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147U - 밴츄리 어댑터 - Google Patents

밴츄리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147U
KR20000017147U KR2019990002454U KR19990002454U KR20000017147U KR 20000017147 U KR20000017147 U KR 20000017147U KR 2019990002454 U KR2019990002454 U KR 2019990002454U KR 19990002454 U KR19990002454 U KR 19990002454U KR 20000017147 U KR20000017147 U KR 200000171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air
bantu
fuel
gra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찬
Original Assignee
신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찬 filed Critical 신현찬
Priority to KR2019990002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147U/ko
Publication of KR20000017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14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arburettor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1/00 - F02M17/00
    • F02M19/08Ventu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 피. 지/ 휴발유 겸용차량의 엔진 출력향상과 연비개선 및 공해물질 배출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밴츄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 피. 지/휴발유 겸용차량의 밴츄리 어댑터는 밴츄리부가 돌출 되어 심한 구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댑터 측면 부에서 형성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공기 유입이 원활치 못한 결점이 있었다.
즉 밴츄리부가 심한 구배를 이루어 형성됨으로서 공기 유속의 흐름에 따라 심한 와류현상을 일으키므로 인하여 분배특성이 불균일 현상 및 응답성 약화 등으로 출력이 저하되며, 또한 와류현상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어 연료공급에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일 측에 트로틀밸브(11)가 구비되고 유로 상에 좁은 밴츄리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밴츄리부(12)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13)이 구비된 밴츄리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밴츄리부(12)의 구배가 전. 후 양측으로 완만한 경사부(14)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밴츄리부(12)의 양측 구배를 완만한 경사부(14)로 형성하므로서 급격한 압력차를 주지 않으며,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원만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분배특성 및 불균일 현상 방지로 엔진 출력 향상 및 대기오염방지효과를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밴츄리 어댑터{ A VENTURY ADAPTER }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공급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엘. 피. 지/ 휴발유 겸용차량의 엔진 출력향상과 연비개선 및 공해물질 배출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벤츄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엘 피 지는 상온에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액화되며, 다른 가스에 비해 취급이 쉽고, 열량도 크므로 자동차 연료로서 여러 가지 많은 장점이 있다.
즉, 엘 피 지는 연소효율이 좋으며, 엔진오일을 묽게 하는 일이 없고 카본을 조성하지 않아 오일이 더러워지지 않고, 엔진이 조용하며, 엔진의 수명이 길다.
또한 유해한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적어 대기 오염이 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연료비가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연료장치 계통의 고장이 없는 잇점이 있다.
통상적인 LPG 연료장치의 연료계통은 첨부도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G 연료 탱크(1)에서 추출해낸 액체상태의 LPG를 필터(2)를 통과시켜 LPG에 포함된 혼합불순물을 여과 제거한 다음 LPG 솔레노이드밸브(3)를 지나 베이퍼라이저 즉, 증발기(4)에서 감압하여 기화시킨 다음 기화기(5)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6)에 흡입하도록 한다.
엘. 피. 지 기관은 엔진 시동 상태에서 배기가스중의 산소(O2)량에 따라 기전력(공연비 희박/ 농후) 신호를 ECU에 전달하고, 상기 ECU는 이론 공연비를 제어한다. 또 엔진의 냉각 수온 15℃ 이하일 경우에는 ECU 신호에 의해 휘발유로 운전하게 되며, 냉각수온이 15℃ 이상일 경우에는 ECU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엘, 피. 지 연료로 전환된다.
통상 주행시 어댑터 전단에 있는 엑추에이터가 ECU의 신호에 따라 50 - 60% 의 듀티(duty)제어를 함으로 에어크리너 오염 시에도 제어 폭이 크며, 배기가스 저감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감속 시에도 불필요한 연료를 차단함으로서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LPG 연료장치에서 종래의 어댑터 제어방식은 배기가스 중의 산소(O2) 농도를 감지하여 메인 연료공급부의 조정을 통하여 약 70% 연료를 연속 공급하는 상태에서 엘. 피. 지연료가 바이패스통로를 통하여 듀티(duty)에서 30%의 연료를 제어함으로서 에어 크리너 오염시 밴츄리부 유속량 증가로 엘. 피. 지연료는 다량 엔진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감속시에는 엔진 부압이 약 640 mmHg로 증가되며, 벤츄리 부의 유속이 크게 작용하여 엘. 피. 지 과다 공급으로 불완전 연소가스 HC가 다량 배출된다. 이는 메인 연료차단수단이 없어 불필요한 연료공급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의 밴츄리 어댑터는 엔진 부압이 약 380 mmHg 작용시 어댑터 측면부 와류에 의해 공기 유입이 원활치 못한 결점이 있었다.
즉 첨부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츄리부(9)가 돌출 되어 심한 구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밴츄리 어댑터는 사용시 밴츄리부(9)가 심한 구배를 이루어 형성됨으로서 공기 유속의 흐름에 따라 심한 와류현상을 일으키므로 인하여 분배특성의 불균일 현상 및 응답성 약화 등으로 출력이 저하되며, 또한 와류현상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어 연료공급에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밴츄리 어댑터의 구성을 통하여 엔진출력 향상과 연비개선 및 공해물질 배출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벤츄리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밴츄리 어댑터의 구성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밴츄리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 구성단면도.
도 3은 통상의 엘피지 연료장치의 연료계통을 도시한 계통도.
도 4는 종래의 밴츄리 어댑터의 구성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트로틀 밸브12:밴츄리부
13:노즐14:경사부
15:관통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노즐이 형성되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밴츄리부의 돌출부를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하므로서 공기의 유속에 의한 와류가 형성됨을 방지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밴츄리부의 전. 후 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별도로 형성하므로서 공기 충전 효율을 증대시켜 공기저항을 극소화시킴은 물론 엔진 출력증가와 배기가스 저감효과를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밴츄리 어댑터의 구성단면도로서 일 측에 트로틀밸브(11)가 구비되고 유로상에 좁은 밴츄리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밴츄리부(12)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13)이 구비된 밴츄리 어댑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밴츄리부(12)의 구배가 전. 후 양측으로 완만한 경사부(14)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밴츄리부(12)는 관의 중앙부에 가늘게 만들어진 관으로 관내에 공기가 흐를 때 단면적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간의 압력차를 발생하는 베르누이정리에 의해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밴츄리부(12)의 양측 구배를 완만한 경사부(14)로 형성하므로서 급격한 압력차를 주지 않으며,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원만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공기충전효율을 향상하도록 한 밴츄리 어댑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노즐(13)이 형성된 밴츄리부(12)의 양단에 다수의 관통공(15)이 형성되어 공기충전효율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와류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공기충전효율이 향상되어 차량의 응답성, 출력, 연비를 효율적으로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가솔린/ 엘 피 지 겸용차량의 경우 밴츄리 협격부의 영향으로 출력이 약 5%정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밴츄리부의 완만한 경사부 형성 및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므로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출력 연비 및 배기가스 저감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2)

  1. 일측에 트로틀밸브(11)가 구비되고 유로상에 좁은 밴츄리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밴츄리부(12)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13)이 구비된 밴츄리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밴츄리부(12)의 구배가 전. 후 양측으로 완만한 경사부(14)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밴츄리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3)이 형성되며 돌출 형성된 밴츄리부(12)에는 다수의 관통공(15)이 형성되어 공기충전효율을 향상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밴츄리 어댑터.
KR2019990002454U 1999-02-18 1999-02-18 밴츄리 어댑터 KR200000171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454U KR20000017147U (ko) 1999-02-18 1999-02-18 밴츄리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454U KR20000017147U (ko) 1999-02-18 1999-02-18 밴츄리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147U true KR20000017147U (ko) 2000-09-25

Family

ID=5475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454U KR20000017147U (ko) 1999-02-18 1999-02-18 밴츄리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14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921A (ko) * 1999-07-31 2001-02-15 김기준 엘.피.지 가스 차량용 연료와 공기혼합방법 및 장치
KR101451256B1 (ko) * 2012-09-12 2014-10-1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제어밸브
KR101588392B1 (ko) * 2015-05-21 2016-01-29 주식회사 건하테크 자동차 배터리와 발전기 검사를 겸비한 자동차엔진 성능복원 및 카본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카본 제거용 특수 어댑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921A (ko) * 1999-07-31 2001-02-15 김기준 엘.피.지 가스 차량용 연료와 공기혼합방법 및 장치
KR101451256B1 (ko) * 2012-09-12 2014-10-16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제어밸브
KR101588392B1 (ko) * 2015-05-21 2016-01-29 주식회사 건하테크 자동차 배터리와 발전기 검사를 겸비한 자동차엔진 성능복원 및 카본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카본 제거용 특수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801A (en) Fuel vaporizer and control system
JPH11280452A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制御装置
US4030464A (en) Fuel-air mixture heating device for us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17147U (ko) 밴츄리 어댑터
JPH0152655B2 (ko)
CA2204749A1 (en) Fuel vapor control syste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2887929B2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
JPH10306750A (ja) ガソリン機関の燃焼方法
KR100481383B1 (ko) 공기-진공보상시스템에의한연료소모최적화장치및이산화탄소감소장치
JPS6053653A (ja) 内燃エンジンの吸気2次空気供給装置
JP3955142B2 (ja) 内燃機関のエバポパージ制御方法
WO2019168483A1 (en) Fuel saving apparatus
JP4432386B2 (ja) 内燃機関
JPS585078Y2 (ja) 気化器の混合気制御装置
JPS6120275Y2 (ko)
KR200152915Y1 (ko) 차량용 흡기장치의 구조
JPH05106431A (ja) 触媒コンバータ用二次空気供給制御装置
JP2001003814A (ja) ミキサの空燃比制御装置
KR20030088101A (ko) 공기를 이용한 엘피지 차량의 피드백 제어장치
JPS6020576B2 (ja) 排ガス還流装置
JPH02181027A (ja) 水素・液化天然ガス用エンジン
JPS6338350Y2 (ko)
KR20040017643A (ko) 엘피지 차량의 연료혼합기
KR820001570B1 (ko) 내연기관의 흡기 제어장치
JP3153660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