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611A -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지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지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611A
KR20000014611A KR1019980034105A KR19980034105A KR20000014611A KR 20000014611 A KR20000014611 A KR 20000014611A KR 1019980034105 A KR1019980034105 A KR 1019980034105A KR 19980034105 A KR19980034105 A KR 19980034105A KR 20000014611 A KR20000014611 A KR 2000001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olten iron
slag
blast furnac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700B1 (ko
Inventor
김영운
심원규
최영수
정종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3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7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6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lag)에 혼입된 용선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재구(17)로 고로 슬래그(13)가 배출될 때 배출되는 슬래그에 목재(30)를 침지하여 슬래그 중에 혼입된 용선(40)과 목재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한 것이다. 목재가 용선과 접촉하는 순간 목재의 탄소성분과 용선 중의 산화철 성분이 직접 발열반응(FeO + C → Fe + CO) 하면서 연소되어 심한 진동을 유발하게 될 것이다. 목재의 연소로 인한 진동을 진동검출센서로 검지한 다음 슬래그에 의한 것은 제외하고 용선에 의한 진동만을 분리하여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 검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슬래그 중에 혼입된 용선을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재(30)를 배출된 슬래그(13)에 침지하기 위한 장치가 부착된 몸체부(40)와 사용될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재공급장치(60) 그리고 이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80)로 구성된 용선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지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고로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lag)에 혼입된 용선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탕도의 배재구로부터 슬래그가 배출될 때 배출되는 슬래그에 환목을 침지하여 슬래그내에 혼입된 용선을 검지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공정은 철광석과 코크스 그리고 부원료를 고로상부에 장입하고, 열풍로에서 생산된 고온의 열풍을 고로의 내부로 불어넣어, 고로에 장입된 장입물이 하강하면서 코크스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환원가스와 접촉하여 예열, 환원, 용해, 정련등의 반응 과정을 거친 다음, 용융된 용융물이 고로의 노저에 고이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노저에 고인 용융물은 도 1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고로 하부에 설치된 출선구(10)를 뚫어 고로 밖으로 배출된다. 고로에서 배출된 용융물은 대탕도(11)에서 일시 저장되면서 스키머(12, skimmer)에 의해 대탕도(11)내에서 슬래그(13)와 용선(14)으로 상, 하 분리된다.
대탕도(11)에 일시 저장된 용융물이 용선(14)과 슬래그(13)로 분리되는 것은 이들의 비중 때문이며, 비중이 7.8로 높은 용선이 아래쪽에 가라앉고 비중이 2.3 인 슬래그는 용선 위에 떠 있게 된다.
아래쪽에 가라앉은 용선(14)은 스키머(12) 하부를 통과하여 용선탕도(15)를 거친 다음 용선차(torpedo ladle car)로 받아서 다음 공정인 제강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부에 뜬 슬래그(13)는 스키머(12)를 통과하지 못하고 대탕도 측면 상부에 형성된 배재구(16)를 통하여 배출되어 슬래그 탕도(17)를 거쳐 수재처리공정과 괴재처리공정으로 보내어진다.
주로 내화물로 이루어진 고로설비는 고온에서 장기간 사용되므로 침식되거나 파손된다. 따라서 용융물을 배출하는 대탕도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마모되고 용융물의 와류 현상으로 인해 침식되어 용선과 슬래그가 잘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대탕도의 배재구가 침식되거나 파손되게 되면 배출되는 슬래그내에 용선이 혼입되어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소량의 용선이라도 슬래그와 함께 수재처리장에 유입되면 수재처리장에서 분사되는 물과 반응하여 폭발하게 되며 용선의 누출양이 많은 경우에는 대형 폭발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폭발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출선 후 슬래그가 분리 배출되면 작업자가 직접 배재구 측면에 서서 용선스푼(scooper)으로 주기적으로 용융물을 수집하여 슬래그 속에 용선이 혼입 되었는지의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 작업에 의한 용선 누출감시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용선의 혼입여부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져 종종 용선 누출로 인한 대형 폭발사고가 발생하였고, 배재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고열과 분진 그리고 다량의 가스로 인하여 근무조건이 열악하여 작업자가 수집작업자체를 기피하고 주기적인 수집작업을 게을리 하게되어 슬래그내에 용선이 누출되는 것을 정확히 감시 할 수 없었으며, 더욱이 열악한 근무조건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일단 용선이 누출되어 대형 폭발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인명피해는 물론, 파괴된 설비를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고로설비의 가동율이 저하되어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을 자동으로 정확히 검지하기 위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지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로용 대탕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의 목재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재구로 고로 슬래그가 배출되는 단계와; 배출되는 슬래그에 목재를 침지하는 단계와; 슬래그 또는 슬래그 중에 혼입된 용선과 목재가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단계와; 발열반응으로 인한 목재의 진동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진동 중에서 용선과 목재의 발열반응으로 인한 진동만을 검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 검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슬래그 중의 용선을 검지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배재구에서 배출된 슬래그에 목재를 침지하면 목재가 슬래그와 접촉하는 순간 목재는 연소하게 된다. 고온의 슬래그에 의하여 목재가 연소될 때 연소반응에 의하여 목재가 진동하게 되지만 그 진동은 그다지 강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슬래그 중에 용선이 혼입되어 있으면 목재가 용선과 접촉하는 순간 목재의 탄소성분과 용선 중의 산화철 성분이 직접 발열반응하면서 심한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의 반응식은 FeO + C → Fe + CO 이다.
슬래그에 침지된 목재가 슬래그 또는 용선과 반응하여 목재를 진동하게 되면 진동검출기로 이러한 진동을 검지하고 이를 그래프화하여 진동 중에서 목재와 용선에 의한 격렬한 진동패턴 만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용선이 슬래그에 혼입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유출되는 용선을 슬래그와 함께 괴재저리부로 배출하여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슬래그 중에 혼입된 용선을 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자동 용선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는 기본적으로 목재를 배출된 슬래그에 침지하기 위한 몸체부와 침지될 목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재공급장치 그리고 이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는 배재구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용선 검출용 목재를 파지하기 위한 목재파지장치와, 이러한 목재파지장치를 상, 하로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장치와 이러한 구동장치의 일단에 부착된 진동검출장치 그리고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목재파지 장치는 목재를 파지하기 위하여 송곳이 고정되어 있으나 집게나 파이프형 홀더 등과 같이 목재를 견고히 파지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장치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대는 "ㄱ"자 형태의 철재빔에 하나의 지지암이 장착되어 있으나 "T"자 형의 철재빔에 두 개의 지지암을 고정할 수도 있고, 철재빔의 형태를 변형하여 다수개의 지지암을 장착할 수도 있다.
목재공급장치는 몸체부 일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져 있고, 중앙제어장치에 의하여 용선 검출용 목재를 자동으로, 지속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목재파지장치에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용선 검지장치에는 진동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진동을 그래프화 하고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을 지속적으로 검지하기 위하여 몸체부와 목재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선 검지용 목재는 길이가 긴 나무 막대기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 어떤 형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환목을 사용하였다.
이하, 상기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는 기본적으로 환목을 배출된 슬래그에 침지하기 위한 몸체부와 침지될 환목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환목공급장치 그리고 이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의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0)는 배재구(16)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몸체부(40)에는 몸체부(40)를 지지하는 베이스(42)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42) 상부에는 베어링 블록(43)이 장착되어 있어서 지지대(4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 블록(43)에는 선회위치센서(56,57)가 부착되어 있어서 선회하는 지지대(44)의 위치가 중앙제어부에 입력된다.
그리고 베이스(42)의 측면에는 배재구(16)를 향하여 용선 검지에 사용되어진 환목(30)을 분리시키기 위한 환목분리장치(48)가 장착되어 있다. 환목분리장치(48)는 상부가 넓고 하부에는 다수의 판스프링이 형성된 깔대기 형태이다.
지지대(44)는 "ㄱ" 자형 철재빔으로 제작되며 철재빔의 상부 끝단에는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유압실린더(45)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암(4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철재빔의 꺾어진 부분에는 철재빔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조암(47)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암(46)에는 유압실린더(45)가 장착되어 있어서 실린더 로드(49)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암(46)에는 실린더 로드(49)의 이동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검지센서(50, 51, 52)가 상부와 중앙 그리고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45)의 실린더 로드(49) 하부 끝단에는 환목(30)을 파지할 수 있는 환목파지장치(53)가 장착되어 있다.
환목파지장치(53) 끝에는 송곳(54)이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목재공급장치에 대기하고 있는 환목(30)을 한 번에 하나씩 찍어 올린다.
유압실린더(45)의 상부에는 진동 검출용 센서(55)가 고정되어 있어서 환목(30)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하여 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지장치의 환목공급장치(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환목공급장치(60)는 몸체부(40)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환목공급장치(60)는 환목파지장치(53)에 환목(30)을 공급하기 위한 환목 공급부(62)와 환목공급부(62)에 환목(30)을 한 번에 하나씩 공급함과 동시에 환목을 저장하기 위한 환목저장슈트(73) 그리고 환목(30)이 환목저장슈트로부터 환목공급부(62)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환목을 안내하는 안내슈트(77)로 이루어져 있다.
환목공급부(62)는 상기 몸체부(40)의 일 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환목공급부(62)에는 환목(30)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환목홀더(65)가 타원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환목홀더(65)는 한쪽 끝이 막혀있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서 환목(30)이 견고하게 송곳(54)에 파지 되게 한다. 다수개의 환목홀더(65)의 하부에는 체인(66)이 고정되어 있어서 환목홀더(65)를 순차적으로 환목파지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인(66)은 모터(64)로 구동되며, 모터의 동력은 베벨기어(67)와 기어축(68) 그리고 스프로켓(69)을 통하여 체인(66)에 전달된다. 그리고 모터(64)는 베이스(63)상에 고정되어 있다. 환목홀더(65)의 상부에는 환목홀더의 수와 동일한 숫자의 구멍이 뚫려 있는 덮개가 환목홀더와 함께 회전하고, 환목홀더의 측면에는 보호덮개(70)로 둘러싸여 있다. 보호덮개(70)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71)로 베이스(63)에 고정된다.
환목저장슈트(73)는 환목공급부(62)의 일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환목(30)을 저장하는 환목저장함(74)과, 저장된 환목을 하나씩 배출위치에 이동시키는 스토퍼(75) 그리고 환목을 환목홀더(65)에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76)로 이루어져 있다. 스토퍼(75)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환목(30)을 안정하게 하나씩 배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안내슈트(77)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태로 되어 있어서 게이트(76)로부터 배출되는 환목(30)을 확실하게 환목홀더(65)에 장입시킨다.
상기 환목저장슈트(73)의 스토퍼(75)와 게이트(76)는 중앙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고로 운전실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용선검지장치(20)의 작동과정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환목저장슈트(73)의 환목저장함(74)에 비축되어 있는 환목(30)을 중앙제어장치(80)의 지시에 따라 게이트(76)를 오픈하여 안내슈트(77)를 통하여 환목공급부(62)의 환목홀더(65)에 공급한다. 이때 환목공급부(62)도 중앙제어장치(80)의 제어에 따라 모터(64)를 구동하여 환목홀더(65)를 한 칸씩 이동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다수의 환목홀더(65)에 환목(30)을 충분히 공급한다. 그리고, 몸체부(40)의 지지암(46)을 환목공급부(62)의 상부 쪽(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대기시킨다.
이렇게 준비된 상태에서 고로 출선구(10)로부터 용융물이 대탕도(11)로 출선되고 있다는 신호가 중앙제어장치(80)에 입력되면 용선검지장치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중앙제어장치(80)의 지시에 따라 유압실린더(45)가 작동되고 실린더로드(49)가 아래로 이동하여 실린더로드(49) 끝에 고정된 송곳(54)이 환목홀더(65)에 대기중인 환목(30)의 정 중앙을 뚫고 들어가 환목을 견고하게 파지한다.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실린더로드(49)가 지지암(46)에 위치한 가운데 위치검지센서(51)를 통과하면 중앙제어장치(80)는 환목(30)이 송곳(54)에 완전히 파지 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고 실린더로드(49)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부로 이동하는 실린더로드(49)가 상부 위치검지센서(50)에 도착하면 위치검지센서(50)는 신호를 송출하여 유압실린더(46)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유압실린더(46)의 작동이 정지되면 중앙제어장치(80)는 몸체부(40)의 모터(미도시)를 작동하여 지지대(44)를 선회시킨다. 회전하는 지지대(44)는 일정한 각도로 선회하여 선회위치센서(56)에 의해 선회를 멈추고 환목(30)을 배재구(16)상부에 위치시킨다(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중앙제어장치(80)는 지지대(44)가 배재구(16)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검지한 다음 유압실린더(46)를 작동하여 실린더로드(49)를 배출되고 있는 슬래그(13) 쪽으로 이동시킨다.
실린더로드(49)가 하강함에 따라 환목분리장치(48)를 통과하는 환목(30)은 슬래그(13)와 접촉하면서 연소하기 시작한다. 이 때 슬래그에 침지되는 환목(30)은 연소로 인한 소량의 진동을 받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앙제어장치(80)는 진동 검출용 센서(55)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환목(30)의 진동 상태를 그래프화 한다.
만약, 용선(14)이 슬래그(13)와 함께 배출되면 슬래그 내로 침지하는 환목(30)과 반응하여 격렬한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격렬한 진동의 원인은 용선중의 산화철 성분과 환목의 탄소성분이 격렬한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중앙제어장치(80)에 격렬한 진동패턴이 나타나면 중앙제어장치(80)는 그래프에 나타난 진동량으로 유출되는 용선의 양을 계산한 다음,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출되는 용선의 양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중앙제어장치(80)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폭발방지를 위하여 유출되는 용선을 슬래그와 함께 괴재저리부(미도시)로 배출한다. 이와 동시에 고로의 출선구(10)를 폐쇄하여 더 이상의 용융물이 대탕도(11)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중앙제어장치(80)에 나타난 진동패턴이 슬래그에 의한 것이라던가 용선에 의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용선의 양이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는 용선검지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용선검지작업은 배재구(16)에 슬래그가 배출되는 동안 계속된다. 따라서, 환목(30)이 연소되어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환목(30)을 교체하여야 한다.
환목(30)의 교체 시기는 하부 위치검지센서(52)에 의하여 감지된다. 즉, 실린더로드(49)가 하부 위치검지센서(52)에 도착하면 중앙제어장치(80)는 신호를 송출하여 유압실린더(45)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환목(30)은 환목분리장치(48)를 완전히 통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45)을 작동하여 실린더로드(49)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연소되고 남은 환목(30)은 출구가 좁아진 환목분리장치(48)의 하단에 걸려서 송곳(54)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새로운 환목(30)을 송곳(54)에 파지하기 위하여 지지대(44)을 선회시켜 환목홀더(65)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환목(30)파지 동작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작업으로 환목(30) 하나가 소모되면 환목공급부(62)는 환목홀더(65)를 이동시켜 다음 환목(30)을 환목파지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환목저장슈트(73)의 게이트(76)가 자동으로 열려 환목 하나를 빈 환목홀더(65)에 배출한다. 환목(30)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환목저장함(74)에 보관된 나머지 환목(30)은 스토퍼(75)에 부착된 스프링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된다. 배출되는 환목(30)이 안내슈트(77)를 통하여 정확하게 환목홀더(65)에 삽입되면 케이트(76)가 닫히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75)가 작동하여 다음 환목(30)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킨다.
용선검지작업은 고로에서 용융물이 출선되는 동안에만 계속되므로 용융물의 출선 상태를 중앙제어장치(80)에 지속적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출선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정보가 중앙제어장치(80)에 입력되면 잔여 슬래그가 완전히 배출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의 용선검지장치를 모두 원위치 시키고 용선검지작업을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은 용선검지작업은 중앙제어장치(80)에 이상과 같은 작업과정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자동으로 운전되지만 필요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수 작업에 의존하던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출작업을 목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하여, 용선이 슬래그 탕도로 누출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대형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선검출작업은 배재구 측면에 작업자를 배치시키지 않고 운전실에서 자동으로 작업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재해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고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배재구로 고로 슬래그가 배출되는 단계와;
    배출되는 상기 슬래그에 목재를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슬래그 또는 상기 슬래그 중에 혼입된 용선과 상기 목재가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단계와;
    상기 발열반응으로 인한 목재의 진동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진동 중에서 상기 용선과 상기 목재의 발열반응으로 인한 진동만을 검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 검출 방법.
  2. 배재구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용선 검출용 목재를 파지하기 위한 목재파지수단과, 상기 목재파지수단을 상, 하로 왕복이동 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일단에 부착되어 슬래그 또는 용선과의 반응으로 인한 상기 목재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용선 검출용 목재를 자동으로, 지속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재공급장치와;
    그리고 상기 진동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진동을 그래프화 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목재공급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로 이루어진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목재파지수단은 송곳으로 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ㄱ" 자 형 철제빔으로 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베이스에는 사용되어진 상기 목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목재분리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목재공급장치는 상기 목재파지수단에 목재를 공급하기 위한 목재공급부와 상기 목재공급부에 목재를 1회에 1개씩 공급하면서 목재를 저장하기 위한 목재저장슈트 그리고 목재가 상기 목재저장슈트로부터 상기 목재공급부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목재를 안내하는 안내슈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목재공급부는 일측에 모터가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타원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한쪽 끝이 막혀있는 파이프 형상의 목재홀더와, 상기 목재홀더를 차례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목재저장슈트는 상기 목재공급부 상부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목재를 저장하는 목재저장함과, 상기 목재저장함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저장된 목재가 1개씩 배출되도록 스프링이 내장된 스토퍼와, 상기 목재저장함의 출구를 개, 폐하는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내슈트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슬래그에 혼입된 용선검출장치.
KR10-1998-0034105A 1998-08-21 1998-08-21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KR10037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105A KR100373700B1 (ko) 1998-08-21 1998-08-21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105A KR100373700B1 (ko) 1998-08-21 1998-08-21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611A true KR20000014611A (ko) 2000-03-15
KR100373700B1 KR100373700B1 (ko) 2003-05-09

Family

ID=1954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105A KR100373700B1 (ko) 1998-08-21 1998-08-21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308A (zh) * 2018-12-04 2019-03-01 宁夏森源重工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矿热炉出炉篦渣浇注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308A (zh) * 2018-12-04 2019-03-01 宁夏森源重工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矿热炉出炉篦渣浇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700B1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3334B (zh) 用于维护安装在熔融金属的容器注口上的滑动水口的设备
KR100373700B1 (ko)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US3025047A (en) Apparatus for the restraint and control of oxygen lances
JP5552837B2 (ja) 転炉出鋼孔の補修方法
US3450399A (en) Apparatus for forming a tap hole including boring tool,blowpipe and blowpipe cutoff means
KR20110071733A (ko) 출강구 폐쇄기 투입장치
US5407462A (en) Mass flow gravity feed method for charging metal-melting furnaces and apparatus therefor
US4139185A (en) Lance manipulator
CN111811690A (zh) 一种机器人自动测温取样装置及其控制系统
KR100851175B1 (ko) 전로 취련용 란스의 지금 제거장치
US2246144A (en) Tapping of metals
CN205241731U (zh) 一种带引流槽及称重的电弧炉铁水加入装置
CN218673187U (zh) 一种步进式连续炉炉门位置检测装置
KR101729422B1 (ko) 용융 슬래그 샘플 채취장치
EP0017780A1 (en) Apparatus for removing a skull adhering to a metallurgical lance
JP2020069524A (ja) インゴット投入装置
KR100895087B1 (ko) 랜스 침적깊이 확인 및 랜스 휨방지 장치
KR200177677Y1 (ko) 전로용 슬라그 체크볼의 투입장치
RU17808U1 (ru) Машина замера параметров плавки в конвертере
KR100787582B1 (ko)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CN218212109U (zh) 一种吹氩用自动化测温取样装置
KR100893484B1 (ko) 전기로 지금의 배출장치
JPH089152Y2 (ja) 転炉サブランス孔地金除去装置
KR20230023297A (ko) 부착물 제거 장치
KR200180926Y1 (ko) 이동슈트의 이물질 걸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