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609A - 포획 대역을 갖는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포획 대역을 갖는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609A
KR20000016609A KR1019980710205A KR19980710205A KR20000016609A KR 20000016609 A KR20000016609 A KR 20000016609A KR 1019980710205 A KR1019980710205 A KR 1019980710205A KR 19980710205 A KR19980710205 A KR 19980710205A KR 20000016609 A KR20000016609 A KR 2000001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central region
absorbent article
topsheet
longitudinal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816B1 (ko
Inventor
리베라토어 안토니오 트롬베타
데니스 알렌 다비
찰렌 안 힌스
단라즈 샨틸랄 파텔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1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 flat barrier on or inside the absorbent article, e.g. backsheet wrapped around the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61F13/5341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having a C-folde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 A61F2013/5377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with a deformable spacing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특히 후속적으로 분출되는 체액의 누수 없이 다량의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봉쇄하기에 적합한 동시에 안락한 일회용 흡수 제품, 예컨대 실금자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흡수 제품은 한쌍의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 사이에 배치된 중심 영역을 갖는다. 중심 영역은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측부 부분, 및 종방향 측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한다. 흡수 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 및 상면시이트와 흡수 코어 사이에 위치된 포획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전체 공극 부피를 갖는다. 중심 영역을 갖는 포획 구성요소의 부분은 흡수 제품의 전체 공극 부피의 약 50% 이상을 제공한다. 흡수 코어의 일부는 통상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 1 절첩선을 따라 포획 구성요소상에 절첩되어 종방향 측부 부분내의 포획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를 형성한다. 탄성 흡수 부재는 포획 구성요소 및 상면시이트 사이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흡수 제품은 전체 흡수 용량을 갖는다. 중심 영역은 전체 흡수 용량의 약 50% 이상을 제공하고, 종방향 측부 부분은 중심 영역 흡수 용량의 약 70% 이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획 대역을 갖는 흡수 제품
요실금을 앓는 활동적인 사람을 위해 고안된 만족스러운 제품이 없다는데 대한 인식이 점차 커지고 있다.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브리프 및 기저귀는 활동적인 실금자에게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제품은 안락함 또는 보호성이라는 견지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생리용 제품, 예컨대 팬티라이너 및 생리대는 사용하기에 매우 안락하다. 그러나, 이들 제품은 매우 다량의 뇨를 봉쇄하는 만족스러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 기저귀 및 브리프는 실금자의 봉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만, 이들 제품은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락함 및 분리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안락하고 분리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보호성 및 봉쇄성을 제공하는 흡수 제품, 예컨대 실금자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흡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흡수 제품은 작은 표면적내에 다량의 액체를 신속하게 받아들여 봉쇄하고, 액체를 제품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분배시키고, 착용자의 신체의 외형에 잘 맞고, 양호한 신체 접촉성을 유지하고(즉,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이의 외형에 잘 맞게 흡수 제품을 유지하고), 후속적으로 분비되고 분출되는 체액을 받아들여 봉쇄하고, 재습윤(즉, 흡수 제품에 봉쇄된 액체가 흡수 제품 밖으로 액체를 압착해내는 힘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와 다시 접촉됨)을 방지하기에 효과적이도록 습윤될 경우에도 그의 완전체(integrity)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품의 흡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중 하나는 제품의 상부 표면 부근에 위치된 빈 공간 또는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제품의 예는 1968년 1월 23일자로 히르쉬(W.F. Hirsch)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364,931호, 1977년 6월 14일자로 체스키(Chesk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29,101호, 및 1985년 2월 26일자로 홀트만(Holt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01,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은, 다량의 액체를 받아들이는 능력은 어느 정도 증가하였지만, 종종 후속적으로 분비되거나 분출되는 체액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고, 재습윤을 방지할 수 없다. 이는 습윤된 후 물질의 보유 용량이 부족하거나 완전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크레핑된 와딩 또는 셀룰로즈 섬유로 형성된 흡수 코어는 습윤될 때 분열되거나, 뭉치거나,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은 점점 형태가 사라지고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요소는 또한 힘을 받을 때 편평해지거나 치밀화되는 경향이 있다. 흡수 제품이 사용 동안 여러가지 힘을 받기 때문에, 제품은 습윤될 때 그의 형태를 잃기 쉬울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의 외형에 잘 맞지 않아 착용자는 불편하게 된다. 또한, 습윤되고 압축된 흡수 코어는 후속적으로 분비되거나 분출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제품은 쉽게 누수되고 파손될 것이다. 추가로, 빈 공간 또는 저장소는 그의 크기 및 형태를 상실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많은 부피를 봉쇄하는 능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오버랩(overwrap)이 흡수 코어로부터 더이상 거리를 유지할 수 없도록 재습윤될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안락함을 유지하면서, 누수 또는 재습윤의 경향을 증가시키지 않고 액체의 후속적인 분출물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봉쇄할 수 있도록, 재습윤된 후 그의 형태를 유지하는 흡수 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안락함 또는 흡수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습윤후에 그의 형태를 유지하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흡수성 및 안락함이 증진된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길이 치수에 비해 폭 치수가 작은 흡수 제품의 기하형태가 주어지면, 흡수 제품의 중심에 침적된 체액은 횡방향 단부 가장자리에 도달하기 전에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에 신속히 퍼지기 때문에 누수는 전형적으로 흡수 제품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측부 누수 경향을 감소시키는 흡수 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흡수 제품의 흡수능을 증가시키는 또다른 방법은 흡수성 겔화 물질을 흡수 제품에 제공하는 것이다. 흡수성 겔화 물질은 다량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고, 추가로 적정 압력하에 상기의 흡수된 액체를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성 물질이다. 흡수성 겔화 물질의 이러한 흡수 특징은 상기 물질이 실금자용 패드 등의 흡수 제품내로 혼입되기에 특히 유용하도록 만든다.
일회용 흡수 제품에서 흡수성 겔화 물질의 효능은 흡수성 겔화 물질이 흡수 제품내로 혼입되는 형태, 위치 및/또는 방식에 따라 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경우에, 흡수 제품에서 흡수성 겔화 물질의 흡수 효능은 "겔 블로킹(gel blocking)"이라는 현상에 의해 해로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겔 블로킹이란 용어는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 막, 섬유, 복합체 등이 습윤될 때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습윤될 때, 흡수성 겔화 물질의 표면은 팽윤되어 흡수성 물질의 내부에 액체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내부의 습윤은 후속적으로 매우 느린 확산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실제적으로, 이는 제품에 의한 액체의 흡수 속도가 흡수될 액체의 분비 속도에 비해 많이 느리고, 흡수 제품내의 흡수성 겔화 물질이 완전히 포화되기 전에 흡수 제품이 파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체액이 제품에 의해,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획되고 분배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분비된 체액을 보유하는 그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는데에 특히 효과적이고 유용한 흡수성 겔화 물질을 함유하는 흡수 제품을 밝혀낼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흡수성 겔화 물질은 일반적으로 쉽게 입수할 수 있는 흡수성 섬유 물질(예컨대, 셀룰로즈 섬유)에 비해 상당히 많이 비싸다. 따라서, 흡수성 겔화 물질을 함유한 제품의 흡수 용량이 개선될 수 있거나, 제품의 소정의 흡수 용량이 비교적 비싼 흡수성 겔화 물질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유지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액체를 저장하는 흡수성 겔화 물질이 분비된 체액을 재빨리 포획하는 흡수 제품의 능력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체액을 누수시키지 않으면서 신속히 받아들여 봉쇄할 수 있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젖거나 건조한 상태 둘다의 경우 개선된 안락감을 착용자에게 주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측부 누수 발생을 감소시키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은 하기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고 참조하며, 첨부된 도면과 결부시킬 경우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누수, 특히 후속적으로 분출되는 체액의 누수없이 다량의 체액을 신속히 흡수하고 봉쇄하기에 적합한 동시에 안락한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은 한쌍의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중심 영역을 갖는다. 중심 영역은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측부 부분 및 종방향 측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한다. 흡수 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를 포함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전체 공극 부피를 갖는다. 중심 영역을 갖는 포획 구성요소 부분은 흡수 제품의 전체 공극 부피의 약 50% 이상을 제공한다. 흡수 코어는 포획 구성요소 및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다. 흡수 코어의 일부는 통상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 1 절첩선을 따라 포획 구성요소상으로 절첩되어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를 형성하는데, 이는 종방향 측부 부분내의 포획 구성요소를 둘러싼다. 탄성 흡수 부재는 포획 구성요소 및 상면시이트 사이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흡수 제품은 전체 흡수 용량을 갖는다. 중심 영역은 전체 흡수 용량의 약 50% 이상을 제공한다. 종방향 측부 부분은 중심 영역의 흡수 용량의 약 70% 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금자용 패드 등의 흡수 제품,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액체를 신속히 받아들여 봉쇄할 수 있으면서 안락한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지적하여 분명히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결론짓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번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첨부된 도면과 결부되는 하기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하부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절단된 부분을 갖는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2-2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의 다양한 영역 및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화된 평면도이다.
도 4는 절첩 전의 상태로 도시된 흡수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의 또다른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의 또다른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포획 구성요소로부터 흡수 코어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 1의 실금자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본원에서, "일회용 흡수 제품"이란 용어는 체액을 흡수하고 봉쇄하는 제품,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다양한 액체를 흡수하고 봉쇄하기 위해 착용자의 신체에 접하여 또는 근접하여 위치되고, 단일 사용후에 폐기되도록 의도된(즉, 세탁되거나 달리는 복원되거나 재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제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실금자용 패드(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 그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실금자용 패드"란 용어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직접 패드를 접착시켜 부착시킴으로써 실금자에 의해 통상 착용되는 가멘트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실금자용 브리프, 기저귀, 생리대 등의 기타 일회용 흡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20)의 구성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절단된 구조 부분을 갖고, 착용자에 대향하거나 접촉되고, 관찰자를 향해 배향된 실금자용 패드(20)의 부분을 갖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금자용 패드(20)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22), 상면시이트(22)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4), 상면시이트(22)와 배면시이트(24)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25), 상면시이트(22)와 흡수 코어(25) 사이에 위치한 포획 구성요소(30), 상면시이트(22)와 포획 구성요소(30) 사이에 서로 이격된 관계로 실금자용 패드(20)의 각 측부상에 배치된 탄성 흡수 부재(40), 및 탄성 흡수 부재(40)와 상면시이트(22) 사이에 위치한 재습윤 차단벽(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25)는 두개의 별도의 층(26 및 27)을 포함한다. 포획 구성요소(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개의 별도의 층(31 및 32)을 포함한다. 재습윤 차단벽(50)은 실금자용 패드(20)내에 액체를 봉쇄하기 위해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40) 일부를 덮어 차단벽을 제공한다. 배면시이트(24)상에 실금자용 패드(20)의 기부를 따라 접착제 부착 수단(60)이 고착되고, 이는 제거가능한 릴리이스 라이너(62)에 의해 덮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층"이란 용어는 물질의 단일 층 또는 시이트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할 필요는 없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층은 이후 기재되는 바와 같이 필수 유형의 물질의 몇몇 시이트 또는 웹의 조합을 위한 라미네이트를 실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층"이란 용어는 "층" 및 "층상화된"이란 용어를 포함한다.
도 3은 실금자용 패드(20)의 다양한 영역 및 부분을 도시하고, 서로에 대한 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 1의 실금자용 패드(20)의 개략화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실금자용 패드(20)는 한쌍의 단부 영역(100) 및 중심 영역 또는 배설물 수용 영역(102)을 포함한다. 중심 영역(102)은 각각의 단부 영역(100) 사이에 배치된다. 단부 영역(100)은 중심 영역(102)으로부터 종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단부 가장자리(108) 부분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중심 영역 또는 배설물 수용 영역(102)은 실금자용 패드(20)의 중심에 위치하지만, 배설물 수용 영역(102)의 정확한 위치는 실금자용 패드(20)의 성능에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일부 실시태양에서, 배설물 수용 영역(102)은 실금자용 패드(20)의 단부 가장자리중 하나의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금자용 패드(200)는 한쌍의 단부 영역(202) 및 중심 영역 또는 배설물 수용 영역(204)을 포함한다. 중심 영역 또는 배설물 수용 영역(204)은 한쌍의 종방향 측부 부분(206) 및 중심 부분(208)를 포함한다. 중심 영역(204)은 각각의 단부 영역(202) 사이에 배치된다. 단부 영역(202)은 종방향 바깥쪽으로 중심 영역(204)으로부터 연장된다. 다르게는, 중심 영역(204)은 실금자용 패드의 단부 가장자리중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해 보면, 중심 영역(102)은 바람직하게는 실금자용 패드(20)의 전체 종방향 길이의 적어도 1/4 내지 2/3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102)은 실금자용 패드(20)의 약 1/3 내지 전체 종방향 길이를 포함한다.
중심 영역(102)은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측부 부분(104), 및 종방향 측부 부분(104) 사이에 배치된 중심 부분(106)을 포함한다. 종방향 측부 부분(104)은 중심 부분(106)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110)의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종방향 측부 부분(104)은 중심 영역(102)의 전체 횡방향 폭의 적어도 약 1/8 내지 약 1/3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102)의 전체 횡방향 폭의 약 1/4을 포함한다.
중심 부분(106)의 횡방향 폭은 실금자용 패드(20)의 신속한 포획 특징에 중요하다. 중심 부분(106)의 폭이 너무 작으면, 실금자용 패드(20)는 분출되는 다량의 체액을 신속하게 수거하고 봉쇄할 수 없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부분(106)은 중심 영역(102)의 전체 횡방향 폭의 적어도 약 1/3 내지 약 3/4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심 부분(106)은 중심 영역(102)의 전체 횡방향 폭의 1/2을 포함한다.
도 1 및 2를 다시 참조하면, 실금자용 패드(20)는 두개의 표면, 즉 신체 접촉면 또는 신체 대향면(20A) 및 가멘트 대향면(20B)을 갖는다. 신체 대향면(20A)으로부터 관찰될 경우의 실금자용 패드(20)가 도 1에 도시된다. 신체 대향면(20A)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여 착용되도록 의도된 반면, 가멘트 대향면(20B)은 반대쪽 측부상에 있고, 실금자용 패드(20)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인접하여 놓이도록 의도된다.
실금자용 패드(20)는 두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중심선(L) 및 횡방향 중심선(T)을 갖는다. 본원에서 "종방향"이란 용어는 실금자용 패드(20)가 착용될 때 직립한 착용자를 좌반신 및 우반신으로 나누는 수직 평면에 통상 정렬된(예컨대, 거의 평행하는)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고, 종방향에 통상 수직인 실금자용 패드(20)의 평면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면시이트(22)는 순응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착용자의 피부에 무자극성이다. 추가로, 상면시이트(22)는 액체 투과성이어서 그의 두께를 통해 액체(예컨대, 생리혈 및/또는 뇨)가 쉽게 침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적합한 상면시이트는, 예컨대 직물 및 부직물; 천공된 성형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가소성 필름, 및 하이드로포움된(hydroformed) 열가소성 필름 등의 중합체성 물질; 다공성 포움; 망상조직 포움; 망상조직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 등의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직물 또는 부직물은 천연 섬유(예컨대,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 등의 중합체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상면시이트는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한다. 천공된 성형 필름은 신체 배출물에 투과성이나 비흡수성이고 액체가 이를 통해 역으로 흘러나와 착용자의 피부를 재습윤시키는 경향이 적기 때문에 상면시이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되는 성형 필름의 표면은 건조한 채로 유지되어, 신체가 더러워지는 것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부여한다. 적합한 성형 필름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물란(Mulla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24,246호,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2,314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호, 및 1991년 4월 9일자로 베어드(Bair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6,39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 각각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상면시이트는 상기 특허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성형 필름으로,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The Procter & Gamble Company)에 의해 "드라이-위브(DRI-WEAVE)"로서 생리대에 포함되어 시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성형 필름 상면시이트의 신체 접촉면은, 체액이 흡수 코어내로 흘러들어가 이에 의해 흡수되기 보다는 상면시이트를 흘러넘칠 수 있는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체 접촉면이 친수성이 아닌 경우에 비해 보다 신속하게 상면시이트를 통해 액체가 전달되는 것을 돕도록 친수성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1991년 11월 19일자로 아지즈(Aziz) 등에 의해 출원된, "천공된 부직 필름 커버시이트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A Nonwoven And Apertured Film Coversheet)"이란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7/794,745호(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가 성형 필름 상면시이트의 중합체성 물질내로 혼입된다. 다르게는, 상면시이트의 신체 접촉면은 1990년 8월 21일자로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로 이를 처리하여 친수성으로 될 수 있다.
또다른 적합한 상면시이트는 복합 또는 "혼성(hybrid)" 상면시이트 구조물이다. 혼성 상면시이트는 종방향으로 배향된 중심 대역 및 중심 대역의 측방향 바깥쪽에 위치한 종방향 측부 영역을 포함한다. 혼성 상면시이트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혼성 상면시이트 구조물의 중심 대역중의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및 종방향 측부 부분을 형성하는 덜 가소성인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면시이트는 천공된 가소성 필름으로 제조된 상면시이트의 피부 감촉 및 안락함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하다. 특히, 이러한 상면시이트는 보다 무덥고, 땀이 나며, 달라붙는 천공된 가소성 필름의 경향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상면시이트가 착용자 신체와 보다 많이 접촉되는 보다 큰 흡수 제품의 경우 유용하다. 혼성 상면시이트 구조물은 수가하라(Sugahara) 등의 명의로 1993년 5월 27일자로 공개된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에 양도된 PCT 공개번호 제 93/09744호(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일반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다른 적합한 상면시이트는 합성 섬유의 부직 직물로 이루어진 상층, 필름 물질로 이루어진 중간층, 및 합성 섬유의 직물의 부직층으로 이루어진 하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면시이트의 예는 1998년 10월 25일자로 팔룸보(Palumbo)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0,352호에 기재되어 있다.
배면시이트(24)는 액체(예컨대, 생리혈 및/또는 뇨)에 불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가소성 필름으로 제조되나,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가요성"이란 용어는 순응적이며 인체의 일반적 형태 및 외형에 잘 맞는 물질을 의미한다. 배면시이트(24)는 흡수 코어중에 흡수되고 봉쇄된 배출물이 팬츠, 파자마 및 언더팬츠 등의 실금자용 패드(20)와 접촉되는 물품을 적시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면시이트(24)는 직물 또는 부직물, 중합체성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필름, 또는 필름-피복된 부직물 등의 복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시이트(24)는 약 0.012mm(0.5밀) 내지 약 0.051mm(2.0밀)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예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은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 의해 상표명 P18-0401로서, 인디아나주 테레 하우트 소재의 트레데가 코포레이션(Tredegar Corporation)에 의해 상표명 SP-39385로서 제조된다. 배면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되고/되거나 매트 마무리처리되어 보다 천과 같은 외관을 제공한다. 추가로, 배면시이트(24)는 배면시이트(24)를 통해 배출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흡수 코어로부터 증기가 빠져나가도록 허용한다(즉, 통기성이다).
배면시이트(24) 및 상면시이트(22)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바와 같은 부착 수단(제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접되고, 다른 구성요소 또는 실금자용 패드(20)의 층에 연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면시이트(24) 및/또는 상면시이트(22)는 서로 고착되거나 접착제의 단일 연속 층,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또는 일련의 분리된 접착제의 선, 나선 또는 점에 고착될 수 있다. 만족스러운 것으로 알려진 접착제는 상표명 HL-1258 또는 H-2031하에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B. Fuller Company)에 의해 제조된다. 부착 수단은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접착제의 필라멘트의 개방 패턴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는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필라멘트의 개방 패턴화된 망의 부착 수단의 예는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라구에(Sprague,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11,173 호;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커(Zie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 호; 및 1989년 6월 7일자로 웨레닉즈(Werenic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 호에 제시된 장치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 패턴으로 뒤틀린 접착제 필라멘트의 수개의 선을 포함한다. 이들 패턴 각각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다르게는, 부착 수단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열결합, 압착결합, 초음파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 또는 이들 부착 수단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30)는 고속으로 유체를 흡입시키고, 유체의 일시적인 저장소로서 제공하고, 유체를 흡수 코어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및 흡수 코어내로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배수하여 연속 유체의 하중을 없애는 것을 포함하는 몇몇 기능을 제공한다. 효율적으로 체액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몇몇 이유는 흡수 코어 전반에 걸쳐 고루 분산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언급된 전달은 액체를 하나, 2개 또는 모든 방향으로(즉, X-Y 평면 및/또는 Z-방향으로) 전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획 구성요소(30)는 습윤될 때 파손을 억제하여 많은 하중으로부터 이의 수행 능력을 유지시켜야 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또한 실금자용 패드(20)의 안쪽에 부재를 봉쇄하는 탄력적인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획 구성요소는 또한 액체를 아래에 놓인 흡수 코어를 갖는 큰 표면적과 접촉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요소는 이들 사항을 수행하면서 또한 얇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획 구성요소(30)는, 상면시이트를 통해 액체를 배수하고 공극 부피를 제공하여 아래에 놓인 흡수 코어(이는 높은 저장 용량을 갖지만 비교적 느린 흡수 속도를 갖는다)가 이에 침적된 체액을 흡수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추가로, 배설물의 지점은 전형적으로 실금자용 패드(20)의 중심 영역(102)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중심 영역(102)내에 위치된 포획 구성요소(30)의 부분은 충분한 공극 부피를 제공하여 액체를 조절하고 반복적인 다량의 분출을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설물의 지점이 전형적으로 단부 영역(100)내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단부 영역(100)내의 공극 부피는 중심 영역(102)내에 필요한 부피처럼 엄격하지는 않다. 따라서, 중심 영역(102)내의 포획 구성요소는 포획 구성요소(30)의 총 공극 부피의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를 제공한다.
도 1 및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포획 구성요소(30)는 2개의 구별된 층들(31 및 32)을 포함한다. 각각의 층(31) 및 층(32)은 임의의 목적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형태는 예컨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형, 장방형, 아령형, 모래시계형, 배주형, 비대칭형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2에 제시된 실시태양에서, 포획층(31)은 모래시계형 형태를 갖고, 포획층(32)은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최상부의 포획층(31)은 중심 영역(102)과 거의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최상부의 포획층(31)은 중심 영역(102)보다 긴 종방향 길이를 가져 실금자용 패드(20)의 단부 영역(100)내로 연장될 수 있다. 포획층(31)은 중심 부분(106)와 거의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상부의 포획층(31)은 중심 부분(106)보다 긴 횡방향 폭을 가져 실금자용 패드(20)의 종방향 측부 영역(104)내로 연장될 수 있다.
최저부의 포획층(32)은 중심 영역(102)과 거의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최저부의 포획층(32)은 중심 영역(102)보다 긴 종방향 길이를 가져 실금자용 패드(20)의 단부 영역(100)내로 연장될 수 있다. 최저부의 포획층(32)은 중심 부분(106)과 거의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저부의 포획층(32)은 중심 부분(106)보다 긴 횡방향 폭을 가져 실금자용 패드(20)의 종방향 측부 영역(104)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최상부의 포획층(31)은 최저부의 포획층(32)에 비해 긴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다르게는, 최상부의 포획층(31)은 최저부의 포획층(32)에 비해 짧거나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재시된 실시태양에서, 포획 구성요소(30)는 각각 2개의 포획층들(31 및 32)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포획 구성요소(30)는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 예컨대 3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 면 또는 셀룰로즈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 상기 섬유들의 블렌드; 또는 이와 동일한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직물 또는 직물 웹을 포함하는 몇몇의 상이한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적합한 부직물 웹은 결합된 카딩된 웹, 스펀 결합된 웹, 취입 성형된 웹, 스펀 레이스된(spunlaced) 웹, 스팃치(stitch)-결합된 웹 및 열결합된 공기 적층된 웹을 포함한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접착제, 열결합, 압착결합, 초음파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등을 함께 사용하는 웹을 연접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 또는 이들 부착 수단들의 조합에 의해, 포획 구성요소는 상면시이트와 서로 및 흡수 코어와 연접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가 부직물 웹인 경우, 부직물 웹은 스펀 결합된 웹, 취입 성형된 웹, 결합된 카딩된 웹, 스펀 레이스된 웹, 스팃치-결합된 웹 또는 열결합된 공기 적층된 웹일 수 있다. 부직물 웹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민 및 폴리올레핀과 같은 섬유-형성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예는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포획 구성요소는 예컨대 취입 성형된 웹, 결합된 카딩된 웹, 열결합된 공기 적층된 웹중 하나 이상에 연접된 하나 이상의 스펀 결합된 웹층을 갖는 다중층 물질,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다르게는, 부직물층은 예컨대 스펀 결합된 웹 또는 취입 성형된 웹과 같은 물질의 단일층일 수 있다. 부직물 웹은 또한 2개 이상의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 또는 섬유와 입자의 혼합물로 제조된 복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섬유 및/또는 입자를, 섬유의 집합에 상응하는 섬유의 얽힌 혼합물 및 다른 물질(예: 목재 펄프, 스테이플 섬유, 초흡수성 물질) 및 입자로 취입 성형되거나 스펀 결합되도록 수행된 가스 스트림에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부직물 웹은 이성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외부 시이스(sheath) 구성요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내부 코어 구성요소 및 외부 시이스 구성요소를 갖는 열결합성 이성분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이스를 열결합시 용융시키는 능력은 열 수행성을 섬유에 부여한다. 섬유 자체는 전형적으로 소수성이지만, 이성분 섬유의 시이스내로 계면 활성제를 혼입하고/하거나 계면 활성제로 시이스의 외면을 처리함으로써 친수성이 될 수 있다. 이성분 섬유 및 동일물의 제조 방법의 예는 1989년 11월 8일자로 한센(Hansen) 등에게 허여된 유럽 특허원 제 0 340 763 호에 기술된다. 이성분 섬유를 갖는 포획층의 예는 1983년 7월 27일자로 팔룸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31,122 호; 및 1994년 12월 22일자로 팔룸보 등에게 허여된 국제 공개공보 WO 94/28838 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섬유성 포획 구성요소는 이성분 섬유와 다른 섬유(예: 레이온, 일성분 합성 섬유 및 삼성분 합성 섬유)의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획 구성요소는 75%의 이성분 섬유와 25%의 레이온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와 레이온 섬유의 다른 적합한 블렌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섬유성 포획 구성요소는 또한 작동가능한 수준의 밀도 및 기본 중량을 가져 신속하게 포획한 후 밀려오는 체액이 아래에 놓인 흡수 코어내로 배수하므로, 연속적으로 밀려오는 체액을 수용하도록 거의 빈 공간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섬유성 포획 구성요소는 충분한 공극 부피 능력을 가져서 전형적으로 액체가 실금자용 패드내로 밀려들 때 착용자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일시 봉쇄하여야 한다. 불충분한 공극 부피 능력은 결국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액체의 과도한 풀링(pooling) 또는 액체의 과도한 분출을 야기시킬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의 기본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g/m2내지 약 30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g/m2내지 약 200g/m2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g/m2내지 약 80g/m2이다. 섬유성 포획 구성요소는 2kPa의 압력하에 측정하면 바람직하게는 약 1mm 내지 약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mm 내지 약 6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7mm 내지 약 4.5mm 및 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4mm의 두께를 갖는다.
섬유성 포획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약 10cm3/g 내지 약 100cm3/g의 벌크도(bulkines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cm3/g 내지 약 65cm3/g의 벌크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cm3/g 내지 약 60cm3/g 및 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cm3/g 내지 약 55cm3/g을 갖는다.
실금자용 패드(20)의 흡수 코어(25)는 절첩전의 형태로 도 4에 보다 상세히 제시된다. 바람직한 태양의 흡수 코어(25)는 2개의 구성요소 또는 층들(26 및 27)을 포함한다. 개개의 층들(26 및 27)은 동일한 흡수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상이한 흡수물질로 봉제되고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흡수 코어(25)는 단일 구성요소 또는 단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저부의 흡수층(27)은 탄성 흡수물질을 포함한다. 적합한 탄성 흡수물질은 셀룰로즈 섬유, 이성분 섬유 및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고성능 열결합된 공기 적층된(TBAL) 부직물이다. 덴마크 아르후스 소재의 왈키소프트(Walkisoft)로부터 구입된 TBAL 물질은 약 30%의 플린트 리버 플러프(셀룰로즈), 이스라엘 소재의 날코아(Nalcoa)로부터 구입된 60%의 날코(Nalco) 1180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 및 덴마크 바르데 소재의 다나클론(Danaklon)으로부터 구입된 10%의 다나클론 ES-C 3.3 DTEX X 6 MM 이성분 섬유의 균질한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BAL 물질은 약 0.1psi의 하중으로 측정하면 약 350g/m2의 기본 중량, 약 2.7mm의 캘리퍼를 갖는 웹내로 형성된다. 저부의 흡수층(27)의 다른 적합한 탄성 흡수물질은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흡수포움 및 흡수 스폰지를 포함한다.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흡수 구성요소들(26 및 27)은 절첩되기 전에 가교-유사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다르게는, 단일한 흡수 구성요소 또는 층은 도 4에 제시된 바와 유사한 가교-유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흡수층(26)은 흡수층(27)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이들은 흡수층(27)이 흡수층(2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에 놓인 흡수층(27)은 일련의 일반적으로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들(70, 71 및 72)을 따라 절첩되어 종방향 측부 부분(104)에 분배된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측부 부분(104)에 분배된 탄성 흡수 부재(40)는 포획 구성요소(30)와 상면시이트(22) 사이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흡수층(27)은 일반적으로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들(70, 71 및 72)을 따라 절첩되어, 포획 구성요소(30)의 측면을 따라 및 상부에 분배된 탄성 흡수 부재(40)를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의 포획 구성요소(30)를 감싼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흡수 부재(40)는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에 단독으로 포함된다. 이는 다량의 흡수물질을 실금자용 패드(20)의 측부 부분(104)내에 밀집되도록 허용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는 중심 영역(102)내에서 발생하는 배설물의 지점으로 중요하게 되고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한다. 실금자용 패드(20)가 전형적으로 보다 좁은 폭이거나, 이의 길이 치수보다 적은 폭 치수를 갖기 때문에, 실금자용 패드(20)에 침적된 체액은 전형적으로 단부 가장자리(108)에 도달되기 전에 측부 또는 종방향 가장자리에 도달한다. 따라서, 다른 어느 곳으로도 액체가 이동하지 않기 위해서, 측부 부분(104)내에 추가 성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종래 기술 흡수 구조체에 반하여, 본 발명의 탄성 흡수 부재의 블렌딩된 구조체는 이성분 섬유 및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 모두가 습윤될 때 파손을 막는다. 따라서, 탄성 흡수 부재(40)는 습윤될 때 이들의 형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와 흡수 패드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므로, 측부 누수 또는 실금자용 패드(20)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110)를 따른 뇨의 누수를 방지한다.
대부분의 액체 배설물이 중심 영역(102)에 밀집되기 때문에, 중심 영역(102)은 실금자용 패드(20)의 총 흡수능의 약 50%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종방향 측부 부분(104)는 중심 영역(102) 흡수능의 약 60%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배치는 실금자용 패드(20)가 포획 구성요소(30)를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에 위치된 탄성 흡수 부재(40)내로 완전하게 배수하도록 하는 측부 부분(104)내에 충분한 성능을 갖도록 허용한다. 다른 실행은 중심 영역(102)이 실금자용 패드(20)의 총흡수능의 약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를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종방향 측부 부분(104)는 중심 영역의 흡수능의 약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를 제공한다.
탄성 흡수 부재(40)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의해 회음부 주위의 피부에 대해 가압되는 융기된 측부를 갖는 개선된 실금자용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와 실금자용 패드(20) 사이의 신체 접촉을 가깝게 하는 가스킷 효과(gasketing effect)를 나타낸다. 이로 인해 액체는 실금자용 패드(20)의 중앙을 통과해 포획 구성요소(30)내로 흐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흡수 부재(40)는 포획 구성요소로부터 측정하면 약 1mm 이상의 높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흡수 부재(40)는 약 2mm 내지 약 3mm의 높이를 갖는다. 그러나, 탄성 흡수 부재(40)가 너무 높다면 이들은 착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전술된 가스킷 효과와 더불어, 탄성 흡수 부재(40)는 또한 실금자용 패드(20)가 액체 배설을 한 후 개선된 가스킷 효과를 제공한다. 탄성 흡수 부재(40)내의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가 젖음에 따라 팽윤되고, 이로 인해 탄성 흡수 부재(40)를 팽창시킨다. 탄성 흡수 부재(40)의 팽창은 이들을 착용자의 피부와 보다 가깝게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실금자용 패드(20)의 가스킷 효과를 개선시킨다.
추가로, 탄성 흡수 부재(40)의 형태 및 포획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상기(40)의 성질때문에, 실금자용 패드(20)는 누수의 증가없이 액체의 연속적인 분출을 포획할 수 있다. 이의 물리적 특성때문에, 탄성 흡수 부재(40)은 또한 착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안락감을 보강한다. 탄성 흡수 부재(40)는 주로 체액을 함유하기 위해 흡수 패드의 측부 영역내에 저장소로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성 흡수 부재(40)는 다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탄성 흡수 부재(40)를 형성하는 물질은 다른 물질의 상부에서 하나의 층으로 절첩되어 충분한 높이의 탄성 흡수 부재(4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탄성 흡수 부재는 흡수물질을 관형 형태로 감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층(26)은 또한 셀룰로즈 섬유, 이성분 섬유 및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고성능 TBAL 부직물을 포함한다. 덴마크 아르후스 소재의 왈키소프트로부터 구입된 TBAL 물질은 약 30%의 플린트 리버 플러프(셀룰로즈), 이스라엘 소재의 날코아로부터 구입된 60%의 날코 1180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 및 덴마크 바르데 소재의 다나클론으로부터 구입된 10%의 다나클론 ES-C 3.3 DTEX X 6 MM 이성분 섬유의 균질한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BAL 물질은 약 0.1psi의 하중으로 측정하면 약 350g/m2의 기본 중량, 약 2.7mm의 캘리퍼를 갖는 웹내로 형성된다.
상부의 흡수층(26)의 기능(즉, 체액을 흡수함)이 저부 흡수층(27)의 기능(즉, 절첩될 수 있는 탄성 구조체를 제공하여 탄성 흡수 부재(40)를 형성하면서 체액을 흡수함)과 상이하기 때문에, 흡수층(26)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흡수층(26)은 액체(예: 뇨)를 흡수하거나 봉쇄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수단일 수 있다. 흡수층(26)은 일반적으로 에어펠트(airfelt)로서 지칭되는 분쇄된 목재 펄프와 같은 다른 흡수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액체-흡수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흡수물질의 예는 크레핑된 셀룰로즈 와딩; 보조 형태를 포함하는 취입 용융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굳어지고 개질되거나 가교-결합된 셀룰로즈성 섬유; 크림프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토탄 이끼(peat moss); 티슈 랩 및 티슈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티슈; 흡수 스폰지; 초흡수 중합체;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동등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흡수층의 형태 및 구조는 또한 변할 수 있다[예를 들면, 흡수 코어는 변하는 캘리퍼 대역(예를 들면, 개략적으로 중앙이 보다 두껍게 함),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보다 낮은 밀도 및 보다 낮은 평균 기본 중량 포획 대역를 가질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층 또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의 총흡수능은 목적하는 하중 및 의도된 용도와 상용적이어야 한다.
흡수층(26)으로 사용하는 흡수 구조체의 예는 1990년 8월 21일자로 오스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1986년 9월 9일자로 웨이스만(Weis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10,678 호;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마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 1986년 10월 22일자로 두엔크(Duenk) 등의 이름으로 공보된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의 유럽 특허원 제 0 198 683 호; 1994년 12월 22일자로 팔룸보 등에게 허여된 국제 공개공보 WO 94/288838 호; 및 1994년 1월 20일자로 팔룸보 등에게 허여된 국제 공개공보 WO 94/01069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 각각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액체를 실금자용 패드(20)의 포획 구성요소(30)내로 신속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 탄성 부재(40)은 서로 이격된 관계이어야 한다. 도 1 및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탄성 흡수 부재(40)는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놓인다.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는 요소를 분리하는 횡방향 폭 치수인 패드의 측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요소가 놓인 관계를 의미한다) 탄성 흡수 부재(40)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배열이 바람직하다.
안락하거나 보호적일 수 있는 실금자용 패드(20)를 제공하기 위해, 탄성 흡수 부재(40)은 압착할 수 있고, 안락하고 탄력적이어야 한다. 즉, 탄성 흡수 부재(40)는 상기 물리적 성질을 포함하여, 실금자용 패드(20)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고착되면서 착용자의 행동에 의한 힘으로 이들을 허용가능한 공간으로 쉽게 구부리고 압축하고 변형시키도록 허용해야 할 것이다. 외부 힘이 적용되지 않는 탄성 흡수 부재(40) 각각이, 형성된 힘이 제거된 후에 본질적으로 이의 본래의 크기 및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탄력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흡수 부재(40)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물질은 이의 부피의 약 20%가 압축된 후 압축하는 힘이 제거될 때 본래 부피의 약 80% 이상으로 회복될 상기 탄성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질은 본재 부피의 약 50%로 압축된 후 압축하는 힘이 제거될 때 본래 부피의 약 90% 이상으로 회복될 것이다.
실금자용 패드(20)가 사용시 이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디자인되기 때문에, 탄성 흡수 부재(40)는 또한 뇨와 같은 액체의 존재로 인해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 탄성 흡수 부재(40)는 습윤될 때에도 사용시의 이의 섬유의 폐쇄 팩킹 및 3차원적 구조체의 봉쇄 특징을 막는데 충분한 요소 탄성을 부여하는 충분한 본래의 탄성을 보유하여, 실금자용 패드(20)가 연속적인 분출 동안 이의 형태를 유지할 것이다.
흡수성 겔화 물질-함유 탄성 흡수 부재(40)는 다량의 액체를 신속하게 봉쇄하기에 충분한 공극 부피가 필요하기 때문에, 포획 구성요소가 액체의 수용가능한 양을 봉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획 구성요소(30)는 뇨의 실제량을 봉쇄하기 위해 섬유 사이의 틈새 또는 모세관내에 충분한 공극 부피를 가지도록 비교적 낮은 밀도의 물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도 4에 제시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는 2개의 분리된 흡수 부재들(26 및 27)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단일 물질이 흡수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물질의 다수층(예: 3개 이상의 층)이 흡수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실시태양에서, 흡수층(27)은 탄성 흡수 부재(40)에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에 물질의 2개 층을 제공하도록 절첩되는 것을 제시된다. 다르게는, 연속적인 절첩은 흡수물질(27)이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의 단일층 또는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의 다수층(예: 3개 이상의 층)을 제공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의 능력이 흡수물질(27)보다 몇배로 증가할 수 있지만, 실금자용 패드(20)의 안락감은 종방향 측부 부분(104)내의 패드의 부피에 의해 상충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22)와 탄성 흡수 부재(40) 사이에 위치한 재습윤 차단벽(50)은 액체 투과성이고, 이는 액체를 이의 두께를 통해 쉽게 관통하도록 한다. 재습윤 차단벽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웹을 연접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예: 접착제, 열결합, 초음파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 또는 이들 부착 수단의 조합)에 의해 탄성 흡수 부재(40)에 연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습윤 차단벽은 천공된,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중합체성 웹을 포함한다. 천공된,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중합체성 웹은 체액에 투과적이고, 더구나 비흡수체이고, 액체를 착용자의 피부로 역류 통과하여 다시 적시는 경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재습윤 차단벽(50)용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는 실금자용 패드의 외부 덮개는 건조하게 보존되므로, 착용자에게 신체 오염을 감소시키고 보다 안락한 느낌을 제공한다. 적합한 천공된,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중합체성 웹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물란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24,246 호;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 및 1991년 4월 9일자로 베어드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 각각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실금자용 패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부착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부착 수단(60)은 배면시이트(24)상에 위치된 접착제의 넓은 스트립으로서 도시되고, 실금자용 패드(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적용한다. 상기 배열은 편리하게 선택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접착성 부착 수단(60)를 위해 상이한 패턴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접착성 부착 수단(60)의 목적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내에 실금자용 패드(20)를 고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생리대에 사용되는 임의의 접착제와 아교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접착제는 오하이오주 콜롬부스 소재의 센츄리 어드헤시브 코포레이션(Century Adhesive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센츄리(Century) A-305-IV, 및 뉴저지주 브리지워터 소재의 내셔날 스타치(National Starch) 및 케미칼 캄파니(Chemical Company)에 의해 제조된 인스탄트 록(Instant Lok) 34-2823을 포함한다. 적합한 접착성 패스너는 또한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실금자용 패드가 사용되기 전에, 감압성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사용전에 접착제(60)가 팬티의 가랑이부를 제외한 표면을 건조시키거나 이에 접착되는 것을 막도록 제거가능한 릴리이즈 라이너(62)로 덮여진다. 적합한 릴리이즈 라이너(62)는 또한 전술된 미국 특허 제 4,197,6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목적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임의의 시판중인 릴리이즈 라이너는 본원에 이용될 수 있다. 적합한 릴리이즈 라이너의 비한정적인 예는 위스콘신주 메나사 소재의 아크로실 코포레이션(Akrosi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BL30 MG-A 실록스(SILOX) E1-0 및 BL30 MG-A 실록스 4P/O이다.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는 접착제(60)를 팬티에 접촉시키기 위해 릴리이즈 라이너(62)를 제거한 후 실금자용 패드(20)를 팬티내에 놓음으로써 사용된다. 접착제(60)는 사용시 팬티내의 이의 위치에 실금자용 패드(20)를 유지시킨다.
실금자용 패드(20)의 단부 영역(100)은 중심 영역(102)의 캘리퍼보다 적은 캘리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영역(100)은 바람직하게는 약 8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m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mm 미만의 캘리퍼를 갖는다. 단부 영역(100)내의 캘리퍼는 실금자용 패드(20)가 착용자에게 자극적이어서 불편하지 않도록 두껍지 않은 것이 중요하다.
지금 도 6를 언급하면, 본 발명의 실금자용 패드(300)의 다른 실시태양이 제시한다. 실금자용 패드(300)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22), 상면시이트(322)와 연접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324), 상면시이트(322)와 배면시이트(324)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325), 상면시이트(322)와 흡수 코어(325) 사이에 위치한 포획 구성요소(330), 실금자용 패드(300)의 측부 각각에 분배된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340), 및 탄성 흡수 부재(340)와 상면시이트(322) 사이에 위치된 재습윤 차단벽(350)을 포함한다. 탄성 흡수 부재(340)는 분리되고 흡수 코어(325)와 구분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태양에서, 실금자용 패드(20)는 정합성 및 성형성을 개선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포획 구성요소를 분리시킬 수 있는 흡수 코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의 분리 또는 탈락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일반적으로 종방향 및 횡방향축에 수직인 방향(즉, "Z-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지칭한다.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의 분리의 개념은 1992년 4월 16일자로 오스본 등에게 허여된 "Decoupled Sanitary Napkin"이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제 5,077,906 호; 1992년 5월 14일자로 비셔(Visscher) 등에게 허여된 "Sanitary Napkin Having Components Capable of Separation in Use"라는 제목의 PCT 국제 특허 공개공보 WO 92/07535 호; 및 1992년 4월 28일자로 오스본에게 허여된 "Generall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With Stiffened Center"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원 제 07/874,872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포획 구성요소(30)로부터 흡수 코어(25)의 분리는 달리 흡수 코어(25)로부터 상면시이트(22)의 분리로 생각될 수도 있다. 이는 흡수 코어(25)가 포획 구성요소(30)로부터 분리한다면, 상면시이트(22)(포획 구성요소(30)의 다른 면상에 분포됨)도 또한 흡수 코어(25)로부터 분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포획 구성요소(30)로부터 흡수 코어(25)의 분리 또는 탈락은 도 7에 도시된다. 도면들은 실금자용 패드(20)가 닳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유사한 형태의 대표도를 나타내고자 한다. 따라서,이들 구성요소들의 분리는 도면에 제시된 것에 부가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들의 다른 형태 및 분리의 방식 모두를 포함한다. 추가로, 또한 실금자용 패드(20)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크기가 도면내에 약간 과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실금자용 패드(20)의 구성요소의 분리를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포획 구성요소(30)로부터 흡수 코어(25)의 분리는 흡수 코어(25)가 포획 구성요소(30)에 연접되는 방식때문에 가능하다. 흡수 코어(25)의 상부층(26)은 접합 부분(80)에서 최저부의 포획 구성요소(32)에 접합된다. 포획 구성요소(30)는 달리 흡수 코어(25)에 부착되지 않는다. 포획 구성요소(30)의 미부착된 부분은 흡수 코어(25)로부터 멀리 이동하거나, 분리하거나, 탈락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30)로부터 흡수 코어(25)의 분리를 추가로 돕기 위해, 비교적 견고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최상부층(26)은 엠보싱된 채널, 절첩부 또는 주름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제시된 흡수층(26)은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싱된 채널(85)이 제공된다. 실금자용 패드(20)가 착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발생되는 측부 압착력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 엠보싱된 채널(85)의 측부상에서 흡수층(26)의 신체 대향 표면부는 서로 보다 가까워진다. 포획 구성요소(30)의 미부착된 부분은 흡수 코어로부터 분리하고 상승하여 실금자용 패드(20)(구체적으로, 상면시이트(22) 및 포획 구성요소(30))는 착용자의 외형과 일치된다. 따라서, 실금자용 패드(20)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보다 쉽게 포착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다르게는, 흡수층(26)은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연장되는 저밀도 또는 보다 낮은 기본 중량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저밀도 채널의 양면상의 흡수층(26) 부분이 전형적으로 채널보다 견고하기 때문에, 흡수층(26)은 실금자용 패드(20)가 사용시 착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발생되는 측부 압착력을 받을 경우 채널을 따라 구부려질 것이다.
추가로, 흡수층(26)은 이를 다수의 형태로 구부리게 하는 다수의 엠보싱된 채널, 절첩부 또는 주름부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필요한 경우, 흡수층(27)은 또한 목적하는 형태로 구부리는 흡수층(27)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 절첩부 또는 주름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이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내의 상기 모든 변형을 청구의 범위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10)

  1.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하고, 한쌍의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측부 부분 및 종방향 측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중심 영역을 갖는 흡수 제품에 있어서,
    전체 공극 부피를 갖는 포획 구성요소가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흡수 코어 사이에 위치하고(이 때,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체 공극 부피의 50% 이상을 제공한다),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가 상기 종방향 측부 부분에 배치되고, 이는 상기 포획 구성요소와 상기 상면시이트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흡수 제품이 전체 흡수 용량을 갖고, 상기 중심 영역이 상기 전체 흡수 용량의 50% 이상을 제공하고, 상기 종방향 측부 부분이 중심 영역 흡수 용량의 70% 이상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를 포함하고, 한쌍의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이격된 종방향 측부 부분 및 종방향 측부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중심 영역을 갖는 흡수 제품에 있어서,
    전체 공극 부피를 갖는 포획 구성요소가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고,(이 때,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전체 공극 부피의 50% 이상을 제공한다),
    흡수 코어가 상기 포획 구성요소 및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일부가 통상 평행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제 1 절첩선을 따라 상기 포획 구성요소상으로 절첩되어 종방향 측부 부분내의 상기 포획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한쌍의 탄성 흡수 부재를 형성하며(이 때, 상기 탄성 흡수 부재는 상기 포획 구성요소 및 상기 상면시이트 사이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상기 흡수 제품이 전체 흡수 용량을 갖고, 상기 중심 영역이 상기 전체 흡수 용량의 50% 이상을 제공하고, 상기 종방향 측부 부분이 중심 영역 흡수 용량의 70% 이상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 흡수 부재 및 상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재습윤 차단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재습윤 차단벽이 천공된,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중합체성 웹인 흡수 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가, 최초 부피의 20%로 압축된 후 최초 부피의 80% 이상으로 회복되는 탄성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흡수 제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가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가 셀룰로즈 섬유 및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가 1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흡수 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흡수 부재가 1mm 내지 2mm의 높이를 갖는 흡수 제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 영역의 종방향 길이가 흡수 제품의 전체 종방향 길이의 1/4 내지 2/3인 흡수 제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 부분의 횡방향 폭이 흡수 제품의 전체 횡방향 폭의 1/3 내지 3/4인 흡수 제품.
KR1019980710205A 1996-06-13 1997-06-10 포획대역을갖는흡수제품 KR100323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64,044 US5827254A (en) 1996-06-13 1996-06-13 Absorbent article
US8/664,044 1996-06-13
US08/664,044 1996-06-13
PCT/US1997/009976 WO1997047263A1 (en) 1996-06-13 1997-06-10 Absorbent article with acquisition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09A true KR20000016609A (ko) 2000-03-25
KR100323816B1 KR100323816B1 (ko) 2002-06-20

Family

ID=2466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205A KR100323816B1 (ko) 1996-06-13 1997-06-10 포획대역을갖는흡수제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827254A (ko)
EP (1) EP0912152B1 (ko)
JP (1) JP2000512183A (ko)
KR (1) KR100323816B1 (ko)
AR (1) AR007563A1 (ko)
AT (1) ATE253881T1 (ko)
AU (1) AU3568997A (ko)
CA (1) CA2257690C (ko)
DE (1) DE69726152T2 (ko)
ID (1) ID19853A (ko)
PE (1) PE84198A1 (ko)
WO (1) WO1997047263A1 (ko)
ZA (1) ZA975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451A1 (de) * 1996-09-30 1998-04-02 Kimberly Clark Gmbh Absorbierender Artikel
JP3442943B2 (ja) * 1996-10-23 2003-09-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3190399A (en) * 1998-03-25 1999-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eakage reducing construction for absorbent articles
US6068620A (en) * 1998-03-30 2000-05-30 Paragon Trade Brands Absorbent laminate
US6702801B2 (en) 1998-05-07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an extensible backsheet
SE513227C2 (sv) * 1998-12-03 2000-08-07 Sca Hygiene Prod Ab Materialstruktur för användning i absorberande alster, och et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en sådan materialstruktur
DE19915716C1 (de) * 1999-04-08 2000-08-10 Sandler C H Gmbh Absorbierender Einwegartikel mit geringer Neigung zur Rücknässung
SE514211C2 (sv) 1999-05-27 2001-01-2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vätskespridning
US6627789B1 (en) 1999-10-14 2003-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 with fluid partitioning
US6723892B1 (en) 1999-10-14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s having reduced leakage
US6509513B2 (en) 1999-11-12 2003-01-21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luid acquisition system
US6455753B1 (en) * 1999-11-12 2002-09-24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luid acquisition system
JP3524026B2 (ja) 1999-11-17 2004-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着用物品
CN100584296C (zh) * 2000-05-14 2010-01-27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改进性能的吸收用品
US20020019614A1 (en) * 2000-05-17 2002-02-14 Woon Paul S.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20020123538A1 (en) * 2000-12-29 2002-09-05 Peiguang Zhou Hot-melt adhesive based on blend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polymers for multilayer bonding
JP2003093440A (ja) * 2001-09-21 2003-04-02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CN1232237C (zh) * 2001-09-21 2005-12-21 花王株式会社 一次性尿布
US20050101929A1 (en) * 2002-01-17 2005-05-12 Andrew Waksmundzki Absorbent core with three-dimensional sub-layer
US7378566B2 (en) 2002-12-13 2008-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re including folded substrate
US7294591B2 (en) * 2002-12-13 2007-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 including a folded substrate and an absorbent adhesive composition
US7344526B2 (en) * 2003-12-15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US7955710B2 (en) 2003-12-22 2011-06-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ltrasonic bonding of dissimilar materials
WO2005072672A1 (ja) * 2004-02-02 2005-08-11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吸収体物品
US7373698B2 (en) 2004-06-24 2008-05-2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Closure tabs for absorbent articles
EP1634556B1 (en) * 2004-09-13 2019-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acquisition rate
US20060069367A1 (en) * 2004-09-29 2006-03-30 Andrew Waksmundzki Absorbent core having two or more types of superabsorbent
US20060093788A1 (en) * 2004-10-29 2006-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food preparation mats, cutting sheets, placemats, and the like
US20060206091A1 (en) * 2005-03-10 2006-09-14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having a channeled absorbent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949821C (en) 2005-09-06 2021-05-18 Smith & Nephew, Inc.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US20070078422A1 (en) * 2005-09-30 2007-04-05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configured for controlled deforma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0814969D0 (en) * 2008-07-07 2008-09-24 Hough Judith Child's paint protective liner
ES2568733T3 (es) * 2011-06-28 2016-05-04 Sca Hygiene Products Ab Artículo absorbente que tiene estructura de admisión
CN105963074B (zh) 2011-07-14 2020-01-17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和治疗方法
US9763837B2 (en) 2011-12-01 2017-09-1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fluid flow control member
AU2013264934B2 (en) 2012-05-23 2017-07-20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MX2015001520A (es) 2012-08-01 2015-08-20 Smith & Nephew Apósito para heridas.
US10667955B2 (en) 2012-08-01 2020-06-02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treatment
CN104884018B (zh) 2012-12-28 2018-07-10 Sca卫生用品公司 具有作为流体流动控制构件的间隔织物的吸收性物品
PL2938308T3 (pl) 2012-12-28 2019-08-3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yrób chłonny mający tkaninę oddzielającą jako człon regulujący przepływ płynu
TWM481710U (zh) * 2014-03-27 2014-07-11 Homeway Technology Co Ltd 多功能衛生棉護墊
JP6586431B2 (ja) 2014-06-18 2019-10-0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創傷包帯および治療方法
CN105266970A (zh) * 2014-07-12 2016-01-27 叶正华 卫生垫及其生产方法
WO2017087452A1 (en) 2015-11-16 2017-05-26 Hill-Rom Services, Inc.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s for hospital beds
US9820897B2 (en) * 2015-12-28 2017-11-21 Veronica Lee Berry Composite liquid-retentive substrate for a hygiene article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8149783A1 (en) * 2017-02-17 2018-08-23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CN111801080B (zh) * 2018-03-26 2023-06-23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带有顶片和采集层的一次性吸收性卫生产品
KR20200135493A (ko) * 2018-03-26 2020-12-02 에씨티 하이진 앤 헬쓰 악티에볼라그 흡수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성 위생 용품
US10258517B1 (en) 2018-05-25 2019-04-1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Fluid distribution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CN110179592A (zh) * 2019-05-31 2019-08-30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3d记忆芯体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6626A (en) * 1932-06-06 1934-02-13 Kendall & Co Sanitary napkin
US2939461A (en) * 1957-04-09 1960-06-07 Curt G Joa Sanitary napkins with external padding
US3371667A (en) * 1964-06-11 1968-03-05 Johnson & Johnson Article for absorbing body exudates
US3364931A (en) 1964-10-12 1968-01-23 Walter F. Hirsch Sanitary napkin
US3400718A (en) * 1965-05-28 1968-09-10 Saijo Toshiko Sanitary belt
US3572342A (en) * 1968-01-19 1971-03-23 Johnson & Johnson Diaper
US4029101A (en) * 1974-09-06 1977-06-14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3929135A (en) 1974-12-20 1975-12-30 Procter & Gamble Absorptive structure having tapered capillaries
GB1513055A (en) * 1975-07-02 1978-06-07 Mccullins J Disposable diapers
US4324246A (en) 1980-05-12 1982-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ain resistant topsheet
US4501586A (en) 1980-11-17 1985-02-26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with reservoir
US4410324A (en) * 1981-03-16 1983-10-18 Sabee Reinhardt N Form fit diaper with inside seal and thickened crotc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76596A (en) * 1983-03-03 1986-03-18 Kimberly-Clark Corporation Resilient shape-retaining sanitary napkin
US4636209A (en) * 1983-03-07 1987-01-13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fluid transfer layer
US4670011A (en) * 1983-12-01 1987-06-02 Personal Products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CA1291328C (en) * 1985-11-04 1991-10-29 Dawn Ilnicki Houg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moisture insensitive, resilient shaping members
CA1291327C (en) * 1985-11-04 1991-10-29 Dawn Ilnicki Houg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liquid impervious shelves
US4753645A (en) * 1987-09-17 1988-06-28 Weyerhaeuser Company Perineal shield
US4988344A (en) * 1988-05-24 1991-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layer absorbent layers
US4988345A (en) * 1988-05-24 1991-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rapid acquiring absorbent cores
SE463650B (sv) * 1989-05-16 1991-01-07 Moelnlycke Ab Absorberande engaangsartiklar innefattande en slangformig absorbtionskropp
GB2233235A (en) * 1989-06-27 1991-01-09 Kao Corp Absorbent pad with resilient side flaps
US4994052A (en) * 1989-06-27 1991-02-19 Keiko Kimura Diaper
CA2024558C (en) * 1990-07-19 2002-04-02 Paul John Serbiak Thin sanitary napkin having a central absorbent zon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napkin
DE69108059T2 (de) * 1991-01-03 1995-09-07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schnell aufnehmenden absorbtionskern aus mehreren lagen.
JPH07509383A (ja) * 1992-07-27 1995-10-19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中央捕捉ゾーンを持つ衛生ナプキン
IT1257101B (it) * 1992-09-16 1996-01-05 Gianfranco Palumbo Articolo assorbente con distribuzione controllata del liquido.
US5352217A (en) * 1993-09-14 1994-10-0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ple topsheets
US5578025A (en) * 1994-07-06 1996-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stiffening side stabilizers
AU687237B2 (en) * 1994-10-04 1998-02-19 Johnson & Johnson Inc.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secondary liquid- containment structure
EP0830121A1 (en) * 1995-06-07 1998-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9853A (id) 1998-08-13
JP2000512183A (ja) 2000-09-19
KR100323816B1 (ko) 2002-06-20
DE69726152T2 (de) 2004-09-02
EP0912152B1 (en) 2003-11-12
WO1997047263A1 (en) 1997-12-18
US5827254A (en) 1998-10-27
CA2257690C (en) 2003-03-25
EP0912152A1 (en) 1999-05-06
CA2257690A1 (en) 1997-12-18
AR007563A1 (es) 1999-11-10
PE84198A1 (es) 1998-12-23
ZA975213B (en) 1998-02-19
AU3568997A (en) 1998-01-07
DE69726152D1 (de) 2003-12-18
ATE253881T1 (de)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816B1 (ko) 포획대역을갖는흡수제품
KR100266496B1 (ko) 재습윤화차단부를갖는흡수제품
US5342337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hich comprises a hose-like absorption body
US584306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ntainment cuff
CA2277978C (en) Absorbent article with protection channel
KR100266489B1 (ko) 정합성및유체이동성능을갖는일회용흡수제품
EP0523719B1 (en) A bodyside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KR100290549B1 (ko) 층상의 다기능성 유체 흡수 부재
KR100263225B1 (ko) 융합층을 갖는 흡수 제품
JP4879397B2 (ja) 溝を有する吸収体
KR100353698B1 (ko) 공압출된3차원적유체-투과성플라스틱웹
JP2901643B2 (ja) 迅速獲得性吸収性芯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0245352B1 (ko) 신속한분배스트립을갖는흡수제품
KR100249604B1 (ko) 블렌딩된 흡수 코아를 가진 위생 흡수 제품(hygienic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absorbent core)
KR20000022495A (ko) 개선된 생리혈 포획 및 정합을 제공하는 발포체 흡수 구조를갖는 흡수 제품
KR19980701906A (ko) 고 흡인력 및 고 용량을 나타내는 흡수제품용 유체 분배 부재
AU638252B2 (en)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hich comprises a hose-like absorption body
KR20000065121A (ko) 팽창되는상면시이트를갖고사용시자가형상화될수있는일회용흡수제품
KR20000065117A (ko) 흡수구조물에절개부를갖고사용시자가-형상화될수있는일회용흡수제푸뮤
KR100235694B1 (ko) 해부학적으로 성형된 컴파운드 생리대
JP3902646B2 (ja) 吸収物品、特に生理ナプキン
AU7185300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wet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