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488A -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488A
KR20000015488A KR1019980035425A KR19980035425A KR20000015488A KR 20000015488 A KR20000015488 A KR 20000015488A KR 1019980035425 A KR1019980035425 A KR 1019980035425A KR 19980035425 A KR19980035425 A KR 19980035425A KR 20000015488 A KR20000015488 A KR 2000001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thylene
acrylic acid
lithium ion
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918B1 (ko
Inventor
노형곤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8003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918B1/ko
Priority to JP24319499A priority patent/JP4694665B2/ja
Priority to US09/384,978 priority patent/US6242131B1/en
Publication of KR2000001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가 개시된다. 개시된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에서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층 및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나일론 층 사이에 형성된 금속재로 된 방수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본 발명은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Plastic Lithium Ion Battery)의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밀봉하여 감싸서 전지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성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특히 캠코더, 셀룰라폰 및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화, 경량화 및 무선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이들 전자기기의 구동전원으로서 소형, 경량이며 에너지밀도가 높은 2차전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리튬 2차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리튬 2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륨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아연전지 등과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3배 정도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기대를 가지고 국내외에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2차전지는 전해질, 전극 재료에 따라 리튬 이온전지, 고분자 전해질전지,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는 전해질이 함침되어 있는 폴리머 세퍼레이터를 채용한 구성으로서, 안정성이 우수하며 판상형태의 제작이 가능하여 많은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적층되어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지본체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통로역할을 하는 전극단자가 연결되며, 전지본체와 전극단자의 일부는 절연성의 외장재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전지몸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지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에 열접착성 물질층이 형성되어 상호 접착됨으로써 그 내부를 밀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전지몸체(10)에 대하여 최내각층인 열접착성 물질층으로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Poly(Ethylene-co-acrylic acid))에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을 가하여 측쇄의 카르볼실산을 중화시킨 SURLYN(DUPONT사의 상품명)층(11)을 구비한다. 그리고, SURLYN층(11) 상에 알루미늄층(12)이 형성되어 수분 침투 방지와,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한다. 그리고, 알루미늄층(12) 상에 폴리에틸렌층(13)과 폴리에스테르층(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폴리에스테르층(14)은 전지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으로서 외부로부터의 보호층 역할을 하고, 폴리에틸렌층(13)은 최외각층의 기능을 강화하고 접착기능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에서, 알루미늄층(12)의 두께가 약 9㎛ 정도로 얇게 형성되며, 최외각층에 폴리에스테르층(14)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여 성형가공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외각층으로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층(14)은 성형가공시 균열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지 외장재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외장재를 이용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는 그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여 대량양산시 생산성이 나빠진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전지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적절한 외형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전지몸체(10)를 둘러싼 외장재를 밀봉하는 과정은 전지몸체(10)에 대하여 최내각층의 상호 겹쳐진 부분에 대한 간단한 열접착가공을 통하여 밀봉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의 적층구조상 구조적 강도가 취약하여 접합압력 및 접합시간 등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소정 밀봉부위에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해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전지본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전지의 대량 양산이 가능하도록 그 성형이 용이하며, 밀봉과정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40.전지본체
21,31,41,46.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2,32,42,24,45. 나일론(Nylon)층 23,33,43.알루미늄층
34,44.폴리에틸렌(Polyethylene)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에서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층 및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나일론층 사이에 형성된 금속재로 된 방수층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에서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전지본체(20)에 대하여 최내각층으로 형성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Poly(Ethylene-co-acrylic acid))층(21)을 구비한다. 이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은 전지몸체(20)를 둘러싸는 과정에서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열접착되어 전지의 내부를 밀봉한다. 그리고, 전지본체(20)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Nylon)층(22)이 마련된다. 이 나일론층(22)은 외부로부터의 보호층의 역할로서, 전지의 외주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체적인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과 나일론층(22) 사이에는 수분침투 및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된 방수층, 예컨대 알루미늄층(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과 알루미늄층(23) 사이에 나일론층(24)이 형성된다. 이 나일론층(24)은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과 알루미늄층(23)의 밀착성을 증진시키며, 알루미늄층(23)의 성형가공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 층 사이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적층구조를 가지는 외장재의 각 층별 두께는 예컨대, 나일론층(21) : 30㎛, 알루미늄층(23) : 50㎛, 나일론층(24) : 25㎛ ,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 : 55㎛ 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본체(30)에 대하여 최내각층으로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Poly(Ethylene-co-acrylic acid))층(31) 및 전지본체(30)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층(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31)과 나일론층(32) 사이에 알루미늄층(33)이 형성되는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31)과 알루미늄층(33) 사이 및 알루미늄층(33)과 나일론층(32) 사이에 밀착성 증진 및 알루미늄층(33)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폴리에틸렌층(34)이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적층구조를 가지는 외장재의 각 층별 두께는 예컨대, 나일론층(32) : 15㎛, 폴리에틸렌층(34) : 15㎛, 알루미늄층(33) : 55㎛, 폴리에틸렌층(34) : 15㎛,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31) : 45㎛ 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전지본체(40)에 대하여 최내각층으로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Poly(Ethylene-co-acrylic acid))층(41) 및 전지본체(40)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층(42)이 마련된다. 그리고,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41)과 나일론층(42) 사이에 알루미늄층(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41)과 알루미늄층(43) 사이에는 전해액 누액 방지 및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폴리에틸렌층(44), 나일론층(45),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46)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나일론층(42)의 아랫면에는 전지본체(40)의 과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배제하기 위하여 내열성을 가진 폴리염화비닐층(Poly Vinyl Chloride,PVC,47)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적층구조를 가지는 외장재의 각 층별 두께는 예컨대, 나일론층(42) : 15㎛, 알루미늄층(43) : 50㎛,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46) : 15㎛, 나일론층(45) : 25㎛, 폴리에틸렌층(44) : 15㎛,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41) : 45㎛ 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전지몸체(20)(30)(40)에 대하여 최내각층 및 최외각층으로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21)(31)(41)과 나일론층(22)(32)(42)으로 각각 형성하며, 그 사이에 적어도 50㎛ 이상의 두께로 알루미늄층(22)(32)(42)을 형성한 구조다. 이러한 구조에서 최외각층인 나일론층(22)(32)(42)은 성형시 전지의 외주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적어도 50㎛ 이상의 두께로 형성된 알루미늄층(22)(32)(42)은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최외각층과 최내각층 및 알루미늄층 사이에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별도의 층을 각각 형성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체적인 층간의 밀착성, 성형성이 향상되며, 전해액의 누액방지 기능이 향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를 이용하여 소정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전지의 형상에 적합한 소정 금형을 제작한 후 금형가공을 통하여 외장재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전지의 대량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밀봉부위에 적용되는 압력, 온도 및 접합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밀봉부위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는, 전지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 및 최외각층으로서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나일론층으로 각각 형성하며, 그 사이에 적어도 50㎛ 이상의 두께로 알루미늄층을 형성한 구조로 성형이 용이하며, 전해액의 누액방지 기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장재를 이용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는 다양한 외형의 제작 및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에서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나일론층; 및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나일론층 사이에 형성된 금속재로 된 방수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방수층 사이에 형성된 나일론층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방수층 사이 및 상기 방수층과 나일론층 사이에 밀착성 증진을 위하여 형성된 폴리에틸렌층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과 방수층 사이에 형성된 폴리에틸렌층, 나일론층, 에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층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층의 아랫면에 형성된 폴리염화비닐층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리튬 이온전지의 외장재.
KR1019980035425A 1998-08-29 1998-08-29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KR10029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425A KR100291918B1 (ko) 1998-08-29 1998-08-29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JP24319499A JP4694665B2 (ja) 1998-08-29 1999-08-30 リチウム2次電池のケース
US09/384,978 US6242131B1 (en) 1998-08-29 1999-08-30 Cas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based on a polymer coated aluminum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425A KR100291918B1 (ko) 1998-08-29 1998-08-29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88A true KR20000015488A (ko) 2000-03-15
KR100291918B1 KR100291918B1 (ko) 2001-06-01

Family

ID=1954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425A KR100291918B1 (ko) 1998-08-29 1998-08-29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42131B1 (ko)
JP (1) JP4694665B2 (ko)
KR (1) KR100291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52B1 (ko) * 2004-10-20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754052B1 (ko) * 2000-04-19 2007-08-3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전지용 탭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3247B2 (ja) * 1998-10-30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TW497286B (en) * 1999-09-30 2002-08-01 Canon Kk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A2363111C (en) 1999-12-17 2010-11-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olymer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761994B2 (en) * 2000-03-08 2004-07-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olymer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639387B (zh) * 2000-07-31 2012-01-18 三菱树脂株式会社 热塑性树脂涂层铝板及其成形体
BRPI0418424B8 (pt) * 2004-01-30 2023-01-17 Lg Chemical Ltd Bateria possuindo estrutura de pacote específico
US20050233211A1 (en) * 2004-04-19 2005-10-20 Welker Edward E Surface treatment for metal-polymer laminated electrochemical cell package
WO2006046615A1 (ja) * 2004-10-29 2006-05-04 Dai 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及び二次電池
KR100719713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전지
JP5157338B2 (ja) 2006-09-21 2013-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扁平型電気化学セル金属端子部密封用接着性シート
DE102008015965A1 (de) * 2008-03-20 2009-09-24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mit Foliendichtung
US9136558B2 (en) * 2009-08-14 2015-09-15 Philips Plastics Corporation Impact resistant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944A (ja) * 1983-03-23 1984-10-02 Hitachi Ltd 二次電池
FR2572864B1 (fr) * 1984-11-06 1986-12-26 Paris & Du Rhone Demarreur electrique a reduct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S61116071A (ja) * 1984-11-08 1986-06-03 Nippon Denso Co Ltd スタ−タ
US4759972A (en) * 1986-02-26 1988-07-26 Mitsubishi Plastics Industries Limited Aluminum laminate sheet for deep-drawing and aluminum casing for an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JP3567230B2 (ja) * 1998-10-15 2004-09-2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ケース用包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52B1 (ko) * 2000-04-19 2007-08-3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전지용 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1252B1 (ko) * 2004-10-20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2131B1 (en) 2001-06-05
JP2000077042A (ja) 2000-03-14
JP4694665B2 (ja) 2011-06-08
KR100291918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275B2 (en) Electrochemical element
KR100291918B1 (ko)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JP7034408B2 (ja) ベ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5955368U (zh) 袋型电池壳体和袋型二次电池
JP7049550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用パウチ
JP5023391B2 (ja) ラミネート電池の製造方法
KR101724620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이차 전지
KR20220040347A (ko) 사이드 폴딩 장치 및 방법
JP2024026624A (ja) パウチフィルム積層体、パウチ型電池ケース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
KR20160015767A (ko) 절연 특성이 강화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31639A (ko)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05810A (ko) 접착력이 향상된 파우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KR100342046B1 (ko) 이차 전지의 케이스
KR102562686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030037771A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102417198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20048453A (ko) 전지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차 전지
KR20160036339A (ko)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60400B1 (ko) 파우치 필름 적층체 및 이차 전지
KR102552691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40077447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975988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10037460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45915A (ko) 전지 케이스 성형 장치, 성형 방법 및 전지 케이스
KR20160002094A (ko)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