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795U -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795U
KR20000013795U KR2019980027059U KR19980027059U KR20000013795U KR 20000013795 U KR20000013795 U KR 20000013795U KR 2019980027059 U KR2019980027059 U KR 2019980027059U KR 19980027059 U KR19980027059 U KR 19980027059U KR 20000013795 U KR20000013795 U KR 200000137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washing
washing machine
water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7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795U/ko
Publication of KR20000013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795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압력스위치가 고장 등의 원인으로 작동되지 않아 세탁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기의 하부베이스(24) 상면 중앙부위에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24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4a)의 상측에 누수감지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a)와 누수감지스위치(26) 사이에 저수조(10)를 넘쳐 하부베이스(24)로 흐른 세탁수에 의해 상방으로 떠올라 누수감지스위치(2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부양될 수있게 설치된 부력체(28)가 구비됨으로써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가 탈수조에서 넘쳐 흐르는 것을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차단시킴으로써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동세탁기는 세탁기능을 수행하는 세탁조와 이 세탁조의 외부에서 세탁조의 물받이 역할을 하는 저수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는 바닥면에 펄세이터가 설치되어 있어 세탁시에는 이 펄세이터만이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며 상기 세탁조가 탈수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세탁조가 통체로 회전하여 세탁물에서 수분을 탈취한다.
이렇게 상기 세탁조가 탈수기능을 수행할 때 탈수 시동시나 탈수 운전중일 경우 많은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진동을 흡수 내지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조의 하단 외주면 전후 양측에 각각 걸이봉을 매달고 이 걸이봉의 상단이 세탁기 외상의 상단 귀퉁이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일례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종래기술의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기술의 세탁기는 물받이 역할을 하는 저수조(10)가 외상(12)의 각 귀퉁이에 걸려 지지되고 이 조수조(10)의 내부에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조(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탁조(14)의 바닥면에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펄세이터(1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펄세이터(16)의 저면에 구동축(18)이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 구동축(18)의 연장된 하단부에 속도변환을 위한 기어메커니즘(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메커니즘(20)은 브이벨트에 의해 세탁모터(22)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 세탁모터(22)는 세탁기의 하부베이스(24)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베이스(24)에는 배수펌프, 동기모터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세탁기는 세탁조(14)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제를 넣은 후에 급수구를 통해 세탁수를 급수하게 된다. 그러다가 세탁수가 세탁물의 양에 맞게 급수되면 압력스위치(26)에 의해 급수밸브가 차단되어 세탁수의 공급이 멈추게 되고 펄세이터(16)가 작동되면서 세탁이 시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급수밸브를 차단하기 위한 압력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수가 계속해서 급수되어 세탁기 하부베이스(24)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압력스위치(26)가 고장나면 급수밸브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서 세탁수가 계속 급수되어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압력스위치가 고장나더라도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세탁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누수감지장치를 나타낸 세탁기의 개략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누수감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수조 12 : 외상
14 : 세탁조 16 : 펄세이터
18 : 구동축 20 : 기어메커니즘
22 : 세탁모터 24 : 하부베이스
24a : 오목부 25 : 압력스위치
26 : 누수감지스위치 26a : 접촉부
28 : 부력체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기의 하부베이스 상면 중앙부위에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상측에 누수감지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와 누수감지스위치 사이에 저수조를 넘쳐 하부베이스로 흐른 세탁수에 의해 상방으로 떠올라 누수감지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부양될 수있게 설치된 부력체가 구비된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누수감지장치는 세탁기의 하부베이스(24) 중앙에 오목부(24a)가 형성되고 그 일정높이 상부에 누수감지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누수감지스위치(26)와 오목부(24a) 사이에 부력체(28)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4a)는 하부베이스(24) 중앙부에서 바닥면이 일정형상으로 일정깊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누수된 세탁수가 스며들어 고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수감지스위치(26)는 상기 오목부(24a)의 일정높이 상방에 설치되어 상부패널의 피시비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방의 부력체(28)가 상승하여 이 누수감지스위치(26)를 작동시킬 수 있게 이 누수감지스위치(26)의 저면에 접촉부(26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부력체(28)는 오목부(24a)와 누수감지스위치(26)의 접촉부(26a) 사이에서 세탁수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판재형상으로 상기 오목부(24a)에 가라앉아 있다가 세탁수가 상기 오목부(24a)로 스며들면 부양하여 누수감지스위치(26)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세탁시 급수밸브를 통해 세탁수가 세탁조(14)내로 급수되다가 일정한 량의 세탁수가 공급되면 압력스위치(26)에 의해 급수밸브가 차단되어 세탁수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상기 압력스위치(26)가 고장 등의 원인으로 작동불가 상태에 놓이면 세탁수는 계속해서 공급되어 저수조(10)를 넘쳐 흐르게 되고 이 넘쳐흐르는 세탁수는 하부베이스(24)의 오목부(24a)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이 오목부(24a)에 놓여 있던 부력체(28)가 세탁수에 의해 부양하게 되고 그러다가 상방에 위치해 있는 누수감지스위치(26)를 작동시켜 급수밸브를 차단시키게 되어 세탁수의 공급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는 종래에 압력스위치가 고장 등의 원인으로 작동되지 않아 세탁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상기 압력스위치가 고장유무에 관계없이 세탁수가 저수조로 흘러넘쳤을 때 하부베이스로 흘러들어온 세탁수에 의해 부력체가 상승하여 누수감지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세탁기의 하부베이스(24) 상면 중앙부위에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24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4a)의 상측에 누수감지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4a)와 누수감지스위치(26) 사이에 저수조(10)를 넘쳐 하부베이스(24)로 흐른 세탁수에 의해 상방으로 떠올라 누수감지스위치(2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부양될 수있게 설치된 부력체(2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19980027059U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KR200000137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059U KR20000013795U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059U KR20000013795U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95U true KR20000013795U (ko) 2000-07-15

Family

ID=4112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059U KR20000013795U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79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67B1 (ko) * 2000-11-13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58289B1 (ko) * 2006-06-12 2008-09-11 성선옥 스펀지 페이퍼를 이용한 누수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누수차단기
KR100877462B1 (ko) * 2007-09-28 2009-01-07 조신행 정수기 누수방지장치
WO2009072682A1 (en) * 2007-12-04 2009-06-11 Byoung Hwan Choi A leakage sensor using sponge paper and a cutoff valve using that
KR101052959B1 (ko) * 2003-12-26 2011-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물비산 방지구조
KR101130449B1 (ko) * 2003-12-26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물비산 방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67B1 (ko) * 2000-11-13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2959B1 (ko) * 2003-12-26 2011-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물비산 방지구조
KR101130449B1 (ko) * 2003-12-26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물비산 방지구조
KR100858289B1 (ko) * 2006-06-12 2008-09-11 성선옥 스펀지 페이퍼를 이용한 누수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누수차단기
KR100877462B1 (ko) * 2007-09-28 2009-01-07 조신행 정수기 누수방지장치
WO2009072682A1 (en) * 2007-12-04 2009-06-11 Byoung Hwan Choi A leakage sensor using sponge paper and a cutoff valve using th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8183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20000013795U (ko) 세탁기의 누수감지장치
KR101146273B1 (ko) 삶는 기능을 갖는 드럼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44109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유출 방지 구조
KR100935923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구조
KR920008485Y1 (ko) 절수장치가 부착된 드럼세탁기용 드럼
KR100739548B1 (ko) 세탁물 부유 검출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7250989A (ja) 脱水洗濯機
KR101202747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장치 및 방법
JP2001157796A (ja) 洗濯機
KR100479096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19245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용해 제어방법
KR19990079503A (ko) 2조식 세탁기
KR100686089B1 (ko) 세탁기의 헹굼행정 제어방법
KR100686088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JP2004147741A (ja) 洗濯機
RU2474631C2 (ru) Мо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86087B1 (ko) 세탁기의 급수행정 제어방법
KR200154940Y1 (ko) 세탁기용 배수펌프의 배기장치
JP3263550B2 (ja) 洗濯機
KR100686110B1 (ko) 세탁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0739546B1 (ko) 세탁물 부유 검출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0153262Y1 (ko) 세탁기의 전환식 급수 공급장치
KR100202556B1 (ko) 복합세탁기의 구동장치
JP2003000989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