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576U -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576U
KR20000013576U KR2019980026787U KR19980026787U KR20000013576U KR 20000013576 U KR20000013576 U KR 20000013576U KR 2019980026787 U KR2019980026787 U KR 2019980026787U KR 19980026787 U KR19980026787 U KR 19980026787U KR 20000013576 U KR20000013576 U KR 20000013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unit
input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배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80026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576U/ko
Publication of KR20000013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576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버튼을 배열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 이상의 단말기 면적을 필요로 하며, 사용자는 손가락을 여러 위치로 자주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 의한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는 소형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될 입력값이 인쇄되어 있는 입력값 인쇄부 및 상기 입력값 인쇄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입력값 인쇄부쪽으로 미는 경우 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단일 버튼부가 구비된 단일 입력수단과, 상기 단일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디지털 데이터를 CPU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숫자의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단일 입력수단 한곳에 고정이 되어 있어 숫자입력이 용이하며, 숫자 입력을 위한 버튼의 면적이 축소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본 고안은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단일화 시켜서 데이터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손가락이 여러 위치로 자주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종래의 유선이나 무선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전화 번호 입력 방식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를 걸기 위한 숫자 버튼(1)와, 각종 기능 버튼(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숫자 버튼(1)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하여 0에서 9까지 모두 10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밖에 무선 단말기의 경우 통화 버튼이나 종료/전원 버튼 그리고 그 밖에 메뉴나 검색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 버튼(2)이 존재하게 된다.
종래의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전화 번호의 입력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용도의 단말기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숫자 버튼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무선 전화단말기의 숫자 입력버튼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전화단말기(특히 소형화되고 있는 현재의 무선 단말기)에서 전화 입력 버튼을 배열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 이상의 단말기 면적을 필요로 한다.
전화번호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는 손가락을 여러 위치로 자주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손가락이 여러 위치로 자주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는 소형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단일 입력수단과, 상기 단일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디지털 데이터를 CPU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직한 단일 입력수단은 입력될 입력값이 인쇄되어 있는 입력값 표시부와, 상기 입력값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데이터 표시판쪽으로 미는 경우 그 입력값이 입력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단일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숫자 버튼이 형성된 전화 단말기의 형상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형 무선 전화기의 외형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의 외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숫자 버튼 2 : 기능 버튼
10 : 주입력장치 10a : 키보드의 커서키
10b : 키보드의 숫자키 20 : 데이터 표시부
30 : 데이터 인쇄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CPU에 입력하는 주 입력장치와(10), 상기 주 입력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을 순차적으로 표시해주는 입력값 표시부(20)와, 상기 주 입력장치(10)를 조작하는 경우 어떤 데이터가 입력되는가를 알 수 있도록 입력될 입력값이 인쇄되어 있는 입력값 인쇄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력장치(10)는 일종의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이 장치를 입력하고자 하는 숫자 위치로 약간 움직이면 해당 숫자가 입력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며, 외관적으로 드러나는 버튼부와 더불어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를 CPU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값 표시부(20)는 주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무선 전화 단말기의 경우 LCD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값 인쇄부(30)에는 상기 주입력장치(10)를 조작하여 입력할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숫자(0-9)가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고안의 요지를 숫자에 한정하지 않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주입력장치(10)의 기능에 의해서 입력이 불가능한 버튼의 경우에는 이를 위한 별도의 버튼을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에 의한 숫자의 입력은 주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입력되는 값은 입력값 표시부(30)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주입력장치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조작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서는 상하 6방향, 좌우 2방향, 아래(버튼을 누르는 동작)2방향등 최소 총 10개의 입력값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아래 방향으로 2가지의 입력값을 갖도록하기 위해서는 주입력 장치의 누르는 깊이를 최소 2단계로 줄 수 있어야 한다. 가령 1단계의 깊이에서 주 입력 장치를 눌렀다 놓았을 경우 5값이 입력되고 이보다 깊은 2단계의 깊이에서 주 입력 장치를 눌렀다 놓았을 경우 0값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값 표시부(20)에 나타난 숫자열(02-518-4763)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취한다.
0 : 깊이 2 단계로 주 입력장치를 누른다.
2 : 주입력장치를 위로 민다.
5. 깊이 1 단계로 주입력 장치를 누른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숫자가 인쇄된 방향으로 밀거나 1 또는 2 단계의 깊이로 누름으로써 0 - 9까지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위의 방식으로 입력된 숫자들은 입력값 표시부가 있는 경우 각각 표시되어 사용자가 어떤 숫자를 입력하였는지 알 수 있다.
도 3 에는 일반 무선 전화단말기에서 숫자 버튼들과 모든 다른 버튼을 주입력장치로 대치하여 구성한 최소한의 단말기가 도시된다.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경우 0에서 9까지의 숫자 버튼이외에 통화나 종료, 메뉴등을 위한 여러 가지 기능 버튼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버튼들도 주 입력장치의 기능 구현에 따라서는 충분히 주입력장치에 의하여 대치될 수 있다. 이 밖에 기존의 무선 단말기의 숫자 버튼들과 기능 버튼들을 이용한 단말기의 조작도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하여 대치하는 방안을 고안할 수 있다.
도 4 에는 컴퓨터 키패드에 본 고안을 적용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 입력장치는 일반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숫자 키패드를 대치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커서키를 본 고안의 주 입력장치로 대치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주입력장치의 상부에 돌출부를 두어 조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 입력값 인쇄부쪽으로 주입력장치를 미는 조작을 통하여 입력값을 입력하였으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주입력장치를 미는 것이 아니라 입력값 인쇄부쪽으로 치우쳐 누르는 경우 그 숫자가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입력값 인쇄부와 주입력장치가 분리되어 있으나 그 입력값 인쇄부를 주입력장치의 외주면에 두어 주입력장치의 외주면을 미는 경우 미는 쪽에 인쇄된 입력값이 입력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에서는 주입력장치의 둘레에 사각형 모양으로 입력값 인쇄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이 아닌 다른 모양으로 할 수 도 있으며, 주입력장치의 구성에 있어 밀거나 누르는 것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숫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 숫자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숫자 입력을 위하여 일일이 손가락을 숫자가 위치하고 있는 버튼으로 움직이고 다시 누르는 동작을 취해야 하는데 이는 장시간 또는 빈번한 사용이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피로감을 주게 된다. 이에 반해 본 고안에 의한 숫자의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주 입력장치 한곳에 고정이 되어 있으며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이 소요되는 손가락을 미는 동작을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숫자 입력에 따른 피로감을 덜 줄 수 있게 된다.
2. 숫자 입력버튼을 위한 점유면적을 축소시킨다.
일반 숫자 입력장치에서 사용되는 숫자 입력 버튼들을 하나의 주 입력장치로 대치하는 것이므로 숫자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에서 필수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는 특히 요즘 갈수록 소형화 경량화 되고 있는 무선 단말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소형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단일 입력수단과;
    상기 단일 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디지털 데이터를 CPU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수단은,
    입력될 입력값이 인쇄되어 있는 입력값 인쇄부와;
    상기 입력값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입력값 인쇄부쪽으로 미는 경우 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단일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버튼부는,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눌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버튼부는,
    상부에 돌출부를 두어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력수단은,
    입력될 입력값이 인쇄되어 있는 입력값 인쇄부와;
    상기 입력값 인쇄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입력값 인쇄부쪽으로 치우쳐 누르는 경우 그 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일 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KR2019980026787U 1998-12-28 1998-12-28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000135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87U KR20000013576U (ko) 1998-12-28 1998-12-28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87U KR20000013576U (ko) 1998-12-28 1998-12-28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576U true KR20000013576U (ko) 2000-07-15

Family

ID=6950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87U KR20000013576U (ko) 1998-12-28 1998-12-28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5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714A (ko) * 2000-08-04 2002-02-09 배한나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KR100557066B1 (ko) * 1999-12-1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066B1 (ko) * 1999-12-1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KR20020011714A (ko) * 2000-08-04 2002-02-09 배한나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8235A (e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AU2002351591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US6528741B2 (en) Text entry on portable device
US7362243B2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lor-coded or pattern-coded keys in two-key input per character text entry
JP2000165499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れへの文字入力方法
KR100810315B1 (ko)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N101288040B (zh) 用于电子设备的小键盘以及用于操作电子设备小键盘的方法
CN100483951C (zh) 键盘
KR20060123099A (ko) 전자 기기용 키 패드
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US20080024452A1 (en) Method Of Data Entry
KR20000013576U (ko)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JP2776614B2 (ja) 小型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304005Y1 (ko) 6개의 키버튼을 이용한 영문 알파벳 문자 입력 시스템
US20040121816A1 (en) Cellular phone with directional navigational keys used to replace buttons and method for using these keys
CN1979388A (zh) 复合键键盘、电子装置及字符输入方法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KR20040089437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6008755A1 (en) A device for manually inputting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to an equipment incorporating digital electronic circuits
JP2001242998A (ja) 文字入力装置
JP201300401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EP162819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10021459A2 (ko) 획 추가 기능을 이용한 핸드폰의 영문자판
WO2004070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key input for portable terminals
KR200400635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키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