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671A -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671A
KR20000013671A KR1019980032659A KR19980032659A KR20000013671A KR 20000013671 A KR20000013671 A KR 20000013671A KR 1019980032659 A KR1019980032659 A KR 1019980032659A KR 19980032659 A KR19980032659 A KR 19980032659A KR 20000013671 A KR20000013671 A KR 2000001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ariable resistance
line
signal
ped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금강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8003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671A/ko
Publication of KR2000001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 및 배선에서의 접촉불량이나 단선등의 불량발생을 감지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페달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입력라인과, 상기 페달조작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가변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라인과, 상기 가변저항의 접지라인과, 상기 출력라인의 전기적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 처리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라인에 결선되어 최대 입력을 제한하는 최대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접지라인에 결선되어 최소 입력을 제한하는 최소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출력라인에 결선되어 부동상태를 방지하는 풀다운저항과, 상기 가변저항, 상기 최대입력제한저항, 상기 최소입력제한저항, 상기 풀다운저항을 이용하여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 및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접지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는 상기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본 발명은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 및 배선에서의 접촉불량이나 단선등의 불량발생을 감지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가 장착되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시 또는 액설레이터 조작시 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그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의거하여 전자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전자제어는 운전자의 의지를 정확히 반영하여야 하므로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안전적인 동작을 체크하기 위한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가 마련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검출장치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서 1은 페달조작부, 2는 필터부, 그리고 3은 신호처리부이다.
상기 가변저항(Rs)의 입력라인L1은 전원단VCC와 결선된다.
또, 페달조작에 따른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라인L2는 필터부(2) 및 신호처리부(3)와 결선된다.
또한, 접지라인L3는 접지단과 결선된다.
즉, 상기 가변저항(Rs)은 페달조작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화되며, 변화된 신호는 출력라인L2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며, 이는 필터부(2)에서 필터링처리된 후 신호처리부(3)에 입력된다.
정상시 신호처리부(3)에 입력되는 신호의 범위는 전원단VCC 전압의 0-100%까지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페달의 조작변위량을 감지한다.
그러나 종래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입력라인L1, 및 출력라인L2, 접지라인L3가 단선 및 누선되었을 경우에도 신호처리부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는 0-100%을 유지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입력신호와 구별이 불가능하여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라인L1이 단선된 경우 신호처리부는 입력신호를 0%로 인식하여 브레이크 페달 또는 액설레이터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제동동작 및 가속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 출력라인L2, 접지라인L3가 단선된 경우 신호처리부는 입력신호를 100%로 인식하여 브레이크 페달 및 액설레이터 페달이 최대로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여 급제동 및 급출발을 수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 및 배선에서의 접촉불량이나 단선등의 불량발생을 감지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검출시 정상적인 신호입력범위를 설정하여, 실제 오동작시 검출되는 신호와 정상입력신호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므로서 단선검출시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신호처리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판단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페달조작부 11:필터
12:신호처리부 Rs:가변저항
R1:최대입력제한저항 R2:최소입력저항
R3:풀다운저항 C1:콘덴서
D1:제너다이오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페달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입력라인과, 상기 페달조작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가변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라인과, 상기 가변저항의 접지라인과, 상기 출력라인의 전기적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 처리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라인에 결선되어 최대 입력을 제한하는 최대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접지라인에 결선되어 최소 입력을 제한하는 최소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출력라인에 결선되어 부동상태를 방지하는 풀다운저항과, 상기 가변저항, 상기 최대입력제한저항, 상기 최소입력제한저항, 상기 풀다운저항을 이용하여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 및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접지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는 상기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신호처리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판단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0:페달조작부, 11:필터, 12:신호처리부이다.
상기 가변저항(Rs) 입력라인L1은 전원단VCC와 결선되고, 전원단VCC로부터 입력되는 최대 입력 제한 저항R1이 결선된다.
또, 출력라인L2는 필터(11)와 신호처리부(12)로 결선되며, 출력라인L2와 신호처리부(12) 사이에 콘덴서 및 과전압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D1, 부동(float)상태 방지용 풀다운 저항R3가 각각 병렬로 결선되어 있다.
또한, 접지라인L3은 최소 입력 제한 저항R2와 결선되며, 접지된다.
다음, 신호처리부(12)는 단선판단을 위한 두개의 비교기(13,14)가 구성되며, 두개의 비교기(13,14)에 출력라인L2의 가변신호가 필터링처리되어 입력된다.
즉, 비교기1(13)에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이 +단에 입력되고, -단에 필터링 처리된 출력라인L2의 신호가 입력되어 접지라인L3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게된다.
또, 비교기2(14)에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이 -단에 입력되고, +단에 필터링 처리된 출력라인L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라인L1과 출력라인L2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전술한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과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은 종래 문제점인 오동작시 0-100%까지 입력되던 단선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상한치 기준값(Tmax)은 식 1에 의해 구해진다.
식1] *100%
또,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은 식 2에 의해서 구해진다.
식2] *100%
상기 식에서 Rs는 가변저항(Rs), R1은 최대 입력 제한저항, R2는 최소 입력 제한 저항, R3는 풀다운저항이며, 상기 식1 및 식 2는 100분률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부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전술한 식에 의하여 정상동작시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과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 범위의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0-100%인 경우 단선으로 검출할 수 있다.
페달이 작동함에 따라 가변저항(Rs)의 출력라인L2에서 페달조작에 따른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출력된 신호는 필터를 지나면서 필터링처리되어 신호처리부(12)에 입력되므로서 전압(V)값을 읽어들이는 단계를 수행한다(S41).
또, 읽어들인 전압값과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을 비교기2(14)을 통하여 그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를 수행한다(S42).
상기 단계S42에서 출력라인L2를 통하여 읽어들인 전압값이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보다 더 작은 경우 비교기2(14)의 출력단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12)는 입력라인L1 또는 출력라인L2가 단선되었음을 감지한다(S43).
그러나 상기 단계S42에서 출력라인L2를 통하여 읽어들인 전압값이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Tmin)보다 더 큰 경우 비교기2(14)의 출력단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정상으로 인식하고 다음단계S44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2에서 정상으로 인식된 경우 읽어들인 전압값과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을 비교기1(13)을 통하여 그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S44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4에서 출력라인L2를 통하여 읽어들인 전압값이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보다 더 큰 경우 비교기1(13)의 출력단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12)는 입력라인L3가 단선되었음을 감지한다(S45).
그러나 상기 단계S45에서 출력라인L2를 통하여 읽어들인 전압값이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Tmax)보다 더 작은 경우 비교기1(13)의 출력단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정상으로 인식하고 감지동작을 완료한다(S46).
본 발명에서는 부동(float)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풀다운 저항R3이 마련되는데, 이는 일정 범위대에서 신호의 입력이 이루지지 않으므로써,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동상태의 경우 R3를 통하여 접지단으로 신호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부동상태를 없앤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 및 배선에서의 접촉불량이나 단선등의 불량발생을 감지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검출시 정상적인 신호입력범위를 설정하여, 실제 오동작시 검출되는 신호와 정상입력신호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므로서 단선검출시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3)

  1. 페달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입력라인과, 상기 페달조작의 조작 변위량에 따른 가변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라인과, 상기 가변저항의 접지라인과, 상기 출력라인의 전기적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 처리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라인에 결선되어 최대 입력을 제한하는 최대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접지라인에 결선되어 최소 입력을 제한하는 최소입력제한 저항과,
    상기 출력라인에 결선되어 부동상태를 방지하는 풀다운저항과,
    상기 가변저항, 상기 최대입력제한저항, 상기 최소입력제한저항, 상기 풀다운저항을 이용하여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 기준값 및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을 설정하여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입력라인 또는 상기 출력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접지라인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는 상기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상한치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입력범위의 하한치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KR1019980032659A 1998-08-12 1998-08-12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KR20000013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59A KR20000013671A (ko) 1998-08-12 1998-08-12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59A KR20000013671A (ko) 1998-08-12 1998-08-12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71A true KR20000013671A (ko) 2000-03-06

Family

ID=1954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659A KR20000013671A (ko) 1998-08-12 1998-08-12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6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67B1 (ko) * 2020-07-13 2021-06-04 최재영 차량 급발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가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KR102392367B1 (ko) * 2021-07-29 2022-04-28 최재영 전자식 가속 장치
KR102419950B1 (ko) * 2021-08-27 2022-07-13 주식회사 루프 차량 출력 제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67B1 (ko) * 2020-07-13 2021-06-04 최재영 차량 급발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가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WO2022014854A1 (ko) * 2020-07-13 2022-01-20 최재영 차량 급발진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가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방법
KR102392367B1 (ko) * 2021-07-29 2022-04-28 최재영 전자식 가속 장치
KR102419950B1 (ko) * 2021-08-27 2022-07-13 주식회사 루프 차량 출력 제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517B2 (ja) 電気負荷が正常に機能するかどうか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00121521A1 (en) Electronic safing system
CN210129024U (zh) 负载诊断装置
US11899076B2 (en) Device for automatic detection of coupl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478363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speed sensor and eliminating oxide film from the sensor's connectors
JP3988609B2 (ja) 酸素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H05131864A (ja) 自動車の可変量を検出する装置
JP2004090920A (ja) 車両の可変量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9109278A (ja) 絶縁不良検出装置
JP4597278B2 (ja) 電気回路装置及び検査方法
KR20000013671A (ko) 가변저항형 페달조작부의 단선 검출장치
JP3952562B2 (ja) グロープラグの断線検出システム
JPH04114221A (ja) コンピュータに於けるキースイツチ入力部の異常検出方法
KR102502388B1 (ko) 차량의 eps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033580B (zh) 一种温度传感单元断线检测系统、断线检测方法及电动车
CN210129023U (zh) 负载地短路诊断装置
CN113320505B (zh) 一种信号转换装置及车辆
US20230251991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coupl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H0142054Y2 (ko)
JPH02165069A (ja) 電気回路の異常検出装置
JP4131357B2 (ja) 電源電圧検出装置
US6990967B2 (en) Potentiometer device for determination of valve positions
CN218512843U (zh) 一种obd接口的k线驱动电源检测反馈电路及装置
CN215728607U (zh) 座椅检测电路及车辆检测系统
CN109387737B (zh) 针座和塑壳连接状态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