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32Y1 -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 Google Patents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32Y1
KR200289432Y1 KR2020020017853U KR20020017853U KR200289432Y1 KR 200289432 Y1 KR200289432 Y1 KR 200289432Y1 KR 2020020017853 U KR2020020017853 U KR 2020020017853U KR 20020017853 U KR20020017853 U KR 20020017853U KR 200289432 Y1 KR200289432 Y1 KR 200289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unit
filament
voltage
power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이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화 filed Critical 이동화
Priority to KR2020020017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32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서 형광등의 필라멘트 가열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시켜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점등 소비전력을 줄일수 있도록 한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형광등 점등회로는 잡음제거부(410), 정류및 평활부(420), 역률개선부(430), 발진 및 정형화부(440), 절전점등출력부(460) 및 형광램프(470)로 구성되며, 상기 절전점등출력부(460)는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게이트 제어단에는 발진 및 정형화부의 펄스출력(P1,P2)이 인가되는 제1,2FET(Q1,Q2)와,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4,5콘덴서(C4,C5)와, 상기 제1,2FET(Q1,Q2)의 공통접속점과 상기 제4,5콘덴서(C4,C5)의 공통접속점 사이에 배치되는 공진트랜스(T1), 형광램프(470)의 제1필라멘트(FL1), 결합콘덴서(C3), 형광램프(470)의 제2필라멘트(FL2)의 직렬회로와, 상기 공진트랜스(T1)의 2차측(L2)에 유도된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너다이오드(ZD1)와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형광등 기동전류 검출회로와, 상기 형광등 기동전류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접점출력을 발생하는 포토커플러(PC1,PC2)와, 상기 제1필라멘트 및 2필라멘트의 각 양단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2포토커플러의 출력에 따라 각각의 필라멘트를 쇼트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Power saving type electronic fluorescent lamp lighting circuit}
본 고안은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광등 점등시 형광등 필라멘트에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름에 따라 열이 발생됨으로써 형광등의 흑화현상에 의한 수명의 단축문제와 형광등에서의 발열에 의한 에너지 소비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는 저주파수의 상용 전원전압을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십KHz의 고주파수 전압으로 변환시켜 형관등을 점등시킴으로써, 기존의 자려식 형광등 점등회로가 가지고 있었던 단점인 가청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형광등 점등에 따른 전력소비효율을 개선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전원부분 및 점등제어부분의 회로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자식 안정기의 점등제어회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압 220V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부(410)와, 잡음 제거부(410)로부터 전달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로 변환한 후 평활하는 정류 및 평활부(420)와, 정류 및 평활화부(42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부(430)와, 역률개선부(430)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발진하고 발진한 구형파의 고주파를 정형파로 변환하는 발진 및 정형화부(440)와, 발진 및 정형화부(440)에서 발진되는 전류에 의해 역률개선부(430)로부터 인가되는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출력부(4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잡음제거부(4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압에 섞인 EMI(Electronic Magnetic Interference) 및 고주파를 제거하여 고주파가 인입 전원측(BLK,WHT)에 흘러들어 가거나 발산되지 않도록 한다.
정류 및 평활부(420)는 정류기능을 하는 칩(421)을 통해 잡음제거부(410)로부터 전달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콘덴서의 평활 기능을 통해 직류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맥류성분을 제거시킨다.
역률개선부(430)는 정류 및 평활부(420)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역률을 개선하여 형광등의 램프들에 양질의 유효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발진 및 정형화부(440)는 역률개선부(430)로부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수십KHz(대략 45KHz)의 고주파를 발진하고, 이렇게 발진한 구형파의 고주파를 정형파의 고주파로 변환시켜 전류출력부(450)로 인가한다. 이때, 발진 및 정형화 동작은 상용화되어 사용되는 칩(44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류출력부(450)는 발진 및 정형화부(44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에 의해 파워FET(451,452)들이 온(ON)되어 역률개선부(4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형광램프측으로 스위칭 공급한다.
상기 파워FET(451,452)를 포함하는 전류출력부(450)의 출력단(RED,RED), (YEL2,YEL3), (YEL1,RED1) 및 역률개선부(430)의 출력단(RED4,YEL4)은 형광램프와의 케이블 접속 작업을 구분시켜 주기위한 컬러케이블 출력단이다.
도 2는 상기 전류출력부(450)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로서 2등의 형광램프를점등시킬 수 있는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자식 점등회로(450)는 발진 및 정형화부(440)로부터 게이트로 전달되는 고주파에 의해 온(ON)되어 역률 개선부(4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FET(451,452)들과, FET(451)의 드레인과 소오스 간에 연결된 콘덴서(453)와, FET(452)의 드레인과 소오스 간에 연결된 콘덴서(454)와, FET(451,452)들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저전류로 변환시켜 제1램프(521)의 좌측 필라멘트(FL5)로 인가하는 트랜스(455)와, FET(451,452)들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저전류로 변환시켜 제2램프(522)의 좌측 필라멘트(FL7)로 인가하는 트랜스(456)와, 제1램프(521)의 좌측 필라멘트(FL5)의 접속단자(CP4)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2)와 제2램프(522)의 좌측 필라멘트(FL7)의 접속단자(CP11)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9)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제1램프(521)의 우측 필라멘트(FL6)의 접속단자(CP6)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8)와 제2램프(522)의 우측 필라멘트(FL8)의 접속단자(CP13)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15)에 공통 연결된 콘덴서(457,458)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램프(521)의 우측 필라멘트(FL6)의 접속단자(CP5)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7)와 제2램프(522)의 우측 필라멘트(FL8)의 접속단자(CP14)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16)에 공통 연결되고 FET(451,452)들의 드레인 간에 직렬 연결된 콘덴서(431,432)들은 역률 개선부(430)를 이루는 소자이다.
여기서, FET(451,452)들의 소오스 간에 연결된 노드(N1)와 콘덴서(431,432)들 간에 공통 연결되고 접속단자(CP7,CP16)들 사이에 연결된 노드(N2)는 전압이 출력되는 전류출력부(450)의 출력단이다.
또한 콘덴서(457)는 제1램프(521)의 공진 콘덴서이고, 콘덴서(458)는 제2램프(522)의 공진 콘덴서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FET(451,452)들에 의해 스위칭된 노드(N1)의 전류가 트랜스(455)를 거쳐 필라멘트(FL5)로 전달된 후 접속단자(CP4,CP2)들을 통해 콘덴서(457)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1램프의 우측 필라멘트(FL6)를 통해 출력단인 노드(N2)로 인가되면 제1램프(521)는 점등된다.
노드(N1)에 나타난 전류는 트랜스(456)를 거쳐 제2램프(522)의 좌측 필라멘트(FL7)로 전달된 후 콘덴서(457)로 전달되고, 이어 우측 필라멘트(FL8)를 통해 출력단인 노드(N2)로 인가되므로 제2램프(522)가 점등된다.
또한, 노드(N1)에 나타난 스위칭된 전류는 트랜스(455)를 통해 제1램프(521)의 좌측 필라멘트(FL5)를 거쳐 다시 콘덴서(457)로 전달된 후 제2램프(522)의 우측 필라멘트(FL8)를 통해 출력단인 노드(N2)로 흐르게 되므로 제1램프(521)가 점등된다.
한편, 노드(N1)의 전류가 트랜스(456)를 통해 제2램프(522)의 좌측 필라멘트(FL7)로 인가된 후 콘덴서(458)로 전달되고 이어 콘덴서(458)의 전류가 제1램프(521)의 우측 필라멘트(FL6)를 통해 출력단인 노드(N2)로 인가되면 이때 제2램프(522)가 점등된다.
이것은 제1램프(521)의 좌측 필라멘트(FL5)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1,CP2)들과 제2 램프(522)의 좌측 필라멘트(FL7)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9,CP10)들이 배선시 오배선에 의해 서로 위치가 바뀌거나, 또는 제1램프(521)의 우측 필라멘트(FL6)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7,CP8)들과 제2램프(522)의 우측 필라멘트(FL8)에 접속되는 접속단자(CP15,CP16)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배선되더라도 상기 제1램프 및 제2램프(521,522)는 정상적으로 점등되게 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는 형광등 점등을 위한 기동시 뿐만아니라, 점등 안정시에도 형광등의 필라멘트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여기에서 많은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형광등(형광램프)의 필라멘트에서의 발열은 형광램프 양단부의 흑화현상을 가져와 형광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다.
특히, 형광램프 양단의 필라멘트에는 항상 수V의 양단간 전압이 걸려지게 되어 여기에서 1-3W의 전력소비가 발열에너지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은 형광등 점등회로의 에너지 소비효율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에서의 전력소비를 개선시킬 경우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서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서 형광등의 필라멘트 가열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시켜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점등 소비전력을 줄일수 있도록 한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전원부분 및 점등제어부분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전류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내 절전점등출력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2등 점등을 위한 절전형 형광등 점등회로의 절전점등출력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잡음제거부 420 : 정류 및 평활부
430 : 역률개선부 440 : 발진 및 정형화부
460,460' : 절전점등출력부 470,470' : 형광램프
Q1-Q4 : FET T1 : 트랜스
ZD1-ZD3 : 제너다이오드 PC1,PC2 : 포토커플러
R1-R7 : 저항 C1-C5 : 콘덴서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광등 점등회로는 잡음제거부, 정류및 평활부, 역률개선부, 발진 및 정형화부, 절전점등출력부, 그리고 형광램프로 구성되는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서, 상기 절전점등출력부를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게이트 제어단에는 발진 및 정형화부의 제1,2펄스출력이 인가되는 제1,2FET와,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4,5콘덴서와, 상기 제1,2FET의 공통접속점과 상기 제4,5콘덴서의 공통접속점 사이에 배치되는 공진트랜스, 형광램프의 제1필라멘트, 공진결합콘덴서, 형광램프의 제2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와, 상기 공진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너다이오드 및 이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전압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형광등 기동전류 검출회로와, 상기 형광등 기동전류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접점출력을 발생하는 제1,2포토커플러와, 상기 제1필라멘트 및 2필라멘트의 각 양단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2포토커플러의 출력에 따라 각각의 필라멘트를 쇼트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블록구성도로서, 그 회로구성은 크게, 잡음제거부(410)와 정류및 평활부(420)와 역률개선부(430)와 발진 및 정형화부(440)와 절전점등출력부(460)와 형광램프(470)로 구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이 종래의 점등회로와 다른점은 절전점등출력부(460)에 있다.
도 4는 상기 절전점등출력부(460)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율개선부(430)의 출력인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는 고속 스위칭 기능의 제1,2FET(Q1,Q2)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들 제1,2FET(Q1,Q2)의 게이트 제어단에는 발진 및 정형화부(440)의 펄스출력(P1,P2)이 스위칭 제어신호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1,2FET(Q1,Q2)는 동일한 고속스위칭 기능을 갖는 다른 파워 트랜지스터로 대체시킬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2FET 용어는 다른 파워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모든 고속 스위칭 소자의 대표성을 갖는다.
상기 역율개선부(430)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는 2개의 공진 콘덴서인 제4,5콘덴서(C4,C5)를 직렬로 접속한다.
상기 제1,2FET(Q1,Q2)의 공통접속점, 즉 제1FET(Q1)의 소오스측과 제2FET(Q2)의 드레인측 접속점과 상기 제4,5콘덴서(C4,C5)의 공통접속점 사이에는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 형광램프(470)의 제1필라멘트(FL1), 공진콘덴서(C3), 형광램프(470)의 제2필라멘트(FL2)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를 접속한다.
상기 공진트랜스(T1)의 2차측(L2)에 유도된 전압은 정류용 다이오드(D1)와 평활용 콘덴서(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후, 저항(R4)을 통하여는 제1,2포토커플러(PC1,PC2)의 입력측(포토다이오드 측)구동전압과 점등 안정상태검출용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전압으로 인가되게 접속하고, 저항(R3)을 통하여는 제너다이오드(ZD1), 저항(R5), 콘덴서(C2)를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 전압으로 인가되게 접속한다.
상기 형광램프(470)의 제1,2필라멘트(FL1,FL2)의 각각의 양단간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전자 스위칭수단을 접속한다.
상기 전자 스위칭 수단으로서 SCR, FET 및 기타 파워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스위칭 수단의 예로서 FET를 표기하고 이들에 대해 각각 제1,2FET(Q3,Q4)라 특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3,4FET는 전자 스위칭 수단의 대표성을 가지며, 달리 SCR이나 다른 파워 트랜지스터를 그 대체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서의 제3,4FET(Q3,Q4)는 제1,2포토커플러(PC1,PC2)의 출력에 의해 그 온/오프가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3,4FET(Q3,Q4)의 각각의 게이트단에는 상기 제1,2포토커플러(PC1,PC2)의 출력이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3,4FET(Q3,Q4)의 게이이트단에는 각각의 제1,2FET(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제2,3제너다이오드(ZD2,3)를 각각 접속하고, 이들 제2,3제너다이오드에는 역류 방지용 제2,3다이오드(D2,3)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전형 형광등 점등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절전점등제어부(460)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분의 동작에 대해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절전점등제어부(460)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발진 및 정형화부(440)에서는 수십KHz(약 45KHz)의 스위칭 펄스를 절전점등제어부(460)의 제1,2FET(Q1,Q2)에 인가하게 되므로, 이들 제1,2FET는 매우 높은 공진주파수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의 전류 흐름을 볼때, 형광랜프의 점등 기동시에는 제1FET(Q1)가 제1펄스(P1)의 출력파형에 의해 스위치 온되면 B+전압단의 전류가 제1FET(Q1)의 드레인-소오스,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 형광램프(470)의 제1필라멘트(FL1), 공진콘덴서(C3), 형광램프(470)의 제2필라멘트(FL2), 제5공진콘덴서(C5)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 된다.
또, 다음의 펄스파형, 즉 제2의 펄스(P2)에 의해서는 상기 제1FET는 스위치 오프되고 제2FET(Q2)가 스위치 온 된다.
이때에는 B+전압단의 전류가 제4공진콘덴서(C4), 형광램프(470)의 제2필라멘트(FL2), 공진콘덴서(C3), 형광램프(470)의 제1필라멘트(FL1),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 제2FET(Q2)의 드레인-소오스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광램프의 초기 기동시에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에는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그의 2차코일(L2)에 유도되는 전압도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공진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되게 되는데, 상기 공진 트랜스의 2차코일측에 나타나게 되는 기동시의 유도전압은 일정한 전압값, 즉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값을 초과하게 되므로 형광램프 기동순간에 검출트랜지스터(TR1)는 온된다.
따라서 제1,2포토커플러는 자동하지 못하므로, 스위칭 수단, 즉, 제3,4FET(Q3,Q4)도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앞에서 설명한 대로 형광램프(470)의 양단간 필라멘트에는 방전을 위한 가열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형광램프 기동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류의 흐름은 기동상태에서 안정상태로 진입하게 되므로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에 흐르는 전류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그의 2차코일(L2)에 유도되어 나타나게되는 전압도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전압이 낮아져 제1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검출트랜지스터(TR1)는 오프되는데, 이때에는 제1,2포토커플러(PC1,PC2)가 온되므로 저항(R1,R2)를 각각 통한 B+전압단의 전류가 상기 제1,2 포토커플러와 각각의 저항(R6,R7)을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저항(R6,R7)의 각각의 양단간에 나타난 전압에 의해 스위칭 수단인 제3,4FET(또는 SCR)(Q3,Q4)이 온되어 형광램프(470)의 제1,2필라멘트(FL,FL2)를 쇼트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제1,2포토커플러의(PC1,PC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과도한 경우에는 각각의 제2,3제너다이오드(ZD2,ZD3)가 온되어 과전류 부분을 바이패스시켜 주게되므로 전자 스위칭 수단인 상기 제3,4FET(또는 SCR)의 과도한 게이팅 전압으로부터 보호된다.
형광램프(470)의 기동상태에서는 그 형광램프(470)의 제1,2필라멘트(FL,FL2)가 쇼트되더라도 공진콘덴서(C3)의 양단간 전압이 양쪽 필라멘트에 걸리게 되므로 형광등의 방전상태를 유지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여기에서 나타나게 되는 발열손실 문제는 원천적으로 해소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절전형 형광램프 점등방식을 2등점등히로에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제2의 형광램프(470')를 점등시키기 위한 제2의 절전점등출력부(460')가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서 절전점등출력부(46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공유하게 되므로 2등식 형광등 점등회로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제2의 절전점등출력부(460')은 비교적 고가인 절전점등출력부(460)의 파워스위칭용 제1,2FET(Q1,Q2)를 공유할 수 있어 제품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에서 형광등의 필라멘트 가열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시켜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점등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잡음제거부(410), 정류및 평활부(420), 역률개선부(430), 발진 및 정형화부(440), 절전점등출력부(460) 및 형광램프(470)로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를 구성하되, 상기 절전점등출력부(460)는 상기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게이트단에는 상기 발진 및 정형화부의 펄스출력(P1,P2)이 인가되는 제1,2FET(Q1,Q2)와, 역율개선부의 B+전압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4,5콘덴서(C4,C5)와, 상기 제1,2FET(Q1,Q2)의 공통접속점과 상기 제4,5콘덴서(C4,C5)의 공통접속점의 양단간에 배치되는 공진트랜스(T1)의 1차코일(L1), 형광램프(470)의 제1필라멘트(FL1), 공진콘덴서(C3), 형광램프(470)의 제2필라멘트(FL2)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와, 상기 공진트랜스(T1)의 2차측(L2)에 유도되어 정류된 전압을 제너다이오드(ZD1)을 통한 제너전압값으로 받아들여 형광램프의 기동 및 안정상태를 검출하는 트랜지스터(TR1) 및 상기 공진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되어 정류된 전압을 동작전압으로 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제1,2포토커플러(PC1,PC2)와, 상기 제1필라멘트 및 2필라멘트의 각 양단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1,2포토커플러의 출력에 따라 각각의 필라멘트를 쇼트시키는 스위칭 수단(Q3,Q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Q3,Q4)의 각 게이트단에는 각 제1,2포토커플러에 의한 과전압 출력으로부터 이 스위칭 수단을 보호하기 위해 제2,3제너다이오드(ZD2,ZD3)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절전형 형광등 점등회로를 이용하여 2개의 형광램프(470,470')를 점등시키기 위해 제2의 절전점등출력부(460')를 추가하되, 절전점등출력부(460)의 제1,2FET(Q1,Q2)를 제2의 절전점등출력부(460')에서 공유하도록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Q3,Q4)은 제3,4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Q3,Q4)은 각각 S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KR2020020017853U 2002-06-12 2002-06-12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KR200289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53U KR200289432Y1 (ko) 2002-06-12 2002-06-12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53U KR200289432Y1 (ko) 2002-06-12 2002-06-12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747A Division KR20030095510A (ko) 2002-06-12 2002-06-12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32Y1 true KR200289432Y1 (ko) 2002-09-16

Family

ID=7305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53U KR200289432Y1 (ko) 2002-06-12 2002-06-12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138B1 (ko) * 2002-11-02 2005-06-01 주식회사 이투에스 시간지연모듈을 이용한 순간 예열형 전자식 안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138B1 (ko) * 2002-11-02 2005-06-01 주식회사 이투에스 시간지연모듈을 이용한 순간 예열형 전자식 안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064A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fluorescent lamps
US6218788B1 (en) Floating IC driven dimming ballast
EP1128708B1 (en) Device for turning on light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8035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fully dimmable operation of a compact fluorescent lamp
US6392366B1 (en) Traic dimmable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US5500792A (en) Zero-voltage switching type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KR0137181B1 (ko) 방전램프 점등장치
US6137233A (en) Ballast circuit with independent lamp control
US4983887A (en) Controlled series-resonance-loaded ballast
US6222326B1 (en) Ballast circuit with independent lamp control
KR200289432Y1 (ko)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KR100455935B1 (ko) 전자식 안정기 회로
US5073745A (en) Inverter circuit for stable illumination of discharge lamp
KR20030095510A (ko) 절전형 전자식 형광등 점등회로
EP1109426A2 (en) Halogen power converter with complementary switches
JP2004521467A (ja) 回路装置
KR100607394B1 (ko) 저압 방전램프 동작회로
US5761056A (en) Circuit for protecting fluorescent lamp from overload
KR100351436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KR100314643B1 (ko) 전자식 안정기의 출력 결선 장치 및 방법
KR100419180B1 (ko) 온열점등 예열형 전자식 안정기
KR100782991B1 (ko) 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임의 조도 유지회로
KR200316592Y1 (ko)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한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점등회로
KR0107670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KR890003992B1 (ko) 절전형 반도체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