33), 순환관(35), 냉각응축 장치(300)로 이어지는 폐쇄된 경로를 순환한 기상 캐리어가 적정농도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밸브부(32)는 그 경로를 전환시켜 대기측으로 제거관(31)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응축 장치(300)는 상기 감광 벨트(12)로부터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즉, 감광 벨트(12)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 롤러중 하나(11a)와 상호 회전가능한 드라이 롤러(21)와, 히팅 롤러(22)가 매니폴드(2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니폴드(23) 내에서 응축된 액상 캐리어는 회수관(24)을 통하여 회수 장치(미도시)로 회수되고, 상기 매니폴드(23) 내에서 미처 응축되지 못한 캐리어는 상기 응축 장치(300)를 통하여 상기 언급된 응축 과정을 거쳐 응축되어 회수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40)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엔진 쉘(200) 내부의 증기캐리어를 제거하는 장치중 제 1,2 밸브부(32a)(32b)와, 포집부(33)와 팬부(34)는 상기 언급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밸브부(32)의 경로를 전환하여 캐리어를 제거하는 제거 수단, 예컨대 촉매산화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촉매산화 장치는 상기 제 1 밸브부(32a)와 제 2 밸브부(32b)에 각각 접속되는 순환관(41)의 내부 통로에 가열부(42)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42)는 제 2 밸브부(32b)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상 캐리어의 산화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일정온도이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42)의 인접한 위치에는 촉매부(43)가 설치된다. 상기 촉매부(43)는 바람직하게는 백금등과 같은 촉매가 사용되어 상기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분해가능하다. 이렇게 캐리어가 분해되면, 상기 밸브부(32)는 제거관(31)의 경로를 대기측으로 개방하여 분해된 캐리어를 배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증기제거장치(50)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부(32a)(32b), 포집부(33), 팬부(3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제거 수단, 예컨대 연소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소 장치는 제 2 밸브부(32b)를 통하여 순환관(51)으로 유입되는 기상 캐리어를 점화시켜 연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순환관(51)의 소정부에는 점화 장치(52)가 설치되어 기상 캐리어를 점화시킨다. 그런데, 상기 기상 캐리어가 연소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보조 연소부(53)를 설치하여 기상 캐리어와 상기 보조 연소부(53)의 연료와 동시에 연소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완전연소된 캐리어는 제거관(31)의 통로를 대기측으로 개방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촉매산화 장치와 연소 장치는 도 3에 언급된 냉각응축 장치와 달리 응축 장치(25)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엔진 쉘(200) 내부에서 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를 제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 3 내지 도 5에서 살펴본대로, 엔진 쉘(200)로부터 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는 제 1 밸브부(32a), 포집부(33), 제 2 밸브부(32b) 순으로 배출되고, 상기 포집부(33)가 포화 상태일때에는 폐쇄된 경로를 통하여 별도의 제거 수단, 이를테면, 냉각응축 장치, 촉매산화 장치, 연소 장치를 통하여 저농도의 캐리어가 되도록 순환시켜 외기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는 엔진 쉘 내부에서 증발하는 캐리어를 포집부로 포집하고 별도의 제거 수단인 응축 장치, 촉매산화 장치, 연소 장치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 수단을 이용하여 폐쇄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증기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엔진 쉘에 접속된 제거관;
    상기 제거관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제 1,2 밸브부;
    상기 밸브부 사이에 설치되는 포집부;
    상기 제 2 밸브부와 포집부 사이에 설치되는 팬부; 및
    상기 밸브부와 접속되어 상기 제거관내로 유동되는 엔진 쉘로부터 자연증발되는 기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부와 접속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결된 냉각응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응축 장치는 캐리어 냉각부와, 방열부와, 상기 캐리어 냉각부와 방열부 사이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소자와, 상기 방열부와 인접하게 설치된 방열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부와 접속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설치되는 촉매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산화 장치는 상기 제 2 밸브부로부터 유입된 기상 캐리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캐리어를 분해하는 촉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은 상기 제 1,2 밸브와 접속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연소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장치는 상기 제 2 밸브부로부터 유입되는 캐리어를 점화시키는 점화 장치와, 상기 점화 장치와 동시에 점화되는 연료를 공급하는 보조 연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캐리어 증기제거장치.
KR1019980036480A 1998-09-04 1998-09-04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KR10033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480A KR100335425B1 (ko) 1998-09-04 1998-09-04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480A KR100335425B1 (ko) 1998-09-04 1998-09-04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35A true KR20000018735A (ko) 2000-04-06
KR100335425B1 KR100335425B1 (ko) 2002-09-26

Family

ID=1954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480A KR100335425B1 (ko) 1998-09-04 1998-09-04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5511B2 (en) 2003-12-10 2006-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device and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16953B1 (ko) * 2000-09-04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US7269372B2 (en) 2004-05-2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unit,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judging catalyst life sp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836B1 (ko) * 2004-04-28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산화촉매유닛 및 이를 포함한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20050105016A (ko) * 2004-04-30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산화촉매장치, 산화촉매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한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427A (en) * 1993-10-04 1995-08-15 Phoenix Precision Graphics, Inc. Concentrate stirring for continuous printing
JPH09171305A (ja) * 1995-12-19 1997-06-30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953B1 (ko) * 2000-09-04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US7085511B2 (en) 2003-12-10 2006-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device and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269372B2 (en) 2004-05-2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unit,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judging catalyst life s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425B1 (ko)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674A (en) Vapor control system for and a liquid electrographic system
KR19990003089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H087519B2 (ja) 液体キャリヤ回収装置を備えた電子写真式印字機
KR100335425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JPH11202714A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キャリア回収装置
US6041201A (en) Apparatus for filtering solvent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996352B2 (en) Gas exhausting apparatus for we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892643B1 (ja) 湿式電子写真プリンタのキャリア回収装置
EP0899624B1 (en) Liquid carrier recovery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9204121A (ja) 電子写真印刷機
KR20060019317A (ko) 캐리어증기 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캐리어증기 정화방법
US20050244184A1 (en) Oxidation catalys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we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493531B2 (en) Photoreceptor web drying unit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200187153Y1 (ko) 화상형성장치의 증기회수장치용 응축장치
KR10026108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증기회수장치용 응축장치
JP2005316442A (ja) 酸化触媒ユニット,湿式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キャリア蒸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US661501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printing apparatus using liquid developer
JP3645435B2 (ja) 電子写真装置
KR100297760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캐리어 회수장치
KR20060071651A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252086B1 (ko) 화상형성장치의 케리어 회수장치
KR2006002822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KR100573673B1 (ko)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29776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캐리어 회수장치
KR100224870B1 (ko) 습식 전자사진 프린터의 캐리어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