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673B1 -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73B1
KR100573673B1 KR1020040076771A KR20040076771A KR100573673B1 KR 100573673 B1 KR100573673 B1 KR 100573673B1 KR 1020040076771 A KR1020040076771 A KR 1020040076771A KR 20040076771 A KR20040076771 A KR 20040076771A KR 100573673 B1 KR100573673 B1 KR 10057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catalyst
duc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ataly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897A (ko
Inventor
김성대
신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6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7Condensing developer fum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는 인쇄엔진을 거쳐 현상액이 부착된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정착장치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덕트, 제1덕트에 구비되는 산화촉매필터, 캐리어 증기가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도록 흡입하기 위한 팬 및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는 캐리어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산화촉매필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 일부를 상기 정착장치로 회수시키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산화촉매장치, 정착장치, 산화촉매필터, 덕트

Description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Oxidation catalyst device and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정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정착장치 및 산화촉매장치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화상형성장치 210. 화상형성장치 본체
220. 인쇄엔진 230. 정착장치
240. 산화촉매장치 241. 덕트
242. 팬 243. 히터
244. 산화촉매필터 245. 제1덕트
247. 제2덕트 248. 회수팬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액이 부착된 용지가 정착장치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캐리어 증기를 산화분해시키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부착하여 형성된 가시화상을 소정 용지로 옮겨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인쇄장치이다.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어 컬러 인쇄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예인 습식 레이저빔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드럼(121)(122)(123)(124)과, 각 감광드럼(121)(122)(123)(124)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장치(131)(132)(133)(134)와, 대전된 각 감광드럼(121)(122)(123)(124)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복수의 노광장치(141)(142)(143)(144)와, 각 감광드럼(121)(122)(123)(124)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현상장치(151)(152)(153)(154)와, 각 감광드럼 (121)(122)(123)(124)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사벨트(160)로 전사시키도록 전사벨트(160)를 지지하는 복수의 백업전사롤러(171)(172)(173)(174)와, 복수의 가시화상이 중첩되어 전사벨트(160) 상에 형성된 최종화상을 공급된 용지(P)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80)와, 최종화상이 전사된 용지(P)에 열과 압력을 가해 최종화상을 용지(P) 상에 고착시키는 정착장치(19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현상장치(151)(152)(153)(154)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감광드럼(121)(122)(123)(124) 각각에 컬러 현상액을 공급한다. 현상액은 토너가 분산되어 있는 잉크와 노파(Nor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다. 노파는 C10H22, C11H24, C12 H26, C13H28의 혼합물인 탄화수소(Hydrocarbon) 계통의 용제이다. 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각 감광드럼(121)(122)(123)(124)에 부착된 현상액은 전사벨트(160)로 옮겨져 중첩되고, 이렇게 전사벨트(160) 상에서 복수의 가시화상이 중첩되어 형성된 최종화상은 공급된 용지(P)로 전사된다. 그리고, 용지(P)가 정착장치(190)를 통과할 때, 현상액 중에서 잉크성분은 용지(P) 상에 고착되고, 액상의 캐리어는 고열에 의해 메탄(CH4)과 같은 가연성 탄화수소가스로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가연성 탄화수소가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 분류되는 것으로, 그냥 배출될 경우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불쾌한 냄새를 방출한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현재 가연성 탄화수소가스를 제거하는 다양한 제거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현재 알려진 가연성 탄화수소가스의 제거방법으로는, 활성탄과 같은 탄소필 터를 이용하여 가스성분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여과법과, 가스성분을 발화온도(600~800℃)에서 연소시키는 직접연소법과, 가스성분을 촉매를 사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150~400℃)에서 연소시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산화분해시키는 산화촉매법 등이 있다. 상기 여과법은 탄소필터가 그 내부에 포집된 캐리어를 분해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일정량 이상의 캐리어가 포집된 이후에는 포화된 탄소필터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직접연소법은 고열발생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최근에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캐리어 증기 제거방법으로 주로 산화촉매법을 이용하고 있다.
산화촉매법은 산화촉매필터를 설치하여, 정착장치를 거친 탄화수소가스인 캐리어 증기를 산화촉매필터로 유입시킨다. 산화촉매필터를 거친 캐리어 증기는 수증기(H2O)와 이산화탄소(CO2)로 변환되어 무독, 무취의 생성물로 변환되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산화과정은 발열반응이며, 산화촉매필터의 후단에는 250~400℃정도의 고온의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방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온의 기체를 상온으로 바꿔주는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다량의 기체가 배출될 경우 상기 냉각장치의 부피는 그만큼 커지게 된다.
또한, 정착장치에서 용지에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액체 캐리어까지 가열해야 하므로 건식 화상형성장치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장치의 히팅롤러를 통과하기 전에 액체 캐리어를 증발시킬 수 있는 열을 미리 공급해주는 열기공급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 의 히터와 히터에 의해 발생한 열을 공급시켜주는 팬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상기의 냉각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열기공급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주어야 하므로 부품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상액이 부착된 용지가 정착장치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캐리어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키도록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는, 인쇄엔진을 거쳐 현상액이 부착된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정착장치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덕트, 상기 제1덕트에 구비되는 산화촉매필터, 상기 캐리어 증기가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도록 흡입하기 위한 팬,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는 캐리어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산화촉매필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 중 일부를 상기 정착장치로 회수시키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덕트에는 흡기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는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덕트가 상기 제2덕트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인쇄엔진, 상기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 및상기 구성을 가지는 산화촉매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10), 현상액으로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화상을 공급된 용지(P)로 전사시키는 인쇄엔진(220), 용지(P)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P)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230), 정착장치(230)의 내부와 화상형성장치 본체(210)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정착장치(230)에 연결된 산화촉매장치(240), 용지(P)를 인쇄엔진(220)으로 공급하는 급지장치(250) 및 인쇄된 용지(P)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260)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엔진(220)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로서의 감광드럼(221a)(221b)(221c)(221d),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222a)(222b)(222c)(222d),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며 대전장치(222a)(222b)(222c)(222d)에 의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에 전위차를 발생케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223a)(223b)(223c)(223d),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액 예컨대, 옐로우, 마 젠타, 시안, 블랙의 컬러 현상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장치(224a)(224b)(224c)(224d) 및,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사벨트(226)로 전사시키도록 전사벨트(160)를 지지하는 복수의 백업전사롤러(227a)(227b)(227c)(227d)와, 복수의 가시화상이 중첩되어 전사벨트(160) 상에 형성된 최종화상을 공급된 용지(P)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22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현상액은 토너가 함유된 잉크와, 노파(Nor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다. 노파는 C10H22, C11H24, C12 H26, C13H28의 혼합물인 탄화수소(Hydrocarbon) 계통의 용제로, 가열되면 메탄(CH₄)과 같은 가연성의 탄화수소가스로 증발한다.
정착장치(230)는 컬러화상을 전사받은 용지(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액 성분 중에서 캐리어를 증발시키고 잉크를 용지(P)상에 고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230)는 케이스(231)와, 고열을 발생하도록 케이스(231) 내부에 설치된 히팅롤러(232)와, 히팅롤러(232)와 접하여 회전하도록 케이스(231) 내부에 설치된 가압롤러(23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히팅롤러(232)는 히팅램프나 전열선 등의 발열체를 구비하여 고열을 발생한다. 따라서, 전사된 화상이 상기 정착장치(230)를 거치게 되면, 노파(Nor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는 높은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기화되어 버린다. 이 기화된 캐리어에는 용지가 원래 가지고 있는 수증기와 노파(Norpar)증기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한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용지에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액체 캐리어까지 가열해야 하므로 건식 화상형성장치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용지가 히팅롤러(232) 및 가압롤러(233)를 통과하기 전의 위치에 미리 가열하도록 예열히터(234)를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도4 참조).
산화촉매장치(240)는, 정착장치(230)에서 용지(P)에 부착된 현상액이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캐리어 증기의 산화분해반응을 촉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촉매장치(240)는 제1덕트(245)와 제2덕트(247)를 구비하는 덕트(241), 팬(242), 히터(243) 및 산화촉매필터(244)를 포함한다.
덕트(241)는 그 일단이 정착장치(230)의 케이스(231)에 연결되며, 케이스(231) 내에서 발생되는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 본체(210)의 외부 및 정착장치(230)로 다시 회수하도록 가이드 한다. 덕트(241)는 상기 정착장치(230)의 케이스(231)와 연통되어 상기 캐리어 증기를 산화촉매필터(244)로 유입시켜 정화시키고 정화된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덕트(245)와, 상기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하여 정화된 캐리어 증기를 정착장치(230)로 다시 회수시키는 제2덕트(247)를 구비한다. 상기 제1덕트(245) 및 제2덕트(247)는 공간효율 및 회수의 편의를 위해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덕트(245)가 상기 제2덕트(247)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덕트(245)와 제2덕트(247)는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제1덕트(245)는 정착장치(230)에서 히팅롤러(232) 및 가압롤러(233)가 설치된 케이스(231)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팬(242), 히터(243) 및 산화촉매필 터(244)가 설치된다. 제1덕트(245)의 배출구(246)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10)의 외부와 연통되어, 산화촉매필터(244)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11,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중 일부(12)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출구(246) 주위에는 고온의 기체를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제2덕트(247)는 일단이 제1덕트(245)와 연결되고 타단이 정착장치(230)의 케이스(231)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제2덕트(247)에는 산화촉매필터(244)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11)를 정착장치(230)로 공급하기 위한 회수팬(24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팬(248)은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한 증기가 팬(242)에 의해 정착장치(230)로 송풍하기에 부족할 경우 보조적으로 쓰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241)는 'ㄷ'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팬(242)은 상기 제1덕트(245)에 설치되어, 정착장치(230)로부터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정착장치(230)로부터 흡입하여 후술할 산화촉매장치(240) 내부로 유입시킨다.
히터(243)는 팬(242)에 의해 흡입된 캐리어 증기의 온도를 활성화 온도, 예컨대 대략 200℃까지 상승시킨다. 활성화 온도는 촉매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산화촉매필터(244)는 백금(Pt)이나 팔라듐(Pd) 등의 산화촉매제가 코팅된 것으로, 대략 200℃에서 활성화 되어 가연성 탄화수소가스인 캐리어 증기가 수증기 (H2O)와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되는 산화분해반응을 촉진시킨다.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산화과정은 발열 반응이므로, 상기 캐리어 증기가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하여 정화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의 온도는 대략 250~40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장치(222a)(222b)(222c)(222d)에 의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각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에 노광장치(223a)(223b)(223c)(223d)로부터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레이저빔이 조사된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의 표면은 그 대전전위가 변하면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현상장치(224a)(224b)(224c)(224d)가 감광드럼(221a)(221b)(221c)(221d)에 형성된 각각의 정전잠상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현상액을 부착시켜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네 가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전사벨트(226)로 차례로 전사되며, 전사벨트(226)에는 네 가지 색상의 현상액이 중첩된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일련의 화상형성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급지장치(250)가 용지(P)를 전사벨트(226) 측으로 이동시킨다. 용지(P)가 전사벨트(226)와 전사롤러(228) 사이로 이동되면 전사벨트(226)에 형성된 컬러화상은 용지(P)로 전사되고, 용지(P)는 정착장치(230) 쪽으로 진행된다.
정착장치(230)로 이동된 용지(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232)와 가압롤러(233) 사이를 통과하여 정착장치(230)에서 벗어난 후, 배지장치(26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210) 외부로 배출된다. 용지(P)가 히팅롤러(232)와 가압롤러(233) 사이를 통과할 때 히팅롤러(23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용지(P) 상에 전사된 현상액의 성분 중에서 캐리어는 증발하고 잉크는 용지(P) 상에 고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착장치(230)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는 팬(242)에 의해 케이스(231) 외부로 송출되어, 제1덕트(245)를 흐르면서 히터(243)를 통과하여 산화촉매필터(244)로 유입된다. 캐리어 증기는 히터(243)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대략 200℃의 활성화 온도까지 상승된 후, 산화촉매필터(244)로 유입된다.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하는 캐리어 증기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산화분해된다.
산화촉매필터(244)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11,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중 일부(12)는 제1덕트(245)의 배출구(246)를 통해서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기 전 상기 고온의 기체(12)는 미도시된 냉각장치에 의해 상온으로 냉각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냉각장치가 일부의 기체만을 냉각시키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부피가 작게 된다. 한편, 산화촉매필터(244)를 통과하여 반응된 고온의 기체(11) 중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나머지 고온의 기체(13)는 상기 팬(241) 및 회수팬(248)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어, 제2덕트(247)를 따라 흐르면서 정착장치(230)로 다시 회수된다. 상기 회수된 고온의 기체(13)는 용지가 히팅롤러(232) 및 가압롤러(243)를 통과하기 전에 예열하는 기능을 하므로, 히팅롤러(232)의 가열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전력소모량이 줄어들고, 정착시간을 단축 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에 의하면, 산화촉매필터 후단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기체 일부를 정착장치 내부로 유입시켜 재활용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를 냉각 처리해야하는 산화촉매필터 후단의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의 양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부가적인 장치와 전력의 필요없이 정착장치 내부의 필요열기를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인쇄엔진을 거쳐 현상액이 부착된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정착장치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덕트;
    상기 제1덕트에 구비되는 산화촉매필터;
    상기 캐리어 증기가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도록 흡입하기 위한 팬;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는 캐리어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산화촉매필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 중 일부를 상기 정착장치로 회수시키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에는 흡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는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덕트가 상기 제2덕트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4.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인쇄엔진;
    상기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 및
    상기 정착장치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촉매를 이용한 산화반응에 의해 상기 캐리어 증기를 여과, 탈취하여 정화시키는 산화촉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촉매장치는,
    상기 정착장치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덕트;
    상기 제1덕트에 구비되는 산화촉매필터;
    상기 캐리어 증기가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도록 흡입하기 위한 팬;
    상기 산화촉매필터를 통과하는 캐리어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산화촉매필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 중 일부를 상기 정착장치로 회수시키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에는 흡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76771A 2004-09-24 2004-09-24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57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71A KR100573673B1 (ko) 2004-09-24 2004-09-24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71A KR100573673B1 (ko) 2004-09-24 2004-09-24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97A KR20060027897A (ko) 2006-03-29
KR100573673B1 true KR100573673B1 (ko) 2006-04-26

Family

ID=3713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71A KR100573673B1 (ko) 2004-09-24 2004-09-24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569B2 (ja) * 2016-11-25 2019-10-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97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705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30626A2 (en) Carrier vapor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in a wet 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55746B1 (ko) 산화촉매유닛과 산화촉매유닛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한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73673B1 (ko)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10032255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용제필터링장치
KR20040048521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가스 배출장치
JP2005324191A (ja) オゾン浄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湿式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2005321791A (ja) 酸化触媒装置,酸化触媒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酸化触媒装置を備えた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
JP2005316442A (ja) 酸化触媒ユニット,湿式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キャリア蒸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KR10054813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용 산화촉매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2822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US20060133853A1 (en) Wet-typ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61377B1 (ko) 산화촉매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2014502365A (ja) プリンタの蒸気処理の予熱
KR100335425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캐리어증기제거장치
KR100582996B1 (ko) 산화촉매유닛, 이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및 산화촉매 수명 판단방법
JPH02287571A (ja) 湿式現像方式の電子プリンタ用脱臭装置
KR20050109143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산화촉매장치
KR10053467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05468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H0311616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59381A (ko) 습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