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221U - 교통신호 경보기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221U
KR20000015221U KR2019980028613U KR19980028613U KR20000015221U KR 20000015221 U KR20000015221 U KR 20000015221U KR 2019980028613 U KR2019980028613 U KR 2019980028613U KR 19980028613 U KR19980028613 U KR 19980028613U KR 20000015221 U KR20000015221 U KR 200000152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sistor
capacitor
output terminal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현
문경수
Original Assignee
김장현
문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현, 문경수 filed Critical 김장현
Priority to KR2019980028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221U/ko
Publication of KR20000015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21U/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신호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 입력단에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맥동율을 최소화시키고, 스위칭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역전류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고, 또한 LED를 사용하여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서지성 펄스에 대해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통신호 경보기는, 외부전원을 입력하여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TS1)와, 상기 트랜스(TS1)의 출력 전압을 정류시키는 브리지 다이오드(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11)의 출력 노드(N1)와 노드(N3) 사이에 접속된 저항(R1)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C1)와, 상기 노드(N3)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2)와, 상기 노드(N1)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저항(R2)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5) 사이에 접속된 저항(R3)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노드(N5)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3)와, 상기 노드(N3)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5)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1)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1)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노드(N6)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4)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2)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다이오드(D2)와, 상기 노드(N6) 및 포토 커플러(13) 사이에 접속된 LED1과, 상기 노드(N3) 및 포토 커플러(12) 사이에 접속된 LED2와, 상기 포토 커플러(13) 및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저항(R8)과,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저항(R10)과, 상기 제 2출력 단자(L2) 및 노드(N8) 사이에 접속된 저항(R9)와,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2)과, 상기 노드(N8)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5)와, 상기 포토 커플러(12) 및 노드(N10) 사이에 접속된 저항(R7)과, 상기 노드(N10)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제 1출력 단자(L1) 및 노드(N11) 사이에 접속된 저항(R5)와, 상기 노드(N11)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1)과, 상기 노드(N11)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신호 경보기
본 고안은 교통신호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맥동율을 최소화시키고, 역전류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고, 또한 LED를 사용하여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서지성 펄스에 대해 안정성을 꾀한 교통신호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 경보기는 행간 보도에서 보행자 신호가 들어올 때 앞을 보지못하는 장애인을 위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교통신호 경보기는 전파 정류를 평활시키는 회로가 없어서 맥동율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회로 내부에 역전류가 흐를 경우 이 역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통신호 경보기는 회로의 동작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고, 서지성 펄스에 대해 불안한 특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입력단에 브리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맥동율을 최소화시키고, 스위칭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역전류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고, 또한 LED를 사용하여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서지성 펄스에 대해 안정성을 실현시킨 교통신호 경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교통신호 경보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브리지 다이오드 12,13 : 포토 커플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교통신호 경보기는,
외부전원을 입력하여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정류시키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인 제 1노드와 제 3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1저항과,
상기 제 1노드 및 제 2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1커패시터와,
상기 제 3노드 및 제 4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2커패시터와,
상기 제 1노드 및 제 4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2저항과,
상기 제 1노드 및 제 5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3저항과,
상기 제 1노드 및 제 6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6저항과,
상기 제 5노드 및 제 6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3커패시터와,
상기 제 3노드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 5노드와 접속된 제 1 NPN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NPN형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 2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제 1다이오드와,
상기 제 6노드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 4노드와 접속된 제 2 NPN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NPN형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제 2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제 2다이오드와,
상기 제 6노드 및 제 1포토 커플러 사이에 접속된 LED1과,
상기 제 3노드 및 제 2포토 커플러 사이에 접속된 LED2와,
상기 제 1포토 커플러 및 제 7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8저항과,
상기 제 7노드 및 제 2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0저항과,
상기 제 2출력 단자 및 제 8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9저항과,
상기 제 7노드 및 제 2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트리악과,
상기 제 8노드 및 제 9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5커패시터와,
상기 제 2포토 커플러 및 제 10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7저항과,
상기 제 10노드 및 제 1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6저항과,
상기 제 1출력 단자 및 제 11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5저항과,
상기 제 11노드 및 제 1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트리악과,
상기 제 11노드 및 제 9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4커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교통신호 경보기는 맥동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브리지 다이오드(11)를 사용하여 전파 정류하여 평활시켰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에미터에 스위칭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역전류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LED1,LED2를 트랜지스터(Q1,Q2)의 출력 라인에 연결하여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포토 커플러(12,13)를 사용하여 램프 출력 라인과 분리하였으며, 서지성 펄스에 대해 안정성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교통신호 경보기의 회로도로서, 외부전원을 입력하여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TS1)와, 상기 트랜스(TS1)의 출력 전압을 정류시키는 브리지 다이오드(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11)의 출력 노드(N1)와 노드(N3) 사이에 접속된 저항(R1)과, 상기 노드(N3)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2)와, 상기 노드(N1)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저항(R2)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5) 사이에 접속된 저항(R3)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노드(N5)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3)와, 상기 노드(N3)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5)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1)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1)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1)와, 상기 노드(N6)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4)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2)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드(N6) 및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13) 사이에 접속된 LED1과, 상기 노드(N3) 및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12) 사이에 접속된 LED2와, 상기 포토 커플러(13) 및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저항(R8)과,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저항(R10)과, 상기 제 2출력 단자(L2) 및 노드(N8) 사이에 접속된 저항(R9)와,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riac)(T2)과, 상기 노드(N8)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토 커플러(12) 및 노드(N10) 사이에 접속된 저항(R7)과, 상기 노드(N10)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제 1출력 단자(L1) 및 노드(N11) 사이에 접속된 저항(R5)와, 상기 노드(N11)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riac)(T1)과, 상기 노드(N11)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4)로 구성된다.
교류 220V가 회로에 공급되면 트랜스(TS1)에서 AC12V로 다운(Down)되어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11)에서 직류(DC)로 정류된다. 이때, 정류된 전압은 상기 커패시터(C1)의 평활 콘덴서를 지나 완전한 직류(DC)로 회로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만약, t=0 상태에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은 턴-온,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조건일 때, 커패시터(C1)의 충전으로 t=t1이 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N5)은 0(zero)이 된다.
t1을 경과하면 저항(R2)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은 0V보다 커지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으로 변환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 상태로 바뀌면 오프(off) 기간중에 커패시터(C2)가 저항(R4)을 통하여 공급 전압에 가까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이 충전 전압은 베이스 전압이 되어 트랜지스터(Q1)을 오프(off)시킨다.
이상의 동작이 자동으로 반복되어 포토 커플러(PC1 및 PC2)에 번갈아 동작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포토 커플러(PC1 및 PC2)에 반복 주기가 공급되어 출력 전압이 트라익(T1 및 T2)의 게이트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게이트 전류에 의해 트라익(T1, T2)이 동작하여 양단이 도통 상태에 이르므로 교류의 핫 라인(Hot Line)이 부하인 램프에 도달하게 되면서 공통의 중성 라인(Netural Line)과 함께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Q2)가 번갈아 턴-온, 턴-오프를 반복하고 그 결과 컬렉터는 반형파 전압이 얻어진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1,C2)를 변화시킴으로써 반복되는 주기를 광범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통신호 경보기에 의하면, 맥동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브리지 다이오드(11)를 사용하여 전파 정류하여 평활시켰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에미터에 스위칭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역전류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LED1,LED2를 트랜지스터(Q1,Q2)의 출력 라인에 연결하여 스위칭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포토 커플러(12,13)를 사용하여 램프 출력 라인과 분리하였으며, 서지성 펄스에 대해 안정성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교통신호 경보기에 있어서,
    외부전원을 입력하여 내부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TS1)와,
    상기 트랜스(TS1)의 출력 전압을 정류시키는 브리지 다이오드(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11)의 출력 노드(N1)와 노드(N3) 사이에 접속된 저항(R1)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C1)와,
    상기 노드(N3)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2)와,
    상기 노드(N1) 및 노드(N4) 사이에 접속된 저항(R2)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5) 사이에 접속된 저항(R3)과,
    상기 노드(N1)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노드(N5) 및 노드(N6)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3)와,
    상기 노드(N3)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5)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1)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1)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노드(N6)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노드(N4)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2)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Q2)의 소오스와 상기 노드(N2) 사이에 접속되며 역전류를 차단시키는 다이오드(D2)와,
    상기 노드(N6) 및 포토 커플러(13) 사이에 접속된 LED1과,
    상기 노드(N3) 및 포토 커플러(12) 사이에 접속된 LED2와,
    상기 포토 커플러(13) 및 노드(N7) 사이에 접속된 저항(R8)과,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저항(R10)과,
    상기 제 2출력 단자(L2) 및 노드(N8) 사이에 접속된 저항(R9)와,
    상기 노드(N7) 및 제 2출력 단자(L2)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2)과,
    상기 노드(N8)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5)와,
    상기 포토 커플러(12) 및 노드(N10) 사이에 접속된 저항(R7)과,
    상기 노드(N10)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제 1출력 단자(L1) 및 노드(N11) 사이에 접속된 저항(R5)와,
    상기 노드(N11) 및 제 1출력 단자(L1) 사이에 접속된 트리악(T1)과,
    상기 노드(N11) 및 노드(N9)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C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경보기.
KR2019980028613U 1998-12-31 1998-12-31 교통신호 경보기 KR200000152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13U KR20000015221U (ko) 1998-12-31 1998-12-31 교통신호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13U KR20000015221U (ko) 1998-12-31 1998-12-31 교통신호 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21U true KR20000015221U (ko) 2000-07-25

Family

ID=6950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613U KR20000015221U (ko) 1998-12-31 1998-12-31 교통신호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22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19B1 (ko) * 2007-08-06 2009-05-11 홍사호 Led 교통신호등 시스템 내 마이컴의 동작전원 공급장치
KR102186517B1 (ko) * 2019-06-05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제어 코딩 교육용 실습키트
KR102186518B1 (ko) * 2019-06-05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제어 코딩 교육용 실습키트 설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19B1 (ko) * 2007-08-06 2009-05-11 홍사호 Led 교통신호등 시스템 내 마이컴의 동작전원 공급장치
KR102186517B1 (ko) * 2019-06-05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제어 코딩 교육용 실습키트
KR102186518B1 (ko) * 2019-06-05 2020-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제어 코딩 교육용 실습키트 설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5780B1 (en) Bridge rectifier circuit having active switches and an active control circuit
US6903942B2 (en) Switch mode power converter
KR19990083014A (ko) 공진형 스위칭 전원
KR20000015221U (ko) 교통신호 경보기
JPH01138964A (ja) 電力変換制御装置
JP3344479B2 (ja) チョッパ型スイッチング電源
KR987000793A (ko) 회로 구조(circuit arrangement)
KR950013322A (ko) 방전램프를 점등하고 작동시키는 회로
EP1360559A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5032782A (en) Series-connected power-line controller
KR200200674Y1 (ko) 고주파 소형 변압기의 자기 포화 방지 회로
KR200256324Y1 (ko) 강압형 교류 전력 제어 회로
KR930006890B1 (ko) 단일 펄스에 의한 전원 구동회로
KR0147222B1 (ko) 전원제어장치
JPH039278Y2 (ko)
JPH02219417A (ja) 過電圧保護回路
KR200289432Y1 (ko)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KR100521130B1 (ko) 스위치선로 제어전원회로
KR910007048Y1 (ko) 주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드라이버회로
JP4304743B2 (ja) 補助電源なしでオンオフ制御を可能に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6222845A (ja) 突入電流抑制回路
KR19990049158A (ko) Ac강압기
JPH069588Y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H0717273Y2 (ja) 直流電源の突入電流制限回路
JP2500989Y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