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472U - 오일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오일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472U
KR20000013472U KR2019980026642U KR19980026642U KR20000013472U KR 20000013472 U KR20000013472 U KR 20000013472U KR 2019980026642 U KR2019980026642 U KR 2019980026642U KR 19980026642 U KR19980026642 U KR 19980026642U KR 20000013472 U KR20000013472 U KR 200000134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olution
degreasing
degreasing solution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6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472U/ko
Publication of KR20000013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472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의 연마라인에 있어서 스트립에 가해진 연마오일이 탈지설비에서의 탈지용액과 혼합되어 생기는 오일-용액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류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오일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리닝스프레이탱크(38)내에서 스트립(32)에 탈지용액을 가하여 스트립(32)상의 연마오일을 제거하여 생기는 연마오일 및 탈지용액 혼합물이 솔레노이드밸브(3)가 설치된 공급라인(2)을 통해 분리탱크(1)내의 미립여과필터(6)내부로 공급되게 설치하고, 상기 미립여과필터(6)를 통과하여 오일이 분리된 탈지용액이 용액배출라인(7)을 통해 탈지용액탱크(18)로 이송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미립여과필터(6)내에서 탈지용액과 분리되어 남은 오일은 솔레노이드밸브(9)가 설치된 오일배출라인(8)을 통해 오일저장탱크(20)로 배출 처리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일 분류 장치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냉연공장 연마라인에 있어서 탈지설비에 혼입되는 연마오일을 탈지용액과 효과적으로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오일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트립(32)이 화살표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연마기(33)로부터의 연마오일(35)이 탈지구간(34)으로 혼입되어 탈지탱크 내로 들어가 탈지용액(36)과 분리되어 상부에 오일(35)층을 형성하면 밸브(37) 조작으로 탈지용액(36) 상부의 오일(35)층을 드레인시키는 방법으로 오일을 분리제거하여 왔다.
위와 같은 작업자 판단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오일 분리 제거 방법은 오일제거 드레인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고 폐오일 방류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오일 드레인시 일부 탈지용액도 함께 드레인되어 용액소모량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오일이 혼입되는 탈지구간 전단부분에 오일과 탈지용액 분류 장치를 연결설치하여 연속적인 분류로 연마오일과 탈지용액을 연속적으로 따로 분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개선한 오일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분리탱크 2: 공급라인
3: 공급 솔레노이드밸브 4: 전도계
5: 레벨게이지 6: 미립여과필터
7: 용액배출라인 8: 오일배출라인
9: 배출 솔레노이드밸브 12: 탱크커버
13: 에어벤트구 14: 리턴라인
15: 깔대기 16: 분리대 칸막이
17: 용액투입구 18: 탈지용액탱크
20: 오일저장탱크 32; 스트립
38: 크리닝스프레이탱크
이하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인데, 크리닝스프레이탱크(38)내에서 스트립(32)에 탈지용액을 가하여 스트립상의 연마오일과 탈지용액이 혼합되어 생기는 혼합물이 리턴라인(14)으로 리턴된다. 리턴라인(14)으로 리턴되는 오일과 탈지용액혼합물은 깔대기(15)의 분리대 칸막이(16)에 의해 일부는 용액투입구(17)로 리턴 투입되고, 일부는 공급라인(2)으로 공급되도록 장치된다. 상기 공급라인(2)은 분리탱크(1)상부로 연결설치되는데, 탱크커버(12) 중앙에는 에어벤트구(13)가 설치되고, 그 옆에는 레벨게이지(5)와 전도계(4)가 설치구비된다. 상기 전도계(4)는 알카리 용액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용액의 농도를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장치로, 오일이 100%로 있는 상태에서는 "O"을 가리킨다. 레벨게이지(5)와 전도계(4)의 아래 부분이 담겨지고 또 오일이 담겨지는 동시에 탈지용액은 분리배출되게 구성되는 미립여과필터(6)가 분리탱크(1)내에 장치되고, 분리탱크(6)내저부에 상기 미립여과필터(6)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31)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미립여과필터(6)에는 프레임(28)과 투입구결속볼트구(29) 및 출구결속볼트구(30)가 설치된다. 미립여과필터(6)내로 오일 및 용액 혼합물을 투입시키는 공급라인(2)에는 공급 솔레노이드밸브(3)가 설치되고 출구결속볼트구(30)는 오일배출라인(8)과 연결된다. 상기 오일배출라인(8)에는 배출 솔레노이드밸브(9)를 설치하고, 미립여과필터(6) 하부측면에 용액배출라인(7)을 설치하되 이 용액배출라인(7)을 탈지탱크(18)내에 연결설치하여 필터(6)를 통과한 탈지용액이 탈지탱크(18)내에 들어가게 구성되어 있다.
작용에 있어서, 크리닝스프레이탱크(38)에서 리턴되는 오일이 함유된 탈지용액은 리턴라인(14)을 통해 깔때기(15)쪽으로 투입되는데, 이때 상기 깔대기(15)안쪽에 설치된 분리대 칸막이(16)에 의해 일부의 용액은 공급라인(2)를 통하여 분리탱크(1)의 미립여과필터(6)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오일이 제거된 탈지용액으로 분류된다. 이때, 레벨게이지(5)에 의해 용액-오일 혼합물이 분리탱크(1)내에서 일정높이가 될 때까지 공급 솔레노이드밸브(3)는 계속 오픈되어 있게 되고 정해진 높이에 이르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가 차단된다. 나아가서, 전도계(4)가 "0"을 가리키게 될 때 공급 솔레노이드밸브(3)가 차단되면서 배출 솔레노이드밸브(9)는 열리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해보면, 도4에서 공급 솔레노이드밸브(3)는 열려 있고 배출 솔레노이드밸브(9)는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급라인(2)을 통해 용액-오일 혼합물이 분리탱크(1)내로 계속 투입되면 미립여과필터(6)내에서 오일은 쌓이게 되고 용액은 미립여과필터(6)을 통하여 하부 용액배출라인(7)을 통하여 탈지용액탱크(18)내에 투입되고, 미립여과필터(6)내의 충전물이 정해진 높이의 레벨게이지(5)위치에서 전도계(4)가 "0"을 가리키게 될때(필터(6)내에 오일이 100%로 충만되어 있을 때) 공급 솔레노이드밸브(3)가 차단되고 배출 솔레노이드밸브(9)는 열려 미립여과필터(6)내의 오일이 배출라인(8)을 따라 이동 배출되며,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여 오일과 용액을 연속 분리시키고, 오일배출라인(8)을 통하여 오일저장탱크(20)로 보내어진 연마오일은 저장탱크 레벨게이지(21)에 따라 일정높이까지 충만되면 오일펌프(22) 작동으로 라인(23)을 통해 다른 장소로 보내어져 처리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연마오일을 폐오일로 처리하여 오일재활용을 못하면서 많은 폐오일처리비가 소요되고 또 상당량의 탈지용액이 오일과 함께 버려져서 탈지용액의 사용량 증가로 생산원가 상승을 초래하였던 문제점을 자연낙차에 의한 효과적인 오일-용액 분리작용에 의해 오일재활용은 물론 탈지용액 절감 및 생산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크리닝스프레이탱크(38)내에서 스트립(32)에 탈지용액을 가하여 스트립(32)상의 연마오일을 제거하여 생기는 연마오일 및 탈지용액 혼합물이 솔레노이드밸브(3)가 설치된 공급라인(2)을 통해 분리탱크(1)내의 미립여과필터(6)내부로 공급되게 설치하고, 상기 미립여과필터(6)를 통과하여 오일이 분리된 탈지용액이 용액배출라인(7)을 통해 탈지용액-탱크(18)로 이송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미립여과필터(6)내에서 탈지용액과 분리되어 남은 오일은 솔레노이드밸브(9)가 설치된 오일배출라인(8)을 통해 오일저장탱크(20)로 배출 처리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류 장치.
KR2019980026642U 1998-12-26 1998-12-26 오일분류장치 KR200000134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642U KR20000013472U (ko) 1998-12-26 1998-12-26 오일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642U KR20000013472U (ko) 1998-12-26 1998-12-26 오일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472U true KR20000013472U (ko) 2000-07-15

Family

ID=6950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642U KR20000013472U (ko) 1998-12-26 1998-12-26 오일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4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09B1 (ko) * 2001-07-30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KR100868499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09B1 (ko) * 2001-07-30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KR100868499B1 (ko) * 2002-07-16 2008-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8782A (en) Cleaning apparatus for fluids
US5454937A (en) Collant filter and oil coalescer
US5468385A (en) Charged coalescer type oil-water separating apparatus
US6616834B2 (en) Wastewater processor
JP2010131516A (ja) 油水分離装置
CN110734186A (zh) 轧辊磨床废液集中处理系统
US5565101A (en) Oil and water separator
CN210150836U (zh) 含油废水分解系统除渣装置
JP2007098538A (ja) 個液分離システム
KR20000013472U (ko) 오일분류장치
CN211570370U (zh) 轧辊磨床废液集中处理系统
US34567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irty liquid
DE19806400A1 (de) Mobile Anlage zur abwasserfreien Reinigung von Motoren, ölverunreinigten Teilen und Fahrzeugen aller Art ohne Kanalanschluß
JP5543743B2 (ja) 油水分離システム
US6189549B1 (en) Waste material skimming device
DE10100896C1 (de) Anlage zum Absaugen und Entsorgen von Luftverunreinigungen bei der Herstellung von Holzwerkstoffplatten, insbesondere OSB-Platten oder dgl.
CA2293343A1 (en) Portable water recycler
US3717255A (en) Liquid clarification unit
KR100244740B1 (ko) 중앙집중식 절삭유 여과장치
CN209423131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CN110237566A (zh) 一种油水分离装置
CN219031835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KR20060011810A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의 스크랩 세척장치
KR100868499B1 (ko)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CN216711769U (zh) 一种用于化工原料制备的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