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340A -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 - Google Patents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340A
KR20000017340A KR1019990033790A KR19990033790A KR20000017340A KR 20000017340 A KR20000017340 A KR 20000017340A KR 1019990033790 A KR1019990033790 A KR 1019990033790A KR 19990033790 A KR19990033790 A KR 19990033790A KR 20000017340 A KR20000017340 A KR 2000001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elt
block
seat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227B1 (ko
Inventor
와치즈카미츠루
Original Assignee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우라 야스오
Publication of KR2000001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022/347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긴급잠금식 리트랙터는 드럼주위로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 이상으로 긴급히 잡아당겨졌을 때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긴급잠금부와, 수동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EMERGENCY-LOCK TYPE RETRACTOR WITH HAND-OPERATED BELT LOCK MECHANISM AND CHILD CAR SEAT INCORPORATING SAME RETRAC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유아를 앉히는 차일드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잠금식 리트랙터를 갖는 개량된 차일드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유아를 태울 경우에,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일드카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차일드카시트용 구조물들이 있다. 여기에서, 도44 및 도45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일드카시트의 일예의 구조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44 및 도45에 도시한 차일드카시트(101)는 유아의 시트과 등받이를 일체로한 시트부(102)와, 자동차의 좌석에 차량시트벨트(103)에 의하여 고정되는 베이스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102)의 전면 중앙에는 복부지지부재(105)가 설치되고 이 복부지지부재(105)에는 시트부(102)의 배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벨트(106a),(106b)와 차일드카시트에 고정된 시트벨트(106c),(106d)가 각각 착탈식 금속부재(106e),(106f)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벨트(106a),(106b)는 시트부(102)의 배면측에서 판상의 벨트조정금속부재(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벨트조정금속부재(110)의 타단에는 리트랙터(후술하는 도1의 1)로부터 인출되는 길이 조정벨트(311)가 고정된다. 리트랙터는 시트부(102)의 하부에 내장되어 길이조정벨트(311)가 인출구(312)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차일드카시트(101)를 사용할 경우, 도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04)를 차량시트벨트(103)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하고 시트부(102)에 유아를 앉힌다. 이 때 유아의 머리부분은 벨트(106a),(106b)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벨트(106a),(106b)가 어깨를 누르도록 하여 복부지지부재(105)에 고정한다. 복부지지부재(105)는 유아의 복부와 흉부를 덮으며 양 다리가 복부지지부재의 양옆으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도록 한다.
자동차의 정상 주행상태에서는 벨트(106a),(106b)가 유아에게 약간의 인장력이 걸리면서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유아가 움직여서 벨트(106a),(106b)가 당겨질 경우 벨트(106a),(106b)가 차일드카시트(101)로부터 인출되고, 벨트(106a),(106b)가 느슨해지면 자동적으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유아는 차일드카시트(101)에 느슨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앉아있게 된다.
한편 급브레이크 등을 걸었을 경우에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가 긴급작동한다. 즉 급브레이크로 유아가 급히 전방향으로 몸을 내밀게되므로 벨트(106a),(106b)가 갑자기 당겨지고 길이조정벨트(311)도 갑자기 당겨질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태에서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가 이 가속도작용에 의하여 길이조정벨트(311)를 인출하지 않도록 걸려서 긴급잠금된다. 이 결과 벨트(106a),(106b)의 인출이 제한되어, 유아는 복부지지부재(105) 및 벨트(106a),(106b)에 의하여 신체전체가 고정되어 안전이 확보된다.
그러나 상기 차일드카시트(101)의 구성에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부모가 운전을 하고 유아를 차일드카시트(101)에 앉히는 경우에 유아가 서서히 움직이면 이 긴급잠금식 리트랙터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벨트(106a),(106b)가 조금씩 인출되어 유아가 벨트(106a),(106b)로부터 빠져 나와 버릴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차일드카시트에서 발견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은 차일드카시트에 앉아 있는 유아를 고정하는 벨트를 부모가 임의로 잠글 수 있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와 그 리트랙터를 결합한 차일드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드럼에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이상으로 급격히 당겨졌을 경우, 상기 드럼을 회전 정지하여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는 긴급잠금부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가 제공되며, 긴급잠금식 리트랙터는 상기 드럼을 수동으로 회전 정지할 수 있는 수동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래의 긴급잠금 이외에 수동으로 벨트를 미리 소정 길이로 설정하여 유아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이상으로 급격하게 당겨졌을 때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계지(係止)갈고리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는 긴급잠금부와, 상기 계지갈고리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기어에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을 회전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과 수납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계지갈고리와 상기 기어의 계지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수동잠금부 등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벨트의 긴급잠금용으로서 설치한 종래의 계지갈고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벨트의 길이를 요망되는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손잡이를 제1 조작위치에 고정했을 때는 상기 수동잠금부에 의한 상기 계지갈고리와 상기 기어의 계지가 수행되고, 상기 조작손잡이를 제2 조작위치에 고정했을 때는 상기 수동잠금부에 의한 상기 계지갈고리와 상기 기어의 계지가 해제되는 조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의 고정위치에 의하여 수동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손잡이에 스프링에 의하여 부세되는 잠금손잡이를 설치하여 상기 잠금손잡이의 일단을 상기 스프링의 부세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형성된 계지공에 계지시켜 상기 조작손잡이의 상기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의 고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잠금손잡이가 자동적으로 계지공을 계지하여 잠금 및 잠금해지를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에 의한 상기 계지갈고리의 수동조작을 상기 조작부와 상기 수동잠금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갖는 와이어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동잠금부의 조작을 리트랙터 본체로부터 이격된 가장 조작하기 쉬운 임의의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지갈고리의 수동조작을 상기 조작손잡이에 의한 직접조작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와 수동잠금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삭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이상으로 급격히 당겨졌을 때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계지갈고리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을 회전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는 긴급잠금부와, 수동조작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2의 계지갈고리를 상기 기어에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을 회전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과 수납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제2의 계지갈고리와 상기 기어의 계지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수동잠금부 등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긴급잠금부와는 별도로 수동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이상으로 급속하게 당겨졌을 때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계지갈고리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을 회전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는 긴급잠금부와, 상기 벨트의 일부를 압압하여 이 벨트의 인출과 수납을 제한하는 수동잠금기구 등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긴급잠금부와는 별도의 설계가 자유스런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의 인출 또는 권입(卷入)을 수동으로 잠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이상으로 급격하게 당겨졌을 때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계지갈고리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을 회전정지시켜 상기 벨트의 인출을 제한하는 긴급잠금부와, 상기 벨트가 접촉되는 벨트조정금속부재를 계지하여 상기 벨트의 인출수납을 제한하는 수동잠금기구 등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벨트가 접속되는 경질의 금속부재를 사용하여 벨트의 인출수납을 수동으로 잠글 수 있으므로 확실한 잠금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권회하는 드럼과, 이 드럼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부재와, 이 잠금부재를 요망에 따라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 사이에서 절환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재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리트랙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권회하는 드럼과, 이 드럼의 수납인출을 제한하는 잠금부재와, 이 잠금부재를 요망되는 대로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사이에서 절환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재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리트랙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긴급잠금부를 갖지 않는 시트벨트에 대해서라도 인출수납을 수동으로 잠글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일드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긴급잠금식 리트랙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구성의 차일드카시트는 자동차주행중에 유아를 잡아주고있는 벨트를 긴급잠금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으로 벨트를 미리 소정의 길이로 설정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사용하기 쉬운 차일드카시트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1 - 본 발명의 리트랙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 - 제1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 -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4 -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 - 제1실시예의 조작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 - 도5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7 -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8 - 제2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9 -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0 - 제3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1 -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2 - 제4실시예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3 -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4 -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5 - 도14의 리트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16 -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7 - 도16의 리트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18 -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19 - 도18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0 - 도18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1 -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차일드시트의 사시도.
도22 - 도21의 차일드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3 - 도21의 차일드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4 -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차일드시트의 사시도.
도25 - 도24의 차일드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6 - 도24의 차일드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7 -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벨트조정금속부재의 사시도.
도28 - 벨트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27의 벨트조정금속부재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29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채택된 조작부(C)의 제1변형예의 설명도.
도30 - 도29에 표시한 조작부의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종단설명도, (b)는 절결홈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1 - 회전아암을 갖는 와이어식 조작부의 동작설명도.
도32 -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1변형예의 조작손잡이와 보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1의 조작위치에 있는 조작손잡이 보턴의 작용관계의 설명도, (b)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의 설명도.
도33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2변형예의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b)는 제1의 조작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c)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4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b)는 제1의 조작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c)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5 - 와이어식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b)는 절결홈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36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
도37 - 도36에 표시한 변형예의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b)는 절결홈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8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
도39 - 도38에 표시한 변형예의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조작손잡이의 내부구조도, (b)는 중공샤프트이음쇠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계지판과 양 절결홈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40 - 도38에 표시한 변형예의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로의 이행과정의 설명도, (b)는 제1의 조작위치로 이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d)는 측부에 보턴을 설치한 조작손잡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e)는 조작손잡이의 형상을 변형시킨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41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7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1 및 제2의 조작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샤프트가 제2의 조작위치에 있는 경우의 설명도, (d)는 샤프트가 제1의 조작위치에 있는 경우의 설명도.
도42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8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전면사시도, (b)는 일부종단설명도, (c)는 배면사시도.
도43 - 와이어식 조작부의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9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특히 (a)는 사시도, (b)는 제2의 조작위치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로의 이행과정을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c)는 제1의 조작상태로 이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종단설명도.
도44 - 종래의 차일드카시트를 나타내는 전면측의 사시도.
도45 - 종래의 차일드카시트를 나타내는 배면측의 사시도.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수동잠금기구를 설치한 리트랙터와 그 리트랙터를 갖는 차일드카시트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도6은 리트랙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44 및 도45에 표시한 차일드카시트를 적절히 원용한다.
이제 본 발명에 관한 수동잠금기구를 설치한 리트랙터(1)는 긴급잠금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리트랙터에 다시 수동잠금기구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리트랙터(1)는 긴급잠금부(A)와 수동잠금부(B)(양자 모두 도1)와 조작부(C)(도2)로 대별된다. 이 가운데 긴급잠금부(A)와 수동잠금부(B)는 도1에서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체(2)내에 설치되어있고 여기에서 와이어(15)가 인출되고 이 와이어(15)를 조작부(C)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급잠금부(A)와 수동잠금부(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조작하는 것이다.
먼저 긴급잠금부(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긴급잠금부(A)는 길이조정벨트(3)와, 이 길이조정벨트(3)를 권취하고 또한 풀어내는 드럼단, 드럼에는 길이조정벨트(3)가 감겨져 있으므로 도1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과, 이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4)와, 이 기어(4)를 계지하는 계지갈고리(5)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긴급잠금부(A)는 자체가 종래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길이조정벨트(3)도 종래예에서 설명한 길이조정벨트(311)(도45)에 해당하는 것이며 그 선단에 고정된 벨트조정금속부재(7)도 종래예에서 설명한 벨트조정금속부재(110)(도45)에 해당하는 것이다.
충돌이나 급브레이크 등으로 길이조정벨트(3)가 급격하게 당겨졌을 때, 이 가속도에 의하여 긴급잠금부(A)의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계지하여,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을 긴급하게 잠그도록 되어있다. 이 긴급잠금부의 구성자체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미 주지의 기술이기도 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수동잠금부(B)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 수동잠금부(B)는 축(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판(12)과, 축(13)에 일단을 고정하여 회동판(12)을 항상 인장하는 스프링(14)과, 회동판(12)을 스프링(14)에 대항하여 당기는 와이어(15)와, 기어(4)에 계지하는 계지갈고리(5)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판(12)에 의하여 회동하는 구동판(6)등으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서 와이어(15)가 인장되면 회동판(12)이 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 구동판(6)을 누르고, 이 구동판(6)과 일체로 회동하는 계지갈고리(5)가 기어(4)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어(4)에 계지된다. 그 결과 드럼의 회전이 잠기며 나아가서는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이 제한된다.
도2의 조작부(C)도 본 발명에 의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도1의 와이어(15)를 인장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 있어서 조작부(C)는 U-자형의 프레임체(21)와 프레임체(2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판(22)과, 축(23)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동판(22)의 일단을 항상 일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24)과, 와이어(15)와 회동판(22)사이에 접속된 스프링(25)과, 조작손잡이(26)등으로 구성된다.
조작손잡이(26)는 회동판(22)을 회동조작하는 손잡이(26a)와 원판부(26b)를 구비하고, 손잡이(26a)와 원판부(26b)의 각부에 설치한 베어링부(27)에는 잠금손잡이(28)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잠금손잡이(28)는 조작손잡이(26)를 잠가 회동불가시키는 동시에 잠금을 해제하여 회동가능하게도 한다.
잠금손잡이(28)는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체를 후크(hook)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만곡부의 양단이 손잡이(26a)에 설치한 베어링부(27)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잠금손잡이(28)의 일단과 손잡이(26a)사이에는 스프링(29)이 설치되어 잠금손잡이(28)전체를 도3에서 시계방향으로 항상 부세하고 있다. 또한 잠금손잡이(28)의 타단에는 계지돌기(31)가 설치된다.
한편 도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판부(26b)에는 계지공(32)이 형성되고, 프레임체(21)의 앞쪽의 벽부(21a)에도 계지공(33)이 형성된다. 다만 계지공(33)은 계지돌기(31)가 회동하는 궤적상에 소정간격으로 2개소에 형성된다. 이는 회동판(22)의 회동위치를 2종의 각도로 잠그기 위한 구성이고 후에 수동잠금기능으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제 도4는 도2의 스프링(25)과 와이어(15)의 접속구조의 1구체예를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양도면 모두 조작손잡이(26)를 회동함으로써 와이어(15)가 당겨지는 것을 표시한다. 와이어(15)는 자전차 등의 브레이크에 사용하는 것과 동종이어도 좋다. 즉 가요성을 갖는 커버(15a)내에 강선(15b)을 삽통시킨 구성이며, 뒤틀림변형상태에서도 강선(15b)을 당길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표시한 회동판(12)의 일단과 조작부(C)가 와이어(15)에 의하여 연결되어있으므로 조작부(C)가 수동잠금부(B)로부터 이격되어도 조작부(C)에서 수동잠금부(B)를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리트랙터(1)의 전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런데 리트랙터(1)는 차일드카시트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종래예에서 표시한 차일드카시트(101)를 적절히 원용한다. 리트랙터(1)중에서 도1에 표시한 부분, 즉 긴급잠금부(A)와 수동잠금부(B)는 차일드카시트(101)의 시트부(102)내에 매설되어 길이조정벨트(3)가 인출구(312)로부터 인출된다. 그리하여 조작부(C)도 시트부(102)내에 고정되는 것이나, 상기와 같이 와이어(15)가 가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조작손잡이(26)를 외부로부터 조작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시트부(102)의 측면(a) 등에 고정된다.
차일드카시트(101)에는 상기와 같이 유아가 앉고 벨트(106a),(106b)가 걸렸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부모가 유아의 신체와 벨트(106a),(106b)사이에 손끝 등을 삽입하여 유아가 어느 정도는 움직이지만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로 벨트(106a),(106b)의 인출가감을 조정한다. 그리하여, 조작손잡이(26)에 설치한 잠금손잡이(28)를 스프링(29)에 대항하여 손잡이(26a)쪽으로 잡아당겨서 계지돌기(31)를 계지공(33)으로부터 해제한다. 즉 도3에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조작하여 조작손잡이(26)의 잠금을 해제한다.
다음에 잠금손잡이(28)를 손가락으로부터 떼어서 조작손잡이(26)를 소정방향으로 회동하면 잠금손잡이(28)는 스프링(29)에 의하여 항상 부세되어 있으므로 다른 계지공(33)이 형성된 위치에서 계지돌기(31)가 계지공(33)에 자동적으로 결합하여 잠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6)를 회동시키면 회동판(22)도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일체로 회동한다. 여기에서 이 스프링(25)은 잠금상태 시에는 항상 와이어를 당기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으므로 회동판(12)을 구동판(6)에 압압하고, 나아가서는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압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C)에 있어서 와이어(15)가 당겨지면 도1에 표시한 회동판(12)이 스프링(1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한다. 그리하여 상단에 형성한 돌기(12a)로 구동판(6)의 상단을 눌러서 구동판(6)을 회동시킨다.
구동판(6)과 계지갈고리(5)는 일체이므로 구동판(6)이 회동하면 계지갈고리(5)도 동일 방향, 즉 기어(4)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어(4)에 치합한다. 이 때 조작부(C)의 스프링(25)의 작용에 의하여 계지갈고리(5)가 대항 기어(4)에 압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기어(4) 및 기어(4)와 일체로된 드럼은 회전제한되고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 및 권취가 제한된다.
이 상태를 유아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유아를 구속하고있는 벨트(106a),(106b)의 체결정도, 즉 이완정도가 일정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는 부모가 조정한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는 있으나 빠져나가는 것과 같은 큰 움직임을 할 수 없어서 부모는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급브레이크를 걸거나 충돌사고로 급정차했을 경우를 가정하면 정상적인 경우에서는 벨트(106a),(106b)를 개재하여 길이조정벨트(3)가 급격하게 당겨짐으로 가속도센서가 작동하여 긴급잠금부(A)가 동작하여 길이조정벨트(3)가 인출되지 않을 것이지만, 본 실시예의 리트랙터(1)를 사용하여 유아를 이미 구속하고 있으므로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치합하고 있어 긴급잠금부(A)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긴급잠금부(A)로서는 기능하지 않으나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유아는 똑같이 보호되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긴급잠금기구를 갖는 리트랙터에 수동잠금기구를 부가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의 유아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긴급시에 있어서도 유아의 안전을 똑같이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동잠금부(B)를 조작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급브레이크를 걸거나 충돌사고로 급정차했을 때 긴급잠금부(A)가 본래의 긴급잠금작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모는 경우에 따라 2종의 사용구별을 수행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동식잠금상태는 잠금손잡이(28)를 스프링(29)에 대항하여 재차 당기지 않는 한 해제되는 일이 없고 유아가 빠져나가는 것을 운전자가 걱정하지 않고 운전할 수 있다.
다음에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서 조작부(C)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한다.
이 구성예에 있어서의 조작부(35)는 프레임체(36)와, 프레임체(36)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행가능하게 설치된 조작손잡이(37)와, 조작손잡이(37)에 설치된 잠금손잡이(38)등으로 구성되며 조작손잡이(37)의 일단에 스프링(39)을 개재하여 와이어(15)가 접속된다.
조작손잡이(37)의 양단에는 가이드돌기(37a)(단, 도5에서는 그 가운데 하나만을 도시함)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37a)는 프레임체(36)의 양측벽부(36a)에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가이드공(36b)에 삽통된다. 그리고 벽부(36a)에 설치된 핀(41)에는 스프링(4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42)의 타단은 가이드돌기(37a)의 선단에 계지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37)는 스프링(42)에 의하여 항상 도5의 우측방향으로 부세되어있는 것이다.
잠금손잡이(38)는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L-자형으로 형성되고 조작손잡이(37)의 각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37)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3)에 의하여 항상 도5 및 도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된다. 잠금손잡이(38)의 선단하부에는 계지돌기(38a)가 설치되는 한편 프레임체(36)의 저부에는 소정간격으로 계지공(44a),(44b)이 설정되며 이 계지공(44a),(44b)에 계지돌기(38a)가 계지하게 된다.
다음에 이 조작부(35)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돌기(38a)가 우측의 계지공(44b)에 계지되어있는 경우에는 와이어(15)가 당겨지지 않으며 도1에 표시한 회동판(12)도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지갈고리(5)는 기어(4)에 계지되지 않으며 이 경우는 본래의 긴급잠금부(A)가 작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잠금손잡이(38)를 스프링(43)에 대항하여 조작손잡이(37)방향으로 밀어붙이면 계지돌기(38a)가 계지공(44b)으로부터 해제되어서 조작손잡이(37)전체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37)를 도5 및 도6의 화살표방향(도면에서 좌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계지돌기(38a)가 스프링(43)에 의하여 부세되어 있으므로 계지공(44a)의 위치에서 계지돌기(38a)가 자동적으로 계지공(44a)에 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조작손잡이(37)를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15)가 스프링(39)을 개재하여 당겨져서 상기와 같이 도1에 표시한 회동판(12)의 하단이 당겨지고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계지된다. 그리고 계지돌기(38a)가 계지공(44a)에 계지됨으로써 회동판(12)이 당겨져서 상기와 같이 구동판(6)의 상단을 계속하여 누르고 이와 더불어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계속하여 치합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부모가 미리 설정한 상태로 유아를 구속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 있어서의 유아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급정차시의 사고도 종래와 똑같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상기 제1실시예의 다른 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각각 배치되었던 긴급잠금부(A), 수동잠금부(B) 및 조작부(C)를 일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작용을 하는 부재들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트랙터에서는 프레임체(2)의 외측에 조작부(C)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1)가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조작부(C)에 설치한 회동판(22)과 일체로 회동하는 축(22a)의 선단에 회동판(12)이 고정된다. 제1실시예에서 회동판(12)에 접속되었던 와이어(15)는 삭제되고, 조작손잡이(26)를 회동조작함으로써 회동판(12)을 직접 회동하는 구조로 된다.
그런데 조작부(C)에 있어서의 조작손잡이(26)나 잠금손잡이(28)의 구성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리트랙터(1)에 의하면, 조작손잡이(26)를 회동조작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잠금으로써 직접 회동판(12)이 구동판(6)의 상단을 누르고 계지갈고리(5)를 기어(4)에 치합시켜서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수납이 제한되기 때문에 와이어(15) 등의 부품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부모가 유아를 구속하는 벨트(106a),(106b)를 조정하고, 조작손잡이(26)를 조작하여 길이조정벨트(3)를 잠금으로써 평상시에 있어서의 유아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급정차시의 사고도 종래와 동일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손잡이(28)을 조작하여 조작손잡이(26)를 회동조작하지않는 한, 유아의 빠져나감이 제한되어 운전자가 걱정하지 않고 운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조작부(C)를 조작하여 계지갈고리(5)를 기어(4)에 직접 치합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트랙터(1)는 도1이나 도7에서의 구동판(6)이나 회동판(12), 스프링(14), 와이어(15) 등을 사용하지않고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레임체(2)와 조작부(C)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1)가 일체화된다. 그리고 조작부(C)를 구성하는 회동판(22)과 일체로 회동하는 축(22)의 선단에 압압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압부재(47)는 계지갈고리(5)의 2측면에 당접하도록 단면에서 L-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압압부재(47)의 회전에 의하여 압압부재(47)가 계지갈고리(5)를 압압하고, 이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치합하도록 된다. 따라서 압압부재(47)를 수동잠금부(B)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조작부(C)에 있어서의 조작손잡이(26), 잠금손잡이(28) 등의 구성과 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리트랙터(1)는 차일드카시트의 좌석내에 매설되고 조작손잡이가 외부에 설치되어서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둔다. 그리고 부모가 유아의 신체와 벨트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설정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부(C)를 조작하면 압압부재(47)가 계지갈고리(5)를 기어(4)방향으로 밀어 그 계지갈고리(5)가 기어(4)와 치합한다. 이 결과 기어(4), 나아가 드럼이 회전정지하게 되고 길이조정벨트(3)의 이 이상의 인출수납이 되지않고 부모가 설정한 벨트의 조정정도가 유지되어서 유아의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급정차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도 상기와 동일하게 이미 잠금이 걸린 상태로되어 있으므로 유아는 보호되는 상태에 있다. 또한 수동식 잠금을 행하지않을 경우는 본래의 긴급잠금이 가능하게되므로 리트랙터(1)를 다기능화할 수 있어서 차일드카시트의 사용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조작부(C)를 구성하는 조작손잡이를 긴급잠금부(A)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에 일체로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11 및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2)를 구성하는 일방의 벽부(2a)에는 횡방향으로 길이형상의 가이드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공(51)에는,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L-자형의 조작부재(52)의 부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52a)가 삽통되고 폭넓게 형성된 손잡이부(52b)의 측면에는 잠금손잡이(53)가 베어링부(5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잠금손잡이(53)는 스프링(55)에 의하여 항상 일방향으로 부세되고 벽부(2a)에 소정간격으로 형성한 계지공(57a, 57b)에 타단에 설치된 계지돌기(56)를 계지시킨다.
한편 손잡이부(52b)의 측면에는 파이프상의 가이드부재(58)가 직립상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왕복운동가능하게 가이드봉(59)이 설치된다. 가이드봉(59)은 스프링(61)의 내부를 삽통하고 그 선단에는 계지갈고리(5)를 부세하는 압압부재(62)가 고정된다.
그리고 벽부(2a)의 후단부의 일부는 절곡되어 스프링지지부(2c)를 구성하고 스프링지지부(2c)에 일단을 고정한 스프링(63)의 타단이 가이드부(52a)의 일단에 계지되고, 조작부재(52)전체를 항상 후방으로 즉 도11에서 기어(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1)에 있어서 수동잠금을 행하지않는 경우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조작부재(52)전체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공(51)의 후단측에 잡아당겨져서 계지돌기(56)가 도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지공(57a)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동식 길이조정벨트(3)의 잠금이 행하여지지않고 긴급잠금부(A)가 급정차시 등에 종래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한편 수동잠금을 행할 경우에는 잠금손잡이(53)를 스프링(55)에 대항하여 당기고 계지돌기(56)와 계지공(57a)의 계지를 해제하고 또한 스프링(63)에 대항하여 조작부재(52)전체를 기어(4)방향으로 밀어 움직인다. 이 때 조작부재(52)는 가이드부(52a)가 가이드공(51)에 의하여 가이드되므로 상하로 흔들리지 않고 전방으로 진행한다. 압압부재(62)가 계지갈고리(5)를 압압하게되고 계지돌기(56)가 계지공(57)에 계지하는 위치에서는 계지갈고리(5)가 기어(4)에 치합한다.
그리고 계지돌기(56)는 계지공(57b)에 계지하여 기어(4)의 회동, 즉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수납이 제한되고 부모가 미리 설정한 벨트의 조정정도가 유지된다. 이 수동식잠금상태는 잠금손잡이(53)를 스프링(55)에 대항하여 재차 당기지않는 한 계속되며 유아가 빠져나가지않는 상태를 계속한 채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도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긴급잠금용 계지갈고리(5)를 이용하지않고 수동잠금을 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트랙터(1)는 프레임체(2)와 조작부(C)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1)를 일체화하고 조작부(C)를 구성하는 축(22a)의 선단에 수동잠금용 계지갈고리(65)를 새로 설치한 것이다. 조작부(C)에 있어서의 조작손잡이(26)나 잠금손잡이(28)의 구성이나 작용은 상기와 동일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모는 차일드카시트에 앉은 유아가 움직일 수 있도록하지만 빠져나가지 않도록 벨트의 길이를 설정한 후 조작손잡이(26)를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한다. 그리고 축(22a)이 회동하면 계지갈고리(65)가 기어(4)에 치합하고 계지갈고리(5)와는 상관없이 기어(4)의 회동을 제한하여 길이조정벨트(3)를 잠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제6 실시예]
다음에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리트랙터의 제6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는 계지갈고리 등에 상관없이 길이조정벨트(3)를 직접 잠그는 것이다. 이들 도14 및 도15에서 상기 계지갈고리나 기어의 도시를 생략하는 동시에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리트랙터(1)에서는 대향하는 벽부(2a, 2b)사이에 압압부재(66)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압압부재(66)는 측면형상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압압부재(66)의 선단측과 후술하는 나사축(73)과의 사이에는 스프링(78)이 개재되어있고 압압부재(66)를 대항 도15(b)에서 축(67)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부세한다. 즉, 압압부재(66)의 하측의 만곡한 측면은 드럼에 권회된 길이조정벨트(3)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압압부재(66)의 측방, 즉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방향에는 압압부재(66)를 길이조정벨트(3)의 측면으로 압압하기 위한 압압기구(71)가 설치된다. 압압기구(71)는 벽부(2a),(2b)의 전후에 가설된 기판(72a),(72b)과, 기판(72a),(72b)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나사축(73)과, 나사축(73)을 회전조작하는 조작부(73a)와, 나사축(73)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고 압압부재(66)를 길이조정벨트(3)의 측면에 당접시키는 너트블록(74)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어(4)나 계지갈고리(5)는 벽부(2a)의 외측에 설치한 커버(75)에 의하여 피복된다.
제6 실시예에 의한 리트랙터(1)를 다시 살펴보면 수동잠금기구를 작동시키고 있지 않을 때에는 긴급잠금이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여진다. 한편 수동잠금을 행할 경우에는 부모가 상기와 동일하게 유아가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벨트의 길이정도를 조정하고 조작부(73a)를 조작하여 나사축(73)을 예를 들면 도14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너트블록(74)이 도15에서 기판(72b)방향으로 이동하고 압압부재(66)의 경사면의 각도에 대응하여 압압부재(66)를 길이조정벨트(3)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붙인다. 그러므로 길이조정벨트(3)에 브레이크가 걸려 인출수납이 제한된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제7 실시예]
다음에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6실시예와 같이 계지갈고리 등에 상관없이 길이조정벨트(3)를 직접 잠그는 것으로서 상기 계지갈고리나 기어의 도시를 생략하는 동시에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리트랙터(1)에서는 인출된 길이조정벨트(3)를 협지하여 수동잠금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구에 있어서 수동잠금부(B)에 해당하는 협지기구(81)가 설치된다. 협지기구(81)는 벽부(2a),(2b)에 상하방향으로 길이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공(82a),(82b)에 가이드되어서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판(83)과, 이 가이드판(83)에 천공된 구멍(도시되지않음)에 삽통된 핀(88)의 선단에 고정된 압압판(85)과, 이 압압판(85)과 가이드판(83)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84a),(84b) 등이 주요 부재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벽부(2a),(2b)의 내측면에는 계지핀(86a),(86b)이 직립상으로 설치되고 스프링(87a),(87b)에 의하여 가이드판(83)을 상방향으로 인상시킨다.
수동잠금조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조작부(C)에 의하여 와이어(15)를 당긴다. 와이어(15)는 가이드판(83)의 단부에 고정되고 와이어(15)를 당기면 가이드핀(89a),(89b)에 의하여 당기는 방향이 변하고 스프링(87a, 87b)에 대항하여 가이드판(83)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압압판(85)도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당초에는 스프링(84a),(84b)에 의하여 길이조정벨트(3)를 느슨하게 압압하고 이어서 압압판(85)의 하강에 의하여 스프링(84a),(84b)으로 강하게 압압한다.
이런 식으로 길이조정벨트(3)의 협지에 의하여 또한 분리된 조작부(C)를 이용하여 수동잠금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조작부(C)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으므로 차일드카시트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새로운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84a),(84b)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압압판(85)을 스프링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가이드판(83)에 고정하도록해도 좋다.
[제8 실시예]
다음에 도18 - 도2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7 실시예와 같이 길이조정벨트(3)를 협지하여 수동잠금을 행하는 것이나 협지기구가 프레임체(2)와는 분리되어있다.
즉 협지기구(91)는 길이조정벨트(3)를 삽통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한 커버(92)와, 길이조정벨트(3)를 압압하는 바(93)와, 바(93)를 하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94)(열리는 스프링)과, 커버(92)의 외측에 설치된 조작부(C) 등을 구비한다. 스프링(94)은 일단이 커버(92)의 내측에 계지되고 타단은 바(93)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형상의 계지부(93a)에 계지된다.
조작부(C)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의 회동조작에 의하여 잠금 및 프리로 동작하는 구성이다.
조작부(C)를 잠금조작시 도20의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스프링(94)의 부세력에 의하여 바(93)가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하강한다. 이 바(93)의 하강에 의하여 바(93)는 길이조정벨트(3)를 협지한다. 따라서 수동잠금이 행하여져서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수납이 제한된다. 한편 조작부(C)를 프리로 조작할 때에는 스프링(9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조작부(C)를 조작하고, 바(93)를 도20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조정벨트(3)로부터 이간시킨다. 이 결과 길이조정벨트(3)는 인출수납가능한 상태로되나, 긴급잠금부는 상기와 동일하게 작용가능한 상태로된다.
그런데 커버(92)의 하단부에서 길이조정벨트(3)에 접하는 면측에 있어서 바(93)가 압압되는 부근에 돌기(T)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길이조정벨트(3)와의 접촉저항이 커져 잠금효과가 일층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트랙터(1)는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경로에 서 수동잠금을 걸 수 있으므로 차일드카시트에 적용했을 경우에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제9 실시예]
다음에 도21 - 도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차일드카시트의 배면측에서 길이조정벨트(3)에 수동잠금을 걸도록 구성한 것이다.
차일드카시트(111)의 배면측에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잠금기구(121)가 설치된다. 차일드카시트(111)는 자동차의 시트에 안전벨트(11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베이스부(113)와, 유아를 앉히는 시트부(114)등으로 구성되며, 시트부(114)의 배면측에 수동잠금기구(121)가 설치되고 시트부(114)의 측면에 조작부(C)가 설치된다.
시트부(114)에는 도2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정벨트(3)의 폭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간격으로 한 쌍의 관통공(115a),(115b)이 개공되고 이 관통공(115a),(115b)에는 수동잠금기구(121)를 구성하는 왕복운동부재(122a),(122b)가 삽통된다. 왕복운동부재(122a),(122b)의 선단은 압압부재(123)에 고정되어 왕복운동부재(122a),(122b)가 도22중 상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압압부재(123)에 의하여 길이조정벨트(3)를 시트부(114)의 배면으로 밀어붙여 수동잠금을 행하도록된다.
왕복운동부재(122a),(122b)는 시트부(114)의 내부에서 구동샤프트(124)에 고정되는 동시에 스프링(125)에 의하여 항상 시트부(114)의 배면측으로 부세된다. 따라서 구동샤프트(124)에 의하여 스프링(125)에 대항하는 방향, 도22에서는 상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는 한 왕복운동부재(122a),(122b)는 시트부(114)의 배면측으로 돌출되고 시트부(114)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길이조정벨트(3)는 자유롭게 인출되고 권입된다.
구동샤프트(124)의 좌단은 도2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C)에 연결된다. 조작부(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12에 표시한 구성으로된다. 즉 시트부(114)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길이형상의 가이드공(115)이 형성되고 구동샤프트(124)의 단부가 가이드공(115)을 삽통하고 그 선단에 조작손잡이(125)가 고정된다. 조작손잡이(125)에는 잠금손잡이(126)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프링(127)에 의하여 도23에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구동된다.
시트부(114)의 측면에는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공(115)의 하측(이 위치는 상측이라도 좋다)에 도23에 표시한 것과 같이 소정간격으로 2개의 계지공(116a, 116b)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수동잠금기구(121)에 의하면 잠금손잡이(126)가 도23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계지공(116b)에 계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왕복운동부재(122a),(122b)가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되고 길이조정벨트(3)는 인출 및 권입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다만 길이조정벨트(3)가 권회된 리트랙터는 본래의 긴급잠금이 작동가능한 상태로된다.
한편 조작손잡이(125)를 조작하여 잠금손잡이(126)를 계지공(116a)에 계지시켰을 경우에는 조작부(C)나 구동샤프트(124)가 도22에 나타내는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고 또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왕복운동부재(122a),(122b)가 스프링(125)에 대항하여 당겨지고 압압부재(123)에 의하여 길이조정벨트(3)가 시트부(114)의 배면에 밀어붙여진다. 이 결과 길이조정벨트(3)는 인출 및 권입의 어느 것도 행하여지지 않고 수동잠금이 걸리게 된다.
[제10 실시예]
다음에 도24 - 도2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시트부의 배면에서 벨트조정금속부재를 이용하여 수동잠금을 걸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시트부(114)의 배면, 즉 벨트조정금속부재(131)가 위치결정되는 위치의 근방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벨트조정금속부재(131)의 배면에는 T-자형으로 협지판(133)이 설치되고 협지판(133)에는 해제방지부재(134)가 설치된다.
한편 가이드홈(132)에 직교하도록 가이드홈(135)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5)에는 조작부(C)가 횡행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C)는 기본적으로는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여도 좋으며 조작손잡이(136)는 가이드홈(135)을 삽통하여 연장되어서 가이드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조작손잡이(136)의 일단에는 스프링(137)이 계지되고 스프링(137)은 조작손잡이(136)를 항상 도25에서 좌방으로 당기고 있다. 그리고 조작손잡이(136)의 단부에는 스프링(138)에 의하여 부세되는 압압부재(139)가 설치된다.
시트부(114)의 내부에는 협지판(133)을 양측에서 협지하기 위한 협지기구(141)가 설치된다. 협지기구(141)는 지축(142a),(142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대칭구조의 회동부재(143a),(143b)와, 한 쌍의 압력접촉부재(144a),(144b)에 의하여 구성되고 회동부재(143a),(143b)의 베이스부에는 각각 기어(145a),(145b)가 형성된다.
수동잠금을 행할 경우 잠금손잡이(136a)를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조작손잡이(136)을 가이드홈(135)을 따라 도25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대응하여 압압부재(139)도 우측으로 이동하고 회동부재(143a)가 회동하게된다. 회동부재(143a)가 회동하면 기어(145a),(145b)의 작용에 의하여 회동부재(144b)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조작손잡이(136)가 잠금위치에 계지된 시점에서는 도26에 표시한 것과 같이 압력접촉부재(144a),(144b)로 협지판(133)을 양측에서 협지한다.
이 결과, 벨트조정금속부재(13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되고 길이조정벨트(3)의 인출 및 권입이 행하여지지 않고 수동잠금이 걸리게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판(133)을 양측에서 회동부재(143a),(143b)로 협지하고 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회동부재(143b) 대신에 협지판(133)을 따라 연장하도록 판재를 배치할 수 있고 회동부재(143a)에 의하여 판재에 밀어붙이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11 실시예]
다음에 도27 및 도2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시트부의 배면에서 벨트조정금속부재를 이용하여 수동잠금을 걸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시트부(114)의 배면, 즉 벨트조정금속부재(131)가 위치결정되는 위치의 근방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벨트조정금속부재(131)에는 나사삽통공(131a)이 형성되고 시트부(114)의 내측으로부터 가이드홈(132)을 통과한 나사(151)가 삽통된다. 나사(151)의 두부에는 가이드홈(132)으로의 통과를 방지하는 와셔(152)가 걸리고 단부에는 나비너트(153)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나비너트(153)를 풀어줌으로써 벨트조정금속부재(131)가 가이드홈(13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고 나비너트(153)를 조여줌으로써 벨트조정금속부재(131)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나비나사(153)의 조작에 의하여 간단히 벨트의 길이조정을 행할 수 있고 조정한 후에는 벨트(3)의 인출이나 권입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가 벨트로부터 빠져나가는 등의 불편이 없고 급정차 등의 경우에도 안전이 확보된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드럼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벨트를 협지하는 등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잠금이 실현된다.
[변형예들]
다음에 상기 제1실시예의 조작부(C)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형예를 보여준다.
이하의 9개의 변형예중에서 최초의 제1 - 제7변형예는 조작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의 견인을 행하는 타입의 것으로서 도2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다. 다만 도2가 회동판(22)을 사용하고있는데 대하여 이하의 것은 샤프트를 사용하고있는 접이 상이하다.
또한 제8 및 제9변형예는 조작손잡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와이어의 견인을 행하는 타입의 것으로서 도5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제 우선 전자의 타입의 것으로부터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29 내지 도32는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1변형예를 표시한다.
도29(a)에 있어서 베이스(201)에는 샤프트(202)를 지지하기 위한 일방의 지지판(203)과 타방의 지지판(204)이 고정된다. 양 지지판(203, 204)의 위에는 도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홀더(205)가 고정되어서 샤프트(202)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샤프트홀더의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볼트너트체결 등의 임의의 방법이 사용된다.
이렇게 축지지된 샤프트(202)는 그 일단이 베이스(201)의 일방의 측벽(206)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곳에 조작손잡이(207)가 고정된다.
또한 샤프트(202)의 타단에는 아암(208)이 고정된다. 아암(208)의 선단에 설치된 핀(209)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코일스프링(210)의 타단에는 와이어(211)의 일단이 고정된다. 와이어(211)는 베이스(201)의 타방의 측벽(212)에 커버(213)에 의하여 고정된 안내 구금(口金)(214)을 통하여 외부로 도출되고 도1의 수동잠금부(B)를 조작하게된다.
일방의 측벽(206)에 고정된 조작손잡이(207)의 회동영역에는 조작위치유지용의 보턴(215)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이 보턴(215)은 도30(a)에 가장 잘 표시된 것과 같이 일방의 측벽(206)에 만들어 붙인 케이스(216)내에 수납된 코일스프링(217)으로 압압되어서 일방의 측벽의 밖으로 두부를 돌출시키고 있다.
여기서, 작동손잡이(207)는 보턴(215)이 가압되지 않는한 회전하지 않으며 이러한 설계에 의해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샤프트(202)의 일방의 지지판(203)과의 대면부에는 도30(b)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218)가 설치되고 이 갈고리(218)는 일방의 지지판(203)에 설치한 회동범위 제한용의 원호상의 절결홈(219)내에 수납되고 샤프트(202)의 회동범위가 미리 정해져있다. 즉 절결홈(219)의 우단은 벨트드럼의 해제영역인 제2의 조작위치 X이고 절결홈(219)의 좌단은 벨트드럼의 잠금영역인 제1의 조작위치 Y이고 갈고리(218)는 이 범위에서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와이어식 조작부에 있어서 와이어(211)가 이완된 해제상태에서는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208)이 제2의 조작위치 X에 있고 코일스프링(210)은 수축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조작손잡이(207)는 도29(a)에 표시한 상태에 있다. 암(208)을 이동시켜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조작손잡이(207)를 이행시키기 위하여서는 손잡이(207)을 도 29(a)의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보턴(215)을 P화살 방향, 즉 측벽(206)내의 케이스(216)로 밀어넣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손잡이(207)가 보턴(215)의 가압없이는 회전할 수 업으므로 오작동의 방지가 가능하다. 화살표Q 방향으로 조작손잡이(206)가 회전됨으로써 조작손잡이(207)와 일체로 샤프트(202)에 고정된 아암(208)이 R화살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암(208)의 회전에 따라서, 아암(208)에 설치된 핀(209)이 코일스프링(210)을 S화살 방향[도29(a)]으로 인장된다. 그에 따라 코일스프링(210)은 와이어(211)를 T화살 방향[도29(a)]으로 인장하여 와이어(211)를 당겨조인다.
와이어(211)는 도1의 와이어(15)와 똑같으며 와이어(211)가 당겨조여지는 것은 도1의 와이어(15)가 당겨조여지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1의 수동잠금부(B)가 조작된다. 수동잠금부(B)의 조작은 도1과 동일하여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동작의 과정에서 조작손잡이(207)는 보턴(215)을 압압하면서 타고넘어서 제1의 조작위치 Y에 이르고 재차 보턴(215)이 코일스프링(217)으로 압압되어서 측벽(206)의 밖으로 두부를 돌출시킴으로써 조작손잡이(207)가 계지된다[도32(a)참조].
이 과정에 있어서,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208)은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회전하나, 베이스(201)의 타방의 측벽(212)에 고정된 안내구금(214)의 와이어출구와 샤프트(202)의 축심을 연결하는 가상선 CL을 통과한다.
아암(208)에 설치한 핀(209)이 X-CL의 사이에 있을 때 코일스프링(210)의 인장력에 의하여 아암(208)에는 f1 (R화살 방향의 역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나 CL선상에 아암(208)의 핀(209)이 있을 경우에는 회전력이 가해지지않는다.
또한 아암(208)의 핀(209)이 CL-Y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코일스프링(210)에 의하여 아암(208)에는 f2 (R화살의 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진다. 이 때 도32(a)에 가장 잘 표시된 바와 같이 보턴(215)이 코일스프링(217)에 의한 f3 방향의 힘에 의하여 돌출하려 하고있고 보턴(215)과 조작손잡이(207)가 y점에서 접촉하여 조작손잡이(207)는 f4의 방향(R화살 방향과 같음)의 회전력을 받게된다.
그러나 보턴(215)의 형상 및 보턴과 조작손잡이의 위치관계에 따라서는 f4와 역방향의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샤프트(202)에 설치한 갈고리(218)와 절결홈(219)에 의한 회동방향의 제한과, 가상선 CL에서 이격된 아암(208)의 위치설정, 및 조작손잡이(207)와 보턴(215)의 상호동작에 의하여 조작손잡이(207)에서 손을 떼어서 조작외력을 없애도 조작손잡이(207)를 도32(b)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제2의 조작위치 X 또는 제1의 조작위치 Y에 유지할 수 있으며, 한편 중간위치, 즉 오작동 사용위치에서는 유지될 수 없다.
와이어(211)가 긴장상태에 있는 제1의 조작위치 Y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 X로 이행하기 위하여서는 보턴(215)을 도29(a)에 표시한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으면서 조작손잡이(207)를 도32(b)에 표시한 U화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이렇게 하여 조작손잡이(207)를 제1의 조작위치 Y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 X로 이행시키면 아암(208)은 R화살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코일스프링(210)이 신장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되고 와이어(211)는 이완된 상태로되고 벨트드럼의 잠금이 해제된다.
그런데 도 31에 있어서 설명을 알기쉽게하기 위하여 조작위치 X와 Y의 위치관계를 과장하여 묘사하였으나 실제의 주변 방향 간격은 더 좁다. 그러나, 조작위치들 간에 형성되는 각도는 설계요건에 맞게 어떠한 값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이제 도33 및 도34는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2 및 제3변형예이다.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1변형예인 도29 - 도32는 보턴(215)을 사용하여 샤프트의 회동을 고정하는 것이었음에 대하여 도33 및 도34의 실시예는 양자 모두 보턴(215)을 필요로하지 않는 형태의 것이다. 즉, 도33 및 도34의 실시예는, 조작손잡이(223, 도 33 및 224, 도 34)를 수평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서 약간 회전시켜 화살표O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회전시키고, 이후 조작손잡이(222)(232)를 수평방향으로 반대로 복귀시키켜 회전이 되지않도록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상호 유사하다.
그러나 제2변형예는 조작손잡이(223)를 밀어넣는 형태이고, 제3변형예는 손잡이를 끌어내는 형태인 점이 상이하다.
도 33은 제1실시예의 조작부C에서의 조작손잡이(223)가 가압되는 타입이고, 도33(a)는 조작손잡이(223)가 비잠금상태인 것을 나타내며, 도 33(b)는 조작손잡이(22)가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3(c)는 도 33(a)의 상태에서 조작부C의 부분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33(a)(1) 및 도 33(a)(2) 각각은 조작손잡이(223)의 축단면도이고, 도 33(a)(2) 및 도 33(b)(2) 각각은 조작부C의 부분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33에 표시한 제2 변형예를 보면 베이스(201)에 고정된 지지판(221)에 축지지된 샤프트(222)의 좌단에는 조작손잡이(223)가 고정되고, 조작손잡이(223)와 지지판(221)의 사이에는 샤프트(222)와 동심배치된 코일스프링(224)이 설치되고 조작손잡이(223)는 평상시에는 도33(a)에 표시한 것과 같이 좌의 위치에 있도록 설정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손잡이(223)는 대략 중공원통형의 형태이지만 하단(도면 우측)에 형성된 정지링(223a)이 조작손잡이(223)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단(도면 좌측)의 돌출부(223b)는 조작손잡이(22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단면 사각구멍은 조작손잡이(223)의 바닥부에서 개구되며, 이곳으로 샤프트(222)의 사각부(224b)가 삽입된다. 조작손잡이(223)의 축방향으로 뻗는 갈고리(225)가 설치된다. 베이스(201)의 측벽(226)에는 조작손잡이(223)가 삽입될 원주형상의 관통공(227)이 설정된다. 이 관통공(227)의 원주상에 제1의 조작위치 Y용의 절결홈(228)과 제2의 조작위치 X용의 절결홈(229)이 설정된다[도33(c)]. 조작손잡이(223)의 우단에 설치된 갈고리(225)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결홈(228 또는 229)중의 하나에 계합시킨다.
샤프트(222)는 전체적으로 원형기둥형태이며, 다른 점은 좌측단부로부터 특정길이만큼 아랫쪽 좌측(즉 조작손잡이(22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보다 약간 긴 길이)는 도 33(a)(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 사각의 사각부(222b)로 형성된다. 이 사각부(222b)는 조작손잡이(223)의 바닥에서 전술한 사각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지며, 그 결과 조작손잡이(223)가 가압되는 중에 우측방향 수평으로 이동(미끄럼)하고, 조작노브(223)의 회전동작 중에 샤프트(222)를 구동시킨다. 또한, 스토퍼(222c)가 샤프트(222)의 좌단에 배치되어 조작손잡이(223)의 후퇴를 방지한다.
지시판(204)으로 향하는 샤프트(222)의 앞면부분에는 폴(218)이 배치되며, 도 30(b)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이 폴(218)은 원호형 절결홈(219)에 저장되며, 이 절결홈(219)은 샤프트(22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한개의 지지판(204)에 형성되며, 그 결과 샤프트(222)의 회전범위가 미리 설정된다. 즉, 홈(219)의 우측단부는 제2작동위치로서 벨트드럼제거영역을 제공하고, 절결홈(219)의 좌측단부는 제1작동위치Y로서 벨트드럼잠금영역을 제공한다. 폴(218)은 이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샤프트(222)의 우측에는 아암(208)이 설치되고 아암(208)에는 코일스프링(210)이 계지되고 코일스프링(210)에는 와이어(211)가 계지된다. 와이어(211)는 도1의 와이어(15)와 동일하며 와이어(211)가 당겨조여지는 것은 도1의 와이어(15)가 당겨조여지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도1의 수동잠금부(B)가 조작되는 것이다. 수동잠금부(B)의 조작은 도1과 동일하며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도33(c)에 표시한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Q화살 방향으로 이행하기 위하여서는 우선 조작손잡이(223)를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이 것은 조작손잡이(223)가 샤프트(222)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야기하며, 이에따라 도33(b)에 표시한 것과 같이 코일스프링(224)이 압축되고 조작손잡이(223)에 설치된 갈고리(225)가 측벽(226)에 설정한 절결홈(229)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밀어넣은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3)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작손잡이(223)에 설치한 갈고리(225)를 절결홈(228)에 계합시키고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224)이 조작손잡이(223)를 좌측으로 밀어서 제1의 조작위치 Y의 유지가 완료된다.
한편 역으로, 제1의 조작위치 Y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 X로 이행할 경우에는 조작손잡이(223)를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고, 갈고리(225)를 절결홈(228)에서 해제하고 조작손잡이(223)를 Q화살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갈고리(225)를 절결홈(229)에 계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23)는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되지 않는한 회전하지 않게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 도3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33의 제2변형예가 샤프트(222)를 밀어넣는 형태이었음에 비하여 도34의 제3변형예는 샤프트(232)를 인출하는 형태이다. 도 34(a)는 조작손잡이(232)의 비잠금상태를 나타내고, 도 34(b)는 조작손잡이(232)가 밀어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c)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34(a)의 상태에서 조작부C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34(a)(1-2), 도 34(b)(1-2)는 조작손잡이(232)의 축방향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도 34(a)(1-1) 및 도 34(b)는 이들 도면의 E-E선, D-D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4(a)(2) 및 도 34(b)(2)는 조작부C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4에 도시한 샤프트는 우측샤프트(232) 및 좌측샤프트(232')로 구성되고, 우측샤프트(232)는 전체적으로 원형기둥 형태이며, 다른점은 좌측단으로부터 일정길이(즉 조작손잡이(23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보다 약간 긴 길이) 만큼 하향한 좌측은 도 34(a)(1)에 도시한 단면 사각형의 사각부(232b)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스토퍼(232c)는 샤프트의 좌측단에 배치되어 좌측샤프트(232')의 후퇴를 방지한다.
좌측샤프트(232')는 실질적으로 중공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에는 단면 사각구멍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로 우측샤프트(232)의 사각부(232b)가 삽입된다. 좌측샤프트(232')는 지지판(232)에 지지되어 저널되며, 이 지지판(231)은 그 좌측단이 베이스(201)의 측벽(233)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베이스(201)에 고정된다. 직선형 조작손잡이(234)가 이 돌출부에 장착되어 좌측샤프트(232')가 인출되거나 회전될 때 유효한 작용을 한다.
우측샤프트(232)의 전술한 사각부(232b)는 우측샤프트(232')의 바닥부에 배치된 사각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지므로, 우측샤프트(232)는 좌측샤프트(232')의 축방향이동을 추종하지 않고 좌측샤프트(232')가 회전함에따라 같이 회전한다.
조작손잡이(234)는 통상 도 34(a)(1-1), 도 34(a)(1-2)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조작손잡이(234)의 인출동작(도 34(b) 참조)으로 샤프트(232)를 따라 좌측 수평방향으로 좌측샤프트(232')가 이동하게 되고, 조작손잡이(234)의 회전동작으로 좌측샤프트(232')의 회전이 가능하며, 이어서 우측샤프트(232)의 회전이 일어난다.
또한 측벽(233)근방의 샤프트(232)에는 누름판(235)이 고정되고 이 누름판(235)과 측벽(233)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36)이 계지되고 샤프트(232)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부세되어있다.
한편 이에 대하여 샤프트(232)의 조작손잡이(234) 근방에는 스톱링(237)이 설치되고 샤프트(232)의 좌우의 가동범위가 제한되어있다. 누름판(235)의 우측 인근에는 선택판(238)이 샤프트(232)에 고정되어있다. 이 선택판(238)의 우측면에는 갈고리(239)가 돌출하고있고 도34(c)에 표시한 것과 같이 지지판(231)에 관통하여 설치한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40) 또는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41)에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일측 지지판(204)와 마주하는 우측샤프트(232) 부분에는 폴(218)이 배치되고, 도 30(b)와 유사하게 이 폴(218)은 원호형 절결홈(219)에 저장되며, 이 절결홈(219)은 샤프트(23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 지지판(204)에 형성되며, 그 결과 샤프트(232)의 회전범위가 미리 설정된다. 즉, 절결홈(219)의 우측단부는 제2조작위치X로서 벨트드럼영역을 제공하고 절결홈(219)의 좌측단은 제1조작위치Y로서 벨트드럼잠금영역을 제공하며, 폴(218)은 이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우측샤프트(232)의 우측에는 아암(208)이 설치되고 아암(208)에는 코일스프링(210)이 계지되고 코일스프링(210)에는 와이어(211)가 계지된다. 와이어(211)는 도 1의 와이어(15)와 동일하고 와이어(211)가 당겨조여짐에따라 연동하여 도 1의 와이어(15)가 당겨조여지며 그 결과 도1의 수동잠금부(B)가 조작된다. 수동잠금부(B)의 조작은 도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도34(a)는 코일스프링(236)이 신장하여 선택판(238)에 설치한 갈고리(239)가 지지판(231)에 설치한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40)에 계지된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1의 조작위치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손잡이(234)를 V화살 방향으로 인출하여 갈고리(239)를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40)으로부터 인출하여 상호의 계합을 해제하고 이어서 도34(b)에 표시한 것과 같이 조작손잡이(234)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갈고리(239)를 제1의 조작위치용의 절결홈(241)에 계합시킨 다음 조작손잡이(234)로부터 손을 뗀다.
이 결과 코일스프링(236)이 신장하여 갈고리(239)를 제1의 조작위치용의 절결홈(241)에 계지한다. 이 때 조작손잡이(234)는 제2의 조작위치 X방향으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방향으로 이동한다[도34(c)참조].
한편 제1의 조작위치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로 이행시킬 경우에는 조작손잡이(234)를 V화살 방향으로 인출하여 상기와 역의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34)는 인출이 되지 않으면 작동할 수 없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한다.
이제 도35는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4변형예를 표시한다.
도35는 샤프트의 회전저지를 위하여 보턴(248)을 사용하는 형태의 것으로서 제1변형예인 도 30과 동일한 범주에 속하나 도 30과 상이한 것은 도 35에서는 스프링지지케이스(249)를 사용하여 지지판(203)을 생략한 점이다.
도35(a)에 있어서 샤프트(242)의 조작손잡이(243)를 고정한 고정부에 갈고리(244)가 설치되고 이 갈고리(244)가 베이스(201)의 측벽(246)에 설치된 원호상의 절결홈(247)[도35(b)참조] 내에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절결홈(247) 내에서의 갈고리(244)의 위치 즉 조작손잡이(243)의 위치는 조작손잡이(243)의 회전영역 내에 돌출하여 설치한 보턴(238)에 의하여 제한된다.
보턴(238)은 조작손잡이(243)의 하방향으로 측벽(246)을 관통하여 돌출하며 측벽(246)에 고정된 스프링지지케이스(249)에 계지된 코일스프링(250)에 의하여 저부가 압압된다.
샤프트(242)의 우측에는 아암(208)이 설치되고 아암(208)에는 코일스프링(210)이 계지되고 코일스프링(210)에는 와이어(2211)가 계지된다. 와이어(211)는 도1의 와이어(15)와 동일하며 와이어(211)가 당겨조여지는 것은 도1의 와이어(15)가 당겨조여지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도 1의 수동잠금부(B)가 조작되는 것이다. 수동잠금부(B)의 조작은 도1과 동일하며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35(b)에 나타내는 제2의 조작위치 X[갈고리(244)는 절결홈(247)의 제2의 조작위치 X에 있다.]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이행시키기 위하여서는 우선 도35(c)의 보턴(248)을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어서 조작손잡이(243)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작손잡이(243)가 보턴(248)을 통과한 후에 보턴(248)을 해방시키면 코일스프링(250)의 부세력에 의하여 보턴(23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조작손잡이(243)가 제1의 조작위치 Y에 유지된다. 이 때 갈고리(244)는 절결홈(247)의 제1의 조작위치 Y에 있다.
한편 제1의 조작위치 Y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 X로의 이행시에는 보턴(248)을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어 조작손잡이(243)를 Q화살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34)는 인출이 되지 않으면 작동할 수 없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한다.
이제 도36 및 도37은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5변형예를 표시한다.
제5변형예는 보턴이 조작손잡이의 축중심에 설치된 형태의 것으로서 도 36은 분해조립도, 도 36(a)는 부분종단설명도, 도 37(b)는 절결홈의 설명도, 도 37(c)는 사시도이다.
도 36에 있어서 중공조작손잡이(251)는 축방향중앙에 구멍(252)이 뚫려있어서 여기에 코일스프링(253)으로 부세된 보턴(254)이 끼워진다. 보턴(254)의 상부에는 중공조작손잡이(251)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2개의 스톱퍼(25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2개의 갈고리(256)가 설치된다. 보턴(254)의 하부는 중공샤프트 이음쇠(257)내에 수납되며, 이 중공샤프트이음쇠(257)는 고정나사(258) 등에 의하여 중공조작손잡이(251)에 고정된다.
중공샤프트이음쇠(257)의 우단에는 샤프트(259)가 형성된다. 샤프트(259)에는 아암(260)이 볼트(261)에 의하여 고정된다. 샤프트(259)는 지지판(262)에 지지된다. 샤프트(259)에 고정된 아암(260)의 하단의 구멍(263)과 지지판(262)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264)이 고정되고, 아암(260)의 상단의 구멍(265)에는 코일스프링(266)의 일단이 고정된다. 코일스프링(266)의 타단은 와이어(211)에 고정나사(267)로 고정된다.
지지판(262)은 도37(a)에 표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268)에 고정된다. 조립상태는 도37(a) 또는 (c)에 표시한 대로이고 보턴(254)에 설치된 갈고리(256)는 중공샤프트이음쇠(257)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베이스(268)의 측벽(269)에는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0) 및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1)이 패여있으며 보턴(254)에 설치된 갈고리(256)가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0) 또는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1)에 계지되도록 되어있다[도37(b)].
일측 지지판(262)과 마주하는 샤프트(259) 부분에는 폴(218)이 배치되고, 도 30(b)와 유사하게 이 폴(218)은 원호형 절결홈(219)에 저장되며, 이 절결홈(219)은 샤프트(259)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 지지판(262)에 형성되며, 그 결과 샤프트(259)의 회전범위기 미리 설정된다. 즉, 절결홈(219)의 우측단부는 제2조작위치X로서 벨트드럼영역을 제공하고 절결홈(219)의 좌측단은 제1조작위치Y로서 벨트드럼잠금영역을 제공하며, 폴(218)은 이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한 구조의 조작부에 있어서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이행하기 위하여서는 보턴(254)을 P화살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코일스프링(253)은 압축되어서 갈고리(256)가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0)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상태대로 중공조작손잡이(251)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갈고리(256)를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1)에 계합시키고 보턴(254)으로부터 손을 뗀다. 이 동작에 의하여 아암(260)은 회전하고 와이어(211)가 긴장된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제2의 조작위치 X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보턴(254)을 밀어넣어서 갈고리(256)를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1)으로부터 해제시켜 중공조작손잡이(251)를 Q화살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갈고리(256)를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70)으로 유도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51)는 보턴(254)이 눌려서 넣어지지 않는한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제 도38 - 도40은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6변형예를 표시한다.
제6변형예는 조작손잡이(278)의 측면에 보턴(280)이 설치된 형태의 것으로서 도38은 조작부의 조립도, 도39는 조작손잡이의 설명도, 도40은 동작설명도이다.
도38에 있어서 베이스(272)에 입설한 일방의 지지판(273)의 위에는 중공샤프트이음쇠(275)가, 또한 타방의 지지판(274)의 위에는 이 중공샤프트이음쇠(275)와 일체로된 샤프트(276)가 지지되고 상방향으로부터 샤프트홀더(277)에 의하여 눌려진다. 또한 중공샤프트이음쇠(275)의 좌단부에는 후술하는 계지판(279)을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75')가 형성되고 이 중공샤프트이음쇠(275)의 좌단에 조작손잡이(278)가 고정된다.
일측 지지판(204)과 마주하는 샤프트(276) 부분에는 폴(218)이 배치되고, 도 30(b)와 유사하게 이 폴(218)은 원호형 절결홈(219)에 저장되며, 이 절결홈(219)은 샤프트(276)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 지지판(262)에 형성되며, 그 결과 샤프트(259)의 회전범위가 미리 설정된다. 즉, 절결홈(219)의 우측단부는 제2조작위치X로서 벨트드럼영역을 제공하고 절결홈(219)의 좌측단은 제1조작위치Y로서 벨트드럼잠금영역을 제공하며, 폴(218)은 이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조작손잡이(278)에는 상부에 개구부(278')가 있고 이 개구부(278')에 보턴(280)이 조작손잡이(278)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끼워 넣어지고, 보턴(280)이 조작손잡이(278)의 내측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보턴(280)의 저변부에 플랜지(280')[도39(a)]가 형성된다. 이 보턴(380)과 일체로 계지판(279)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 보턴(280)을 조작손잡이(278)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끼워넣으면 계지판(279)이 중공샤프트이음쇠(275)의 좌단의 개구부(275')로부터 돌출하게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턴(280)과 계지판(279)은 코일스프링(286)(도 39(a))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고, 또한 대항 개구부(278'과 275')로부터 돌출해있고, 보턴(280)을 누르면 계지판(279)이 개구부(275')내로 투입된다.
또한 샤프트홀더(277)의 좌단벽(281)에는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2)과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3)이 뚫리고, 계지판(279)은 이들의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2)이거나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3)중의 어느 것인가에 계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샤프트(276)의 우단에는 아암(284)이 나사(285)에 의하여 고정된다. 아암(284)의 선단에 설치된 핀(209)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일단이 고정된다. 와이어(211)는 샤프트홀더(277)의 측벽(212와 212)의 사이에 끼워진 안내구금(214)을 통하여 외부로 유도된다. 이 안내구금(214)은 커버(213)에 의하여 덮여서 고정된다.
이제, 도39(a)는 조작손잡이(278)의 내부구조를 표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턴(280) 및 이 보턴(280)과 일체로된 계지판(279)은 코일스프링(286)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이 조작손잡이(278)의 이면을 덮듯이 도 39(b)에 축소하여 표시한 중공샤프트이음쇠(275)가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도39(c)에는 조작손잡이(278)와 보턴(280)과 계지판(279)의 연결상태, 및 이들과 샤프트홀더(277)의 좌단벽(281)에 설치된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2)과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3)과 지지판(273)의 상관관계가 표시되어있다.
다음에 조작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도40(c) 참조]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보턴(280)을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40(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지판(279)이 제2의 절결홈(283)에서 떨어지므로 그대로 조작손잡이(278)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계지판(279)이 제1의 절결홈(282)까지 도착한 시점에서 보턴(280)으로부터 손을 떼면 계지판(279)은 제1의 절결홈(282)과 계합하여 제1의 조작위치 Y로 이행하고 도시하지않은 와이어를 당겨조여서 벨트드럼을 회전정지시킨다.
제2의 조작위치 X로 이행하여 드럼의 회전정지를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의 역의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78)는 보턴(280)이 눌려서 들어가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게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40(d)는 조작손잡이(278)의 측부에 계지해제용의 보턴을 설치한 예이고 도40(e)는 조작손잡이(278)의 형상을 변화시킨 예를 각각 표시한다.
이제 도41은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7변형예를 표시한다.
이상의 변형예는 보턴이 조작손잡이 내에(보턴의 고정위치가 중앙인가 측면인가의 차이가 있으나) 설치된 형태의 것이었음에 비하여, 제7변형예는 보턴(291)이 조작손잡이(288)와는 별체로 설치된 형태의 것인 점이 상이하다.
도38은 조작부의 조립도이고, 도39는 조작손잡이의 설명도이고, 도40은 동작설명도이다.
이 제7 변형예의 경우 샤프트(287)의 조작손잡이(288)의 연결단 근방에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9)과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90)을 설정하고, 이 절결홈(289, 290)에 보턴(291)으로 조작되는 계지판(292)이 계합하여 샤프트(287)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이다.
계지판(292)은 대항 코일스프링(293)으로 압압되어서 어느 절결홈(289, 290)에 계합된다. 계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보턴(291)을 조작하여 계지판을 이동시킨다. 이 때 코일스프링(293)은 압축되어서 세력이 축적된다.
도41(a), 도41(b) 및 도41(c)는 계지판(292)이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90)과 계합한 제2의 조작위치 X가 표시된다.
이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도41(b)에 표시한 것과 같이 보턴(291)을 우측으로 민다.
이에 따라서 도41(c)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계지판(292)이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90)에서 떨어지므로 그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88)를 Q화살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287)를 회전시켜서 제1의 조작위치 Y까지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보턴(291)에서 손을 떼면 도41(d)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계지판(292)이 제1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89)에 끼워지고 도시하지않은 와이어가 긴장하여 벨트드럼을 잠금상태로 샤프트(287)를 유지한다.
벨트드럼의 잠금을 해제한 제2의 조작위치 X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보턴(291)을 우측으로 민채로 조작손잡이(288)를 Q화살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의 조작위치 X에 정지시켜서 계지판(292)을 제2의 조작위치용 절결홈(290)에 계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손잡이(288)는 보턴(291)이 눌려서 들어가지 않는한 회전하지 않게되어 오작동을 방지한다.
샤프트(287)의 우측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샤프트(287)의 우단에는 아암이 설치되고 그 아암에는 코일스프링이 계지되고 그 코일스프링에는 도1의 수동잠금부(B)를 조작하는 와이어가 계지되어있는 것은 도1과 동일하다.
이제 도42는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8변형예를 표시한다.
상기 제1 - 제7변형예는 모두 샤프트를 사용하여 그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의 견인을 행하고 있었음에 비하여, 이 제8변형예는 회전시켜서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것이 아니고 와이어를 직접 인장하여 제1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로 혹은 그 역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 또는 제2의 조작위치에 유지하는 것으로서 원리적으로는 도5(및 도6)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도42의 것이 도5의 것과 상이한 것은 계지기구가 도5에서는 잠금손잡이(38)에 계지돌기(38a)를 설치한 후크형인데 비하여, 도42에서는 조작손잡이(296)를 관통홈(295)에 잡아거는 홈형이라는 점이다.
특히 도42(a)는 조작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프레임체(294)의 전면에는 U-자형의 관통홈(295)이 설정되고, 우단이 제2의 조작위치 X이고 좌단이 제1의 조작위치 Y이다. 관통공(295)에는 봉형의 조작손잡이(296)가 돌출된다.
조작손잡이(296)의 베이스부는 이동체(296)에 고정되어있다.
이동체(297)는 프레임체(294)에 유지된 코일스프링(298)의 위에 설치한 슬라이드시트(299)의 위에 얹혀있고 대항 상방향으로 부세되어있다. 이동체(297)에는 와이어(211)에 일단을 고정한 코일스프링(210)의 타단이 고정된다.
또한 도42(b)는 종단면도이고, 도42(c)는 이면사시도이다.
조작손잡이(296)를 제2의 조작위치 X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 Y로 이행하려면 조작손잡이(296)를 하방향으로 밀어내린채로 좌로 이동시키고, 관통홈(295)의 좌단에서 손을 떼면 조작손잡이(296)는 코일스프링(298)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고 와이어(211)를 좌측으로 잡아당겨 긴장시켜서 벨트드럼을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제1의 조작위치 Y로부터 제2의 조작위치 X로 이행시키기 위하여서는, 상기의 역의 조작을 한다.
이제, 도43은 제1실시예의 조작부(C)의 제9변형예를 표시한다.
이 변형예도 도43과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와이어(211)를 직접 잡아당겨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도43(a), (b), (c)에 있어서, 프레임체(300)의 위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301)가 설치된다. 이 이동체(301)는 좌단에 조작손잡이(302)가 입설되고, 우단부에는 지지판(303)이 입설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304)이 설정된다. 프레임체(300)의 좌단근방에는 관통공(305)이 설정되고, 스프링압으로 지지된 계지판(306)이 돌출되어있다. 이동체(301)의 우단부에 설정된 지지공(307)에는 복귀스프링(308)의 일단이 고정되고, 복귀스프링(308)의 타단은 프레임체(300)의 우단에 설정된 지지공(309)에 고정되고, 이동체(301)는 대항 프레임체(300)의 우단측에 잡아당겨져있다.
이제, 도43(a) 및 도43(b)는 조작손잡이(302)가 제2의 조작위치에 있고 벨트드럼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1의 조작위치로 이행할 경우에는 우선 도43(b)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계지판(306)을 하방향으로 밀어넣고, 조작손잡이(302)를 조작하여 그 위에서 이동체(30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관통공(304)이 계지판(306)의 위에 도착하고 계지판(306)이 관통공(304)내를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이동체(301)를 계지한다.
이에 따라서 와이어(211)는 좌로 잡아당겨져서 벨트드럼을 잠근 상태로 유지한다.
제2의 조작위치로 이행할 경우에는 도43(c)의 상태의 계지판(306)을 하방향으로 밀어넣어 이동체(301)를 우측으로 비켜놓으면 복귀스프링(308)에 끌려서 이동체(301)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계지판(30)은 조작손잡이(302)의 좌측으로 돌출하여 제2의 조작위치에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리트랙터와 이 리트랙터를 적용한 차일드카시트는 하기와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나타낸다.
(1) 차일드카시트에 앉아있는 유아를 잡아주는 벨트를 미리 요망 길이로 설정하고 또한 잠금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벨트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긴급시에 있어서도 수동으로 설정한 벨트의 길이 이상으로 인출되지않으므로 유아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3) 긴급잠금 및 수동식 벨트 잠금을 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화가 가능하게되어 이 리트랙터를 적용한 차일드카시트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4)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긴급잠금부나 수동잠금부와, 수동잠금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떼어놓을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카시트의 설계자유도의 향상과 사용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5) 벨트의 잠금은 벨트의 인출경로에 있어서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차일드카시트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15)

  1. 시트벨트를 권회하는 드럼과,
    드럼 주위로 권회된 벨트가 소정속도 이상으로 잡아당겨졌을 때 상기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시트벨트를 제한하는 제1 잠금블록과,
    상기 시트벨트의 인출을 제한하고 수축시키는 제2잠금블록을
    구비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블록은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2 잠금블록은 상기 잠금갈고리와 협동하는 조작블록과 상기 기어와 임의로 치합되는 잠금갈고리를 구비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제1 잠금구멍 및 제2 잠금구멍과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조작블록에 대항하여 부세된 잠금편을 가지며 상기 잠금편은 상기 제1잠금구멍과 상기 제2 잠금구멍 가운데 하나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돌기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제1 잠금구멍 및 제2잠금구멍을 갖는 회전드럼과 U-자형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잠금편이 상기 U-자형 프레임체에 대하여 상기 회전드럼과 회전식으로 움직이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U-자형 프레임체를 가지며 상기 잠금편은 상기 U-자형 프레임체를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잠금갈고리에 연결된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상기 제1 긴급잠금블록에 연결된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상기 잠금갈고리에 직접 연결된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블록은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제2 잠금블록은 상기 기어 및 잠금갈고리와 협동하는 조작블록, 제1잠금구멍 및 제2 잠금구멍과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잠금갈고리쪽으로 부세된 잠금편과 임의로 결합된 잠금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편은 상기 잠금구멍 및 상기 제2잠금구멍 가운데 하나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돌기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긴급잠금블록은 사실상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압력부재와 상기 드럼주위로 권회된 상기 시트벨트쪽으로 상기 압력부재를 밀기 위한 압력블록을 구비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블록은 상기 제2잠금블록상에 설정된 안내공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안내판을 갖는 고착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판은 스프링에 의하여 시트벨트잠금방향으로 부세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블록은 스프링에 의하여 시트벨트잠금방향으로 부세하고 선회식으로 결합된 한 쌍의 안내판들을 갖는 고착기구를 구비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13. 제 6항 있어서,
    상기 조작블록은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아암과,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설치된 조작손잡이와,
    상기 조작손잡이의 위치를 유지하는 조작손잡이위치유지부재를 구비하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14.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상에 설치된 시트부와,
    길이조정벨트를 잠구는 벨트잠금블록과,
    상기 시트부내에 설치된 상기 긴급잠금블록 등을 구비하고,
    상기 밸트잠금블록은
    한 쌍의 왕복운동 부재들과,
    상기 왕복운동 부재들의 일단들에서 상기 왕복운동 부재들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로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시트부쪽으로 부세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조작손잡이로서 상기 조작손잡이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잠금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잠금손잡이는 잠금돌기를 갖는 조작손잡이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결합공들로서 상기 결합공들은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되는 결합공들과,
    상기 왕복운동 부재들의 타단들에 연결된 압력부재를 포함하는 차일드카시트.
  15.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상에 설치된 시트부와,
    길이조정벨트를 잠그는 벨트잠금블록과,
    상기 시트부내에 설치된 상기 긴급잠금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잠금블록은
    상기 시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시트부 상에 형성된 주요 안내홈과,
    배면상에 T-자형 협지판을 갖는 벨트조정부재로서 상기 벨트조정부재는 상기 T-자형 협지판을 면하며 상기 T-자형 협지판은 제거방지부재를 갖는 벨트조정부재와,
    상기 주요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트부상에 형성된 보조안내홈과,
    한 쌍의 협지판들을 갖는 협지기구로서 각각 상기 협지판들의 일단상에 설치된 협지판압력접촉부재와, 각각 상기 협지판들의 타단상에 설치된 기어들과, 상기 협지판들은 상기 협지판들사이에 끼여진 상기 T-자형상 협지판과 상기 협지판들의 상기 기어들을 치합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움직이는 협지기구와,
    상기 협지판을 상기 T-자형 협지판에 미는 보조구동샤프트를 갖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조작손잡이로서 상기 조작손잡이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잠금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잠금손잡이는 잠금돌기를 갖는 조작손잡이와,
    상기 시트부상에 설치된 결합공들로서 상기 결합공들은 상기 잠금돌기와 결합된 결합공들을 포함하는 차일드카시트.
KR1019990033790A 1998-08-17 1999-08-17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 KR100631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083698 1998-08-17
JP98-230836 1998-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40A true KR20000017340A (ko) 2000-03-25
KR100631227B1 KR100631227B1 (ko) 2006-10-02

Family

ID=169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90A KR100631227B1 (ko) 1998-08-17 1999-08-17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71563B1 (ko)
KR (1) KR100631227B1 (ko)
TW (1) TW548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506B2 (en) * 2002-11-15 2005-08-02 Takata Seat Belts, Inc. Interlock system for seat belt retractor
TW200517073A (en) * 2003-11-18 2005-06-01 Britax Childcare Pty Ltd Seat belt retraction mechanism
US20050184567A1 (en) * 2003-12-01 2005-08-2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Lock-off mechanism for a child seat
US7090304B2 (en) * 2004-07-16 2006-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having vehicle sensitive sensor disabling mechanism
NL1029841C2 (nl) * 2005-08-31 2007-03-20 Dremefa Bv Fietskinderzitje.
US20070228787A1 (en) * 2006-04-04 2007-10-04 Said Nakhla Harness pretensioning device for child safety seat
ES2401823B1 (es) * 2011-09-14 2014-03-13 Play, S.A Asiento infantil de seguridad para automóviles
EP2634038B1 (en) 2012-03-01 2017-11-22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Adjustable lap strap system
CN103625415A (zh) * 2013-10-29 2014-03-12 虞君道 汽车安全带舒缓系统
CN104709127A (zh) * 2015-03-11 2015-06-17 苍安国 机动车儿童乘员用约束系统
US10377340B2 (en) 2017-03-16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CA3115040A1 (en) 2018-10-01 2020-04-09 Clek Inc. Child safety seat with belt tensioner
CN112776685B (zh) * 2019-11-11 2023-10-24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带自动调整装置及汽车安全座椅
CN114590181A (zh) * 2020-12-04 2022-06-07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215850873U (zh) * 2021-04-09 2022-02-18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座椅及其安全带自动调整装置
CN116037576A (zh) * 2022-12-13 2023-05-02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自带电源的树/竹振动除雪装置及其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7710A (en) * 1962-08-23 1964-08-26 Cesare Fiorio Safety belt for use on motor vehicle
US5380066A (en) * 1992-06-12 1995-01-10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Belt retractor with push button controlled locking bar
US5484190A (en) * 1993-11-03 1996-0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lock
US5950952A (en) * 1996-02-02 1999-09-1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Acceleration sensor apparatus for a vehicle
DE29720817U1 (de) * 1997-11-24 1998-03-2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Gurtaufroller zum Einbau in einer umlegbaren Rückenleh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227B1 (ko) 2006-10-02
US6371563B1 (en) 2002-04-16
TW548214B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227B1 (ko) 수동식 벨트잠금기구를 갖는 긴급잠금식 리트랙터 및 동 리트랙터와 결합되는 차일드카시트
KR100682164B1 (ko) 기울임 의자용 잠금 구조
EP2130715B1 (en) Locking device
US5398997A (en) Seat belt system with buckle-responsive retractor lock
US6912880B2 (en) Combination lock having a second lock mechanism
US4726539A (en) Dual mode seat belt retractor assembly
JP497624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511076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061809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H0428315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783985B2 (ja) ウェビング位置調節装置
DE60106916T2 (de) Gurtaufroller mit automatischem Blockiermechanismus
US5808252A (en) Padlockable emergency stop button
JPH081330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160211B2 (ja) 手動式ベルトロック機構を設けた緊急ロック式リトラクタ及び該リトラクタを備えたチャイルドシート
JP3844179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12869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859401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14849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3886087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145007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リトラクタ
JP320490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919374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723261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061497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