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327A -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327A
KR20000017327A KR1019990033640A KR19990033640A KR20000017327A KR 20000017327 A KR20000017327 A KR 20000017327A KR 1019990033640 A KR1019990033640 A KR 1019990033640A KR 19990033640 A KR19990033640 A KR 19990033640A KR 20000017327 A KR20000017327 A KR 2000001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requency range
transmitter
receiv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힐게르스아침
하인리히스프랭크
포라쓰레베카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1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5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e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주파수 대역에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가 제공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를 더욱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향상된 송수신기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유전 공진기 안테나(dielectric resonator antenna: DRA)로서 만드는 것이 제안된다.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서, 유전 공진기 안테나는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한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만 동작한다. 따라서, 유전 공진기 안테나로 형성된 안테나 장치는 매우 좁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대한 분리를 훌륭하게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
본 발명은 각 주파수 범위에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가 제공되어,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무선 전화 또는 이동 무선 영역에서, 두 개 이상의 다른 주파수 범위를 위한 송수신기가 사용된다. 그리고 그 여러 주파수 대역들은 이때 예컨대 전송 주파수 범위와 수신 주파수 범위에 관련된다. 도 1은 이동 무선 전화에서의 송수신기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1)는 이때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수신기 채널(2)에서 전송 신호가 끊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 송신기 채널(3)과 수신기 채널(2)은 분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두 개의 날카로운-에지를 갖는 대역 통과 필터(5, 6)를 포함하는 듀플렉스 필터(4)가 사용될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5)는 이때 수신 주파수 범위에 동조되고, 다른 필터(6)는 송신 주파수 범위에 동조된다. 결과적으로, 송신 신호는 안테나(1)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는 필터가 전송 주파수를 감쇠(attenuation)하지 않기 때문이며, 수신기 채널(2)에는 도달하지 못하는데, 이는 필터(5)가 주파수 범위를 블로킹하기 때문이다. 안테나(11)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범위 통과 필터(5)에서 약간만 감쇠되어, 결국 수신기 채널(2)에 도달하게 되는데, 반면에 상기 신호는 필터(6)에 의해서 크게 감쇠된다. 결과적으로, 듀플렉스 필터(4)는 매우 작은 전송 손실 및 날카로운-에지 필터 특성을 보인다. 더욱이, 능동 전자 스위치(7)(예컨대 PIN 다이오드로 구현됨)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1)에서 송신기 채널(3)과 수신기 채널(2)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변환은 스위치(7)를 위한 추가 제어 신호를 필요로 하는데, 그 제어 신호는 손실을 발생시키는 식으로 생성된다. 더욱이, 매우 빠른 스위칭이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조건이 까다롭다. 더욱이, 송신기 채널(3)과 수신기 채널(2)에 대한 해당 주파수 범위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제공되어야한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481 986은 동일한 하나의 하우징에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용 무선 전화를 개시하는데, 상기 통신용 무선 전화는 송신기에 연결되고 송신기에 동조된 제 1 안테나와, 수신기에 연결되고 수신기에 동조된 제 2 안테나를 구비하며, 그 두개의 안테나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통신용 무선 전화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통신용 무선 전화는 동시에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는 수신기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안테나는 송신기에 연결되어 있고, 송신기와 수신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조되어 있는 안테나는 필터를 통해 각각 수신기와 송신기로 연결된다. 송신기와 수신기 채널을 분리시키는 것은 송신 및 수신안테나가 비대칭 방사 특성을 갖으며, 안테나가 송신기와 수신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게끔 방사하는 위치가 선택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은 동일한 방향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에서 크게 불리하다. 더욱이, 대부분의 경우, 한 개의 소정 방향에 대하여 송신 및 수신을 하기위한 방사특성이 요구 및/또는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간단히 분리하는 더 향상된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유전 공진기 안테나(DRA)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서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유전 공진기 안테나는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한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만 동작한다. 따라서, 유전 공진기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 장치는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를 갖으며, 그 좁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예컨대 송신 및 수신에 사용되는 대역과 같은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로의 성공적인 분리가 달성된다. DRA의 형태나 매개변수를 변화시켜, 고수해야할 주파수 범위를 고려하여 공진 주파수와 범위폭은 다른 송신 시스템의 요구하는 바에 맞게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안테나는 제 1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되고, 제 2 안테나는 제 2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컨대, GSM900, GSM1800, DECT와 같은, 송신 및 수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범위를 갖는 송신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제 1 안테나가 제 1 송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또는 송신)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안테나가 제 2 송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또는 송신)하게 배치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송수신기는 서로 다른 송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대안으로서 가능한데, 이로서 더 많은 주파수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송수신기에서의 여러 전송 시스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여러 안테나들의 또 다른 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에 의해 달성 될 수 있는데, 상기 이동 무선 전화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유전 공진기 안테나(DRA)를 포함한다.
도 1은 듀플렉스 필터를 구비하는 송수신기의 회로도.
도 2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는 송수신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에 사용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수신기 채널
3 : 송신기 채널 4 : 듀플렉스 필터
5, 6 : 필터 8, 9 : 안테나 장치
도 3은 수신 안테나(8)를 구비하는 수신기 채널(2)과 송신 안테나(9)를 구비하는 송신기 채널(3)을 포함하는 송수신기를 도시한 것이다. 송신 안테나(9)와 수신 안테나(8)는 고도의 최소화와 표면 실장 장치(SMD 기술 ; surface mounting device technique)의 특징을 갖는 유전 공진기 안테나(DRA)가 사용된다. 더욱이, DRA는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다(공진 주파수 주위의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유전 공진기 안테나는 금속화된 표면에 증착된 유전체 (대개는 세라믹)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판(대부분 유전체)상에 방사 성분으로서 도체가 증착되고 그 기판의 후면에 있는 도체층(conductive layer)이 기준 전위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같이, 상기의 특징을 갖는 다른 안테나들도 사용될 수 있다. 전송 안테나(9)는 송신기 주파수에 동조되고, 수신 안테나(8)는 수신기 주파수에 동조된다. 협 대역 특성으로 인해, 수신기 채널(8)과 송신기 채널(9)을 분리하는 데에 더 이상의 필터가 필요치 않다. 해당 주파수 범위는 유전체 기판(공진기)의 방사용 구성 요소(radiating element)에 대한 특별 설계로 인해서나 또는 그 방사 구성요소들이 서로 분리되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동조될 수 있다.
확실히 좁은 범위폭은 유전 공진기 안테나에 의해 각각 실현될 수 있는 수신 안테나(8) 및 송신 안테나(9)를 구비한 송수신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위해, 각 해당 범위폭에 제한을 두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다른 채널(다른 주파수 범위)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채널 방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송수신기에서 사용된 안테나(8, 9)가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를 가지므로, 추가 필터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한 예로써 기본 형태의 DRA(10)가 도시된다. 평행 파이프의 형태 이외에도, 예컨대, 원통형 또는 구형 기하와 같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유전 공진기 안테나는 공진 주파수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좁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공진 용 구성 요소이다. DRA(10)의 공진 주파수는 DRA(10)의 규격에 따른다. 가능한 최소 규격을 사용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경우 가장 낮은 공진(99. 08. 05)(TeZ III- 모드)이 사용된다. 도시된 DRA(10)는 (Ba, Nd, Gd)TiO3세라믹으로 이루어진 40 x 40 x 7.6 mm 의 규격을 갖는 평행 파이프 형태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세라믹 물질은 고 주파수에 적합하고, 약 εr= 85 정도의 유전체 상수를 갖으며, tanδ = 4 x 10-4인 낮은 유전 손실과 τε= - 30ppm/。C(NPO 특성)의 낮은 온도 계수를 갖는다. DRA(10)의 동작 주파수는 최소 공진(TEZ III)에서 1GHz이다. 다른 부피 규격이 되면, 공진 주파수가 이동된다. 1.9G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 DRA(10)의 통상 부피는 대략 20 x 20 x 6 mm3가 된다.
다른 주파수 범위가 송신 및 수신용으로 사용되는 이와 같은 이동 무선 전화용 송수신기는 매우 적합하다(예컨대, GSM 에 따라 송신과 수신 주파수 범위는 각각 890-915 MHz 및 935-960 MHz). 더욱이, DECT에 따른 무선 전화는 DCS1800 와 PHS용 이동 무선 전화와,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는 전송 시스템을 위한 장치가 바로 이러한 응용 분야가 될 것이다.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송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장치의 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8, 9)가 각각의 주파수 범위를 위하여 제공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8, 9)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전 공진기 안테나(DR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범위의 수신을 하기 위해 제 1 안테나(8)가 제공되고, 제 2 주파수 범위의 송신을 위해 제 2 안테나(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송신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신을 위한 제 1 안테나가 제공되고, 제 2 송신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신을 위한 제 2 안테나(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송신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송신을 위해 제 1 안테나(8)가 제공되고, 제 2 송신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송신을 하기 위해 제 2 안테나(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
  5.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8, 9)가 각각의 주파수 범위를 위하여 제공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장치(8, 9)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전 공진기 안테나(DR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
KR1019990033640A 1998-08-17 1999-08-16 송수신기 KR20000017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6952A DE19836952A1 (de) 1998-08-17 1998-08-17 Sende- und Empfangsvorrichtung
DE19836952.2 1998-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27A true KR20000017327A (ko) 2000-03-25

Family

ID=787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640A KR20000017327A (ko) 1998-08-17 1999-08-16 송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4276B1 (ko)
EP (1) EP0981177A3 (ko)
JP (1) JP2000077924A (ko)
KR (1) KR20000017327A (ko)
CN (1) CN1245368A (ko)
DE (1) DE19836952A1 (ko)
SG (1) SG74745A1 (ko)
TW (1) TW4868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84B1 (ko) * 2001-04-25 2003-11-14 현우마이크로 주식회사 벌크(Bulk) 형태의 유전체를 이용한아이엠티-2000(IMT-2000) 단말기용 소형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7995B (en) * 2002-04-23 2006-01-25 Hutchison Whampoa Three G Ip Improved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4072374A (ja) * 2002-08-06 2004-03-04 Casio Comput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及び撮像方法
US7999749B2 (en) * 2008-10-23 2011-08-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assembly
US10374315B2 (en) 2015-10-28 2019-08-06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601137B2 (en) 2015-10-28 2020-03-24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55361B2 (en) 2015-10-28 2019-07-16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367959B2 (en) 2015-10-28 2022-06-21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476164B2 (en) 2015-10-28 2019-11-12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283189B2 (en) 2017-05-02 2022-03-22 Rogers Corporation Connect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876295B2 (en) 2017-05-02 2024-01-16 Roge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flector for use in a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GB2575946B (en) 2017-06-07 2022-12-14 Rogers Corp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US10892544B2 (en) 2018-01-15 2021-01-12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US10910722B2 (en) 2018-01-15 2021-02-02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US11616302B2 (en) 2018-01-15 2023-03-28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US10833417B2 (en) 2018-07-18 2020-11-10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Filtering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including a loop feed structure for implementing radiation cancellation
US11552390B2 (en) 2018-09-11 2023-01-10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US11031697B2 (en) 2018-11-29 2021-06-08 Roge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device
KR20210095632A (ko) 2018-12-04 2021-08-02 로저스코포레이션 유전체 전자기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82790B2 (en) 2020-04-08 2022-10-25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lens and electromagnetic device with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2191B (sv) * 1988-01-18 1990-05-14 Allgon Antenn Ab Anordning foer filterverkan vid antenner foer kommunikationsradioapparater och traadloesa telefoner
US5557293A (en) 1995-01-26 1996-09-17 Motorola, Inc. Multi-loop antenna
JP3243595B2 (ja) * 1995-10-31 2002-01-07 株式会社トーキン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バンド携帯無線機
CA2173679A1 (en) 1996-04-09 1997-10-10 Apisak Ittipiboon Broadband nonhomogeneous multi-segment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FR2754942B1 (fr) 1996-10-23 1999-01-08 Thomson Csf Systeme antennaire pour poste radiotelephone portatif
US6043786A (en) * 1997-05-09 2000-03-28 Motorola, Inc. Multi-band slot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US6147647A (en) * 1998-09-09 2000-11-14 Qualcomm Incorporated Circularly polariz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84B1 (ko) * 2001-04-25 2003-11-14 현우마이크로 주식회사 벌크(Bulk) 형태의 유전체를 이용한아이엠티-2000(IMT-2000) 단말기용 소형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36952A1 (de) 2000-04-20
CN1245368A (zh) 2000-02-23
EP0981177A2 (de) 2000-02-23
TW486890B (en) 2002-05-11
SG74745A1 (en) 2000-08-22
JP2000077924A (ja) 2000-03-14
EP0981177A3 (de) 2001-05-02
US6314276B1 (en)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7327A (ko) 송수신기
US7463196B2 (en) Antenna
US6657593B2 (en) Surface mount type antenna an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757506B1 (ko) 안테나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KR101088523B1 (ko) 무선 단말기 및 무선 모듈
US6933893B2 (en) Electronically tunable planar antenna and method of tuning the same
US6323808B1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EP1052722A2 (en) Antenna
EP1860732A1 (en) Antenna assembly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mploying same
WO2001008260A1 (en) Flat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US20060232358A1 (en) Antenna switch with adaptive filter
KR20020027637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US20030058168A1 (en) Multi-frequency band inverted-F antennas with coupled branche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WO2007136182A1 (en) Non-square patch antenna of ceramics dielectric block and all in one antenna module
EP0817312A2 (en) Antenna apparatus
EP150016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reless terminals
KR20070110957A (ko) 프론트 앤드 모듈
JP2005094499A (ja)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素子製造方法及び通信装置
KR100447252B1 (ko) 송수신이 분리된 안테나
JP2007312276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10381733B2 (en) Multi-band patch antenna module
US6737937B2 (en) Microwave filter and a telecommunication antenna including it
KR100222797B1 (ko) 광대역 센터 로딩 안테나의 구조
EP1516391A1 (en) Miniaturized multiband antenna
KR100349115B1 (ko) 국부발진주파수가안정화된시분할통신방식무선송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