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232U -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232U
KR20000014232U KR2019980027530U KR19980027530U KR20000014232U KR 20000014232 U KR20000014232 U KR 20000014232U KR 2019980027530 U KR2019980027530 U KR 2019980027530U KR 19980027530 U KR19980027530 U KR 19980027530U KR 20000014232 U KR20000014232 U KR 200000142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ngle
base
telephone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42234Y1 (ko
Inventor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7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2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내측으로 파인 곡면을 형성한 웨지 바디와, 상기 웨지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각도 고정턱을 구비한 웨지와; 상면에 전화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배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웨지 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에는 상기 각도 고정턱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을 구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도 조절턱을 구비한 웨지 및 각도 조절홈을 구비한 베이스로 구성된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웨지를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 상기 전화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식은, 상기 웨지를 2개 이상의 별도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한 웨지 분할 방식과, 상기 웨지를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하면서도 전화기의 각도를 조절할 때마다 전화기를 웨지와 분리시켜 새로운 위치로 장착시키는 웨지 분리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웨지 분할 방식은 다수개의 부품을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부품 제작 및 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웨지 분리 방식은 전화기의 각도를 조절할 때마다 전화기를 웨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위치에 장착해야 하므로, 전화기의 장탈착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의 각도 조절이 간편하면서도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내측으로 파인 곡면을 형성한 웨지 바디와, 상기 웨지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각도 고정턱을 구비한 웨지와; 상면에 전화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배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웨지 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에는 상기 각도 고정턱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을 구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웨지의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에 웨지와 전화기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의 웨지를 기울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의 웨지를 기울인 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지 바디 20 : 텐션부
22 : 각도 고정턱 24 : 누름홈
26 : 가이드 레일 30 : 베이스 바디
40 : 곡면부 42 : 각도조절홈
44 : 가이드홈 100 : 웨지
200 : 베이스 300 : 전화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는 책상 위나 벽면에 설치되는 웨지와, 상기 웨지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웨지의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웨지(100)는 상면이 내측으로 파인 곡면을 형성한 웨지 바디(10)와, 상기 웨지 바디(10)의 일측면에 형성한 텐션부(20)와, 상기 텐션부(20)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각도 고정턱(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웨지 바디(10)는 책상 위나 벽면 등에 설치하며, 상기 웨지 바디(10)의 상면 중앙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을 형성한다. 상기 각 가이드 레일(26)의 상단은 웨지 바디(10)의 상면과 동심원 모양으로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텐션부(20)는 일단이 웨지 바디(10)로부터 연장 형성하고, 타단은 웨지 바디(10)와 분리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20)의 상면 하부에는 내측으로 파인 누름홈(24)을 형성한다. 상기 누름홈(24)은 텐션부(20)의 상면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누름홈(24) 부분을 누를 경우 작은 힘으로도 텐션부(20)의 변형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각도 고정턱(22)은 텐션부(20)의 최상단에서 돌출 형성하며, 단부의 형태는 후술할 베이스(200)의 각도 조절홈(42) 단면 모양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이스(200)는 상면에 전화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30)와, 상기 베이스 바디(30)의 배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웨지 바디(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곡면부(40)와, 상기 곡면부(40)의 외측단에는 상기 각도 고정턱(22)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바디(30)는 전화기 하우징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하우징 안착홈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안착홈의 평면 모양을 변형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전화기 하우징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곡면부(40)는 베이스(200)가 웨지 바디(10) 상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을 웨지 상면(10)의 곡면과 동심원으로 형성하며, 상기 곡면부(40)의 배면에는 상기 웨지(100)의 가이드 레일(26)이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44)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홈(44)은 한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웨지(100)의 각도 이동폭을 제한한다.
상기 각도 조절홈(42)은 베이스(200)의 폭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도록 다수개를 형성한다. 상기 각도 조절홈(42)의 단면 모양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고정턱(22)의 단부 단면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한다. 상기 각도 조절홈(42)을 좁은 간격으로 많이 형성할수록 전화기 하우징의 각도 조절을 세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각도 조절홈(42)의 수, 간격 및 범위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에 웨지와 전화기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의 웨지를 기울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위의 웨지를 기울인 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를 결합 및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200) 상면의 하우징 안착홈에 전화기 하우징(300)을 결합한다. 이어, 웨지(100) 상면에 형성한 한 쌍의 가이드 홈(44)에 베이스(200)의 배면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26)을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200)는 웨지(100)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각도의 한정은 베이스(200)의 가이드 홈(44)과 웨지(100)의 가이드 레일(26)간의 삽입 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200)의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웨지(100)의 각도 고정턱(22)을 베이스(200)의 곡면부(40) 배면에 형성한 각도 조절홈(42)에 삽입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200)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웨지(100)의 텐션부(20)에 형성한 누름홈(24)을 손가락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텐션부(20)의 분리된 타단이 웨지 바디(10)의 내측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상기 각도 고정턱(22)은 외측 방향으로 젖혀지고, 베이스(200)의 각도 조절홈(42)에 삽입되어 있던 각도 고정턱(22)이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200)를 원하는 각도만큼 이동시킨 후 누르고 있던 누름홈(24)에서 손가락을 떼면, 새로운 위치의 각도 조절홈(42)에 각도 고정턱(22)이 삽입되어 베이스(2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는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 전화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부가 장치없이 웨지 및 베이스의 형상 변형만으로 각도 조절 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내측으로 파인 곡면을 형성한 웨지 바디와, 상기 웨지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각도 고정턱을 구비한 웨지와;
    상면에 전화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배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웨지 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외측단에는 상기 각도 고정턱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을 구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바디의 상면 하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 형성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곡면부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을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텐션부 상면에는 내측으로 파인 누름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9980027530U 1998-12-30 1998-12-30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342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30U KR200342234Y1 (ko) 1998-12-30 1998-12-30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30U KR200342234Y1 (ko) 1998-12-30 1998-12-30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32U true KR20000014232U (ko) 2000-07-25
KR200342234Y1 KR200342234Y1 (ko) 2004-05-17

Family

ID=4934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530U KR200342234Y1 (ko) 1998-12-30 1998-12-30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2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17B1 (ko) * 2001-07-1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팔보형 거치대와, 이에 거치되는 핸드셋을 구비한 전화기
KR100914099B1 (ko) * 2007-10-15 2009-08-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17B1 (ko) * 2001-07-1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팔보형 거치대와, 이에 거치되는 핸드셋을 구비한 전화기
KR100914099B1 (ko) * 2007-10-15 2009-08-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234Y1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81540A (ja) ワイパーブレード用コネクタ
JP2001351429A (ja) 照明装置
KR200342234Y1 (ko)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JP4199547B2 (ja) プラグ差込み式コネクタ用の電気的な接点要素
EP1376184A3 (en) Lens holding arrangement in an imaging system
JP3872916B2 (ja) 光ケーブルの接続用アダプタ
TW200400527A (en) Push button structure
JP2003013921A (ja) 機器の取付構造
EP0993126A2 (en) Antenna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tenna
EP0920167A2 (en) Device having a headset socket
KR102579160B1 (ko) 통신용 단말기
KR200163819Y1 (ko)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KR1003835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3003342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JP3226783B2 (ja) 固定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車載用アンテナ装置
KR101873215B1 (ko) 반자동식 소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24115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구조
KR100330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369147Y1 (ko) 무선단말기의커버결합구조
KR20000014213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고정장치
JP2001176584A (ja) コネクタ
JPH0419746Y2 (ko)
KR200190050Y1 (ko) 키폰 및 확장버튼모듈의 베이스
KR0136133Y1 (ko) 튜너용 폰잭의 내핀
KR100259054B1 (ko)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